KR100678370B1 - 거치대형 노래 반주기 - Google Patents

거치대형 노래 반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8370B1
KR100678370B1 KR1020050080756A KR20050080756A KR100678370B1 KR 100678370 B1 KR100678370 B1 KR 100678370B1 KR 1020050080756 A KR1020050080756 A KR 1020050080756A KR 20050080756 A KR20050080756 A KR 20050080756A KR 100678370 B1 KR100678370 B1 KR 100678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dle
microphone
wireless
video
sig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0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터기술
이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터기술, 이경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터기술
Priority to KR1020050080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83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8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8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10H2210/09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for performance evaluation, i.e. judging, grading or scoring the musical qualities or faithfulness of a performance, e.g. with respect to pitch, tempo or other timings of a reference performan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05Non-interactive screen display of musical or status data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211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for microphones, i.e. control of musical parameters either directly from microphone signals or by physically associated peripherals, e.g. karaoke control switches or rhythm sensing accelerometer within the microphone cas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281Protocol or standard connector for transmission of analog or digital data to or from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 G10H2240/285USB, i.e. either using a USB plug as power supply or using the USB protocol to exchange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를 거치할 수 있는 구성과, 거치대 전면에는 카메라가 부착되어 가족이나 친구들의 영상을 녹화하거나 배경영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성과, 노래반주와 노래반주에 맞는 배경 동영상신호 및 정지영상신호가 저장되어 있는 소형ㆍ경량의 거치대형 노래반주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노래반주를 수행하기 위한 수많은 다양한 노래반주 및 노래반주에 맞는 다양한 비디오 영상이 메모리 내부에 저장되어 있고, 노래의 선곡을 위한 숫자입력 버튼 및 제어버튼을 구비하며, 가족 또는 동료들의 즐거운 움직임을 비디오 영상으로 담을 수 있도록 카메라가 전면에 위치하고, 노래 반주곡 입력시 입력되는 번호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부와, 리모콘 및 무선마이크의 작동을 위하여 무선송수신 모듈을 구비하며, 마이크를 거치대에 위치시키면 자동으로 마이크내부에 내장된 배터리에 충전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주파수 설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수단을 구비한 소형ㆍ경량의 거치대형 노래반주기을 제공함으로써 노래반주기의 설치공간을 크게 줄이고, 필요시 사용자비디오 영상을 녹화할 수 있으며, 마이크의 거치 및 보관이 용이한 거치대형 노래반주기를 구현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노래반주기, 거치대 형

Description

거치대형 노래 반주기{Stand-type musical accompaniment}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형 노래반주기의 외형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형 노래반주기와 세트를 이루는 주마이크, 보조마이크 및 리모콘의 외형도.
도3은 본 발명의 거치대형 노래반주기에 내장된 인쇄회로기판의 회로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다이아그램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거치대 몸체 12, 13; 마이크 거치대
14; 카메라 15; 엘씨디 표시부
16; 주마이크 체크용 엘이디 17; 숫자 버튼
18; 전원버튼 19; 템포 제어버튼
20; 키 제어버튼 21; 거치대 지지대
22; 보조마이크 체크용 엘이디 31; 주마이크
32; 보조마이크 33; 리모콘
50; 메인인쇄회로기판 51; 메인 씨피유 및 디에스피 칩
52; 시스템 부트롬 53; 낸드후레쉬메모리
54; 에스디램 55; 입출력 로직포트
56; 외부 비디오신호 입력/출력 회로 57; 오디오 에이디씨/디에이씨
58; 인터페이스 회로 59, 60; 메모리 팩
61; 리모트 센서 62; 엘씨디 표시부
63; 키 제어버튼 64; 무선마이크 체크용 엘이디
65; 백라이트 66; 전원
67; 스위치 68; 오디오신호를 증폭하는 앰프
69; 무선송수신모듈 70; 신호혼합기
71,72; 무선마이크 수신모듈 73; 어댑터 입력포트
74; 카메라영상신호 입력포트 75; 외부영상신호입력포트
76; 영상신호 출력포트 77, 78; 오디오신호 출력포트
79; 유에스비(USB)포트 80; 유선마이크 연결포트
81; 전면 인쇄회로기판(PCB) 82; 베이스 인쇄회로기판(PCB)
본 발명은 일반적인 노래반주의 기본기능을 거치대 내부에 모두 구비하고 무선 주 마이크와 보조마이크를 거치할 수 있는 구성과, 거치대 전면에는 카메라가 부착되어 가족이나 친구들의 영상을 녹화하거나 배경영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성과, 노래반주와 노래반주에 맞는 배경 동영상신호 또는 정지영상신호가 저장되어 있는 거치대형 노래반주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노래반주기들은 마이크 내부에 모든 기능들을 내장시킨 마이크형과 노래반주기, 비디오영상 저장장치 및 마이크 등을 분리하여 별도의 장치로 구성한 분리형이 있다. 마이크형의 경우에는 마이크 내부에 모든 기능을 내장하므로 마이크의 부피 및 무게가 커지고 무거워져 원하는 형태의 마이크 구조를 이룰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노래반주기, 비디오영상저장장치 및 마이크 등을 분리하여 별도의 장치로 구성한 분리형의 경우는 부피에 따른 설치 공간이 크게 증가하고 각각의 구입에 따른 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노래반주기들은 유무선 마이크를 사용하며, 이를 거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만들어 설치하거나 별도로 보관하여야 하는 불편함과 마이크내부에 내장된 배터리의 수명이 다하면 주기적으로 마이크내부에 내장된 배터리를 교환하여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의 노래반주기들은 노래반주곡의 추가 또는 확장을 위한 별도의 수단이 없거나 용이하지 않으며, 유에스비(USB) 포트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서 필요한 프로그램 및 노래반주를 용이하게 다운로드, 업로드 및 시스템 업그레이드를 받을 수 없는 불편함과, 카메라가능이 부착되어 있지 않아서 노래 부르는 모습을 영상신호로 담을 수 없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노래반주를 수행하기 위한 수 많은 다양한 노래반주 및 노래반주에 맞는 다양한 비디오 영상이 메모리 내부에 저장되어 있고, 노래의 선곡을 위한 숫자입력 버튼 및 제어버튼을 구비하며, 가족 또는 동료들의 움직임을 녹화하거나 배경영상으로 담을 수 있도록 카메라가 전면에 위치하고, 노래 반주곡 입력시 입력되는 번호를 확인할 후 있는 표시부와, 리모콘 및 무선마이크의 작동을 위한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며, 마이크를 거치대에 위치시키면 자동으로 마이크내부에 내장된 배터리에 충전함과 동시에 주파수 설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수단을 구비한 소형ㆍ경량의 거치대형 노래반주기를 구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확장 팩 슬롯을 구비하고 필요시에 원하는 노래반주곡, 녹음 팩 및 배경영상을 추가 또는 확장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필요한 수많은 노래반주곡을 용이하게 기록 저장할 수 있으며, 유에스비(USB) 포트를 구비하고 필요시 노래반주기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하거나 녹음 팩에 노래반주를 다운로드 및 업로드 기능을 구비하고 최신곡 및 필요한 곡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하는 비디오 영상을 저장하고 필요시 외부의 표시패널에 영상신호를 오버레이 시키는 기능을 구비하여 사용자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으며, 무선 및 유선 마이크 모두 점수 및 에코처리를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들의 흥미를 높이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형ㆍ경량의 마이크거치대에 노래반주기를 구현하여 비교적 부피가 큰 마이크를 보관할 수 있고, 마이크를 고정한 상태에서 마이 크 내부의 배터리에 자동으로 충전되고 주파수 설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마이크의 무게와 부피를 줄여서 사용자들이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마이크를 두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자들의 활동이 자유롭고 무선마이크의 전면에는 선곡 및 제어용 버튼이 설치되어 사용자들이 원하는 곡을 반주 중에 또는 여가 시간에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노래반주의 기본기능을 거치대 내부에 구비하고 무선 주마이크와 보조마이크를 거치할 수 있는 구성과, 거치대 전면에는 카메라가 부착되어 가족이나 친구들의 영상을 녹화하거나 배경영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와, 노래반주와 노래반주에 맞는 배경 동영상신호 및 정지영상신호가 저장되어 있는 거치대형 노래반주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노래반주기들은 마이크 내부에 모든 기능들을 내장시킨 마이크형과 노래반주기, 비디오영상 저장장치 및 마이크 등을 분리하여 별도의 장치로 구성한 분리형 있다.
마이크형의 경우에는 마이크 내부에 모든 기능을 내장하므로 마이크의 부피 및 무게가 커지고 무거워져 원하는 형태의 마이크 구조를 이룰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노래반주기, 비디오영상저장장치 및 마이크 등을 분리하여 별도의 장치로 구성한 분리형의 경우는 부피에 따른 설치 공간이 크게 증가하고 각각의 구입에 따 른 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노래반주기들은 유무선 마이크를 사용하며, 이를 거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만들어 설치하거나 별도로 보관하여야 하는 불편함과 마이크내부에 내장된 배터리의 수명이 다하면 주기적으로 마이크내부에 내장된 배터리를 교환하여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의 노래반주기들은 노래반주곡의 추가 또는 확장을 위한 별도의 수단이 없거나 용이하지 않으며, 유에스비(USB) 포트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서 필요한 프로그램 및 노래반주를 용이하게 다운로드, 업로드 및 시스템 업그레이드를 받을 수 없는 불편함과, 카메라 기능이 없어서 사용자의 모습을 영상신호로 용이하게 담을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는 도면을 살펴본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형 노래반주기의 외부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거치대형 노래반주기와 세트를 이루는 주마이크, 보조마이크 및 리모콘을 나타내고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거치대형 노래반주기에 내장된 인쇄회로기판의 회로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다이아그램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수단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은 일반가정이나 노래방의 테이블 또는 조그마한 선반 등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 노래반주기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마이크거치대, 거치대 몸체 및 거치대 지지대로 이 루어진 소형ㆍ경량의 거치대형 노래반주기에 관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형 노래반주기는 기본적으로 두개의 무선마이크를 거치시킬 수 있는 마이크거치대가 설치되어 있으며, 거치대 몸체의 전면에는 원하는 노래반주곡을 선곡하여 입력하기 위한 숫자버튼 및 선곡시 입력되는 숫자 등을 표시하는 엘씨디(LCD) 표시부와 기타 제어를 위한 전원 버튼, 예약, 모드선택, 시작 및 정지 버튼, 템포 제어 및 키 제어버튼 등이 위치하고, 하단부에는 거치대를 지지하는 거치대 지지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두개의 무선마이크는 거치대의 마이크거치대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무선으로 구성되어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노래를 부를 수 있다.
상기 거치대 전면에 위치하는 또 다른 구성은 주 무선마이크와 보조마이크 신호를 모니터하는 엘이디(LED) 및 원격제어를 위한 리모트 센서가 위치하며, 필요시 사용자들이 노래하는 모습을 영상신호로 저장할 수 있는 소형 씨씨디(CCD)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다.
거치대의 뒷면에는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후면 도어 록이 설치되어 있고, 추가곡을 확장할 수 있도록 확장 팩을 삽입할 수 있는 슬롯이 다수개가 설치되어 있으며, 컴퓨터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유에스비(USB)포트가 설치되어 있고, NTSC/PAL 방식의 외부 CVBS 비디오 입력포트와 출력포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오디오를 출력하는 오디오 좌측 및 우측 출력포트를 구비하고 있고, 필요시 유선마이크를 사용할 수 있도록 유선마이크 입력포트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거치대후면에는 무선마이크를 거치대에 거치할 경우 마이크에 내장된 배터리에 자동으로 충전되도록 하는 충전장치와 무선마이크의 신호를 송수신 사용되는 주파수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수단이 부착 설치되어 있다.
거치대형 노래반주기와 무선마이크에는 무선으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무선송수신모듈이 내장되어 있다.
거치대 내부에는 전면패널에 위치하는 다양한 버튼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면 인쇄회로기판, 메인 씨피유(CPU)와 디에스피(DSP: Digital Signal Processor)를 내장하고 노래반주기를 제어하는 메인 인쇄회로기판(PCB)과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무선마이크로부터 신호를 받아서 스피커로 송신하기 위하여 신호를 제어하는 입출력 제어용 베이스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되어 있다.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에는 시스템 부트 롬(System Boot ROM), 낸드후레쉬 메모리(NAND Flash Memory), 시스템 및 비디오(System/Video)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에스디램(SDRAM)과 메인 씨피유(CPU) 및 디에스피(DSP)와 연동하여 노래반주기를 제어하는 수단과, 메인 씨피유 및 디에스피 칩과 연동하여 외부기기와 비디오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메인 씨피유 및 디에스피 칩과 오디오 에이디씨/디에이씨(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가 연동하여 오디오신호를 외부기기와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메인 씨피유 및 디에스피 칩과 입출력 로직포트가 연동하여 거치대 전면에 부착된 다양한 버튼들과 연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메인 씨피유 및 디에스피 칩과 연동하여 다수의 메모리 팩에 저장된 노래반주를 선택하는 수단과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저장하거나 전면에 설치된 표시패널에 표시할 수 있 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메인 씨피유의 입출력 로직포트는 거치대 전면에 위치한 다양한 버튼들과 연동하여 신호를 주고받으면서 노래반주기를 동작시키고, 전면에 설치된 엘이디는 시스템 및 무선마이크의 정상 동작여부를 체크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입출력 로직포트에는 리모콘, 표시부의 엘씨디(LCD), 키 매트릭스, 엘이디 및 다양한 버튼의 백라이트 등을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메인 씨피유 및 디에스피 칩과 카메라 영상신호 입력포트, 외부영상신호입력포트 및 영상신호출력포트가 서로 연동하여 외부기기로 비디오신호를 주고받는 수단은 외부에 설치된 카메라와 연동하여 거치대 전면에 위치한 사용자들의 비디오 영상신호를 기록 저장하거나 카메라에서 취득한 영상신호를 표시패널에 나타낼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며, 메모리에 저장되어 해당하는 노래반주에 맞는 배경 영상신호를 외부에 설치된 다양한 종류의 표시패널에 나타내는 수단을 구비한다.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는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를 내장하여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와 또 다른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선택하여 처리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메인 씨피유 및 디에스피 칩과 다수의 메모리 팩 사이에는 이들이 원할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인터페이스회로를 구비한다.
메인 씨피유 및 디에스피 칩과 연동하여 외부기기로 오디오신호를 주고받는 수단은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오디오 에이디씨/디에이씨(ADC/DAC)를 통해서 좌우측 스피커로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신호출력포트 와 두개의 무선 마이크 또는 유선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받아서 노래반주와 혼합하여 스피커로 송출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거치대 후면에 위치한 유에스비 포트는 메인 씨피유 보드와 연결되어 컴퓨터로부터 노래반주, 배경동영상신호, 정지영상신호 및 노래반주기의 업그레이드 프로그램 등을 다운로드하거나 다양한 비디오 및 오디오신호들을 입출력하는 구성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보드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형 노래반주기의 구체적인 기능들을 살펴보면, 일반 노래방의 노래반주기가 가지는 노래반주곡 저장기능, 노래선곡기능, 배경비디오영상저장 기능,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의 입출력기능, 노래 예약기능 및 유에스비 포트를 이용하여 퍼스널 컴퓨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 등을 모두 구비하고 있다.
거치대의 후면에는 무선마이크 내부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배터리충전수단 및 외부로 송출되는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신호의 주파수를 설정하는 주파수자동설정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유에스비(USB)포트는 거치대형 노래반주기가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 노래반주곡 및 비디오영상 등을 컴퓨터로부터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메모리 팩 및 메모리에 저장된 노래반주곡 및 비디오 영상 파일 중에서 선정하여 이메일로 원하는 사람들에게 보낼 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거치대 일측에는 전원공급용 어댑터입력단자, 오디오/비디오신호 입력 및 출력단자 및 상기 유에스비 포트가 외부기기와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소정 위치 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오디오 출력회로에는 출력신호의 디스토션 현상제거수단을 부가하여 사용자들의 본래 음성에 가까운 오디오의 출력신호를 내보내는 수단을 구비한다.
거치대에 거치되는 무선마이크는 주마이크와 보조마이크로 구성되며, 마이크에 설치된 무선송수신모듈을 통해서 무선으로 거치대에 설치되어 있는 무선송수신모듈로 사용자들의 음성신호를 전송하게 되며, 전송된 음성은 해당하는 노래반주신호와 거치대내부의 신호혼합기에서 혼합되어 스피커 또는 외부수신기로 내보는 구성을 가진다. 또한 전파규제나 기타 이유에 의하여 유선 마이크를 사용할 경우에는 유선마이크를 통해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거치대의 신호혼합기로 입력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두개의 무선마이크와 한개의 유선마이크는 사용자가 부르는 음정과 노래반주기에 기설정된 노래의 음정을 비교하여 사용자가 부른 노래에 대하여 점수를 부여하고, 노래를 부를 때 에코기능을 부여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무선마이크와 유선마이크의 일측에는 노래반주곡을 입력하는 버튼과 노래반주기를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버튼들이 위치한다.
거치대의 전면에는 상기 두개의 무선마이크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엘이디(LED)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거치대 내부의 메모리에는 상용의 빙고게임1, 빙고게임2 및 노래반주곡을 이용하여 즐길 수 있는 게임 등이 입력 저장되어 있어 사용자들이 중간 중간에 게임을 즐길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들의 편리를 위하여 원격으로 노래반주기를 제어하여 원하는 노래반주 곡을 선곡하거나 전원을 온ㆍ오프할 수 있는 리모콘을 구비한다.
상기 씨피유와 연동하여 선곡하고 필요한 프로그램을 내장하기 위한 낸드후레쉬 메모리(NAND Flash Memory), 시스템 및 비디오(System/Video)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에스디램(SDRAM) 등의 내장메모리는 내장되는 노래반주곡의 수에 따라 메모리의 크기를 달리하여 구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실시 예]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도1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은 일반가정이나 노래방의 테이블 또는 조그마한 선반 등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 노래반주기로 이용할 수 있도록 마이크 거치대(12,13), 거치대 몸체(11) 및 거치대 지지대(21)로 구성된 소형ㆍ경량의 거치대형 노래반주기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형 노래반주기는 기본적으로 두개의 무선마이크(31,32)를 거치시킬 수 있는 마이크 거치대(12,13)가 거치대 몸체(11)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원하는 노래반주곡을 선곡하여 입력하기 위한 숫자입력버튼(17) 및 선곡시 입력되는 숫자 등을 표시하는 엘씨디(LCD) 표시부(15)와 기타 노래반주기의 제어를 위한 전원버튼(18, 66), 예약, 모드선택버튼, 시작 및 정지 버튼, 템포 제어버튼(19) 및 키 제어 버튼(20, 63) 등이 위치한다.
거치대 하단부에는 상기 거치대 몸체(11)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가 형성되어 있다. 거치대 몸체(11) 전면에 위치하는 또 다른 구성은 주 무선마이크 및 보조무선마이크의 신호를 모니터하는 엘이디(16, 22) 및 원격제어를 위한 리모트 센서 (61)가 위치하며, 필요시 사용자들이 노래하는 모습을 자연스럽게 영상신호로 기록 저장할 수 있는 소형 CCD카메라(14)가 설치되어 있으며, 원하는 경우에 유에스비 포트(79)를 통해서 기록 저장된 영상신호를 CD 또는 메모리 팩(59,60)으로 다운로드하여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거치대의 뒷면에는 용이한 유지보수를 위하여 열고 닫을 수 있는 도어 록이 설치되어 있고, 추가곡 확장 팩을 삽입할 수 있는 슬롯이 십여 개가 설치되어 있으며, 컴퓨터와 연결되어 필요한 프로그램 및 파일들을 다운로드를 받을 수 있도록 유에스비 연결포트(79)가 설치되어 있고, NTSC/PAL 방식의 외부 CVBS 비디오 입력포트(75) 및 출력포트(76)를 구비하고 있으며, 오디오신호를 앰프(68)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좌측 및 우측출력포트(77, 78)가 설치되어 있고, 필요시 유선마이크를 사용할 수 있도록 유선마이크를 연결할 수 있는 유성마이크 연결포트(8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후면에는 무선마이크가 거치대에 위치할 경우에 마이크에 내장된 충전용 배터리에 자동으로 충전되도록 하는 배터리충전장치와 무선마이크의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의 주파수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주파수자동설정장치가 부착 설치되어 있으며, 동일한 크기와 전압을 가진 상용의 일회용 소형배터리를 내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거치대형 노래반주기와 무선마이크에는 무선으로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들을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송수신모듈(69)이 내장되어 있다. 거치대에 위치하는 두개의 무선마이크는 무선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모듈(71,72)을 구비한다.
거치대형 노래반주기는 무선송수신모듈(69)이 내장하고 있으므로 에프엠(FM)수신기와 스피커를 구비한 장치인 차량, 라디오, 텔레비전 및 전자기기 등과 연동하여 송수신이 가능하므로 일반가정, 노래방 또는 다양한 장소에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거치대 내부에는 거치대전면에 위치하는 다양한 버튼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면인쇄회로기판(81), 메인 씨피유(CPU)와 디에스피(DSP)를 내장하고 노래반주기를 제어하는 메인인쇄회로기판(50) 및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무선마이크로부터 신호를 받아서 스피커로 송신하기 위하여 신호를 제어하는 입출력 제어용 베이스 인쇄회로기판(82)이 내장되어 있다.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50)에는 시스템 부트롬(52, System Boot ROM), 낸드후레쉬 메모리(53, NAND Flash Memory), 시스템 및 비디오(System/Video)장치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에스디램(54, SDRAM)과 메인 씨피유(CPU) 및 디에스피(DSP, Digital Signal Processor)와 연동하여 노래반주기를 제어하는 수단과, 메인 씨피유 및 디에스피 칩과 연동하여 외부의 비디오신호를 입력하고 출력하는 회로(56)를 통해서 비디오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 수단과, 메인 씨피유 및 디에스피 칩(51)과 오디오 에이디씨/디에이씨(57, ADC/DAC)가 연동하여 오디오신호를 외부기기와 주고받을 수 있는 수단들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메인 씨피유 및 디에스피(51)와 입출력 로직포트가 연동하여 거치대 전면에 부착된 다양한 버튼들과 연동할 수 있는 구성수단들을 구비하고 있으며, 메인 씨피유 및 디에스피 칩과 연동하여 다수의 메모리 팩(59, 60)에 저장된 노래반주를 선택하는 수단과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저장하거나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영상을 전면에 설치된 표시패널에 표시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는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67)를 내장하여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와 또 다른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선택하여 처리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메인 씨피유 및 디에스피 칩(51)과 다수의 메모리 팩(59,60) 사이에는 이들이 원할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인터페이스회로(58)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 씨피유의 입출력 로직포트(55)는 거치대 전면에 위치한 다양한 버튼들과 연동하여 신호를 주고받으면서 노래반주기를 동작시키고, 전면의 표시부와 인접하여 두개의 무선마이크의 정상 동작여부를 체크하는 무선마이크 체크용 엘이디(64)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입출력 로직포트(55)는 리모콘, 표시부의 엘씨디(LCD), 키 매트릭스, 엘이디 및 다양한 버튼에 백라이트(65)를 제공하는 등의 다양한 제어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메인 씨피유 및 디에스피 칩(51)과 카메라 영상신호 입력포트(74), 외부영상신호입력포트(75) 및 영상신호출력포트(76)가 서로 연동하여 외부기기로 비디오신호를 주고받는 수단은 거치대 전면에 설치된 카메라와 연동하여 카메라 앞에서 노래하는 사람들의 움직임을 비디오 영상신호로 기록 저장하거나 노래반주기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해당하는 노래반주에 맞는 배경 영상신호를 외부에 설치된 표시패널에 나타내어 주는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메인 씨피유 및 디에스피(51)와 연동하여 외부기기로 오디오신호를 주고받는 수단은 두마이크(31,32)으로부터 입력 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오디오 에이디씨/디에이씨(57, ADC/DAC)를 통해서 좌우측 스피커로 오디오신호를 증폭하는 앰프(68)를 통해서 증폭하여 출력하는 오디오신호 출력포트(77, 78)와 두개의 무선 마이크 또는 유선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들의 음성신호를 받아서 노래반주기의 노래반주와 혼합하여 스피커로 송출하는 신호혼합기(7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두개의 무선마이크와 유선마이크의 일측에는 노래반주곡을 입력하는 버튼과 노래반주기 제어를 위한 소정의 제어버튼들이 위치하며, 사용자가 부르는 음정과 노래 반주기에 기설정된 해당하는 노래의 음정을 비교하여 사용자가 부른 노래의 점수를 부여하고, 노래를 부를 때 에코기능을 부여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거치대 후면에 위치한 유에스비 포트(79)는 메인 씨피유 보드와 연결되어 컴퓨터로부터 노래반주 및 노래반주기의 업그레이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거나 다양한 비디오 및 오디오신호들을 입출력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유에스비(USB)포트(79)는 거치대형 노래반주기가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 노래반주곡 및 비디오영상 등을 컴퓨터로부터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메모리 팩 및 메모리에 저장된 노래반주곡 및 비디오 영상파일 중에서 필요한 파일을 이 메일을 이용하여 원하는 사람들에게 보낼 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거치대 일측에는 8V 전원공급용 어댑터 입력포트(73), 오디오/비디오신호 입력 및 출력단자 및 유에스비 포트(79)가 외부기기와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오디오 출력회로에는 사용자들의 본래의 음성에 가까운 깨끗한 출력신 호를 내보내기 위하여 디스토션(distortion) 현상제거수단을 부가하여 오디오의 출력신호를 개선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씨피유와 연동하여 선곡하고 필요한 프로그램을 내장하기 위한 낸드후레쉬 메모리(NAND Flash Memory), 시스템 및 비디오(System/Video)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에스디램(SDRAM) 등의 내장메모리는 내장되는 노래반주곡의 수에 따라 메모리의 크기를 달리하여 구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도면부호는 도1과 도2의 외형에서 표시한 것과 도3의 블록 다이야그램에서 표시한 숫자가 서로 달라서 일치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노래반주를 수행하기 위한 수많은 다양한 노래반주 및 노래반주에 맞는 다양한 비디오 영상이 메모리 내부에 저장되어 있고, 노래의 선곡을 위한 숫자입력 버튼 및 제어버튼을 구비하며, 가족 또는 동료들의 움직임을 녹화하거나 배경 영상으로 담을 수 있도록 카메라가 전면에 위치하고, 노래 반주곡 입력시 입력되는 번호를 확인할 후 있는 표시부와, 리모콘 및 무선마이크의 작동을 위한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며, 마이크를 거치대에 위치시키면 자동으로 마이크내부에 내장된 배터리에 충전이 이루어지면서 주파수 설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설치공간을 줄이고 마이크의 거치가 용이하며 마이크의 부피와 무게가 줄어들어 사용자들이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작용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다수의 확장 팩 슬롯을 구비하고 필요시에 원하는 노래반주곡을 추가 또는 확장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필요한 수많은 노래반주곡을 용이하게 확장할 수 있으며, 유에스비(USB) 포트를 구비하고 필요시 노래반주기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하거나 녹음 팩에 노래반주를 다운로드 및 업로드 기능을 구비하고 최신곡 및 필요한 곡을 용이하게 입력 저장할 수 있고 컴퓨터를 통해서 저장된 파일들을 이 메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원하는 비디오 영상을 저장하고 필요시 외부의 표시패널에 영상신호를 오버레이 시키는 기능을 구비하여 사용자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으며, 무선 및 유선 마이크 모두를 점수 및 에코처리를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들의 흥미를 높이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소형ㆍ경량의 마이크 거치대에 노래반주기를 구현하여 비교적 부피가 큰 마이크를 보기좋게 보관할 수 있고, 마이크를 고정한 상태에서 마이크 내부의 배터리에 자동으로 충전되고 주파수 설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마이크의 무게와 부피를 줄여서 사용자들이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Claims (10)

  1. 거치대 형태의 소형ㆍ경량 노래반주기에 있어서,
    거치대 상에 주마이크와 보조마이크를 거치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마이크 거치대와,
    내부에는 다수의 제어버튼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과 메인 씨피유와 디에스피를 내장하고 노래반주기를 제어하는 메인 인쇄회로기판과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무선마이크로부터 신호를 받아서 스피커로 송신하기 위하여 신호를 제어하는 입출력 제어용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되고, 외부에는 노래 반주를 선곡하기 위한 다수의 제어버튼과 무선으로 비디오 및 오디오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송수신모듈을 구비한 거치대 몸체와,
    상기 마이크 거치대와 거치대 몸체를 지지하기 위한 거치대 지지대와,
    상기 거치대에 위치하며 사용자들의 음성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주는 무선마이크를 구비한 소형ㆍ경량의 거치대형 노래반주기.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몸체에는 컴퓨터와 연결하여 메모리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거나 비디오 및 오디오 파일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유에스비 (USB)포트를 더 구비한 소형ㆍ경량의 거치대형 노래반주기.
  3. 삭제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의 전면에 설치되어 사용자들의 움직임을 비디오 영상신호로 저장하거나 배경으로 동영상을 표시패널에 표시할 수 있도록 영상취득용 소형카메라를 구비한 소형ㆍ경량의 거치대형 노래반주기.
  5.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무선마이크는 충전용 배터리를 내장하여 거치대 후면에 설치된 충전기로 충전하여 사용하거나 상기 충전용 배터리와 동일한 크기와 전압을 가진 일회용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소형ㆍ경량의 거치대형 노래반주기.
  6.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몸체의 일측에는 유선마이크를 연결할 수 있는 연결포트와, 노래반주곡을 추가할 수 있는 메모리 확장 팩을 삽입할 수 있는 다수의 슬롯을 더 구비한 소형ㆍ경량의 거치대형 노래반주기.
  7. 청구항6에 있어서,
    상기 몸체를 지지하는 지지대에는 상기 마이크 거치대에 무선마이크인 주마이크와 보조마이크가 거치될 경우에 무선마이크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수단과 상기 무선마이크와 상기 거치대 몸체에 내장된 무선송수신모듈이 신호를 주고받을 때 필요한 신호의 주파수를 설정하는 주파수자동설정수단을 더 구비한 소형ㆍ경량의 거치대형 노래반주기.
  8.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무선마이크인 주마이크와 보조마이크의 일측에는 사용자들이 필요한 노래 반주곡의 입력 및 노래반주기를 제어할 수 있는 다수의 버튼을 구비하고, 사용자의 음정과 노래반주기의 메모리에 설정되어 있는 노래의 음정을 비교하여 사용자가 부른 노래에 대하여 점수를 부여하는 수단을 구비한 소형ㆍ경량의 거치대형 노래반주기.
  9.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또는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선택용 스위치를 더 구비한 소형ㆍ경량의 거치대형 노래반주기.
  10.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로 송신하기 위하여 신호를 제어하는 입출력 제어용 인쇄회로기 판에는 오디오 출력신호에 사용자들의 본래의 음성에 맞추어 내보내기 위하여 디스토션 현상제거수단을 더 부가한 소형ㆍ경량의 거치대형 노래반주기.
KR1020050080756A 2005-08-31 2005-08-31 거치대형 노래 반주기 KR100678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0756A KR100678370B1 (ko) 2005-08-31 2005-08-31 거치대형 노래 반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0756A KR100678370B1 (ko) 2005-08-31 2005-08-31 거치대형 노래 반주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8370B1 true KR100678370B1 (ko) 2007-02-02

Family

ID=38105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0756A KR100678370B1 (ko) 2005-08-31 2005-08-31 거치대형 노래 반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83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162B1 (ko) * 2008-05-07 2010-12-17 한창준 휴대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증폭기
KR101063403B1 (ko) * 2009-12-31 2011-09-07 주식회사 금영 프론트 패널 탈착식 노래반주기
KR20140126034A (ko) * 2013-04-22 2014-10-30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한 무선 마이크 및 이를 충전하기 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916Y1 (ko) 2000-06-15 2000-11-15 최요환 노래목록검색기능을 갖는 노래반주기용 리모콘
KR20030070444A (ko) * 2002-02-25 2003-08-30 주식회사 넥스트웨이 녹음 기능을 구비한 인코더 마이크 및 녹음된 데이터의운용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916Y1 (ko) 2000-06-15 2000-11-15 최요환 노래목록검색기능을 갖는 노래반주기용 리모콘
KR20030070444A (ko) * 2002-02-25 2003-08-30 주식회사 넥스트웨이 녹음 기능을 구비한 인코더 마이크 및 녹음된 데이터의운용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162B1 (ko) * 2008-05-07 2010-12-17 한창준 휴대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증폭기
KR101063403B1 (ko) * 2009-12-31 2011-09-07 주식회사 금영 프론트 패널 탈착식 노래반주기
KR20140126034A (ko) * 2013-04-22 2014-10-30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한 무선 마이크 및 이를 충전하기 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KR101976214B1 (ko) * 2013-04-22 2019-05-07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한 무선 마이크 및 이를 충전하기 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5135B2 (en) Wall mounted docking station
US9117431B1 (en) Guitar accessory for personal electronic equipment
US20100064883A1 (en) Compact modular wireless control devices
CN101217032B (zh) 一种可移动的便携式演唱系统
KR100678370B1 (ko) 거치대형 노래 반주기
CN101197128B (zh) 一种带有监听功能的便携式演唱系统
KR101002162B1 (ko) 휴대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증폭기
CN109471609B (zh) K歌投影一体机及其k歌方法
KR100718843B1 (ko) Dvd 노래반주기
CN209132741U (zh) K歌投影一体机
TWI813160B (zh) 多功能便攜式藍芽喇叭
CN215453205U (zh) 一种无线麦克风音响设备
CN201576443U (zh) 兼具录影音及投影功能的可携带卡拉ok装置
CN206061042U (zh) 麦克风
KR200305751Y1 (ko) 무선 핸드 가라오케
KR100756896B1 (ko) 분리형 멀티미디어 단말기와 노래 반주 기능을 위한 장치를 갖는 노래 반주기
CN202856942U (zh) 一种手持式卡拉ok机
CN217116306U (zh) 一种多功能便携式蓝牙喇叭
CN218602116U (zh) 一种音频播放组合设备
CN220798471U (zh) 一种具有移动wifi及充电宝的智能音箱
CN213043836U (zh) 一种多功能直播声卡
CN211457328U (zh) 降噪型多功能会议音箱
KR100696953B1 (ko) 마이크 보관 기능을 갖는 노래방 기기
CN217279851U (zh) 一种通过更换不同玩偶和徽章实现不同播放内容的故事机
CN220173381U (zh) 一种带语音控制功能的麦克风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