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6130B1 - Palatal plate for orthodontic treatment - Google Patents
Palatal plate for orthodontic treat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76130B1 KR100676130B1 KR1020050126707A KR20050126707A KR100676130B1 KR 100676130 B1 KR100676130 B1 KR 100676130B1 KR 1020050126707 A KR1020050126707 A KR 1020050126707A KR 20050126707 A KR20050126707 A KR 20050126707A KR 100676130 B1 KR100676130 B1 KR 1006761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ing
- jaw
- main body
- center
- palat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6—Implants for use in orthodontic treatm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 - 종래의 구개측 고정원에 대한 사용 상태도.1-a state diagram of use of a conventional palatal fixation.
도 2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한 상면도.Figure 2-Top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한 정면도.Figure 3-Front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한 측면도.4-a sid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한 사시도.5-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 본 발명의 제1실시예가 구개측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palatal side.
도 7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한 사용 상태도.Fig. 7-A use state diagram for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한 상면도.8-a top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한 정면도.Figure 9-Front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한 측면도.Figure 10-Sid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한 사시도.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 -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한 사용 상태도.Fig. 12 is a use state diagram for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 -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사용되는 고정덮개부의 측면도.Figure 13-Side view of the fixing cover part used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 -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한 사시도.14-a perspective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 -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한 사용 상태도.Fig. 15-A use state diagram for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jor Symbols Used in Drawings>
10 : 교정용 결찰구 20 : 스크류10: correction ligation 20: screw
100 : 본체 110 : 결합부100: main body 110: coupling portion
111 : 수평결합홈 112 : 중심결합턱111: horizontal coupling groove 112: center coupling jaw
113 : 내측결합홈 114 : 단부결합턱113: inner coupling groove 114: end coupling jaw
115 : 외측결합홈 120 : 제1본체115: outer coupling groove 120: the first body
130 : 제2본체 140 : 겹침부130: second body 140: overlap
150 : 통공 160 : 수직걸림홈150: through hole 160: vertical locking groove
170 : 고정홈 200 : 지지부170: fixing groove 200: support portion
210 : 내측지지부 220 : 외측지지부210: inner support portion 220: outer support portion
230 : 걸림공 300 : 고정부230: locking hole 300: fixing part
310 : 결합공 400 : 고정덮개부310: coupling hole 400: fixing cover
410 : 고정턱410: fixed jaw
본 고안은 구개측 점막 및 골내에 식립되어 치아교정시 고정원으로 사용되는 교정용 구개측 고정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latal side fixing plate for implantation in the palatal mucosa and bone used as a fixing source for orthodontics.
일반적으로 전방으로 돌출된 전치부 등을 후방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나 치아들을 특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반드시 고정원이 필요하게 된다. 즉 어떤 한 부분은 고정원으로서 움직이지 않아야 하고 이동시키고자 하는 치아에는 지속적인 힘이 주어져야 한다.In general, if you want to move the anterior teeth and the like protruding forward or to move the teeth in a specific direction, a fixed circle is necessary. That is, one part must not move as a stationary source and the tooth to be moved must be given a constant force.
종래에는 이러한 고정원으로서 어금니를 주로 사용하여 왔다. 즉 어금니와 이동시키고자 하는 치아에 소정의 브라켓을 부착한 후, 상기 브라켓에 스프링이나 고무줄과 같은 탄성부재나 여러가지 호선 등을 연결하여 어금니가 고정원이 되도록 하였다.Conventionally, molars have been mainly used as such fixed sources. That is, after attaching a predetermined bracket to the molar and the tooth to be moved, the molar is a fixed source by connecting an elastic member such as a spring or a rubber band or various arc lines to the bracket.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고정원으로서 어금니가, 이동시키고자 하는 치아를 당기는 작용과 함께, 이동시키고자 하는 치아로부터 어금니가 당겨지는 반작용이 반드시 함께 발생하기 때문에, 고정원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어금니가 다소 이동하게 된다.In this case, however, the molar, which serves as the stationary source, is somewhat moved because the molar as the anchoring circle must have the action of pulling the tooth to be moved along with the reaction of pulling the molar from the tooth to be moved. Done.
이처럼 고정원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외에 고정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 방법은 비심미적이고 불편하여 환자의 협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치료가 계획대로 진행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구내에 고정원을 설치하는 방법 중에서도, 치조골에 스크류를 식립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As such, there is a method of installing a fixing device outside the premises to prevent the fixed source from moving. This method is aesthetically uncomfortabl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reatment does not proceed as planned if the patient is not cooperated properly. Therefore, in recent years, among the method of installing a fixed source in the premises, a method of placing a screw in the alveolar bone is used a lot.
즉 스크류를 치조골에 식립하고 이동을 원하는 치아들 측에 소정의 브라켓을 부착한 후 브라켓과 스크류를 스프링이나 교정용 고무줄 등으로 된 탄성부재와 연결하거나 브라켓에 결찰된 와이어에 연결하여 소정의 힘으로 잡아 당겨 치아, 주로 전치부를 이동시키게 된다.In other words, the screw is placed on the alveolar bone and a predetermined bracket is attached to the side of the tooth to be moved, and then the bracket and the screw are connected to an elastic member made of a spring or a corrective rubber band or a wire ligated to the bracket with a predetermined force. Pulling will move the teeth, mainly the anterior teeth.
상기와 같이 스크류를 고정원으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구치부의 이동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술이 간단하고 단시간 내에 교정력을 효과적으로 가할 수 있으나, 치조골에 식립되는 것이므로 치아나 치근, 신경 등을 손상시킬 수 있는 단점이 있다.When the screw is used as a fixed source as described above, not only can the movement of the posterior part be prevented, but the procedure is simple and the corrective force can be effectively applied within a short time, but since it is placed in the alveolar bone, it may damage teeth, roots, nerves, etc. There are drawbacks to this.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치아나 신경 등 손상 받을 수 있는 조직들을 충분히 피해가면서도 단단한 골질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 구개측 골내에 고정시키는 고정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drawback, there is a fixed source for fixing in the palatal side bone to be provided with a solid bone while sufficiently avoiding damaged tissues such as teeth or nerves.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와 탄성력을 갖는 금속심이 호형으로 벤딩되고 그 호형으로 벤딩된 금속심의 중앙부에는 2개의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를 중심으로 금속심의 양측에는 각각의 탄성부재 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a metal cor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elastic force is bent in an arc shape, and two fixing parts are form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metal core bent in the arc shape, and fastening respective elastic members on both sides of the metal core around the fixing part. An addition is formed.
상기 종래 기술에 의한 고정원은 체결되는 부재가 탄성부재로써 한정되어 기존장치와의 호환성이 없으며, 특히 탄성부재인 스프링 내지 고무줄을 매듭지어 고정시킬 경우에는 그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지 않으며, 스프링 내지 고무줄을 거는 경우에는 이들이 좌우로 움직이는 문제점이 있다.The fix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limited to the elastic member is limited to the elastic member is not compatible with the existing device, especially in the case of fixing the elastic member of the spring to the rubber band by knot is not easy to install and remove, When hanging rubber bands there is a problem that they move from side to side.
또한, 상기 고정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체결된 탄성부재의 견인력이 평형이 되지 않으면 상기 고정원 전체가 유동을 하게 되어 본래의 고정원으로서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if the traction force of the elastic member fastened to both sides around the fixing portion is not balance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entire fixed source flows and does not function properly as the original fixed source.
또한 상기 고정원은 탄성부재 체결부가 좌우측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중앙부에만 고정부가 형성되어 환자가 이물감을 많이 느끼게 될 뿐만 아니라, 오랜 교정시간 동안 음식물이나 혀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 체결부의 고정부가 무단히 유동하게 되어 구개측 점막 및 골의 치명적인 손상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member is formed in the elastic member fastening portion is formed long in the left and right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ixing portion is formed only in the center portion, the patient feels a lot of foreign object, as well as the fixing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fastening portion by the movement of food or tongue for a long time Unauthorized flow causes problems of fatal damage to the palatal mucosa and bone.
또한 상기 고정원은 전치가 순측으로 기울어진 경우에 설측으로 견인력을 작용시킬 때 주로 유효하며, 편측치아를 설측으로 견인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탄성부재의 탄성에 의한 견인력이 부족하거나 탄성부재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fixed source is mainly effective when the traction force to the lingual side when the anterior teeth are inclined to the lateral side, in the case of pulling the lateral tooth to the lingual side, the traction force due to elasticity of the elastic member is easy or the installation of the elastic member is easy. There is a problem that is not.
또한 상기 고정원은 고정원으로서의 기능을 다 했을 경우 다른 교정장치와 호환성이 없어 이후 고정원이 다시 필요할 경우를 대비하여 장기간 활용되지 않는 상태에서 구강 내에 매식되어 있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fixed source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has to be buried in the oral cavity in a state in which it is not used for a long time in case the fixed source is not compatible with other orthodontic devices when it is used as a fixed source.
또한 상기 고정원은 구개측 점막 내부에 매몰되는 부분과 외부에서 직간접적으로 점막과 접촉되는 면적이 넓어 구개측 점막의 손상이나 염증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anchoring source has a problem in that the area buried inside the palatal mucosa and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mucosa directly or indirectly from the outside to cause damage or inflammation of the palatal mucosa.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구개측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고정원으로서 역할을 다할 수 있고, 기존 교정장치의 삽입 혹은 제거가 용이하고 기존 교정장치와의 호환성이 뛰어나고, 점막과의 접촉면적이 최소화되어 위생적이며, 다양한 술식이 가능한 교정용 구개측 고정판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firmly fixed to the palatal side can play a role as a fixed source, easy insertion or removal of the existing calibration device, excellent compatibility with the existing calibration device,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rrective palatal side fixing plate which is hygienic and minimizes the contact area.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교정용 결찰구의 일측이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 하측부에 협설방향으로 각각 소정의 경사도 및 길이를 가지며 하향형성된 내측지지부 및 외측지지부로 구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연속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중심에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을 통해 구개측과 스크류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교정용 결찰구의 고정원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구개측 고정판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body formed with a coupling portion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orthodontic ligation tool; A support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d a length in the narrowing direction at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downwardly formed inner support portion and an outer support portion; It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succession to the support portion, a coupling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the pawl side and the fixing portion which is screwed through the coupling hole; comprising a, characterized in that used as a fixed source of the orthodontic ligation tool The palatal side fixing plate for calibration shall be the technical gist.
또한, 상기 본체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제1본체와 제2본체가 지름방향으로 겹쳐지도록 형성되어 소정 너비의 겹침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본체와 제2본체의 측면 중심을 따라 지름방향으로 내측으로 함몰되게 수평결합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ain body is formed so that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verlapping in the radial direction to form an overlap of a predetermined width, the coupling portion diameter along the lateral center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It is preferable that the horizontal coupling groove is formed to be recessed inward in the direction.
또한, 상기 겹침부에는, 근원심방향으로 관통되는 통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overlapping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a through hole penetrated in the direction of the core is formed.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근원심방향에 수직으로 관통되는 통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ain body, it is preferable that the through-hole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main core.
또한, 상기 본체는, 지름방향으로 내측으로 함몰되고, 높이방향으로 상하관통되게 수직걸림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ain body is preferably recessed inward in the radial direction, the vertical engaging groove is formed so as to penetrate vertically in the height direction.
또한, 상기 본체는, 수평방향의 단면이 정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중심부에는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사각형상의 중심결합턱이 형성되고, 상기 중심결합턱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중심결합턱 외측에 하측으로 함몰되게 내측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결합홈의 둘레를 따라 상기 중심결합턱과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된 단부결합턱이 형성되며, 상기 단부결합턱 중심에 하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내측결합홈과 연통되게 형성된 외측결합홈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ain body, the cross section of the horizontal direction is formed in a square, the coupling portion, the center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enter engaging jaw formed to protrude upwards, the outer center of the center coupling jaw around the center coupling jaw An inner coupling groove is formed to be recessed downward, and an end coupling jaw formed with the same height as the center coupling jaw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coupling groove, and is recessed downward in the center of the end coupling jaw to the inner coupling gro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coupling groove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또한, 상기 본체는, 하측부에 고정턱이 형성된 고정덮개부에 의해 상부가 덮이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ain body is preferably formed so that the upper portion is covered by a fixing cover portion formed with a fixing jaw in the lower portion.
또한, 상기 고정덮개부는, 하측 양단부에 상기 고정턱이 각각 '┗'와 '┛'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턱의 위치에 대응되어 상기 본체 외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고정홈에 상기 고정턱이 슬라이딩 결합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xing cover portion, the fixing jaw is formed in a '양' and '┛' shape respectively at the lower both ends, the fixing in the fixing groove formed to be recessed inwar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xing jaw It is preferable that the jaw is fixed by sliding engagement.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내측지지부의 경사도 및 길이는 상기 외측지지부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고, 더 긴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the inclination and length of the inner support portion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outer support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longer.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내측지지부와 외측지지부 사이에 걸림공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ngaging hole is further formed between the inner support portion and the outer support portion.
이에 따라 구개측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고정원으로서 역할을 다하며, 기존 교정장치의 삽입 혹은 제거가 용이하고 기존 교정장치와의 호환성이 뛰어나고, 점막과의 접촉면적이 최소화되어 위생적이며, 다양한 술식이 가능하여 효과적인 치아 교정치료를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ly, it is firmly fixed to the palatal side and serves as a fixed source. It is easy to insert or remove an existing calibration device, has excellent compatibility with the existing calibration device, and minimizes the contact area with the mucosa.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omote effective orthodontic treatment.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용 구개측 고정판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고자 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palatal side fixing plate for calib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구개측 골내에 식립되어 고정원으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크게 본체(100)와, 지지부(200), 고정부(300)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in the palatal bone and used as a fixed source, and is largely composed of the
먼저 상기 본체(100)에는 결합부(110)가 형성되어, 교정용 결찰구(10) 즉 와이어나 고무줄, 스프링 등의 일측이 착탈식으로 결합되게 된다. 즉, 상기 본체 (100)에 상기 교정용 결찰구(10)의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교정용 결찰구(10)의 다른측은 이동시키고자 하는 치아나 치아에 설치된 브라켓 또는 다른 교정용 결찰구(10)에 결합되게 된다.First, the
그리고 상기 본체(100) 하측부에는 지지부(200)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본체(100)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소정 경사도 및 길이를 가지며, 상기 본체(100)로부터 하향형성된다. 상기 지지부(200)는 구강 안쪽으로 향하게 되는 내측지지부(210)와 구강 바깥쪽으로 향하게 되는 외측지지부(22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200)는 본체(100)를 지지하며, 구개측 점막과 상기 본체(100)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And the
그리고 상기 본체(100) 하단부와 소정 간격을 이루는 위치에 상기 지지부(200)에 연속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고정부(300)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300)의 중심에는 결합공(310)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310)을 통해 구개측 점막 및 골내로 식립되는 스크류(20)가 결합고정된다.In addition, a fixing
이에 의해 구개측 점막과 접촉되는 부분이 스크류(20)에 의해 완전히 점막 내부에 식립되게 되어 견고하게 고정되어 교정용 고정원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As a result, the part in contact with the palatal mucosa is completely placed in the mucosa by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한 상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가 구개측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한 사용 상태도이다.2 is a top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de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palatal side, and FIG. 7 is a state diagram of us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본체(100), 지지부(200), 고정부(300)로 크게 구성된다.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the
상기 본체(10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제1본체(120)와 제2본체(130)가 지름방향으로 겹쳐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부에서 보면 '8'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본체(120)와 제2본체(130)의 겹쳐지는 부분에는, 즉 상기 '8'자의 중심에는 소정 너비의 겹침부(140)가 형성된다.The
상기 겹침부(140)는 상기 제1본체(120)와 제2본체(130)가 겹쳐지는 부분만큼의 너비로 형성되며, 상기 겹침부(140)에는 근원심방향으로 관통되는 통공(15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근원심방향은 치아의 중심선에서 수직되는 방향을 말하며, 상기 통공(150)에 의해 상기 본체(100)부의 근원심방향으로 교정용 결찰구(10) 즉, 와이어, 고무줄이나 스프링 등을 걸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overlapping
그리고 상기 본체(100) 일측에 형성된 결합부(110)는 상기 제1본체(120)와 제2본체(130)의 측면 중심을 따라 지름방향으로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수평결합홈(111)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평결합홈(111)의 깊이는 상기 교정용 결찰구(10)의 폭보다는 깊게 형성되어 상기 교정장치가 완전히 수용결합되어 고정된다.And the
상기 수평결합홈(111)에는 일반적으로 교정용 결찰구(10) 중에 와이어가 결 합되며, 상기 와이어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수평결합홈(1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수평결합홈(111)의 형상에 대응되어 둥글게 휘어지게 형성된다.The horizontal coupling groove 111 is generally connected to the wire in the
상기 와이어의 둥글게 휘어진 부분의 곡률은 상기 수평결합홈(111)의 곡률보다 더 큰 값을 가지도록 휘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수평결합홈(111)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에 의해 상기 와이어가 상기 본체(100) 외부로 무단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The curvature of the roundly bent portion of the wire is formed to be bent to have a larger value than the curvature of the horizontal coupling groove 111,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coupling groove 111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As a result, the wire is firmly fixed without being detached to the outside of the
여기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는 교정 치료 목적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수평결합홈(111)에 와이어의 일측을 고정시키고, 다른측은 구치에 고정시킬 수도 있고, 견치, 전치 또는 다수개의 치아와도 고정시킬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구치, 견치, 전치에 형성된 브라켓 내지 이에 결찰된 와이어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7, the wire may be install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orthodontic treatment. One side of the wire is fixed to the horizontal coupling groove 111, the other side may be fixed to the posterior teeth, can also be fixed to the canine, anterior teeth or a plurality of teeth, or brackets formed on the posterior teeth, teeth, anterior teeth It can also be fixed to the ligated wire.
따라서, 상기 수평결합홈(111)에 결합되는 와이어는 둥글게 휘어진 부분의 일측 내지 양측은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단지 와이어의 일부분에 상기 수평결합홈(111)에 결합될 수 있도록 둥글게 휘어진 부분만 형성시키면 된다.Therefore, the wire coupled to the horizontal coupling groove 111 may be formed in any shape from one side to both sides of the round curved portion, the only curved portion to be coupled to the horizontal coupling groove 111 to a portion of the wire You just need to form.
즉, 상기 수평결합홈(111)에는 와이어의 삽입 혹은 제거가 용이하고 기존의 와이어의 형상을 조금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호환성이 뛰어나므로 교정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That is, the horizontal coupling groove 111 is easy to insert or remove the wire and excellent compatibility that can be used by modifying the shape of the existing wire can be us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calibration.
또한 상기 본체(100)는 상기 근원심방향에 수직으로 관통되는 통공(15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본체(100)의 근원심방향에 수직으로 와이어, 고무줄, 스프링 등을 걸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따라서 상기 본체(100)의 수평결합홈(111)에는 일반적으로 와이어가 결합되며, 상기 근원심방향으로 형성된 통공(150), 근원심방향의 수직으로 형성된 통공(150)에는 일반적으로 고무줄이나 스프링이 결합되어, 교정 목적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교정용 결찰구(1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wire is generally coupled to the horizontal coupling groove 111 of the
또한, 상기 본체(100)에는 지름방향으로 내측으로 함몰되고, 높이방향으로는 상하관통되게 수직걸림홈(160)이 형성된다. 상기 수직걸림홈(160)은 상기 제1본체(120) 및 제2본체(130)의 근원심면이나 협설면의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수직걸림홈(160)은 상기 수평결합홈(111)에 와이어를 결합시킨 후 이를 제거할 때, 상기 수직걸림홈(160)에 치과 검침용 기구인 익스플로러(explorer) 등 끝이 뾰족한 기구를 삽입하여 지렛대 원리를 이용함으로써 용이하게 삽입된 와이어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When the
다음으로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본체(100) 하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100) 하단부에서 전후방향으로 각각 소정의 경사도 및 길이를 가지며 하향형성된 내측지지부(210) 및 외측지지부(220)로 구성된다. 상기 내측지지부(210)는 구개측에 식립되었을 때 구강 안쪽으로 향하게 되는 부분이며, 상기 외측지지부(220)는 구개측에 식립되었을 때 구강 바깥쪽으로 향하게 되는 부분이다.Next, the
또한 상기 내측지지부(210)의 경사도 및 길이는 상기 외측지지부(220)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고,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clination and the length of the
이는 구강 안쪽에는 스크류(20)를 식립하기 위한 드라이버 삽입각도가 제대 로 나오지 않기 때문에 드라이버 삽입각도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며, 비교적 구강 바깥쪽은 이러한 염려가 없기 때문에 상기 내측지지부(210)의 경사도 및 길이가 상기 외측지지부(220)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고, 더 길게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This is to secure the driver insertion angle because the driver insertion angle for placing the
그리고 상기 내측지지부(210) 및 외측지지부(220)의 경사도 및 길이는 환자의 구강구조에 따라 적절하게 형성시키며, 일반적으로 상기 지지부(200)의 수직높이는 대략 5mm 내외로 형성되어 구개측 점막 및 골내에 삽입되는 부분이 3mm 정도, 상기 구개측 점막과 상기 본체(100)가 이격된 거리가 2mm 정도가 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점막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이 적어 점막의 손상 및 염증을 예방할 수 있다.And the inclination and length of the
또한 내측지지부(210)와 외측지지부(220) 사이에는 걸림공(230)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공(230)은 상기 내측지지부(210)와 외측지지부(220) 상측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100) 바로 아래에 형성된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ngaging
상기 걸림공(230)에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각종 교정용 결찰구(10)를 다양한 방법으로 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교정치료 과정 중에 교정용 결찰구(10)를 상기 지지부(200)에 걸어야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 상기 교정용 결찰구(10)가 상기 지지부(200)를 따라 상하로 유동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를 위한 개선책으로 상기 걸림공(230)에 걸도록 하여 그 역할을 대신하도록 한 것이다.The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본체(100) 하단부와 소정 간격을 이루는 위치에 상기 지지부(200)에 연속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300)의 중심에는 결합공(310)이 형성되며, 상기 내측지지부(210)에 연속하여 형성된 결합공(310)은 구강 안쪽에 두고 드라이버로 스크류(20)를 식립하고, 상기 외측지지부(220)에 연속하여 형성된 결합공(310)은 구강 바깥쪽에 두고 드라이버로 스크류(20)를 식립하게 된다.Next, the fixing
이에 의해 본 발명인 교정용 구개측 고정판은 상기 스크류(20)에 의해 구개측 점막 및 골내로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As a result, the palatal-side fixing plate for calib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rmly fixed to the palatal-side mucosa and bone by the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한 상면도이고, 도 9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한 사용 상태도이다.8 is a top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front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id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본체(100), 지지부(200), 고정부(300)로 크게 구성된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the
상기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지지부(200) 및 고정부(300)는 동일하게 형성되어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본체(100)에 대해서만 설명하고자 한다.Compared to the first embodiment, the
상기 본체(100)는 수평방향의 단면이 정사각형으로 형성된 사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모서리 부분은 둥글게 형성되어 구강내에서의 환자의 이물감을 고려하였다.The
그리고 상기 본체(100) 일측에 형성된 결합부(110)는, 중심부에는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사각형상의 중심결합턱(112)이 형성되고, 상기 중심결합턱(112)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중심결합턱(112) 외측 둘레를 따라 하측으로 함몰되게 내측결합홈(113)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내측결합홈(113)의 둘레를 따라 상기 중심결합턱(112)과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된 단부결합턱(114)이 형성되며, 상기 단부결합턱(114) 중심에 하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내측결합홈(113)과 연통되게 형성된 외측결합홈(115)으로 형성된다.An
즉, 상기 본체(100)는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중심결합턱(112)과 상기 중심결합턱(112)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단부결합턱(114) 사이에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내측결합홈(113)이 형성되며, 상기 내측결합홈(113)과 연통되어 동일하게 함몰되어 상기 단부결합턱(114)에 형성된 외측결합홈(115)으로 형성된 것이다.That is, the
또한 상기 내측결합홈(113) 및 외측결합홈(115)의 깊이는 상기 교정용 결찰구(10)의 폭보다는 깊게 형성되어 상기 교정장치가 완전히 수용결합되어 고정된다.In addition, the depth of the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결합홈(113) 및 외측결합홈(115)에는 일반적으로 와이어가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내측결합홈(113)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내측결합홈(113)의 형상에 대응되어 사각형상으로 휘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의 사각형상으로 휘어진 부분 외의 부분은 일직선이나 호선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측결합홈(115)에 수용결합되게 된다.As shown in FIG. 12, wires are generally coupled to the
또한 상기 와이어의 사각형상으로 휘어진 부분의 단부는 약간 오므라지게 형 성되어 상기 내측결합홈(113)에 결합될 때 상기 중심결합턱(112)을 중심으로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에 의해 상기 와이어가 상기 본체(100) 외부로 무단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In addition, the end portion of the bent in the rectangular shape of the wire is formed slightly squeezed when coupled to the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사용되는 고정덮개부의 측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한 사용 상태도이다.Figure 13 is a side view of the fixing cover portion used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use state diagram for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본체(100), 지지부(200), 고정부(300), 고정덮개부(400)로 크게 구성된다.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the
상기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지지부(200) 및 고정부(300)는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본체(100)는 상기 제2실시예와 동일하여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고정덮개부(400)에 대해서만 설명하고자 한다.Compared to the first embodiment, the
상기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와이어와 상기 내측결합홈(113) 등의 결합시 억지끼움방식 외에, 상기 본체(100) 상부가 덮이도록 고정덮개부(400)를 형성하여 상기 와이어가 본체(10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As in the second embodiment, in addition to the interference fitting method when the wire and the
이는 상기 와이어 및 상기 내측결합홈(113) 등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보다는 이들 모두를 덮어서 고정시키는 것이 환자의 이물감도 줄이며, 와이어도 유동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This is to cover and fix both the wire and the
상기 고정덮개부(400)는 하측부에 고정턱(410)이 형성되어 상기 내측결합홈 (113)이나 외측결합홈(115)에 끼워져 상기 고정덮개부(4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The fixing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덮개부(400)는, 하측 양단부에 상기 고정턱(410)이 각각 '┗'와 '┛'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턱(410)의 위치에 대응되어 상기 본체(100)의 단부결합턱(114) 외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고정홈(170)에 상기 고정턱(410)이 슬라이딩되어 상기 본체(100) 상부에 결합고정되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15, the fixed
이에 의해 상기 고정덮개부(400)는 상기 본체(100)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분리되지 않으며,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므로 고정 및 분리가 용이하여 교정용 결찰구(10)의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해지게 된다.As a result, the fixin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교정용 구개측 고정판은 내측지지부(210)가 구강 안쪽을 향하도록 하고, 외측지지부(220)가 구강 바깥쪽을 향하도록 하여, 각 고정부(300)에 형성된 결합공(310)에 스크류(20)를 결합하여 구개측 점막 및 골내에 식립함으로서 고정되게 된다.A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alatal side fix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다음으로 교정목적에 따라 상기 결합부(110)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결합부(1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와이어의 일측에 둥근 형상 또는 사각 형상으로 휘어진 부분을 형성시켜, 상기 와이어의 일측을 상기 결합부(110)에 끼운다.Nex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calibration to form a bent portion in a round or square shape on one side of the wire to be coupled to the
그리고 와이어의 다른측은 교정하고자 하는 치아 내지 치아에 설치된 브라 켓, 와이어 등에 연결시켜, 본 발명에 따른 교정용 구개측 고정판을 고정원으로 하여 교정하고자 하는 치아에 견인력 또는 지지력이 작용하도록 한다.And the other side of the wire is connected to the tooth to be orthodontic bracket, wire, or the like, by using the orthodontic palatal side fix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fixed source so that the traction or support force to the teeth to be corrected.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구개측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고정원으로서 역할을 다하며, 기존 교정장치의 삽입 혹은 제거가 용이하고 기존 교정장치와의 호환성이 뛰어나고, 점막과의 접촉면적이 최소화되어 위생적이며, 고정원의 기능 외에도 착탈 가능한 여러 형태의 장치를 이용한 다양한 술식이 가능하여 뛰어난 치아 교정치료 결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bove configuration, firmly fixed to the palatal side serves as a fixed source, easy to insert or remove the existing calibration device, excellent compatibility with the existing calibration device, the contact area with the mucous membrane is minimized hygiene And,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the fixed circle is possible to perform a variety of procedures using a removable device of various types has the effect of obtaining excellent orthodontic treatment results.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26707A KR100676130B1 (en) | 2005-12-21 | 2005-12-21 | Palatal plate for orthodontic treat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26707A KR100676130B1 (en) | 2005-12-21 | 2005-12-21 | Palatal plate for orthodontic treatm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76130B1 true KR100676130B1 (en) | 2007-02-01 |
Family
ID=38104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26707A KR100676130B1 (en) | 2005-12-21 | 2005-12-21 | Palatal plate for orthodontic treat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76130B1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3060B1 (en) * | 2009-01-29 | 2011-06-21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Fixing device for orthodontic apparatus |
KR101404496B1 (en) | 2012-03-15 | 2014-06-13 | 조형준 | Orthodontic apparatus |
KR101410758B1 (en) | 2013-02-05 | 2014-06-24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Fixing device for orthodontic apparatus |
KR101410760B1 (en) | 2013-02-05 | 2014-06-24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Fixing device for orthodontic apparatus |
KR101918193B1 (en) | 2017-12-19 | 2018-11-13 | 오장균 | Fixture for Orthodontics |
KR101960482B1 (en) * | 2018-07-12 | 2019-07-15 | 오장균 | Fixture for Orthodontics |
KR102341063B1 (en) * | 2021-07-13 | 2021-12-20 | 이상순 | The orthopedic corrective treatment |
-
2005
- 2005-12-21 KR KR1020050126707A patent/KR100676130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3060B1 (en) * | 2009-01-29 | 2011-06-21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Fixing device for orthodontic apparatus |
KR101404496B1 (en) | 2012-03-15 | 2014-06-13 | 조형준 | Orthodontic apparatus |
KR101410758B1 (en) | 2013-02-05 | 2014-06-24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Fixing device for orthodontic apparatus |
KR101410760B1 (en) | 2013-02-05 | 2014-06-24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Fixing device for orthodontic apparatus |
KR101918193B1 (en) | 2017-12-19 | 2018-11-13 | 오장균 | Fixture for Orthodontics |
KR101960482B1 (en) * | 2018-07-12 | 2019-07-15 | 오장균 | Fixture for Orthodontics |
KR102341063B1 (en) * | 2021-07-13 | 2021-12-20 | 이상순 | The orthopedic corrective treatmen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196064Y1 (en) | The brace for the orthodontic treatment after the corticotomy | |
KR100918966B1 (en) | Orthodontic device | |
KR100805752B1 (en) | Orthodontic device | |
KR100676130B1 (en) | Palatal plate for orthodontic treatment | |
US20020182560A1 (en) | Implant for teeth orthodontics | |
US20070196781A1 (en) | Orthodontic closed coil spring assembly and method of use thereof | |
KR20140020317A (en) | Functional dentofacial orthopedic apparatus | |
KR101137926B1 (en) | Buccal supporting device for orthodontics | |
KR100618556B1 (en) | Support for orthodontic treatment | |
KR101592421B1 (en) | Orthodontic appliance | |
KR101314315B1 (en) | Support member for orthodontics | |
KR102263933B1 (en) | Minimize side-effect to the hard palate for orthodontic anchrage applaince | |
WO2008045932A1 (en) | Orthodontic anterior open-bite splint | |
KR101551381B1 (en) | Anchorage for orthodontic treatment or maxillofacial surgery | |
KR101646905B1 (en) | Apparatus for palatal anchorage | |
CN219048891U (en) | Maxillary anti-tooth traction device | |
KR101479598B1 (en) | Appliance for Protraction of maxillary bone | |
KR101043060B1 (en) | Fixing device for orthodontic apparatus | |
KR101249175B1 (en) | Orthodontic apparatus | |
KR200464089Y1 (en) | Palatal Anchorage for Orthodontic Treatment | |
KR200183849Y1 (en) | A spting fixing screw for correction of irregularities of the teeth | |
KR200411875Y1 (en) | Supporting device for monent resisting orthdontic microimplan | |
KR101156864B1 (en) | Orthodontic Instrument for Correcting Occlusal-Plane Canting And Device Having The Same | |
KR101158726B1 (en) | Instrument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dontic Treating System Having The Same | |
KR200459306Y1 (en) | Screw for Anchor of Orthodontic Treat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226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