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5855B1 - 프로젝션 장치의 스위치 조립체 - Google Patents

프로젝션 장치의 스위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5855B1
KR100675855B1 KR1020050019612A KR20050019612A KR100675855B1 KR 100675855 B1 KR100675855 B1 KR 100675855B1 KR 1020050019612 A KR1020050019612 A KR 1020050019612A KR 20050019612 A KR20050019612 A KR 20050019612A KR 100675855 B1 KR100675855 B1 KR 100675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button
frame
elastic member
projection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9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8980A (ko
Inventor
김민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9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5855B1/ko
Publication of KR20060098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8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5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5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8Containers for r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6Containers or holders for hooks, lines, sinkers, fli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20Keepnets or other containers for keeping captured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부품 수 및 제조공정 수를 줄일 수 있는 프로젝션 장치의 스위치 조립체가 개시된다. 개시된 프로젝션 장치의 스위치 조립체는, 내부에 기판이 내장되는 프레임; 상기 기판에 선택적으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과 상기 스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일체로 형성된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스위치, 탄성부재, 리브, 프레임, 일체

Description

프로젝션 장치의 스위치 조립체{Switch assembly for projection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그리고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 2의 Ⅲ- Ⅲ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스위치 조립체 120 ; 프레임
122 ; 스위치 수용부 124 ; 제1버튼용 홈
126 ; 제2버튼용 홈 128 ; 탄성부재
140 ; 스위치 142 ; 제1버튼
150 ; 지지부재 156 ; 제1돌출부
160 ; 커버 170 ; 제2버튼
176 ; 제2돌출부 190 ; 기판
본 발명은 프로젝션 텔레비젼이나 프로젝터와 같은 프로젝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젝션 장치의 스위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로젝션 장치는 영상 디스플레이 수단에서 생성된 영상광을 스크린등의 투사면으로 확대 투사시켜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를 일컫는다.
이러한 프로젝션 장치에는 외부에서 기능을 설정할 수 있도록 외부로 노출된 스위치가 마련된다. 사용자는 외부로 노출된 상기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누름으로써 각 스위치에 해당하는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가 설치된 프레임 사이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가 개재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스위치를 눌러 일정 기능을 설정한 후, 스위치를 누르는 힘을 해제하면 상기 스위치는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과 상기 스위치 사이에 별도의 탄성부재를 설치할 경우, 부품 수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탄성부재를 설치해야 하는 별도의 조립공정이 필요하므로 제조공정 수를 증가시키게 된다. 이처럼, 부품 수 및 제조공정 수의 증가는 제품의 소형화를 저해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을 상승시키게 된다.
특히, 최근에는 프로젝션 장치의 소형화로 인해, 기능적인 면이나 기구적인 면에서 스위치의 컴팩트화가 더욱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복수개의 스위치 버튼을 간단한 구조로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부품 수 및 제조공 정 수를 줄일 수 있는 프로젝션 장치의 스위치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의 스위치 조립체는, 내부에 기판이 내장되는 프레임; 상기 기판에 선택적으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과 상기 스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일체로 형성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스위치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된 2개의 리브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는, 적어도 4방향으로 틸팅가능하도록 상기 리브에 지지되게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버튼; 상기 제1버튼에 지지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2버튼;을 포함한다. 상기 제1버튼의 상기 프레임과 마주하는 면에는 상기 4방향에 대응되게 4개의 제1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버튼의 상기 제1버튼과 마주하는 일면에는 제2돌출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스위치가 설치될 수 있도록 스위치 수용부가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 수용부에는, 상기 리브와, 상기 제1 및 제2돌출부가 상기 기판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제1 및 제2버튼용 홈이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의 스위치 조립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의 스위치 조립체(100)는, 프레임(120)과, 상기 프레임(120)에 설치되는 스위치(14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20)은 프로젝션 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며, 그 내부에는 광을 발생시켜 집속 및 균일화시키기 위한 조명광학계(미도시)와, 상기 조명광학계로부터 출사된 광을 영상광으로 변환시키는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디바이스(DMD:Digital Micromirror Device)와 같은 영상 디스플레이 수단(미도시)과,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수단으로부터 생성된 영상을 스크린에 투사시키는 투사계(미도시)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120)에는 상기 스위치(14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스위치 수용부(122)가 함몰되어 형성된다.
상기 스위치(140)는, 제1버튼(142) 및 제2버튼(170)을 포함한다.
상기 제1버튼(142)은, 지지부재(150)와 상기 지지부재(150)에 장착되는 커버(16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150)는 그 중심부에는 홈(152)이 형성되며, 소정 곡률의 곡면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150)의 상기 스위치 수용부(122)와 마주하는 면에는, 지지부재(150)를 프레임(120)에 설치하기 위한 2개의 제1후크(154)와, 기능설정을 하기 위해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4개의 제1돌출부(15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150)의 내주 면에는 4개의 이탈방지 돌기(158)가 상기 지지부재(150)의 중심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커버(160)에는 상기 이탈방지 돌기(158)에 대응되게 4개의 이탈방지 홈 (168)이 그 외주 면으로부터 그 중심부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160)가 상기 지지부재(150)의 타면에 장착시 상기 이탈방지 돌기(158)와 이탈방지 홈(168)은 억지 끼워맞춤등의 결합을 한다. 이러한 결합에 의해, 상기 커버(160)는 상기 지지부재(15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버튼(142)은 상기 지지부재(150)와 상기 커버(160)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지지부재(150)와 상기 커버(16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버튼(170)은, 커버(160)의 중심부에 형성된 홈(162)을 통해 상기 지지부재(150)에 지지되게 상기 프레임(120)에 설치된다. 제2버튼(170)의 상기 제1버튼(142)과 마주하는 면에는, 상기 프레임(120)과 결합되는 2개의 제2후크(172)가 형성되며, 그 중심부에는 기능설정을 위해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돌출부(176)가 형성된다.
상기 제1버튼(142)은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방향키(key)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버튼(170)은 상기 제1버튼(142)에 의해 선택된 메뉴를 실행시키기 위한 엔터키(enter key)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 수용부(122)에는, 상기 지지부재(15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128)가 사출성형등의 방법에 의해 프레임(120)과 일체로 형성된다. 이처럼, 탄성부재(128)가 프레임(120)과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별도의 탄성부재(128)를 상기 프레임(120)가 스위치(140) 사이에 설치하기 위한 조립공정을 삭제할 수 있게 되어 조립공정 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별도의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부품 수를 줄일 수 있고, 제품의 소형화에도 유리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부재(128)가 상기 프레임(120)으로부터 상기 스위치(140)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2개의 리브(128)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상기 탄성부재(128)는 상기 프레임(120)과 일체로 형성될 수만 있다면 그 형상 및 갯수는 다양하게 변형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부재(128)가 프레임(12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스위치(14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스위치 수용부(122)에는, 상기 4개의 제1돌출부(156)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4개의 제1버튼용 홈(124)과, 상기 제2돌출부(176)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1개의 제2버튼용 홈(126)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후크(154)와 제2후크(172) 각각이 결합될 수 있도록 2개의 제1후크홈(134)과 2개의 제2후크홈(136)이 형성된다.
이하,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한다.
도 3a는 사용자가 스위치(140, 도 2참조)를 동작시키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제1버튼(142)의 지지부재(150)는 탄성부재(128)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고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제2버튼(170)은 상기 지지부재(150)에 지지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제1버튼(142) 및 제2버튼(170)은 후크(154,172,도 2 참조) 및 후크홈(134,136 ,도 2 참조)에 의해 프레임(120)에 고정된 채, 상기 탄성부재(128)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로 힘을 받고 있다.
도 3b 및 도 3c는 사용자가 제1버튼(142)을 조작함에 따라 스위치가 동작되 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1버튼(142)을 어느 일 방향으로 탄성부재(128)의 탄성력을 이기고 틸팅시키면, 상기 지지부재(150)에 형성된 4개의 제1돌출부(156) 중 어느 하나가 제1버튼용 홈(124)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1버튼용 홈(124)으로 삽입된 제1돌출부(156)는 , 일정 회로 패턴이 형성된 PCB(Printed Circuit Board)와 같은 기판(19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버튼용 택트스위치(180)를 누르게 된다. 그러면, 제1버튼용 택트스위치(180)는 일정신호를 미도시된 제어부로 전송한다. 일 예로 상기 제1버튼(142)이 메뉴 선택을 위한 방향키로 사용되는 경우에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가 선택되었다는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제1버튼(142)을 누르는 힘을 해제시키면, 상기 지지부재(150)는 탄성부재(128)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1후크(154, 도 2참조)가 제1후크홈(134, 도 2참조)에 걸리는 지점까지 도달하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도 3d는 사용자가 제2버튼(170)을 조작함에 따라 스위치가 동작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2버튼(170)을 누르면, 제2버튼(170)은 지지부재(150)를 누르면서, 제2돌출부(176)는 제2버튼용 홈(126)에 삽입된다. 그리고, 제2버튼용 홈(126)에 삽입된 제2돌출부(176)는 기판(190) 상에 마련된 제2버튼용 택트스위치(182)를 누른다. 그러면, 제2버튼용 택트스위치(182)로부터 발생된 신호는 미도시된 제어부로 전송된다. 일 예로 상기 제1버튼(142)이 메뉴 선택을 위한 방향키이고 제2버튼(170)이 선택된 메뉴를 실행시키기 위한 엔터키라면, 도 3b 또는 도 3c의 제1버튼에 의해 선택된 메뉴는 도 3d에 도시된 제2버튼(170)의 동 작에 의해 메뉴를 실행하라는 신호를 미도시된 제어부로 출력하게 된다. 한편, 제2버튼(170)을 누르는 힘을 해제하면, 상기 탄성부재(128)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부재(150)가 상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지지부재(150)에 일면이 지지된 제2버튼(170)은 지지부재(150)와 함께 상기 제2후크(172, 도 2참조)가 제2후크홈(136, 도 2참조)에 걸리는 지점까지 상부로 이동하게 되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140)는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스위치를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부재를 스위치 또는 스위치가 설치되는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부품 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를 스위치와 프레임 사이에 개재하는 조립공정을 삭제할 수 있게 되어 조립공정 수를 줄일 수 있다.
즉, 상기 부품 수 및 조립공정 수를 줄일 수 있게 되어 제품의 소형화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한편, 각각 서로 다른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복수의 버튼이 탄력적으로 지지되기 위한 탄성부재를 공유함으로써 부품 수 및 조립공정 수를 더욱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5)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를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스위치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가지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조립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리브에 지지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버튼; 및
    상기 제1버튼에 지지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2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의 스위치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버튼은 적어도 4방향으로 틸팅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제1버튼의 상기 프레임과 마주하는 면에는 상기 4방향에 대응되게 4개의 제1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버튼의 상기 제1버튼과 마주하는 일면에는 제2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의 스위치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스위치 수용부가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 수용부에는, 상기 리브와, 상기 제1 및 제2돌출부가 상기 기판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제1 및 제2버튼용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의 스위치 조립체.
KR1020050019612A 2005-03-09 2005-03-09 프로젝션 장치의 스위치 조립체 KR100675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612A KR100675855B1 (ko) 2005-03-09 2005-03-09 프로젝션 장치의 스위치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612A KR100675855B1 (ko) 2005-03-09 2005-03-09 프로젝션 장치의 스위치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980A KR20060098980A (ko) 2006-09-19
KR100675855B1 true KR100675855B1 (ko) 2007-02-02

Family

ID=37630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9612A KR100675855B1 (ko) 2005-03-09 2005-03-09 프로젝션 장치의 스위치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585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9916A (ja) * 1990-05-24 1992-01-31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9916A (ja) * 1990-05-24 1992-01-31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402991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980A (ko) 200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13688B2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JP5100214B2 (ja) 携帯端末機
JPH10283883A (ja) 電子機器のスイッチ構造
KR101176943B1 (ko) 휴대용 기기의 기능키 조립체
JP4973302B2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US20130056335A1 (en) Key assembly, rotary input device using the key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rotary input device
KR100675855B1 (ko) 프로젝션 장치의 스위치 조립체
JP5365910B2 (ja) 撮像装置
JP5046730B2 (ja) 電子機器
JP2006024504A (ja) スイッチボタン構造
JP5757155B2 (ja) スイッチ構造と電子機器と撮像装置
KR100691469B1 (ko) 키버튼 조립체
JP4948313B2 (ja) 電子機器
KR101291194B1 (ko) 키 버튼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JP5572595B2 (ja) 通話機器の押しボタン装置
JP5241130B2 (ja) スイッチ機構およびスイッチ機構を有する電子機器
JP3488731B2 (ja) ハンズフリー通話テレビインターホン
KR200295555Y1 (ko) 리모트 컨트롤러의 버튼 장치
JP2020140901A (ja) 多段スイッチ
KR100526154B1 (ko) 릴리즈 스위치
JP2018189861A (ja) 電子機器
JPH09148765A (ja) モニタ装置
CN117747332A (zh) 一种智能开关
JP4687245B2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KR100783470B1 (ko) 모바일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