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5360B1 -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5360B1
KR100675360B1 KR1020050001770A KR20050001770A KR100675360B1 KR 100675360 B1 KR100675360 B1 KR 100675360B1 KR 1020050001770 A KR1020050001770 A KR 1020050001770A KR 20050001770 A KR20050001770 A KR 20050001770A KR 100675360 B1 KR100675360 B1 KR 100675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slider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type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1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1448A (ko
Inventor
김영기
부성운
조진우
곽동옥
김기택
이동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1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5360B1/ko
Priority to US11/256,168 priority patent/US7492892B2/en
Publication of KR20060081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1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5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5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3Including a rotatable display body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한 쌍의 장공으로 이루어지며 이 한 쌍의 장공 사이의 간격이 장공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다가 어느 기점을 기준으로 다시 넓어지는 구조로 된 가이드부를 갖춘 본체부, 외측으로 탄성 바이어스된 상태로 가이드부의 한 쌍의 장공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를 갖춘 슬라이더, 슬라이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판 및 회전판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스플레이부는 슬라이더에 의해 본체부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회전판에 의해 소정각도로 회전한다.
슬라이드, 개폐, 휴대폰, 핸드폰, 셀룰러폰, 이동통신, 단말기

Description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SLIDE OPENING/CLOSING TYPE MOBILE PHONE}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인 정면도 및 측면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요부인 슬라이더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슬라이더유닛의 동작 설명을 위한 도면, 그리고,
도 4a, 4b 및 4c는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대기모드, 통화모드 및 디스플레이 회전모드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본체부 20;디스플레이부
30;슬라이더유닛 40;슬라이더
41;실린더부재 42,42';양측면
42a;구멍 43,43';로드부재
45,45';가이드롤러 47,47';스토퍼
49;탄성부재 50;가이드부
51,51';장공 60;회전판
A1,A2;장공의 일단과 타단 A0;장공의 기점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PCS나 셀룰러폰 또는 PDA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는 바형(bar type), 플립형(flip type), 폴더형(folder type) 및 슬라이드형(slide type)으로 나뉘어진다.
상기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화나 휴대시 폴더를 열고 닫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바형이나 플립형 이동통신 단말기가 갖는 길이가 길다는 문제점은 해결하지만, 상부폴더와 하부폴더를 연결하는 힌지부분이 손상되기 쉽다는 다른 문제가 있다.
이러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이다. 이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와 본체부로 구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본체부에 겹쳐진 상태로 상향 이동시 통화모드가 되며, 하향 이동시 대기모드가 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의 전체 길이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말기의 개폐 여부에 관계없이 바로 디스플레이 화면을 볼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한편, 최근 정보통신 산업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하여, 휴대폰이나 PDA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순히 상대방과 음성 통화하는 전화기로서의 기능을 넘어, 사진 및 동영상 감상 기능, 카메라 및 캠코더 기능 또는 전자수첩 및 전자사전 기능 등으로 다양하게 확대되어 가고 있다.
특히, 모바일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영화나 뮤직비디오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언제 어느 곳에서나 제공 받을 수 있는 환경이 갖추어져 있는 바, 이러한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자들이 이용하는데 있어서 불편함이 없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구적 구성도 중요한 사항으로 인식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살펴보면, 기존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슬라이딩 메카니즘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그 크기로 인해 단말기의 크기를 축소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반적인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가로 길이가 세로 길이보다 더 긴 사진이나 동영상을 감상하는데 불편한 점이 있는 등 IMT2000 통신서비스에 맞춰 화면을 좀더 넓고 선명하게 보고자 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슬라이딩 메카니즘이 단순하고 크기가 작아 소형화에 유리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평상시에는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방식으로 사용하면서, 동영상 등의 멀티 미디어 기능 활용시에는 디스플레이를 회동시켜 와 이드 화면을 구현할 수 있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정보 입력을 위한 키 패드를 갖춘 본체부; 입력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화면을 갖춘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하는 슬라이더유닛;을 포함한다. 슬라이더유닛은, 상기 본체부 및 디스플레이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한 쌍의 가이드롤러를 구비한 슬라이더; 및 상기 본체부 및 디스플레이부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롤러가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한 쌍의 장공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롤러는 외측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한 쌍의 장공 사이의 간격이 장공의 일단(A1)에서 타단(A2)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다가 어느 기점(A0)을 기준으로 다시 넓어지는 구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점(A0)은 상기 장공 길이의 대략 1/2 지점인 것이 바람직하나, 장공 길이의 대략 1/3 지점으로 할 수도 있는 등 변경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롤러와 각각 수직하게 연결되는 일단을 가지는 한 쌍의 로드부재; 상기 로드부재의 타단이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된 양측면을 가지는 중공의 실린더부재; 및 상기 실린더부재의 내부에 상기 한 쌍의 로드부재를 외측으로 탄력 지지하도록 설치된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로드부재의 타단에는 실린더부재에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각각 연결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소정 간격을 두고 길게 형성된 한 쌍의 장공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부를 갖춘 본체부; 상기 한 쌍의 장공에 수용되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롤러는 외측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한 쌍의 장공 사이의 간격이 장공의 일단(A1)에서 타단(A2)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다가 어느 기점(A0)을 기준으로 다시 넓어지는 구조로 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기점(A0)은 상기 장공 길이의 대략 1/2 지점이 바람직하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롤러와 각각 수직하게 연결되는 일단을 가지는 한 쌍의 로드부재; 상기 로드부재의 타단이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된 양측면을 가지는 중공의 실린더부재; 및 상기 실린더부재의 내부에 상기 한 쌍의 로드부재를 외측으로 탄력 지지하도록 설치된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의하면,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소정 간격을 두고 길게 형성된 한 쌍의 장공으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장공 사이의 간격이 장공의 일단(A1)에서 타단(A2)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다가 어느 기점(A0)을 기준으로 다시 넓어지는 구조로 된 가이드부를 갖춘 본체부; 외측으로 탄성 바이어스 된 상태로 상기 한 쌍의 장공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를 갖춘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로서, 도면에서 참조부호 10은 본체부, 20은 디스플레이부, 그리고, 30은 슬라이더유닛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와 디스플레이부(20)는 슬라이더유닛(30)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10)에는 정보 입력 등을 위한 키패드(1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20)에는 입력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화면(2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유닛(30)은 상기 디스플레이부(20)에 설치된 슬라이더(40)와 상기 본체부(10)에 형성된 가이드부(50)를 구비한다. 상기 슬라이더(40) 및 가이드부(50)는 그 위치가 바뀔 수도 있다. 즉, 본체부(10)에 슬라이더(40)가 설치되고, 디스플레이부(20)에 가이드부(5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슬라이더(40)는 도 2a, 도 2b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실린더부재(41), 한 쌍의 로드부재(43)(43'), 한 쌍의 가이드롤러(45)(45'), 스토퍼(47)(47') 및 탄성부재(49)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부재(41)는 중앙에 관통공(42a)이 형성된 양측면(42)(42')을 구비한다. 이 실린더부재(41)는 도시예의 원통형 뿐만 아니라 타원통형이나 사각통형 으로 할 수 있는 등 도시예의 경우로 꼭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한 쌍의 로드부재(43)(43')는 상기 실린더부재(41)의 양측면(42)(42')에 각각 형성된 관통공(42a)을 통하여 일단은 실린더부재(41)의 외부에, 타단은 실린더부재(41)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내,외측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롤러(45)(45')는 상기 한 쌍의 로드부재(43)(43')의 일단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구조상 상기 가이드롤러(45)(45')는 상기 로드부재(43)(43')와 수직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스토퍼(47)(47')는 상기 한 쌍의 로드부재(43)(43')의 타단에 설치되며, 이에 의해 상기 로드부재(43)(43')는 상기 실린더부재(41)에서 완전히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 탄성부재(49)는 상기 실린더부재(41)의 내부에서 상기 한 쌍의 로드부재(43)(43')를 양외측으로 탄력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부재(49)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스토퍼(47)(47')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부(50)는 상기한 한 쌍의 가이드롤러(45)(45')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한 쌍의 장공(51)(51')을 구비한다. 이 장공(51)(51')은 본체부(10)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가이드부(50)는 한 쌍의 장공(51)(51') 사이의 간격이 장공(51)(51')의 일단(A1)에서 타단(A2)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다가 어느 기점(AO)을 기준으로 다시 넓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장공(51)(51')의 일단끼리의 간격과 타단끼리의 간격은 대략 동 일하며, 상기 기점(A0)은 장공 길이(즉, 장공의 A1에서 A2까지의 거리를 말함)의 대략 1/2 지점에 위치된다. 그러나, 상기 기점(A0)은 장공의 일단(A1)에서부터 대략 1/3되는 지점에 위치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a 및 2b에서 참조부호 60은 회전판이다. 상기 회전판(60)은 상기한 슬라이더(40)의 실린더부재(41)에 소정각도로 정,역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회전판(60)에 상기 디스플레이부(2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0)는 슬라이더(40)에 의해 본체부(10)에서 상하 이동할 수 있으며, 또한, 상향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판(60)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하, 도 3, 도 4a, 도 4b 및 도 4c를 참조하면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는 통화 대기모드로, 이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부(20)의 슬라이더(40)는 그 양측의 가이드롤러(45)(45')가 장공(51)(51')의 일단(A1)에 위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롤러(45)(45')는 탄성부재(49)에 의해 외향 탄성 바이어스 되어 있기 때문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디스플레이부(20)는 유동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통화 등을 위하여 디스플레이부(20)를 사용자가 위로 밀어 올리면, 슬라이더(40)의 가이드롤러(45)(45')가 한 쌍의 장공(51)(51')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장공(51)(51') 사이의 간격이 점점 좁아지므로 가이드롤러(45)(45')가 탄성부재(49)의 탄성을 이기고 내측으로 점점 압축되면서이동하게 된다.
장공(51)(51')의 기점(A0)까지 슬라이더(40)가 이동된 다음에는 이 기점(A0)을 기준으로 한 쌍의 장공(51)(51') 사이의 간격이 다시 넓어지므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20)를 밀어 올리지 않아도 상기 탄성부재(49)의 탄성 복원력이 로드부재(43)(43')를 통하여 가이드롤러(45)(45')에 전달됨으로써 슬라이더(40)는 장공(51)(51')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슬라이더(40)는 최종적으로 장공(51)(51')의 타단(A2)에 안착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가 도 4b에 나타낸 통화 모드이다.
한편, 도 4b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0)가 통화 모드로 상향 이동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0)를, 예컨대, 가로 방향으로 90°회전시키면 세로보다 가로방향이 더 긴 와이드 화면의 구현이 가능하다. 이는 도 4c에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평상시에는 디스플레이부를 본체부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서 통화 등을 할 수 있고, 동영상 등의 멀티 미디어 기능 활용시에는 디스플레이부를 회전시켜 와이드 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동영상 등의 멀티 미디어 기 능을 구현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상을 와이드 화면으로 감상할 수 있다. 따라서, IMT2000 통신서비스에 맞춰 화면을 좀더 넓고 선명하게 보고자 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킴으로써 제품의 이미지 및 선호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딩 기구를 간단하면서도 작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보다 경박단소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7)

  1. 정보 입력을 위한 키 패드를 갖춘 본체부; 입력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화면을 갖춘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슬라이더유닛;을 포함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유닛은,
    상기 본체부 및 디스플레이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한 쌍의 가이드롤러를 구비한 슬라이더; 및
    상기 본체부 및 디스플레이부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롤러가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한 쌍의 장공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롤러와 각각 수직하게 연결되는 일단을 가지는 한 쌍의 로드부재;
    상기 로드부재의 타단이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된 양측면을 가지는 중공의 실린더부재; 및
    상기 실린더부재의 내부에 상기 한 쌍의 로드부재를 외측으로 탄력 지지하도록 설치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롤러는 외측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한 쌍의 장공 사이의 간격이 장공의 일단(A1)에서 타단(A2)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 지다가 어느 기점(A0)을 기준으로 다시 넓어지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점(A0)은 상기 장공 길이의 대략 1/2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로드부재의 타단에는 실린더부재에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한 쌍의 스토퍼 사이에 개재된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8. 소정 간격을 두고 길게 형성된 한 쌍의 장공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부를 갖춘 본체부;
    상기 한 쌍의 장공에 수용되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롤러와 각각 수직하게 연결되는 일단을 가지는 한 쌍의 로드부재;
    상기 로드부재의 타단이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된 양측면을 가지는 중공의 실린더부재; 및
    상기 실린더부재의 내부에 상기 한 쌍의 로드부재를 외측으로 탄력 지지하도록 설치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롤러는 외측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한 쌍의 장공 사이의 간격이 장공의 일단(A1)에서 타단(A2)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다가 어느 기점(A0)을 기준으로 다시 넓어지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 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점(A0)은 상기 장공 길이의 대략 1/2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11. 삭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로드부재의 타단에는 실린더부재에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한 쌍의 스토퍼 사이에 개재된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 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14. 소정 간격을 두고 길게 형성된 한 쌍의 장공으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장공 사이의 간격이 장공의 일단(A1)에서 타단(A2)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다가 어느 기점(A0)을 기준으로 다시 넓어지는 구조로 된 가이드부를 갖춘 본체부;
    외측으로 탄성 바이어스 된 상태로 상기 한 쌍의 장공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를 갖춘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롤러와 각각 수직하게 연결되는 일단을 가지는 한 쌍의 로드부재;
    상기 로드부재의 타단이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된 양측면을 가지는 중공의 실린더부재; 및
    상기 실린더부재의 내부에 상기 한 쌍의 로드부재를 외측으로 탄력 지지하도록 설치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점(A0)은 상기 장공 길이의 대략 1/2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16. 삭제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로드부재의 타단에는 실린더부재에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50001770A 2005-01-07 2005-01-07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75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1770A KR100675360B1 (ko) 2005-01-07 2005-01-07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US11/256,168 US7492892B2 (en) 2005-01-07 2005-10-24 Slide opening/closing type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1770A KR100675360B1 (ko) 2005-01-07 2005-01-07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1448A KR20060081448A (ko) 2006-07-13
KR100675360B1 true KR100675360B1 (ko) 2007-01-29

Family

ID=36653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1770A KR100675360B1 (ko) 2005-01-07 2005-01-07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492892B2 (ko)
KR (1) KR1006753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66992B1 (en) * 2001-10-18 2008-12-16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KR100698458B1 (ko) * 2005-11-30 2007-03-23 주식회사 엠투시스 전자기기용 개폐장치
US8553090B2 (en) * 2006-09-08 2013-10-08 Kingston Technology Corporation Portable image capture and camera device
JP4852403B2 (ja) * 2006-12-04 2012-01-1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携帯機器
KR100842631B1 (ko) * 2007-06-11 2008-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락킹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슬라이딩 모듈
CN101388918B (zh) * 2007-09-14 2013-10-09 京瓷株式会社 电子设备
CN101460023B (zh) * 2007-12-10 2012-03-2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滑动机构
US8471820B2 (en) 2011-03-28 2013-06-25 Research In Motion Limited Pivotable display guide mechanism for an electronic mobil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8669B (fi) * 2003-04-01 2008-01-31 Samsung Electro Mech Liukutyyppinen matkapuhelin ja liukumismenetelmä siihen
KR100524515B1 (ko) 2003-05-12 2005-11-01 텔슨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형 휴대폰의 반자동 분리형 슬라이딩 모듈
US7529571B2 (en) * 2003-09-03 2009-05-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liding/hinge apparatus for sliding/rotating type mobile terminals
KR200345703Y1 (ko) 2003-12-30 2004-03-2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수평회전 커버를 구비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92892B2 (en) 2009-02-17
US20060154704A1 (en) 2006-07-13
KR20060081448A (ko) 200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5360B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09808B1 (ko) 회전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US7395100B2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keys moved up/down by rotation
US7813775B2 (en) Portable terminal foldable to form a triangular prism
US7787914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opening mechanism
US8195255B2 (en)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US8180416B2 (en) Sliding-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13411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800843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및 그의 슬라이딩 모듈
JP3722780B2 (ja) マルチアングルヒンジカムを設けた携帯用端末機のヒンジ装置
US8466876B2 (en) Terminal
KR100630102B1 (ko) 슬라이딩 팝 업 타입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 통신 장치
US9237212B2 (en) Locking device for sliding/swing type mobile terminal
US20050138772A1 (en) Hinge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8520378B2 (en) Swing-type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hinge mechanism thereof
EP2482528A2 (en) Cradling apparatus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0630067B1 (ko) 피디에이 겸용 이축 힌지 타입 휴대 통신 장치
KR100899741B1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JP2009177343A (ja) ロータリアンドスライドタイプ携帯端末機用ヒンジ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用いた携帯端末機
KR100703510B1 (ko) 광학 줌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 장치
KR200385470Y1 (ko) 회전부가 형성된 슬라이드 힌지구조
KR200402885Y1 (ko) 슬라이드 형의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26418Y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 이동수단
KR10105871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572105B1 (ko) 수평회전 커버를 구비한 슬라이드형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