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3644B1 - Method of evaluating flare and apparatus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of evaluating flare and apparatu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3644B1
KR100673644B1 KR1020050094048A KR20050094048A KR100673644B1 KR 100673644 B1 KR100673644 B1 KR 100673644B1 KR 1020050094048 A KR1020050094048 A KR 1020050094048A KR 20050094048 A KR20050094048 A KR 20050094048A KR 100673644 B1 KR100673644 B1 KR 100673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re
angle
light
data
inci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40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종혁
김영준
최은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4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364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3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36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television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60Noise processing, e.g. detecting, correcting, reducing or removing noise
    • H04N25/61Noise processing, e.g. detecting, correcting, reducing or removing noise the noise originating only from the lens unit, e.g. flare, shading, vignetting or "cos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evaluating flare are provided to numerically represent flare generated in an accomplished image module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flare. A flare evaluating method includes steps of taking a picture of a to-be-evaluated object while varying an angle between an image module to be evaluated and the optical axis of a light source at a predetermined interval(S1), commonly setting a data sampling point at a position hav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acquired image(S2), and acquiring data about light at the data sampling point of the plurality of acquired images(S3). The data about light is intensity. The data sampling point corresponds to an edge located distant from the center of the image.

Description

플레어 평가방법 및 평가장치{METHOD OF EVALUATING FLARE AND APPARATUS THEREOF}Flare evaluation method and evaluation device {METHOD OF EVALUATING FLARE AND APPARATUS THEREOF}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플레어 현상의 유무에 대한 판단방법을 나타낸 사진.1 is a photograph showing a determination method for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flare phenomen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플레어 평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are eval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이미지 내에서의 조사광원과 플레어와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그림.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n irradiation light source and a flare in an image.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플레어 측정 및 평가방법에 대한 순서도.Figure 4 is a flow chart for flare measurement and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플레어 유무 평가예를 나타내는 예시 그래프.5 is an exemplary graph showing a flare presence evaluation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된 이미지 내에서의 조사광원과 플레어와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그림.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n irradiation light source and a flare in an imag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내지 도 7d는 화상모듈 샘플에 대하여 본 발명에 의하여 촬상한 이미지 결과를 나타낸 사진. 7A to 7D are photographs showing image results captured by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an image module sample.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플레어 정량화를 위하여 중첩된 그래프.8 is a superimposed graph for flare quantif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그래프 결과의 유효성 판단을 위하여 촬영된 사진.9 is a photograph taken to determine the validity of the graph results shown in FIG.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Drawing>

1 : 피평가대상(화상모듈)1: Subject under evaluation (image module)

2 : 광원 21 : 광케이블2: light source 21: optical cable

3 : 기저부 31 : 핀홀 32 : 초점 조절용 패턴3: base 31: pinhole 32: focus adjustment pattern

4 : 지지대4: support

5 : 화상모듈 거치대5: Image module holder

6 : 화상모듈 홀딩부6: Image module holding part

본 발명은 플레어 평가방법 및 평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완성된 화상모듈에 있어서 발생되는 플레어(flare) 현상을 수치화하여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플레어 평가방법 및 그 평가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re evaluation method and an evalu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are evaluation method and an evaluation device that can quantitatively evaluate a flare phenomenon generated in a completed image module.

최근 정보 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의하여 데이터 통신 속도의 향상이나 데이터 통신량의 확대가 실현되고, 휴대전화나 노트북 등의 모바일계의 전자기기에는 CCD 이미지센서나 CMOS 이미지센서 등의 촬상소자가 실장되는 것이 보급되고 있으며, 이들은 문자 데이터 외에 화상모듈에 의하여 촬상된 화상 데이터를 실시간 처리로 송신할 수 있게 된다. Recently,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improvement of data communication speed and the increase of data communication amount are realized, and the imaging devices such as CCD image sensor and CMOS image sensor are mounted on mobi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and laptops. It is spread | distributing and these can transmit the image data image | photographed by the image module besides the text data by real-time process.

또한 촬상소자를 이용한 디지털 카메라나 모바일 폰에 있어서 그 장치 또는 모듈 사이즈의 컴팩트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촬상장치를 구성하는 유닛, 부품 등도 소형화가 도모되며, 이러한 현상은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촬영 광학계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In addition, in the digital camera or mobile phone using the image pickup device, the compactness of the device or the module size is in progress, and the unit, the component, etc. constituting the image pickup device can be miniaturized. This phenomenon is applied to a photographing optical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lenses. The same is true.

한편, 이러한 촬상장치의 소형화와 더불어 렌즈 어셈블리의 소형화 및 렌즈 경통과 하우징과의 배치 간격이 치밀해 짐에 따른 빛의 난반사로 인하여 플레어(flare)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플레어란 태양광선 등 강한 직사광선에 의하여 촬영 광학계 등의 내부의 렌즈로 반사된 빛이 수광부의 CCD 또는 CMOS 등과 같은 촬상소자에 노광의 얼룩을 발생시켜 화상의 선명함을 저하시키는 현상을 말한다. On the other hand, a flare phenomenon occurs due to the miniaturization of the imaging device and the miniaturization of the lens assembly and the diffuse reflection of light as the arrangement interval between the lens barrel and the housing becomes dense. The flare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light reflected by an internal lens such as a photographing optical system by strong direct sunlight such as sunlight causes uneven exposure to an image pickup device such as a CCD or a CMOS of a light receiving unit, thereby degrading the sharpness of an image.

이러한 완성된 제품의 화상모듈에 있어서 플레어 현상의 유무에 대한 판단방법으로서,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모서리 외부에 형광등을 위치시키고 형광등 빛이 화상모듈 내부에 반사하여 화면 내부에까지 나타나는 정도로 플레어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상기 도 1에서 서클링(circling)된 부분이 플레어를 나타낸다. 그러나 이러한 판단방법은 플레어 발생의 유무를 단순히 평가자의 시야에만 의존하게 되어 구체적인 플레어의 정량화된 평가 및 화상모듈 제품의 플레어에 대한 양호/불량 판정의 기준을 설정하기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In the image module of the finished product as a determination method for the presence or absence of flare, first, as shown in Figure 1, the fluorescent light is placed outside the edge of the screen and the fluorescent light is reflected inside the image module to appear inside the screen The degree of flare was judged. In FIG. 1, a circled portion represents a flare. However, this determination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it is impossible to set the criteria for quantitative evaluation of specific flares and determination of good / failure of flares of image module products because flare occurrence is simply dependent on the view of the evaluator.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완성된 화상모듈에 있어서 발생되는 플레어(flare) 현상을 수치화하여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플레어 평가방법 및 그 평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are evaluatio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evaluating quantitatively by quantifying flare phenomenon generated in a completed image module. There i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플레어 평가 방법은, 피평가대상인 화상모듈과 광원의 광축 사이의 각도를 일정 간격으로 변경하면서 상기 피평가대상에서 이미지를 상기 일정 간격마다 촬영하는 단계; 상기 일정 각도 간격으로 촬영된 이미지의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데이터 샘플링 지점을 공통적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일정 각도 간격으로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의 데이터 샘플링 지점에서 광에 대한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lare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photographing the image at each target interval in the target to be evaluated while changing the angle between the image module and the optical axis of the light source to be evaluated at regular intervals; Setting a data sampling point in common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center of the image photographed at a predetermined angular interval; And acquiring data on light at data sampling points of the plurality of images photographed at the predetermined angular intervals.

여기서, 상기 피평가대상과 광원의 광축 사이의 각도를 일정 간격으로 변경하여, 상기 피평가대상으로 입사되는 광의 입사각을 일정 간격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angle between the object to be evaluated and the optical axis of the light source is ch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incident angle of light incident on the object to be evaluated is ch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또한, 상기 입사각은, 상기 피평가대상과 광원의 광축 사이의 각도를 일정 간격으로 변경할 경우 발생하는 복수의 입사광이 상기 설정된 데이터 샘플링 지점을 통과하도록 하는 각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cidence angle may include an angle for allowing a plurality of incident lights generated when the angle between the object under evaluation and the optical axis of the light source to be ch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pass through the set data sampling point.

여기서, 상기 취득되는 광에 대한 데이터는 광 세기(intensity)인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data for the acquired light is light intensity.

또한, 상기 설정된 데이터 샘플링 지점은 상기 이미지의 중심으로부터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에지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t data sampling point may be an edge portion spac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from the center of the image.

또한, 상기 에지부는, 상기 피평가대상과 광원의 광축 사이의 각도를 일정 간격으로 변경할 경우 발생하는 복수의 광의 입사각 중 하나와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edge part may correspond to one of incident angles of a plurality of lights generated when the angle between the object to be evaluated and the optical axis of the light source is ch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여기서, 상기 설정된 데이터 샘플링 지점은 프로그램 상에서 지정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set data sampling point is an area designated on a program.

또한, 상기 피평가대상과 광원의 광축 사이의 각도를 일정 간격으로 변경하는 것은, 상기 피평가대상을 일정한 각도 간격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상기 피평가대상에 조사되는 광원의 광축을 일정한 각도 간격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hanging of the angle between the object under evaluation and the optical axis of the light sourc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s performed by rotating the object under evaluation at a constant angle interval, or the optical axis of the light source irradiated to the object under evaluation It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rotating at a constant angular interval.

또한, 상기 데이터 샘플링 지점에서 취득된 복수의 입사광의 데이터를 그래프화하고, 상기 데이터 샘플링 지점에 대응하는 입사각을 기준으로 상기 그래프화된 데이터의 대칭성을 판단하여 플레어의 유무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graphing data of a plurality of incident lights acquired at the data sampling point and evalua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flare by determining the symmetry of the graphed data based on the incident angle corresponding to the data sampling point. .

또한, 상기 그래프 중 상기 데이터 샘플링 지점에 대응하는 입사각을 기준으로, 이 기준 입사각보다 작은 각도에 대한 입사광 데이터 값과 상기 입사각보다 큰 각도에 대한 입사광 데이터 값과의 차이에 의하여 플레어 세기를 정량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lso, based on the angle of incidence corresponding to the data sampling point in the graph, quantifying flare intensity by a difference between an incident light data value for an angle smaller than the reference incident angle and an incident light data value for an angle greater than the incident angle. It features.

여기서, 상기 데이터 값은 적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플레어의 정량화는, 'Standard Fit'가 기준 입사각보다 작은 각도에 대한 입사광 데이터 값을 커브 피팅(curve fitting)한 적분치를 나타내고, 'Flare Fit'가 기준 입사각보다 큰 각도에 대한 입사광 데이터 값을 커브 피팅한 적분치를 나타낼 경우, 「플레어(%) = {(Flare Fit - Standard Fit)/Standard Fit}×100」에 의하여 연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ata value may be an integral value, and the quantification of the flare may include an integral value obtained by curve fitting the incident light data value for an angle smaller than the standard incident angle by 'Standard Fit', and 'Flare Fit'. Is calculated by "flare (%) = {(Flare Fit-Standard Fit) / Standard Fit} x 100" when? Represents an integral value obtained by curve fitting the incident light data value with respect to an angle larger than the reference incident angle.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플레어 평가 장치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광케이블을 경유하여 화상모듈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핀홀이 형성되고, 초점 조절용 패턴이 표면에 형성된 기저부; 상기 기저부에 그 일단이 지지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거리조절이 가능하도록 그 일단이 상기 지지대와 결합된 화상모듈 거치대; 상기 화상모듈 거치대의 타단에 상기 화상모듈 거치대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화상모듈 홀딩부; 및 상기 화상모듈에 의하여 촬상된 이미지의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의 광 데이터를 샘플링하여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lare eval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source; A base having a pinhole formed so tha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passes in the direction of the image module via an optical cable, and a focus adjusting pattern formed on a surface thereof; A support having one end supported by the base; An image module holder whose one end is coupled to the support to enable distance adjust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An image module holding part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image module holder so as to be rotatable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image module holder; And a data processor configured to sample and process the optical data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image captured by the image module.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플레어 평가장치 및 평가방법을 기술한 후,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fter describing the flare evaluation apparatus and the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플레어 평가 장치Flare rating device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플레어 평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are eval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플레어 평가장치는 크게 광원(2)과, 상기 광원이 조사되는 기저부(base plate: 3)와, 상기 기저부(3)에 그 하부측 일단이 지지 및 결합되는 지지대(4)와, 상기 지지대(4)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화상모듈 거치대(5), 및 상기 화상모듈 거치대(5)에 소정 각도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화상모듈 홀딩부(6)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2, the flare eval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supported by a light source 2, a base plate 3 to which the light source is irradiated, and one end of the lower side thereof to the base 3. An image module holding part installed to be rotatable at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support 4 to be coupled, the image module holder 5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4, and the image module holder 5. 6).

광원(2)은, 피평가대상인 화상모듈(1)에 일정한 빛을 조사하는 것으로서, 할로겐 램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할로겐 램프의 파워를 조정하여 광량을 변경할 경우에는 매 측정 시 동일한 측정결과에 대한 보장이 어려우며, 색 온도 변화에 의한 영향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할로겐 램프의 풀 파워(full power)를 적용한 후 후술하는 핀홀(pinhole: 31)의 직경을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ight source 2 irradiates a constant light onto the image module 1 to be evaluated, and it is preferable to use a halogen lamp. Here, if the amount of light is changed by adjusting the power of the halogen lamp, it is difficult to guarantee the same measurement result at every measurement,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effect of the color temperature change may occur. Therefore, after applying the full power of the halogen lamp, It is preferable to change the diameter of the pinhole 31 to be described later.

기저부(3)는, 피평가대상인 화상모듈(1)을 유지하는 구조물, 즉 지지대와 화상모듈 거치대(5) 및 화상모듈 홀딩부(6)을 안정되게 구조적으로 지지하는 플레이트로서, 상기 기저부(3)에는 상기 광원(2)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광케이블(21)을 경유하여 화상모듈(1)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핀홀(31)이 가공 형성되어 있다. The base portion 3 is a plate for stably and structurally supporting the structure holding the image module 1 to be evaluated, that is, the support and the image module holder 5 and the image module holding portion 6. ), A pinhole 31 is formed so tha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2 passes in the direction of the image module 1 via the optical cable 21.

상기 핀홀(31)은, 일반적으로 그 직경이 1㎜ 내지 3㎜의 범위가 적용될 수 있으며 가령 광원으로서 15V 150W의 할로겐 램프를 사용할 경우, 3㎜의 직경에 대하여 상기 광원이 1/3 파워일 경우 광량의 변화가 커서 플레어 평가 및 수치화 기준으로서 부적합하며, 상기 광원이 1/2 파워 내지 풀 파워일 경우에는 플레어를 평가하기에 과대 광량이 되어 부적합하다. 또한, 1㎜의 직경에 대하여 상기 광원이 1/3 파워일 경우 광량의 변화가 크며 플레어를 평가하기에 광량이 작으나, 상기 광원이 1/2 파워 내지 풀 파워일 경우에는 광량의 변화가 작고 광량 또한 적합하여 플레어 현상을 관찰하기에 적합하다. The pinhole 31 may be generally applied in the range of 1 mm to 3 mm in diameter, for example, when using a halogen lamp of 15 V 150 W as a light source, when the light source is 1/3 power for a diameter of 3 mm. The change in the amount of light is so large that it is inadequate as a flare evaluation and quantification criterion, and when the light source is 1/2 power or full power, the amount of light is excessive and insufficient for evaluating flare. In addition, when the light source is 1/3 power for the diameter of 1 mm, the light quantity is large and the light quantity is small for evaluating flare, but when the light source is 1/2 power or full power, the light quantity is small and the light quantity is small. It is also suitable for observing flare phenomenon.

또한, 상기 기저부(3) 표면에는 초점 조절용 패턴(32)이 패터닝되어 있어 화상모듈(1)의 이미지 초점이 정확하게 구현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 focus adjustment pattern 32 is pattern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3 to determine whether the image focus of the image module 1 is accurately implemented.

지지대(4)는, 상기 기저부(3)에 그 하부측 일단이 지지 및 결합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통상적으로 그 높이는 900㎜ 이하의 범위에 해당하여, 상기 기저부(3)와 화상모듈(1)과의 거리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The support 4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one end of the lower side thereof is supported and coupled to the base 3, and typically its height corresponds to a range of 900 mm or less, and the base 3 and the image module 1 are supported. It controls the distance from).

화상모듈 거치대(5)는 상기 지지대(4)의 길이방향을 따라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그 일단이 상기 지지대(4)에 결합된다. 또한 그 타단에는 후술하는 화상모듈 홀딩부(6)의 회전 각도를 인식할 수 있도록 각도계가 부착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image module holder 5 is coupled to the support 4 so that height adjustment is possi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4. Also, at the other end thereof, a goniometer may be attached to recognize the rotation angle of the image module holding part 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화상모듈 홀딩부(6)는 상기 화상모듈 거치대(5)의 타단에 상기 화상모듈 거치대(5)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화상모듈 홀딩부(6)에 유지되는 화상모듈(1)의 위치는 상기 광원(2)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축의 위치와 서로 일치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mage module holding part 6 is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image module holder 5 so as to be rotatable at a predetermined angle about the image module holder 5. Preferably, the position of the image module 1 held by the image module holding part 6 is set to match the position of the optical axis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2.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구조물에 의하여 상기 화상모듈에서 촬상된 이미지로부터 플레어 정보를 취득하기 위하여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화상모듈에서 촬상된 이미지의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의 광 세기(intensity)와 같은 광 데이터를 샘플링하여 연산 처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마이콤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 processing unit (not shown) for acquiring flare information from an image captured by the image module by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The data processing unit may serve to sample and process optical data such as light intensity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image captured by the image module, and a general microcomputer may correspond thereto.

플레어 측정 및 평가 방법Flare Measurement and Evaluation Method

본 발명에 의한 플레어 평가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조사광원의 위치로부터 이미지의 중심을 향하여 발생한다는 사실에 기초를 두고 있다. 즉, 도 3은 이미지 내에서의 조사광원과 플레어와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그림으로서, 조사광원으로부터 화상모듈로의 입사각이 0°, 10°, 20°, 30°, 35°, 40°일 경우의 그 각각의 입사각에 대한 플레어 발생 패턴을 나타내는데 상기 플레어가 모두 이미지 중심부를 향하여 발생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The flare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based on the fact that it occurs from the position of the irradiation light source toward the center of the image as shown in FIG. That is, FIG.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rradiation light source and the flare in the image, wherein the incident angles from the irradiation light source to the image module are 0 °, 10 °, 20 °, 30 °, 35 °, and 40 °. The flare generation pattern for each incident angle in one case is shown, indicating that all of the flares are generated toward the center of the image.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플레어 측정 및 평가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나타낸다.Figure 4 shows a flow chart for the flare measurement and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플레어 측정방법으로서, 먼저, 피평가대상인 화상모듈과 광원의 광축 사이의 각도를 일정 간격으로 변경하면서 상기 피평가대상에서 이미지를 상기 일정 간격마다 촬영하여, 각각의 각도에 대한 복수의 이미지를 획득한다(step 1). 이는, 화상모듈 거치대(5)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화상모듈 홀딩부(6)를 일정한 각도 간격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화상모듈(1)로 입사되는 광의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으나, 대안적으로 피평가대상인 화상모듈(1)에 조사되는 광원(2)을 일정한 각도 간격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As a flare measuring method, first, an image is photographed at each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target object while changing the angle between the image module to be evaluated and the optical axis of the light sourc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reby obtaining a plurality of images for each angle. (step 1). This may change the angle of the light incident on the image module 1 by rotating the image module holding part 6 rotatably coupled to the image module holder 5 at regular angle intervals, but alternatively the evaluated object It may be made by rotating the light source 2 irradiated to the image module 1 as a target at regular angular intervals.

즉, 상기 피평가대상과 광원의 광축 사이의 각도를 일정 간격으로 변경하여, 상기 피평가대상으로 입사되는 광의 입사각을 일정 간격으로 변경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입사각은, 상기 피평가대상과 광원의 광축 사이의 각도를 일정 간격으로 변경할 경우 발생하는 복수의 입사광이 상기 설정된 데이터 샘플링 지점을 통과하도록 하는 각도를 포함하도록 한다. That is, by changing the angle between the target to be evaluated and the optical axis of the light source at regular intervals, the angle of incidence of the light incident on the target to be evaluated is changed at regular intervals. The incident angle may include an angle at which a plurality of incident lights generated when the angle between the object under evaluation and the optical axis of the light source is ch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passes through the set data sampling point.

다음, 상기 일정 각도 간격으로 촬영된 이미지의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데이터 샘플링 지점을 공통적으로 설정한다(step 2). 상기 데이터 샘플링 지점은 각각의 각도별도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 모두에 대하여 공통되는 동일한 위치로서, 후술하는 데이터를 취득하는 샘플링 위치에 해당한다. Next, the data sampling point is commonly set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image photographed at the predetermined angular interval (step 2). The data sampling point is the same position common to all of the plurality of images photographed for each angle, and corresponds to a sampling position for acquiring data to be described later.

여기서, 상기 데이터로서 플레어에 의한 광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파라미터가 고려될 수 있으나, 상기 파라미터로서 광 세기(intensity)가 고려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하 광 세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설정된 데이터 샘플링 지점은 상기 이미지의 중심으로부터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에지(edge)부로서, 상기 에지부는, 상기 피평가대상과 광원의 광축 사이의 각도를 일정 간격으로 변경할 경우 발생하는 복수의 광의 입사각 중 하나와 대응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러한 데이터 샘플링 지점은 데이터 처리부의 프로그램 상에서 설정할 수 있는데, 통상적으로 픽셀(pixel) 단위의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Here, a parameter that can represent optical characteristics due to the flare may be considered as the data, but it is preferable that optical intensity be considered as the parameter, and the light intensity will be described below. The set data sampling point is an edge portion spac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from the center of the image, wherein the edge portion is generated when the angle between the target object and the optical axis of the light source is ch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t is preferably set to correspond to one of the incident angles of the plurality of lights. On the other hand, such a data sampling point can be set on a program of the data processing unit, and is typically formed in an area of a pixel unit.

그런 다음, 상기 일정 각도 간격으로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의 데이터 샘플링 지점에서 광에 대한 데이터를 각각 취득한 후 플레어의 유무와 정도를 평가하게 된다(step 3). Then, after acquiring data about light at data sampling points of the plurality of images photographed at the predetermined angular intervals, the presence and the degree of flare are evaluated (step 3).

즉, 플레어 평가 방법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설정된 데이터 샘플링 지점에서의 광 세기를 각각의 회전 각도(광원으로부터 화상모듈로 입사되는 광의 입사각도에 대응)에 대하여 연산하는데, 광 세기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That is, as the flare evaluation method, as described above, the light intensity at the set data sampling point is calculated for each rotation angle (corresponding to the incident angle of light incident from the light source to the image module). It can be defined as

광 세기(intensity) = 0.3×Red + 0.59×Green + 0.11×BlueIntensity = 0.3 x Red + 0.59 x Green + 0.11 x Blue

상기 설정된 데이터 샘플링 지점에 해당하는 각 픽셀(가령 50×50 pixels)의 광 세기를 구한 후 평균값을 채택한다. After calculating the light intensity of each pixel (e.g. 50 x 50 pixels) corresponding to the set data sampling point, the average value is adopted.

다음, 광원으로부터 화상모듈로 입사되는 광의 입사각도에 대한 상기 설정된 데이터 샘플링 지점에서의 광 세기를 그래프화 하여 플레어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데이터 샘플링 지점에서 취득된 복수의 입사광의 데이터를 그래프화하고, 상기 데이터 샘플링 지점에 대응하는 입사각을 기준으로 상기 그래프화 된 데이터의 대칭성을 판단하여 플레어의 유무를 평가하게 된다(step 4-1). Next, the presence or absence of flare may be determined by graphing the light intensity at the set data sampling point with respect to the incident angle of light incident from the light source to the image module. That is, the data of the plurality of incident light acquired at the data sampling point is graphed, and the symmetry of the graphed data is judged based on the incident angle corresponding to the data sampling point to evaluate the presence or absence of flare (step 4 -One).

도 5는 도 3에 대한 플레어 유무 평가예를 나타내는 예시 그래프로서, 상기 그래프의 X축은 화상모듈로의 입사각도, Y축은 상기 설정된 데이터 샘플링 지점에서의 취득한 광 세기를 나타내며, 4가지 샘플 A, B, C, D에 대한 결과이다. 여기서, 서클링된 부분이 플레어의 영향에 의하여 발생된 광 세기의 증가분을 의미한다.5 is an exemplary graph illustrating a flare evaluation example of FIG. 3, wherein the X axis of the graph represents an angle of incidence into the image module, and the Y axis represents an acquired light intensity at the set data sampling point. For C, D. Here, the circled portion means an increase in light intensity generated by the influence of the flare.

4가지 샘플에 대한 그래프 중 데이터 샘플링 지점에 해당하는 입사각 20°을 중심으로 대칭성을 나타내는 것이 플레어가 발생하지 않는 양호한 화상모듈에 해당한다. 즉, 샘플 A, C, D의 경우 입사각 30°내지 40°사이에서 플레어 발생에 의한 광 세기가 증가되는 확인할 수 있으며, 샘플 B의 경우는 데이터 샘플링 지점에 해당하는 입사각 20°를 중심으로 대칭성을 나타내고 있어 플레어가 발생되지 않는 양호한 화상모듈에 해당됨을 확인할 수 있다. Among the graphs for the four samples, showing symmetry around the incident angle of 20 ° corresponding to the data sampling point corresponds to a good image module in which no flare occurs. That is, in the case of Samples A, C, and D, the light intensity due to flare is increased between the incident angles of 30 ° to 40 °, and in the case of Sample B, the symmetry between the incident angles corresponding to the data sampling points is 20 °. It can be confirmed that it corresponds to a good image module in which no flare occurs.

다음, 설정된 데이터 샘플링 지점에서의 입사각 대 광 세기 그래프에 대하여, 상기 설정된 데이터 샘플링 지점에 해당하는 에지부 광을 기준으로 좌우의 광 세기를 비교한다. 즉, 상기 그래프 중 상기 데이터 샘플링 지점에 대응하는 입사각을 기준으로, 이 기준 입사각보다 작은 각도에 대한 입사광 데이터 값과 상기 입사각보다 큰 각도에 대한 입사광 데이터 값과의 차이에 의하여 플레어 세기를 정량화한다(step 4-2). Next, with respect to the incident angle vs. the light intensity graph at the set data sampling point, the light intensity on the left and right is compared based on the edge light corresponding to the set data sampling point. That is, based on the incident angle corresponding to the data sampling point in the graph, the flare intensity is quantifi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cident light data value for the angle smaller than the reference incident angle and the incident light data value for the angle greater than the incident angle ( step 4-2).

도 5의 샘플 A에 대한 정량적인 플레어 세기 산출방식의 예를 설명한다. 데이터 샘플링 지점에 해당하는 입사각 20°를 기준으로 그래프의 좌측영역(입사각 0°내지 20°)에 해당되는 광 세기 측정값을 적분한 값이 '기준 광량(이하, 'Standard'라 함)'으로 되고, 데이터 샘플링 지점에 해당하는 입사각 20°를 기준으로 그래프의 우측영역(입사각 20°내지 40°)에 해당되는 광 세기 측정값을 적분한 값이 '플레어에 의한 영향을 포함하는 광량(이하, 'Flare'라 함)'이 된다. 따라서, 플레어에 의한 영향을 포함하는 광량에 해당되는 우측영역 면적과 기준 광량에 해당되는 좌측영역 면적과의 차이가 플레어에 의하여 발생된 광량분에 해당된다. 여기서, 보다 정확한 플레어 세기를 판단하기 위하여 각각의 광 세기 측정값을 커브 피팅(curve-fitting)하여 상기 커브 피팅된 그래프(각각 'Standard Fit' 및 'Flare Fit'이라 함)에 대한 적분값을 기준으로 플레어에 의하여 발생된 광량분을 연산할 수도 있으며 구체적인 계산식은 아래 수학식 2와 같다. An example of a quantitative flare intensity calculation method for sample A of FIG. 5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incident angle of 20 ° corresponding to the data sampling point, the value obtained by integrating the light intensity measurement value corresponding to the left area of the graph (incident angle of 0 ° to 20 °) is referred to as 'standard light quantity' (hereinafter referred to as 'standard'). The value obtained by integrating the light intensity measurement value corresponding to the right region (incidence angle 20 ° to 40 °) of the graph based on the incident angle 20 ° corresponding to the data sampling point is' the amount of light including the effect of flare (hereinafter, 'Flare'). Therefo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area of the right region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light including the influence of flare and the area of the left region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light amount corresponds to the amount of light generated by the flare. Here, in order to determine a more accurate flare intensity, each light intensity measurement is curve-fitted to reference the integral values for the curve-fitted graphs (called 'Standard Fit' and 'Flare Fit',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amount of light generated by the flare may be calculated, and a specific calculation equation is shown in Equation 2 below.

플레어(%) = {(Flare Fit - Standard Fit)/Standard Fit}×100% Flare = {(Flare Fit-Standard Fit) / Standard Fit} × 100

상기 수학식 2에서 광량에 따라서 플레어의 출몰 가능성이 높아짐을 고려하여 'Standard Fit'로 나누어 준다. In Equation 2 in consideration of the possibility of the appearance of the flare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is divided into 'Standard Fit'.

다음, 상기 수학식 2에 의한 플레어(%)의 결과값에 따라 피평가대상인 화상모듈의 양품/불량을 판정(step 5)하게 되는데, 가령 10% 미만의 결과치에 대하여는 「우수」, 10% 내지 20%의 결과치에 대하여는 「양산적용 가능하나 개선 필요」, 그리고 20% 초과의 결과에 대하여는 「적용불가」라는 평가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Next, in step 5, the quality / defect of the image module to be evaluated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sult value of the flare (%) according to Equation (2). For 20% of results, an evaluation criterion may be set, "Can be applied in mass production, but needs improvement", and "Not applicable" for results exceeding 20%.

실시예Example

이하,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0.

도 6은 본 실시예에 적용된 이미지 내에서의 조사광원과 플레어와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그림으로서, 조사광원으로부터 화상모듈로의 입사각이 0°내지 45°의 범위 내에서 2.5°의 각도 간격으로 화상모듈 홀딩부(6)를 회전시키면서 촬영한 것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6은 각각의 입사각에 대한 플레어 발생 패턴을 나타내는데 상기 플레어가 모두 이미지 중심부를 향하여 발생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FIG.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relation between an irradiation light source and a flare in an image applied in this embodiment, wherein an angle of incidence from the irradiation light source to the image module is within an angle of 2.5 ° within a range of 0 ° to 45 ° The image is taken while the image module holding unit 6 is rotated. As described above, FIG. 6 shows a flare generation pattern for each incident angle, indicating that all of the flares are generated toward the center of the image.

평가환경의 기준으로서, 평가환경은 암실(0 Lux)이며 광원으로 사용된 할로겐 램프의 모듈에서의 밝기는 10 Lux가 되도록 하였다. 여기서, 15V 150W의 할로겐 램프를 사용하고, 핀홀의 직경은 1㎜로 정하여 광량의 변화가 작고 광량 또한 적합하여 플레어 현상을 관찰하기에 적합하도록 하였다. As a criterion of the evaluation environment, the evaluation environment was dark (0 Lux) and the brightness of the halogen lamp module used as the light source was 10 Lux. Here, a 15V 150W halogen lamp was used, and the diameter of the pinhole was set to 1 mm so that the change in the amount of light was small and the amount of light was also suitable so that the flare phenomenon could be observed.

도 7a 내지 도 7b는 각각의 화상모듈 샘플 SPL1, SPL2, SPL3 및 SPL4에 대하여 상술한 촬영조건에서 촬상한 이미지 결과를 나타낸다. 7A to 7B show image results captured under the above-described shooting conditions for each of the image module samples SPL1, SPL2, SPL3 and SPL4.

또한 도 8은 먼저 데이터 샘플링 지점으로서 상기 이미지의 중심으로부터 좌측방향으로 이격된 에지(edge)부인 입사각 22.5°지점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지점에서의 광 세기를 수학식 1에 의하여 계산한 결과 그래프를 입사각 22.5°지점을 중심으로 중첩시킨 그래프이다. 이러한 중첩 그래프는 상기 설정된 데이터 샘플링 지점에 해당하는 에지부 광을 기준으로 좌우의 광 세기를 비교하여 정량적인 플레어 세기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데이터 샘플링 지점은 데이터 처리부의 MATLAB 프로그램 상에서 50×50 픽셀 범위로 설정하였다. Also, FIG. 8 is a data sampling point. First, a point of incidence angle 22.5 °, which is an edge part spaced from the center of the image, is set, and a graph of the result of calculating the light intensity at the set point by Equation 1 is shown. This graph is superimposed on the incident angle of 22.5 °. This superimposition graph is to find the degree of quantitative flare intensity by comparing the light intensity of th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edge light corresponding to the set data sampling point. On the other hand, the data sampling point was set to a 50 × 50 pixel range on the MATLAB program of the data processor.

화상모듈 샘플 SPL1, SPL2, SPL3 및 SPL4에 대하여,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이미지와 그래프 결과를 정량적으로 수학식 2에 의하여 계산한 결과는 아래 표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다. For the image module samples SPL1, SPL2, SPL3 and SPL4, the result of quantitatively calculating the result of the image and graph shown in FIGS. 7 and 8 by Equation 2 is 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SPL 1SPL 1 SPL 2SPL 2 SPL 3SPL 3 SPL 4SPL 4 플레어(%)flare(%) 17.917.9 3.63.6 42.542.5 37.437.4

상기 화상모듈 샘플 SPL1, SPL2, SPL3 및 SPL4에 대한 수치결과는 도 7에서 도시된 이미지에서의 플레어 유무 정도와 잘 일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화상모듈 샘플 SPL1, SPL2, SPL3 및 SPL4를 이용하여 실제로 촬영한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 9와도 동일한 결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에서 서클링(circling)된 부분이 플레어를 나타낸다. Numerical results for the image module samples SPL1, SPL2, SPL3, and SPL4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degree of flare in the image shown in FIG. 7, and the image module samples SPL1, SPL2, SPL3, and SPL4 are used. It can be seen that the same result as in Fig. 9 showing the actually taken image. In FIG. 9, the circled portion represents the flare.

상기 표 1에 의한 플레어(%)의 결과값에 따라 피평가대상인 화상모듈의 양품/불량을 판정하게 되는데, 10% 미만의 결과치에 대하여는 「우수」, 10% 내지 20%의 결과치에 대하여는 「양산적용 가능하나 개선 필요」, 그리고 20% 초과의 결과에 대하여는 「적용불가」라는 평가기준을 설정한다면, 화상모듈 샘플 SPL2는 「우수」, SPL1은 「양산적용 가능하나 개선 필요」, SPL3 및 SPL4은 「적용불가」 판정을 받게 되어 명확한 기준에 의한 제품의 불량 여부를 가릴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flare (%) according to the above Table 1, it is determined whether good or bad of the image module to be evaluated. For the results of less than 10%, the result is "good" and for the results of 10% to 20%, Applicable but need to be improved ", and if the evaluation criteria of" not applicable "is set for a result of more than 20%, the image module sample SPL2 is" excellent ", SPL1 is" applicable but need improvement ", SPL3 and SPL4 It will be judged as `` not applicable '', and it will be able to determine whether the product is defective by a clear standard.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hich should be regarded a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something to do.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인 플레어 평가방법 및 그 평가장치에 의할 경우, 완성된 화상모듈에 있어서 발생되는 플레어(flare) 현상을 수치화하여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여 플레어 평가에 대한 표준화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flare evaluation method and the evalu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a standard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flare phenomenon generated in the completed image module to provide a standard for flare evaluation It can be effective.

Claims (14)

피평가대상인 화상모듈과 광원의 광축 사이의 각도를 일정 간격으로 변경하면서 상기 피평가대상에서 이미지를 상기 일정 간격마다 촬영하는 단계;Photographing the image at each target interval at the target object while changing an angle between the image module to be evaluated and the optical axis of the light sourc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 일정 각도 간격으로 촬영된 이미지의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데이터 샘플링 지점을 공통적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Setting a data sampling point in common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center of the image photographed at a predetermined angular interval; And 상기 일정 각도 간격으로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의 데이터 샘플링 지점에서 광에 대한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Acquiring data on light at data sampling points of the plurality of images photographed at the predetermined angular intervals; 를 포함하는 플레어 평가 방법.Flare evaluation method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피평가대상과 광원의 광축 사이의 각도를 일정 간격으로 변경하여, 상기 피평가대상으로 입사되는 광의 입사각을 일정 간격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 평가 방법.Flare evalu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 changing the angle between the optical target of the target to be evaluated and the light axi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changing the incident angle of the light incident to the target to be evaluat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입사각은, 상기 피평가대상과 광원의 광축 사이의 각도를 일정 간격으로 변경할 경우 발생하는 복수의 입사광이 상기 설정된 데이터 샘플링 지점을 통과 하도록 하는 각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 평가 방법.The incident angle is flare evalu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ngle to pass a plurality of incident light generated when changing the angle between the target to be evaluated and the optical axis of the light sourc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취득되는 광에 대한 데이터는 광 세기(intensit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 평가 방법.And the data for the acquired light is light intensit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설정된 데이터 샘플링 지점은 상기 이미지의 중심으로부터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에지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 평가 방법.The set data sampling point is a flare evalu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edge portion spac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from the center of the image.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에지부는, 상기 피평가대상과 광원의 광축 사이의 각도를 일정 간격으로 변경할 경우 발생하는 복수의 광의 입사각 중 하나와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 평가 방법.And the edge portion corresponds to one of the incident angles of a plurality of lights generated when the angle between the target to be evaluated and the optical axis of the light source is ch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설정된 데이터 샘플링 지점은 프로그램 상에서 지정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 평가 방법.And the set data sampling point is an area designated on a program.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피평가대상과 광원의 광축 사이의 각도를 일정 간격으로 변경하는 것은, 상기 피평가대상을 일정한 각도 간격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 평가 방법.And changing the angle between the object under evaluation and the optical axis of the light source at a constant interval by rotating the object under evaluation at a constant angle interval.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피평가대상과 광원의 광축 사이의 각도를 일정 간격으로 변경하는 것은, 상기 피평가대상에 조사되는 광원의 광축을 일정한 각도 간격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 평가 방법.And changing the angle between the object under evaluation and the optical axis of the light source at regular intervals by rotating the optical axis of the light source irradiated onto the object under evaluation at a constant angle interval.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데이터 샘플링 지점에서 취득된 복수의 입사광의 데이터를 그래프화하고, 상기 데이터 샘플링 지점에 대응하는 입사각을 기준으로 상기 그래프화 된 데이터의 대칭성을 판단하여 플레어의 유무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 평가 방법.Flare evalu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graph of the data of the plurality of incident light acquired at the data sampling point, and to evaluate the presence or absence of flare by determining the symmetry of the graphed data based on the incident angle corresponding to the data sampling point. Way.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그래프 중 상기 데이터 샘플링 지점에 대응하는 입사각을 기준으로, 이 기준 입사각보다 작은 각도에 대한 입사광 데이터 값과 상기 입사각보다 큰 각도에 대한 입사광 데이터 값과의 차이에 의하여 플레어 세기를 정량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 평가 방법.Flare intensity is quantified by a difference between an incident light data value for an angle smaller than the reference incident angle and an incident light data value for an angle greater than the incident angle based on an incident angle corresponding to the data sampling point in the graph. Flare evaluation method.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데이터 값은 적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 평가 방법.And said data value is an integral value.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플레어의 정량화는 아래의 식에 의하여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 평가 방법.The quantification of the flare i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formula flare evaluation method. 플레어(%) = {(Flare Fit - Standard Fit)/Standard Fit}×100% Flare = {(Flare Fit-Standard Fit) / Standard Fit} × 100 여기서, 'Standard Fit'는 기준 입사각보다 작은 각도에 대한 입사광 데이터 값을 커브 피팅(curve fitting)한 적분치를 나타내고, 'Flare Fit'는 기준 입사각 보다 큰 각도에 대한 입사광 데이터 값을 커브 피팅한 적분치를 나타냄.Here, 'Standard Fit' represents an integral value obtained by curve fitting incident light data values for angles smaller than the reference incident angle, and 'Flare Fit' represents an integral value obtained by curve fitting incident light data values for angles greater than the reference incident angle. Indicates. 광원;Light source;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광케이블을 경유하여 화상모듈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핀홀이 형성되고, 초점 조절용 패턴이 표면에 형성된 기저부;A base having a pinhole formed so tha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passes in the direction of the image module via an optical cable, and a focus adjusting pattern formed on a surface thereof; 상기 기저부에 그 일단이 지지된 지지대;A support having one end supported by the base; 상기 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거리조절이 가능하도록 그 일단이 상기 지지대와 결합된 화상모듈 거치대; An image module holder whose one end is coupled to the support to enable distance adjust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상기 화상모듈 거치대의 타단에 상기 화상모듈 거치대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화상모듈 홀딩부; 및An image module holding part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image module holder so as to be rotatable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image module holder; And 상기 화상모듈에 의하여 촬상된 이미지의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의 광 데이터를 샘플링하여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A data processing unit for sampling and processing optical data at a position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image captured by the image module; 를 포함하는 플레어 평가장치.Flare evaluation device comprising a.
KR1020050094048A 2005-10-06 2005-10-06 Method of evaluating flare and apparatus thereof KR1006736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048A KR100673644B1 (en) 2005-10-06 2005-10-06 Method of evaluating flare and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048A KR100673644B1 (en) 2005-10-06 2005-10-06 Method of evaluating flare and apparatus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3644B1 true KR100673644B1 (en) 2007-01-24

Family

ID=38014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4048A KR100673644B1 (en) 2005-10-06 2005-10-06 Method of evaluating flare and apparatus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3644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4368A (en) 1999-01-26 2000-08-04 Canon Inc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optical axis of lens system
JP2001013388A (en) 1999-06-29 2001-01-19 Canon Inc Optical axis adjustment method for lens system and optical axis adjustment device for lens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4368A (en) 1999-01-26 2000-08-04 Canon Inc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optical axis of lens system
JP2001013388A (en) 1999-06-29 2001-01-19 Canon Inc Optical axis adjustment method for lens system and optical axis adjustment device for lens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89812A1 (en) Test system for camera modules
US7924418B2 (en) Inspection apparatus and method
TWI773032B (en) An arched illumination device, an imaging system with the same and a method for imaging
CN110324611B (en) Camera module detection system and detection method
US1105098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fisheye camera shadow correction parameter
JP2018506716A (en) Method and gonioradiometer for measuring at least one characteristic variable relating to illumination or radiation of a light radiation source in a direction-dependent manner
CN105812661B (en) A kind of digital camera uniformity correcting method based on light box and gray card
KR101754108B1 (en) System for measuring vignetting caused by camera lenz
KR100673644B1 (en) Method of evaluating flare and apparatus thereof
WO2023150130A1 (en) Tilt and focusing adjustment for consistent gem imaging
JP2007017400A (en) View angle characteristic measuring method and view angle characteristic measuring device
KR101447857B1 (en) Particle inspectiing apparatus for lens module
JP4598372B2 (en) 3D field for calibration, 3D field for calibration
JP725155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JP7272419B2 (en) image capture device
JP2008211418A (en) Multi-band image capturing method
JP2011029858A (en) Imaging apparatus
KR100710703B1 (en) Inspection system for a measuring plating line width of semiconductor reed frame and thereof method
JP4642889B2 (en) 3D field for calibration, 3D field for calibration
JP2911619B2 (en) Surface defect inspe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iodic pattern
TWI818715B (en) A method for visual inspection of curved objects
JP2019015565A (en) Spectroscopic image acquisition device
KR100529883B1 (en) Apparatus of inspection for image and inspecting method for the same
JP2003298915A (en) Celestial body imaging/image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09198191A (en) Probe card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ng solid-state image 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