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3479B1 - 구강 내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구강 내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3479B1
KR100673479B1 KR1020060042084A KR20060042084A KR100673479B1 KR 100673479 B1 KR100673479 B1 KR 100673479B1 KR 1020060042084 A KR1020060042084 A KR 1020060042084A KR 20060042084 A KR20060042084 A KR 20060042084A KR 100673479 B1 KR100673479 B1 KR 100673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battery
charging
main body
lam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2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형
Original Assignee
(주) 덴토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덴토존 filed Critical (주) 덴토존
Priority to KR1020060042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3479B1/ko
Priority to US12/083,632 priority patent/US20090323370A1/en
Priority to JP2008536479A priority patent/JP2009512174A/ja
Priority to EP06798813A priority patent/EP1948000A4/en
Priority to PCT/KR2006/003730 priority patent/WO200704658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3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3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25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power management
    • A61B1/00027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power management characterised by power supply
    • A61B1/0003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power management characterised by power supply internally powered
    • A61B1/00034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power management characterised by power supply internally powered recharge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10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61B50/18Cupboards; Draw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61L2/202Ozo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장 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그림자 없이 구강 내부나 후두부 내에 조명이 가능하도록 한 구강 내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내 조명장치는 하나 이상의 조명등이 설치되고 입술을 파지하는 한 쌍의 개구홀더, 상기 개구홀더들을 연결하는 링크부 및 상기 조명등을 구동시키기 위해 배터리를 내장하는 바디부를 구비하여 구강 내부와 후두부 내부에 조명을 비추기 위한 개구기와; 상기 개구기의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개구기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는 충전장치와; 상기 개구기를 살균하기 위한 살균장치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구강 내 조명장치{ILLUMINATING APPARATUS IN ORAL CAVI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 내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개구기의 정면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개구기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디부의 내부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의 장치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의 장치 구성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 내 조명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의 또 다른 장치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의 또 다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개구기 110 : 개구홀더
120 : 링크부 130 : 바디부
140 : 전원공급 배선 150 : 조명등
160 : 충전단자 170 : 온오프 스위치
190 : 배터리 195 : 소켓
200 : 충전기 210 : 본체
212 : 슬롯 213 : 스프링형 충전단자
214 : 디스플레이부 215 : 어댑터
216 : 전원부 218 : 감지센서
220 : 커버 222 : 투명창
224 : 살균장치 300 : 큐링 라이트
본 발명은 의료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장 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그림자 없이 구강 내부나 후두부 내에 조명이 가능하도록 한 구강 내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 진료 및 치료는 구강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 때문에 치과 진료 및 치료시에는 구강 내에 빛을 비추기 위한 조명장치가 치과용 유니트 체어에 설치되고 있다. 이와 유사하게 이비인후과 진료 및 치료시 후두부 내에 조명이 필요한 경우에 별도의 조명장치를 이용하여 후두부 내에 빛을 비추고 있다.
그런데, 치과나 이비인후과에서 이용되고 있는 종래의 조명장치에 의해서는 진료자나 진료 기구에 의해 구강 내부나 후두부 내의 조명에서 그림자가 발생하고 있고 구강 내부 조명에서 빛이 조사되지 않는 빛의 사각지역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의 조명장치는 통상 외부 전원과 유선으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치과 진료 및 치료 과정 중에 진료자 및 피진료자 모두에게 불편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장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치과나 이비인후과 진료 및 치료시에 그림자없이 구강 내부나 후두부 내에 조명이 가능하도록 한 구강 내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충전기능 및/또는 살균기능을 구비하는 구강 내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조명장치는 하나 이상의 조명등이 설치되고 입술을 파지하는 한 쌍의 개구홀더, 상기 개구홀더들을 연결하는 링크부 및 상기 조명등을 구동시키기 위해 배터리를 내장하는 바디부를 구비하여 구강 내부와 후두부 내부에 조명을 비추기 위한 개구기와; 상기 개구기의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개구기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는 충전장치와; 상기 개구기를 살균하기 위한 살균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개구기는 향균성 은나노입자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는 저면 일측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의 충전단자와; 상기 충전단자로부터 유입된 전류를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를 수납하고 상기 충전단자와 상기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소켓과; 상기 충전된 전류가 상기 조명등으로 공급되는 것을 스위칭하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를 구비한다.
상기 링크부 내에 배설되어 상기 배터리와 상기 조명등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전원공급 배선을 더 구비한다.
상기 충전장치가 다수 배치되고 상용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충전장치 각각을 구동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위치하는 힌지를 통해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개폐되고 상기 살균장치가 다수 배치되는 커버와; 상기 본체의 전원과 상기 커버의 살균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배선을 더 구비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충전장치 각각이 배설되는 다수의 슬롯과; 상기 커버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개구기의 충전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살균장치의 구동시간을 체크하며 상기 센서의 출력에 따라 상기 커버의 개폐여부를 판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회로로부터의 데이터를 공급받아 상기 개구기의 충전 및 살균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의 전원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과; 상기 전원 케이블을 통해 상기 본체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점등하여 자외선을 발생하는 큐링 라이트를 더 구비한다.
상기 각각의 슬롯 내에는 상기 개구기의 충전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촉 가능한 충전단자들이 설치되고; 상기 슬롯 내의 충전단자 각각에는 스프링이 취부된다.
상기 살균장치는 상기 본체와 대향하는 상기 커버의 안쪽 면에 다수 배치된다.
상기 살균장치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 자외선 램프 및 오존 발생램프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조명장치는 하나 이상의 조명등이 설치되고 입술을 파지하는 한 쌍의 개구홀더, 상기 개구홀더들을 연결하는 링크부 및 상기 조명등을 구동시키기 위해 배터리를 내장하는 바디부를 구비하여 구강 내부와 후두부 내부에 조명을 비추기 위한 개구기와; 상기 개구기의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개구기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는 충전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조명장치는 하나 이상의 조명등이 설치되고 입술을 파지하는 한 쌍의 개구홀더, 상기 개구홀더들을 연결하는 링크부 및 상기 조명등을 구동시키기 위해 배터리를 내장하는 바디부를 구비하여 구강 내부와 후두부 내부에 조명을 비추기 위한 개구기와; 상기 개구기에 근접 배치되어 상기 개구기를 살균하기 위한 살균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 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 내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구강 내 조명장치는 환자의 입술 양쪽을 파지한 상태로 입술의 양측을 벌리는 개구 기구 역할을 함과 동시에 구강 내부와 후두부 내부에 조명을 비추는 조명장치 역할을 겸하는 개구기(100)와, 개구기(100)를 수납하여 충전하거나 살균하는 충전기(200)를 구비한다.
개구기(100)는 다수의 조명등(150)이 설치되는 한 쌍의 개구홀더(110), 한 쌍의 개구홀더(110)가 각각 취부된 한 쌍의 링크부(120), 배터리가 내장되는 바디부(130) 및 전원공급 배선(140)을 구비한다. 이러한 조명기에 대해서는 도 2a 내지 도 4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충전기(200)는 개구기(100)를 충전시키기 위한 본체(210), 본체(210)를 밀폐시키기 위한 커버(220), 및 본체(210)와 커버(220)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230)를 구비한다. 이러한 충전기에서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2a는 개구기의 정면 사시도, 도 2b는 개구기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바디부의 내부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및 도 4는 배터리의 장치구성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링크부(120)의 일측에 취부된 개구홀더(110)는 단면이 U자 형태로 성형되어 환자의 속 입술과 겉 입술을 감싸게 되며, 소프트하고 인체에 무해한 라텍스, 고무, 실리콘 등이 코팅될 수 있다. 입술과 접촉되는 개구홀더(110)의 일측부에는 다수의 조명등(150)이 설치된다. 또한, 개구홀더(110)의 일 측부에는 다수의 조명등(150)과 함께 살균장치(151 : 예를 들어 자외선 LED)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자외선 LED(151)는 구강 내 치료나 시술중에 다수의 조명등(150)과 함께 작동되어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감염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한다. 조명등(150)으로는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이 선택될 수 있고 그 외 공지의 어떠한 조명등도 가능하다. 개구홀더(110)는 인체에 무해한 수지나 플라스틱으로 제작되고 링크부(120) 및 바디부(130)는 개구홀더(110)와 동일 재료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가볍고 탄성이 있는 재료로 제작된다. 특히, 플라스틱 수지등에 은나노 입자가 적당한 비율로 혼합된 후, 성형을 통하여 개구기(100)가 형성되므로 개구홀더(110), 링크부(120) 및 바디부(130)는 항균성 은나노 재질을 띠게 된다.
바디부(130)는 한 쌍의 링크부(120)에 접속되며, 바디부(130)의 저면 일측에는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두 개의 충전단자(16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바디부(130)의 정면 일측에는 조명등(150)의 점멸을 제어하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170)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바디부(130)의 배면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커버(135)가 스크류 체결을 통해 체결된다. 이를 위해 바디커버(135)에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1 스크류 홀(180)들이 형성된다.
또한, 바디부(130)의 내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을 충전 또는 방전시키기 위한 배터리(190), 배터리(190)를 고정시킴과 아울러 충전단자(16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충전단자(160)를 통해 유입된 전원을 배터리(190)로 충전시키기 위한 소켓(195), 및 바디부(130)와 바디커버(135)를 체결하기 위해 관통된 제2 스크류홀(185)이 구비되어 있다. 온-오프 스위치(170)는 스위칭 작용을 통해 배터리(190)에 충전된 전원이 개구홀더(110)의 일측부에 설치된 다수의 조명등(150)으로 공급되는 것을 단속한다. 이를 위해 링크부들(120)의 내부에는 전원공급 배선들(140)이 삽입되며, 전원공급 배선들(140)은 다수의 조명등(150)과 배터리(190)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190)는 전원이 충전 및 방전되는 셀(192)과, 셀(192)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회로(194)와, 셀(192)에 유입되는 전류량과 셀(192)로부터 유출되는 전류량을 계수하기 위한 전류량 계수기(196)를 구비한다. 보호회로(194)는 과전류 및 과전압에 의해 셀(192)이 과충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셀(192)이 과방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계수기(196)는 전원 입출력단자(+,-)를 통해 셀(192)로 유입되거나 셀(192)로부터 유출되는 전류량을 계수하여 계수된 전류량을 통신단자로 전달한다. 통신단자는 본체(210)의 제어부(미도시)로 계수값을 전달하여 제어부로 하여금 본체(210)에 탑재된 배터리의 충방전 상태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게 한다.
도 5는 충전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충전기의 장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충전기(200)는 개구기를 수납하고 이를 충전시키기 위한 본체(210), 본체(210)를 개폐가능하고 본체에 수납된 개구기를 살균처리 하기 위한 커버(220), 및 본체(210)와 커버(220)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230)를 구비한다.
본체(210)는 개구기를 수납하고 이를 충전시키기 위한 다수의 슬롯(212)과, 충전 및 살균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14), 상용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부(216)를 구비한다.
슬롯(212)내에는 개구기(100)의 충전단자(160)에 접촉되는 스프링형 충전단자(213)가 돌출되어 전원부(216)로부터 공급된 전원이 개구기(100)에 충전될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214)는 본체(210)의 전면 하단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하에 충전 및 살균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본체(210)의 측면 하단 일측부에는 전원 케이블(310)을 통해 큐링 라이트(Curing Lighter : 300)가 연결되어 구강내 치료나 시술과정에서 치료재나 시술재를 경화시켜 치아에 접착되도록 한다. 큐링 라이트(300)의 일측에는 전원 온오프 스위치(305)가 설치되며 이러한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큐링 라이트(300)의 작동이 단속된다. 통상 큐링 라이트(300)는 광원으로서 LED(Light Emitting Diode)를 구비하는데, LED는 본체로부터 직류 전원을 인가받아 420 - 480㎚ 파장의 빛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전원 케이블(310)을 통해 본체(210)로부터 유선으로 큐링 라이트(300)를 구동시키는 경우에는 통상의 충전식 큐링 라이트에 비해 발생되는 광의 세기가 증가된 상태에서도 오랜시간동안 일정한 강도로 대상물을 경화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경화처리 시간을 3 sec 내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체(210)는 연결부(230)를 통해 커버(220)와 힌지 결합되며, 이러한 힌지 결합에 의해 커버(220)가 연결부(230)를 중심으로 선회운동할 수 있게 되어 커버(220)의 개폐가 가능하게 된다.
커버(220)는 입체 형상을 띠는 것으로서, 저면부와 배면부가 개방되고 나머지 면들이 밀폐되어 커버(220)의 개폐동작이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커버(220)가 닫 힐때 본체(210)와의 사이에 내부공간을 마련하여 그 내부공간에 개구기(100)가 수납되도록 한다. 커버(220)의 정면부와 평면부의 대부분은 투명창(222)으로 이루어져 커버(220)가 닫히더라도 수납된 개구기(100)를 외부에서 관찰 가능하게 한다. 특히, 평면부 중 수납된 개구기(100)와 대향되는 안쪽면 상에는 다수개의 살균장치(224)가 구비되어 커버(220)의 닫힘과 동시에 자동동작 또는 수동조작에 의해 개구기(100)를 살균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체(210)의 전원과 커버(220)의 살균장치(224)는 도시되지 않은 전기배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살균장치(224)는 자외선 LED 또는 냉음극형광램프를 포함하여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고, 오존 발생기를 포함하여 오존을 발생시키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냉음극형광램프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전원공급장치(인버터)를 필요로 한다. 또한, 오존 발생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공기흡입방 및 배출방, 오존과 혼합된 공기의 유로를 확보하기 위한 공기 순환공, 살균 후 공기를 본체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공, 및 흡입공기용 송풍휀등을 필요로 한다. 여기서, 오존 발생기를 사용하는 대신 오존 발생용 램프를 사용할 수도 있다.
자외선 LED를 포함하여 살균장치를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구강 내 조명장치는 수납된 개구기(100)와 대향되는 커버의 안쪽면 상에 설치된 다수개의 자외선 LED를 구비한다. 충전과정 및 상기 자외선 LED(224-1 내지 224-n)를 이용한 살균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 6을 참조하면, 개구기(100)가 본체의 슬롯(212)에 탑재되면 본체내의 어댑터(215)를 거친 직류 전원은 개구기(100)에 장착된 배터리 의 전원 입출력단자(+,-)를 통해 배터리로 충전이 시작된다. 배터리 내의 계수기(196)는 전원 입출력단자(+,-)를 통해 셀로 유입되거나 셀로부터 유출되는 전류량을 계수하여 계수된 전류량을 통신단자를 통해 제어부(400)로 전달한다. 디스플레이부(214)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충전중/충전완료 정보를 LED 램프의 색깔을 통해 표시한다. 통신단자는 본체(210)의 제어부(미도시)로 계수값을 전달하여 제어부로 하여금 본체(210)에 탑재된 배터리의 충방전 상태를 디스플레이부(214)를 통해 표시하게 한다. 이러한 충전 과정은 도 7과 같이 커버(220)를 닫기 전인 경우에도 가능하며, 또한 도 8과 같이 본체 커버(220)를 닫은 상태에서도 가능하다.
한편, 탑재된 개구기(100)에 대해 충전 중이거나 충전이 완료된 상태에서 개구기(100)를 살균하기 위해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커버(220)를 닫아야 한다. 커버(220)가 닫혀진 뒤 사용자에 의해 디스플레이부(214)에 포함되어 있는 살균동작 입력버튼이 눌러지게 되면, 어댑터(215)로부터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LED 드라이버(223)에 의해 자외선 LED들(224-1 내지 224-n)이 동작되어 개구기에 대한 살균이 시작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214)에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살균 표시 LED 램프가 점등된다. 여기서, 살균시간은 사용자가 입력버튼을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된 살균시간이 완료되면, 자외선 LED(224-1 내지 224-n)는 자동으로 소등되게 되며, 디스플레이부의 살균 표시 LED 램프도 꺼지게 된다. 또한, 자외선 LED들(224-1 내지 224-n)이 작동 중에라도 뚜껑이 열리거나 살균중지 입력버튼이 눌러지게 되면, 제어부(400)는 LED 드라이버(223)의 구 동을 중지시켜 살균동작을 중지시키며, 디스플레이부(214)에도 신호를 공급하여 살균표시 LED 램프가 꺼지게 한다.
자외선 LED들(224-1 내지 224-n)의 살균기능은 개구기(100)의 배터리 충전여부와 관계없이 이루어지며, 개구기(100)의 배터리 충전기능 역시도 살균기능과 관계없이 이루어진다. 또한, 커버(220)가 완전하게 닫혀 있지 않으면, 살균기능의 입력버튼을 눌러도 감지센서(218)의 감지신호를 인가받은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LED 드라이버(223)는 구동되지 않으며, 사용자에게 이를 알려주기 위해 제어부(400)는 살균표시 LED 램프가 점멸 동작되도록 제어한다.
정상적으로 충전 및 살균이 완료되면 제어부(400)는 이를 감지하여 충전회로 및 LED 드라이버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이들을 오프 상태로 만들며 디스플레이부에도 제어신호를 보내 충전완료 LED 램프 및 살균완료 LED 램프가 점등되게 한다. 사용자가 커버를 열고 개구기를 꺼내면 제어부는 이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신호를 보내 상기 두 종류의 램프를 모두 오프시킨다.
자외선 램프를 포함하여 살균장치를 구현하는 경우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외선 LED(224-1 내지 224-n)대신에 자외선 램프(324-1 내지 324-n), LED 드라이버(223) 대신에 램프구동부(323)를 구비하며 그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자외선 LED(224-1 내지 224-n)를 포함하여 살균장치를 구현하는 경우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도면 부호만 새로 붙이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이와 같은 살균장치(424)는 커버(220)의 안쪽 면에 설치되는 대신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10)의 일 측면 즉, 슬롯(212)과 슬롯(212)사이에 다수 개 배치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강내 조명장치는 환자의 입술 양쪽을 파지한 상태로 입술의 양측을 벌리고 배터리가 내장되어 구강 내부와 후두부 내부에 조명을 비추는 개구기와, 개구기를 수납하여 충전 및/또는 살균하는 충전기를 구비함으로써, 치과나 이비인후과 진료 및 치료시에 간편하면서도 그림자없이 구강 내부나 후두부 내에 조명이 가능하게 하여 경제성, 실용성 및 편리성 면에서 보다 뛰어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강내 조명장치는 개구기 충전시 개구기에 대한 살균처리도 병행함으로써 개구기상에 존재하는 세균, 병원균, 바이러스등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4)

  1. 하나 이상의 조명등이 설치되고 입술을 파지하는 한 쌍의 개구홀더, 상기 개구홀더들을 연결하는 링크부 및 상기 조명등을 구동시키기 위해 배터리를 내장하는 바디부를 구비하여 구강 내부와 후두부 내부에 조명을 비추기 위한 개구기와;
    상기 개구기의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개구기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는 충전장치와;
    상기 개구기를 살균하기 위한 살균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내 조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기는,
    향균성 은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내 조명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저면 일측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의 충전단자와;
    상기 충전단자로부터 유입된 전류를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를 수납하고 상기 충전단자와 상기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소켓과;
    상기 충전된 전류가 상기 조명등으로 공급되는 것을 스위칭하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내 조명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 내에 배설되어 상기 배터리와 상기 조명등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전원공급 배선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구강 내 조명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장치가 다수 배치되고 상용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충전장치 각각을 구동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위치하는 힌지를 통해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개폐되고 상기 살균장치가 다수 배치되는 커버와;
    상기 본체의 전원과 상기 커버의 살균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배선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내 조명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충전장치 각각이 배설되는 다수의 슬롯과;
    상기 커버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개구기의 충전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살균장치의 구동시간을 체크하며 상기 센서의 출력에 따라 상기 커버의 개폐여부를 판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회로로부터의 데이터를 공급받아 상기 개구기의 충전 및 살균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내 조명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원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과;
    상기 전원 케이블을 통해 상기 본체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점등하여 자외선을 발생하는 큐링 라이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내 조명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슬롯 내에는 상기 개구기의 충전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촉 가능한 충전단자들이 설치되고;
    상기 슬롯 내의 충전단자 각각은 스프링이 취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내 조명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장치는 상기 본체와 대향하는 상기 커버의 안쪽 면에 다수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내 조명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장치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 자외선 램프 및 오존 발생램프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내 조명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홀더에는 상기 다수의 조명등과 함께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내 조명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장치가 다수 배치되고 상용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충전장치 각각을 구동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위치하는 힌지를 통해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개폐되는 커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살균장치는 상기 본체의 일 측에 다수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내 조명장치.
  13. 하나 이상의 조명등이 설치되고 입술을 파지하는 한 쌍의 개구홀더, 상기 개구홀더들을 연결하는 링크부 및 상기 조명등을 구동시키기 위해 배터리를 내장하는 바디부를 구비하여 구강 내부와 후두부 내부에 조명을 비추기 위한 개구기와;
    상기 개구기의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개구기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는 충전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내 조명장치.
  14. 하나 이상의 조명등이 설치되고 입술을 파지하는 한 쌍의 개구홀더, 상기 개구홀더들을 연결하는 링크부 및 상기 조명등을 구동시키기 위해 배터리를 내장하는 바디부를 구비하여 구강 내부와 후두부 내부에 조명을 비추기 위한 개구기와;
    상기 개구기에 근접 배치되어 상기 개구기를 살균하기 위한 살균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내 조명장치.
KR1020060042084A 2005-10-17 2006-05-10 구강 내 조명장치 KR100673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2084A KR100673479B1 (ko) 2006-05-10 2006-05-10 구강 내 조명장치
US12/083,632 US20090323370A1 (en) 2005-10-17 2006-09-20 Intraoral Illuminating Apparatus
JP2008536479A JP2009512174A (ja) 2005-10-17 2006-09-20 口腔照明装置
EP06798813A EP1948000A4 (en) 2005-10-17 2006-09-20 INTRAORAL LIGHTING DEVICE
PCT/KR2006/003730 WO2007046585A1 (en) 2005-10-17 2006-09-20 Intraoral illumin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2084A KR100673479B1 (ko) 2006-05-10 2006-05-10 구강 내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3479B1 true KR100673479B1 (ko) 2007-01-24

Family

ID=38014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2084A KR100673479B1 (ko) 2005-10-17 2006-05-10 구강 내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347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886B1 (ko) 2007-06-26 2008-02-12 (주) 덴토존 구강 조명장치
KR101000514B1 (ko) 2009-11-24 2010-12-14 (주) 덴토존 바이트블럭을 이용한 led 구강조명기
KR102202715B1 (ko) * 2020-09-18 2021-01-12 최정윤 입술 필러 주입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886B1 (ko) 2007-06-26 2008-02-12 (주) 덴토존 구강 조명장치
KR101000514B1 (ko) 2009-11-24 2010-12-14 (주) 덴토존 바이트블럭을 이용한 led 구강조명기
WO2011065707A2 (ko) 2009-11-24 2011-06-03 (주) 덴토존 바이트블럭을 이용한 led 구강조명기
KR102202715B1 (ko) * 2020-09-18 2021-01-12 최정윤 입술 필러 주입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61510B2 (ja) バイトブロックを用いたled口腔照明器
JP2009512174A (ja) 口腔照明装置
KR101362704B1 (ko) 구강 살균 장치
US20050239018A1 (en) Intraoral bite spacer and illumination apparatus
US20080233541A1 (en) Method and Device for Enhancing the Treatment of Teeth and Gums
US20200253465A1 (en) Lighted Bite Block
WO2011152585A1 (ko) 이동식 치주질환 광치료장치
US20130045457A1 (en) Lighting Device for Teeth Whitening
JP2020513943A (ja) 光硬化デンタルシステム
CN206910530U (zh) 一种多功能牙刷消毒器
KR20130034068A (ko) 치과용 의료기기에 탈 부착되는 구강용 조명장치
US20210345767A1 (en) Disinfecting toothbrush box
KR101650845B1 (ko) 다목적 의료용 광조사 장치
KR100673479B1 (ko) 구강 내 조명장치
KR100801887B1 (ko) 구강 개구 홀더를 이용한 치아미백기
KR100423950B1 (ko) 유에스비 포트를 내장한 휴대용 칫솔 살균 장치
WO2005107637A1 (en) Method and device for enhancing the treatment of teeth and gums
KR20090025997A (ko) 바이트블록을 이용한 구강 내 조명기구
KR20090031645A (ko) 구강 내 수술조명기구
CN210872172U (zh) 一种牙刷盒
US20150349544A1 (en) Lighting systems for medical use
KR20130084187A (ko) 엘이디를 이용한 포터블 구강검진기
KR20200108800A (ko) 의료기구 살균장치
US20050189907A1 (en) Charger of an electric hair cutter having sterilization means
CN213097633U (zh) 多功能杀菌牙刷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