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2255B1 - 디스펜서의 수평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펜서의 수평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2255B1
KR100672255B1 KR1020050084338A KR20050084338A KR100672255B1 KR 100672255 B1 KR100672255 B1 KR 100672255B1 KR 1020050084338 A KR1020050084338 A KR 1020050084338A KR 20050084338 A KR20050084338 A KR 20050084338A KR 100672255 B1 KR100672255 B1 KR 100672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dispenser
support blocks
stage bas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4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50084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22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2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2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21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substrates to be conveyed not being semiconductor wafers or large planar substrates, e.g. chips, lead fram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4Optical Diode
    • H01L2924/12044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펜서의 수평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소정의 면적을 갖는 스테이지 베이스와, 상기 스테이지 베이스위에 배열되는 복수개의 지지 블록들과, 헤드 유니트에 구비된 노즐과 함께 움직이면서 상기 지지 블록들에 놓여지는 트레이와 노즐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간격들의 차에 따라 그 지지 블록을 상하로 움직이면서 그 지지 블록에 놓여진 트레이의 수평도를 조절하는 복수 개의 상하 구동유닛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은 보호 캡들이 배열된 트레이의 수평도를 보다 정밀하게 맞추게 될 뿐만 아니라 그 트레이의 수평을 맞추는 작업을 쉽고 간단하게 됨으로써 그 보호 캡들에 도포되는 실런트를 정확하게 도포하여 도포 불량율을 감소시키고 도포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스펜서의 수평 조절장치{DEVICE CONTROLLING HORIZONTALITY FOR DISPENSER}
도 1은 단위 셀이 배열된 글라스와 보호 캡 그리고 트레이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디스펜서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4는 상기 디스펜서를 구성하는 종래 디스펜서 및 헤드 유니트를 도시한 평면도 및 정면도,
도 5, 6은 본 발명의 디스펜서 수평 조절장치의 일실시예가 구비된 디스펜서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 및 정면도,
도 7은 상기 디스펜서 수평 조절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710; 스테이지 베이스 720; 지지 블록
730; 센서 740; 리니어 모션 모터
750; 연결 유닛 C; 보호 캡
D; 상하 구동유닛 T; 트레이
본 발명은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호 캡들이 배열된 트레이의 수평도를 정밀하게 맞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트레이의 수평을 맞추는 작업을 쉽고 간단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디스펜서의 수평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는 디스플레이 소자로서, 유기물(저분자 또는 고분자) 박막에 음극과 양극을 통하여 주입된 전자(electron)와 정공(hole)이 재결합(recombination)하면서 여기 분자(exciton)가 생성되며, 이때 여기 분자로부터의 에너지에 의해 특정한 파장의 빛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이용하여 원하는 디스플레이를 표시하게 된다.
상기 유기발광 다이오드는 일명, OELD(Organic Electroluminessent Device)라고도 하며, 이하에서 유기전계발광소자라고 한다.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일예로,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소정 면적을 갖는 글라스에 투명 양전극층이 형성된 아이티오 글라스(Indium-Tin Oxide Glass)와, 상기 아이티오 글라스의 투명 양전극층에 이어 형성된 유기 EL층(Organic Electroluminessent Layer)과, 상기 유기 EL층에 이어 형성된 음전극막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되고 있으며, 그 제작 방법은 보통,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면적을 갖는 글라스(1)위에 반도체 제조 공정으로 투명 양전극층과 유기 EL층 그리고 음전극막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글라스에는 상기 투명 양전극층과 유기 EL층 그리고 음전극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단 위 셀(2)들이 배열되며, 그 단위 셀(2)들을 기준으로 글라스(1)를 각각 절단하여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를 구성하는 단위 셀 소자를 제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글라스(1)에 형성된 각 단위 셀(2), 즉 유기 EL층과 음전극막 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소정 형상의 보호 캡(C)들이 그 각 단위 셀(2)을 복개하도록 상기 글라스(1)에 부착된다. 상기 보호 캡(C)은 소정 형상의 금속 판으로 형성된 메탈 캔(3)과 그 메탈 캔(3)내에 부착되어 습기를 제거하는 게더(Getter)(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호 캡(C)들을 상기 글라스(1)에 부착시 그 보호 캡(C)들을 다수 개 배열할 수 있는 트레이(T)에 그 보호 캡(C)들을 배열하고 그 트레이(T)에 배열된 보호 캡(C)들에 각각 실런트(Sealant)(5)를 도포한 다음 공정 라인에 구비된 합착 장비를 이용하여 그 트레이(T)에 배열된 보호 캡(C)들을 글라스(1)에 부착하게 된다.
한편, 상기 트레이(T)에 배열된 다수개의 보호 캡(C)에 실런트(5)를 도포하는 공정은 공정 라인에 구비된 디스펜서에 의해 진행된다.
도 2는 디스펜서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를 참조하여 디스펜서가 트레이(T)에 배열된 보호 캡(C)들에 실런트(5)를 도포하는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프레임(100)위에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테이지(200)에 다수 개의 보호 캡(C)들이 배열된 트레이(T)가 안착된다. 그리고 미리 입력된 패턴에 따라 그 스테이지(200) 위쪽에 위치하는 헤드 유니트(300)의 노즐(310)에서 실런트가 디스펜싱되어 그 트레이(T)에 배열된 다수개의 보호 캡(C)들에 각각 실런트 가 도포된다.
상기 헤드 유니트(300)에 구비된 노즐(310)은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에 직선 왕복 움직임 가능하게 장착된 헤드 지지대(400)의 이동과 상기 헤드 지지대(400)에 직선 왕복 움직임 가능하게 장착되는 헤드 유니트(300)의 이동에 의해 미리 입력된 패턴으로 움직이게 되며, 그 헤드 지지대(400)의 이동 방향과 헤드 유니트(300)의 이동 방향은 서로 직교하게 된다.
미설명 부호 500은 가이드 부재이고, 600은 고정 테이블이다.
상기 디스펜서에서 트레이(T)에 배열된 보호 캡(C)들에 실런트(5)가 패터닝되는 과정에서 상기 보호 캡(C)에 도포된 실런트(5)의 패턴이 미리 입력된 패턴과 정확하게 일치되어야 한다. 실런트(5)가 보호 캡(C)들 위에 미리 입력된 패턴대로 정확하게 도포되기 위하여 노즐(310)이 움직이는 위치마다 그 노즐(310)과 보호 캡(C)의 상면, 즉 실런트(5)가 도포되는 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전제조건으로 상기 보호 캡(C)이 배열된 트레이(T)가 스테이지(200)에 안착시 그 트레이(T)가 수평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며 그 트레이(T)의 수평 상태는 헤드 유니트(300)에 구비되는 다이얼 게이지에 의해 측정된다.
상기 트레이(T)가 안착되는 스테이지의 종래 구조는, 도 3,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두께와 면적을 갖는 스테이지 베이스(210)와, 상기 스테이지 베이스(210)의 상면에 상기 트레이(T)를 지지할 수 있도록 배열되는 복수 개의 지지 블록(220)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 블록(220)들은 4개로 구성되어 사각형을 이루도록 스테이지 베이 스(210)에 배열되며 그 지지 블록(220)들의 상면 내측 모서리에 트레이(T)의 각 모서리가 지지되는 안착홈(221)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지지 블록(220)들은 복수 개의 체결 볼트(222)들에 의해 고정되며, 그 스테이지 베이스(210)와 지지 블록(220)사이에 그 지지 블록(220)의 높이를 조절하는 갭 게이지(23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미설명 부호 400은 헤드 지지대이다.
이와 같은 디스펜서의 스테이지(200)는 보호 캡(C)들이 배열된 트레이(T)가 그 지지 블록(220)들의 안착홈(221)에 놓여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 유니트(300)를 움직이면서 그 헤드 유니트(300)측에 구비된 다이얼 게이지(240)를 통해 상기 스테이지의 지지 블록(220)들 위에 안착된 트레이(T)의 수평도(일명 평탄도라고도 함)를 측정하게 된다. 그 트레이(T)의 수평 상태가 허용 오차 범위내에 있으면 상기 헤드 유니트(300)를 구성하는 노즐(310)를 통해 실런트를 토출시켜 그 트레이(T)에 배열된 보호 캡(C)들에 설정된 패턴대로 도포하게 된다.
또한 상기 노즐(310)을 통해 실런트를 토출시켜 트레이(T)에 배열된 보호 캡(C)들에 도포하는 작업중에도 그 헤드 유니트(300)에 구비된 간격 측정 센서(250)에 의해 노즐(310)과 보호 캡(C)의 도포면사이의 간격을 측정하게 된다.
만일, 상기 다이얼 게이지(240)에 의해 트레이(T)의 수평 상태를 측정시 그 수평 상태가 허용 오차 범위이상이 되면 기울어진 부분에 위치하는 지지 블록(220)과 스테이지 베이스(210)사이에 갭 게이지(230)를 삽입하여 그 지지 블록(220)의 높이를 높임에 의해 그 트레이(T)의 수평 상태를 조절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 기 실런트를 보호 캡(C)의 도포면에 도포하는 과정에서 그 간격 측정 센서(250)에 의해 감지되는 간격이 일정하지 않게 될 경우 다이얼 게이지(240)로 트레이(T)의 수평 상태를 측정한 다음 갭 게이지(230)를 이용하여 그 경사진 높이만큼 보정함에 의해 그 트레이(T)의 수평 상태를 허용 오차 범위로 조절하게 된다. 상기 스테이지의 지지 블록(220)들에 안착되는 트레이(T)의 수평도에 오차가 발생되는 경우는 스테이지의 가공 및 결합 오차에 의해 발생되거나 트레이(T)의 지속적인 로딩 및 언로딩에 의한 마모 등에 의해 발생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는 상기 스테이지의 지지 블록(220)들위에 안착된 트레이(T)를 다이얼 게이지(240)를 이용하여 수평도를 측정한 후 그 수평도가 허용 오차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관리자가 갭 게이지(230)를 이용하여 오차를 보정하면서 트레이(T)의 수평도를 맞추게 되므로 트레이(T)의 수평을 맞추기 위한 작업이 매우 어렵게 될 뿐만 아니라 그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관리자가 트레이(T)를 수작업으로 수평을 맞추게 되므로 트레이(T)의 수평도를 보다 정밀하게 맞추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보호 캡들이 배열된 트레이의 수평을 맞추는 작업을 쉽고 간단하게 할 뿐만 아니라 트레이의 수평도를 보다 정밀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한 디스펜서의 수평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소정의 면적을 갖는 스테이지 베이스와, 상기 스테이지 베이스위에 배열되는 복수개의 지지 블록들과, 헤드 유니트에 구비된 노즐과 함께 움직이면서 상기 지지 블록들에 놓여지는 물체와 노즐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간격들의 차에 따라 그 지지 블록을 각각 상하로 움직이면서 그 지지 블록에 놓여진 물체의 수평도를 조절하는 복수 개의 상하 구동유닛들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의 수평 조절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디스펜서의 수평 조절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디스펜서의 수평 조절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상기 디스펜서의 수평 조절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펜서의 수평 조절장치는 디스펜서를 구성하는 프레임에 장착되는 스테이지 베이스(710)와, 그 스테이지 베이스(710)위에 배열되는 복수 개의 지지 블록(720)들과, 디스펜서를 구성하는 헤드 유니트(300)에 구비된 노즐(310)과 함께 움직이면서 상기 지지 블록(720)들에 놓여지는 트레이(T)와 노즐(310)의 높이를 측정하는 센서(730)와, 상기 지지 블록(720)을 각각 상하로 움직이면서 그 지지 블록(720)에 놓여진 트레이(T)의 수평도를 조절하는 복수 개의 상하 구동유닛(D)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테이지 베이스(710)는 소정의 두께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 베이스부(711)와, 그 베이스부(711)에 형성되어 상기 상하 구동유닛(D)이 장착되는 복수 개 의 장착부(712)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 개의 장착부(712)들은 상기 지지 블록(720)들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지지 블록(720)들은 4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그 4개의 지지 블록(720)들은 사각 형태를 이루도록 상기 스테이지 베이스(710)에 배열된다. 상기 지지 블록(720)은 육면체 형태로 형성된 몸체부(721)와, 그 몸체부(721)의 상면 일측 모서리에 형성된 안착홈(7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4개의 지지 블록(720)들은 서로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하 구동유닛(D)들은 상기 스테이지 베이스(710)의 장착부(712)들에 각각 장착되어 직선 왕복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리니어 모션 모터(740)와, 상기 리니어 모션 모터(740)의 모터축(741)과 상기 지지 블록(720)을 연결하여 그 리니어 모션 모터(740)의 구동력을 지지 블록(720)에 전달하는 연결 유닛(7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 유닛(750)은 소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모터축(741)과 결합되는 브라켓(751)과, 그 브라켓(751)과 지지 블록(720)을 체결하는 다수개의 볼트(752)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헤드 유니트(300)는 노즐(31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그 헤드 유니트(300)는 도 2에 도시된 프레임(100)위에 직선 왕복 움직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센서(730)는 상기 헤드 유니트(300)에 장착된다.
상기 트레이(T)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다수개의 보호 캡(C)들이 배열된다. 상기 트레이(T)는 그 네모서리가 상기 지지 블록(720)들의 안착홈(722)에 안착됨에 의해 그 지지 블록(720)들에 의해 지지된다.
한편, 상기 지지 블록(720)들에 지지되는 물체는 트레이(T) 이외에 다른 작업 물체가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디스펜서의 수평 조절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지지 블록(720)들위에 다수개의 보호 캡(C)들이 배열된 트레이(T)가 안착된다. 그리고 헤드 유니트(300)에 구비된 센서(730)를 이용하여 그 지지 블록(720)들에 안착된 트레이(T)의 수평도를 측정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센서(730)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 블록(720)들에 안착된 트레이(T) 각 모서리의 임의의 위치에서 노즐(310)과 트레이(T)사이의 간격들을 각각 측정하고 그 측정된 노즐(310)과 트레이(T)사이의 간격들 차를 비교하여 트레이(T)의 수평도를 측정하게 된다.
상기 센서(730)를 이용하여 트레이(T)의 수평도를 측정한 결과 그 트레이(T)가 경사진 상태이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하 구동유닛(D)들을 각각 작동시켜 지지 블록(720)들을 상하로 움직이면서 그 지지 블록(720)들에 안착된 트레이(T)의 수평도를 조절하게 된다. 즉, 노즐(310)과 트레이(T)사이의 간격이 큰 부분에 위치하는 지지 블록(720)을 상하 구동유닛(D)을 이용하여 위로 올리면서 트레이(T)의 수평도를 맞추게 된다.
상기 센서(730)에 의해 측정된 노즐(310)과 트레이(T)사이의 간격들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그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하 구동유닛(D)을 제어하는 과정은 마이콤(미도시)에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 블록(720)들에 안착된 트레이(T)의 수평도를 맞춘 후 설정된 패턴 에 따라 노즐(310)이 움직이면서 그 노즐(310)을 통해 실런트를 토출시켜 그 트레이(T)에 배열된 보호 캡(C)들에 실런트를 도포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노즐(310)이 설정된 패턴으로 움직이면서 실런트를 보호 캡(C)들에 도포하는 과정에서 상기 센서(730)가 노즐(310)과 함께 움직이게 되며 그 센서(730)가 노즐(310)과 함께 움직이면서 노즐(310)과 트레이(T)사이의 간격을 측정하게 된다. 그리고 그 측정된 테이터들을 비교하여 트레이(T)의 수평 상태를 측정하게 된다. 상기 지지 블록(720)들에 안착된 트레이(T)의 수평도가 오차 범위에서 벗어나게 되면 그 지지 블록(720)들을 각각 상하로 움직이는 상하 구동유닛(D)들을 작동시켜 그 지지 블록(720)들에 안착된 트레이(T)의 수평도를 조절하면서 허용 오차 범위내로 맞추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지 블록(720)들에 안착된 트레이(T)의 수평도가 오차 범위에서 벗어나게 되면 그 지지 블록(720)들을 각각 상하로 움직이는 상하 구동유닛(D)들을 작동하여 그 트레이(T)의 수평도를 조절하게 되므로 트레이(T)의 수평도를 설정된 값에 일치하게 정확하게 맞출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센서(730)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에 의해 상하 구동유닛(D)들을 작동시켜 지지 블록(720)들에 안착된 트레이(T)의 수평도를 조절하게 되므로 트레이(T)의 수평도를 맞추는 작업이 쉽고 간단하게 될 뿐만 아니라 그 트레이(T)의 수평도를 맞추는 시간이 짧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펜서 수평 조절장치는 디스펜서에 놓여지는 트레이의 수평도를 수작업으로 조절할 때보다 보다 정밀하게 맞추게 되므로 그 트레이에 배열된 보호 캡에 설정된 패턴대로 실런트를 정확하게 도포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글라스의 단위 셀을 복개하도록 그 글라스에 보호 캡들을 부착시 불량율을 감소시켜 제품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트레이의 수평도를 맞추는 작업이 쉽고 간단하게 될 뿐만 아니라 트레이의 수평도를 맞추는 시간이 짧게 되어 실런트의 도포 공정이 효율적으로 진행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소정의 면적을 갖는 스테이지 베이스와;
    상기 스테이지 베이스위에 배열되는 복수개의 지지 블록들과;
    헤드 유니트에 구비된 노즐과 함께 움직이면서 상기 지지 블록들에 놓여지는 물체와 노즐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간격들의 차에 따라 그 지지 블록을 상하로 움직이면서 그 지지 블록에 놓여진 물체의 수평도를 조절하는 복수 개의 상하 구동유닛들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의 수평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구동유닛은 상기 스테이지 베이스에 장착되어 직선 운동력을 발생시키는 리니어 모션 모터와, 상기 리니어 모션 모터의 모터축과 상기 지지 블록을 연결하여 그 리니어 모션 모터의 구동력을 지지 블록에 전달하는 연결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의 수평 조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구동유닛들은 스테이지 베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의 수평 조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블록들은 4개로 구성되며 그 4개의 지지 블록들은 사각 형태를 이루도록 스테이지 베이스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 서의 수평 조절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블록들에 놓여지는 물체는 보호 캡들이 배열된 트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의 수평 조절장치.
KR1020050084338A 2005-09-09 2005-09-09 디스펜서의 수평 조절장치 KR100672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338A KR100672255B1 (ko) 2005-09-09 2005-09-09 디스펜서의 수평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338A KR100672255B1 (ko) 2005-09-09 2005-09-09 디스펜서의 수평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2255B1 true KR100672255B1 (ko) 2007-01-24

Family

ID=38014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4338A KR100672255B1 (ko) 2005-09-09 2005-09-09 디스펜서의 수평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225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607B1 (ko) * 2008-09-19 2015-03-05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페이스트 패턴의 검사대상부분을 선정하는 방법
CN107632496A (zh) * 2017-08-31 2018-01-26 无锡英普林纳米科技有限公司 一种采用对位机构的纳米压印设备
KR20200046474A (ko) * 2018-10-24 2020-05-07 (주)이티에스 원통형 이차전지 핸들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607B1 (ko) * 2008-09-19 2015-03-05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페이스트 패턴의 검사대상부분을 선정하는 방법
CN107632496A (zh) * 2017-08-31 2018-01-26 无锡英普林纳米科技有限公司 一种采用对位机构的纳米压印设备
KR20200046474A (ko) * 2018-10-24 2020-05-07 (주)이티에스 원통형 이차전지 핸들러
KR102162937B1 (ko) * 2018-10-24 2020-10-07 (주)이티에스 원통형 이차전지 핸들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3532B1 (ko) 기판 합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 합착방법
KR100752237B1 (ko)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노즐과 갭 센서 사이의 거리 측정방법
KR100672255B1 (ko) 디스펜서의 수평 조절장치
CN109811311B (zh) 成膜装置、成膜方法以及电子器件的制造方法
KR20140137873A (ko) 글라스와 마스크의 정렬장치
KR20190064081A (ko) 패널 합착 장치 및 방법
KR20070074269A (ko) 페이스트 도포장치의 디스펜스 헤드
KR100592382B1 (ko)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표시소자의 바코드 마킹방법
KR101408644B1 (ko) 합착기판의 스테이지 평탄도 보정장치
KR101528456B1 (ko)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KR20080065745A (ko) 레이저 실링 장치 및 레이저 실링 방법
KR20170079491A (ko) 하향식 기판 레이저 에칭 장치
JP2023121257A (ja) レベル調整機構及びレベル調整システム
KR20150053593A (ko) 평면디스플레이용 화학 기상 증착장치
KR102003229B1 (ko) 레이저 드릴링 겸용 에칭장치
KR102041321B1 (ko)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KR20130060944A (ko) 도포장치
KR20180091295A (ko) 도포 장치
KR100842182B1 (ko) 기판과 마스크를 얼라인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641446B1 (ko) 디스펜싱 장치
KR101727980B1 (ko) 평판 디스플레이 셀의 실란트 도포 장치
KR102008685B1 (ko)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KR102103216B1 (ko) 레이저를 이용한 기판 처리장치
KR100649982B1 (ko) 보호 캡 합착 공정 라인 및 그를 이용한 보호 캡 합착 방법
KR100634834B1 (ko) 스크라이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