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1761B1 - Orthodontic supporting structure - Google Patents

Orthodontic supporting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1761B1
KR100671761B1 KR1020000084661A KR20000084661A KR100671761B1 KR 100671761 B1 KR100671761 B1 KR 100671761B1 KR 1020000084661 A KR1020000084661 A KR 1020000084661A KR 20000084661 A KR20000084661 A KR 20000084661A KR 100671761 B1 KR100671761 B1 KR 100671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mplant
support structure
orthodontic
impla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46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062832A (en
Inventor
카노미류조
나카가와가츠유키
신요시하루
Original Assignee
덴츠플라이-산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75204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706517B2/en
Application filed by 덴츠플라이-산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덴츠플라이-산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62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28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1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17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61C7/22Tension adjus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6Implants for use in orthodont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Prostheses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Abstract

PURPOSE: To provide a dentition orthodontic support having good handleability to solve a problem of a difficult treating operation due to a dentition orthodontic treatment to be conducted in a narrow space of a mouth. CONSTITUTION: The dentition orthodontic support comprises an implanting member 21 embedded in a jaw, and a coupling member 22 having an arm 14 with a connecting part 15. The member 21 has a necked part 28 at its head 17. The member 22 has an engaging part 26 including an open part 16a at one side, and the part 26 can be engaged with the part 28. In this case, the part 26 is slid along the part 28 of the member 21, and fixed by caulking its tip part 26b. Thus, its mounting method is simple.

Description

치아교정 지지구조물{ORTHODONTIC SUPPORTING STRUCTURE}Orthodontic Support Structures {ORTHODONTIC SUPPORTING STRUCTURE}

도1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의 연결유닛의 사시도이다;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ng unit of an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b는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물의 이식유닛의 사시도이다;1B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mplant unit of a suppor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2a 및 도2b는 제1실시예의 연결유닛이 이식유닛에 장착하는 방법을 예시한 다이어그램이다;2A and 2B are diagrams illustrating how the connecting unit of the first embodiment is mounted to the transplant unit;

도3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의 연결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ng unit of the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b는 제2실시예에 따른 지지물의 이식유닛의 사시도이다;3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mplant unit of the suppor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4는 제2실시예의 연결유닛을 이식유닛에 장착하는 방법을 예시한 정면도이다;4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mounting the connecting unit of the second embodiment to the transplant unit;

도5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의 상면도이다;Fig. 5A is a top view of the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b는 제3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의 측면도이다;5B is a side view of the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6a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의 연결유닛의 상면도이다;6A is a top view of the connecting unit of the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b는 제4실시예에 따른 이식유닛의 상면도이다;6B is a top view of the implant uni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도6c는 제4실시예에 따른 이식유닛의 측면도이다; 6C is a side view of the implant uni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도7a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의 연결유닛의 상면도이다;7A is a top view of the connecting unit of the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b는 제5실시예에 따른 이식유닛의 상면도이다;7B is a top view of the implant unit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도7c는 제5실시예에 따른 이식유닛의 측면도이다;7C is a side view of the implant unit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도8a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의 상면도이다;8A is a top view of the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8b는 도8a의 라인 8B-8B를 따라 취한 제6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의 단면도이다;FIG. 8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taken along line 8B-8B in FIG. 8A;

도9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의 연결유닛의 상면도이다;9 is a top view of the connecting unit of the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0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의 연결유닛의 상면도이다;10 is a top view of a connection unit of the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1은 본 발명의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을 사용한 제1치료 실시예를 예시한 다이어그램이다;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treatment embodiment using the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2는 본 발명의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을 사용한 제2치료 실시예를 예시한 다이어그램이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treatment embodiment using the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3은 본 발명의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을 사용한 제3치료 실시예를 예시한 다이어그램이다;Figure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hird treatment embodiment using the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4는 본 발명의 2개의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을 사용한 제4치료 실시예를 예시한 다이어그램이다;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ourth treatment embodiment using two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5는 본 발명의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을 사용한 제5치료 실시예를 예시한 다이어그램이다; 그리고Figure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fth treatment embodiment using the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1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의 이식유닛의 헤드의 수평 단면도이다;Figure 16 is a horizontal cross sectional view of a head of an implant unit of an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치아교정치료에서 부적합하게 위치한 치아의 재배치 또는 이동을 위한 지지점을 제공하는 불규칙한 치아교정 지지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irregular orthodontic supports that provide support points for repositioning or moving teeth that are inappropriately positioned in orthodontic treatment.

빽빽한 치아, 역교합 또는 입술쪽으로 앞니의 경사와 같은 치아의 불규칙성을 교정하기 위한 치아교정치료는 대중화되고 있다.Orthodontic treatments for correcting tooth irregularities such as dense teeth, inverse bite or inclination of the incisors toward the lips are becoming popular.

치아교정치료의 가장 대중적인 방법 중 하나는, 교정치아 전체에 걸쳐 달성되도록 치아는 적합한 위치 및 방향을 취하도록 조절되어, 예컨대, 브래킷을 통해 궁상와이어를 통과시켜, 접착제로 개개의 치아의 표면에 브래킷을 고정하는 단계와, 궁상 와이어의 탄성에 의해 야기된 복원력을 사용하여 치아에 누름, 당김, 비틈력과 같은 외부력(이하 이 명세서에서 교정력으로 칭함)을 가하여 개개의 치아가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이하 상대적 이동 치아교정치료로 칭한다.One of the most popular methods of orthodontic treatment is that the teeth are adjusted to take the proper position and orientation so that they are achieved throughout the orthodontic teeth, for example, by passing the arch wire through the brackets to the surface of the individual teeth with an adhesive. Securing the bracket, and using the restoring force caused by the elasticity of the arch wire to apply an external for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orthodontic force) to the tooth, thereby causing the individual teeth to move relatively. Steps. This method is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lative mobile orthodontic treatment.

이런 상대적 이동 치아교정치료에서, 어금니, 특히 첫번째 어금니는 크고 이동이 어려워 대부분의 경우 고정원으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어금니는 조금도 이동하지 않는다는 것은 과언이다. 사실, 치아교정치료의 결과로서 정확한 위치에 위치된 어금니는 어떤 경우에 변경된다. 그와는 반대로, 소망하는 위치로 어금니가 긍정적으로 이동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에 있어서, 치아교정치료는 치아교정을 위해 복잡한 이동과 테크닉을 포함하여 환자에게 심한 고통을 부여하는, 연장된 기간을 요구한다.In these relative orthodontic treatments, the molars, especially the first molars, are large and difficult to move and are used as anchors in most cases. However, it is an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molar does not move at all. In fact, the molar placed in the correct position as a result of orthodontic treatment is in some cases altered. On the contrary, the molar may move positively to the desired position. In this case, orthodontic treatment requires an extended period of time for severe orthodontic treatment of the patient, including complex movements and techniques for orthodontic treatment.

상대적 이동 치아교정치료의 다른 방법은 외구강 고정을 사용하는 것으로, 예컨대, 환자의 머리를 고정원으로 사용한다. 그러나, 외구강 고정장치의 착용은 환자의 일상 생활에 크게 영향을 미쳐 외구강 고정 교정장치는 환자에게 심각한 정신적 고통과 스트레스를 부여한다.Another method of relative mobility orthodontic treatment is to use external oral fixation, eg, using the patient's head as a fixation source. However, the wearing of the external oral fixation device greatly affects the daily life of the patient, and the external oral fixation device gives severe mental pain and stress to the patient.

또한, 상기 상대적 이동 치아교정치료 방법은 1개의 치아의 위치교정에 부적합하다.In addition, the relative movement orthodontic treatment method is not suitable for the positioning of one tooth.

상기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미국특허 5,921,774(일본 특허 공개평 10-99347호)는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을 사용하는 치아교정치료를 제안한다.In order to overcome the above problems, US Patent 5,921,774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0-99347) proposes orthodontic treatment using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이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은 턱뼈내의 소망부위에 이식하는 이식부(이식유닛)와 이식부분 헤드에 부착하는 노출부(연결유닛)를 포함한다. 이식부는 그 수평 단면의 직경이 최대 2mm로 측정되며 노출부위는 구강으로 연장되는 후크(조임 부분)를 갖는 암을 포함한다.The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includes an implant (grafting unit) for implanting in a desired area in the jawbone and an exposed portion (connection unit) for attachment to the implant head. The implant is measured with a diameter of up to 2 mm in its horizontal cross section and the exposed portion includes an arm with hooks (tightening portions) extending into the oral cavity.

턱뼈내에 이식된 지지물에 있어서, 수지 체인 또는 금속 코일 스프링등의 일단부는 지지물의 조임부와 접합되고 다른 단부는 브래킷 또는 설측 버튼에 접합되는데, 예컨대, 이 지지물은 치아에 누름 또는 당김력과 같은 교정력을 가하기 위해 치아에 고정된다.In a support implanted in the jawbone, one end of the resin chain or metal coil spring, etc. is joined to the clamping part of the support and the other end is joined to the bracket or lingual button, for example, the support is a corrective force such as pressing or pulling force on the tooth. It is fixed to the teeth in order to apply.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의 암은 교정력을 위한 지지점으로 제공하는 조임부를 턱뼈내의 이식 부위로부터 떨어져 위치시킴으로서, 신경 또는 치아 뿌리를 손상시키지 않는 위치에 지지물이 이식되었을 때에도 교정력을 가하기 위한 가장 바람직한 위치에 조임부를 설치할 수 있다. The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s arm is positioned away from the implantation site in the jaw bone, providing a support point for orthodontic force, so that even when the support is implanted in a position that does not damage nerves or tooth roots, You can install a pregnant woman.

상기 공개의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은 각 개개의 치아에 직접 교정력을 가할 수 있어 1개의 치아의 위치를 교정하기에 적합하다. 더욱이, 이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은 정확히 위치한 치아에 불리한 영향없이 교정하기 위해 치아에 가장 적합한 지지점으로부터 교정력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물은 복잡한 치아교정치료를 할 필요없이 부적합하게 위치한 치아들을 교정할 수 있어 치료를 위해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The disclosed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is capable of applying orthodontic force directly to each individual tooth, which is suitable for correcting the position of one tooth. Moreover, the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can apply orthodontic forces from the support points most suitable for the teeth to correct without adversely affecting the precisely positioned teeth. Thus, the support can correct improperly positioned teeth without the need for complicated orthodontic treatment, thereby reducing the time required for treatment.

본 발명의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은 턱뼈내의 소망부위에 이식되는 이식유닛 및 이식유닛의 상부에 부착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는데, 그 연결유닛은 구강으로 연장되는 조임부를 갖는 암부 및 이식유닛의 세로축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그 연결유닛이 이식유닛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형성된 개구부를 일단부에 갖는 맞물림부를 포함한다.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plant unit to be implanted in the desired area in the jawbone and a connecting unit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mplant unit, the connecting unit is on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arm and the transplant unit having a tightening portion extending to the oral cavity And an engaging portion having an opening at one end, the connecting unit being detachably mounted to the implantation unit in an intersecting direction.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이점은 첨부도면과 함께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Thes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치아교정치료는 제한된 치료공간을 제공하며 극히 작은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예컨대,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의 이식 유닛은 수평 단면의 직경은 1.2 mm로 측정된다)과 같은 치료장치의 사용을 요하는 구강에서 수행된다. 그러므로 본 치료는 수행이 어렵고 높은 수준의 치료 기술을 보유한 치과교정전문의를 요한다. 이러한 이유로, 보다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치료 장치가 필요해졌다.Orthodontic treatment provides limited treatment space and is performed in the oral cavity requiring the use of a treatment device such as an extremely small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e.g., the implant unit of the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measures 1.2 mm in diameter in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do. Therefore, this treatment is difficult to perform and requires a orthodontist with a high level of treatment skills. For this reason, there is a need for a treatment device that can be used more easily.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용이하게 취급 및 조작되는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that is more easily handled and manipulated.

본 발명의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은 턱뼈내의 소망 부위내로 이식된 이식유닛 및 이식유닛의 상부에 부착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는데, 상기 연결유닛은 구강으로 연장되는 조임부를 갖는 암부 및 이식유닛 세로축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유닛이 이식유닛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형성된 개구부를 일단부에 갖는 맞물림부를 포함한다.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plant unit implanted into the desired site in the jawbone and a connecting unit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ransplant unit, the connecting unit crosses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female and the transplant unit having a tightening portion extending into the oral cavity. And an engaging portion having an opening at one end, the connecting unit being detachably mounted to the implantation unit in a direction to which the connecting unit is mounted.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이 스크류에 의해 고정되는 이식유닛 및 연결유닛의 유형이라면, 필연적으로 스크류는 구강의 협소공간내에서 취급하기가 상당히 어려운 극히 작은 스크류일 것이다. 스크류의 회전을 위해 사용된 스크류드라이버가 예컨대, 뺨을 향하게 된다면, 스크류를 회전시키기가 매우 어렵다.If the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is a type of implant and connection unit secured by a screw, then the screw will inevitably be an extremely small screw that is quite difficult to handle in the narrow space of the oral cavity. If the screwdriver used for the rotation of the screw is directed towards the cheek, for example, it is very difficult to rotate the screw.

반대로, 본 발명에서 연결유닛은 이식유닛의 상부로 향한 수평 방향으로 연결유닛이 슬라이드함으로써 쉽게 이식유닛에 부착된다. 이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유닛이 이식유닛의 세로축과 교차하는 방향의 이식유닛상에 장착되도록 본 발명의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을 조립하기 때문이다.On the contrar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unit is easily attached to the implantation unit by sliding the connection uni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top of the implantation unit. This is because, as described above, the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such that the connecting unit is mounted on the implant unit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implant unit.

본 발명에서, 상기 수평방향(또는 이식유닛의 세로축과 교차하는 방향)은 이 식유닛의 세로축에 대해 대략 수직한 방향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the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implant unit) is preferably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transplant unit.

이것은 이식유닛이 치은면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이식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이식유닛의 세로축에 대해 대략 수직한 방향은 치은면에 대해 거의 평행하다. 그러므로, 연결유닛이 치은면에 대해 거의 평행하게 슬라이드되면, 볼 또는 입술의 방해를 피할 수 있다. Since it is common for the implant unit to be implanted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the gingival surface, the direction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implant unit is nearly parallel to the gingival surface. Therefore, if the connecting unit slides almost parallel to the gingival surface, obstruction of the cheeks or lips can be avoided.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은 이식유닛이 상부에 협소부를 갖고 연결유닛의 맞물림부가 이식유닛의 협소부 상에 장착하는 U자형 내부표면구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have a U-shaped inner surface structure in which the implant unit has a narrow portion at the top and the engaging portion of the connection unit is mounted on the narrow portion of the implant unit.

이 구성에 있어서, 이식유닛의 협소부는 연결유닛과 이식유닛이 결합될 때 맞물림부의 U자형 내부 표면 구조의 개구부에 장착된다. 또한, 이 구성은 이식유닛의 헤드가 협소부보다 더 두껍기 때문에 연결유닛이 이식유닛의 윗쪽에서 이탈되는 것을 제지한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 이식유닛이 이식되는 방향이 아래방향으로 간주되며 그 역방향이 윗방향으로 간주되는 것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In this configuration, the narrow portion of the implant unit is mounted in the opening of the U-shaped inner surface structure of the engaging portion when the connecting unit and the implant unit are engaged. In addition, this configuration prevents the connecting uni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implantation unit because the head of the implantation unit is thicker than the narrow portion. Her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implant unit is implanted is considered to be downward and the reverse direction is considered to be upward.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 로킹 메카니즘이 이식유닛과 연결유닛 사이의 밀착점에 제공되어 연결유닛이 이식유닛 주위를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In another preferred form of the invention, a locking mechanism is provided at the point of contact between the implant unit and the link unit to prevent the link unit from rotating around the implant unit.

연결유닛이 이식유닛과 연결될 때, 로킹 메카니즘에 의해 암의 연장방향은 연결유닛이 이식유닛의 주위를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암의 연장방향은 고정된다. 그러므로, 소망위치에 조임부를 유지시킬 수 있다.When the connecting unit is connected to the transplant unit,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arm is fixed because of the locking mechanism, since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arm prevents the connecting unit from rotating around the implant unit. Therefore, the tightening portion can be held in the desired posi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 상기 연결유닛의 암 및 암보다 짧은 맞물림부는 중간부에 의해 연결되어, 연속적인 J자형 구조를 형성하며 그 중간부는 적어도 그 내부표면의 일부에 평평한 영역을 가지고 있다. 협소부 바로 위의 이식유닛의 헤드는 그 다각형의 단면 또는 측면이 절단되어 평면을 형성한 대략 원형의 또는 타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중간부의 내부 표면상의 평평한 영역은 연결유닛과 이식유닛이 맞춰질 때 헤드의 평면과 접촉한다.
상술한 로킹 메카니즘은 접속유닛의 중간부의 내부표면 및 이식유닛의 헤드의 평면상의 평평한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In another preferred form of the invention, the arm and the shorter engaging portion of the connecting unit are connected by an intermediate portion to form a continuous J-shaped structure, the intermediate portion having a flat area on at least a portion of its inner surface. . The head of the implant unit directly above the narrow part has a generally circular or oval cross section whose cross section or side of the polygon is cut to form a plane, and the flat area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part is the head when the connecting unit and the implant unit are fitted. In contact with the plane.
The locking mechanism described above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connecting unit and on a flat area on the plane of the head of the implanting unit.

이러한 구성에서, 연결유닛이 이식유닛에 접합될 때 연결유닛의 중간부의 내부 표면상에 평평한 영역이 헤드(헤드가 다각형의 형상을 가진다면 헤드의 임의의 한 측면)의 평면과 접촉되기 때문에, 연결유닛이 이식유닛 주위를 회전하는 것이 제지된다. In this configuration, when the connecting unit is joined to the implantation unit, the flat area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part of the connecting unit is in contact with the plane of the head (any one side of the head if the head has a polygonal shape). The unit is restrained from rotating around the implant unit.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 이식유닛의 협소부는 다각형의 단면, 타원형의 단면 또는 측면이 절단되어 평면을 형성한 대략 원형의 단면을 갖고, 연결유닛의 맞물림부는 맞물림부가 협소부에 장착되도록, 다각형의 내부 표면구조, 타원형의 내부 표면구조 또는 측면이 절단되어 평면을 형성한 대략 원형의 내부 표면구조를 갖는다. 다시 말하면, 협소부와 맞물림부 모두 다각형의 표면구조, 타원형의 표면구조 또는 측면이 절단되어 평면을 형성한 대략 원형의 표면구조를 갖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 맞물림부는 협소부에 장착된다. 상기 로킹 메카니즘은 협소부의 단면형상 및 맞물림부의 내부 표면구조에 형성된다. 상기 코스의 내부 표면구조를 갖는 맞물림구조는 일단부에 개구부를 갖는다.In another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arrow portion of the transplant unit has a polygonal cross section, an elliptical cross section or a substantially circular cross section in which a side is cut to form a plane, and the engaging portion of the connection unit is such that the engaging portion is mounted to the narrow portion, It has a polygonal inner surface structure, an elliptical inner surface structure or an approximately circular inner surface structure cut off to form a plane. In other words, both the narrow portion and the engaging portion have a polygonal surface structure, an elliptical surface structure or an approximately circular surface structure in which side surfaces are cut to form a plane, and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gaging portion is mounted to the narrow portion. The locking mechanism is formed i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narrow portion and the inner surface structure of the engagement portion. The engagement structure with the inner surface structure of the course has an opening at one end.

이러한 구성에서, 이식유닛의 협소부가 맞물림부에 적합하게 장착되므로, 연결유닛이 이식유닛에 단단히 고정되어, 연결유닛이 확실한 방식으로 회전하는 것이 제지된다.In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narrow portion of the transplant unit is suitably mounted on the engaging portion, the connecting unit is firmly fixed to the implant unit, so that the connecting unit rotates in a certain manner.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연결유닛의 맞물림부는 소성변형 재료로 제조되고 맞물림부의 크림프에 의해 이식유닛의 협소부에 고정된다. 이런 소성변형 재료의 전형적인 예는 스테인레스 스틸, 티타늄, 티타늄 합금 또는 코발트와 티타튬 합금과 같은 금속이다.Preferably, at least the engagement portion of the connection unit is made of plastic deformation material and fixed to the narrow portion of the implantation unit by crimping of the engagement portion. Typical examples of such plastic deformation materials are stainless steel, titanium, titanium alloys or metals such as cobalt and titanium alloys.

상기 연결유닛은 맞물림부를 크림프함으로써 이식유닛에 고정된다.The connecting unit is fixed to the implant unit by crimping the engagement portion.

맞물림부가 크림프되지 않으면, 이식유닛에 연결유닛을 장착할 때 연결유닛이 슬라이드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에 연결유닛에 힘이 가해져 연결유닛은 이식유닛을 이탈할 것이다. 상기 맞물림부가 크림프되면, 상기 힘이 가해져도 연결유닛은 이탈되지 않는다. 그러나, 맞물림부가 크림프되지 않아도, 이식유닛에 연결유닛을 장착할 때 연결유닛은 연결유닛이 슬라이드되는 방향의 양쪽(전체적으로 180°섹터영역)의 약 90°범위내의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이탈하지 않는다. 상기 맞물림부가 크림프되지 않으면, 연결유닛은 이식유닛으로부터 쉽게 제거된다. 이것은 교정 치료동안 조임부에 부착된 와이어등을 교체하거나 치아 중간에 가해진 견인방향의 변경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If the engagement portion is not crimped, when the coupling unit is mounted to the implantation unit, a force is applied to the connection unit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ion unit slides so that the connection unit will leave the implantation unit. When the engagement portion is crimped, the connecting unit is not released even when the force is applied. However, even when the engagement portion is not crimped, when the coupling unit is mounted to the implantation unit, the coupling unit does not deviate if a force is applied in a direction within a range of about 90 ° on both sides (total 180 ° sector area) in which the coupling unit slides. . If the engagement portion is not crimped, the connecting unit is easily removed from the implant unit. This makes it easier to replace wires or the like attached to the fasteners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or to change the traction direction applied to the middle of the teeth.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 적어도 연결유닛의 맞물림부는 소성변형재료로 제조되고 맞물림부내의 개구부의 폭은 맞물림부가 끼워 맞춰진 이식유닛 일부의 최대 두께보다 작다.In another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he engaging portion of the connecting unit is made of plastic deformation material and the width of the opening in the engaging portion is smaller than the maximum thickness of the portion of the implanted unit in which the engaging portion is fitted.

맞물림부내의 개구부가 맞물림부가 끼워 맞춰진 이식유닛부(예컨대, 상기한 협소부)보다 약간 작다면, 연결유닛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될 때 맞물림부내의 개구부의 가장자리는 이식유닛부와 접촉하여 저항을 발생시킨다. 더욱이 연결유닛을 수평방향으로 강제적으로 누르면, 연결유닛이 적합한 위치로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소성변형되는 맞물림부는 쉽게 변형한다. 맞물림부는 이 점에서 맞물림부 본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며 이식유닛과 연결유닛은 접합된다. 이 구성에서, 힘이 연결유닛이 슬라이드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연결유닛에 가해진 때에도 맞물림부는 쉽게 이탈하지 않는다.If the opening in the engagement portion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implant unit portion (e.g., the narrow portion described above) to which the engagement portion is fitted, the edge of the opening in the engagement portion contacts the implant unit portion when the connecting unit slid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generate resistance. Let's do it. Further, when the connecting unit is forcibly pres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plastically deformed engagement portion is easily deformed so that the connecting unit can slide to a suitable position. In this respect, the engagement portion is restored to the original shape of the engagement portion and the implantation unit and the connection unit are joined. In this configuration, the engagement portion does not easily escape even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connection unit in the direction opposite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ion unit slides.

치아에 가해진 교정력은 보통 100∼300g(980∼2940mN)이고 최대 1Kg이기 때문에 맞물림부는 연결유닛이 슬라이드되는 방향의 역방향에 가해진 교정력을 견딜수 있는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작하다. 상기 소성변형재료의 전형적인 예는 스테인레스 스틸, 티타늄, 티타늄합금, 또는 코발트와 티타늄 합금과 같은 금속이다.Since the orthodontic force applied to the teeth is usually 100 to 300 g (980 to 2940 mN) and a maximum of 1 kg, the engagement portion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that can withstand the orthodontic force appli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ing unit slides. Typical examples of such plastic deformation materials are stainless steel, titanium, titanium alloys, or metals such as cobalt and titanium alloys.

이식유닛으로부터 연결유닛을 제거하기를 소망한다면, 연결유닛을 연결유닛이 슬라이드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당긴다. 당김력은 맞물림부로부터 이식유닛이 이탈되도록 맞물림부를 변형시킨다. 당김력은 상기 교정력을 압도하여 맞물림부를 변형시킬 정도이다.If desired to remove the connecting unit from the implant unit, pull the connecting unit in the reverse direction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ing unit slides. The pulling force deforms the engagement portion to disengage the implant unit from the engagement portion. The pulling force is enough to deform the engagement portion by overwhelming the corrective force.

이 바람직한 형태의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에서 연결유닛은 이식유닛에 쉽게 부착되고 제거된다. 이것은 조임부를 한번에 제거함으로서 치아교정 치료동안 조임부에 부착된 와이어등을 교체하거나 치아 중간에 가해진 견인방향의 변경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In this preferred form of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the connecting unit is easily attached to and removed from the implant unit. This makes it easier to replace the wires attached to the fasteners during the orthodontic treatment or to change the traction direction applied to the middle of the teeth by removing the fasteners at once.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 돌출부는 연결유닛의 맞물림부의 내부표면내에 형성되고 돌출부를 장착하는 오목부는 이식유닛상에 형성된다. 이 구성에서, 맞물림부상의 돌출부는 연결유닛과 이식유닛이 접합될 때 협소부내의 오목부에 장착된다. 결과적으로, 연결유닛과 이식유닛은 더욱 단단히 고정되므로, 연결유닛은 이식유닛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In another preferred form of the invention, the projection is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of the connecting unit and the recess for mounting the projection is formed on the implant unit. In this configuration, the projection on the engagement portion is mounted to the recess in the narrow portion when the connecting unit and the implantation unit are joined. As a result, the connecting unit and the transplant unit are more firmly fixed, so that the connecting unit is not easily detached from the transplant unit.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 연결유닛의 암은 소성변형 재료로 제조된다. In another preferred form of the invention, the arm of the connecting unit is made of p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상기 암은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소망의 각도로 굴곡되거나 만곡될 수 있으므로, 연결유닛이 이식유닛에 단단히 부착된 후에도 소망의 위치에 조임부를 위치시키도록 암의 굴곡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은 암이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이식유닛의 세로축에 평행한)으로 굴곡될 수 있도록 조립된다. Since the arm can be bent or curved at a desired angle in a preferred form, the curvature of the arm can be adjusted to position the fastener in the desired position even after the connection unit is firmly attached to the implant unit.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is assembled such that the arm can be bent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transplant unit).

상기 치아에 가해진 교정력은 상술한 바와 같이 최대 1Kg이기 때문에, 맞물림부는 소성변형 이후에도 교정력을 견딜수 있는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corrective force applied to the tooth is 1 Kg at the maximum as described above, the engaging portion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that can withstand the corrective force even after plastic deformation.

더욱이, 이식유닛의 매립부는 직경이 2mm보다 크지 않고 외부로 스레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buried portion of the implant unit is threaded outward without being larger than 2 mm in diameter.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도1a 및 도1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을 예시한 것으로, 도1a는 지지물(10)의 연결유닛(12)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1b는 지지물 (10)의 이식유닛 (11)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a와 2b를 연결유닛(12)이 이식유닛(11)에 고정되는 방법을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으로, 도2a는 연결유닛(12)이 이식유닛(11)에 고정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2b는 그들의 조립이 완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ures 1a and 1b illustrate the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unit 12 of the support 10, Figure 1b of the support 10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transplant unit 11. FIG. 2A and 2B are diagrams illustrating how the connecting unit 12 is fixed to the transplant unit 11, and FIG. 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sition where the connecting unit 12 is fixed to the transplant unit 11, and FIG. 2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ir assembly is completed.

이식유닛(11)은 구강에 노출된 상부(17)와 턱뼈내에 매립된 매립부(13)를 포함하며, 상기 협소부(18)는 상부(17)에 형성된다. 상면도에서 협소부(18)의 상부(17)의 헤드(19)는 정팔각형으로 형성된다.The implant unit 11 includes an upper portion 17 exposed to the oral cavity and a buried portion 13 embedded in the jawbone, and the narrow portion 18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17. In the top view, the head 19 of the upper portion 17 of the narrow portion 18 is formed in a regular octagon.

연결유닛(12)은 암(14)의 먼 단부에 제공된 고리형 조임부(15)와 구강으로 연장되는 암(14)을 포함한다. 연결유닛(12)은 상부(17)의 협소부(18)에 장착하기 적합한 크기의 U자형 내부 표면구조를 갖는 맞물림부(16)를 더 포함한다. 평평한 내부표면을 갖는 중간부(92)에 의해 연결된 암(14)과 맞물림부(16)는 연속적인 J자형 구조를 함께 형성한다. 연결유닛(12)은 스테인레스 스틸, 티타늄, 티타늄합금, 또는 코발트와 티타늄 합금과 같은 소성변형재료로 제조된다.The connecting unit 12 includes an annular fastener 15 provided at the far end of the arm 14 and an arm 14 extending into the oral cavity. The connecting unit 12 further includes an engaging portion 16 having a U-shaped inner surface structure of a size suitable for mounting on the narrow portion 18 of the upper portion 17. Arm 14 and engaging portion 16 connected by intermediate portion 92 having a flat inner surface together form a continuous J-shaped structure. The connection unit 12 is made of stainless steel, titanium, titanium alloy, or plastic deformation material such as cobalt and titanium alloy.

이식유닛(11)에 연결유닛(12)을 부착하기 위해, 맞물림부(16)내의 개구부(16a)는 이식유닛(11)의 협소부(18)에 정렬되고 연결유닛(12)은 이식유닛(11)의 헤드(19)의 한 측면이 중간부(92)의 평평한 내부표면과 접촉할 때까지 도2a에 나타낸 화살표A의 방향으로 눌려진다. 맞물림부(16)의 먼 단부(16b)는 이 때 이식유닛(11)과 연결유닛(12)의 조립을 완료하기 위하여 도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크림프된다.In order to attach the connecting unit 12 to the transplanting unit 11, the opening 16a in the engaging portion 16 is aligned with the narrow portion 18 of the transplanting unit 11 and the connecting unit 12 is a transplanting unit ( One side of the head 19 of 11) is pressed in the direction of arrow A shown in Fig. 2A until it contacts the flat inn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portion 92. The far end 16b of the engagement portion 16 is then crimped as shown in FIG. 2B to complete the assembly of the implant unit 11 and the connection unit 12.

상기 중간부(92)의 평평한 내부표면과 헤드(19)의 한 평평한 측면은 밀하게 접촉되므로, 연결유닛(12)이 이식유닛(11)의 주위를 회전하는 것을 제지한다. 더욱이, 상기 맞물림부(16)의 먼 단부(16b)는 크림프되므로, 힘이 화살표A 방향의 역방향으로 연결유닛(12)에 가해진 때에도 연결유닛(12)은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더욱이, 연결유닛(12)은 협소부(18)보다 더 두껍거나 협소부보다 더 수평으로 연장되는 헤드(19)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기 때문에 연결유닛(12)이 위쪽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Since the flat inn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portion 92 and one flat side of the head 19 are in intimate contact, the connecting unit 12 restrains the rotation around the implant unit 11. Moreover, since the far end 16b of the engaging portion 16 is crimped, the connecting unit 12 is not easily detached even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connecting unit 12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arrow A direction. Moreover, the connecting unit 12 is prevented from escaping upward because the position is fixed by the head 19 which is thicker than the narrow portion 18 or extends more horizontally than the narrow portion.

상술한 바와 같이, 치아교정 지지구조물(10)은 간단한 조작에 의해 조립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화살표A로 나타낸 수평방향으로 연결유닛(12)이 슬라이드하는 단계와 그때 이식유닛 (11)에 연결유닛(12)을 고정하기 위해 맞물림부(16)의 먼 단부(16b)를 크림프(또는 기계적 굽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조립 조작은 구강과 같은 제한된 공간에서도 쉽게 수행되어 본 실시예의 치아교정 지지구조물(10)은 취급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연결유닛(12)는 이식유닛(11)에 단단히 고정된다.As described above, the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10 can be assembled by a simple operation, which means that the connecting unit 12 slid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A and then the connecting unit to the implant unit 11. Crimping (or mechanically bending) the far end 16b of the engagement portion 16 to secure (12). This assembly oper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even in a limited space such as the oral cavity so that the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provide ease of handling. In addition, the connection unit 12 is firmly fixed to the transplant unit (11).

치아교정 지지구조물(10)을 사용하여 치아교정치료를 수행하기 위한 조작공정은 다음과 같다.The manipulation process for performing orthodontic treatment using the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10 is as follows.

우선, 치과교정전문의는 이식유닛(11)을 턱뼈내의 소망부위에 이식하고, 이식유닛(11)의 매립부(13)가 턱뼈내에 단단히 고정될 때까지 대기한다. 그 다음, 상기 방법으로 연결유닛(12)을 이식유닛에 장착하여 고정한다. 이식유닛(11)에 연결유닛(12)이 장착될 때, 암(14)의 연장방향은 이식유닛의 중심에 대해 45°의 스텝으로 변경되는데, 이는 이식유닛(11)의 헤드(19)가 정팔각형의 단면을 가지기 때문이다.First, the orthodontist implants the implant unit 11 in a desired area in the jawbone and waits until the buried portion 13 of the implant unit 11 is firmly fixed in the jawbone. Then, the connection unit 12 is fixed to the implantation unit by the above method. When the connecting unit 12 is mounted to the transplant unit 11,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arm 14 is changed in a step of 45 °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implant unit, which means that the head 19 of the implant unit 11 is This is because it has a square octagonal cross section.

이어서, 고무링, 수지체인, 금속 코일스프링 등의 일단부는 조임부(15)에 후크되고 다른 단부는, 예컨대, 치아에 교정력을 가하기 위해 전형적 방식으로 치아에 고정된 브래킷 또는 설측버튼에 연결된다.One end of the rubber ring, resin chain, metal coil spring, etc. is then hooked to the tightening portion 15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a bracket or lingual button fixed to the tooth, for example in order to apply corrective force to the tooth.

치료동안 치아에 가한 견인방향을 변경하기를 소망하면, 맞물림부(16)의 크림프된 먼 단부(16b)를 본래의 상태로 돌리는 것이 필요한데, 이식유닛(11)으로부터 연결유닛(12)을 분리하고 적합한 위치에 다시 연결유닛을 이식유닛에 부착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실제로 이식유닛(11)을 이탈하는 연결유닛(12)를 새로운 위치에 둠으로서 견인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치아교정치료의 방법은 외과적 손상이 턱뼈에 야기되는 것 없이, 조절이 필요할 때에는 언제든지, 치아교정 지지구조물(10)의 조절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If it is desired to change the direction of traction applied to the teeth during the treatment, it is necessary to return the crimped far end 16b of the engagement portion 16 to its original state, separating the connecting unit 12 from the implant unit 11 and Attach the connection unit back to the implant unit in the appropriate posi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traction direction can be adjusted by placing the connecting unit 12 which actually leaves the transplant unit 11 in a new position. This method of orthodontic treatment is preferred in that the adjustment of the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10 is possible whenever adjustment is necessary without causing surgical damage to the jawbone.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3a-3b 및 도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을 예시한 것으로, 도3a는 지지물(20)의 연결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3b는 지지물(20)의 이식유닛(21)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4는 연결유닛(22)을 이식유닛(21)에 장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Figures 3a-3b and 4 illustrate an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ng unit of the support 20, Figure 3b is a transplant of the support 20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nit 21, and FIG. 4 is a top view showing a method of mounting the connecting unit 22 to the implant unit 21. As shown in FIG.

본 실시예에서, 이식유닛(21)의 협소부(28)는 이식유닛(21)의 상부(17)의 헤드(29)처럼 상면도에서 정팔각형으로 형성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narrow portion 28 of the transplant unit 21 is formed in a regular octagon in the top view as the head 29 of the upper portion 17 of the implant unit 21.

연결유닛(22)의 맞물림부(26)는 일단부에 개구부(16a)를 가진다.
상기 개구부(16a)는 개구부(16a)의 내부 형상이 이식유닛(21)의 협소부(28)에 장착하기에 적합하도록, 일단부에 4개의 면과 개구부를 갖는 대략 육방의 내부 표면구조를 가진다. 연결유닛(22)이 이식유닛(21)에 장착될 때 측면 플랩(24)의 내부표면이 헤드(29)의 측면표면에 접촉되도록, 연결유닛(22)은 이식유닛(21)의 헤드(29)와 접촉하는 상판부(23)의 양면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한쌍의 측면 플랩(24)을 가진다. 중간부(25)에 의해 연결된 연결유닛(22)의 암(14)과 맞물림부(26)는 연속적인 J자형 구조를 함께 형성한다. 연결유닛(22)은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티타늄과 같은, 소성변형재료로 제조된다. 도3a,도3b 및 도4에서, 도1a-1b 및 도2에 나타낸 것과 유사 또는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지시되고 그 요소의 설명은 생략된다.
The engaging portion 26 of the connecting unit 22 has an opening 16a at one end.
The opening 16a has a substantially six-sided inner surface structure with four sides and openings at one end, such that the inner shape of the opening 16a is suitable for mounting to the narrow portion 28 of the implant unit 21. . When the connecting unit 22 is mounted to the implanting unit 21, the connecting unit 22 is connected to the head 29 of the implanting unit 21 such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flap 24 contacts the side surface of the head 29. ) Has a pair of side flaps 24 extending downwards from both sides of the top plate portion 23 in contact with. The arm 14 and the engaging portion 26 of the connecting unit 22 connected by the intermediate portion 25 together form a continuous J-shaped structure. The connecting unit 22 is made of plastic deformation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or titanium. In Figs. 3A, 3B and 4, elements similar or identical to those shown in Figs. 1A-1B and 2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s of the elements are omitted.

치아교정 지지구조물(20)을 조립하기 위해, 연결유닛(22)의 맞물림부(26)내의 개구부(16a)는 이식유닛(21)의 협소부(28)에 정렬되고 연결유닛(22)은 그 맞물림부(26)가 협소부(28)에 장착될 때까지 늘려진다. 이점에서, 연결유닛(22)의 두 측면 플랩(24)은 헤드(29)의 두 측면상에 장착된다. 협소부(28)는 헤드(29)와 같은 정육방의 단면을 가지며 연결유닛(22)의 맞물림부(26)는 본 실시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암(14)의 연장방향은 이식유닛(21)에 연결유닛(22)을 장착할 때 60°의 스텝으로 조절된다. 맞물림부(26)의 먼 단부(26b)는 이 때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립체를 완성하기 위해 크림프된다.To assemble the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20, the opening 16a in the engaging portion 26 of the connecting unit 22 is aligned with the narrow portion 28 of the implant unit 21 and the connecting unit 22 is The engagement portion 26 is stretched until it is mounted on the narrow portion 28. In this respect, the two side flaps 24 of the connecting unit 22 are mounted on two sides of the head 29. The narrow portion 28 has the same hexagonal cross section as the head 29, and the engaging portion 26 of the connecting unit 22 is configur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arm 14 is the transplant unit. When the connecting unit 22 is mounted on the 21, it is adjusted in 60 ° steps. The far end 26b of the engagement portion 26 is then crimped to complete the assembly as shown in FIG.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맞물림부(26)가 이식유닛(21)의 협소부(28)에 장착되고 측면 플랩(24)이 헤드(29)에 장착되기 때문에, 연결유닛(22)이 이식유닛(21)의 주위를 회전하는 것을 제지한다. 더욱이, 상기 맞물림부(26)의 먼 단부(26b)는 크림프되므로, 연결유닛(22)은 이식유닛(21)을 쉽게 이탈하지 않는다. 더욱이, 연결유닛(22)이 이식유닛(21)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연결유닛은 협소부(28)보다 더 두껍거나 협소부보다 더 수평으로 연장되는 헤드(29)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기 때문에 연결유닛(12)이 위쪽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engaging portion 26 is mounted on the narrow portion 28 of the implantation unit 21 and the side flaps 24 are mounted on the head 29, the connecting unit 22 is the implantation unit 21. Restrain rotation around). Moreover, since the far end 26b of the engaging portion 26 is crimped, the connecting unit 22 does not easily leave the implant unit 21. Moreover, the connection unit 22 is fixed because the position is fixed by the head 29 which is thicker than the narrow portion 28 or extends more horizontally than the narrow portion so that the connecting unit 22 is firmly fixed to the transplant unit 21. The unit 12 is prevented from escaping upward.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도5a-5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따른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으로, 도5a는 상면도이고 도5b는 측면도이다. 도5a-5b에 있어서, 도1a-1b및 도2에 나타낸 유사 또는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지시되고 그 요소의 설명은 생략된다.Figures 5a-5b is a diagram showing a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a is a top view and Figure 5b is a side view. In Figs. 5A-5B, similar or identical elements shown in Figs. 1A-1B and 2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s of the elements are omitted.

본 실시예에서, 이식유닛의 매립부(33)는 외부로 스레드된다. 이식유닛(31)의 헤드(39)의 중간부는 예시된 바와 같이 중간부로부터 테이퍼지는 헤드(39)의 상부 및 하부와 상면도에서 육방의 단면을 가진다. 이식유닛(31)의 협소부(38)는 상면도에서 원형의 단면을 갖는다. 연결유닛(12)의 맞물림부(16)는 일단부에 개구부(16a)를 가지며 이 개구부(16a)는 이식유닛(31)의 협소부(38)에 장착되는 반원형 내부 표면구조를 가진다.In this embodiment, the buried portion 33 of the implant unit is threaded outward. The middle part of the head 39 of the implant unit 31 has a hexagonal cross section in the top and bottom and top view of the head 39 tapering from the middle part as illustrated. The narrow portion 38 of the implant unit 31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in the top view. The engaging portion 16 of the connecting unit 12 has an opening 16a at one end, and the opening 16a has a semi-circular inner surface structure mounted to the narrow portion 38 of the implant unit 31.

제3실시예의 치아교정 지지구조물(30)은 턱뼈내부로 치아교정 지지구조물(30)을 스크류함으로서 치과교정전문의가 이식유닛을 쉽게 이식할 수 있게 한다. 헤드(39)의 중간부가 육방의 단면을 가지므로, 렌치가 이식유닛(31)를 이식할 때 사용되어 이식조작으로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30 of the third embodiment allows the orthodontist to easily implant the implant unit by screwing the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30 into the jawbone. Since the middle portion of the head 39 has a hexagonal cross section, a wrench can be used when transplanting the transplant unit 31 to facilitate the transplant operation.

더욱이, 이식유닛(31)의 헤드(39)는 아래로 테이퍼지므로, 연결유닛(12)의 맞물림부(16)는 이식유닛(31)의 협소부(38)상에 매끄럽게 장착될 수 있다.Furthermore, since the head 39 of the implant unit 31 is tapered down, the engaging portion 16 of the connecting unit 12 can be smoothly mounted on the narrow portion 38 of the implant unit 31.

제1실시예처럼, 본 실시예에서 연결유닛(12)의 중간부(92)와 헤드(39)의 평평한 측면이 서로 밀하게 접촉되므로, 연결유닛(12)이 이식유닛(31) 주위를 회전하는 것을 제지한다.As in the first embodiment,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intermediate portion 92 of the connecting unit 12 and the flat side surfaces of the head 39 are in intimat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connecting unit 12 rotates around the implant unit 31. Restraining to do

도5a-5b에서 맞물림부(16)의 먼 단부(16b)는 크림프되지 않을지라도, 먼 단부(16b)는 이식유닛(31)에 연결유닛(12)을 보다 단단히 고정하기 위해 크림프된다.In FIGS. 5A-5B, although the far end 16b of the engagement portion 16 is not crimped, the far end 16b is crimped to more securely connect the connection unit 12 to the implant unit 31.

더욱이, 본 실시예는 예컨대, 도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이 카운터싱크되기 때문에 암(14)의 조임부내의 홀을 통하여 수지체인의 통과를 더 용이하게 한다.Moreover, this embodiment makes it easier to pass the resin chain through the holes in the tightening portion of the arm 14, for example, as the holes are countersunk as shown in Fig. 5B.

제4실시예Fourth embodiment

도6a-6c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 지지구조물(40)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으로, 도6a는 지지물(40)의 연결유닛(42)의 상면도이고, 도6b는 지지물(40)의 이식유닛(31)의 상면도이며, 도6c는 이식유닛(31)의 측면도이다. 도6a-6c에 있어서, 도1a-1b, 도2, 도5a-5b에 나타낸 것과 유사 또는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참고번호로 지시되고 그 요소의 설명은 생략된다.6A-6C are diagrams illustrating a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40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A is a top view of the connecting unit 42 of the support 40. FIG. 6B is a support 40. ) Is a top view of the implant unit 31, Figure 6c is a side view of the implant unit (31). In Figs. 6A-6C, elements similar or identical to those shown in Figs. 1A-1B, 2 and 5A-5B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s of the elements are omitted.

본 실시예에서, 이식유닛(31)는 상면도에 원형 단면을 갖는 협소부(38) 뿐만 아니라 상면도에 육방의 단면을 갖는 헤드(39)를 가진다. 중간부(92)에 의해 연결된 연결유닛(42)의 맞물림부(46)와 암(14)은 연속적인 J자형 구조를 함께 형성한다. 그 중간부(92)는 헤드(39)의 한 측면과 접촉하는 평평한 내부표면을 갖는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mplant unit 31 has a head 39 having a hexagonal cross section in the top view as well as a narrow portion 38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in the top view. The engaging portion 46 and the arm 14 of the connecting unit 42 connected by the intermediate portion 92 together form a continuous J-shaped structure. The intermediate portion 92 has a flat inner surface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head 39.

맞물림부(46)는 이식유닛(31)의 협소부에 장착되는 C자형 원형 아크를 형성한다. 맞물림부(46)내에 개구부(46a)의 교착부의 폭(B)은 협소부(38)의 직경(C)보다 작게 제조된다. 개구부(46a)의 교착부는 맞물림부(46)의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부(46c)에 의해 형성된다. 교착부보다 더 연장되는 맞물림부(46)의 두 먼 단부(46b)는 도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펼쳐진다.Engaging portion 46 forms a C-shaped circular arc mounted to the narrow portion of the implant unit (31). The width B of the deadlock portion of the opening portion 46a in the engaging portion 46 is made smaller than the diameter C of the narrow portion 38. The deadlock portion of the opening 46a is formed by the projections 46c from both sides of the engaging portion 46. The two distant ends 46b of the engaging portion 46 extending further than the deadlock are unfolded as shown in Fig. 6A.

연결유닛(42)은 스테인레스 스틸, 티타늄 또는 티타늄 합금과 같은 소성변형재료로 제조된다.The connection unit 42 is made of plastic deformation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titanium or titanium alloy.

이식유닛(31)에 연결유닛(42)을 부착하기 위해, 상기 연결유닛(42)의 맞물림부(46)는 이식유닛(31)의 협소부(38)에 정렬되고 연결유닛(42)은 화살표A의 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상기 맞물림부(46)의 먼 단부(46b)는 펼쳐지므로, 협소부(38)가 돌출부(46c)와 접촉할 때까지 협소부(38)는 맞물림부(46) 내부로 매끄럽게 안내된다. 더욱이, 연결유닛(42)가 화살표A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누르면, 맞물림부(46)는 변형, 또는 외부로 확산되어, 협소부(38)는 돌출부(46c)들 사이를 통과하여 맞물림부(46)에 완전히 장착된다. 상기 맞물림부(46)는 이 점에서 본래의 형상을 복원하므로, 이식유닛의 협소부(38)가 맞물림부(46)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제지한다.In order to attach the connection unit 42 to the implantation unit 31, the engaging portion 46 of the connection unit 42 is aligned with the narrow portion 38 of the implantation unit 31 and the connection unit 42 is indicated by an arrow. Slide in the direction of A. Since the far end 46b of the engagement portion 46 is unfolded, the narrow portion 38 is guided smoothly into the engagement portion 46 until the narrow portion 38 contacts the protrusion 46c. Further, when the connecting unit 42 is forcibly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the engaging portion 46 is deformed, or spread out, so that the narrowing portion 38 passes between the projections 46c to engage the engaging portion 46. Is fully fitted in. Since the engagement portion 46 restores the original shape at this point, it restrains that the narrow portion 38 of the implantation unit is separated from the engagement portion 46.

더욱이, 상기 실시예들에서 헤드(39)의 한 측면은 중간부(92)의 내부표면과 밀하게 접촉하여 고정되므로, 연결유닛(42)이 이식유닛(31)의 주위를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Moreover, in this embodiment, one side of the head 39 is fixed in intimat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portion 92, thereby preventing the connecting unit 42 from rotating around the implant unit 31. .

연결유닛(42)은 이러한 방식으로 이식유닛(31)에 단단히 고정된다.The connection unit 42 is firmly fixed to the implant unit 31 in this manner.

제5실시예Fifth Embodiment

도7a-7c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을 나타낸 다이어그램으로, 도7a는 지지물(50)의 연결유닛(52)의 상면도이며, 도7b는 지지물(50)의 이식유닛(51)의 상면도이며, 도7c는 이식유닛(51)의 측면도이다. 도7a-7c에서, 도1a-1b,도2, 도5a-5b 및 도6a-6b에 나타낸 것과 유사 또는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참고번호로 지시되고 그 요소의 설명은 생략된다.7A-7C are diagrams illustrating a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A is a top view of the connecting unit 52 of the support 50, and FIG. 7B is a transplant of the support 50. FIG. 7C is a side view of the implant unit 51. FIG. In Figs. 7A-7C, elements similar or identical to those shown in Figs. 1A-1B, 2, 5A-5B and 6A-6B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s of the elements are omitted.

본 실시예에서, 이식유닛(51)의 헤드(59)는 상면도에서 원형의 단면을 갖는 반면 이식유닛(51)의 협소부(58)는 상면도에서 육방부의 단면을 갖는다. 도7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십자형 홈(59a)(교차 슬롯)은 헤드(59)의 상면에 형성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ad 59 of the implant unit 51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in the top view while the narrow portion 58 of the implant unit 51 has a hexagonal cross section in the top view. As shown in Fig. 7B, the cross groove 59a (intersecting slot)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59.

연결유닛(52)의 맞물림부(56)는 일단부에 개구부(56a)를 가진다. 이 개구부(56a)는 개구부(56a)의 내부 형상이 이식유닛(51)의 협소부(58)에 장착하기에 적합하도록, 일반적으로 일단부에 4개의 면과 개구부를 갖는 대략 육방의 내부표면 구조를 갖는다. The engaging portion 56 of the connecting unit 52 has an opening 56a at one end. The opening 56a is generally a substantially hexagonal inner surface structure having four sides and openings at one end, such that the inner shape of the opening 56a is suitable for mounting to the narrow portion 58 of the implant unit 51. Has

이식유닛(51)에 연결유닛(52)을 부착하기 위해서, 상기한 실시예들처럼 이식유닛(51)의 협소부(58)가 맞물림부(56)내의 개구부(56a)로 미끄러져 들어가도록 연결유닛(52)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이식유닛(51)의 협소부(58)에 맞물림부(56)를 장착한 후, 그 맞물림부(56)의 먼 단부(56b)는 적절한 위치에 연결유닛(52)을 고정하도록 크림프된다.In order to attach the connection unit 52 to the implantation unit 51, the narrow portion 58 of the implantation unit 51 slides into the opening 56a in the engaging portion 56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unit 52 slid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fter attaching the engaging portion 56 to the narrow portion 58 of the implant unit 51 in this manner, the far end 56b of the engaging portion 56 is crimped to fix the connecting unit 52 in the proper position. do.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 헤드(59)의 상면에 십자형 홈(59a)이 형성되므로, 치과교정전문의는 예컨대, 스크류드라이버로 이식유닛을 스크류함으로써 턱뼈내에 이식유닛(51)을 이식할 수 있다.Furthermore,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cross-shaped groove 59a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59, the orthodontist can implant the implant unit 51 into the jaw bone by, for example, screwing the implant unit with a screwdriver.

제6실시예Sixth embodiment

도8a-8b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 지지구조물(60)을 나타낸 다이어그램으로, 도8a는 상면도이며 도8b는 도8a의 라인 8A-8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8a-8b에 있어서, 도1a-1b, 도2, 도5a-5b, 및 도7a-7b에 나타낸 것과 유사 또는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참고번호로 지시되고 그 요소의 설명은 생략된다.8A-8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60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A is a top view and FIG. 8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8A-8B of FIG. 8A. In Figs. 8A-8B, elements similar or identical to those shown in Figs. 1A-1B, 2, 5A-5B, and 7A-7B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s of the elements are omitted.

본 실시예의 지지물(60)의 연결유닛(62)는 먼 단부에 고리형 조임부(15)를 각각 갖는 2개의 암(63, 64)을 갖는다.The connecting unit 62 of the support 60 of this embodiment has two arms 63 and 64 each having an annular fastening portion 15 at the far end.

상기한 제5실시예에서처럼 맞물림부(56)가 협소부(58)에 장착되도록 연결유닛(62)의 맞물림부(56)는 일단부에 대략 육방의 내부표면구조 개구부를 가지며 이식유닛(61)의 협소부(58)는 상면도에서 육방의 단면도를 갖는다.As in the fifth embodiment, the engaging portion 56 of the connecting unit 62 has an approximately six-sided inner surface structure opening at one end thereof so that the engaging portion 56 is mounted to the narrow portion 58. The narrow portion 58 has a hexagonal cross section in a top view.

이식유닛(61)에 연결유닛(62)를 부착하기 위해서, 상기 실시예에서처럼 맞물림부(56)는 협소부(58)에 장착되고 맞물림부(56)의 먼 단부(56b)는 적절한 위치에 연결유닛(62)을 고정하도록 크림프된다.In order to attach the connecting unit 62 to the implantation unit 61, the engaging portion 56 is mounted to the narrow portion 58 and the far end 56b of the engaging portion 56 is connected to an appropriate position as in the above embodiment. Crimped to secure unit 62.

이 실시예는 부적절하게 위치된 치아를 이동시키는 2개의 지지점을 하나의 지지물(60)에 제공할 수 있다. 도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지지물(60)의 2개의 암(63, 64)은 반드시 일직선(180˚)으로 배치될 필요는 없지만 다양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This embodiment may provide one support 60 with two support points for moving the improperly positioned teeth. As shown in FIG. 8A, the two arms 63, 64 of the support 60 do not necessarily have to b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180 ° but can be arranged in various ways.

제7실시예Seventh embodiment

도9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 지지구조물(70)의 연결유닛(72)의 상면도이다.9 is a top view of the connecting unit 72 of the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70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연결유닛(72)은 먼 단부에 각각 고리형 조임부(15)를 갖는 4개의 암(73, 74, 75, 76)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유닛은 이것처럼 3개이상의 암을 갖는다.The connecting unit 72 of this embodiment has four arms 73, 74, 75, 76 having annular fasteners 15 at their far ends,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connecting unit has three or more arms as such.

제6 및 제7실시예에서처럼 다수의 조임부를 갖는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에 있어서, 1개의 지지물을 이식함으로써 복수의 지지점(조임부(15))으로부터 치아에 교정력을 가할 수 있다.In the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tightening portions, as in the sixth and seventh embodiments, orthodontic force can be applied to the teeth from a plurality of support points (tightening portions 15) by implanting one support.

제8실시예Eighth Embodiment

도10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 지지구조물(80)의 연결유닛(12)의 상면도이다.10 is a top view of the connecting unit 12 of the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80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연결유닛(82)는 암의 먼 단부에 형성된 후크와 같은 조임부(85)를 갖는다. 조임부는 본 실시예에서처럼 후크형이거나 팽창 또는 확장한 암의 먼 단부에 의해 형성된 버튼과 같은 모양이다.The connecting unit 82 of this embodiment has a fastening portion 85 such as a hook formed at the far end of the arm. The tightening portion is shaped like a button formed by the far end of the arm that is hooked or inflated or extended as in this embodiment.

치아교정 치료의 실시예Examples of orthodontic treatment

본 발명의 치아교정치료물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치아교정치료의 실제적인 실시예가 이하에 설명된다.A practical embodiment of orthodontic treatment performed using the orthodontic treat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below.

제1치료 실시예First Treatment Example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치료 실시예를 예시한 다이어그램으로, 치아교정 지지구조물(30)은 치은점막층으로 덮힌 턱뼈내에 이식된다. 도11에서, 도1a-1b, 도2, 및 도5a-5b에 나타낸 것과 유사 또는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로 지시되고 그 요소의 설명은 생략된다.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treatmen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30 is implanted in a jawbone covered with a gingival mucosa layer. In Fig. 11, elements similar or identical to those shown in Figs. 1A-1B, 2, and 5A-5B are design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s of the elements are omitted.

턱뼈(90)내에 이식유닛(31)을 이식한 후, 조임부(15)가 소망위치에 위치하도록 상술한 방법으로 연결유닛(12)을 이식유닛(31)에 고정한다. 그 다음, 치과교정전문의는 조임부(15)에 와이어(93)의 일단부를 부착하고 예컨대, 치아에 고정된, 브래킷에는 다른 단부를 부착한다. 결과적으로, 교정력은 적합한 방향으로부터 치아에 가해진다.After implanting the implant unit 31 in the jaw bone 90, the connecting unit 12 is fixed to the implant unit 31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so that the tightening unit 15 is positioned at a desired position. The orthodontist then attaches one end of the wire 93 to the tightening part 15 and attaches the other end to the bracket, eg fixed to the tooth. As a result, the corrective force is applied to the teeth from the proper direc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치아교정 지지구조물(30)은 그 상부가 구강에 노출되도록 위치되고 이식유닛(31)와 연결유닛(12) 사이의 조인트는 지지물(30)이 턱뼈(90)내에 이식될 때 치은점막층(91)에서 떨어져 위치된다. 그러므로, 칫솔로 조인트를 클리닝하고, 예컨대 최상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30 is positioned so that its upper part is exposed to the oral cavity and the joint between the implant unit 31 and the connection unit 12 is when the support 30 is implanted in the jaw bone 90. It is located away from the gingival mucosa layer 91. Therefore, the joint can be cleaned with a toothbrush, for example to maintain the best cleanliness.

더욱이, 이식유닛(31)의 상부가 구강에 노출되므로 치아교정치료의 완료에 따라 쉽고 빠른 방법으로 턱뼈(90)로부터 지지물(30)을 제거할 수 있다. 이것은 예컨대, 플라이어로 이식유닛(31)의 상부를 고정하여 이식유닛(31)를 뽑아냄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구강에 노출된 이식유닛(31)의 상부가 정육각형으로 형성되면, 이식유닛(31)은 이식유닛(31)의 외부 스레드 매립부(33)를 원상태로 돌리기 위해 렌치로 그것을 회전시킴으로써 제거된다. 지지물(30)은 상기 경우에서 또한 쉽게 및 신속하게 제거될 수 있다.Furthermore, since the upper portion of the implant unit 31 is exposed to the oral cavity, the support 30 can be removed from the jaw bone 90 in an easy and fast manner upon completion of the orthodontic treatment. This can be done, for example, by pulling the implant unit 31 by fixing the top of the implant unit 31 with a pliers. When the upper portion of the implant unit 31 exposed to the oral cavity is formed into a regular hexagon, the implant unit 31 is removed by rotating it with a wrench to return the external thread buried portion 33 of the implant unit 31 to its original state. The support 30 can also be removed easily and quickly in this case as well.

바람직하게, 이식유닛(31)의 협소부(18) 아래의 만곡면(37)은 미러면을 형성하도록 팔리시(polish)되어야 한다. 이것은 거울표면이 만곡면(37)을 통과하는 치은 점막층(91)의 점막조직에 좋은 친화력과 유착성을 제공하기 때문이다.Preferably, the curved surface 37 below the narrow portion 18 of the implant unit 31 should be polished to form a mirror surface. This is because the mirror surface provides good affinity and adhesion to the mucosal tissue of the gingiva mucosa layer 91 passing through the curved surface 37.

치료동안 연결유닛(12)이 파괴되거나 지지점(조임부(15)의 위치)을 변경할 필요가 발생되면, 연결유닛(12)은 새로운 것으로 교체될 수 있다. 더욱이, 와이어(93) 또는 설측체인은 소망하는 경우 직접 이식유닛에 부착된다.If, during treatment, the connection unit 12 is destroyed or the need arises to change the support point (position of the fastener 15), the connection unit 12 can be replaced with a new one. Moreover, the wire 93 or lingual chain is directly attached to the implant unit if desired.

제2치료 실시예Second Treatment Example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치료 실시예를 예시한 다이어그램으로, 치아교정 지지구조물(30)은 턱뼈(90)내에 이식된다. 도12에 있어서, 도1a-1b, 도2, 도5a~5b 및 도11에 나타낸 것과 유사 또는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지시되고 그 요소의 설명은 생략된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treatmen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30 is implanted in the jawbone 90. In Fig. 12, elements similar or identical to those shown in Figs. 1A-1B, 2, 5A-5B, and 11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 of the elements is omitted.

도11의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유닛(12)의 암(14)은 직선으로 수평적으로 연장되는데, 그 암(14)은 도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지게 굴곡되거나 만곡될 수 있다. 상기 암(14)의 그러한 굴곡은 소성변형재료로 제조된다면, 가능하다.In the embodiment of FIG. 11, the arm 14 of the connecting unit 12 extends horizontally in a straight line, which arm 14 can be bent or curved as shown in FIG. Such bending of the arm 14 is possible if it is made of plastic deformation material.

상기 암(14) 또는 조임부(15)에 부착된 와이어(93) 등은 치은 점막층과 접촉하여 불편함이나 인플러메이션(inflammation)을 유발하거나, 조임부(15)(지지점)의 위치를 약간 조정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그것은 치은 점막층(91)과 분리하여 설정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상기 암(14)의 굴곡을 조정하여 재배치된다. 상기 암이 수직면(상기 이식유닛의 세로방향축에 평행함)으로만 굴곡되고 교정력의 방향이 교정될 치아와 그 이식유닛을 연결하는 라인상에 놓여 있는 경우, 상기 암은 특정한 수평방향으로 고정적으로 연장될 필요는 없다. 이 경우에, 상기 접합부의 매립부 및 이식유닛의 협소부는 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The wire 93 attached to the arm 14 or the tightening part 15 may contact the gingiva mucosa and cause discomfort or inflammation, or slightly reduce the position of the tightening part 15 (supporting point). If necessary, it may be set separately from the gingival mucosa layer 91 or otherwise repositioned by adjusting the curvature of the arm 14. When the arm is bent only on a vertical plane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implant unit) and the direction of orthodontic force is placed on a line connecting the tooth to be corrected with the implant unit, the arm is fixed in a specific horizontal direction. It does not need to be extended. In this case, the buried portion of the junction portion and the narrow portion of the implantation unit may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제3치료 실시예Third Treatment Example

도13은 송곳니(96)를 낮추기 위해 실시되는 치열교정 치료의 보다 실용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re practical embodiment of orthodontic treatment performed to lower the canine 96.

그 치아교정 지지구조물(30)의 이식유닛(31)은 그 이식유닛(31)이 송곳니(96)의 신경이나 뿌리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턱뼈(90)내에 이식된다. 그 다음, 연결유닛(12)은 지지점이 위치한 위치에서 조임부(15)를 고정하면서 이식유닛(31)에 고정된다. 이어서, 고무체인(94)의 일단부가 연결유닛(12)의 조임부(15)에 부착되고 그 고무체인(94)의 다른 단부가 송곳니(96)에 고정된 브래킷(95)에 장착되어, 아래로의 당김력이 그 송곳니(96)에 가해진다.The implant unit 31 of the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30 is implanted in the jaw bone 90 so that the implant unit 31 does not damage the nerves or roots of the canine 96. Then, the connecting unit 12 is fixed to the implant unit 31 while fixing the tightening unit 15 in the position where the support point is located. Then, one end of the rubber chain 94 is attached to the fastening portion 15 of the connecting unit 12 and the other end of the rubber chain 94 is mounted to the bracket 95 fixed to the canine 96, The pulling force of the furnace is applied to the canine 96.

제4치료 실시예Fourth Treatment Example

도14는 본 발명의 제4치료 실시예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으로, 상부 턱에 있는 치아(99)의 두쌍은 두개의 치아교정 지지구조를 사용하여 교정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각각 2개의 암(63, 64)을 갖는 제6실시예에 기재된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이 사용된다.  Figure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ourth treatmen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wo pairs of teeth 99 in the upper jaw are corrected using two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s. In this embodiment, the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described in the sixth embodiment having two arms 63 and 64 respectively is used.

도15는 본 발명의 제5 치료실시예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으로, 상부 턱에 있는 치아(99)의 두쌍은 1개의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을 사용하여 교정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4개의 암(73~76)을 갖는 제7실시예(도9)에 기재된 치아교정 지지구조가 사용된다.Figure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fth therapeut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wo pairs of teeth 99 in the upper jaw are corrected using one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In this embodiment, the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described in the seventh embodiment (Fig. 9) having four arms 73 to 76 is used.

도15에 있어서, 리프 스프링(98)은 상부턱내에 이식된 치아교정 지지구조의 각 암(73~76)의 조임부(15)에 장착되고, 각 리프 스프링(98)의 먼 단부는 치아(99)에 고정되어 있는 설측 버튼(97)에 부착된다. 교정력은 위치를 교정하는 방식으로 다수의 치아(99)에 가해진다.15, the leaf spring 98 is mounted to the tightening portion 15 of each arm 73 to 76 of the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implanted in the upper jaw, and the far end of each leaf spring 98 is a tooth ( It is attached to the lingual button 97 fixed to 99. Orthodontic force is applied to the plurality of teeth 99 in a manner to correct the position.

본 발명의 치아교정 지지구조는 첨부된 도면에 나타낸 특정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화와 수정이 실제 적용에서 가능하고 이러한 모든 변화와 수정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성 내에 포함된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The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pecific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practical applica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all such changes and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연결유닛의 맞물림부의 내주면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그 돌출부와 일체화될 수 있는 오목부가 상기 이식유닛의 협소부 상에 형성되도록 수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부상의 돌출부가 협소부내의 오목부에 끼워져서 상기 연결유닛 및 이식유닛은 보다 확실하게 고정된다.As an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such that a protrusion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of the connection unit, and a recess that can be integrated with the protrusion is formed on the narrow portion of the implantation unit. In this modification, the projecting portion on the engaging portion is fit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in the narrow portion so that the connecting unit and the implanting unit are more securely fixed.

또한, 제4실시예의 맞물림부(46)상의 돌출부(46c)가 원만한 언덕형상으로 융기될 지라도, 상기 돌출부(46c)는 보다 급격히 내부로 만곡되는 후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후크 형상의 돌출부는 도6A에 표시된 화살표A의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연결유닛에 작용하는 힘에 대하여 보다 큰 저항을 갖게되어, 상기 맞물림부가 이식유닛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을 제지한다.Further, even if the projection 46c on the engagement portion 46 of the fourth embodiment is raised to a smooth hill shape, the projection 46c can be formed in a hook shape that is more rapidly curved inwardly. This hook-shaped protrusion has a greater resistance to the force acting on the connecting unit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arrow A shown in Fig. 6A, thereby restraining the engaging portion from being easily detached from the implant unit.

도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 지지구조의 이식유닛의 머리부의 가로방향 단면이다. 이 실시예에서, 연결유닛의 중간부(92)는 도1a에 나타낸 것과 같은 평평한 내부표면을 갖고, 그 이식유닛의 머리부는 도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이 절단되어 평면을 형성한 대략 원형의 단면을 갖는다. 상기 연결유닛이 이식유닛에 장착되는 경우, 그 이식유닛의 평면이 중간부(92)의 평평한 내주면과 밀하게 접촉되어, 그 연결유닛이 이식유닛 주위를 회전하는 것을 제지한다.Figure 16 is a transverse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ad of the implant unit of the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intermediate portion 92 of the connecting unit has a flat inner surface as shown in Fig. 1A, and the head of the implant unit is a substantially circular cross section with the side cut off to form a plane as shown in Fig. 16. Has When the connection unit is mounted to the implantation unit, the plane of the implantation unit is in intimate contact with the fla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termediate portion 92, thereby restraining the connection unit from rotating around the implantation unit.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치아교정 구조는 다루기가 용이하고, 심지어 한정된 치료공간을 제공하는 구강에서도 간단하지만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상기 연결유닛을 이식유닛에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치아교정 지지구조는 치아교정 치료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치아교정기술자의 과중한 업무를 경감시킨다.As described so far, the orthodontic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handle, and even in the oral cavity providing a limited treatment space, the connection unit can be attached to the implant unit in a simple but reliable manner. Thus, the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eviates the heavy work of orthodontic technicians in performing orthodontic treatment.

Claims (10)

턱뼈내의 소망부위에 이식되는 이식유닛; 및A transplant unit implanted in a desired region in the jaw bone; And 상기 이식유닛의 상부에 부착가능한 연결유닛을 포함하고, A connection unit attachable to an upper portion of the implant unit, 상기 연결유닛은The connecting unit 구강공내로 연장되는 조임부를 갖는 암부; 및A female part having a tightening part extending into the oral cavity; And 개구부를 일단부에 갖고 상기 연결유닛이 상기 이식유닛의 세로축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식유닛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형성된 맞물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 지지구조물.And an engagement portion having an opening at one end, the engaging portion being detachably mounted to the implantation unit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implanta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식유닛은 상부에 협소부를 가지며, 상기 연결유닛의 맞물림부는 이식유닛의 협소부에 장착될 수 있는 U자형 내부표면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 지지구조물.The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mplant unit has a narrow portion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the engaging portion of the connection unit has a U-shaped inner surface structure that can be mounted to the narrow portion of the implant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이 상기 이식유닛 주위를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이식유닛과 상기 연결유닛사이의 접촉점에 로킹 메카니즘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치아교정 지지구조물.2. The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of claim 1, wherein a locking mechanism is provided at the point of contact between the implant unit and the link unit to prevent the link unit from rotating around the implant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의 암부와 이 암부보다 짧은 그 맞물림부는 중간부에 의해 연결되어 연속적인 J자형 구조를 함께 형성하고, 상기 중간부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는 평평한 영역을 가지며, 상기 이식유닛의 협소부 바로 위에 제공된 이식유닛의 헤드는 다각형의 단면 또는 측면이 절단되어 평면을 형성한 대략 원형의 또는 타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로킹 메카니즘은 연결유닛의 중간부의 내부표면상의 평평한 영역과 이식유닛의 헤드의 평면에 형성되며, 상기 중간부의 내부표면상의 평평한 영역은 상기 연결유닛이 이식유닛과 맞춰질때 헤드의 평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치아교정 지지구조물.4. The arm portion of the connecting unit and its engagement portion shorter than the arm portion are connected by an intermediate portion to form a continuous J-shaped structure,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portion has a flat area, and the implant The head of the implant unit provided directly over the narrow part of the unit has a generally circular or oval cross section in which the polygonal cross section or side is cut to form a plane, and the locking mechanism is implanted with a flat area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part of the connecting unit. And a flat area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ead of the unit, wherein the flat area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part is in contact with the plane of the head when the connecting unit is fitted with the implant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식유닛의 협소부는 다각형의 단면, 타원형의 단면, 또는 측면이 절단되어 평면을 형성한 대략 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연결유닛의 맞물림부는 맞물림부가 협소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다각형의 내부표면구조, 타원형의 내부표면구조, 또는 측면이 절단되어 평면을 형성한 대략 원형의 내부표면구조를 갖고, 상기 로킹 메카니즘은 상기 맞물림부의 내부표면구조와 상기 협소부의 단면형상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 지지구조물.The narrow part of the transplant unit has a polygonal cross section, an elliptical cross section, or a substantially circular cross section in which a side is cut to form a plane, and the engaging portion of the connection unit can be mounted on the narrow portion. A polygonal inner surface structure, an elliptical inner surface structure, or an approximately circular inner surface structure in which side surfaces are cut to form a plane, and the locking mechanism is formed by the inner surface structure of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narrow portion.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연결유닛의 맞물림부는 소성변형 재료로 제조되고, 상기 맞물림부는 이 맞물림부를 크림프함으로써 이식유닛의 협소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 지지구조물.3. The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of claim 2, wherein at least the engagement portion of the connection unit is made of a plastic deformation material, and the engagement portion is fixed to the narrow portion of the implantation unit by crimping the engagement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연결유닛의 맞물림부는 소성변형 재료로 제조되고, 맞물림부내의 개구부의 폭은 맞물림부가 장착되는 이식유닛 부분의 최대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 지지구조물.2. The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of claim 1, wherein at least the engagement portion of the connection unit is made of plastic deformation material and the width of the opening in the engagement portion is smaller than the maximum thickness of the portion of the implant unit to which the engagement portion is moun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소성변형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 지지구조물.The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of claim 1, wherein the arm is made of a p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식유닛의 세로축에 교차하는 방향은 이식유닛의 세로축에 대략 수직한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 지지구조물.2. The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of claim 1, where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implant unit is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implant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협소부 바로 위의 이식유닛의 헤드는 이식유닛의 세로축쪽으로 테이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 지지구조물.3. The orthodontic support structure of claim 2, wherein the head of the implant unit directly above the narrowing portion tapers toward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implant unit.
KR1020000084661A 1999-12-28 2000-12-28 Orthodontic supporting structure KR10067176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375204 1999-12-28
JP37520499A JP3706517B2 (en) 1999-12-28 1999-12-28 Orthodontic suppo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2832A KR20010062832A (en) 2001-07-07
KR100671761B1 true KR100671761B1 (en) 2007-01-19

Family

ID=35406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4661A KR100671761B1 (en) 1999-12-28 2000-12-28 Orthodontic supporting structur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671761B1 (en)
AT (1) ATE306866T1 (en)
DE (1) DE60023253T2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58108A1 (en) 2007-12-03 2009-06-04 Mondeal Medical Systems Gmbh Anchoring device for tooth and / or jaw regulation
KR100931257B1 (en) * 2008-01-22 2009-12-11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Wire retaining clip for orthodontic screws
KR101147810B1 (en) * 2010-06-29 2012-05-1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Fixation clip and fixation device for orthodontic use compri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306866T1 (en) 2005-11-15
DE60023253D1 (en) 2006-03-02
DE60023253T2 (en) 2006-07-13
KR20010062832A (en) 200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12723B1 (en) Orthodontic supporting structure
US6435871B1 (en) Orthodontic appliance and method
JP4903502B2 (en) Improved orthodontic bracket
US6435870B1 (en) Orthodontic distalizing appliance
US8371846B2 (en) Self-adjustable,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US9498304B2 (en) Orthodontic attachment module for intra-oral bite correctors
US4618324A (en) Centri-lever orthodontic appliance
US8235714B2 (en) Convertible buccal tube orthodontic bracket
US20050244781A1 (en) Orthodontic treatment method for concurrent correction of multiple conditions
EP0225794B1 (en) Orthodontic apparatus
AU2002212983A1 (en) Orthodontic distallizing appliance
US11654000B2 (en) Anteroposterior correction devices
US9987104B2 (en) Orthodontic lingual device
JP2002538935A (en) Orthodontic attachment device for interdental appliances
US11246683B1 (en) Orthodontic band attachment device
US6135767A (en) Spring loop retainer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0671761B1 (en) Orthodontic supporting structure
JP3651640B2 (en) Orthodontic support
US20040197726A1 (en) Clip type orthodontic anchor
KR101156864B1 (en) Orthodontic Instrument for Correcting Occlusal-Plane Canting And Device Having The Same
JP7317711B2 (en) adjustable hooks for orthodontic brackets
KR102297927B1 (e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JPH0380021B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