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1702B1 -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의 통계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의 통계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1702B1
KR100671702B1 KR1019990059030A KR19990059030A KR100671702B1 KR 100671702 B1 KR100671702 B1 KR 100671702B1 KR 1019990059030 A KR1019990059030 A KR 1019990059030A KR 19990059030 A KR19990059030 A KR 19990059030A KR 100671702 B1 KR100671702 B1 KR 100671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stical data
data
base station
operator
statis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9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3960A (ko
Inventor
정보현
고종석
이미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19990059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1702B1/ko
Publication of KR20010083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3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1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170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의 통계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차세대 이동통신(IMT-2000)시스템의 기지국제어기(BSC)와 기지국(BS)에서 제공하는 통계 데이터들을 효율적으로 수집, 저장 및 분석하여 시스템의 장애를 검출하고 시스템의 로드를 분산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한 통계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의 통계 데이터 처리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제어기와 기지국간의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호를 제어하기 위한 호 제어수단; 상기 호 제어수단과 연동하여 상기 이벤트가 발생될 때마다 그에 대응되는 통계 데이터를 증가시켜 수집하기 위한 수집수단; RPC(Remote Procedure Call)를 통한 운용자의 데이터 축적 요구에 따라 상기 수집수단에 수신된 통계 데이터를 축적하기 위한 축적수단; 및 RPC를 통한 운용자의 데이터 집계 요구에 따라 상기 축적수단에 축적되어 있는 통계 데이터 중 소정 시간에 축적된 축적 데이터의 차를 상기 운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집계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통계 데이터는 상기 호 제어수단과 상기 수집수단간에 연동된 공유 메모리 상에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 등에 이용됨.
통계 데이터 처리, 공유메모리, RPC,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

Description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의 통계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TATISTICS DATA IN IMT-2000 SYSTEM}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의 구성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통계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통화량 측정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통계 데이터 처리 방법에 대한 절차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통계 데이터 처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통계 데이터 블록 22 : 호 처리 블록
221 : 축적모듈 222 : 집계모듈
223 : 수집모듈
본 발명은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의 통계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세대 이동통신(IMT-2000 :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시스템 등의 기지국제어기(BSC : Base Station Controller)와 기지국(BS : Base Station)에서 제공하는 호 시도부터 종료까지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벤트(event)와 통화 접속에 소요되는 채널자원의 트래픽 양 등의 통계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여 각 서브시스템의 이상 유무를 검출하거나 시스템의 로드를 분산시키거나 시스템의 설계 용량을 결정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통계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차세대 이동통신(IMT-2000)시스템은 육상 및 위성 환경에서 무선단말로 음성, 고속 데이터 및 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및 글로벌 로밍을 제공하는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이다.
한편, 시스템이 변하면 각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통계 데이터들도 변하게 되므로 차세대 이동통신(IMT-2000)시스템에서도 그에 맞는 통계 데이터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차세대 이동통신(IMT-2000)시스템은 기지국제어기(BSC)와 기지국(BS)에서 발생하는 각종 통계 데이터들 중에서 서로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통계 데이터들이 있는데, 이러한 연관성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장애를 검출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장치의 부재로 말미암아, 전체 시스템은 동작하나 각 서브시스템이 오류를 가지고 있으면 이를 쉽게 찾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서브시스템의 오류는 표면적으로는 전체시스템이 잘 동작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찾기도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세대 이동통신(IMT-2000)시스템의 기지국제어기(BSC)와 기지국(BS)에서 제공하는 통계 데이터들을 효율적으로 수집, 저장 및 분석하여 시스템의 장애를 검출하고 시스템의 로드를 분산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한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의 통계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의 통계 데이터 처리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제어기와 기지국간의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호를 제어하기 위한 호 제어수단; 상기 호 제어수단과 연동하여 상기 이벤트가 발생될 때마다 그에 대응되는 통계 데이터를 증가시켜 수집하기 위한 수집수단; RPC(Remote Procedure Call)를 통한 운용자의 데이터 축적 요구에 따라 상기 수집수단에 수신된 통계 데이터를 축적하기 위한 축적수단; 및 RPC를 통한 운용자의 데이터 집계 요구에 따라 상기 축적수단에 축적되어 있는 통계 데이터 중 소정 시간에 축적된 축적 데이터의 차를 상기 운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집계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통계 데이터는 상기 호 제어수단과 상기 수집수단간에 연동된 공유 메모리 상에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은,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의 통계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제어기와 기지국간에 발생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통계 데이터를 수집하여 공유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RPC(Remote Procedure Call)를 통한 운용자의 데이터 축적 요구에 따라 소정시간 간격마다 상기 통계 데이터를 내부 버퍼에 축적하는 단계; 및 RPC를 통한 운용자의 데이터 집계 요구에 따라, 상기 내부 버퍼에 저장된 상기 통계 데이터 중 지정된 시간에 축적된 축적 데이터의 차를 구하여 상기 운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차세대 이동통신망에 연결된 통계 데이터 처리 장치에, 기지국제어기와 기지국간에 발생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통계 데이터를 수집하여 공유 메모리에 저장하는 기능; RPC(Remote Procedure Call)를 통한 운용자의 데이터 축적 요구에 따라 소정시간 간격마다 상기 통계 데이터를 내부 버퍼에 축적하는 기능; 및 RPC를 통한 운용자의 데이터 집계 요구에 따라, 상기 내부 버퍼에 저장된 상기 통계 데이터 중 지정된 시간에 축적된 축적 데이터의 차를 구하여 상기 운용자에게 출력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의 구성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육상 및 위성 환경에서 무선단말로 음성, 고속 데이터, 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및 글로벌 로밍을 제공하는 차세대 이동통신(IMT-2000)시스템은, 이동국(MS : Mobile Station)(11)과, 기지 국(BS : Base Station)(12)과, 기지국제어기(BSC : Base Station Controller)(13)와, 운용국(OSS : Operating Subsystem)(14) 및 교환기(MSC : Mobile Switching Center)(15)를 구비한다.
이동국(11)의 정보는 기지국(12)과 이를 제어하는 기지국제어기(13)를 거쳐 교환기(15)에 전송되며, 교환기(15)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는 기지국(12) 및 기지국제어기(13)를 거쳐 이동국(11)으로 전송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기지국제어기(13)는 호 시도에서 종료까지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벤트(event)와 통화 접속에 소요되는 채널자원의 트래픽 양 등의 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 운용국(14)은 기지국제어기(13)와 통신하여 운용자의 요구에 의해 통계 데이터를 운용자에게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통계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계 데이터 처리 장치는, 통계 데이터를 수집, 저장 및 처리하기 위한 통계 데이터 블록(21)과, 호가 시작해서 끝날 때까지 호를 제어하기 위한 호 처리 블록(22)을 구비한다.
통계 데이터 블록(21)은 호 처리 블록(22)과 연동하여 통계 데이터를 저장하는 축적모듈(221)과, 통계 데이터를 집계하고, 운용자와 상호 작용하여 통계 데이터를 운용자에게 전달해 주는 집계모듈(222)과, 통계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모듈(223)로 구성된다. 축적, 집계모듈(221,222)은 운용자와 통신하기 위해서 RPC(Remote Procedure Call)를 사용하며, 통계 데이터 블록(21)과 호 처리 블록(22)은 상호간의 통신을 위해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의 한 방법인 공유 메모리(Shared Memory)를 사용한다. 여기서, 호 처리 블록(22)은 호가 시작해서 끝날 때까지 호를 제어하는 블록으로 통계 데이터 블록(21)의 수집모듈(223)과 연동하여 통계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렇게, 본 발명은 다른 기종간에 RPC를 사용하여 통신함으로써, 다른 기종간에 생길 수 있는 바이트 오더링(Byte Ordering)의 문제를 해결한다. 또한, 프로세스간의 통신은 공유 메모리를 사용함으로써, 메시지 교환에 따르는 부하를 줄인다.
여기서, 통계 데이터 처리 장치의 동작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호 처리 블록(22)은 통계 데이터 블록(21)의 수집모듈(223)을 이용하여 통계 이벤트(event)가 발생할 때 마다 그에 해당하는 통계 데이터를 증가시킨다(단, 통계 데이터는 공유 메모리로 구현한다). 즉, 호 처리 블록(22)은 통계 이벤트가 발생하면 그것을 통계 데이터 블록(21)에게 알리고, 통계 데이터 블록(21)은 그에 해당하는 통계 데이터를 증가시킨다.
운용자는 정시를 기준으로 하여 15분 간격으로 축적모듈(221)에게 통계 데이터 축적을 RPC(Remote Procedure Call)를 사용하여 요구하면, 축적모듈(221)은 내부 축적용 버퍼에 통계 데이터를 축적한다. 이 데이터 축적용 버퍼는 8개의 방으로 구성된다. 집계모듈(222)은 운용자가 통계 데이터를 RPC 사용하여 요청하면 내부 축적용 버퍼에 축적되어 있는 통계 데이터 중 지정된 시간(시작 시간과 끝 시간)에 축적된 두개의 축적데이터의 차를 보낸다.
한편, 통계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수집, 저장 및 분석되는 통계 데이터의 구조는 다음의 [표1] 및 [표2]와 같다.
기지국제어기 통계(BSC_Type) 어트리뷰트 (Attribute) 이벤트 (Event)
일반서비스 (Common Service) pag_att pag_res no_res 페이징 시도(pag_res+no_res) 페이징 응답 페이징 무응답
발신서비스 (Orginating Service) org_att org_suc wres_cng org_cpl res_cng ter_nsp sys_err net_err ho_req ter_abn 발신시도(org_cpl+wres_cng+res_cng+ter_nsp+sys_err+ net_err) 발신 성공 무선 자원부족 발신완료(완전한 호 성립) 유선 자원(vocoder card) 부족 착신쪽 무응답 시스템 에러(BSC-level) 망 에러(MSC-level) 핸드오버 요청 호 성립 후 비접속(disconnect)된 것
착신서비스 (Terminating Service) ter_att ter_cpl wres_cng res_cng org_nsp sys_err net_err 착신 시도(ter_cpl+wres_cng+res_cng+org_nsp+sys_err+ net_err) 착신 완료(answer) 무선 자원부족 유선 자원(vocoder card) 부족 착신쪽 무응답 시스템에러(BSC-level) 망 에러(MSC-level)
트래픽 용법 (Traffic Usage) radio_tra sel 무선 트래픽 채널 배정된 셀렉터(selector)의 수
핸드오버서비스 (Handover Service) ho_att ho_suc ho_fal 핸드오버 시도(ho_suc+ho_fal) 핸드오버 성공 핸드오버 실패
기지국 통계 (BTS_Type) 어트리뷰트 (Atrribute) 이벤트 (event)
엑세스&페이징 서비스(Access and Paging Service) reg_att pag_att acc_att 등록(Registration) 시도 페이징 시도 엑세스(Access) 시도
발신서비스 (Orginating Service) org_att rad_fal org_suc wir_fal 발신 시도(rad_fal+org_suc+wir_fal) 무선 채널 실패 발신 성공 유선 채널 실패
착신서비스 (Terminating Service) ter_att ter_suc rad_fal wir_fal 착신 시도(rad_fal+ter_suc+wir_fal) 착신 성공 무선 채널 실패 우선 채널 실패
트래픽 용법 (Traffic usage) radio_tra sel 무선 트래픽 채널 배정된 셀렉터(selector)의 수
핸드오버 서비스 (Handover Service) ho_att ho_suc 핸드오버 시도(ho_suc+ho_fal) 핸드오버 성공 핸드오버 실패
이와 같이, 통계 데이터 블록(21)은 통계 데이터들을 객체화하여 표현하여 다른 프로그램으로부터 통계 데이터를 보호하도록 하였으며, 통계 데이터 항목의 추가나 삭제가 용이하다.
그리고, 통계 데이터는 공유 메모리로 구현되어, 호 처리 블록(22)과 통계 데이터 블록(21)이 서로 공유하도록 되어 있으며, 기지국제어기(BSC) 통계 데이터와 기지국(BS) 통계 데이터로 구성된다. 기지국제어기에 있는 호 처리 블록(22)이 통계 데이터를 수집하는데, 특히 기지국 통계 데이터는 각 기지국 별로 수집한다.
상기와 같이, [표1] 및 [표2]에서 이벤트(event)가 발생하면 기지국제어기의 호처리 블록(22)은 어트리뷰트(attribute)(2 byte)를 1씩 증가시킨다.
상기 [표1] 및 [표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계 데이터들은 아래와 같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pag_att = pag_res + no_res (페이징 시도는 페이징 응답과 페이징 무응답의 합과 같다.)
org_att = org_cpl + wres_cng + res_cng + ter_nsp + sys_err + net_err(발신 시도는 발신 완료와 유,무선 자원 부족, 착신쪽 무응답, 기지국제어기쪽 에러, 망쪽 에러의 합과 같다.)
org_suc = org_cpl + ter_nsp + net_err (발신 성공은 발신 완료와 착신쪽 무응답, 망쪽 에러의 합과 같다.)
ter_att = ter_cpl + wres_cng + res_cng + org_nsp + sys_err + net_err(착신 시도는 착신 완료와 유,무선 자원 부족, 발신쪽 무응답, 기지국쪽 에러, 망쪽 에러의 합과 같다.)
org_att = org_suc + rad_fal + wir_fal (기지국에서의 발신 시도는 발신 성공과 유, 무선 에러의 합과 같다.)
ter_att = ter_suc + rad_fal + wir_fal (기지국에서의 착신 시도는 착신 성공과 유, 무선 에러의 합과 같다.)
ho_att = ho_suc + ho_fal (핸드오버 시도는 핸드오버 성공과 실패의 합과 같다.)
pag_att(BSC) = pag_att(BTS1) + pag_att(BTS2) + ‥‥ (기지국 제어기의 페이징 시도는 그 기지국 제어기에 붙어 있는 기지국의 페이징 시도의 합과 같다.)
org_att(BSC) = org_att(BTS1) + org_att(BTS2) + ‥‥
ter_att(BSC) = ter_att(BTS1) + ter_att(BTS2) + ‥‥
ho_att(BSC) = ho_att(BTS1) + ho_att(BTS2) + ‥‥
wres_cng(BSC) = rad_fal(BTS1) + rad_fal(BTS2) + ‥‥ (기지국 제어기의 무선 자원 부족은 그 기지국 제어기에 붙어 있는 기지국들의 무선 에러의 합과 같다.)
이와 같이, 전체 시스템은 잘 동작하나 위의 식을 만족시키지 못한다면, 시스템은 오동작을 하게 되며, 만족시키지 못한 식과 관련된 모듈에 에러를 발생시킨다.
한편, 통계 데이터 블록(21)의 모듈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먼저, 축적모듈(221)의 자료구조는 15분 단위로 통계 데이터를 내부 버퍼에 축적하는데, 이 데이터 축적은 정시 기준으로 매 15분마다 이루어져야 한다. 데이터 축적용 버퍼는 8개의 방으로 구성되며 구조는 도 3과 같다. 도 3에서 처럼 하나의 버퍼는 하나의 기지국제어기 통계 데이터와 그 기지국제어기와 연결된 여러 개의 기지국 통계 데이터로 구성된다.
"time_satmp", "usg_count"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Accum_Type{
Stat_Buf{
time_stamp;
usg_count;
BSC_type;
BTS_type[n];
}[8];
}
즉, "time_stamp"는 통계 데이터를 축적할 때, "time stamp mod 8"을 인덱스(index)로 하여 축적한다. "time stamp mod 8"을 인덱스로 하여 통계 데이터를 축적하면, 축적된 통계 데이터에서 원하는 "time_stamp"의 통계 데이터를 찾을 때, 검색할 필요없이 인덱스로 바로 원하는 통계 데이터를 찾을 수 있다. "time_stamp"의 지정 원칙을 다음과 같이 나타내었다.
0:00 -> 0 2:00 -> 8 4:00 -> 16 … 22:00 -> 88
0:15 -> 1 2:15 -> 9 22:15 -> 89
0:30 -> 2 2:30 -> 10 22:30 -> 90
0:45 -> 3 2:45 -> 11 22:45 -> 91
… … … …
1:30 -> 6 3:30 -> 14 23:30 -> 94
1:45 -> 7 3:45 -> 15 23:45 -> 95
이와 같이, 만약 어떤 타임(time)에서 축적모듈(221)의 장애로 인해 통계 데이터를 축적하지 못한다면, 해당 타임(time)의 통계버퍼가 업데이트(update)될 수 없다. 그런 경우, 장애가 있는 버퍼의 "time_stamp"값은 주위의 "time_stamp"값과 연속적이지 못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이전 버퍼의 "time_stamp"값이 10이라면 그 다음 버퍼의 "time_stamp"값은 11이 되어야 하는데, 이 버퍼에 통계 데이터를 축적할 때 장애가 발생해서 통계 데이터를 축적하지 못하게 되면 이 버퍼의 "time_stamp"값은 11이 아니라 이전의 값인 3이 저장되게 된다. 이때는 집계모듈(222)에서 요구된 "time_ stamp" 값을 찾을 수 없으므로 통계 수집 장애로 처리한다.
또한, "usg_count"는 매 10초마다 트래픽 양을 수집한 횟수로 정의하며 15분간 통계데이터 수집 시는 90(오차 2 이내), 1시간 데이터 수집 시는 360(오차 2)이어야 한다. 프로세서의 재시작(restart) 등으로 정해진 시간에 미달하는 경우는 이 "usg_count"로부터 검출될 수 있다. 수집모듈(223)에서 "usg_count"가 이 범위에서 벗어나면 통계 수집 장애로 처리한다.
다음으로, 통계 데이터 블록(21)의 집계모듈(222)의 자료 구조는 다음과 같다.
result_type{
int error; /* 데이터 오류가 발생했을 경우, 1로 셋팅 */
BSC_type;
BTS_type[n];
}
즉, 집계 모듈은 RPC(Remote Procedure Call)로 구현되며, 운용자가 통계 데이터를 요구하면 통계 데이터를 가공하여 운용자에게 보낸다. 여기서, 축적모듈(221)과 집계모듈(222)에 사용된 RPC(Remote Procedure Call)에 대해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1)운용자 -> 축적 모듈
Function Declaration
void *invoke_store(int *time_stamp); /*통계 데이터를 축적한다.*/
즉, 데이터 축적용 버퍼(buffer)에 통계 데이터, "time_stamp", "usg_ count"를 축적한다. 축적할 때, "time stamp mod 8"을 인덱스로 하여 축적한다. 운용자측 운용국(일명 BEMS)는 이 함수를 정각 기준 15분 간격으로 호출한다.
Access
int t_stamp;
invoke_store(&t_stamp);
Parameters
int *time_stamp time stamp
return
없음.
2)운용자 -> 집계 모듈
typedef struct{
int start;
int end;
}intv_type;
typedef struct{
int error; /* 데이터 오류가 발생했을 경우, 1로 셋팅 */
BSC_type;
BTS_type[n];
}result_type;
Function Declaration
result_type *get_stat_dat(intv_type *interval); /*통계 데이터를 얻는다.*/
즉, 운용자측 운용국(일명 BEMS)가 시작시간(start time)과 끝시간(end time)을 인터벌(interval)에 넣어서 집계모듈(222)에게 통계 데이터를 요청하면, 집계모듈(222)은 통계 데이터를 가공하여 운용자측 운용국(일명 BEMS)에게 보낸다.
축적 데이터에서 시작시간(start time)이나 끝시간(end time)의 "time_ stamp"를 찾지 못하거나, 시작시간과 끝시간 사이에 있는 모든 "usg_count"의 합이 [time stamp(E) - time stamp(S)] × 90 ± 2의 범위 밖에 있으면 에러 필드(error field)를 1로 셋팅(setting)하여 보낸다.
Access
intv_type intval;
result_type *result;
result = get_stat_dat(&intval);
Parameters
intv_type *interval /*통계 집계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을 가진다.*/
return
/*집계 데이터(result_type)를 리턴(return)한다.*/
이와 같이, 축적모듈(221)과 집계모듈(222)은 RPC의 서버 프로세스(Server Process)에 해당한다. 그래서, 운용자가 축적모듈과 집계모듈에 메시지를 보내려면 RPC를 이용해야 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통계 데이터 처리 방법에 대한 절차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기지국제어기에 전원이 들어오면, 호 처리 블록(44)은 통계 데이터를 수집하여 공유 메모리(43)에 저장한다.
이어서, 운용자(41)가 정시 기준 15분 간격으로 통계 데이터 블록(42)으로 "inv_store(time)"를 호출하면, 호출받은 통계 데이터 블록(42)은 시간을 "time _stamp"로 변환시켜 공유 메모리(43)에 있는 통계 데이터를 내부 버퍼에 저장한다.
그러면, 운용자(41)가 "get_stat_dat(interval)"을 호출해 내부 버퍼에 축적 된 통계 데이터 중 지정된 시간(시작시간과 끝시간)에 축적된 두개의 축적 데이터의 차를 얻는다. 만약, 요구한 시간의 데이터를 찾을 수가 없거나 "usg_count"의 값이 범위를 벗어나면 에러값을 1로 셋팅하여 운용자(41)에게 장애를 알린다.
운용자(41)는 에러값이 1이면 화면에 통계 수집 장애를 표시하고, 도 3에서 언급한 것처럼 구한 통계 데이터간의 상호 상관성이 지켜지지 않는 부분이 있다면 그 부분을 화면에 표시하여 서브 시스템 장애를 찾을 수 있도록 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통계 데이터 처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제어기에 전원이 들어와서 동작하게 되면(501), 호 처리 블록(22)이 수집모듈(223)을 이용해서 통계 데이터를 수집한다(502).
이어서, 운용자가 정시 기준 15분 간격으로 통계 데이터 블록(21)으로 "inv_store(time)"를 호출할지를 판단한다(503).
판단결과, 호출하면 축적모듈(221)이 통계 데이터를 내부 버퍼에 저장한 후에(504) "get_stat_dat(interval)"를 호출할지를 판단하고(505), 호출하지 않으면 바로 "get_stat_dat(interval)"를 호출할지를 판단한다(505).
판단결과, 호출하면 지정된 시간(시작시간과 끝시간)에 축적된 두개의 축적 데이터의 차를 얻고, 만약 요구한 시간의 데이터를 찾을 수가 없거나 "usg_count"의 값이 범위를 벗어나면 에러값을 1로 셋팅하여 운용자에게 장애를 알린다(506).
이어서, 집계모듈(222)이 가공한 통계 데이터를 운용자에게 전달한 후(207) 호 처리 블럭(22)이 수집모듈(223)을 이용해서 통계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502)으로 넘어간다.
판단결과, 호출하지 않으면 바로 호 처리 블럭(22)이 수집모듈(223)을 이용해서 통계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502)으로 넘어간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기지국제어기에서 통계 데이터를 오류없이, 그리고 일관성있게 수집, 축적 및 집계할 수 있는 통계데이터 블록을 이용함으로써, 장애가 있는 서브시스템을 찾거나 시스템의 로드를 분산시킬 수 있으며 시스템 용량을 정하는 기본 자료인 최번시(Busy hour)를 쉽게 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의 통계 데이터 처리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제어기와 기지국간의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호를 제어하기 위한 호 제어수단;
    상기 호 제어수단과 연동하여 상기 이벤트가 발생될 때마다 그에 대응되는 통계 데이터를 증가시켜 수집하기 위한 수집수단;
    RPC(Remote Procedure Call)를 통한 운용자의 데이터 축적 요구에 따라 상기 수집수단에 수신된 통계 데이터를 축적하기 위한 축적수단; 및
    RPC를 통한 운용자의 데이터 집계 요구에 따라 상기 축적수단에 축적되어 있는 통계 데이터 중 소정 시간에 축적된 축적 데이터의 차를 상기 운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집계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통계 데이터는 상기 호 제어수단과 상기 수집수단간에 연동된 공유 메모리 상에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의 통계 데이터 처리 장치.
  4. 삭제
  5.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의 통계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제어기와 기지국간에 발생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통계 데이터를 수집하여 공유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RPC(Remote Procedure Call)를 통한 운용자의 데이터 축적 요구에 따라 소정시간 간격마다 상기 통계 데이터를 내부 버퍼에 축적하는 단계; 및
    RPC를 통한 운용자의 데이터 집계 요구에 따라, 상기 내부 버퍼에 저장된 상기 통계 데이터 중 지정된 시간에 축적된 축적 데이터의 차를 구하여 상기 운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의 통계 데이터 처리 방법.
  6. 차세대 이동통신망에 연결된 통계 데이터 처리 장치에,
    기지국제어기와 기지국간에 발생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통계 데이터를 수집하여 공유 메모리에 저장하는 기능;
    RPC(Remote Procedure Call)를 통한 운용자의 데이터 축적 요구에 따라 소정시간 간격마다 상기 통계 데이터를 내부 버퍼에 축적하는 기능; 및
    RPC를 통한 운용자의 데이터 집계 요구에 따라, 상기 내부 버퍼에 저장된 상기 통계 데이터 중 지정된 시간에 축적된 축적 데이터의 차를 구하여 상기 운용자에게 출력하는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 데이터 중에서 기지국제어기 통계 데이터는, 일반 서비스 관련 데이터, 발신 서비스 관련 데이터, 착신 서비스 관련 데이터, 트래픽 용법 관련 데이터 및 핸드오버 서비스 관련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의 통계 데이터 처리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 데이터 중에서 기지국 통계 데이터는, 액세스/페이징 서비스 관련 데이터, 발신 서비스 관련 데이터, 착신 서비스 관련 데이터, 트래픽 용법 관련 데이터 및 핸드오버 서비스 관련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의 통계 데이터 처리 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축적수단은 일정 시간 단위로 통계 데이터를 내부 버퍼에 축적하되,
    이 내부 버퍼는 특정 시간을 가르키는 인덱스를 포함하며, 이 내부 버퍼에는 하나의 기지국제어기 통계 데이터와 그 기지국제어기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에 각각 대응되는 기지국 통계 데이터가 축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의 통계 데이터 처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축적수단의 자료 구조는,
    특정 시간의 통계 데이터를 인덱스로 검색하기 위한 타임 스탬프(time_stamp),
    소정 시간마다 통계 데이터를 수집한 횟수를 정의하기 위한 유시지_카운트(usg_count),
    기지국의 사양을 정의하기 위한 기지국 타입(BTS_type) 및
    기지국제어기의 사양을 정의하기 위한 기지국제어기 타입(BSC_type)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의 통계 데이터 처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자의 데이터 축적 요구에 사용되는 RPC는, 축적수단의 내부 버퍼에 통계 데이터, 타임 스탬프 및 유시지_카운트를 저장하라는 호출 함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의 통계 데이터 처리 장치.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집계수단의 자료 구조는,
    데이터 오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정수,
    기지국의 사양을 정의하기 위한 기지국 타입(BTS_type) 및
    기지국제어기의 사양을 정의하기 위한 기지국제어기 타입(BSC_type)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의 통계 데이터 처리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자의 데이터 집계 요구에 사용되는 RPC는, 축적수단의 내부 버퍼로부터 특정 시작시간과 특정 끝시간 간격 상의 축적 데이터 차를 출력하라는 호출 함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의 통계 데이터 처리 장치.
KR1019990059030A 1999-12-18 1999-12-18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의 통계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0671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9030A KR100671702B1 (ko) 1999-12-18 1999-12-18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의 통계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9030A KR100671702B1 (ko) 1999-12-18 1999-12-18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의 통계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3960A KR20010083960A (ko) 2001-09-06
KR100671702B1 true KR100671702B1 (ko) 2007-01-18

Family

ID=19626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9030A KR100671702B1 (ko) 1999-12-18 1999-12-18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의 통계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17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034B1 (ko) * 2007-02-12 2014-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통계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518A (ko) * 2002-05-14 2002-06-10 최중현 Cdma 시스템에서 통화품질 반영 요소 통계 방법
KR100483019B1 (ko) * 2002-10-10 2005-04-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마트 안테나 기지국의 무선 성능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31845B1 (ko) * 2002-12-12 2005-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아이를 이용한 기지국시스템 관리국 및 운용방법
KR100603767B1 (ko) * 2003-12-23 2006-07-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마트 안테나를 구비한 기지국의 시험분석 장치와 방법,및 프로토콜 구조
KR100753640B1 (ko) * 2005-08-05 2007-08-29 주식회사 유프레스토 이동 통신망 검증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0656A (ko) * 1997-12-31 1999-07-26 김영환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통계 데이터 처리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0656A (ko) * 1997-12-31 1999-07-26 김영환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통계 데이터 처리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90060656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034B1 (ko) * 2007-02-12 2014-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통계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3960A (ko) 2001-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7413A (en) Data audits based on timestamp criteria in replicated data bases within digit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EP3972327A1 (en) Network performance reporting method and apparatus
US20070066298A1 (en) Allocation of a performance indicator among cells 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US20090082007A1 (en) Method to Decentralize the Counting of Abnormal Call Release Events on a Per Cell Base in Digital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s
JP2002543722A (ja) 端末を利用した無線通信システムの管理
KR100671702B1 (ko)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의 통계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0469706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패킷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000002437A (ko) 통신 관리 네트웍 시스템의 성능 관리 정보 처리 방법
KR100369806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통계데이터 수집장치 및 방법
CN101002425B (zh) 多厂商网络中的全冗余服务登记系统和方法
KR100221482B1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 기지국제어기에 대한 측정 및 통계방법
KR100619402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통계 데이터 축적을 통한 오류검증 방법
KR20060078814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설정 장치 및 방법
KR10053564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절단율 감소 방법
KR100310198B1 (ko)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통계 데이터 처리장치 및 방법
KR0139722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중복된 데이터의 일치성 유지를 위한 감사 방법
KR100849331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장애 관리 방법
CN101784131A (zh) 基站控制器、用户业务信令处理系统和方法
JP2605619B2 (ja) 保守運用情報の通知方法
KR100651330B1 (ko) 이동 통신 교환기간의 핸드오프 통계구현 시스템 및 방법
KR100594132B1 (ko) 신호처리 성능이 개선된 코드분할다중접속이동전화망시스템 홈위치등록기의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방법
KR10122357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장시간 호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88139B1 (ko) 시분할 전전자교환기에서의 공간스위치 성능 측정 방법 및장치
KR100836486B1 (ko) 방문 가입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960015606B1 (ko) 순방향, 역방향 항해 기법을 이용한 프로세서 상태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