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0715B1 - 반복 고속 푸리에 변환 에러 정정 방법 - Google Patents

반복 고속 푸리에 변환 에러 정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0715B1
KR100670715B1 KR1020037013096A KR20037013096A KR100670715B1 KR 100670715 B1 KR100670715 B1 KR 100670715B1 KR 1020037013096 A KR1020037013096 A KR 1020037013096A KR 20037013096 A KR20037013096 A KR 20037013096A KR 100670715 B1 KR100670715 B1 KR 100670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fourier transform
receiver
error correction
e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3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4485A (ko
Inventor
정린판
아릴라제이라
Original Assignee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40014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4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0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0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31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combining coding for 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and efficient use of the spectr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97Interference-related aspects
    • H04B1/7103Interference-related aspects the interference being multiple access interference
    • H04B1/7105Joint detection techniques, e.g. linear detectors
    • H04B1/71052Joint detection techniques, e.g. linear detectors using decorrelation matri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97Interference-related aspects
    • H04B1/7103Interference-related aspects the interference being multiple access interference
    • H04B1/7105Joint detection techniques, e.g. linear det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07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2201/70707Efficiency-related asp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plex Calculations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CDMA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된 다수의 데이터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추정한다. 데이터 신호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공유 스펙트럼으로 전송된다. 전송된 데이터 신호들을 합성한 신호는 공유 스펙트럼(42)을 통해 수신되고, 샘플링된다(43). 수신된 데이터 신호들에 대한 채널 응답이 추정된다. 데이터 신호들의 데이터는 샘플들과 추정된 채널 응답을 이용하여 추정된다(44). 데이터 추정은 푸리에 변환에 기초한 데이터 추정 기법을 사용한다. 푸리에 변환에 기초한 기법에서 사용된 순환 근사화(circulant approximation)로부터 도입된 데이터 추정 에러는 반복적으로 감소된다.
CDMA 통신, 데이터 추정, 고속 푸리에 변환, 에러 정정

Description

반복 고속 푸리에 변환 에러 정정 방법 {ITERATIVE FAST FOURIER TRANSFORM ERROR CORREC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 데이터 검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10)을 도시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10)은 사용자 장치(UE)(141 내지 143)와 통신하는 기지국(121 내지 125)을 가지고 있다. 각 기지국(12)은 그와 관련된 동작 지역을 가지고 있으며, 각 동작 지역에서 UE(14)와 통신한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와 TDD/CDMA(time division duplex using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와 같은 일부 통신 시스템에서는 동일한 주파수 스펙트럼으로 다수의 통신 신호가 전송된다. 이러한 통신 신호들은 채널화 코드(channelization code)에 의해 구별된다. 주파수 스펙트럼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TDD/CDMA 통신 시스템은 통신을 위해 타임 슬롯들로 나뉘어진 반복된 프레임을 사용한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전송된 통신 신호는 그에 할당된 하나 또는 다수의 관련된 코드 및 타임 슬롯을 가질 것이다. 하나의 타임 슬롯내에 하나의 코드를 사용한 것을 리소스 유닛이라고 부른다.
다수의 통신 신호가 동일한 주파수 스펙트럼으로 동시에 전송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시스템 내의 수신기는 다수의 통신 신호들을 구별해야 한다. 이러한 신호들을 검출하는 한가지 기법이 다중 유저 검출 방식(multiple user detection, MUD)이다. MUD에서는 모든 UE(14), 즉, 모든 사용자들과 관련된 신호들이 동시에 검출된다. 단일 전송기로부터 다중 코드 전송 신호를 검출하는 다른 기법은 단일 유저 검출 방식(single user detection, SUD)이다. SUD에서는 수신기에서 다중 코드 전송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복구하기 위하여, 수신된 신호가 등화(equalization) 단계를 거쳐 다중 코드를 사용하여 역확산(despread)된다. MUD 및 SUD 기법의 등화 단계를 구현하는 기법으로 촐레스키(Cholesky) 또는 근사 촐레스키 분해(approximate Cholesky decomposition)가 있다. 이러한 방식들은 매우 복잡하다. 이렇게 복잡도가 높으면 전력 소모가 증가하고, 따라서, UE(14)에서의 밧데리 수명이 짧아진다. 복잡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MUD와 SUD에 대하여 FFT(fast fourier transform)에 기초한 기법이 개발되었다. 일부 FFT 기법에서는 FFT 구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근사화(approximation)를 이용한다. 이는 추정된 데이터에 작은 에러가 도입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수신된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다른 기법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CDMA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된 다수의 데이터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추정한다. 데이터 신호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공유 스펙트럼으로 전송된다. 전송된 데이터 신 호들을 합성한 신호는 공유 스펙트럼을 통해 수신되고, 샘플링된다. 수신된 데이터 신호들에 대한 채널 응답이 추정된다. 데이터 신호들의 데이터는 샘플들과 추정된 채널 응답을 이용하여 추정된다. 데이터 추정은 푸리에 변환에 기초한 데이터 추정 기법을 사용한다. 푸리에 변환에 기초한 기법에서 사용된 순환 근사화(circulant approximation)로부터 도입된 데이터 추정 에러는 반복적으로 감소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반복 에러 정정을 이용한 FFT 기반의 데이터 검출 수신기와 단순화된 전송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3은 통신 버스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반복 에러 정정의 흐름도.
도 5는 수신기가 선택적으로 반복 에러 정정을 사용하는 것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반복 에러 정정을 사용한 FFT 기반의 SUD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반복 에러 정정을 사용한 FFT 기반의 SUD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2는 TDD/CDMA 통신 시스템에서 반복 에러 정정과 함께 FFT 기반의 데이터 검출 기법을 사용하는 단순화된 전송기(26)와 수신기(28)를 도시한다. 반복 에러 정정은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CDMA와 같은 다른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인 시스템에서는 전송기(26)가 각 UE(14) 내에 있고, 다수의 통신 신호들을 전송하는 다중 전송 회로(26)가 각 기지국(12) 내에 있다. 반복 에러 정정 수신기(28)는 기지국(12)이거나, UE(14)이거나, 양쪽 모두일 수 있다.
전송기(26)는 무선 라디오 채널(30)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전송기(26)내의 데이터 발생기(32)는 수신기(28)로 전송될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변조/확산(spreading)/트레이닝(training) 장치(34)는 데이터를 확산하고, 데이터를 확산하는 것에 대하여 적합하게 할당된 타임 슬롯 및 코드로, 이 확산된 참조 데이터를 미드엠블(midamble) 트레이닝 시퀀스와 시간 다중화되도록 하여 통신 버스트(들)을 생성한다.
전형적인 통신 버스트(1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드엠블(20), 보호 구간(guard period, 18), 및 두 개의 데이터 필드(22, 24)를 포함한다. 미드엠블(20)은 두 개의 데이터 필드(22, 24)를 분리시키고, 보호 구간(18)은 상이한 전송기들(26)로부터 전송된 버스트의 도착 시간의 차이를 고려하여 통신 버스트를 분리시킨다. 두 개의 데이터 필드(22, 24)는 통신 버스트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통신 버스트(들)는 변조기(36)에 의해 무선 주파수(RF)로 변조된다. 안테나(38)는 무선 라디오 채널(30)을 통하여 수신기(28)의 안테나(40)로 RF 신호를 방사한다. 전송된 통신 신호에 사용된 변조의 유형은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또는 M-QAM(M-ary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과 같이 당업자에게 알려진 것을 아무 것이나 사용해도 좋다.
수신기(28)의 안테나(40)는 다양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된 신호는 복조기(42)에 의해 복조되어 기저 대역 신호를 생성한다. 기저 대역 신호는 하나 또는 다수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와 같은 샘플링 장치(43)에 의해, 전송된 버스트들의 칩 속도 또는 칩 속도의 몇 배로 샘플링된다. 샘플들은 채널 추정 장치(44)와 FFT 기반의 데이터 검출 장치(46)와 같은 것에 의해, 타임 슬롯으로, 상기 수신된 버스트들에 할당된 적합한 코드로 처리된다. 채널 추정 장치(44)는 기저 대역 샘플들의 미드엠블 트레이닝 시퀀스 성분을 사용하여 채널 임펄스 응답과 같은 채널 정보를 제공한다. 채널 임펄스 응답은 행렬(H)로서 볼 수 있다. 전송기에 의해 사용된 확산 코드와 채널 정보는 데이터 검출 장치(46)에 의해 사용되어, 수신된 통신 버스트의 전송된 데이터를 소프트 심벌(soft symbol)로서 추정한다. 반복 에러 정정 장치(48)는 상기 추정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FFT 기반의 검출로부터 초래된 에러를 정정한다.
기반 통신 시스템으로서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TDD 시스템을 사용하여 반복 에러 정정을 설명하였지만, 이는 다른 시스템들 및 다른 FFT 선형 방정식 기반의 응용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전송이 상호 배타적인 타임 슬롯으로 한정되는 직접 확산(direct sequence) 광대역 CDMA(W-CDMA) 시스템이다.
데이터 검출은 일반적으로 수학식 1에 따라 선형 방정식을 사용하여 모델링된다.
Figure 112003037194854-pct00001
SUD의 경우, 데이터 검출은 일반적으로 수학식 2와 수학식 3에 의해 모델링된다.
Figure 112003037194854-pct00002
Figure 112003037194854-pct00003
r은 샘플링 장치(43)에 의해 발생된 수신 샘플들이다. H는 채널 추정 장치(44)로부터의 채널 응답을 이용하여 발생된 채널 응답 행렬이다. s는 확산 데이터 벡터이다. 확산 데이터 벡터, s는 수학식 3에서와 같이, 채널 코드 C와 원래 전송된 데이터 d의 벡터 곱이다.
수학식 1을 풀기 위한 MMSE(minimum mean square error) 기법이 수학식 4와 수학식 5에 나와 있다.
Figure 112003037194854-pct00004
Figure 112003037194854-pct00005
(·)H는 복소 공액 전치 함수(complex conjugate transpose function)를 나 타낸다. σ2는 채널 추정 장치(44)에 의해 결정되는 표준 편차이다. I는 단위 행렬이다.
수학식 4는 채널 등화 단계로서 작용하고, 수학식 5는 역확산(despreading) 단계로서 작용한다. 교차 채널 상관 행렬(corss channel correlation matrix)이 수학식 6에 의해 정의된다.
Figure 112003037194854-pct00006
해를 구할 필요가 있는 선형 방정식이 수학식 7에 나와 있다.
Figure 112003037194854-pct00007
y는 수학식 8에 의해 구한다.
Figure 112003037194854-pct00008
R은 칩 속도의 복수배로 이루어지는 샘플링에 대하여 순환하지 않지만(not circulant), R의 일부는 순환한다. 이 순환 부분은 상단과 하단의 W 행을 제거함으로써 유도된다. W는 채널 임펄스 응답의 길이이다. R를 순환 행렬, Rcir로서 근사화함으로써, Rcir은 수학식 9에서와 같이, 푸리에 변환을 통해 분해가능하다.
Figure 112003037194854-pct00009
R의 순환 버젼을 근사화하는 R열 행렬을 사용하여 확산 데이터 벡터가 수학식 10에서처럼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03037194854-pct00010
(R)1은 R의 첫번째 열이고, (H)1은 H의 첫번째 열이다. 그러나, 이 열을 치환함으로써 어떤 열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적어도 W개의 열이 사용되는데, 이는 이러한 열들이 0이 아닌 원소를 더 많이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MUD의 경우, 데이터 검출이 일반적으로 수학식 11에 의해 모델링된다.
Figure 112003037194854-pct00011
A는 심벌 응답 행렬(symbol response matrix)이다. 심벌 응답 행렬은 전송된 버스트들의 채널 코드를 각 버스트의 채널 응답과 곱함으로써 생성된다.
수학식 11을 풀기 위한 MMSE 기법이 수학식 12와 수학식 13에 나와 있다.
Figure 112003037194854-pct00012
Figure 112003037194854-pct00013
여기서 R은 교차 상관 행렬이라 불린다.
해를 구해야 할 선형 방정식이 수학식 14에 나와 있다.
Figure 112003037194854-pct00014
y는 수학식 15에 의해 구한다.
Figure 112003037194854-pct00015
만일 R의 원소들이 K×K 블록들로 그룹지어진다면, R의 구조는 거의 블록 순환적이다(block-circulant). K는 동시에 도착하는 버스트들의 갯수이다. K개의 버스트는 하나의 관측 구간 동안에 서로의 상단에 포개진다(superimpose). 3GPP UTRA TDD 시스템의 경우, 타임 슬롯의 각 데이터 필드는 하나의 관측 구간에 대응한다. R의 블록 순환 근사치(approximation), Rbcir을 사용하여 Rbcir은 수학식 16에서와 같이 블록 푸리에 변환을 통해 분해가능하다.
Figure 112003037194854-pct00016
Dp는 수학식 17에 의해 구해진다.
Figure 112003037194854-pct00017
DN은 N 포인트 FFT 행렬이고, IK는 크기 K의 단위 행렬이다.
Figure 112006011658001-pct00018
는 크로네커 곱(kronecker product)을 나타낸다. NS는 데이터 필드에서의 데이터 심벌의 수이다.
Figure 112006011658001-pct00071
는 블록 대각 행렬이다.
Figure 112006011658001-pct00020
의 블록들은 DPRcir(:,1:K)이다. 결과적으로
Figure 112006011658001-pct00021
는 수학식 18에 의해 구해진다.
Figure 112003037194854-pct00022
데이터 벡터, d는 FFT를 사용하여 수학식 19에 의해 결정된다.
Figure 112003037194854-pct00023
결과적으로 d의 FFT가 결정된다. 데이터는 d의 역 FFT를 취함으로써 추정된다.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R의 차수를 확장하여 마지막 심벌의 임펄스 응답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마지막 심벌의 임펄스 응답은 미드엠블 아니면 보호 구간으로 연장된다. 마지막 심벌의 응답을 획득하기 위해 R의 블록 순환 구조는 다른 W-1 칩으로 연장된다. W는 임펄스 응답의 길이이다. 연장된 R 행렬과 연장된 r을 사용하고 미드엠블로부터의 정보(미드엠블 취소 후에) 또는 보호 구간으 로부터의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동일한 FFT 기법이 수행된다.
만일 PFA(prime factor algorithm) FFT가 사용된다면, R 행렬이 확장되어 길이 z의 가장 효율적인 PFA가 사용될 수 있다. R 행렬은 미드엠블 또는 보호 구간 정보를 이용하여 길이 z로 유사하게 확장된다.
SUD와 MUD의 특정한 구현과 관련하여 반복 에러 정정을 설명하고 있지만, 다음에 일반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것은 순환 근사화를 이용하는 선형 방정식에 대한 임의의 FFT 기반의 해(solution)에 적용될 수 있다.
수학식 1은 일반적인 선형 방정식이다.
[수학식 1]
Figure 112003037194854-pct00024
x를 결정하기 위하여 수학식 20이 사용될 수 있다.
Figure 112003037194854-pct00025
역행렬 Z는 복소 행렬(complex matrix)이다. Z를 순환 행렬, Zcir로 근사화함으로써, Z가 수학식 21 또는 수학식 22에 따라 FFT 분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03037194854-pct00026
Figure 112003037194854-pct00027
만일 Z가 블록 순환 행렬이라면, 블록 푸리에 변환이 대신 사용되는데, 이는 수학식 21과 수학식 22와 유사한 방정식을 사용한다.
Z의 순환 근사화는 근사치 에러를 생성한다. Z와 Zcir의 차는 수학식 23과 같다.
Figure 112003037194854-pct00028
Z는 Z와 Zcir간의 미분 행렬(differential matrix)이다. 순환 및 미분 행렬을 사용하면, 수학식 1은 수학식 24와 같이 된다.
Figure 112003037194854-pct00029
수학식 24를 재정리하면, 수학식 25가 된다.
Figure 112003037194854-pct00030
수학식 25를 풀기 위하여, 수학식 26, 수학식 27, 수학식 28에서와 같이 반복 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Figure 112003037194854-pct00031
Figure 112003037194854-pct00032
Figure 112003037194854-pct00033
수학식 26, 수학식 27, 수학식 28을 사용하면, x가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x의 최초 해, x (0)이 수학식 21 또는 수학식 22의 FFT, 및 수학식 29에 도시된 순환 근사화를 사용하여 결정된다.
Figure 112003037194854-pct00034
최초 에러 정정 항,
Figure 112003037194854-pct00035
이 수학식 30에 따라 결정된다.
Figure 112003037194854-pct00036
최초 에러 정정 항,
Figure 112003037194854-pct00037
이 수학식 31에 따라 최초 해, x(0)에 더해진다.
Figure 112003037194854-pct00038
수학식 32와 수학식 33에 따라 N 번 반복이 이루어진다.
Figure 112003037194854-pct00039
Figure 112003037194854-pct00040
x (N)x의 근사치로서 사용된다. 반복 횟수, N은 반복 에러 정정 과정으로 인한 복잡도 증가와 x 결정에 있어 정확도 증가 사이의 트레이드 오프에 기초한 일정한 수일 수 있다. 반복 횟수, N은 일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반복은 수학식 34와 수학식 35에 따라 각각 x (k+1)x가 같은 값이 될 때까지(해가 수렴함) 또는 이들의 차가 임계값 이하가 될 때까지 계속될 수 있다.
Figure 112003037194854-pct00041
Figure 112003037194854-pct00042
T는 임계값이다.
반복 에러 정정의 장점 중 하나는 이것이 선택적(optional)이라는 점이다. 최초 해, x (0)x의 동일한 추정치(estimation)이므로, 에러 정정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x 결정에 있어 정확도가 더 필요하지 않다면, 반복 에러 정정이 수행되지 않고 반복 에러 정정의 복잡도가 증가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그러나, 정확도가 더 필요하거나 요구된다면, 복잡도가 증가하는 것을 희생하고서 반복 에러 정정이 수행된다. 따라서, 반복 에러 정정은 정확도와 복잡도 간에 적당한 트레이드 오프를 제공한다. 또한, 반복 에러 정정이 행렬 곱셈, 덧셈, 뺄셈만을 사용하여 수행되므로, 반복 정정의 복잡도 증가는 상대적으로 작다.
반복 에러 정정을 SUD에 대한 MMSE 해에 적용하면, 해를 구해야 할 방정식은 수학식 36과 같다.
Figure 112003037194854-pct00043
y와 R은 각각 수학식 37과 수학식 13에 의해 구해진다.
Figure 112003037194854-pct00044
[수학식 13]
Figure 112003037194854-pct00045
수학식 36과 수학식 1을 관련시키면, R은 Z에 대응하고, sx에 대응하며, y는 y에 대응한다.
R에 대한 순환 근사치, Rcir을 사용하여 반복 에러 정정이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최초 확산 데이터 추정치, s (0)은 수학식 38에서와 같이, FFT를 사용하여 결정된다.
Figure 112003037194854-pct00046
최초 에러 정정 항,
Figure 112003037194854-pct00047
은 수학식 39를 사용하여 결정된다.
Figure 112003037194854-pct00048
R은 R과 Rcir의 차이다. 최초 에러 정정 항,
Figure 112003037194854-pct00049
은 수학식 40에 따라 최초 해, s (0)에 더해진다.
Figure 112003037194854-pct00050
수학식 41과 수학식 42에 따라 N 번 반복이 이루어진다.
Figure 112003037194854-pct00051
Figure 112003037194854-pct00052
수학식 43에서와 같이 전송된 버스트의 채널 코드를 사용하여 역확산함으로써 N 번째 반복 추정 확산 데이터 벡터, s (N)를 이용하여 데이터 심벌들이 결정된다.
Figure 112003037194854-pct00053
반복 에러 정정을 MUD에 대한 MMSE 해에 적용함으로써, 해를 구할 선형 방정식은 수학식 44와 같다.
Figure 112003037194854-pct00054
y와 R은 각각 수학식 45와 수학식 46에 의해 구해진다.
Figure 112003037194854-pct00055
Figure 112003037194854-pct00056
수학식 44와 수학식 1을 관련시키면, R은 Z에 대응하고, dx에 대응하며, y는 y에 대응한다.
R에 대한 블록 순환 근사치, Rbcir을 사용하여 반복 에러 정정이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최초 데이터 추정치, d (0)은 수학식 47에서와 같이 FFT를 사용하여 결정된다.
Figure 112003037194854-pct00057
최초 에러 정정 항,
Figure 112003037194854-pct00058
이 수학식 48을 사용하여 결정된다.
Figure 112003037194854-pct00059
R은 R과 Rbcir의 차이다. 최초 에러 정정 항,
Figure 112003037194854-pct00060
은 수학식 49에 따라 최초 해 d (0)에 더해진다.
Figure 112003037194854-pct00061
수학식 50과 수학식 51에 따라 반복이 N 번 이루어진다.
Figure 112003037194854-pct00062
Figure 112003037194854-pct00063
추정된 데이터 심벌은 N 번째 반복 추정 데이터 심벌, d (N)이다. R 행렬이 마지막 심벌 임펄스 응답을 획득하기 위하여 확장되거나 효율적인 PFA 길이까지 확장된다면 유사한 기법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8)

  1.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통신 시스템에서, 실질적으로 같은 시간에 공유 스펙트럼으로 전송되는 다수의 데이터 신호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추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유 스펙트럼을 통해 전송된 데이터 신호들을 결합한 신호를 수신하고 샘플링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된 데이터 신호들에 대한 채널 응답을 추정하는 단계와,
    샘플들, 상기 추정된 채널 응답, 및 푸리에 변환에 기초한 데이터 추정 기법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들의 데이터를 추정하고, 상기 푸리에 변환에 기초한 데이터 추정 기법에서 사용된 순환 근사화(circulant approximation)로부터 도입된 데이터 추정시의 에러를 반복적으로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추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리에 변환에 기초한 데이터 추정 기법은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에 기초한 데이터 추정 기법인 데이터 추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리에 변환에 기초한 데이터 추정 기법은 단일 유저 검출에 기초한 데이터 추정 기법을 사용하는 데이터 추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리에 변환에 기초한 데이터 추정 기법은 다중 유저 검출에 기초한 데이터 추정 기법을 사용하는 데이터 추정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통신 시스템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간에 공유 스펙트럼으로 전송되는 다수의 데이터 신호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추정하는데 있어서, 에러를 선택적으로 감소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유 스펙트럼을 통해 전송된 데이터 신호들을 결합한 신호를 수신하고 샘플링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된 데이터 신호들에 대한 채널 응답을 추정하는 단계와,
    샘플들, 상기 추정된 채널 응답, 및 순환 근사화(circulant appoximation)를 사용하는 푸리에 변환에 기초한 데이터 추정 기법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들의 데이터를 추정하는 단계와,
    상기 푸리에 변환에 기초한 기법에서 사용된 순환 근사화로부터 도입된 데이터 추정시의 에러를 감소시킬 수 있는 에러 정정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추정시의 에러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에러 정정 장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러 감소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정정 장치에 의해 수행된 많은 반복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러 정정 장치는 상기 데이터 추정시의 에러를 반복적으로 감소시키는 에러 감소 방법.
  12.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수신기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간에 공유 스펙트럼으로 전송된 데이터 신호들을 결합한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와,
    상기 전송된 데이터 신호들에 대한 채널 응답을 추정하는 샘플링 장치와,
    샘플들, 상기 추정된 채널 응답, 및 푸리에 변환에 기초한 데이터 추정 기법을 사용하여 상기 전송된 데이터 신호들의 데이터를 추정하는 데이터 추정 장치와,
    상기 푸리에 변환에 기초한 데이터 추정 기법에서의 순환 근사화(circulant approximation)로부터 도입된 데이터 추정시의 에러를 감소시키는 에러 정정 장치를 포함하는 CDMA 통신 시스템용 수신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푸리에 변환에 기초한 데이터 추정 기법은 고속 푸리에 변환에 기초한 데이터 추정 기법인 CDMA 통신 시스템용 수신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정정 장치는 상기 데이터 추정시의 에러를 반복적으로 감소시키는 CDMA 통신 시스템용 수신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정정 장치는 상기 데이터 추정시의 에러를 감소시키는데 선택적으로 이용되는 CDMA 통신 시스템용 수신기.
  16. 제12항에 있어서, 근사화되지 않은(unapproximated) 행렬과 상기 데이터 추정 장치에 의해 사용된 순환 근사 행렬과의 차, 및 상기 데이터 추정 장치에 의해 출력된 제1 추정치를 이용하여 에러 정정 항을 결정하고, 다음 추정치로서 상기 에러 정정 항을 상기 제1 추정치에 더함으로써, 상기 에러 정정 장치가 에러를 감소시키는 CDMA 통신 시스템용 수신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정정 장치는 상기 다음 추정치를 이용하여 후속 추정치들을 반복적으로 생성하는 CDMA 통신 시스템용 수신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후속 추정치들을 반복적으로 생성하는 것은 정해진 횟수 동안 수행되는 CDMA 통신 시스템용 수신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후속 추정치들을 반복적으로 생성하는 것은 후속 추정치들 중 마지막 두 개의 차가 0 벡터가 될 때까지 수행되는 CDMA 통신 시스템용 수신기.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후속 추정치들을 반복적으로 생성하는 것은 후속 추정치들 중 마지막 두 개의 차가 임계값보다 작을 때까지 수행되는 CDMA 통신 시스템용 수신기.
  21.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수신기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간에 공유 스펙트럼으로 전송된 데이터 신호들을 결합한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전송된 데이터 신호들에 대한 채널 응답을 추정하는 수단과,
    샘플들, 상기 추정된 채널 응답, 및 푸리에 변환에 기초한 데이터 추정 기법을 사용하여 상기 전송된 데이터 신호들의 데이터를 추정하는 수단과,
    상기 푸리에 변환에 기초한 데이터 추정 기법에서의 추정 근사화(circulant approximation)로부터 도입된 데이터 추정시의 에러를 감소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CDMA 통신 시스템용 수신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푸리에 변환에 기초한 데이터 추정 기법은 고속 푸리에 변환(FFT)에 기초한 데이터 추정 기법인 CDMA 통신 시스템용 수신기.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감소 수단은 상기 데이터 추정시의 에러를 반복적으로 감소시키는 CDMA 통신 시스템용 수신기.
  24. 제21항에 있어서, 근사화되지 않은(unapproximated) 행렬과 상기 데이터 추정 장치에 의해 사용된 순환 근사 행렬과의 차, 및 상기 데이터 추정 장치에 의해 출력된 제1 추정치를 이용하여 에러 정정 항을 결정하고, 다음 추정치로서 상기 에러 정정 항을 상기 제1 추정치에 더함으로써, 상기 에러 감소 수단이 에러를 감소시키는 CDMA 통신 시스템용 수신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감소 수단은 상기 다음 추정치를 이용하여 후속 추정치들을 반복적으로 생성하는 CDMA 통신 시스템용 수신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후속 추정치들을 반복적으로 생성하는 것은 정해진 횟수 동안 수행되는 CDMA 통신 시스템용 수신기.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후속 추정치들을 반복적으로 생성하는 것은 후속 추정치들 중 마지막 두 개의 차가 0 벡터가 될 때까지 수행되는 CDMA 통신 시스템용 수신기.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후속 추정치들을 반복적으로 생성하는 것은 후속 추정치들 중 마지막 두 개의 차가 임계값보다 작을 때까지 수행되는 CDMA 통신 시스템용 수신기.
KR1020037013096A 2001-04-06 2002-04-05 반복 고속 푸리에 변환 에러 정정 방법 KR1006707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8238701P 2001-04-06 2001-04-06
US60/282,387 2001-04-06
US10/004,370 2001-11-01
US10/004,370 US7027489B2 (en) 2001-04-06 2001-11-01 Iterative fast fourier transform error correction
PCT/US2002/010797 WO2002082268A1 (en) 2001-04-06 2002-04-05 Iterative fast fourier transform error correcti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5151A Division KR20050090014A (ko) 2001-04-06 2002-04-05 반복 고속 푸리에 변환 에러 정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4485A KR20040014485A (ko) 2004-02-14
KR100670715B1 true KR100670715B1 (ko) 2007-01-18

Family

ID=2667290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6546A KR20070087164A (ko) 2001-04-06 2002-04-05 반복 고속 푸리에 변환 에러 정정 방법
KR1020037013096A KR100670715B1 (ko) 2001-04-06 2002-04-05 반복 고속 푸리에 변환 에러 정정 방법
KR1020057015151A KR20050090014A (ko) 2001-04-06 2002-04-05 반복 고속 푸리에 변환 에러 정정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6546A KR20070087164A (ko) 2001-04-06 2002-04-05 반복 고속 푸리에 변환 에러 정정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5151A KR20050090014A (ko) 2001-04-06 2002-04-05 반복 고속 푸리에 변환 에러 정정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7027489B2 (ko)
EP (1) EP1374053A4 (ko)
JP (1) JP2004533157A (ko)
KR (3) KR20070087164A (ko)
CN (1) CN1500245A (ko)
CA (1) CA2443095A1 (ko)
MX (1) MXPA03009051A (ko)
MY (1) MY133254A (ko)
NO (1) NO20034400L (ko)
TW (2) TWI246830B (ko)
WO (1) WO20020822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25203B2 (en) * 2001-04-30 2003-09-2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Fast joint detection
US7092464B2 (en) * 2002-01-23 2006-08-15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Integration Inc. Multiuser detection with targeted error correction coding
US6839390B2 (en) * 2002-01-23 2005-01-04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Integration Inc. Voting system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single-user decoders within an iterative multi-user detection system
DK1582008T3 (da) 2003-01-10 2008-01-21 Interdigital Tech Corp Generaliseret totrinsdataestimering
US7725516B2 (en) 2005-10-05 2010-05-25 Qualcomm Incorporated Fast DCT algorithm for DSP with VLIW architecture
JP4675255B2 (ja) * 2006-02-15 2011-04-20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マルチユーザー検出装置
US7675847B2 (en) 2007-07-10 2010-03-09 Wipro Limited Hardware implementation of a programmable FFT based on a half length FFT core
US9176928B2 (en) * 2009-07-07 2015-11-03 L3 Communication Integrated Systems, L.P. System for convergence evaluation for stationary method iterative linear solvers
KR102190919B1 (ko) * 2014-09-11 2020-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시분할 듀플렉싱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검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09867C2 (de) * 1995-03-17 1997-05-15 Siemens Ag Übertragungsverfahren zum gleichzeitigen synchronen oder asynchronen Übertragen von K aus Datensymbolen bestehenden Datenfolgen
DE69725995T2 (de) * 1996-08-29 2004-11-11 Cisco Technology, Inc., San Jose Raumzeitliche signalverarbeitung für übertragungssysteme
US5831977A (en) * 1996-09-04 1998-11-03 Ericsson Inc. Subtractive CDMA system with simultaneous subtraction in code space and direction-of-arrival space
US6072947A (en) * 1997-09-23 2000-06-06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of making an integrated circuit including noise modeling and prediction
US6154443A (en) * 1998-08-11 2000-11-28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FFT-based CDMA RAKE receiver system and method
US6275483B1 (en) * 1998-09-03 2001-08-1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Fast and accurate identification of spread spectrum signals
US6177906B1 (en) * 1999-04-01 2001-01-23 Arraycomm, Inc. Multimode iterative adaptive smart antenn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ITMI991287A1 (it) 1999-06-09 2000-12-09 Telital Spa Joint detection a bassa complessita' computazionale per sistemi ibridi td-cdma
US6798737B1 (en) * 1999-10-06 2004-09-2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Use of Walsh-Hadamard transform for forward link multiuser detection in CDMA systems
US6885654B2 (en) * 2001-02-06 2005-04-2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Low complexity data detection using fast fourier transform of channel correlation matrix
US6741653B2 (en) * 2002-07-01 2004-05-2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Data detection for codes with non-uniform spreading factors
US7042967B2 (en) * 2003-03-03 2006-05-09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Reduced complexity sliding window based equaliz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533157A (ja) 2004-10-28
MXPA03009051A (es) 2004-02-12
US7027489B2 (en) 2006-04-11
TWI246830B (en) 2006-01-01
NO20034400L (no) 2003-11-17
EP1374053A1 (en) 2004-01-02
MY133254A (en) 2007-10-31
KR20050090014A (ko) 2005-09-09
TW200417163A (en) 2004-09-01
EP1374053A4 (en) 2005-11-02
KR20040014485A (ko) 2004-02-14
CN1500245A (zh) 2004-05-26
NO20034400D0 (no) 2003-10-01
TWI231667B (en) 2005-04-21
US20020191577A1 (en) 2002-12-19
US20060126704A1 (en) 2006-06-15
WO2002082268A1 (en) 2002-10-17
CA2443095A1 (en) 2002-10-17
KR20070087164A (ko) 2007-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34189B2 (ja) 高速ジョイント検出
KR100669962B1 (ko) 단일 사용자 검출
EP1552405B1 (en) Efficient joint detection
US20060126704A1 (en) System for estimating data using iterative fast fourier transform error correction
JP4105157B2 (ja) セグメント単位のチャネル等化に基づくデータ推定
TWI269540B (en) Iterative fast fourier transform error corr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