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8671B1 - 휴대 인터넷 시스템의 패킷 엑세스 라우터에서FMIPv6를 적용하여 패킷 유실을 방지하는 핸드오버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인터넷 시스템의 패킷 엑세스 라우터에서FMIPv6를 적용하여 패킷 유실을 방지하는 핸드오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8671B1
KR100668671B1 KR1020050112769A KR20050112769A KR100668671B1 KR 100668671 B1 KR100668671 B1 KR 100668671B1 KR 1020050112769 A KR1020050112769 A KR 1020050112769A KR 20050112769 A KR20050112769 A KR 20050112769A KR 100668671 B1 KR100668671 B1 KR 100668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over
access router
terminal
serving
packet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2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익
이상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나로텔레콤 주식회사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나로텔레콤 주식회사,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112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86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8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8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2Reselecting a serving backbone network switching or routing n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16Hand-off preparation specially adapted for end-to-end data s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2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Modification of the traffic flow during hand-off
    • H04W36/023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인터넷 시스템의 패킷 엑세스 라우터에서 FMIPv6를 적용하여 패킷 유실을 방지하는 핸드오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휴대 인터넷 접속 단말이 정상적인 핸드오버 절차없이 타겟 셀로 이동하여 패킷 엑세스 라우터간에 핸드오버가 발생한 경우 타겟 셀에서의 핸드오버 절차 수행후 FMIPv6 절차 완료시까지 발생하는 패킷 유실을 방지하는 핸드오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 서빙 패킷 엑세스 라우터와 통신이 두절된 단말에 대해 타겟 패킷 엑세스 라우터가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단말에 대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중에, 상기 서빙 패킷 엑세스 라우터와의 사이에 단방향 채널을 생성하고, 상기 서빙 패킷 엑세스 라우터로부터 단말에게 전송될 미전송 데이터를 상기 단방향 채널을 통하여 수신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b) 상기 단말에 대한 핸드오버를 수행한 후 모바일 IPv6 패스트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중에, 상기 서빙 패킷 엑세스 라우터와 상기 단말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양방향 채널을 상기 서빙 패킷 엑세스 라우터와의 사이에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휴대 인터넷, HPi, 핸드오버, FMIPv6

Description

휴대 인터넷 시스템의 패킷 엑세스 라우터에서 FMIPv6를 적용하여 패킷 유실을 방지하는 핸드오버 방법{METHOD OF HANDOVER PREVENTING PACKET LOSS APPLYING FAST MOBILE INTERNET PROTOCOL VERSION 6 IN PACKET ACCESS ROUTER OF HIGH SPEED PORTABLE INTERNET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인터넷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MIPv6를 적용하여 서브넷간 타겟셀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일련의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 서빙 PAR의 동작 절차를 보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 타겟 PAR의 동작 절차를 보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휴대 인터넷 망의 패킷 액세스 라우터(Packet Access Router)에서 패킷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FMIPv6(Fast Mobile Internet Protocol version 6)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접속 환경하에서 전송 속도와 서비스 커버리지는 서로 대립되는 특성으로 알려져 있다. 즉 고속의 전송 속도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커버리지는 좁을 수 밖에 없고, 넓은 서비스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전송 속도는 저속일 수 밖에 없다는 것이 정설로 여겨져 왔다. 하지만, 최근에 고속의 전송 속도를 제공하면서도 비교적 넓은 서비스 커버리지를 지원하는 기술들이 개발되는 중에 있으며 특히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 이러한 기술을 채용하고 있다.
휴대 인터넷 시스템은 60km 이하의 중저속 이동 환경에서 2.3GHz 대역을 이용하여 50Mbps 기반의 영상 및 고속 패킷 데이터를 포함하는 다양한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실내외에서 끊김없이 초고속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무선랜 시스템과 셀룰라 이동통신 시스템의 특징중에서 장점을 취하고 단점은 보완한다. 무선랜 시스템의 경우 고속의 전송 속도를 제공하지만 서비스 커버리지 및 이동성 지원이 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셀룰라 이동통신 시스템의 경우 넓은 서비스 커버리지 및 이동성은 지원하지만 전송속도가 저속이라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휴대 인터넷 시스템은 무선랜 시스템이 가지는 고속의 전송 속도와 셀룰라 이동통신 시스템이 가지는 넓은 커버리지 및 이동성이라는 장점을 취하여 고속의 전송 속도를 제공하면서 셀룰라 이동 통신 시스템에 근접하는 수준의 서비스 커버리지와 이동성까지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휴대 인터넷 시스템은 셀 기반의 이동통신 구조를 기반으로 하므로 핸드오버라는 이동 시스템 특유의 기술을 지원한다.
핸드오버는 서비스 중인 단말이 위치를 이동하면서 현재 서비스 중인 셀이 아닌 다른 셀 영역으로 진입하더라도 이전에 서비스가 단절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핸드오버 과정에서는 데이터 전달 경로의 변경이 수반될 수 밖에 없으므로 이때 경로 변경 과정에서 데이터 패킷이 유실될 수 있다.
특히,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MIPv6(Mobile Internet Protocol version 6)를 지원하는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 PAR간 핸드오버가 발생하여 서브넷이 변경되었을 때, 지속적인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 MIPv6(IETF RFC3775) 절차를 수행하지만 이에 따른 지연이 발생하여 결국 패킷 유실이 발생한다. 이러한 패킷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빠른 핸드오버 방법으로 FMIPv6(IETF RFC4068)이 제공된다.
하지만 이동 단말이 정상적인 핸드오버 절차없이 타겟 셀로 이동하여 PAR 간 타겟셀 핸드오버가 발생하였을 때, 타겟셀에서 핸드오버 절차가 완료된 후에 FMIPv6의 'Reactive Mode' 절차가 완료될 때까지 패킷 유실이 발생한다.
한편,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23194(2005. 3. 9 공개)에는 IPv4/MIPv4를 지원하는 휴대 인터넷 망에서 MIPv4 클라이언트에게 서브넷간 핸드오버시 패킷 유실을 방지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전술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23194호의 발명은 핸드오버 절차중에 PAR간 임시 터널을 생성하여 핸드오버 중에 유실될 수 있는 패킷을 새로운 PAR에게 전송하고, 핸드오버 절차 완료후에 MIPv4 재등록을 수행하여 핸드오버 절차중에 생성한 임시 터널을 삭제한다. 따라서 핸드오버 중에 발생할 수 있는 패킷 유실을 방지한다.
그러나 이동단말의 패킷 전송이 인그레스 필터링(Ingress filtering, 여기서 인그레스 필터링은 라우터 내부로 인바운드 되는 패킷의 소스 정보 등을 체크하여 필터링하는 것을 의미함)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정상적인 핸드오버의 절차 수행 없이 휴대 인터넷 접속 단말의 셀 변경이 이루어져 셀간 타겟셀 핸드오버가 발생한 경우, MIPv6 클라이언트에게 FMIPv6를 적용하여 패킷 유실을 방지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 서빙 패킷 엑세스 라우터와 통신이 두절된 단말에 대해 타겟 패킷 엑세스 라우터가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단말에 대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중에, 상기 서빙 패킷 엑세스 라우터와의 사이에 단방향 채널을 생성하고, 상기 서빙 패킷 엑세스 라우터로부터 단말에게 전송될 미전송 데이터를 상기 단방향 채널을 통하여 수신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b) 상기 단말에 대한 핸드오버를 수행한 후 모바일 IPv6 패스트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중에, 상기 서빙 패킷 엑세스 라우터와 상기 단말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양방향 채널을 상기 서빙 패킷 엑세스 라우터와의 사이에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 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모듈(module)이란 용어는 특정한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하나의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인터넷 시스템의 PAR에서 패킷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FMIPv6 제공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인터넷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보인 바에 의하면, 휴대 인터넷 시스템은 무선 접속을 통한 고속의 인터넷 서비스 및 핸드오버를 제공하며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MIPv6(Mobile Internet Protocol version 6)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AT(101)는 휴대 인터넷 단말기로서 기지국인 AP(102)에 무선 채널로 접속하여 무선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 받으며 이동성을 가진다.
AP(102)는 유선망과 무선망을 연결하는 장치로서 무선 채널을 제어하며, 유선망과 연결되어 AT(101)에 직접적으로 무선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PAR(103)은 서비스 접속 제어 기능, 핸드오버 기능, 패킷 접속 라우팅 기능 및 FMIPv6(Fast Mobile Internet Protocol version 6)의 엑세스 라우터 기능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을 위하여 AAA 서버(105)와 연동한다.
또한, 통상 하나의 PAR(103) 영역이 하나의 IP 서브넷을 이루고, 사업자 IP 망(104)에 연결되어 공중 인터넷 망(107)에 바로 접속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각 휴대 인터넷 시스템의 사업자별 IP 망(104)에는 AAA 서버(105), HA(106)가 존재한다. AAA(105)는 휴대 인터넷 망 가입자에게 인증 및 권한 검증 그리고 과금 기능의 수행한다. HA 서버(106)는 이동 단말에 MIP(Mobile Internet Protocol)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홈 에이전트(Home Agent, HA)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MIPv6를 적용하여 서브넷간 타겟셀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일련의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즉 휴대 인터넷 단말이 음영 지역에 있거나 기본 핸드오버가 실패하여 서비스 중이던 AP와 통신이 두절된 상태에서 서브넷간 타겟셀 핸드오버가 발생하였을 때, 패킷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PAR간 터널링 방법과 FMIPv6 방법을 적용한 일련의 처리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2에 보인 바에 의하면, 먼저 nPAR, nAP는 각각 타겟 패킷 엑세스 라우터, 타겟 엑세스 포인트를 지칭한다. 그리고 oPAR, oAP는 각각 서빙 패킷 엑세스 라우터, 서빙 엑세스 포인트를 지칭한다.
현재 휴대 인터넷 단말(또는 AT, 이하 AT라 칭하기로 함)은 AP(oAP)에 접속되어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AP(oAP)는 AT에게 주변 셀에 대한 정보를 알리기 위해 주기적으로 MOB_NBR-ADV 메시지를 전송한다(S101).
상기 단계(S101)에서 MOB_NBR-ADV 메시지를 수신한 AT는 주변 PAR의 프리픽스(Prefix)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현재 서비스 중인 PAR(이하, oPAR로 기술함)로 RtSolPr 메시지를 전송한다(S102).
그러면 상기 oPAR는 상기 단계(S102)에 대한 응답으로 주변 PAR의 프리픽스 정보가 포함된 PrRtAdv 메시지를 상기 AT로 전송한다(S103). 이때, 상기 단계(S103)에서 PrRtAdv 메시지를 수신한 AT는 상기 PrRtAdv 메시지에 포함된 프리픽스 정보를 이용하여 앞으로 이동될 PAR에서 관장하는 주소 영역의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상기 AT가 음영 지역으로 이동하거나 기본 핸드오버가 실패하여 셀 변경이 이루어지면(S104), 상기 AT는 네트워크 재진입을 위해 새로 접속된 AP(이하, nAP라 기술함)에 RNG-REQ 메시지를 전송한다(S105).
그러면, nAP는 AT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타겟셀 핸드오버임을 인식한다. 그리고 자신과 연결되어 있는 nPAR에 메시지 인증 정보, AT의 MAC 주소, 타겟셀 및 서빙셀의 주소를 포함한 XHOreq 메시지를 전송하여 타겟셀 핸드오버를 요청한다(S106).
상기 단계(S106)에서 XHOreq를 수신한 nPAR은 수신된 서빙 셀 정보를 분석하여 PAR간 타겟셀 핸드오버임을 인식한다. 그리고 oPAR에게 PHO-ind 메시지를 전송하여 타겟셀 핸드오버 요청이 있음을 통지한다(S107).
그러면 상기 단계(S107)에서 PHO-ind를 수신한 oPAR는 자신에게 등록되어 있는 가입자인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등록된 가입자인 경우 XHOind 메시지를 통해 oAP에게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전달한다(S108).
상기 단계(S108)에서 XHOind 메시지를 수신한 oAP는 상기 XHOind 메시지에 포함된 메시지 인증 검사를 실시하여 적법한 가입자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적법한 가입자일 경우, 해당 가입자에게 설정되어 있는 세션의 QoS 정보를 포함한 XHOcnf 메시지를 oPAR에게 전달한다(S109).
상기 단계(S109)에서 XHOcnf 메시지를 수신한 oPAR는 PAR에서 관리하고 있던 QoS를 추가한 PHO-cnf 메시지를 nPAR로 송신한다(S110).
상기 단계(S110)에서 PHO-cnf 메시지를 수신한 nPAR는 상기 PHO-cnf 메시지에 포함된 QoS 정보를 기반으로 핸드오버 요청을 수락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수락이 가능할 경우 XHOrsp 메시지에 수락 가능 여부를 표기하여 nAP에게 송신한다(S111).
상기 단계(S111)에서 XHOrsp 메시지를 수신한 nAP는 AP 입장에서 수신된 QoS 정보를 기반으로 핸드오버 요청에 대한 수락 여부를 결정한다. 그리고 최종 결정된 결과를 RNG-RSP 메시지를 통하여 AT에게 통보한다(S112). 또한, 상기 최종 결정된 결과 즉 핸드오버 수락 결과를 XHOack 메시지를 통해 nPAR에게 통보한다(S113).
그러면, 상기 단계(S113)에서 XHOack를 수신한 nPAR는 상기 핸드오버 수락 결과를 PHO-ack 메시지를 통해 oPAR로 통보한다(S114). 그러면 상기 oPAR는 XHOack(215) 메시지를 통해 상기 핸드오버 수락 결과를 oAP로 통보한다(S115).
이후, oPAR는 해당 AT의 서비스 접속을 위해 사용된 각종 컨텍스트 정보-여기서, 컨텍스트 정보는 주소 정보, 플로우 개수, QoS정보 등을 포함하는 것임-를 PCI-ind 메시지를 통해 nPAR에게 전달한다(S116).
그러면 nPAR는 상기 단계(S116)에서 수신한 정보 즉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하고 PCI-cnf 메시지로 oPAR에게 응답한다(S117).
상기 단계(S117)에서 PCI-cnf 메시지를 수신한 oAP는 해당 AT와의 통신시 사용한 패킷전달번호와 같은 컨텍스트 정보를 ACIind 메시지, PDT-ind 메시지 및 ACIind 메시지를 통해 nAP에게 전달한다(S118, S119, S120).
그러면 상기 nAP는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고 ACIcnf 메시지로 nPAR에게 응답한다(S121). 상술한 단계들을 통하여 PAR 및 AP의 컨텍스트 전달이 완료된다.
이후, 상기 단계(S121)에서 ACIcnf 메시지를 수신한 nPAR는 oPAR로부터 수신되는 패킷을 디캡슐화(Decapsulation, 이하 디캡슐화라 칭하기로 함)하기 위한 터널을 생성한다(S122). 그리고 상기 단계(S122)를 수행한 후 PDT-cnf 메시지를 oPAR에게 송신한다(S123).
상기 단계(S123)에서 PDT-cnf 메시지를 수신한 oPAR는 AT에게 전달될 패킷을 nPAR를 통해 전달하기 위해 캡슐화(Encapsulation, 이하 캡슐화라 칭하기로 함) 터널을 생성한다(S124). 그리고 상기 단계(S124)를 수행한 후 ACIcnf 메시지를 oAP에게 전달한다(S125).
상기 단계(S125)에서 ACIcnf 메시지를 수신한 oAP는 AT에 전송하지 못하고 버퍼링 되어 있는 패킷을 oPAR을 통해서 nPAR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nPAR는 AT에 전달되는 패킷을 PAR간 생성된 단방향 터널을 통해서 nAP에 전송한다(S126). 이후, nAP는 AT가 정상적으로 등록될 때까지 수신된 패킷을 버퍼링한다.
이후, 상기 단계(S112)에서 RNG-RSP 메시지를 수신한 AT는 등록을 위해 REG-REQ 메시지를 nAP에 전송한다(S127).
그러면, 상기 nAP는 nPAR에게 CREGreq 메시지를 전송하여 서비스 개시를 요청한다(S128).
그러면, 상기 nPAR는 상기 단계(S128)에 대한 응답으로 CREGrsp 메시지를 nAP로 전송한다(S129).
그러면, 상기 nAP는 REG-RSP 메시지를 AT에게 전송하고(S130) 서비스를 개시한다(S131). 이때, nAP는 oAP, oPAR로부터 수신하여 AT에게 전송하기 위해 버퍼링되어 있는 패킷을 전송한다(S132). 여기서, 상기 단계(S132)로 인해 패킷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때까지는 PAR간에 단방향 터널만 생성되어 있기 때문에 AT는 패킷을 수신만 할 수 있고, IPv6의 인그레스 필터링에 의한 패킷 전송은 nPAR에 의해 거부된다.
따라서, AT는 원활한 패킷의 송수신을 위해서 FMIPv6의 Reactive Mode를 수행한다.
먼저, AT는 등록이 완료된 후에 FBU(Fast Binding Update, 이하 FBU라 기술하기로 함) 메시지를 포함하는 FNA(Fast Neighbor Advertisement, 이하 FNA라 기술하기로 함)메시지를 nAP를 통해 nPAR로 전송한다(S133).
상기 단계(S133)에서 FNA를 수신한 nPAR는 FMIPv6의 HI(Handoff Initiated)메시지를 oPAR로부터 수신하지 못했기 때문에, Reactive Mode임을 인식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S133)에서 수신한 FBU 메시지를 oPAR로 전송한다(S134). oPAR는 응답 으로 FBAck(Fast Binding Update ACK)메시지를 nPAR에 전송한다(S135).
이후, oPAR는 핸드오버 절차 중에 생성되었던 캡슐화 터널을 삭제하고 캡슐화/디캡슐화가 가능한 양방향 터널을 생성한다(S136). 그리고, nPAR도 디캡슐화 터널을 삭제하고 캡슐화/디캡슐화가 가능한 양방향 터널을 생성한다(S137).
상기 단계(S136, S137)를 통하여 생성된 터널을 통해서 AT로 전송되는 패킷은 oPAR와 nPAR 그리고 nAP를 통해서 전송된다(S138, S139). 그리고, AT가 송신하는 메시지는 nAP와 nPAR 그리고 oPAR를 통해서 전송(S138, S139)되므로 패킷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 서빙 PAR의 동작 절차를 보인 순서도이다. 즉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 PAR간 타겟셀 핸드오버가 발생되었을 때, 서빙 PAR(oPAR)에서의 동작 절차를 보인 도면이다.
먼저, oPAR에서 타겟셀 핸드오버가 시작되면(S201) nPAR로부터 PDT-cnf 메시지를 수신한다(S203).
그러면, 상기 oPAR는 AT로 전송되는 패킷을 nPAR로 전송하기 위한 캡슐화 터널을 생성한다(S205). 그리고 상기 AT로 전송되는 패킷을 nPAR로 전송한다(S207).
이때, 상기 패킷을 전송하는 중에 nPAR로부터 FMIPv6 터널의 생성을 요청하는 FBU 메시지를 수신한다(S209). 그러면 oPAR는 상기 단계(S205)에서 생성한 캡슐화 터널을 삭제한다(S211). 그리고 nPAR와 캡슐화/디캡슐화를 위한 양방향 터널을 생성한다(S213).
그리고 AT로 송신되거나 AT에서 송신하는 패킷을 양방향 터널을 통해서 nPAR 와 송/수신한다(S215).
그러나, 상기 단계(S209)에서 nPAR로부터 FBU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지속적으로 캡슐화 터널을 유지하면서 AT로 전송되는 패킷을 nPAR로 전송한다(S217).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 타겟 PAR의 동작 절차를 보인 순서도이다. 즉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 PAR간 타겟셀 핸드오버가 발생되었을 때, 타겟 PAR(nPAR)에서의 동작 절차를 보인 도면이다.
먼저, nPAR에서 타겟셀 핸드오버가 시작되면(S301) nAP로부터 ACInf 메시지를 수신한다(S303).
그러면, 상기 nPAR는 oPAR로부터 AT에게 전송될 패킷을 수신하여 nAP로 전송하기 위한 디캡슐화 터널을 생성한다(S305). 그리고 상기 단계(S305)에서 oPAR로부터 수신한 패킷을 nAP를 통하여 AT로 전송한다(S307).
이때, 상기 AT로부터 FBU 메시지를 포함한 FNA 메시지를 수신한다(S309). 그러면 nPAR는 상기 단계(S305)에서 생성한 디캡슐화 터널을 삭제한다(S311). 그리고 oPAR와 캡슐화/디캡슐화를 위한 양방향 터널을 생성한다(S313).
다음, AT에 송신되거나 AT에서 송신하는 패킷을 상기 단계(S313)에서 생성한 양방향 터널을 통해서 oPAR와 송/수신한다(S315).
그러나, 상기 단계(S309)에서 AT로부터 FBU 메시지를 포함한 FNA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지속적으로 상기 단계(S305)에서 생성한 디캡슐화 터널을 유지하면서 AT로 전송되는 패킷을 oPAR로부터 수신하여 AT에게 전송한다(S317).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휴대 인터넷 단말이 정상적인 핸드오버 절차없이 타겟 셀로 이동하여 PAR 간 타겟셀 핸드오버가 발생하였을 때, 서빙 셀과 타겟 셀간에 단방향 터널을 생성하여 이를 통해 전송중인 패킷을 전송하고, 타겟 셀에서의 핸드오버 절차후에 FMIPv6의 'Reactive Mode' 절차때 단방향 터널을 삭제하고 대신 양방향 터널을 생성함으로써 패킷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7)

  1.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 서빙 패킷 엑세스 라우터와 통신이 두절된 단말에 대해 타겟 패킷 엑세스 라우터가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단말에 대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중에, 상기 서빙 패킷 엑세스 라우터와의 사이에 단방향 채널을 생성하고, 상기 서빙 패킷 엑세스 라우터로부터 단말에게 전송될 미전송 데이터를 상기 단방향 채널을 통하여 수신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b) 상기 단말에 대한 핸드오버를 수행한 후 모바일 IPv6 패스트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중에, 상기 서빙 패킷 엑세스 라우터와 상기 단말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양방향 채널을 상기 서빙 패킷 엑세스 라우터와의 사이에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ⅰ) 상기 단말이 접속된 타겟 접속 장치로부터 FBU(Fast Binding Update) 메시지를 포함한 FNA(Fast Neighbor Advertisement)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ⅱ) 상기 단계에서 수신된 FBU(Fast Binding Update) 메시지를 상기 서빙 타겟 엑세스 라우터로 전송하는 단계;
    (ⅲ) 상기 서빙 타겟 엑세스 라우터로부터 FBAck(Fast Binding Update Ack)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ⅳ) 상기 서빙 타겟 엑세스 라우터와의 사이에 상기 양방향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와 (b)단계 사이에
    상기 (a)단계에서 생성한 단방향 채널을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핸드오버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 채널은
    상기 서빙 패킷 엑세스 라우터에 의해 생성된 캡슐화(encapsulation)터널과 상기 타겟 패킷 엑세스 라우터에 의해 생성된 디캡슐화(decapsulation)터널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채널은
    상기 서빙 패킷 엑세스 라우터에 의해 생성된 캡슐화(encapsulation)/디캡슐화(decapsulation)터널과 상기 타겟 패킷 엑세스 라우터에 의해 생성된 캡슐화(encapsulation)/디캡슐화(decapsulation)터널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ⅰ) 상기 단방향 채널을 통하여 수신되는 상기 미전송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단계;
    (ⅱ) 상기 단말의 상기 패킷 엑세스 라우터에 대한 정상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ⅲ) 상기 (ⅱ)단계가 성공적으로 수행된 경우, 상기 (ⅰ)단계에서 버퍼링한 상기 미전송 데이터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ⅰ)단계 이전에
    상기 단말로부터 접속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속 요청 메시지를 분석하여 서빙 패킷 엑세스 라우터를 확인하여 상기 서빙 패킷 엑세스 라우터로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핸드오버 요청이 수락된 경우 상기 서빙 패킷 엑세스 라우터로부터 상기 단말의 접속시 사용된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방법.
KR1020050112769A 2005-11-24 2005-11-24 휴대 인터넷 시스템의 패킷 엑세스 라우터에서FMIPv6를 적용하여 패킷 유실을 방지하는 핸드오버방법 KR100668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769A KR100668671B1 (ko) 2005-11-24 2005-11-24 휴대 인터넷 시스템의 패킷 엑세스 라우터에서FMIPv6를 적용하여 패킷 유실을 방지하는 핸드오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769A KR100668671B1 (ko) 2005-11-24 2005-11-24 휴대 인터넷 시스템의 패킷 엑세스 라우터에서FMIPv6를 적용하여 패킷 유실을 방지하는 핸드오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8671B1 true KR100668671B1 (ko) 2007-01-12

Family

ID=37867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2769A KR100668671B1 (ko) 2005-11-24 2005-11-24 휴대 인터넷 시스템의 패킷 엑세스 라우터에서FMIPv6를 적용하여 패킷 유실을 방지하는 핸드오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86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987B1 (ko) * 2005-12-30 2008-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더 신속한 L2 핸드오버를 트리거하기 위해FMIPv6를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958657B1 (ko) 2007-12-18 2010-05-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기종망간 빠른핸드오버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7907A (ko) * 2002-10-07 2002-11-23 (주)아이엠넷피아 무선랜 기반에서 고속 릴리스 메시지를 이용한 고속핸드오버 방법
KR20040022696A (ko) * 2002-09-09 2004-03-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트래픽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라우터를 그룹화하여터널 길이를 줄인 터널 기반 핸드오버 시스템
KR20050023194A (ko) * 2003-08-27 2005-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인터넷망에서 패킷유실을 방지하는 핸드오버방법
KR20050050518A (ko) * 2003-11-26 2005-05-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억세스 라우터 기반의 모바일 IPv6 패스트 핸드오버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2696A (ko) * 2002-09-09 2004-03-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트래픽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라우터를 그룹화하여터널 길이를 줄인 터널 기반 핸드오버 시스템
KR20020087907A (ko) * 2002-10-07 2002-11-23 (주)아이엠넷피아 무선랜 기반에서 고속 릴리스 메시지를 이용한 고속핸드오버 방법
KR20050023194A (ko) * 2003-08-27 2005-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인터넷망에서 패킷유실을 방지하는 핸드오버방법
KR20050050518A (ko) * 2003-11-26 2005-05-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억세스 라우터 기반의 모바일 IPv6 패스트 핸드오버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987B1 (ko) * 2005-12-30 2008-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더 신속한 L2 핸드오버를 트리거하기 위해FMIPv6를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958657B1 (ko) 2007-12-18 2010-05-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기종망간 빠른핸드오버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6154B1 (ko) 무선 패킷 데이터 서비스 접속의 핸드오프를 위한 방법 및장치
US728050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inter-technology handoff from WLAN to cellular network
US7920510B2 (en) Minimized IP connectivity establishment procedures
CN102007752B (zh) 当改变了移动性管理方案时的归属代理发现
US7944888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facilitate handover
US7440757B2 (en) Handover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026342B1 (ko) 무선 패킷 데이터 서비스 연결의 핸드오프에 대한 방법 및장치
KR100729734B1 (ko) 이동통신망과 무선랜간 핸드오프 시스템 및 방법
KR101075624B1 (ko) 이종 시스템들 간의 핸드오프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8391209B2 (en) Fast handover method and system using network-based localized mobility management
JP2005130487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と無線lanとの間の結合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A2566537C (en) Minimized ip connectivity establishment procedures
US7698436B2 (en) IP connection processing device
US8400980B2 (en) Fast handover system and method thereof
MX2007012502A (es) Metodo de reconfiguracion de una direccion de protocolo de internet en transferencia entre redes heterogeneas.
JP3699395B2 (ja) 改良された移動体インタネットプロトコルの展開
Dutta et al. MPA assisted optimized proactive handoff scheme
US201102647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ipv6 ser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0668671B1 (ko) 휴대 인터넷 시스템의 패킷 엑세스 라우터에서FMIPv6를 적용하여 패킷 유실을 방지하는 핸드오버방법
Gwon et al. Fast handoffs in wireless LAN networks using mobile initiated tunneling handoff protocol for IPv4 (MITHv4)
KR100534414B1 (ko)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장치 및 방법
Zhang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seamless handover in mobile IPv6-based cellular networks
KR100657514B1 (ko)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 dhcp 서비스 사용자에 대한서브넷간 핸드오버 제공 방법
KR101125207B1 (ko) 이종망간 이동 단말의 로밍방법
Tian A speed adaptive mobile internet protocol ove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