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8453B1 -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Mobi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8453B1
KR100668453B1 KR1020050026054A KR20050026054A KR100668453B1 KR 100668453 B1 KR100668453 B1 KR 100668453B1 KR 1020050026054 A KR1020050026054 A KR 1020050026054A KR 20050026054 A KR20050026054 A KR 20050026054A KR 100668453 B1 KR100668453 B1 KR 100668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phone terminal
switching member
insertion groov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60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104152A (en
Inventor
박소연
장현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50026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8453B1/en
Publication of KR20060104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41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8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84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6Water-bottles; Mess-tins; Cup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6Water-bottles; Mess-tins; Cups
    • A45F2003/166Hydration systems attached to the body by straps, e.g. incorporated in a backpack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진 촬영 기능, 컴퓨터 음악 파일 재생 기능 등을 포함하며, 작동이 편리하며 외관의 미려함을 향상시키는 휴대 전화 단말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휴대 전화 단말기는, 제 1 몸체, 상기 제 1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몸체, 그리고 상기 제 1 몸체와 상기 제 2 몸체 각각의 상호 인접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몸체와 상기 제 2 몸체가 서로 상대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칭 부재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cellular phone terminal which includes a photographing function, a computer music file playing function, and the like, which is convenient in operation and improves the beauty of the appearance. The mobile phon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irst body, a second body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and installed in a mutually adjacent portion of each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the first body and the And a switching member for generating a switching signal by the second body rotating relative to each other.

엠피쓰리, 휴대폰, 회전, 스위치, 카메라 MP3, Mobile Phone, Rotation, Switch, Camera

Description

휴대 전화 단말기{Mobile phone}Mobile phon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주요 부분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a main part of FIG. 1.

도 3은 도 1의 A-A부의 일부를 잘라서 일부를 분해한 도면이다.3 is an exploded view of a portion of the A-A portion of FIG. 1;

도 4는 도 1의 A-A부의 일부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the A-A portion of FIG.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5 is 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main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주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main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휴대 전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진 촬영 기능, 컴퓨터 음악 파일 재생 기능 등을 포함하며, 작동이 편리한 휴대 전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phone terminal including a picture taking function, a computer music file playing function, and the like, which is convenient to operate.

일반적으로 휴대 전화 단말기는 본체에 화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부, 그리고 사용자가 필요한 내용을 입력하기 위한 키 패드 등을 포함한다. 또한, 휴대 전 화 단말기는 카메라 기능 또는 컴퓨터 음악 파일 등을 저장/재생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휴대 전화 단말기는 음악 파일을 재생하기 위하여 선곡을 하거나 또는 다른 기능들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버튼 및 메뉴 이동 버튼 등을 구비하고 있다. 즉, 기존의 휴대 전화 단말기는 키 패드의 키들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나는 커서(cursor)를 이동시키고 또한, 메뉴를 선택하는 버튼을 눌러 원하는 음악 파일 등을 재생하거나 또는 휴대 전화의 여러 가지 기능들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키 패드를 이용하여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여 사용하는데는 별 문제점을 가지고 있지 않지만, 다른 방법으로 커서의 이동 및 선택 기능을 부여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필요성이 있다. In general, a mobile phone terminal includes a display unit for implementing an image on a main body, and a keypad for inputting contents required by a user. In addition, the mobile phone terminal may include a function of storing / playing a camera function or a computer music file. At this time, the mobile phone terminal is provided with a selection button and a menu moving button for selecting music or other functions for playing music files. That is, the conventional mobile phone terminal moves the cursor appearing on the display unit by using the keys of the keypad, and presses a button to select a menu to play a desired music file or the like. Is to use. However, there is no problem in selecting and using a desired function using the keypad as described above. However, there is a need for convenient use by the user by providing a function of moving and selecting a cursor in another way.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필요성에 의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편리하게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재미를 더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 전화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by the above necessity,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to move the cursor conveniently by the user, but also to induce the interest of the user and to add fun to the mobile phone which can improve the merchandise. In providing a terminal.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 1 몸체, 상기 제 1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몸체, 그리고 상기 제 1 몸체와 상기 제 2 몸체 각각의 상호 인접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몸체와 상기 제 2 몸체가 서로 상대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칭 부재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화 단말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body, a second body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and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is installed adjacent to each of the second body and the first A portable telephone terminal including a switching member for generating a switching signal by rotating the body and the second body relative to each other.

상기 제 1 몸체 및 상기 제 2 몸체는, 회전 중심 축이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on center axis | shaft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aid 1st body and the said 2nd body.

상기 스위칭 부재는, 상기 제 1 몸체에 배치되는 탄성체에 의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걸림체가 설치되며, 상기 걸림체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상기 제 2 몸체에 설치될 수 있다.The switching member may include a locking member moving in an axial direction by an elastic body disposed in the first body, and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 part of the locking member may be inserted may be installed in the second body.

상기 삽입홈의 면에는 도전막이 설치되고, 상기 걸림체의 일부가 상기 삽입홈에 일부 삽입되는 경우 상기 삽입홈의 도전막과 상기 걸침체가 접점을 이루어 전기를 통하도록 상기 걸림체가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is provided with a conductive film, when a part of the locking body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is that the locking body is made of a conductor so that the conductive film of the insertion groove and the latching body is in contact with the electricity. desirable.

상기 걸림체와 상기 삽입홈은 전기적 통전이 가능한 접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locking body and the insertion groove are made of a contact that can be electrically energized.

상기 제 1 몸체 또는 제 2 몸체에는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is disposed on the first body or the second body.

상기 제 1 몸체 또는 제 2 몸체에는 입력 키들이 설치될 수 있다.Input keys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body or the second body.

상기 제1 몸체 또는 제 2 몸체에는 카메라 렌즈가 설치될 수 있다.A camera lens may be installed on the first body or the second body.

상기 제 1 몸체 또는 제 2 몸체에는 상기 스위칭 부재의 입력 신호를 받아 메뉴 커서를 이동시키는 메뉴 이동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컨트롤러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irst body or the second body is provided with a controller including a menu movement control module for moving a menu cursor in response to an input signal of the switching member.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주요 부분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단면도로, 휴대 전화 단말기 를 도시하고 있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in order to explain a main part of FIG. 1.

본 발명의 휴대 전화 단말기는 제 1 몸체(1), 상기 제 1 몸체(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몸체(3)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몸체(1)와 상기 제 2 몸체(3)는 길이 방향으로 회전축을 가지며, 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1 몸체(1) 및 제 2 몸체(3)는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mobile phon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1 and a second body 3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1. The first body 1 and the second body 3 has an axis of rot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an rotate about the axis of rotation. In addition, the first body 1 and the second body 3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상기 제 1 몸체(1)는 일면에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5)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몸체(3)는 일면에 키 패드부(7)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 1 몸체(1)에 디스플레이부(5)가 설치되고, 제 2 몸체(3)에 키 패드부(7)가 설치되는 예를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제 1 몸체(1)에 키 패드부(7)가 설치되고, 제 2 몸체(3)에 디스플레이부(5)가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서 제 1 몸체(1)와 제 2 몸체(3)는 서로 바뀌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설명의 편의상 제 1 몸체(1) 및 제 2 몸체(3)에 부호를 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키 패드부(7)는 통상의 입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first body 1 may have a display unit 5 for displaying an image on one surface thereof, and the keypad 7 may b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body 3.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5 is installed on the first body 1 and the keypad 7 is installed on the second body 3.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key pad part 7 in (1) and the display part 5 in the 2nd main body 3.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ody 1 and the second body 3 can be interchanged. Howev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irst body 1 and the second body 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ode. The keypad 7 may perform a normal input function.

한편, 상기 제 2 몸체(3)에는 사진 촬영 등에 이용되는 카메라 렌즈(9)가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 2 몸체(3)에 카메라 렌즈(9)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몸체(1)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1 몸체(1) 및 제 2 몸체(3)는 그 내부에 공간이 제공되며, 그 공간에는 휴대 전화, 카메라, 컴퓨터 파일 저장/재생 등의 기능을 할 수 있는 필요한 전자부품 및 컨트롤러 등이 내장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lens (3) is coupled to the camera lens (9) used for taking picture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 lens 9 is coupled to and described with the second body 3, but it may be installed on the first body 1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first body (1) and the second body (3) is provided with a space therein, the space is necessary electronic components and controllers capable of functions such as mobile phones, cameras, computer file storage / playback, etc. The back is built.

그리고 도 2, 도 3, 그리고 도 4를 통하여 제 1 몸체(1)와 제 2 몸체(3)가 결합되어 서로 상대 회전하는 구조 및 스위칭 부재의 일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2, 3, and 4 illustrate an example of a structure and a switching member in which the first body 1 and the second body 3 are rotated relative to each other in detail.

우선, 상기 제 1 몸체(1)와 제 2 몸체(3)는 서로 마주하도록 면(1a, 3a)을 이룬다. 상기 면(1a, 3a)들은 서로 미끄럼 이동되면서 상대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 1 몸체(1)에는 면(1a)에서 돌출되는 회전축(11)이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11)은 상기 제 2 몸체(3)와 결합되었을 때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외주면보다 직경이 큰 걸림턱(11a)이 마련된다. 상기 회전축(11)은 제 1 몸체(1)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몸체(3)에는 면(3a)에 상기 제 1 몸체(1)에 제공된 회전축(11)이 끼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홈(13)이 제공된다. 상기 홈(13)은 상기 회전축(1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축(11)의 걸림턱(11a)이 걸리는 또 다른 걸림턱(13a)이 제공된다. First, the first body 1 and the second body 3 form faces 1a and 3a to face each other. The surfaces 1a and 3a are arranged to allow relative movement while sliding. That is, the first shaft 1 is provided with a rotating shaft 11 protruding from the surface (1a). The rotary shaft 11 is provided with a locking step (11a) larger in diameter tha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when coupled to the second body (3) is coupled to maintain the combined state without being separated out. The rotating shaft 11 is preferably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1). In addition, the second body 3 is provided with a groove 13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11 provided on the first body 1 on the surface 3a. The groove 13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shaft 11 and is provided with another locking jaw 13a on which the locking jaw 11a of the rotation shaft 11 is caught.

그리고 상기 제 1 몸체(1) 및 제 2 몸체(3)는 세로 방향(길이 방향)으로 갈라지는 복수의 부재들로 이루어지고 그 부재들이 끼움 결합되어 내부의 공간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제 1 몸체(1)의 회전축(11)이 상기 제 2 몸체(3)의 홈(13)에 용이하게 조립되어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제 2 몸체(3)가 두개의 부재로 나뉘어지고 이 상태에서 상기 제 1 몸체(1)의 회전축(11)이 상기 제 2 몸체(3)의 홈(13)에 삽입되고 두개의 부재를 결합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통상의 조립 구조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addition, the first body 1 and the second body 3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members which are di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ength direction) and the members are fitted to form a space inside. This structure is such that the rotating shaft 11 of the first body 1 can be easily assembled in the groove 13 of the second body 3 to maintain a coupled state. That is, the second body 3 is divided into two members, and in this state, the rotation shaft 11 of the first body 1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3 of the second body 3 and the two members are removed. To combine. Since this structure is a normal assembly structur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그리고 상기 제 1 몸체(1) 및 상기 제 2 몸체(3)의 마주하는 면(1a, 3a)에는 스위칭 부재(15)가 설치된다. 상기 스위칭 부재(15)는 상기 디스플레이부(5)의 커서를 이동시킬 때 입력 요소로 작용하는 것이다. 상기 스위칭 부재(15)는 제 1 몸체(1) 및 제 2 몸체(3)가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하면서 스위치 역할을 하는 회전 스위치이다. 이러한 스위칭 부재(15)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In addition, switching members 15 are installed on opposing surfaces 1a and 3a of the first body 1 and the second body 3. The switching member 15 serves as an input element when moving the cursor of the display unit 5. The switching member 15 is a rotary switch which serves as a switch while the first body 1 and the second body 3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This switching member 15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상기 스위칭 부재(15)는 제 1 몸체(1)의 면(1a)에 스틸 볼(steel ball) 형태의 걸림체(17)가 탄성체(19)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즉, 볼 형태로 이루어지는 상기 걸림체(17)는 제 1 몸체(1)의 면(1a)에서 일부가 돌출되는 형태로 배치되고, 그 내부측으로 공간이 제공되고 그 공간에 탄성체(19, 예를 들면 압축 코일 스프링)가 배치된다. 상기 탄성체(19)는 탄성체(19)에 의하여 그 위치가 유지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2 몸체(3)의 면(3a)에는 상기 걸림체(17)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21)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21)은 대략 반원형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홈(21)은 회전축(11)을 중심으로 동일한 회전 반경을 가지는 위치에 다수개(예를 들면 90°위치에 4개의 삽입홈이 설치됨)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제 1 몸체(1) 및 제 2 몸체(3)가 서로 회전 축(11)을 중심으로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할 때 일정한 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로 하여금 클릭감을 증대시켜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The switching member 15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body 19 to the locking body 17 in the form of a steel ball (steel ball) on the surface (1a) of the first body (1). That is, the latching body 17 having a ball shape is disposed in a form in which a part protrudes from the surface 1a of the first body 1, and a space is provided to an inner side thereof and an elastic body 19 (eg, Compression coil springs). The elastic body 19 is preferably coupled by the elastic body 19 so that its position can be maintained. In addition, an insertion groove 21 is formed in the surface 3a of the second body 3 so that a part of the locking body 17 may be inserted. The insertion groove 21 is preferably made of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groove. The insertion groove 21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for example, four insertion grooves are installed at a 90 ° position) in the position having the same rotation radius around the rotation axis (11). This structure can stop at a certain position when the first body 1 and the second body 3 makes a relative rotational movement about the rotation axis 11 with each other, and also allows the user to increase the feeling of click The convenience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걸림체(17)는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2 몸체(3)의 면(3a)에 형성되는 삽입홈(21)에는 전기를 통하게 하는 도전막 (2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체(17) 및 상기 도전막(23)은 별도의 컨트롤러(C, 도 6에 도시하고 있음)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걸림체(17) 및 상기 도전막(23)을 구비한 삽입홈(21)은 전기적인 접점을 이루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위칭 부재(15)의 구조는 일 실시 예를 설명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도시하여 설명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단지 제 1 몸체(1) 및 제 2 몸체(3)를 서로 상대 회전시켜 스위치 역할을 할 수 있는 구조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locking body 17 is preferably made of a conductor. In addition, an electrically conductive film 23 may be formed in the insertion groove 21 formed in the surface 3a of the second body 3. In addition, the locking body 17 and the conductive film 23 have a structur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eparate controller (C, shown in Figure 6). That is, the insertion groove 21 provided with the locking body 17 and the conductive film 23 is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forming an electrical contac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switching member 15 is not limited to the on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to describe an embodiment, and merely rotates the first body 1 and the second body 3 relative to each other. Any structure that can act as a switch is possible.

도 6은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7은 커서가 선택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부(30)인 스위칭 부재(15)는 상기 제 1 몸체(1) 또는 제 2 몸체(3)에 수용될 수 있는 컨트롤러(C)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키패드(7)도 상기 컨트롤러(C)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키 패드(7)에 포함되거나 또는 별도의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선택 스위치(31)가 상기 컨트롤러(C)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선택 스위치(31)는 디스플레이부(5)에 나타나는 커서가 가리키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선택하는 일종의 선택키 일 수 있다. 6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lecting a cursor. As described above, the switching member 15, which is the input unit 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C which can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body 1 or the second body 3. In addition, the keypad 7 is also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C). In addition, a selection switch 31 included in the keypad 7 or made of a separate swit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C. The selection switch 31 may be a kind of selection key for selecting to execute an operation indicated by the cursor appearing on the display unit 5.

한편, 컨트롤러(C)는 전화기능, 카메라 기능, 컴퓨터 음악 파일 재생기능 등을 제어하는 기능을 함과 아울러 스위칭 부재(15)의 입력 신호를 받아 커서가 가리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은 메뉴이동제어 모듈(41)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C)는 음악 재생기 작동 모듈(43), 카메라 작동 모듈(45), 휴대폰 작동 모듈(47)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듈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컨트롤러(C)는 통상의 휴대용 전자기기 등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출력부(50)를 이루는 것에는 스피커(51), 디스플레이부(5), 램프(53)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출력부(50)는 컨트롤러(C)에 의하여 제어된 결과가 출력될 수 있는 통상의 장치일 수 있다.The controller C may control a telephone function, a camera function, a computer music file playing function, and the like, and receive an input signal from the switching member 15 to perform an operation indicated by a cursor. This function can be made in the menu movement control module 41. The controller C may further include a music player operating module 43, a camera operating module 45, a mobile phone operating module 47, and the like, which may be a computer program. That is, the controller (C) serves to control the normal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he like to operate. In addition, the speaker 51, the display unit 5, and the lamp 53 may be included in the output unit 50 whi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C. The output unit 50 may be a conventional device that can output the result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C).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 과정 중에서 스위칭 부재(15)의 입력 신호를 통하여 커서의 이동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movement of the cursor through the input signal of the switching member 15 in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우선 스위칭 부재(15)의 입력 신호를 인식할 수 있도록 선택 스위치(31, 일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임)를 작동(S1)시키면 컨트롤러(C)가 그 신호를 받아 스위칭 부재(15)의 입력 신호를 받을 수 있는 대기 상태로 제어된다. First, when the selection switch 31 (described as an example) is operated (S1) to recognize the input signal of the switching member 15, the controller C receives the signal and receives the input signal of the switching member 15. It is controlled as a standby state to receive a call.

상기 디스플레이부(5)에 나타나는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즉,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커서를 이동시키는 동작을 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몸체(1)를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제 2 몸체(3)를 회전축(11)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도 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제 2 몸체(3)가 제 1 몸체(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접점의 역할을 하는 걸림체(17)가 인접하여 배치된 또 다른 삽입홈(21)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체(17)와 상기 삽입홈(21)의 도전막(23)은 접점을 이루고 있으므로 이 때 발생된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C)에 전송하게 된다. In order to move the cursor appearing on the display unit 5, that is, to move the cursor so that a menu can be selected, the second body 3 is moved while the user holds the first body 1. Rotation about the rotation shaft 11 causes the second body 3 to rotate relative to the first body 1 as shown in FIG. 5. At this time, the locking body 17 serving as the contact point is moved to another insertion groove 21 arranged adjacently. At this time, since the locking body 17 and the conductive film 23 of the insertion groove 21 form a contact point, the signal generated at this tim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C.

그러면 상기 컨트롤러(c)는 스위칭 부재(15)의 입력 신호가 있는가를 판단(S3)하여 입력신호가 있는 경우 메뉴 커서를 해당 위치에 이동시킨다(S5). 이러한 작동은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원하는 메뉴까지 이동시킬 수 있으며, 그 후 해당 메뉴를 선택하여 실행하도록 메뉴를 선택하는 선택 스위치(31)의 입력 신호가 있는가를 판단한다(S7). Then, the controller c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n input signal from the switching member 15 (S3), and moves the menu cursor to a corresponding position when there is an input signal (S5). This operation may be repeatedly performed to move to a desired menu, and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n input signal of the selection switch 31 for selecting a menu to select and execute the corresponding menu (S7).

상기 단계에서 선택 스위치(31)의 입력 신호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되는 메뉴가 선택되도록 하여(S9) 선택된 메뉴를 실행시킨다(S11).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 1 몸체(1) 및 제 2 몸체(3)를 서로 상대 이동이 가능하도록 회전시키면서 이 회전에 의하여 스위칭 부재(15)가 스위치 역할을 하여 커서의 이동을 실현할 수 있다. When there is an input signal of the selection switch 31 in the above step, the corresponding menu is selected (S9) to execute the selected menu (S11). As described above, while the first body 1 and the second body 3 are rotated to allow relative movement with each other, the rotation of the switching member 15 serves as a switch, thereby realizing the movement of the cursor.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상기 스위칭 부재(15)가 커서를 이동시키는 것에 대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것은 하나의 실시 예 일 뿐 제 1 몸체(1) 및 제 2 몸체(3)가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스위치 역할을 하는 스위칭 부재(15)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스위치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단지 제 1 몸체(1) 및 제 2 몸체(3)를 서로 돌리는 행동으로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재미를 더함으로서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위치 부재(15)가 상기 제 1 몸체(1) 및 제 2 몸체(3)의 내부에 내장되므로 외관의 디자인을 좀더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어 외관의 미려함을 향상시키는 설계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switching member 15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moving the cursor. However, this is only one embodiment, so that the first body 1 and the second body 3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so that the switch The switching member 15, which plays a role, may serve as a switch that performs various functions. Therefore, the user can only operate the switch by the action of turning the first body 1 and the second body 3 to each other, which is very convenient to use and improves the merchandise by adding fun. In addition, since the switch member 15 is embedded in the first body 1 and the second body 3, the design of the exterior can be more freely implemented, thereby facilitating the design to improve the beauty of the exterior. .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 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Naturally, it belongs to the scope of the inven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를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하여 스위칭 부재가 작동하면서 커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작동이 편리하며, 흥미와 재미를 유발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enable the movement of the cursor while the switching member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rotating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relative to each other, which is convenient to operate, induces interest and fun, and improves the merchandise. Has the effect.

또한, 본 발명은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는 스위칭 기능을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의 내주에 수용되도록 하여 스위칭 부재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외관을 미려하게 디자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peripheral circumference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to move the cursor has the effect that the switching member does not protrude to the outside can be designed beautifully.

Claims (9)

제 1 몸체;A first body; 상기 제 1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몸체; 그리고A second body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And 상기 제 1 몸체와 상기 제 2 몸체 각각의 상호 인접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몸체와 상기 제 2 몸체가 서로 상대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칭 부재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화 단말기.And a switching member disposed in adjacent portions of each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the switching member configured to generate a switching signal by rotating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relative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몸체 및 상기 제 2 몸체는,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회전 중심 축이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휴대 전화 단말기.A mobile phone terminal in which a rotational center axis i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위칭 부재는,The switching member, 상기 제 1 몸체에 배치되는 탄성체에 의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걸림체가 설치되며, 상기 걸림체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상기 제 2 몸체에 설치되는 휴대 전화 단말기.A mobile phone terminal having a locking body moving in an axial direction by an elastic body disposed in the first body, and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 part of the locking body is inserted is installed in the second body. 제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삽입홈의 면에는 도전막이 설치되고, 상기 걸림체의 일부가 상기 삽입홈에 일부 삽입되는 경우 상기 삽입홈의 도전막과 상기 걸침체가 접점을 이루어 전기를 통하도록 상기 걸림체가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휴대 전화 단말기.A conductive film is installed on a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and when a part of the locking body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the locking body is made of a conductor so that the conductive film of the insertion groove and the latching body make contact. Telephone handset. 제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걸림체와 상기 삽입홈은 전기적 통전이 가능한 접점인 휴대 전화 단말기.The engaging body and the insertion groove is a mobile phone terminal which is a contact point capable of electric conduction.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몸체 또는 제 2 몸체에는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되는 휴대 전화 단말기.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on the first body or the second body.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몸체 또는 제 2 몸체에는 입력 키들이 설치되는 휴대 전화 단말기.The mobile phone terminal is provided with input keys on the first body or the second body.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몸체 또는 제 2 몸체에는 카메라 렌즈가 설치되는 휴대 전화 단말기.A mobile phone terminal having a camera lens installed on the first body or the second body.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몸체 또는 제 2 몸체에는 상기 스위칭 부재의 입력 신호를 받아 메뉴 커서를 이동시키는 메뉴 이동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컨트롤러가 제공되는 휴대 전화 단말기.And a controller including a menu movement control module configured to move a menu cursor in response to an input signal of the switching member.
KR1020050026054A 2005-03-29 2005-03-29 Mobile phone KR1006684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054A KR100668453B1 (en) 2005-03-29 2005-03-29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054A KR100668453B1 (en) 2005-03-29 2005-03-29 Mobile 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152A KR20060104152A (en) 2006-10-09
KR100668453B1 true KR100668453B1 (en) 2007-01-12

Family

ID=37634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6054A KR100668453B1 (en) 2005-03-29 2005-03-29 Mobil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8453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7203A (en) * 2000-12-30 2002-07-11 송문섭 Apparatus for menu selecting in mobile station
KR20040051202A (en) * 2002-12-12 2004-06-18 주식회사 팬택 Apparatus for instituting function by movement in handset and method thereof
KR20050001005A (en) * 2003-06-25 2005-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Key-Input Operating Mode Convertable Mobile Phone
KR20060028291A (en) * 2004-09-24 2006-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moving menu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rotary camera module
KR20060070195A (en) * 2004-12-20 2006-06-2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Apparatus for screen display auto conversion in the swivel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7203A (en) * 2000-12-30 2002-07-11 송문섭 Apparatus for menu selecting in mobile station
KR20040051202A (en) * 2002-12-12 2004-06-18 주식회사 팬택 Apparatus for instituting function by movement in handset and method thereof
KR20050001005A (en) * 2003-06-25 2005-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Key-Input Operating Mode Convertable Mobile Phone
KR20060028291A (en) * 2004-09-24 2006-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moving menu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rotary camera module
KR20060070195A (en) * 2004-12-20 2006-06-2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Apparatus for screen display auto conversion in the swivel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152A (en) 2006-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84793B2 (en) Electronic device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JP3972795B2 (en) Switchgear
JP2007174617A (en) Private portable terminal including display part and keypad part
CN101523330B (en) Capacitive space-saving jog dial for mobile terminal
JP2003319044A (en) Cellular phone
JP2006325214A (en) Input unit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the input unit
CN103427224B (en) Mobile terminal
EP1692771A2 (en) Portable apparatus user interface
CN109976633B (en) Interface interac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P2008166972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2010531531A (en) Key with variable position function
JP4549391B2 (en) Multilayer mobile terminal
TW201246893A (en) Mobile terminal
JP5483802B2 (en) Slide-type mobile terminal
US11281310B2 (en) Composite key structure and wireless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1147773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o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1855157A1 (en) Function key assembly and portable device having the same
CN101669351A (en) Rotation type portable terminal
KR20060127074A (en) Mobile station having a configurable grip
KR100668453B1 (en) Mobile phone
JP5099753B2 (en) Mobile device
KR100650832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8131636A (en)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WO2004064361A1 (en) Portable-type display device
JP2002358155A (en) Inpu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