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7516B1 - 식별자를 이용하여 무선 웹사이트에 재접속 하는 방법 및이 방법을 구현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식별자를 이용하여 무선 웹사이트에 재접속 하는 방법 및이 방법을 구현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7516B1
KR100667516B1 KR1020050049992A KR20050049992A KR100667516B1 KR 100667516 B1 KR100667516 B1 KR 100667516B1 KR 1020050049992 A KR1020050049992 A KR 1020050049992A KR 20050049992 A KR20050049992 A KR 20050049992A KR 100667516 B1 KR100667516 B1 KR 100667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nnectio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url
ident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9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8494A (ko
Inventor
강문순
김병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50049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7516B1/ko
Publication of KR20060128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8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7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7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인터넷(Wireless Internet)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적어도 한번 이상 방문한 이력이 있는 웹사이트에 용이하게 재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인터넷의 접속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말기 기능키나 숫자를 특정한 정보 카테고리와 매칭시키고, 이 단말기 기능키나 숫자와 더불어 무선 인터넷 접속키가 선택되면, 사용자가 즐겨찾는 웹사이트중에서 상기 단말기 기능키나 숫자와 대응하는 사이트를 선택하여 이동통신단말을 재접속 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내에 별도의 북마크를 등록하지 않더라도 간단한 키조작만으로 자신이 즐겨 찾는 웹사이트를 종류별로 분류하여 쉽게 방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무선 인터넷, 재접속

Description

식별자를 이용하여 무선 웹사이트에 재접속 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구현하는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reconnecting an user with past website on the wireless network by using a numeric character or function indicator}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무선 웹사이트 재접속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접속 장치의 내부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접속 이력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웹사이트 재접속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대한 무선 웹사이트 재접속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무선 웹사이트 재접속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로그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웹사이트 재접속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상기 제 2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무선 웹사이트 재접속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재접속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이동통신단말 120: 무선 인터넷망
210; 이동교환국(MSC) 220: 데이터망 연동장치(IWF)
230; 게이트웨이 서버 310; 유선통신망
320: 접속로그 서버 325: 로그정보 데이터베이스
330: 재접속 서버 335: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
본 발명은 무선 인터넷(Wireless Internet)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적어도 한번 이상 방문한 이력이 있는 웹사이트에 용이하게 재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인터넷의 접속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전자,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무선 통신망(Wireless Nestwork)을 이용한 다양한 무선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가장 기본적인 무선통신 서비스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들 사이에서 무선으로 음성 통화를 제공하는 음성 통화 서비스이다. 나아가, 최근에는 장소의 제약 없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이동하는 중에도 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패킷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급속하게 보급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통하여 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 예컨대, 뉴스, 날씨, 스포츠, 증권, 환율, 교통, 연예, 게임, 온라인 뱅킹, 신용조회 서비스 등을 문자, 음성, 이미지, 동영상 등의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종래에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에 액세스하는 방법은 크게 두가지로 나누어진다. 즉, 무선 포탈 사이트(예를 들어, magicⓝ)의 메뉴 트리를 트레이싱(tracing) 하는 것에 의해 원하는 사이트에 접속하거나 원하는 리소스(resource)를 제공하는 사이트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직접 입력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 메뉴 트리를 트레이싱하는 방법은 원하는 리소스에 접근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고, 상기 URL을 직접 입력하는 방법은 이동통신단말 자체가 갖는 하드웨어적 한계로 인해 사용자에게 매우 큰 불편을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방법들이 제안되 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4-12033 호는 URL에 해당하는 접속 번호를 폰북에 저장하고, 스피드 다이얼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해당 사이트에 접속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1-7743 호, 제 2002-43479 호, 제 2002-76891 호 및 제 2005-24550호는 웹서버의 URL 정보 이외의 접속정보(예를 들어, 숫자나 특정키로 이루어진 식별코드)와 이에 대응하는 URL정보를 서로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URL정보 대신에 상기 접속정보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대응하는 웹서버로 접속하는 무선 인터넷 접속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접속 정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접속방법은 매우 간편한 접속 방법을 제공한다는 점에서는 의의가 있으나,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URL이 아닌 상기 접속 정보를 모두 암기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1-96151 호(이하, 151'로 약칭한다)는 가장 최근에 방문한 웹사이트로 사용자를 자동 재접속시키는 무선 인터넷 연결 유지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인터넷 접속 요청과 그 응답을 모니터링하여 최종 서비스 내역을 저장하고, 이동통신단말기의 무선 인터넷 종료후에도 저장된 무선 인터넷 서비스 내역을 근거로 최근 접속한 사이트나 메뉴를 복구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계속 이용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151'호는 가장 최근에 접속한 사이트로 사용자를 안내하기 때문에 다양한 정보와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키는데에는 분명 한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간편한 조작만으로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웹사이트에 쉽게 재접속할 수 있는 방법이 요청된다.
이러한 기술적 요청에 부합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URL 이외의 간편한 접속 정보의 입력만으로, 사용자가 즐겨 찾는 사이트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의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 변경 없이도 기존의 인터넷 접속 방법을 새롭게 변화시키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방법을 구현시키기 위한 장치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웹서버와의 브라우징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과, 무선 통신망을 경유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과 접속되고, 가입자별로 즐겨찾는 웹사이트의 URL(이하, 재접속 URL)을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 저장하고 있는 접속 이력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재접속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을 특정 웹사이트에 재접속시키는 방법을 청구한다. 이 방법은, 상기 즐겨찾는 웹사이트로의 재접속을 지시하는 제 1 식별자와 웹사이트를 분류하는 카테고리를 지시하는 제 2 식별자가 포함된 접속 리퀘스트(request)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식별자에 근거하여 상기 리퀘스트를 재접속 요청으로 판별하고, 이동통신단말의 고유 번호와 상기 제 2 식별자에 대응하는 재접속 URL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URL에 근거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을 소망하는 웹사이트로 접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1) 웹서버와의 브라우징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웹사이트의 카테고리를 지시하는 식별자가 포함된 재접속 요청을 접수하고, 이를 재접속 장치에 전달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와;
(2)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로부터 상기 식별자와 이동통신단말의 고유 번호를 전달 받고, 이 고유번호와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과 적어도 한번 이상 접속한 이력이 있는 웹사이트로서, 상기 식별자에 대응하는 카테고리에 속하는 URL(이하, 재접속 URL)을 추출하며, 이 재접속 URL로의 접속 리퀘스트를 생성하는 재접속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웹사이트 자동 재접속 시스템을 청구한다.
이때, 상기 재접속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접속 URL을 카테고리별 및 고유 번호별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있는 접속 이력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식별자에 대응하는 재접속 URL을 상기 접속 이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고, 이렇게 검색된 재접속 URL로의 접속 리퀘스트를 생성하는 재접속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이동통신단말과 웹서버 사이를 재접속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이 장치는:
(a) 상기 이동통신단말과 적어도 한번 이상의 접속 이력을 갖는 웹사이트의 URL들(이하, 재접속 URL)을 카테고리별 및 이동통신단말의 고유번호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접속 이력 데이터베이스와;
(b) 즐겨찾는 웹사이트로의 재접속을 지시하는 제 1 식별자와, 웹사이트의 카테고리를 지시하는 제 2 식별자를 포함하는 접속 요청을 상기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접수하고, 이를 분석하는 수단과;
(c) 이동통신단말의 고유 번호와 상기 제 2 식별자를 이용하여 소망하는 재접속 URL을 상기 접속 이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수단과;
(d) 상기 검색 결과를 이동통신단말에 응답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이동통신단말과 웹서버 사이를 재접속시키기 위한 장치에 설치되어 아래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로서,
상기 장치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과 적어도 한번 이상의 접속 이력을 갖는 웹사이트의 URL들(이하, 재접속 URL)을 이동통신단말의 고유번호별 및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접속 이력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a) 상기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전송된 재접속 리퀘스트로부터 웹사이트의 카테고리를 정의하는 식별자를 추출하는 기능과; (b) 이동통신단말의 고유 번호와 상기 식별자에 근거하여 소망하는 재접속 URL을 상기 접속 이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기능과; (c) 상기 검색 결과를 이동통신단말에 응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는, 웹서버와의 브라우징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로부터 특정 카테고리의 컨텐츠를 지시하는 식별자가 포함된 무선 인터넷 접속 요청을 접수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 요청을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를 경유하여 재접속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와 접속되고, 웹사이트의 URL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있는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상기 재접속 서버에 있어서,
상기 접속 요청을 분석하여 상기 식별자를 인식하고, 이 식별자에 대응하는 URL들(이하, 예비 URL)을 상기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예비 URL을 상기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를 경유하여 접속로그 서버에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단말에 의해 적어도 한번 이상 방문한 이력이 있는 웹사이트의 URL(이하, 재접속 URL)을 이동통신단말의 고유 번호별로 저장하고 있는 로그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상기 접속로그 서버에 있어서,
상기 예비 URL과 상기 고유 번호에 근거하여 상기 로그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함으로써, 상기 예비 URL과 일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접속 URL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재접속 URL에 근거하여 특정 웹사이트에 재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웹사이트의 재접속 방법을 청구한다.
본 발명의 제 6 양태는, (1) 웹서버와의 브라우징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과 무선 통신망을 경유하여 커플링되는 장치로서,
(a) 웹사이트의 URL들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와,
(b) 상기 이동통신단말과 적어도 한번 이상의 접속 이력을 갖는 웹사이트들의 URL정보(이하, 재접속 URL)를 이동통신단말의 고유 번호별로 저장하고 있는 로그정보 데이터베이스와,
(c) 무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상기 카테고리를 지시하는 식별자가 포함된 무선 인터넷 접속 요청을 접수하는 수단과,
(d) 이 접속 요청에 포함된 식별자에 대응하는 URL들(이하, 예비 URL)을 상기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수단과,
(e) 상기 고유 번호별로 등록되어 있는 재접속 URL들중 상기 추출된 예비 URL과 일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URL을 상기 로그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수단, 및
(f) 상기 추출된 재접속 URL이 지시하는 리소스를 상기 이동통신단말에 응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재접속 장치와;
(2) 상기 재접속 장치를 개재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과 네트워킹 접속되는 웹서버를 포함하는 무선 웹사이트 자동 재접속 시스템을 청구한다.
이때, 상기 재접속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과 접속되는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와, 상기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와 네트워킹 접속되 고, 상기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고, 검색하는 제 1 컴퓨터 시스템, 및 상기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와 네트워킹 접속되고, 상기 로그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고, 검색하는 제 2 컴퓨터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는,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무선인터넷 접속 요청(request)을 상기 제 1 컴퓨터 시스템에 전달하고, 상기 제 1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예비 URL을 상기 제 2 컴퓨터 시스템에 전달하며, 상기 제 2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전달되는 재접속 URL을 상기 이동통신단말로 응답(response)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제 7 양태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이동통신단말과 웹서버 사이를 재접속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a) 웹사이트의 URL들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와,
(b) 상기 이동통신단말과 적어도 한번 이상의 접속 이력을 갖는 웹사이트들의 URL정보(이하, 재접속 URL)를 이동통신단말의 고유 번호별로 저장하고 있는 로그정보 데이터베이스와,
(c) 무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상기 카테고리를 지시하는 식별자가 포함된 무선 인터넷 접속 요청을 접수하는 수단과,
(d) 이 접속 요청에 포함된 식별자에 대응하는 URL들(이하, 예비 URL)을 상기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수단과,
(e)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고유 번호에 대응하는 재접속 URL들중 상기 추출된 예비 URL과 일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URL을 상기 로그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수단, 및
(f) 상기 추출된 재접속 URL이 지시하는 리소스를 상기 이동통신단말에 전달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웹사이트 자동 재접속 장치를 청구한다.
이때, 상기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로그정보 데이터베이스가 통신망을 개재하여 서로 이격된 상태로 접속되고, 상기 수단들이 통신망을 통해 분산된 컴퓨터 시스템을 통해 각기 개별적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무선 웹사이트 재접속 방법과 그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웹사이트 자동 재접속 시스템은 이동통신단말(10), 이동교환국(MSC)(90), 데이터망 연동장치(IWF)(40),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50) 및 재접속 장치(70)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통신단말(10)은 무선 통신망(80)을 경유하여 상기 이동교환국(MSC)(90), 데이터망 연동장치(IWF)(40) 및 게이트웨이 서버(50)와 커플링된다. 또한,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50)는 유선 통신망(60)을 경유하여 상기 재접속 장치(70)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이동통신단말(10)과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50)는 예를 들어, ME(Mobile Explorer)기반의 HTTP나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을 이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교환하고,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50)와 상기 재접속 장치(70)는 예를 들어, HTTP나 TCP/IP와 같은 데이터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이동통신단말(10)은 각종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기로서, 웹서버와의 브라우징을 위한 수단(즉,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10)은 PDA, 셀룰러폰, PCS폰, GSM폰, W-CDMA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10)의 키버튼부에는 『0~9』의 숫자버튼과, 『*, #』과 같은 특수키 및 『mp3, magicⓝ, GPS, K-merce』와 같은 단말기 기능키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숫자 버튼, 특수키 및 단말기 기능키를 이용하여 특정한 카테고리(예를 들어, 소리, 그림, 사진, 성인, 쇼핑 등)로 분류되는 자신이 즐겨찾는 웹사이트로의 접속을 간단한 조작을 통해 요청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무선 통신망(80)은 이동통신단말(10)의 무선 인터넷 접속 요청을 수신하여 처리하고, 핸드오프(Handoff)처리 및 무선 자원 관리의 기능 등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망(80)은 기지국 전송기(미도시) 및 기지국 제어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동기식 및 비동기식 시스템을 모두 지원한다. 상기 무선 통신망(120)은 CDMA 이동통신망에 한정되지 않고, GSM망 및 제 4 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도 포함한다.
상기 이동 교환국(90)은 다수의 전자식 교환기를 구비하여 기본 및 부가 서비스의 처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호의 처리, 위치 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의 처리, 타망(other network)과의 연동 기능 등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교환국(90)은 동기식 및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에서의 IS-95 A/B/C, EV-DO, IS-2000 시스템 및 제 4 세대 이동 통신망을 모두 지원한다. 또한, 이동 교환국(90)은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제공시에 셀(Cell) 단위의 패킷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전송 속도와 회선 사용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망 연동장치(IWF)(40)는 이동 교환국(90)으로부터의 파라미터값이 실린 초기 URL을 바이패스시켜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50)에 제공한다.
상기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50)는 셀 단위로 직접 접속되는 패킷 데이터의 처리를 위해 써킷(Circuit) 회선과 데이터 회선을 셀 단위로 스위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50)는 인터넷,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DN(Public Switched Data Network), ISND(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B-ISDN(Broad ISDN),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등의 타 통신망과의 접속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 게이트 웨이 서버(50)는 무선 인터넷의 표준으로 자리잡아 가는 WAP 통신 방식을 지원하기 위한 WAP 게이트 웨이도 포함하는데, WAP 게이트 웨이는 인터넷상의 텍스트 파일 데이터를 이진 코드 구조로 변환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게이트 웨이 서버(50)는 이동통신단말(10)로부터 컨텐 츠의 카테고리를 지시하는 식별자가 포함된 무선 인터넷 접속 요청을 접수 받는 모듈과, 이 접속 요청을 분석하여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해당 접속 요청을 상기 재접속 장치(70)에 전달하는 모듈과, 상기 재접속 서버(70)로부터 상기 식별자가 지시하는 카테고리에 소속된 URL목록(이하, "재접속 URL"로 약칭한다)을 전달받고, 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10)에 응답(response)하는 모듈을 포함한다.
다른 변형예로서의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50)는 상기 재접속 장치(70)로부터 단일한 재접속 URL을 전달받고, 이 재접속 URL에 근거하여 해당하는 웹서버에 리퀘스트(request)를 전달하는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50)는 이동통신단말(10)과 재접속 장치(70)를 인터페이스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즐겨찾는 웹사이트로서 원하는 카테고리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이트로 사용자를 간편하게 안내한다.
상기 재접속 장치(70)는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50)와 인터넷과 같은 유선 통신망(60)을 경유하여 접속되어 있는 컴퓨터 시스템이다.
이 재접속 장치(70)는 재접속 서버(73)와 접속 이력 데이터베이스(75)로 구성되는데, 그 구체적인 구성이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재접속 서버(73)는 사용자의 무선 인터넷 사용 이력에 근거하여 도 3의 접속 이력 데이터베이스(75)를 구축하기 위한 DB 구축부(71)와 사용자의 재접속 요청에 따라 접속 이력 데이터베이스(75)로부터 재접속 URL 정보를 검색하고, 이를 이동통신단말에 전송하는 재접속 처리부(72)를 포함한다.
상기 DB 구축부(71)는, 다시 게이트웨이 연동모듈(71a), 카테고리 분류 모듈 (71b) 및 DB 관리 모듈(71c)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웨이 연동모듈(71a)은 수시로 또는 주기적으로 게이트 웨이 서버(50)와 교신하여 복수 사용자들의 접속 로그파일을 입수하고, 이를 카테고리 분류 모듈(71b)에 전달한다. 카테고리 분류 모듈(71b)은 상기 접속 로그 파일에 포함된 서비스 코드를 해석하여 접속 URL을 카테고리(예를 들어, 소리, 그림, 사진, 정보, 성인, 쇼핑 등)별로 분류한다. 또한, DB 관리 모듈(71c)은 이렇게 분류된 URL정보와 해당 이동통신단말의 고유번호를 이용하여 도 3과 같은 형태의 사용자별 접속 이력 테이블(75a, 75b, 75c 등)을 생성하고, 이를 관리(갱신, 삭제 등)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고유번호는 이동국 식별번호(MIN :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및/또는 장치 일련번호(ESN : electronic serial number) 등과 같이 가입자나 이동통신단말 자체를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재접속 처리부(72)는 파라미터 분석모듈(72a), 검색 모듈(72b), URL 정렬 모듈(72c) 및 응답 모듈(72d)을 포함한다.
상기 파라미터 분석 모듈(72a)은 게이트웨이 서버(50)로부터 전달받은 접속 리퀘스트에 포함된 식별자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접속하기를 원하는 웹사이트의 카테고리를 판별한다. 여기서, "식별자"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어 URL에 실리는 파라미터로서, 즐겨찾는 사이트(적어도 한번 이상 방문한 이력이 있는 사이트)로의 재접속을 지시하는 제 1 식별자와, 정보의 분류에 따른 카테고리를 지시하는 제 2 식별자를 포함한다. 파라미터 분석 모듈(72a)은 상기 제 2 식별자에 근거하여 재접속을 원하는 사이트의 카테고리를 판별한다.
상기 검색 모듈(72b)은 상기 분석된 카테고리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사용자의 접속 이력 테이블(75a, 75b, 75c 등)로부터 대응하는 URL 또는 URL 리스트를 검색한다. 상기 URL 정렬 모듈(72c)은 검색 모듈(72b)에 의해 추출된 URL이 하나 이상인 경우 이 URL들을 그 접속 시간에 따라 순서대로 정렬한다. 상기 응답 모듈(72d)은 정렬된 URL 목록에 근거하여 응답 페이지를 구성하고, 이를 게이트웨이 서버(50)를 경유하여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10)에 응답한다.
상기 접속 이력 데이터베이스(75)는 사용자가 적어도 한번 이상 방문한 경험이 있는 URL들을 그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하고 있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접속 이력 데이터베이스(75)는 사용자별로 제작된 다수의 접속 이력 테이블(75a, 75b, 75c 등)을 포함하고, 이 테이블(75a, 75b, 75c 등)은 각각 "구분자", "분류", "URL" 필드를 갖는다. 여기서, 구분자는 상기 식별자와 동의어로 사용되었다. 또한, "분류" 필드는 제공되는 컨텐츠에 따라 웹사이트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고 있다. "URL" 필드에는 사용자가 적어도 한번 이상 방문한 이력이 있는 웹사이트들의 URL정보(77, 78)가 포함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재접속 시스템의 구성에 기반하여 도 4, 도 5 및 도 11을 참조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무선 웹사이트 재접속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자신이 최근에 방문한 웹사이트로서 특정한 카테고리의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에 재접속 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자신의 이동통신단말(10)의 키버튼을 이용하여 제 1 식별자와 제 2 식별자를 포함하는 재접속 리퀘스트(request)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면, "그림"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로서, 사용자가 최근에 방문한 경험이 있는 사이트에 재접속 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재접속 요청을 지시하는 제 1 식별자인 『*』버튼(610)과, 원하는 카테고리인 "그림"과 매칭되어 있는 제 2 식별자인 『2』버튼(610)을 선택하고, 무선 인터넷 접속키(620)를 누른다.(S11) 이러한 사용자의 재접속 리퀘스트는 무선 통신망(80)을 경유하여 게이트웨이 서버(50)에 전달된다. 상기 재접속 리퀘스트는 제 1 식별자와 제 2 식별자를 포함하는 URL(예를 들어, 『http://**2』)로 나타난다.
상기 제 1 식별자는 예를 들어, *, #와 같은 특수키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식별자는 숫자(예를 들어, 1 ~ 9) 또는 단말기 기능키(예를 들어, mp3, magicn, 카메라, GPS 등)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식별자는 적어도 한번 이상 방문한 이력이 있는 사이트로의 재접속을 정의하고, 상기 제 2 식별자는 방문하고자하는 사이트의 카테고리를 정의한다.
이동통신단말(110)로부터 재접속 리퀘스트를 접수 받은 게이트웨이 서버(50)는 상기 리퀘스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요구가 재접속 요청임을 판별한다.(S13) 즉, URL에 실려 있는 파라미터값(제 1 식별자)으로부터 사용자의 요구가 재접속 장치(70)와의 연결 요청임을 인식한다.(S15) 여기서, 상기 리퀘스트가 통상의 접속 요청인 경우에는 통상의 절차에 따라 상기 리퀘스트(request)를 처리한다.(S16)
상기 S15에서 사용자의 리퀘스트가 재접속 요청으로 판단되면, 게이트웨이 서버(50)는 유선 통신망(60)을 통해 재접속 장치(70)와 접속하고, 상기 파라미터(제 1 식별자 및 제 2 식별자)가 실려 있는 URL과 이동통신단말의 고유번호(예를 들 어, 『010-×××-××××』)를 재접속 서버(73)에 전송한다.(S17)
게이트웨이 서버(50)로부터 접속 URL과 고유 번호를 전달 받은 재접속 서버(73)는 URL에 실려 있는 파라미터를 분석하여 제 2 식별자(숫자 2)를 인식한다. (S19) 그리고, 상기 고유 번호에 대응하는 접속 이력 테이블(75a)로부터 상기 제 2 식별자(『2』)에 대응하는 재접속 URL(78)을 검색해낸다. (S21)
즉, 이동통신단말의 고유 번호와 제 2 식별자(『2』)를 이용하여 접속 이력 데이터베이스(75)를 조회함으로써, 요청한 카테고리(『그림』)에 대응하는 모든 재접속 URL들(78)을 추출해낸다.(S23)
이때, 상기 재접속 URL이 하나가 아니라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경우, 재접속 서버(73)의 URL 정렬 모듈(72c)은 이 재접속 URL들을 접속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렬한다.(S25) 또한, 재접속 서버(73)의 응답 모듈(72d)은 이렇게 정렬된 URL열(또는 URL 리스트)(630)을 이용하여 URL 목록 페이지(630)를 생성하고(S27), 이를 게이트웨이 서버(50)를 경유하여 이동통신단말(10)에 응답(request)으로 전송한다.
재접속 장치(70)로부터 응답 페이지(즉, URL 목록 페이지)를 수신한 이동통신단말(10)의 브라우저는 이를 코드 해석한 후 단말기의 디스플레이(600)를 통해 출력한다.(S29)
단말기의 디스플레이(600)를 통해 URL 리스트(630)를 확인한 사용자는 여러개의 URL 리스트(630)중 자신이 원하는 사이트의 URL(640)을 선택하고, 이 URL로의 접속을 게이트웨이 서버(50)에 리퀘스트(request)한다.(S31)
이동통신단말로(10)부터 특정 URL로의 리퀘스트(request)를 접수한 게이트웨 이 서버(50)는 이 요청을 대응하는 웹서버(미도시)로 전달하고, 해당 웹서버는 상기 URL이 지시하는 리소스(resource)를 게이트웨이 서버(50)를 통해 이동통신단말(10)에 응답(response)한다.(S33, S35) 이동통신단말(10)은 웹서버(미도시)로부터의 응답을 코드 해석하여 도 11의 도면 부호 650과 같이 디스플레이한다.(S37)
따라서, 사용자는 『*, #』와 같은 특수키와 단말기 기능키 또는 숫자와 같은 이동통신단말의 키버튼을 간단하게 조작하는 것에 의해 원하는 카테고리의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로서, 자신이 적어도 한번 이상 방문한 이력이 있는 웹사이트에 손쉽게 재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예에 따라, 기존과 같이 트리 메뉴를 추적하여 원하는 사이트를 찾거나, 즐겨찾기나 북마크를 이용할 필요가 없으며, 즐겨찾지 않는 사이트들의 목록으로부터 자신이 찾는 사이트를 일일이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다.
<변형예>
이하에서,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무선 웹사이트의 재접속 방법을 설명한다.
본 변형예는 접속 이력 데이터베이스(75)로부터 추출한 재접속 URL이 복수개가 아니라 한개인 경우에 대한 것이다. 따라서, 도 5의 단계 S51 내지 S63의 절차는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S11 내지 S2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50)로부터 이동통신단말의 고유 번호(예를 들어, 『010-×××-××××』)와 제 2 식별자(예를 들어,『2』)가 포함된 URL을 전송받은 재접속 서버(73)는 접속 이력 데이터베이스(75)를 조회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2 식별자(『2』)에 대응하는 재접속 URL(78)을 검색해낸다.(S63)
이때, 추출된 재접속 URL이 하나인 경우, 재접속 서버(73)의 응답 모듈(72d)은 이 재접속 URL을 게이트웨이 서버(50)에 전달하고, 게이트웨이 서버(50)는 이 재접속 URL에 근거하여 해당 웹서버에 접속 리퀘스트를 발한다.(S67)
상기 접속 리퀘스트를 수신한 웹서버는 상기 재접속 URL에 대응하는 응답 페이지를 추출하고, 이를 게이트웨이 서버(50)를 경유하여 이동통신단말(10)에 전송한다.(S69, S71)
상기 응답을 수신한 이동통신단말의 브라우저는 이 응답을 코드 해석하여 도 6의 도면 부호 660과 같이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같이, 본 변형예의 방법은 상기 실시예 1과는 달리 사용자의 재접속 요청에 응답하여 가장 최근에 방문한 사이트로 사용자를 곧바로 접속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시예 1과 같은 별도의 URL 선택 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 이는 동일한 카테고리의 정보를 제공하는 여러개의 사이트들이 존재할 경우, 사용자는 가장 최근에 방문한 사이트를 선호한다는 경향을 반영한 것이다.
<실시예 2>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과 절차에 대해서는 실시예 1을 참조하는 것에 의해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웹사이트 자동 재접속 시스템은 이동통신단말(110), 이동교환국(MSC)(210), 데이터망 연동장치(IWF)(220),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230), 접속로그 서버(320) 및 재접속 서버(330)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통신단말(110)은 무선 통신망(120)을 경유하여 상기 이동교환국(MSC)(210), 데이터망 연동장치(IWF)(220) 및 게이트웨이 서버(230)와 커플링된다. 또한,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230)는 인터넷과 같은 유선 통신망(310)을 경유하여 상기 접속 로그서버(320) 및 재접속 서버(330)와 접속된다.
상기 이동통신단말(110)과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230)는 예를 들어, ME(Mobile Explorer)기반의 HTTP나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을 이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교환하고,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230)와 상기 접속 로그 서버(320), 재접속 서버(330)는 예를 들어, HTTP나 TCP/IP와 같은 데이터 통신방법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도 6의 경우, 게이트웨이 서버(230)와 재접속 서버(330) 및 접속 로그 서버(320)가 유선 통신망(310)을 통해 접속되어 있는 분산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재접속 서버(330), 접속 로그 서버(320) 및 게이트웨이 서버(230)를 단일한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하거나 전용망을 통해 서로 접속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이동통신단말(110), 무선 통신망(120), 이동 교환국(210), 데이터망 연동장치(220) 및 유선 통신망(310)은 도 1에 도시된 구성과 그 기능과 역할이 동일하기 때문에 실시예 1을 참조하는 것에 의해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230)는 이동통신단말(110)로부터 웹사이트의 카테고리를 정의하는 식별자가 포함된 재접속 리퀘스트를 접수 받는 모듈과, 이 접속 리퀘스트를 상기 재접속 서버(330)에 전달하는 모듈과, 상기 재접속 서버(330)로부터 상기 식별자가 지시하는 카테고리에 소속된 URL목록(이하, "예비 URL"로 약칭한다)을 전달받고, 이를 상기 접속로그 서버(320)에 전달하는 모듈과, 상기 접속로그 서버(320)로부터 상기 예비 URL과 일치하는 재접속 URL(해당 사용자가 적어도 한번 이상 방문한 이력이 있는 웹사이트의 URL로서 상기 예비 URL과 일치하는 것)을 접수하는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230)는 접속로그 서버(32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재접속 URL을 상기 이동통신단말(110)에 응답(request)으로 전송하는 모듈을 더 포함한다.
다른 변형예로서의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230)는 상기 접속로그 서버(320)로부터 단일한 재접속 URL을 전달받고, 이 재접속 URL에 근거하여 해당하는 웹서버에 HTTP 요청을 전달하는 모듈과, 이 HTTP 요청에 따른 응답을 상기 웹서버로부터 전달받고, 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110)에 응답하는 모듈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230)는 이동통신단말(110)과 재접속 서버(330) 및 접속로그 서버(320)를 인터페이스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카테고리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이트로서, 적어도 한번 이상 방문한 이력이 있는 웹사이트(즉, 재접속 사이트)로 사용자를 안내한다.
상기 재접속 서버(330)는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230) 및 접속로그 서버(320)와 유선통신망(310)을 경유하여 접속되어 있는 컴퓨터 시스템이다. 따라서, 상기 재접속 서버(330)는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230)와 HTTP나 TCP/IP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재접속 서버(330)는 도 7a 및 도 7b와 같은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는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335)와, 이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프로그램 모듈과, 게이트웨이 서버(230)로부터 전달되는 식별자에 근거하여 상기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335)로부터 상기 식별자에 대응하는 URL을 검색하는 모듈과, 이렇게 검색된 예비 URL들을 게이트웨이 서버(230)로 전송하는 모듈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검색 모듈은 게이트웨이 서버(230)로부터 전달되는 재접속 요청(식별자가 실려 있는 URL)으로부터 식별자를 추출하고, 이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335)를 조회한다.
상기 식별자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어 URL에 실리는 파라미터로서, 적어도 한번 이상 방문한 이력이 있는 사이트로의 재접속을 지시하는 제 1 식별자와, 정보의 분류에 따른 카테고리를 지시하는 제 2 식별자로 이루어진다.
상기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335)는 웹사이트의 모든 URL을 정보의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하고 있다. 도 7a 및 도 7b에는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335)에 저장되는 카테고리 테이블의 일 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7a는 카테고리를 분류하는 구분자(즉, 제 2 식별자)가 숫자(1: 소리, 2: 그림, 3; 사진, 4; 정보, 5: 성인, 6: 쇼핑 등)인 경우를 나타내고, 도 7b는 카테고리를 분류하는 구분자가 단말기 기능키(magicn: 정보, mp3: 소리, 카메라; 사진, GPS: 위치정보 등)인 경우를 예시한다. 예를 들어, 도 7a 및 도 7b의 테이블은 구분자, 분류 및 URL 필드가 모여 하나 의 레코드를 형성하고, URL 필드(21)에는 다수의 URL들이 소속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검색 모듈은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230)로부터 전달 받은 제 2 식별자를 이용하여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335)로부터 동일한 구분자를 찾아내고, 이 구분자에 대응하는 URL들을 추출함으로써 사용자가 요청하는 카테고리의 URL들(예비 URL)을 모두 검색해 낸다. 이렇게 검색된 예비 URL은 유선 통신망(310)을 통해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230)로 전달된다.
상기 접속 로그 서버(320)는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230) 및 재접속 서버(330)와 유선 통신망(310)을 경유하여 접속되어 있는 컴퓨터 시스템이다. 따라서, 상기 접속 로그 서버(320)는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230)와 HTTP나 TCP/IP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접속 로그 서버(320)는 도 8과 같은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는 로그정보 데이터베이스(325)와, 이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프로그램 모듈과, 게이트웨이 서버(230)로부터 예비 URL정보와 이동통신단말의 고유 번호를 접수받는 모듈과, 이 고유 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테이블(30a, 30b, 30cㆍㆍㆍㆍ)로부터 상기 예비 URL과 일치하는 재접속 URL(31)을 검색하는 모듈과, 이렇게 검색된 재접속 URL(31)을 게이트웨이 서버(230)에 전달하는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로그정보 데이터베이스(325)는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통신단말을 사용하여 특정 웹사이트를 방문함에 따라 발생하게 되는 로그파일을 기록,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도 8에는 이러한 로그정보 데이터베이스(325)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로그 정보 데이터베이스(325)는 사용자가 적어도 한번 이상 방 문한 웹사이트의 URL을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한 테이블(30a, 30b, 30cㆍㆍㆍㆍ)을 이동통신단말의 고유 번호별로 저장하고 있다. 특히, 도 8의 테이블(30a, 30b, 30cㆍㆍㆍㆍ)을 구성하는 하나의 레코드는 분류 필드와 URL 목록 필드로 구성되고, URL 목록 필드에는 URL정보와 더불어 접속시간 정보가 함께 저장된다. 이러한 레코드들이 여러개 모여서 하나의 테이블을 구성하고, 이 테이블들이 모여서 상기 로그정보 데이터베이스(325)를 구축하게 된다.
접속 로그 서버(320)의 검색 모듈은 게이트웨이 서버(230)로부터 전달되는 가입자 번호에 근거하여 상기 로그정보 데이터베이스(325)로부터 대응하는 테이블(30a, 30b, 30cㆍㆍㆍㆍ)을 추출하고, 이 테이블(30a, 30b, 30cㆍㆍㆍㆍ)내에서 게이트웨이 서버(230)로부터 전달되는 예비 URL과 일치하는 모든 URL들(재접속 URL)을 검색해낸다. 이렇게 검색된 재접속 URL은 그 접속 시간 정보와 함께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230)로 전달되거나, 접속 시간에 따라 재접속 URL들을 순서대로 정렬한 URL열을 게이트웨이 서버(230)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그정보 데이터베이스(325)의 데이터 구조는 반드시 도 8에 도시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로그 파일을 무작위로 시간의 순서에 따라 기록하거나 사용자별로 저장 영역을 달리하여 기록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재접속 시스템의 구성에 기반하여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무선 웹사이트 재접속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자신이 최근에 방문한 웹사이트로서 특정한 카테고리의 정보를 제공하는 사 이트에 재접속 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자신의 이동통신단말(10)의 키버튼을 이용하여 제 1 식별자와 제 2 식별자를 포함하는 접속 리퀘스트(request)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면, "그림"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로서, 사용자가 최근에 방문한 경험이 있는 사이트에 재접속 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재접속 요청을 지시하는 제 1 식별자인 『*』버튼(610)과, 원하는 카테고리인 "그림"과 매칭되어 있는 제 2 식별자인 『2』버튼(610)을 선택하고, 무선 인터넷 접속키(620)를 누른다.(S110) 이러한 사용자의 리퀘스트(request)는 무선 통신망(120)을 경유하여 게이트웨이 서버(230)에 전달된다. 상기 리퀘스트는 제 1 식별자와 제 2 식별자를 포함하는 URL(예를 들어, 『http://**2』)로 나타난다.
상기 제 1 식별자는 예를 들어, *, #와 같은 특수키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식별자는 숫자(예를 들어, 1 ~ 9) 또는 단말기 기능키(예를 들어, mp3, magicn, 카메라, GPS 등)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식별자는 적어도 한번 이상 방문한 이력이 있는 사이트로의 재접속을 정의하고, 상기 제 2 식별자는 방문하고자 하는 사이트의 카테고리를 정의한다.
이동통신단말(110)로부터 접속 리퀘스트를 접수 받은 게이트웨이 서버(230)는 상기 리퀘스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요구가 재접속 요청임을 판별한다.(S130) 즉, URL에 실려 있는 파라미터값(제 1 식별자)으로부터 사용자의 요구가 재접속 서버(330)와의 연결 요청임을 인식한다.(S150) 여기서, 상기 리퀘스트가 통상의 접속 요청인 경우에는 통상의 절차에 따라 상기 리퀘스트(request)를 처리한다.(S160)
상기 S150에서 사용자의 리퀘스트가 재접속 요청으로 판단되면, 게이트웨이 서버(230)는 유선 통신망(310)을 통해 재접속 서버(330)와 접속하고, 상기 파라미터(제 1 식별자 및 제 2 식별자)가 실려 있는 URL을 재접속 서버(330)에 전송한다.(S170)
게이트웨이 서버(230)로부터 접속 요청을 전달 받은 재접속 서버(330)는 URL에 실려 있는 파라미터를 분석하여 제 2 식별자(숫자 2)를 추출해 낸다.(S190) 그리고, 이 제 2 식별자(숫자 2)를 이용하여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335)를 조회함으로써(S210) 요청한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모든 URL들(예비 URL)을 추출해낸다.(S230) 즉,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그림"이라는 카테고리 분류에 속하는 모든 URL들을 테이블 20으로부터 검색해낸다.
이렇게 추출된 예비 URL들은 유선 통신망(310)을 경유하여 다시 게이트웨이 서버(230)로 전달되고, 게이트웨이 서버(230)는 이를 수신한다.(S250)
재접속 서버(330)로부터 상기 예비 URL들을 접수 받은 게이트웨이 서버(230)는 이 예비 URL들을 상기 이동통신단말(110)의 고유 번호와 함께 접속 로그 서버(320)로 전송한다.(S270)
게이트웨이 서버(230)로부터 이동통신단말의 고유 번호와 예비 URL 정보를 전달받은 접속 로그 서버(320)는 먼저, 로그정보 데이터베이스(325)로부터 상기 가입자 번호에 대응하는 테이블(30a, 30b, 30cㆍㆍㆍㆍ)을 추출해내고, 이 테이블(30a, 30b, 30cㆍㆍㆍㆍ)의 레코드들로부터 상기 예비 URL과 일치하는 모든 재접속 URL들(도 8의 31)을 추출해낸다.(S290, S310)
이때, 상기 재접속 URL은 하나가 아니라 복수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접속 로그 서버(320)는 이 재접속 URL들을 접속 시간 정보(도 8의 33)에 근거하여 순차적으로 정렬한 후(S330), 정렬된 URL열(또는 URL 리스트)이 포함되어 있는 URL목록 페이지(즉, 응답 페이지)를 생성하고, 이를 게이트웨이 서버(230)를 경유하여 이동통신단말(110)에 전달한다.(S350)
상기 이동통신단말(110)의 브라우저는 이 응답 페이지를 수신하여 코드 해석한 후,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도 11의 600)를 통해 출력한다.(S370)
단말기의 디스플레이(600)를 통해 응답 페이지를 확인한 사용자는 여러개의 URL 리스트(도 11의 630)중 자신이 원하는 사이트의 URL(도 11의 640)을 선택하고, 이 URL로의 접속을 게이트웨이 서버(230)에 리퀘스트(request)한다.(S390)
이동통신단말로(110)부터 특정 URL로의 접속 요청(request)을 접수한 게이트웨이 서버(230)는 이 요청을 대응하는 웹서버(미도시)로 전달하고, 해당 웹서버는 상기 URL이 지시하는 리소스(resource)를 게이트웨이 서버(230)를 통해 이동통신단말(110)에 응답(response)한다.(S410, S430) 이동통신단말(110)은 웹서버(미도시)로부터의 응답 페이지를 코드 해석하여 도 11의 도면 부호 650과 같이 디스플레이한다.(S450)
따라서, 사용자는 단말기 기능키(무선 인터넷 접속키 포함)나 숫자와 같은 이동통신단말의 키버튼을 간단하게 조작하는 것에 의해 자신이 원하는 카테고리의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로서, 자신이 즐겨찾는 웹사이트에 손쉽게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변형예>
이하에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실시예 2의 다른 변형예의 방법을 설명한다.
본 변형예는 로그정보 데이터베이스(325)로부터 추출한 재접속 URL이 복수개가 아니라 한개인 경우에 대한 것이다. 따라서, 도 10의 단계 S510 내지 S710의 절차는 상기 실시예 2의 단계 S110 내지 S3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230)로부터 예비 URL과 고유 번호를 전송받은 접속 로그 서버(325)는 상기 예비 URL과 일치하면서 상기 고유 번호에 대응하는 단일한 재접속 URL을 로그정보 데이터베이스(325)로부터 추출한다.(S710) 즉, 상기 재접속 URL이 하나가 되는 경우는, 예비 URL과 일치하는 재접속 URL이 단일한 경우와, 예비 URL과 일치하는 다수의 URL들중 가장 최근에 접속한 URL을 단일한 재접속 URL로서 추출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이렇게 추출된 단일한 재접속 URL은 유선 통신망(310)을 통해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230)로 전달되고,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230)는 이 재접속 URL에 근거하여 해당하는 웹서버(미도시)에 HTTP 리퀘스트를 요청한다.(S730)
상기 웹서버는 상기 리퀘스트에 대응하는 응답을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230)를 경유하여 이동통신단말(110)에 응답한다.(S750, S770)
상기 응답을 수신한 이동통신단말(110)의 브라우저는 이 응답을 코드 해석하여 도 11의 도면 부호 660과 같이 디스플레이한다.(S790)
이와 같이, 본 변형예의 방법은 상기 실시예 2와는 달리 사용자의 재접속 요 청에 응답하여 가장 최근에 방문한 사이트로 사용자를 곧바로 접속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시예 2와 같은 별도의 URL 선택 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 이는 동일한 카테고리의 정보를 제공하는 여러개의 사이트들이 존재할 경우, 사용자는 가장 최근에 방문한 사이트를 선호한다는 경향을 반영한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에 대한 간단한 키조작만으로 소망하는 카테고리의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사용자가 즐겨찾는 사이트로의 재접속을 구현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불편한 이동통신단말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일일이 사이트의 URL을 입력할 필요가 없고, 복잡한 메뉴 트리를 추적할 필요가 없다. 또한, 이동통신단말내에 즐겨찾는 사이트를 별도로 등록할 필요가 없으며, 자신이 방문하지도 않은 수많은 사이트 목록으로부터 원하는 사이트를 찾는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없다.

Claims (24)

  1. 웹서버와의 브라우징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과, 무선 통신망을 경유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과 접속되고, 가입자별로 즐겨찾는 웹사이트의 URL(이하, 재접속 URL)을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 저장하고 있는 접속 이력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재접속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을 특정 웹사이트에 재접속시키는 방법으로서, 이 방법은
    상기 즐겨찾는 웹사이트로의 재접속을 지시하는 제 1 식별자와 웹사이트를 분류하는 카테고리를 지시하는 제 2 식별자가 포함된 접속 리퀘스트(request)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식별자에 근거하여 상기 리퀘스트를 재접속 요청으로 판별하고, 이동통신단말의 고유 번호와 상기 제 2 식별자에 대응하는 재접속 URL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URL에 근거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을 소망하는 웹사이트로 접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무선 웹사이트의 재접속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단계는 다시
    상기 검색된 URL이 복수개인 경우, 이를 접속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렬하는 단계;
    상기 정렬된 URL 리스트를 상기 이동통신단말에 응답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선택된 URL로의 접속을 요청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URL이 지시하는 리소스를 해당 웹서버로부터 응답(response)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단계는 다시
    상기 검색된 URL이 하나인 경우, 해당 URL에 대한 HTTP 리퀘스트를 해당 웹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웹서버로부터의 HTTP 응답을 상기 이동통신단말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단계는 다시
    상기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제 1 및 제 2 식별자가 포함된 접속 리퀘스트(request)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식별자에 근거하여 해당 리퀘스트를 재접속 요청으로 판별하는 단계;
    이동통신단말의 고유 번호와 함께 상기 제 2 식별자를 상기 재접속 장치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고유 번호와 상기 제 2 식별자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재접속 URL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2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식별자가 * 또는 #와 같은 특수키이고, 상기 제 2 식별자가 숫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2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식별자가 * 또는 #와 같은 특수키이고, 상기 제 2 식별자가 단말기 기능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1) 웹서버와의 브라우징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웹사이트의 카테고리를 지시하는 식별자가 포함된 재접속 요청을 접수하고, 이를 재접속 장치에 전달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와;
    (2)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로부터 상기 식별자와 이동통신단말의 고유 번호를 전달 받고, 이 고유번호와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과 적어도 한번 이상 접속한 이력이 있는 웹사이트로서, 상기 식별자에 대응하는 카테고리에 속하는 URL(이하, 재접속 URL)을 추출하며, 이 재접속 URL로의 접속 리퀘스트를 생성하는 재접속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웹사이트 자동 재접속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재접속 장치는 다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접속 URL을 카테고리별 및 고유 번호별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있는 접속 이력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식별자에 대응하는 재접속 URL을 상기 접속 이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고, 이렇게 검색된 재접속 URL로의 접속 리퀘스트를 생성하는 재접속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웹사이트 자동 재접속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즐겨찾는 웹사이트로의 재접속을 지시하는 제 1 식별자와, 웹사이트의 카테고리를 정의하는 제 2 식별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웹사이트 자동 재접속 시스템.
  10. 유,무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이동통신단말과 웹서버 사이를 재접속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a) 상기 이동통신단말과 적어도 한번 이상의 접속 이력을 갖는 웹사이트의 URL들(이하, 재접속 URL)을 카테고리별 및 이동통신단말의 고유번호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접속 이력 데이터베이스와;
    (b) 즐겨찾는 웹사이트로의 재접속을 지시하는 제 1 식별자와, 웹사이트의 카테고리를 지시하는 제 2 식별자를 포함하는 접속 요청을 상기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접수하고, 이를 분석하는 수단과;
    (c) 이동통신단말의 고유 번호와 상기 제 2 식별자를 이용하여 소망하는 재접속 URL을 상기 접속 이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수단과;
    (d) 상기 검색 결과를 이동통신단말에 응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무선 웹사이트 자동 재접속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수단은 다시
    상기 검색된 URL이 복수개인 경우, 접속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렬하는 수단과,
    정렬된 URL 리스트를 상기 이동통신단말에 응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웹사이트 자동 재접속 장치.
  12. 유,무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이동통신단말과 웹서버 사이를 재접속시키기 위한 장치에 설치되어 아래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로서,
    상기 장치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과 적어도 한번 이상의 접속 이력을 갖는 웹사이트의 URL들(이하, 재접속 URL)을 이동통신단말의 고유번호별 및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접속 이력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a) 상기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전송된 재접속 리퀘스트로부터 웹사이트의 카테고리를 정의하는 식별자를 추출하는 기능과;
    (b) 이동통신단말의 고유 번호와 상기 식별자에 근거하여 소망하는 재접속 URL을 상기 접속 이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기능과;
    (c) 상기 검색 결과를 이동통신단말에 응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3. 웹서버와의 브라우징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로부터 특정 카테고리의 컨텐츠를 지시하는 식별자가 포함된 무선 인터넷 접속 요청을 접수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 요청을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를 경유하여 재접속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와 접속되고, 웹사이트의 URL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있는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상기 재접속 서버에 있어서,
    상기 접속 요청을 분석하여 상기 식별자를 인식하고, 이 식별자에 대응하는 URL들(이하, 예비 URL)을 상기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예비 URL을 상기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를 경유하여 접속로그 서버에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단말에 의해 적어도 한번 이상 방문한 이력이 있는 웹사이트의 URL(이하, 재접속 URL)을 이동통신단말의 고유 번호별로 저장하고 있는 로그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상기 접속로그 서버에 있어서,
    상기 예비 URL과 상기 고유 번호에 근거하여 상기 로그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함으로써, 상기 예비 URL과 일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접속 URL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재접속 URL에 근거하여 특정 웹사이트에 재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웹사이트의 재접속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재접속 단계는 다시
    상기 추출된 재접속 URL들에 근거하여 URL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URL 리스트를 이동통신단말에 응답하는 단계와;
    상기 URL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특정 URL에 대한 접속 리퀘스트(request)를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접수하는 단계와;
    상기 URL이 지시하는 리소스를 해당 웹서버로부터 응답(response)받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URL 리스트는
    상기 추출된 접속 URL들을 접속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재접속 단계는 다시
    상기 단일한 재접속 URL에 근거하여 HTTP 리퀘스트를 해당 웹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웹서버로부터 HTTP 응답을 접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과 적어도 한번 이상의 접속 이력을 갖는 웹사이트로의 재접속을 지시하는 제 1 식별자와 웹사이트를 분류하기 위한 카테고리를 지시하는 제 2 식별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식별자가 * 또는 #와 같은 특수키이고, 상기 제 2 식별자가 숫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식별자가 * 또는 #와 같은 특수키이고, 상기 제 2 식별자가 단말기 기능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1) 웹서버와의 브라우징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과 무선 통신망을 경유하여 커플링되는 장치로서,
    (a) 웹사이트의 URL들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와,
    (b) 상기 이동통신단말과 적어도 한번 이상의 접속 이력을 갖는 웹사이트들의 URL정보(이하, 재접속 URL)를 이동통신단말의 고유 번호별로 저장하고 있는 로그정보 데이터베이스와,
    (c) 무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상기 카테고리를 지 시하는 식별자가 포함된 무선 인터넷 접속 요청을 접수하는 수단과,
    (d) 이 접속 요청에 포함된 식별자에 대응하는 URL들(이하, 예비 URL)을 상기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수단과,
    (e) 상기 고유 번호별로 등록되어 있는 재접속 URL들중 상기 추출된 예비 URL과 일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URL을 상기 로그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수단, 및
    (f) 상기 추출된 재접속 URL이 지시하는 리소스를 상기 이동통신단말에 응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재접속 장치와;
    (2) 상기 재접속 장치를 개재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과 네트워킹 접속되는 웹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웹사이트 자동 재접속 시스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재접속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과 접속되는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와,
    상기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와 네트워킹 접속되고, 상기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고, 검색하는 제 1 컴퓨터 시스템, 및
    상기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와 네트워킹 접속되고, 상기 로그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고, 검색하는 제 2 컴퓨터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는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무선인터넷 접속 요청(request)을 상기 제 1 컴퓨터 시스템에 전달하고,
    상기 제 1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예비 URL을 상기 제 2 컴퓨터 시스템에 전달하며,
    상기 제 2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전달되는 재접속 URL을 상기 이동통신단말로 응답(response)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3. 유,무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이동통신단말과 웹서버 사이를 재접속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a) 웹사이트의 URL들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와,
    (b) 상기 이동통신단말과 적어도 한번 이상의 접속 이력을 갖는 웹사이트들의 URL정보(이하, 재접속 URL)를 이동통신단말의 고유 번호별로 저장하고 있는 로그정보 데이터베이스와,
    (c) 무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상기 카테고리를 지시하는 식별자가 포함된 무선 인터넷 접속 요청을 접수하는 수단과,
    (d) 이 접속 요청에 포함된 식별자에 대응하는 URL들(이하, 예비 URL)을 상기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수단과,
    (e)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고유 번호에 대응하는 재접속 URL들중 상기 추출된 예비 URL과 일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URL을 상기 로그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수단, 및
    (f) 상기 추출된 재접속 URL이 지시하는 리소스를 상기 이동통신단말에 전달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웹사이트 자동 재접속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로그정보 데이터베이스가 통신망을 개재하여 서로 이격된 상태로 접속되고, 상기 수단들이 통신망을 통해 분산된 컴퓨터 시스템을 통해 각기 개별적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50049992A 2005-06-10 2005-06-10 식별자를 이용하여 무선 웹사이트에 재접속 하는 방법 및이 방법을 구현하는 시스템 KR100667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9992A KR100667516B1 (ko) 2005-06-10 2005-06-10 식별자를 이용하여 무선 웹사이트에 재접속 하는 방법 및이 방법을 구현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9992A KR100667516B1 (ko) 2005-06-10 2005-06-10 식별자를 이용하여 무선 웹사이트에 재접속 하는 방법 및이 방법을 구현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8494A KR20060128494A (ko) 2006-12-14
KR100667516B1 true KR100667516B1 (ko) 2007-01-10

Family

ID=37731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9992A KR100667516B1 (ko) 2005-06-10 2005-06-10 식별자를 이용하여 무선 웹사이트에 재접속 하는 방법 및이 방법을 구현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75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3692B1 (ko) * 2015-06-29 2016-03-15 주식회사 수산아이앤티 공유 단말 식별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603694B1 (ko) * 2015-06-29 2016-03-15 주식회사 수산아이앤티 공유 단말 식별 방법 및 그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8928A (ja) 1996-07-08 1998-03-24 D & I Syst Kk インターネットへのアクセス方法およびシステム、ならびにインターネットへのアクセス処理を記憶した記憶媒体
KR20020018523A (ko) * 2000-09-02 2002-03-08 박태형 무선 인터넷 단축 접속 방법
KR20020019374A (ko) * 2000-09-05 2002-03-12 박태형 수의 조합을 사용하는 무선 인터넷 접속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60004140A (ko) * 2004-07-08 2006-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접속 목록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인터넷 접속방법
KR20060057659A (ko) * 2004-11-23 2006-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단축 메뉴구성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8928A (ja) 1996-07-08 1998-03-24 D & I Syst Kk インターネットへのアクセス方法およびシステム、ならびにインターネットへのアクセス処理を記憶した記憶媒体
KR20020018523A (ko) * 2000-09-02 2002-03-08 박태형 무선 인터넷 단축 접속 방법
KR20020019374A (ko) * 2000-09-05 2002-03-12 박태형 수의 조합을 사용하는 무선 인터넷 접속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60004140A (ko) * 2004-07-08 2006-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접속 목록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인터넷 접속방법
KR20060057659A (ko) * 2004-11-23 2006-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단축 메뉴구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8494A (ko) 200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05955B2 (ja) 無線装置を介して個別のビデオ/オーディオウェブコンテンツを対象としてアクセスする方法及び装置
KR20060116216A (ko) 무선 인터넷에서의 개인 메뉴 페이지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US7768955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necting wireless internet service with string
RU2326432C1 (ru) Способ ввода и поиска информации об объекте в удаленной базе данных
KR100757757B1 (ko) 무선 인터넷 정보 검색 방법 및 무선 인터넷 정보 검색장치
KR100556530B1 (ko) 무선 인터넷 정보 검색 방법
KR100667516B1 (ko) 식별자를 이용하여 무선 웹사이트에 재접속 하는 방법 및이 방법을 구현하는 시스템
KR100560124B1 (ko) 문자열을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 접속 방법 및 장치
KR101037282B1 (ko) 개인화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01626628B (zh) 数字号码与网址映射及推送系统
KR100795234B1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KR100817561B1 (ko) Sms를 이용한 정보 검색·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7949768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ng of wireless-internet using domain based numeral
KR20050024550A (ko) 확장된 식별자로 분류되는 메뉴형 무선 인터넷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JP2006189978A (ja) 情報検索システム、情報検索サーバ、情報検索方法、及び情報検索プログラム
KR100676620B1 (ko) 이동 단말기의 상위 왑 페이지 이동 방법 및 시스템
KR100886763B1 (ko) 웹사이트 연결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59265A (ko) 정보 제공 장치, 검색 서비스 시스템 및 검색 서비스 실행 방법, 이를 이용한 검색 서비스 방법
KR100542925B1 (ko) 문자열 및 무선 인터넷 접속 기능 키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서비스 접속 방법 및 장치
KR100823226B1 (ko) 무선통신장치
JP2006189979A (ja) 情報検索システム、情報検索サーバ、情報検索方法、及び情報検索プログラム
KR20010111737A (ko) 실시간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964460B1 (ko) 이동통신 패킷망에서의 무선 인터넷 도메인 주소 검색 방법
KR20060106805A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687660B1 (ko) 무선 인터넷 정보 검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