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6650B1 - 공동주택의 창틀구조물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창틀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6650B1
KR100666650B1 KR1020060083749A KR20060083749A KR100666650B1 KR 100666650 B1 KR100666650 B1 KR 100666650B1 KR 1020060083749 A KR1020060083749 A KR 1020060083749A KR 20060083749 A KR20060083749 A KR 20060083749A KR 100666650 B1 KR100666650 B1 KR 100666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iston
vertical support
housing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3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청목씨엠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청목씨엠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청목씨엠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60083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66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6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6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6Frames uniquely adapted for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독주택 및 공동주택 등의 창틀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창과, 상기 창의 전방에 배치되는 난간과, 상기 난간 상에 수평하게 배치 고정되는 선반을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창틀구조물에 있어서, 상면 개구된 수용홈과, 상기 선반이 배치되는 상기 난간의 일지점에 탈부착 가능하게 걸리는 고리와, 상기 수용홈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 입설되는 한 쌍의 가이드바아와, 상기 가이드바아의 상방에 수평하게 돌출되는 걸림대로 된 하우징; 상기 가이드바아가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지지관과, 상기 지지관에 내장되어 상기 가이드바아를 탄발하는 스프링과, 상기 지지관들을 서로 연결하는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에 전후로 절개 형성된 걸림홈과, 상기 지지관의 하단에 수평하게 돌출 고정되어 상기 걸림대와 맞물려 상기 지지관이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도록 막는 걸림돌부로 된 수직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단과 힌지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ㄷ' 형상의 수평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와 수평지지대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ㄷ' 형상의 중간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 수평지지대 및 중간지지대의 모서리 부분에 고정되는 가요성 합성수지의 덮개; 및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절개 형성된 구멍과 상기 걸림홈으로 삽입되고 상기 걸림홈과 맞물리는 상면이 경사면을 이루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와 연결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이 삽입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배치되어 상기 피스톤을 탄발하는 탄발스프링과, 상기 실린더의 공압을 조절하는 공압피스톤과, 상기 공압피스톤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제어박스를 더 포함하 는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창틀구조물{Window's structure in the apartment}
도 1은 종래 창틀구조물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틀구조물을 이루는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박스의 설치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창틀구조물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창틀구조물의 작동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창틀구조물의 다른 작동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 ; 창 11 ; 난간
12 ; 선반 20 ; 하우징
21 ; 수용홈 22 ; 고리
23 ; 가이드바아 24 ; 걸림대
25 ; 구멍 30 ; 수직지지대
31 ; 지지면 32 ; 걸림홈
33 ; 지지관 34 ; 스프링
35 ; 힌지 36 ; 걸림돌부
40 ; 수평지지대 41, 42 ; 제1,2회전구멍
50 ; 중간지지대 51 ; 회전축
60 ; 제어박스 61 ; 피스톤
62 ; 실린더 63 ; 스토퍼
64 ; 스프링 65 ; 스위치
66 ; 통기구 C ; 덮개
본 발명은 단독주택 및 공동주택 등의 창틀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단독주택 및 공동주택은 다수의 창(10 ; 도 1 참조)을 갖추며, 이러한 창(10)에는 거주자의 낙하방지를 위한 난간(11)이 설치된다. 한편, 이러한 난간(11)의 활용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선반(12)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선반(12)은 화분이나 장독 등을 얹어둘 수 있도록 수평하게 고정 배치되고, 일반적으로 상기 난간(11)에 단단히 체결된다. 즉, 상기 선반(12)은 실외에 보관할 필요가 있는 각종 물품들을 얹어둘 수 있는 장소로서 활용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선반(12)이 야외에 설치되면서 갑작스런 우수에 의해 보관된 물품들이 젖을 수도 있고, 특히 상기 물품이 장독일 경우에는 장독 내에 담긴 장이 우수에 의해 훼손될 수도 있었다. 또한, 우수 이외에도 황사가 심하거나 바람이 거센 날의 경우 상기 선반(12) 상에 보관된 물품이 쉽게 오염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선반 상에 보관된 물품이 갑작스런 날씨 및 환경변화에 의해 오염되거나 훼손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서, 실외에서도 상기 물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공동주택의 창틀구조물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창과, 상기 창의 전방에 배치되는 난간과, 상기 난간 상에 수평하게 배치 고정되는 선반을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창틀구조물에 있어서,
상면 개구된 수용홈과, 상기 선반이 배치되는 상기 난간의 일지점에 탈부착 가능하게 걸리는 고리와, 상기 수용홈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 입설되는 한 쌍의 가이드바아와, 상기 가이드바아의 상방에 수평하게 돌출되는 걸림대로 된 하우징;
상기 가이드바아가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지지관과, 상기 지지관에 내장되어 상기 가이드바아를 탄발하는 스프링과, 상기 지지관들을 서로 연결하는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에 전후로 절개 형성된 걸림홈과, 상기 지지관의 하단에 수평하게 돌출 고정되어 상기 걸림대와 맞물려 상기 지지관이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도록 막는 걸림돌부로 된 수직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단과 힌지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ㄷ' 형상의 수평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와 수평지지대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ㄷ' 형상의 중간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 수평지지대 및 중간지지대의 모서리 부분에 고정되는 가요성 합성수지의 덮개; 및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절개 형성된 구멍과 상기 걸림홈으로 삽입되고 상기 걸림홈과 맞물리는 상면이 경사면을 이루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와 연결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이 삽입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배치되어 상기 피스톤을 탄발하는 탄발스프링과, 상기 실린더의 공압을 조절하는 공압피스톤과, 상기 공압피스톤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제어박스;
를 더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창틀구조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틀구조물을 이루는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기 난간(11) 상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수직지지대(30), 수평지지대(40) 및 중간지지대(5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0)은 전면에 고리(22)가 형성되고 상면 개구된 수용홈(21)을 갖는다. 이때, 상기 하우징(20)은 난간(11)에 걸어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고리(22)가 형성된다. 즉, 상기 고리(22)를 선반(12)이 위치한 난간(11) 상에 걸어 상기 하우징(20)을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수용홈(21)은 하우징(20)에 형성되며, 상기 수직지지대(30), 수평지지대(40) 및 중간지지대(50)가 개구된 상면을 통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내장된다. 이때, 상기 수직지지대(30)의 이동방향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수용홈(21)에는 양쪽 가장자리에 수직으로 입설되는 한 쌍의 가이드바아(23)가 구비된다.
상기 수직지지대(30)는 상기 가이드바아(23)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중공을 갖는 한 쌍의 지지관(33)과, 상기 지지관(33)들을 서로 연결하여 일체로 지지 및 고정하는 지지면(31)을 갖추고, 상기 지지면(31)에는 전후로 관통하는 걸림홈(32)이 형성된다.
상기 수평지지대(40)는 'ㄷ' 형상으로 양단이 각각 힌지(35)를 매개로 상기 수직지지대(30)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상기 힌지(35)는 지지관(33)의 하단부에 배치되면서 상기 수평지지대(40)와 수직지지대(30)는 상기 힌지(35)를 중심으로 접히거나 펴지는 형태가 된다. 상기 수평지지대(40)의 양단에는 각각 제1회전구멍(41)이 형성되며, 상기 제1회전구멍(41)을 통해 관통하는 지지축(미인출함)으로 상기 힌지(35)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수평지지대(40)의 양단에는 제1회전구멍(41) 이외에 제2회전구멍(42)이 더 형성된다. 이는 상기 수직지지대(30)와 수평지지대(40) 사이에 상기 중간지지대(50)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하여 아래에서 설명한다.
상기 중간지지대(50)는 수평지지대(40)에 상응하는 'ㄷ' 형상으로, 양단에 각각 형성된 회전축(51)이 상기 제2회전구멍(42)에 회전가능하게 맞물린다. 결국, 상기 수직지지대(30), 수평지지대(40) 및 중간지지대(50)는 상기 힌지(35)와 제2회 전구멍(42)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박스의 설치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하우징(20)의 일면에는 상기 수용홈(21)을 측면에서 개구하는 구멍(25)이 더 형성되고, 제어박스(60)는 상기 구멍(25)을 덮는 형태로 상기 하우징(20)과 체결된다. 상기 제어박스(60)는 상기 수직지지대(30), 수평지지대(40) 및 중간지지대(50)가 상기 수용홈(21) 내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제어하며, 이를 위해 수평으로 동작하는 스토퍼(63)를 갖춘다. 이때, 상기 스토퍼(63)의 이동은 피스톤방식에 의하며, 이를 위해 상기 스토퍼(63)에 고정되는 피스톤(61)과, 상기 피스톤(61)과 연결되는 실린더(6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62) 내에는 상기 피스톤(61)을 탄발하는 스프링(64)이 내장된다.
한편, 상기 피스톤(61)은 실린더(62) 내 공압으로 이동하며, 이는 도 4(b)에 도시한 공압기(68)로 조절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창틀구조물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지지대(30), 수평지지대(40) 및 중간지지대(50)는 하우징(20) 내 수용홈(21)으로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때, 상기 지지관(33)이 상기 가이드바아(23)에 끼워지면서 상기 수직지지대(30), 수평지지대(40) 및 중간지지대(50)는 수용홈(21)을 따라 정확한 위치로 상하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관(33) 내에는 스프링(34)이 내장되면서, 상기 지지관(33)과 가이드바아(23)를 상호 탄발하는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상기 스프링(34)이 수직지지대(30)의 압력으로 압축되고,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멍(25)을 관통하여 상기 걸림홈(32)으로 삽입된 스토퍼(63)에 의해 현 위치를 고수한다. 즉, 상기 스프링(34)의 탄발력을 상기 스토퍼(63)가 지지하면서 상기 수직지지대(30), 수평지지대(40) 및 중간지지대(50)가 수용홈(21)의 상면 개구부를 통해 투출하지 않고 보존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 제어박스(60)의 구조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4(b)는 상기 제어박스(60)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우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63)는 피스톤(61)과 연결되며, 상기 피스톤(61)은 실린더(62)와 연결된다. 즉, 상기 피스톤(61)은 실린더(62)를 따라 이동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실린더(62)는 공압기(68)와 연통한다. 상기 공압기(68)는 구동부(67)에 의해 제어되면서 실린더(62) 내 공압을 조절한다. 결국, 상기 실린더(62)의 공압이 높아지면 상기 피스톤(61) 및 스토퍼(63)가 구멍(25)을 통해 걸림홈(32)으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실린더(62)의 공압이 낮아지면 상기 피스톤(61) 및 스토퍼(63)는 그 역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걸림홈(32)으로부터 이탈한다. 이때 발생하는 공기의 순환은 도 3에 도시한 통기구(66)를 통해 이루어질 것이다.
상기 구동부(67)는 스위치(65)를 통해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는데, 상기 스위치(65)를 누르면 상기 실린더(62) 내 공압을 낮춰 피스톤(61) 및 스토퍼(63)가 상기 걸림홈(32)으로부터 이탈하도록 될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의 상기 구동부(67)는 사용자가 직접 조작해야 하는 스위치(65)에 의해 한정적으로 제어되지는 않는다. 이는 사용자가 부재로 인해 스위치(65)를 조작할 수 없는 상황에서 선반(12) 상에 놓인 물품을 보관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도 이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으로, 사용자가 외출을 대비하여 상기 구동부(67)를 타이머나 우수를 감지하는 센서 등과 연동시켜서, 상기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시간에 따른 신호 또는 날씨의 변화 등을 감지한 센서의 신호등을 수신하여 상기 구동부(67)가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타이머 또는 센서 등과의 연동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그 연동방식에 대해서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적용실시할 수 있는바, 상기 구동부(67)와 타이머 또는 구동부(67)와 센서 간의 구체적인 작동 및 기계적 구조와 필요한 회로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창틀구조물의 작동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창틀구조물의 다른 작동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공압기(68)의 작동으로 스토퍼(63)가 걸림홈(32)으로부터 이탈하면, 가이드바아(23)와 지지관(33)을 탄발하는 스프링(34)의 탄발력으로 상기 수직지지대(30), 수평지지대(40) 및 중간지지대(50)가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스프링(34)의 탄발력은 상기 수직지지대(30), 수평지지대(40) 및 중간지지대(50)을 수용홈(21)의 상면 개구부까지 밀어올릴 수 있을 만큼 충분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이렇게 밀어올려진 상기 수직지지대(30), 수평지지대(40) 및 중간지지대(50)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분히 이동하면 상기 수평지지대(40)는 그 하중에 의해 회동하면서 수평하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수평지지대(40)는 선반(12) 상에 안착되므로, 상기 선반(12)을 넘어서는 각도까지 회동하지는 않고 선반(12)과 나란하게 위치한다. 그런데, 상기 수직지지대(30), 수평지지대(40) 및 중간지지대(50)는 투명재질의 덮개(C)가 연결되면서 상기 수평지지대(40)의 회동시 상기 덮개(C)가 상기 선반(12)의 상면을 덮게 된다. 즉, 상기 수직지지대(30), 수평지지대(40) 및 중간지지대(50)가 접혀있을 경우 함께 접혀있다가 상기 수평지지대(40)가 펼쳐지면 함께 펼쳐지면서 상기 수직지지대(30)와 수평지지대(40) 사이 공간을 덮는 것이다.
이때, 상기 덮개(C)는 투명재질의 합성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덮개(C)는 상기 수직지지대(30), 수평지지대(40) 및 중간지지대(50)의 모서리를 따라 고정될 것이다.
한편, 상기 수직지지대(30), 수평지지대(40) 및 중간지지대(50)가 상기 스프링(34)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할 때, 수용홈(21)으로부터 완전히 이탈하지 못하도록 상기 수직지지대(30)의 하단에는 수평하게 돌출된 걸림돌부(36)가 배치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수직지지대(30)가 통과하는 수용홈(21)의 개구된 상면 일지점에는 걸림대(24)가 배치된다. 즉, 상기 걸림돌부(36)와 걸림대(24)가 서로 맞물리면서 상기 수직지지대(30)가 걸림돌부(36) 이상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정지되며, 이 순간 상기 수평지지대(40)가 회동하여 선반(12) 상에 안착한다.
상기 중간지지대(5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지지대(40)와 더불어 중간까지만 회동한다. 이는 상기 덮개(C)를 도 6에 도시한 수직지지대(30)와 중간지지대(50) 사이의 간격까지의 길이만큼만으로 함으로서, 상기 중간지지대(50)의 이동범위를 제한한다.
이후, 선반(12) 상에 놓인 물품에 유리한 환경이 되면, 펼쳐진 상기 수직지지대(30), 수평지지대(40) 및 중간지지대(50)를 수거하여 이들을 접은 후 상기 하우징(20)의 수용홈(21)으로 삽입한다. 이때, 상기 스토퍼(63)의 전면은 경사진 경사면(63a)으로 되어 하방으로 이동하는 상기 수직지지대(30)의 걸림홈(32)과 맞물려 간섭없이 수용홈(21)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62) 내에는 상기 피스톤(61)을 전방으로 탄발하는 탄발스프링(62a)이 내장되므로, 걸림홈(32)이 스토퍼(63)와 마주할 경우 상기 스토퍼(63)가 걸림홈(32) 안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스프링(34)에 의한 탄발력으로 상기 수직지지대(30), 수평지지대(40) 및 중간지지대(50)가 상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이상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실외에 배치되는 선반 상의 물품을 갑작스런 외부환경의 변화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고, 그 이용 또한 용이하며, 기존 난간과 결합하여 공간점유나 외관미의 침해가 크지 않으므로 그 사용을 효율적으로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창과, 상기 창의 전방에 배치되는 난간과, 상기 난간 상에 수평하게 배치 고정되는 선반을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창틀구조물에 있어서,
    상면 개구된 수용홈과, 상기 선반이 배치되는 상기 난간의 일지점에 탈부착 가능하게 걸리는 고리와, 상기 수용홈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 입설되는 한 쌍의 가이드바아와, 상기 가이드바아의 상방에 수평하게 돌출되는 걸림대로 된 하우징;
    상기 가이드바아가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지지관과, 상기 지지관에 내장되어 상기 가이드바아를 탄발하는 스프링과, 상기 지지관들을 서로 연결하는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에 전후로 절개 형성된 걸림홈과, 상기 지지관의 하단에 수평하게 돌출 고정되어 상기 걸림대와 맞물려 상기 지지관이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도록 막는 걸림돌부로 된 수직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단과 힌지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ㄷ' 형상의 수평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와 수평지지대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ㄷ' 형상의 중간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 수평지지대 및 중간지지대의 모서리 부분에 고정되는 가요성 합성수지의 덮개; 및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절개 형성된 구멍과 상기 걸림홈으로 삽입되고 상기 걸림홈과 맞물리는 상면이 경사면을 이루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와 연결되는 피 스톤과, 상기 피스톤이 삽입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배치되어 상기 피스톤을 탄발하는 탄발스프링과, 상기 실린더의 공압을 조절하는 공압피스톤과, 상기 공압피스톤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제어박스;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창틀구조물.
KR1020060083749A 2006-08-31 2006-08-31 공동주택의 창틀구조물 KR100666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3749A KR100666650B1 (ko) 2006-08-31 2006-08-31 공동주택의 창틀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3749A KR100666650B1 (ko) 2006-08-31 2006-08-31 공동주택의 창틀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6650B1 true KR100666650B1 (ko) 2007-01-09

Family

ID=37867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3749A KR100666650B1 (ko) 2006-08-31 2006-08-31 공동주택의 창틀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66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51579A (zh) * 2013-12-24 2015-07-01 张朝峰 带有拉簧的物联网防盗护栏开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51579A (zh) * 2013-12-24 2015-07-01 张朝峰 带有拉簧的物联网防盗护栏开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86101A1 (en) Fan with power adjustable housing
CN108104296B (zh) 一种移动式抗风柱
US8925667B2 (en) Fall-proof and anti-collision vacuum cleaner
CA2351804A1 (en) Cord retainer for vacuum cleaner
CN204264880U (zh) 天轨机构及其自动断开组件
EP1781872A1 (en) Observation tower
KR100666650B1 (ko) 공동주택의 창틀구조물
US5501429A (en) Partition pole system
KR100721613B1 (ko) 아파트의 우수유입 방지형 베란다구조
CN212394465U (zh) 一种设计品展览用展陈装置
ES2817853T3 (es) Campana extractora de humos
CN201580817U (zh) 用于浮法玻璃生产线冷端玻璃码垛的吸盘组合架
CN207670938U (zh) 一种收纳箱
USD586452S1 (en) Combined ceiling fan and light shade
CN109008552A (zh) 一种智能的雨伞架
CN109008553A (zh) 一种雨伞架
CN112853699B (zh) 智能家居用品及其应用系统
US9840868B2 (en) Shade storage and deployment scheme
CA2631962C (en) Article of furniture with tambour modesty panel
JP2006298593A (ja) ハンガー式ごみ収納装置
CN213787205U (zh) 爬绳装置的安全锁结构及幕墙清洗机器人
US202003550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verting an overhead door into a gate or serving window to facilitate entertainment and other purposes
US10870957B2 (en) Barrier stand
CN114293817B (zh) 一种院落式活动房
CN101166440A (zh) 移动位置检测装置及升降式存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