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4136B1 - A method and a structure and a apparatus of space diversity antenna with cradle for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A method and a structure and a apparatus of space diversity antenna with cradle for mobi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4136B1
KR100664136B1 KR1020040069337A KR20040069337A KR100664136B1 KR 100664136 B1 KR100664136 B1 KR 100664136B1 KR 1020040069337 A KR1020040069337 A KR 1020040069337A KR 20040069337 A KR20040069337 A KR 20040069337A KR 100664136 B1 KR100664136 B1 KR 100664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unit
cradle
portable terminal
diver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93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20491A (en
Inventor
유재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9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4136B1/en
Publication of KR20060020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04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4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41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8Combinations of substantially independent non-interacting antenna units or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30Combinations of separate antenna units operating in different wavebands and connected to a common feeder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53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 H04B1/0057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using diplexing or multiplexing filters for selecting the desired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하여 크래들부에 구비되는 외부안테나로 공간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구성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에 내장되어 할당된 고주파 신호를 송신과 수신하는 인테나 안테나부; 인테나 안테나부에 접속되고 제어에 의하여 고주파 신호 전송 경로를 변경 설정하는 매트릭스 스위치부; 매트릭스 스위치부에 탈부착 상태로 접속되어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설정 운용되는 외부안테나부; 매트릭스 스위치부에 접속되어 고주파 신호의 송신경로와 수신경로를 구분하고 각각의 경로로 전송하는 듀플렉서부; 매트릭스 스위치부에 접속되고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운용되는 외부안테나부의 수신 고주파 신호를 입력하여 저잡음으로 증폭 출력하는 다이버시티 증폭부; 각 기능부의 운용을 제어하고 감시하는 제어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 등으로 하고, 공간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운용하여 통신신호의 수신품질을 제고하며, 고성능 외부안테나부로 절체하여 송수신 신호의 품질을 제고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atial diversity antenna using an external antenna provided in a cradle unit for multimedia communic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nd includes: an antenna antenna unit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a high frequency signal allocated to the portable terminal; A matrix switch unit connected to the antenna antenna unit and configured to change and set a high frequency signal transmission path under control; An external antenna unit connected to the matrix switch unit in a detachable state and configured to operate as a diversity antenna; A duplexer unit connected to the matrix switch unit to distinguish a transmission path and a reception path of a high frequency signal and to transmit each path; A diversity amplifier for inputting a received high frequency signal of an external antenna unit which is connected to the matrix switch unit and operated as a diversity antenna and amplifies and outputs a low noise; It is characterized by the configuration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the operation of each functional unit, etc., operating as a spatial diversity antenna to improve the reception quality of the communication signal, transfer to a high performance external antenna unit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ignal It works.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크래들 다이버시티 안테나 장치 및 방법 및 구조{A METHOD AND A STRUCTURE AND A APPARATUS OF SPACE DIVERSITY ANTENNA WITH CRADLE FOR MOBILE PHONE}Cradle diversity antenna device, method and structure of mobile terminal TECHNICAL FIELD [A METHOD AND A STRUCTURE AND A APPARATUS OF SPACE DIVERSITY ANTENNA WITH CRADLE FOR MOBILE PHONE}

도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다이버시티 안테나 기능 구성도,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versity antenna func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다이버시티 안테나 운용방법 순서도,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operating a diversity antenna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3 은 본 발명 휴대단말기의 크래들 다이버시티 안테나 장치 기능 구성도, 3 is a functional diagram of a cradle diversity antenna device of a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 는 본 발명 휴대단말기의 매트릭스 스위치 다이버시티 경로 설정상태도,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atrix switch diversity path setting stat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 는 본 발명 휴대단말기의 매트릭스 스위치 절체 경로 설정상태도,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atrix switch switching path setting stat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6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크래들 다이버시티 안테나 구조도, 6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cradle diversity antenna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7 은 본 발명 휴대단말기의 크래들 다이버시티 안테나 방법 순서도.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radle diversity antenna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0 : 인테나 안테나부 110 : 외부안테나부100: antenna antenna portion 110: external antenna portion

120 : 매트릭스 스위치부 130 : 듀플렉서부120: matrix switch unit 130: duplexer unit

140 : 저잡음 증폭부 150 : 제1 소우필터부140: low noise amplifier 150: first saw filter unit

160 : 방향성결합부 170 : 전력증폭부160: directional coupling section 170: power amplifier

180 : 다이버시티증폭부 190 : 제2 소우필터부180: diversity amplifier 190: second saw filter

200 : 고주파부 210 : 제어부 300 : 크래들부200: high frequency part 210: control part 300: cradle part

310 : 리셉터클부 320 : 커넥터부 330 : 안테나케이블부310: receptacle part 320: connector part 330: antenna cable part

340 : 슬라이딩고정부340: sliding fixing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통신 수신신호 품질을 향상하기 위하여 크래들부에 구비되는 외부안테나부를 공간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운용하는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의 장시간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하여 탈부착 상태로 고정하는 크래들부에 일체로 구성되는 고성능 외부안테나를 이용하여 공간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선택 운용하는 휴대단말기의 크래들 다이버시티 안테나 장치 및 방법 및 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perate the external antenna unit provided in the cradle unit as a spatial diversity antenna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multimedia communication reception signal of the portable terminal, in particular, the cradle unit for fixing in a detachable state for a long time multimedia commun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dle diversity antenna device, a method and a structure of a portable terminal for selectively operating as a spatial diversity antenna using a high performance external antenna that is integrally formed.

휴대단말기(UE: USER EQUIPMENT)는 가입 등록된 이동통신 시스템의 해당 기지국(RAN: RADIO ACCESS NETWORK)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SERVICE AREA)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이동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의 감시와 제어와 스위칭(SWITCHING)에 의하여 설정된 통신경로를 경유하여,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상대방과 즉시 무선접속하고 통신하는 것으로, 개인이 항상 직접 휴대하면서 어디든지 이동하는 첨단 무선통신장비 이다. The mobile terminal (UE: USER EQUIPMENT) freely moves in the service area (SERVICE AREA) formed by the corresponding base station (RAN: RADIO ACCESS NETWORK) of the register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nitors and monitors the mobile switching center (MSC). It is a high-tech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allows an individual to carry it anywhere while always carrying it directly by wirelessly connecting and communicating with a desired party anytime and anywhere through a communication path established by control and switching.

상기 휴대단말기(UE)는, 보장되는 이동성에 의하여, 이동 속도와 장소가 수시로 변하고, 수신신호의 경로, 즉, 주변 무선환경이 매우 다양하게 변경된다. The mobile terminal UE changes its movement speed and location from time to time by guaranteed mobility, and changes the path of a received signal, that is, the surrounding wireless environment.

상기 휴대단말기(UE)와 기지국(RAN) 사이에 방해물이 없는, 가시선상(LINE OF SIGHT)에 위치한다면, 가장 이상적인 무선환경이 되지만, 현실적으로, 상기 기지국과의 사이에는 무수히 많은 방해물이 존재한다. If it is located in the line of sight (LINE OF SIGHT), there is no obstacl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UE) and the base station (RAN), it is the most ideal wireless environment, but in reality, there are countless obstacles between the base station.

상기 방해물의 종류로는, 일 예로, 산, 건물, 선전간판, 터널, 지하공간 등등이 있으며, 방해물이 없는 경우는 직접 경로를 통하여 전달되고, 방해물이 있는 경우는 간접경로, 일 예로, 반사경로 또는 회절경로 또는 굴절경로 등을 통하여 전달되며, 특히, 도심(URBAN)과 같이 방해물이 많은 지역에서 간접경로가 반복되는 다중경로(MULTIPATH) 또는 페이딩(FADING)을 통하여 해당 신호가 전송된다. Examples of the obstacles include mountains, buildings, propaganda boards, tunnels, underground spaces, and the like. If there are no obstacles, the obstacles are transmitted through direct paths. Alternatively, the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a diffraction path or a refraction path, and in particular, the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MULTIPATH or fading in which the indirect path is repeated in an area with many obstacles such as the urban area (URBAN).

휴대단말기의 사용량이 많아 트래픽 밀도가 높은 지역을 핫스폿(HOT SPOT) 지역이라 하고, 주로, 빌딩으로 숲을 이루는 도심지역이며, 건물 등에 의한 반사가 중첩되어 다중경로(MULTIPATH)로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므로, 다중경로 페이딩(FADING)과, 전송되는 신호 사이에서 발생하는 간섭(ISI: INTER SYMBOL INTERFERENCE)과, 채널(CHANNEL) 사이에서 발생하는 간섭(CCI: CO-CHANNEL INTERFERENCE) 등에 의하여 신호의 손상이 심하게 발생한다. The area with high traffic density due to the high usage of mobile terminals is called HOT SPOT area, and it is mainly an urban area that forms a forest as a building, and the data reflection is transmitted by multi-path due to the overlapping reflections of the buildings. Therefore, signal damage is prevented due to multipath fading, interference generated between transmitted signals (ISI: INTERFERENCE), and interference generated between channels (CCI: CO-CHANNEL INTERFERENCE). Occurs badly.

상기 다중경로(MULTIPATH)에 의한 페이딩 및 간섭을 줄이는 기술로, 다이버시티(DIVERSITY) 기술이 있으며, 상기 다이버시티 기술에는 주파수 다이버시티, 시간 다이버시티, 편파(각도) 다이버시티, 위상 다이버시티, 공간 다이버시티 등등이 있다. A technique for reducing fading and interference by the MULTIPATH includes diversity technology, and the diversity technology includes frequency diversity, time diversity, polarization (angle) diversity, phase diversity, and space. Diversity and so on.

상기 다이버시티 안테나는 다수의 안테나 요소(ELEMENT)를 파장(λ)의 배수 간격으로 배열하고, 각 안테나 요소는 다중경로를 통하여 전송되는 신호를 각각 독립된 경로에 의하여 수신하며, 상기 각각 수신한 신호 중에서 레벨이 큰 것을 선택 하거나 더하므로 높은 안테나 이득을 얻는 것이며, 일반적으로 2개 안테나 요소에 의한 구성을 많이 사용한다. The diversity antenna arranges a plurality of antenna elements at multiples of a wavelength λ, and each antenna element receives signals transmitted through multipaths by independent paths, and among the received signals. Selecting or adding larger levels will result in higher antenna gain, and typically use a lot of configuration with two antenna elements.

상기 휴대단말기는 이동성 보장과 휴대의 간편성을 위하여 소형으로 제작하므로, 상기 안테나 요소의 이격 거리인 파장(λ) 간격을 위한 공간 또는 면적을 확보하기 어려워진다. Since the portable terminal is made small in order to ensure mobility and simplicity of portability, it becomes difficult to secure a space or an area for the wavelength λ spacing, which is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antenna element.

상기 휴대단말기의 초기세대(1G)는 아날로그 음성급 신호를 이용하는 통신방식이고, 다음 세대(2G)는 디지털 데이터 처리에 의한 문자메시지 전송방식이 포함되며, 현재의 차세대(3G)는 음성급 신호와 문자메시지 신호와 영상신호가 포함되는 멀티미디어급 통신방식을 이용한다. The first generation (1G) of the mobile terminal is a communication method using an analog voice level signal, the next generation (2G) includes a text message transmission method by digital data processing, the current next generation (3G) and the voice level signal It uses a multimedia communication method that includes a text message signal and a video signal.

상기 차세대 또는 삼세대 또는 쓰리지(3G)의 멀티미디어급 통신방식은, 영상신호를 포함하므로 전송하는 데이터 량이 많고, 상기와 같은 대량의 데이터를 신속하게 전송하기 위하여서는 채널(CH)에 할당된 대역폭(BANDWIDTH)이 넓어야 한다. Since the next generation or third generation or 3G multimedia-class communication method includes a video signal, a large amount of data is transmitted, and a bandwidth allocated to a channel CH is required to rapidly transmit such a large amount of data. (BANDWIDTH) should be wide.

이동통신 시스템은, 다수 휴대단말기가 동시에 채널을 점유하여 통신하는 방식이고, 멀티미디어급 통신방식을 위하여서는 넓은 대역을 할당하므로, 무선통신에 이용하는 주파수 대역이 비교적 높아야 되며, 일 예로, 1.8 GHz 이상 대역의 무선주파수를 사용한다.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simultaneously occupy channels to communicate and allocate a wide band for a multimedia-class communication method. Therefore, a frequency band us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must be relatively high, for example, a band of 1.8 GHz or more. Use radio frequency of.

상기와 같이 휴대단말기에서 사용되는 무선주파수의 대역이 높아지므로, 다이버시티 안테나의 이격 거리인 파장(λ) 간격을 확보하기가 비교적 쉬워졌으나, 상대적으로 휴대단말기의 크기는 더욱 소형화되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band of the radio frequency used in the portable terminal is increased, it is relatively easy to secure a wavelength? Interval, which is a separation distance of the diversity antenna, but the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relatively smaller.

상기 휴대단말기는 휴대성을 더욱 높인 인테나(INTENA) 안테나의 선호도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데이터 전송량이 많고 무선주파수가 높은 멀티미디어급 통신방식을 사용하는 동시에 이동성을 보장하므로, 주어지는 무선환경에서의 수신감도는 더욱 열악한 영향을 받는다. The mobile terminal continues to increase the preference of the INTENA antenna, which has increased the portability, and uses a multimedia-class communication method with a large amount of data transmission and high radio frequency, thereby ensuring mobility, and thus receiving sensitivity in a given wireless environment. Is more adversely affected.

따라서, 상기 소형화되는 휴대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급 통신신호의 수신감도를 높이기 위하여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사용하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technique using a diversity antenna in order to increase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a multimedia communication signal in the miniaturized portable terminal.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다이버시티 안테나 방식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diversity antenna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다이버시티 안테나 기능 구성도 이고,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다이버시티 안테나 운용방법 순서도 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versity antenna func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2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operating a diversity antenna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상기 도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UE)의 다이버시티 안테나 장치를 설명하면, 안테나(ANTENNA)부(10)는 휴대단말기에 내장된 형태의 인테나(INTENA)이며, 듀플렉서(20)는 송신신호와 수신신호의 경로를 다르게 설정한다. Referring to FIG. 1, a diversity antenna apparatus of a mobile terminal (UE) according to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The antenna (ANTENNA) unit 10 is an intena (INTENA) built in a portable terminal, and the duplexer 20 Sets different paths between the transmission signal and the reception signal.

상기 듀플렉서(20)는 안테나부(10)가 수신한 신호로부터 이동통신용 무선주파수 신호만을 통과시키고, 상기 통과된 신호는 저잡음 증폭부(LNA: LOW NOISE AMPLIFIER)(30)에 출력된다. The duplexer 20 passes only a radio frequency signal for mobile communication from the signal received by the antenna unit 10, and the passed signal is output to a low noise amplifier (LNA) 30.

상기 저잡음 증폭부(30)는, 수신되어 입력된 신호를 저잡음으로 증폭하여 소우(SAW) 필터부(40)에 출력하고, 상기 소우필터부(40)는 입력된 신호의 잡음성분을 제거하여 고주파부(50)에 출력한다. The low noise amplifier 30 amplifies the received input signal with low noise and outputs it to the SAW filter unit 40, and the saw filter unit 40 removes a noise component of the input signal to generate a high frequency signal. Output to the unit 50.

상기 고주파부(50)는, 입력된 신호를 해당 복조 처리하여 제어부(60)에 출력 하며,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복조된 수신신호를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오디오부를 통하여 출력하며, 오디오(AUDIO)부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는 상기 고주파부(50)에 인가한다. The high frequency unit 50 outputs the input signal to the control unit 60 by demodulating the input signal, and the control unit 60 outputs the demodulated received signal through an audio unit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unit is applied to the high frequency unit 50.

상기 고주파부(50)는 제어부(60)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를 변조 처리하여 전력증폭부(PAM: POWER AMPLIFIER MODULE)(70)에 인가하고, 상기 전력증폭부(70)는 입력된 신호를 소정 레벨(LEVEL)로 증폭하며 아이솔레이터(ISOLATOR)부(80)에 인가하며, 상기 아이솔레이터부(80)는 입력된 신호를 일방향성으로 듀플렉서부(20)에 인가한다. The high frequency unit 50 modulates a signal input through the control unit 60 and applies it to a power amplifier unit (PAM) 70, and the power amplifier unit 70 inputs the input signal. Amplification to the level LEVEL is applied to the isolator unit 80, the isolator unit 80 applies the input signal to the duplexer unit 20 in one direction.

상기 듀플렉서부(20)는 아이솔레이터부(8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인테나로 구성되는 안테나부(10)에 출력하므로, 기지국에 무선송신한다. Since the duplexer unit 20 outputs the signal input from the isolator unit 80 to the antenna unit 10 composed of the antenna, it wirelessly transmits to the base station.

상기 휴대단말기는 소형으로 휴대성과 이동성을 만족하며, 일반적으로 수신신호가 미약하므로, 수신신호의 게인을 높이는 공간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며, 공간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의 저잡음 증폭을 위하여 제2 저잡음증폭부(35)와 제2 소우필터부(45)를 구비하여 고주파부(50)에 접속하고, 상기 제2 저잡음증폭부(35)에는 선택(OPTION)에 의하여 다이버시티용 외부 안테나(15)를 접속한다. Since the portable terminal is small in size and satisfies portability and mobility, and generally has a weak reception signal, it selectively uses a spatial diversity antenna that increases the gain of the received signal, and provides low noise amplification of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patial diversity antenna. The second low noise amplifier 35 and the second saw filter 45 are connected to the high frequency unit 50, and the second low noise amplifier 35 is external to diversity by selection. The antenna 15 is connected.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하여 구성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이용하여 미약하게 수신되는 무선신호의 수신 게인을 향상시키고 있으나, 상기 외부안테나(15)와 휴대단말기에 일체로 고정되는 인테나 안테나(10)와의 거리는 파장(λ)의 간격을 유지하여야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reception gain of the weakly received radio signal is improved by using the diversity antenna configured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but the distance between the external antenna 15 and the antenna antenna 10 fixed integrally with the portable terminal is The spacing of the wavelengths λ must be maintained.

그러나, 휴대단말기의 인테나 안테나(10)와 공간 다이버시티를 위한 외부안테나(15)와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However, since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antenna 10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external antenna 15 for spatial diversity, it is difficult to expect a large effect.

이하, 상기 첨부된 도2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다이버시티 안테나 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diversity antenna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휴대단말기가 음성급 신호와 문자메시지급 신호와 영상급 신호가 포함되는 멀티(멀티미디어) 통신을 하는지 판단하고(S10), 상기 판단(S10)에서 멀티미디어 통신을 하고자 하는 경우,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사용하는지 판단한다(S20). If the portabl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o perform a multi- (multimedia) communication including a voice signal, a text message signal and a video signal (S10), and if the multimedia communication is to be performed in the determination (S10), whether a diversity antenna is used. Determine (S20).

상기 판단(S20)에서 멀티미디어 통신을 하기 위하여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 해당 다이버시티 안테나 접속단자에 외부의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접속하고 구동한다(S30). In the case where the diversity antenna is used for multimedia communication in the determination (S20), an external diversity antenna is connected and driven to the diversity antenna connection terminal (S30).

상기 단계(S30)에서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구동한 휴대단말기는, 기지국과 무선접속하고 호접속 처리에 의하여 통신하며, 상기 통신에서 기지국(RAN)으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구동되는 다이버시티(DIVERSITY) 안테나 시스템을 이용한다(S40). The portable terminal driving the diversity antenna in step S30 may wirelessly connect with the base station and communicate by call connection processing. When receiving the radio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RAN in the communication, the driven diversity ( DIVERSITY) to use the antenna system (S40).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에 의한 다이버시티 안테나 운용방법은, 휴대단말기(UE)에 고정되는 안테나와 외부안테나와의 거리로써, 사용되는 무선주파수에 의한 파장(λ)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Diversity antenna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of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distance between the antenna fixed to the mobile terminal (UE) and the external antenna,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 constant wavelength (λ) distance by the radio frequency used. there is a problem.

또한, 휴대단말기에 고정 구비되는 안테나 성능을 고성능 외부안테나로 대체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replace the performance of the antenna fixed to the portable terminal with a high performance external antenna.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와 안테나 사이에 매트릭스 스위치를 일체로 구비하고, 크래들부에 구비되는 외부안테나부를 선택하여 내부의 인테나 안테나부와 교체연결 설정하거나 또는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연결 설정하는 동시에, 크래들의 슬라이딩 고정부 구조를 조절하여 멀티미디어 통신에 적합한 각도를 설정하는 휴대단말기의 크래들 다이버시티 안테나 장치 및 방법 및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atrix switch is integrally provided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antenna, and the external antenna unit provided in the cradle unit is selected to replace the internal antenna unit with the internal antenna unit or to establish a diversity antenna, and simultaneously slide the cradl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radle diversity antenna device, a method and a structure of a portable terminal for adjusting the structure of a fixed part to set an angle suitable for multimedia communica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내장되어 할당된 고주파 신호를 송신과 수신하는 인테나 안테나부와; 상기 인테나 안테나부에 접속되고 제어에 의하여 고주파 신호 전송 경로를 변경 설정하는 매트릭스 스위치부와; 상기 매트릭스 스위치부에 탈부착 상태로 접속되어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설정 운용되는 외부안테나부와; 상기 매트릭스 스위치부에 접속되어 고주파 신호의 송신경로와 수신경로를 구분하고 각각의 경로로 전송하는 듀플렉서부와; 상기 매트릭스 스위치부에 접속되고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운용되는 외부안테나부의 수신 고주파 신호를 입력하여 저잡음으로 증폭 출력하는 다이버시티 증폭부와; 상기 각 기능부의 운용을 제어하고 감시하는 제어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tenna antenna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high frequency signal embed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 matrix switch unit connected to the antenna antenna unit and configured to change and set a high frequency signal transmission path under control; An external antenna unit connected to the matrix switch unit in a detachable state and configured to operate as a diversity antenna; A duplexer unit connected to the matrix switch unit to distinguish a transmission path and a reception path of a high frequency signal and to transmit the received paths to respective paths; A diversity amplifier which is connected to the matrix switch unit and inputs a received high frequency signal of an external antenna unit operated as a diversity antenna to amplify and output low nois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the operation of each functional unit.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본체를 탈부착 상태로 고정 거치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하단부에 일체로 구성되고 휴대단말기의 리셉터클 단자와 접속하는 리셉터클부와; 상기 안착부의 일측부에 구성되고 휴대단말기의 매트릭스 스위치부 단자에 접속과 해지하는 커넥터부와; 상기 안착부의 일측 상단부에 고정 구성되어 이동통신 고주파 신호를 무선송수신하는 외부안테나부와; 상기 안착부의 뒷면부에 슬라이딩 상태로 고정 구성되어 외력이 인가되면 이동하는 슬라이딩고정부와, 상기 커넥터부와 외부안테나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안테나 케이블부가 포함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ounting portion for fixing the mobile terminal main body in a detachable state; A receptacle unit integrally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seating unit and connected to a receptacle terminal of a portable terminal; A connector portion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seating portion and connected to and disconnected from the matrix switch terminal of the portable terminal; An external antenna unit configured to be fixed to an upper end portion of the seating unit to wirelessly transmit and receive a mobile communication high frequency signal; It is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seating por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sliding fixing part that moves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an antenna cable part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nector part and the external antenna part.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로 멀티미디어 통신하는 경우,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사용할 것인지 판단하는 준비과정과; 상기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 크래들부에 상기 휴대단말기를 기구적으로 고정하고 전기적으로 접속하며, 상기 크래들부에 접속된 외부안테나부를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설정 구동하는 크래들 과정과; 상기 접속한 크래들부의 각도를 설정하고 호처리 요청에 의하여 통신하는 접속과정과; 상기 준비과정에서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외부안테나를 사용할 것인지 판단하여 외부안테나를 사용하지 않으면 상기 접속과정으로 진행하여 호처리 및 통신하는 외부과정과; 상기 외부과정에서 외부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에 크래들부에 접속하고 외부안테나부를 스위칭으로 절체 설정하며 상기 접속과정으로 진행하는 절체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ultimedia communication to the mobile terminal, the preparation process for determining whether to use a diversity antenna; A cradle process of mechanically fixing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cradle unit when using the diversity antenna, and setting and driving an external antenna unit connected to the cradle unit as a diversity antenna; A connection process of setting an angle of the connected cradle and communicating by call processing request; Determining whether to use an external antenna when the diversity antenna is not used in the preparation process, and when the external antenna is not used, proceeding to the connection process to perform call processing and communication; In the case of using the external antenna in the external proces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transfer process of connecting to the cradle portion, switching the external antenna portion to switch, and proceeding to the connection process.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크래들 다이버시티 안테나 장치 및 방법 및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cradle diversity antenna device, a method and a structur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크래들 다이버시티 안테나 장치 기능 구성도 이고,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매트릭스 스위치 다이버시티 경로 설정상태도 이며, 도5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매트릭스 스위치 절체 경로 설정상태도 이고, 도6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크래들 다이버시티 안테나 구조도 이며, 도7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크래들 다이버시티 안테나 방법 순서도 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cradle diversity antenna devic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tate diagram of a matrix switch diversity path setting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atrix switch switching path setting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cradle diversity antenna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radle diversity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antenna method flowchart.

상기 첨부된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크래들 다이버시티 안테나 장치를 설명하면,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에 내장되어 할당된 고주파 신 호를 송신과 수신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 외부에 돌출되지 않도록 내부에 일체로 내장 구비되고 이동통신에 할당된 고주파 신호를 무선송신과 무선수신하는 인테나 안테나부(100)와, Referring to FIG. 3, the cradle diversity antenna device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ransmit and receive an allocated high frequency signal embedded in the mobile terminal for mobile communication, and does not protrude outside the mobile terminal. An antenna antenna unit 100 which is integrally provided inside the antenna and wirelessly transmits and receives radio frequency signals allocated to mobile communication,

상기 인테나 안테나부(100)에 접속되고 제어에 의하여 외부안테나부와의 고주파 신호 전송 경로를 설정하여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운용하거나 대체 접속하여 운용하는 매트릭스 스위치부(120)와, A matrix switch unit 120 connected to the antenna antenna unit 100 and operating as a diversity antenna or alternately connecting a high frequency signal transmission path with an external antenna unit under control;

상기 매트릭스 스위치부(120)에 탈부착 상태로 접속되어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설정 운용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를 탈부착 상태로 고정하는 크래들에 일체로 구성되어 매트릭스 스위치부(120)에 커넥터로 접속과 해지하며, 휴대단말기를 탈부착 상태로 고정하는 크래들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휴대단말기가 크래들에 부착 고정된 상태에서 휴대단말기의 매트릭스 스위치부(120)에 접속되며, 상기 매트릭스 스위치부(120)의 경로 설정에 의하여 인테나 안테나부(100)와 공간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구성하거나 또는 듀플렉서부(130)와 접속 경로가 대체 설정되는 외부안테나부(110)와, It is connected to the matrix switch unit 120 in a detachable state and is set and operated as a diversity antenna, and is integrally formed in a cradle that fixes the portable terminal in a detachable state, and is connected to and disconnected from the matrix switch unit 120 by a connector. It is integrally fixed to the cradle that fixes the portable terminal in a detachable state, and is connected to the matrix switch unit 120 of the portable terminal in a state where the portable terminal is attached to and fixed to the cradle, and is configured to set the path of the matrix switch unit 120. An external antenna unit 110 constituting a spatial diversity antenna with the antenna antenna unit 100 or having a connection path established with the duplexer unit 130;

상기 매트릭스 스위치부(120)에 접속되어 고주파 신호의 송신경로와 수신경로를 구분하고 각각의 해당 경로로 전송하는 듀플렉서부(130)와, A duplexer unit 130 connected to the matrix switch unit 120 for distinguishing a transmission path and a reception path of a high frequency signal and transmitting them to respective corresponding paths;

상기 듀플렉서부(130)에 접속하고 수신되는 고주파(RF) 신호를 저잡음(LOW NOISE)으로 증폭 출력하는 저잡음증폭(LNA: LOW NOISE AMPLIFIER)부(140)와, A low noise amplifier (LNA) unit 140 connected to the duplexer unit 130 and amplifying and outputting a received high frequency (RF) signal with a low noise;

상기 저잡음증폭부(140)에 접속하고 인가되는 고주파 신호로부터 잡음성 고주파 신호 대역을 차단하여 출력하는 제1 소우(SAW) 필터부(150)와, A first saw (SAW) filter unit 150 connected to the low noise amplifier 140 and outputting the high frequency signal by cutting off a noise high frequency signal band;

상기 제1 소우필터부(150)로부터 인가되는 고주파 신호를 입력하고 해당 복조 처리하여 출력하는 고주파부(200)와, A high frequency unit 200 for inputting a high frequency signal applied from the first saw filter unit 150 and demodulating and outputting the high frequency signal;

상기 고주파부(200)에 접속하고 멀티미디어 통신신호를 입출력처리하며 휴대단말기 전체의 운용을 제어하고 감시하는 것으로, 상기 매트릭스 스위치부(120)를 감시하고 제어하여, 외부안테나부(110)가 접속되면, 선택에 의하여 매트릭스 스위치부(120)를 제어하고, 인테나 안테나부(100)와 외부안테나부(110)의 다이버시티 안테나 경로를 설정하거나 외부안테나부(110)를 인테나 안테나부(100)와 경로 대체 설정하여 듀플렉서부(130)에 접속하는 제어부(210)와, When the external antenna unit 110 is connected to the high frequency unit 200, input / output processing of a multimedia communication signal, and controlling and monitoring the operation of the entire portable terminal are monitored and controlled by the matrix switch unit 120. Control the matrix switch unit 120 by selection, and set the diversity antenna path of the antenna antenna unit 100 and the external antenna unit 110 or route the external antenna unit 110 to the antenna antenna unit 100. A control unit 210 which is alternately set and connected to the duplexer unit 130,

상기 고주파부(200)로부터 변조되어 인가되는 고주파 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전력증폭(PAM: POWER AMPLIFIER MODULE)부(170)와, A power amplifier (PAM: POWER AMPLIFIER MODULE) unit 170 for amplifying and outputting a high frequency signal modulated from the high frequency unit 200 to a predetermined level;

상기 전력증폭부(170)로부터 인가되는 고주파(RF) 신호를 역방향으로 흐르지 않도록 하고, 듀플렉서부(130)에 일방향(ISOLATOR)으로 출력하는 방향성결합부(160)와, Directional coupling unit 160 to prevent the high frequency (RF) signal applied from the power amplifier 170 to flow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outputs to the duplexer 130 in one direction (ISOLATOR),

상기 매트릭스 스위치부(120)에 접속되고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운용되는 외부안테나부의 수신 고주파 신호를 입력하여 저잡음으로 증폭 출력하는 다이버시티 증폭부(180)와, A diversity amplification unit 180 connected to the matrix switch unit 120 and inputting a received high frequency signal of an external antenna unit operated as a diversity antenna to amplify and output low noise;

상기 다이버시티 증폭부(180)로부터 인가되는 고주파 신호의 잡음성 신호를 차단하고 상기 고주파부(200)에 출력하는 제2 소우필터부(19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The second saw filter unit 190 is configured to block the noise signal of the high frequency signal applied from the diversity amplifier 180 and to output the high frequency unit 200.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크래들 다 이버시티 안테나 장치를 첨부된 도3, 도4, 도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4, and 5 attached to the cradle diversity antenna apparatus of the portable terminal.

멀티미디어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휴대단말기(UE)는 소형화와 휴대성 및 이동성을 위하여, 돌출형태로 구비되는 안테나를 돌출되지 않는 형태의 내장된 인테나(INTENA) 형태의 안테나(ANTENNA)부(100)로 구성한다. The portable terminal (UE) that communicates using a multimedia signal has a built-in antenna (ANTENNA) unit 100 that does not protrude an antenna provided in a protruding form for miniaturization, portability, and mobility. It consists of.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장 요구를 분석하면, 점차적으로 내장형 형태의 인테나 안테나부(100) 구비를 요구하며, 일 실험 예에 의한 시장조사 결과는, 2006년 경에 약 86%의 신제품 휴대단말기가 인테나 안테나부(100)를 채용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Analyzing the market demand of the portable terminal, it is gradually required to have an internal antenna unit 100 of the built-in type, and the results of the market research according to an experiment example, about 86% of the new portable terminal by 2006 It has been investigated that the part 100 will be employed.

상기와 같이 인테나 안테나부(100)를 채용하는 이유로는, 휴대단말기(UE)의 소형화 설계가 가능하고, 외관 설계의 유연성도 높이며, 돌출부위가 없어지므로, 휴대와 보관이 편리하고, 안테나의 파손율이 저하되어 고장 발생률이 줄어들며, 소비자에게는, 수리 또는 교체 비용의 부담이 줄어든다는 것이다. The reason for employing the antenna antenna unit 100 as described above is that the miniaturized design of the mobile terminal (UE) is possible, the flexibility of the external design is increased, and the protrusions are eliminated, so that the portable and storage are convenient, and the antenna is damaged. The rate is lowered, resulting in fewer failures, and reducing the burden on repair or replacement costs for consumers.

그러나, 안테나의 기능인 송신(TX)기능과 수신(RX)기능은 안테나의 길이에 비례하고, 내장형 인테나 안테나부(100)의 무선신호 방사(RADIATION) 효율과 수신성능은 기존 돌출형 대비하여 저하되지 않아야 되지만, 주변에 방해물이 없어야 정상적인 기능을 발휘하는 이론과 실험적인 결과에 의하여, 돌출된 외장형 안테나에 대비하면, 내장형의 인테나 안테나(100)의 성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However, the transmission (TX) and reception (RX) functions, which are the functions of the antenna, are proportional to the length of the antenna, and the radio signal radiation (RADIATION) efficiency and reception performance of the built-in antenna antenna unit 100 are not deteriorated compared to the existing protrusion type. It should not be, but due to the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results of the normal function only when there is no obstacle around, compared to the protruding external antenna, the performance of the internal antenna antenna 100 is bound to fall.

즉, 현재의 기술로는 내장형 인테나 안테나부(100)는 외장형 돌출 안테나보다 송수신 감도가 낮은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본 발명의 기술이다. That is, in the current technology, since the internal antenna antenna unit 100 has a problem of lower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sensitivity than the external antenna, it is a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

본 발명은, 인테나 안테나부(100)와 듀플렉서부(130) 사이에 2 입력 2 출력 의 매트릭스 스위치부(120)를 구비하고, 상기 매트릭스 스위치부(120)는 제어부(210)의 해당 제어에 의하여 고주파 신호의 전송경로를 스위칭 설정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trix switch unit 120 having two inputs and two outputs between the antenna antenna unit 100 and the duplexer unit 130, and the matrix switch unit 12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210. Switch the transmission path of high frequency signal.

상기 매트릭스 스위치부(120)의 다른 입력단에는 외부안테나부(110)를 접속하며, 상기 외부안테나부(110)는 크래들부(300)에 돌출형태로 구성되는 고성능 안테나(ANTENNA) 이다. An external antenna unit 110 is connected to the other input terminal of the matrix switch unit 120, and the external antenna unit 110 is a high performance antenna that is configured to protrude from the cradle unit 300.

상기 외부안테나부(110)는 크래들부(300)에 휴대단말기(UE)가 고정 부착되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에 구비되는 인테나 안테나부(100)와 파장(λ) 간격의 거리를 유지한다. When the portable terminal UE is fixedly attached to the cradle 300, the external antenna unit 110 maintains a distance between the antenna antenna unit 100 provided at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wavelength λ.

상기 휴대단말기(UE)가 크래들부(300)에 고정 부착되는 경우, 인테나 안테나부(100)와 외부안테나부(110)는 공간(SPACE) 다이버시티(DIVERSITY) 안테나로 이용하므로, 수신신호의 품질을 제고하는 구성이다. When the mobile terminal UE is fixedly attached to the cradle 300, the antenna antenna 100 and the external antenna 110 is used as a space diversity antenna, so the quality of the received signal It is a configuration to improve.

상기 제어부(210)는, 휴대단말기(UE)가 크래들부(300)에 접속하지 않으므로, 외부안테나부(110)가 매트릭스 스위치부(120)와 접속되지 않는 경우, 상기 매트릭스 스위치부(120)를, 상기 첨부된 도4와 같이 제어하여, 상기 인테나 안테나부(100)와 듀플렉서부(130)가 접속되도록 제어한다. The controller 210 does not connect the mobile terminal UE to the cradle 300, and thus, when the external antenna 110 is not connected to the matrix switch 120, the controller 210 connects the matrix switch 120. As shown in FIG. 4, the antenna antenna 100 and the duplexer 1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인테나 안테나부(100)가 수신한 무선신호는, 매트릭스 스위치부(120)를 통하여 듀플렉서부(130)에 인가되고, 상기 듀플렉서부(130)는 수신신호의 경로에 의하여 저잡음증폭부(LNA)(140)로 인가하므로 저잡음으로 증폭 출력하고, 상기 증폭되어 출력된 신호는 제1 소우필터부(150)에 인가되어 잡음성분이 제거되어 고주파부(200)에 인가된다. The radio signal received by the antenna antenna unit 100 is applied to the duplexer unit 130 through the matrix switch unit 120, the duplexer unit 130 is a low noise amplifier (LNA) by the path of the received signal Since it is applied to 140, the amplified output with low noise, and the amplified output signal is applied to the first saw filter unit 150 to remove the noise component is applied to the high frequency unit 200.

상기 고주파부(200)는 입력되는 신호를 복조(DEMODULATION) 처리하고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210)에 인가하며, 상기 제어부(210)는 도시되지 않은 오디오부에 인가하여 출력하는 동시에 오디오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오디오(AUDIO) 신호를 고주파부(200)에 출력한다. The high frequency unit 200 demodulates the input signal, converts the signal into a baseband signal, and applies it to the control unit 210. The control unit 210 applies and outputs the audio unit to the audio unit, not shown. The AUDIO signal input through the high frequency unit 200 is output.

상기 고주파부(200)는 제어부(210)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AUDIO) 신호를 고주파(RF) 신호로 변환하고, 해당 변조(MODULATION) 처리하여 전력증폭부(PMA)(170)에 출력하며, 상기 전력증폭부(170)는 소정의 레벨(LEVEL)로 전력(POWER)을 증폭하여 방향성 결합부(ISOLATOR)(160)에 출력하며, 상기 방향성 결합부(160)에 의하여 듀플렉서부(130)에 일방향으로 전달된다. The high frequency unit 200 converts an audio signal input from the control unit 210 into a high frequency RF signal, modulates a corresponding MODULATION, and outputs the same to a power amplifier PMA 170. The power amplifier 170 amplifies the power at a predetermined level LEVEL and outputs the power to the directional coupler 160, and the directional coupler 160 in one direction to the duplexer 130. Is passed to.

상기 듀플렉서부(130)는 방향성결합부(160)로부터 인가되는 고주파(RF) 신호를 매트릭스 스위치부(120)가 형성하는 경로를 통하여 상기 인테나 안테나부(100)에 출력하므로, 무선신호로 방사(RADIATION) 된다. Since the duplexer unit 130 outputs a radio frequency (RF) signal applied from the directional coupler 160 to the antenna antenna unit 100 through a path formed by the matrix switch unit 120, the duplexer unit 130 emits a radio signal. RADIATION).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UE)는. 일 예로, 폴더형(FOLDER TYPE) 또는, 슬라이드형(SLIDE TYPE) 또는 막대형(BAR TYPE) 등이며, 소형으로 제작되므로, 영상신호가 포함되는 3G의 멀티미디어 VT(VIDEO TELEPHONY)의 동영상 통신을 장시간 하는 경우에, 손으로 잡고 계속 통신하기 어려우므로, 상기 첨부된 도6에, 일 예로, 도시된 것과 같은, 크래들(CRADLE)부(300)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The mobile terminal UE is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since it is a folding type, slide type, bar type, etc., and is made small, it is possible to carry out video communication of 3G multimedia VT (VIDEO TELEPHONY) including a video signal for a long time. In this case, since it is difficult to continue communication with the hand, it is common to fix it using the cradle (CRADLE) unit 300 as shown in FIG.

상기 크래들부(300)는 물리적인 크기에 제약을 받지 않으므로, 송수신 감도가 좋은 안테나를 구비하고, 탁상형(DESK TOP)에서 멀티미디어 신호의 시야각 조정 편리를 위하여 각도(ANGLE)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Since the cradle unit 300 is not limited by physical size, the cradle unit 300 includes an antenna having good transmission and reception sensitivity, and a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an angle for convenient viewing angle adjustment of a multimedia signal in a desk top. Have

특히, 도심지역의 열악한 주변 무선환경 속에서, 패킷데이터 서비스의 높은 품질(QoS: QUALITY OF SERVICE)에 의한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크래들부(300)에 무선신호의 높은 수신감도를 제공하는 공간 다이버시티(SPACE DIVERSITY) 안테나 방식을 적용한다. Particularly, in order to provide a communication service based on high quality of service (QoS: QUALS OF SERVICE) in a poor surrounding wireless environment in an urban area, the cradle unit 300 provides a high reception sensitivity of a radio signal. SPACE DIVERSITY antenna scheme is applied.

상기 크래들부(300)에 구비되는 외부안테나부(110)는, 상기 인테나 안테나부(100)와 파장(λ)에 해당하는 거리 간격을 유지하므로, 공간 다이버시티 안테나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Since the external antenna unit 110 provided in the cradle unit 300 maintains a distance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antenna antenna unit 100 and the wavelength λ, it is possible to apply a spatial diversity antenna method.

즉, 상기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매트릭스 스위치부(120)는, 상기 첨부된 도4와 같은 경로를 설정하므로, 상기 크래들부(300)에 구비되는 외부안테나부(110)와 다이버시티 증폭부(180)와의 경로를 설정한다. That is, since the matrix switch unit 120 sets the path as shown in FIG. 4, the control unit 210 controls the diversity of the external antenna unit 110 and the diversity provided in the cradle unit 300. A path with the amplifier 180 is set.

상기와 같이 공간 다이버시티 안테나 시스템을 구성하면, 상기 외부안테나부(11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신호는 다이버시티 증폭부(180)에 인가되어 저잡음(LOW NOISE) 특성으로 증폭되고, 상기와 같이 증폭된 고주파(RF) 신호는, 제2 소우필터부(190)에 인가되어 잡음성(NOISE) 고주파 신호 성분이 차단 제거되어 상기 고주파부(200)에 인가된다. When the spatial diversity antenna system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wireless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antenna unit 110 is applied to the diversity amplifier 180 to be amplified with a low noise characteristic and amplified as described above. The high frequency (RF) signal is applied to the second saw filter unit 190 and the noise high frequency signal component is removed and applied to the high frequency unit 200.

상기 고주파부(200)는, 상기 제어부(210)의 해당 제어에 의하여 상기와 같이 제2 소우필터부(190)가 인가한 신호를 해당 복조(DEMODULATION) 처리하고 기저대역(BASE BAND)의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210)에 출력하며, 상기 제어부(210)는 해당 처리에 의하여 인테나 안테나부(100)로부터 인가된 신호와 대비하여, 최적의 신호를 선택하거나 또는 더하여 안테나 수신 게인(GAIN)을 높인다. The high frequency unit 200 performs a demodulation process on a signal applied by the second saw filter unit 190 as described abov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10 and converts the signal into a baseband signal. The controller 210 converts the signal to the controller 210 and outputs the received signal to the controller 210. The controller 210 selects or adds an optimal signal to the signal applied from the antenna antenna unit 100 by the corresponding process to increase the antenna reception gain GAIN. .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와 같이 크래들부(300)에 일체로 구비되고 매트릭스 스위치부(120)에 접속된 외부안테나부(110)를, 상기와 같이 공간 다이버시티 안테나 시스템으로 선택 운용하지만, 필요에 의하여 상기 인테나 안테나부(100)와 교체 또는 절체 설정하여 운용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210 selects and operates the external antenna unit 110 that is integrally provided in the cradle unit 300 and connected to the matrix switch unit 120 as the spatial diversity antenna system as described above. If necessary, the antenna antenna unit 100 may be replaced or switched to operate.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매트릭스 스위치부(120)를 제어하여, 상기 첨부된 도5의 경로를 설정하므로, 고성능의 송수신 기능을 갖는 상기 외부안테나부(110)가 듀플렉서부(130)에 접속하여, 상기 인테나 안테나부(100)의 기능을 대체한다. Since the controller 210 controls the matrix switch unit 120 to set the path of FIG. 5, the external antenna unit 110 having a high performance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is connected to the duplexer unit 130. To replace the function of the antenna antenna unit 100.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휴대단말기의 소형화 및 다양화에 의하여 폴더형(FOLDER TYPE), 바형(BAR TYPE), 슬라이드형(SLIDE TYPE) 등에서 장시간 VT의 영상통신을 위하여 사용되는 크래들부(300)를 이용하므로, 수신신호의 게인(GAIN)을 높이기 위한 공간 다이버시티 안테나 방식을 선택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used for the video communication of the VT for a long time in a folding type, bar type, slide type, etc. by miniaturization and diversification of a multimedia portable terminal. Since the cradle unit 300 is used, a spatial diversity antenna method for increasing the gain GAIN of the received signal is selected.

또한, 휴대단말기에 공간 다이버시티(SPACE DIVERSITY) 안테나를 채용하여, 영상신호의 프레임 단위가 176 화소 * 144 화소(PIXEL) 크기를 갖는 QCIF급으로 15 FPS(FRAME PER SECOND)를 전송하는, 3G 무선신호 수신감도를 높이게 되는 동시에 수신 전파품질을 제고하고, 결과적으로, 기지국(RAN)의 서비스 영역 또는 CELL COVERAGE를 확장하는 결과가 된다. In addition, a 3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 employs a SPACE DIVERSITY antenna to transmit 15 FPS (FRAME PER SECOND) at a QCIF level in which the frame unit of the video signal has a size of 176 pixels by 144 pixels (PIXEL). The signal reception sensitivity is increased, and the reception radio wave quality is improved. As a result, the service area or the cell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RAN is expanded.

또한, 크래들부(300)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의 물리적인 소형화 추세에 부응하면서도, 일정한 거리가 필요한 공간 다이버시티 안테나 시스템을 구현하는 동시에, 배터리의 충전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하는 USB 접속방식 등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by using the cradle unit 300 to implement a spatial diversity antenna system that requires a certain distance while meeting the physical miniaturization trend of the portable terminal, while also using a USB connection method for processing the battery charging and multimedia data, etc. There is an advantage to providing.

또한, 휴대단말기를 통신에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매트릭스 스위치부(120)를 제어하여 인테나 안테나부(100)와 듀플렉서부와의 경로를 오프(OFF) 설정하므로, 휴대단말기에서 전체 전력 소모를 줄이는 장점이 있고, 인테나 안테나부(100) 대신에 외부안테나부(110)로 절체 운용하므로, 무선 송수신되는 신호의 품질을 제고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mobile terminal is not used for communication, the matrix switch unit 120 is controlled to turn off the path between the antenna antenna unit 100 and the duplexer unit, thereby reducing overall power consumption in the mobile terminal. There is an advantage, and instead of the antenna antenna unit 100, because the transfer operation to the external antenna unit 110, there is an advantage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radio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이하, 상기 첨부된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크래들 다이버시티 안테나 구조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 cradle diversity antenna structur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를 탈부착 상태의 기구적으로 고정하고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크래들부(300)에 있어서, 휴대단말기(UE) 본체를 탈부착 상태로 고정 거치하는 안착부와, A cradle portion 300 for mechanically fixing and electrically connecting a mobile terminal for a mobile communication in a detachable state, comprising: a seating portion for fixing and fixing a mobile terminal (UE) main body in a detachable state;

상기 안착부의 하단부에 일체로 구성되고 휴대단말기의 리셉터클 단자와 접속하는 것으로, 상기 휴대단말기를 탈부착 상태로 고정하는 울타리 형상의 일측부에 일체로 구비되며, 휴대단말기의 리셉터클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해당 신호를 전달하는 리셉터클부(310)와, It is integral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eating portion and is connected to the receptacle terminal of the portable terminal. Receptacle unit 310 for transmitting a signal,

상기 안착부의 일측부에 구성되고 휴대단말기의 매트릭스 스위치부 단자에 접속과 해지하는 커넥터부(320)와, A connector part 320 formed at one side of the seating part and connected to and disconnected from the matrix switch terminal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안착부의 일측 상단부에 고정 구성되어 이동통신 고주파 신호를 무선송수신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가 고정 거치되면, 휴대단말기에 내장된 인테나 안테나(100)와 소정 거리를 형성하여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선택 운용되는 외부안테나부(110)와, It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seating portion to wirelessly transmit and receive a mobile communication high-frequency signal, when the mobile terminal is fixedly fixed, the external to form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 the antenna antenna 100 built in the mobile terminal is selected and operated as a diversity antenna Antenna unit 110,

상기 안착부의 뒷면부에 슬라이딩 상태로 고정 구성되어 외력이 인가되면 이동하는 것으로, 외력이 인가되면 슬라이딩되어 상하로 이동하며, 외력이 제거되면 상하로 슬라이딩되어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슬라이딩 상태에 의하여 상기 안착부가 설정하는 각도를 변경하는 슬라이딩고정부(340)와, It is fix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seating part is configured to move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sliding is moved up and down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it is moved up and down to maintain the state, the sliding state A sliding fixing part 340 for changing an angle set by the seating part;

상기 커넥터부(320)와 외부안테나부(110)에 접속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안테나 케이블부(330)가 포함되는 구조이다. An antenna cable part 330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part 320 and the external antenna part 11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hereto.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크래들 다이버시티 안테나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a cradle diversity antenna structure of a mobile termina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상기 크래들부(300)는, 외부안테나부(110)를 일측부에 일체로 구성하고, 밑면이 있는 뒷면부에는, 외력이 인가되면 슬라이딩(SLIDING) 이동하고, 외력이 제거되면 슬라이딩 이동상태를 고정 유지하는 슬라이딩 고정부(340)를 일체로 형성한다. The cradle unit 300 is configured to integrally configure the external antenna unit 110 on one side, and to the rear surface having a bottom surfac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sliding unit (SLIDING) moves, 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sliding state is fixed. The sliding fixing part 340 to maintain is integrally formed.

또한, 상기 크래들부(300)에 휴대단말기를 부착하는 안착부의 외곽부에는, 상기 부착된 휴대단말기를 기구적으로 고정 유지하는 울타리 형상이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울타리 형상의 하단부에는 휴대단말기의 리셉터클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리셉터클부(310)가 일체로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out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for attaching the mobile terminal to the cradle 300, the fence shape for mechanically holding the attached mobile terminal is integrally provided, the lower end of the fence shape receptacle of the mobile terminal The receptacle portion 31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is provided integrally.

상기 크래들부(300)는, 상기 안착부의 외곽부에 울타리 형상을 하는 부분에 의하여, 휴대단말기(UE)를 고정상태로 부착되도록 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매트릭스 스위치부(120)에 구비되는 접속단자에, 상기 커넥터부(320)를 해당 커넥터를 연결하므로,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The cradle part 300 is a connection part provided in the matrix switch part 120 of the mobile terminal to attach the mobile terminal UE in a fixed state by a fence-shaped portion of the outer portion of the seating portion. In order to connect the connector 320 to the connector,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상기와 같이 커넥터부(320)를 매트릭스 스위치부(120)에 접속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부(320)는 안테나 케이블부(330)에 의하여 외부안테나부(110)와 접속하고, 상기 외부안테나부(110)는 상기 매트릭스 스위치부(120)에 접속된다. In the state in which the connector unit 320 is connected to the matrix switch unit 120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or unit 320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antenna unit 110 by the antenna cable unit 330, and the external antenna unit 110 is connected to the matrix switch unit 120.

상기 매트릭스 스위치부(12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첨부된 도4와 같은 경로를 설정하므로, 휴대단말기의 인테나 안테나부(100)와 외부안테나부(110)는 공간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형성하고, 다이버시티 안테나 시스템으로 설정 운용한다. Since the matrix switch unit 120 sets a path as shown in FIG. 4 attached by the control unit 210, the antenna antenna unit 100 and the external antenna unit 110 of the portable terminal are spatial diversity antennas. Form and operate as a diversity antenna system.

상기 제어부(210)가 매트릭스 스위치부(120)를 제어하여, 상기 첨부된 도5와 같은 경로를 설정하면, 인테나 안테나부(100)와 외부안테나부(110)를 교체 또는 대체 설정하여 운용하게 된다. When the control unit 210 controls the matrix switch unit 120 to set the path as shown in FIG. 5, the antenna antenna unit 100 and the external antenna unit 110 are replaced or replaced. .

상기 안착부에 탈부착이 용이한 상태로 고정 부착되는 휴대단말기는, 소형이고, 멀티미디어 통신이 가능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통신은 3G 방식에 의하여 영상신호를 송수신한다. The portable terminal fixedly attached to the seating unit in a detachable state is compact and capable of multimedia communication, and the multimedia communication transmits and receives video signals by 3G method.

상기 크래들부(300)는, 상기 휴대단말기(UE)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통신을 장시간 계속하는 경우, 휴대단말기(UE)를 손으로 오래 동안 붙들고 있기 어려우며, 또한, 손의 진동에 의하여 흔들리거나, 촬영 목적물의 위치가 변경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The cradle unit 300 is difficult to hold the mobile terminal UE for a long time by hand when the multimedia communication is continued for a long time by using the mobile terminal UE, and also shakes or photographs due to vibration of the hand. This is to solve a problem such as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object.

상기와 같이 휴대단말기(UE)를 탈부착 상태로 고정하는 크래들부(300)는, 촬영 목적물을 정확하게 지적하거나 표시되는 영상신호를 사용자가 관찰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각도(ANGLE)를 변경 조절할 수 있어야 하며, 상기 슬라이딩고정부 (340)에 의하여 각도를 변경 조절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cradle unit 300 which fixes the mobile terminal UE in a detachable state should be able to change and adjust the angle ANGLE in order to accurately point out a photographing target or to facilitate the user to observe the displayed image signal. And, by changing the angle by the sliding fixing portion (340).

상기 슬라이딩고정부(340)는 외력에 의하여 슬라이딩 상태로 상하 이동하며, 외력이 제거되면 슬라이딩되어 상하로 이동한 상태를 유지 고정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편리한 각도를 용이하게 설정하여 고정할 수 있다. The sliding fixing part 340 is moved up and down in a sliding state by an external force, 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sliding fixing unit 340 is fixed to maintain a state in which it is slid and moved up and down.

상기 리셉터클부(310)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의 충방전배터리를 충전하고, 멀티미디어 신호를 외부 처리하는 USB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The receptacle unit 310 provides a USB interface for charging a charge / discharge battery of a mobile terminal and externally processing a multimedia signal.

이하, 상기 첨부된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크래들 다이버시티 안테나 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cradle diversity antenna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로 멀티미디어 통신하는 경우,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사용할 것인지 판단하는 것으로, 상기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급 신호와 메시지급 신호와 영상급 신호가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이용하여 지정된 상대방과 무선접속하고 통신하고자 하는지 판단하는 과정(S100); 상기 과정(S100)에서 상대방과 멀티미디어 통신하고자 하는 경우, 수신되는 멀티미디어 신호의 게인(GAIN) 확보를 위하여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사용할 것인지 판단하는 과정(S110)으로 이루어지는 준비과정과, In the case of multimedia communication with a mobile terminal for mobile communica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o use a diversity antenna, and wireless connection with a designated party using a multimedia signal including a voice signal, a message signal, and a video signal using the portable terminal.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communicate (S100); When the multimedia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party in the process (S100), the preparation process consisting of the step (S110) of determining whether to use a diversity antenna to secure the gain (GAIN) of the received multimedia signal;

상기 준비과정에서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에 크래들부(300)에 접속하고 외부안테나부(110)를 접속하여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구동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를 크래들부(300)에 기구적으로 고정 부착하고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과정(S120); 상기 과정(S120)에서 접속된 크래들부(300)의 안테나를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설정하고 구동하는 과정(S130)으로 이루어지는 크래들 과정과, When the diversity antenna is used in the preparation process, the diversity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cradle unit 300 and the external antenna unit 110 is connected to drive the diversity antenna. The portable terminal is mechanically fixed to the cradle unit 300. Attaching and electrically connecting (S120); A cradle process comprising a process of setting and driving an antenna of the cradle unit 300 connected in the process S120 as a diversity antenna (S130);

상기 크래들 과정에서 접속한 크래들부(300)의 각도를 설정하고 호처리 요청에 의하여 통신하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딩 고정부(340)의 위치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므로, 상기 크래들부(300)의 각도를 임의 각도로 변경 설정하는 과정(S170); 상기 과정의 크래들부(300)에 부착 접속된 휴대단말기(UE)를 제어하여 호처리된 상대방과 통신하는 과정(S80)으로 이루어지는 접속과정과, By setting the angle of the cradle unit 300 connected in the cradle process and communicating by a call processing request, by sliding the position of the sliding fixing unit 340, the angle of the cradle unit 300 at any angle Setting to change to step S170; A connection process consisting of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UE attached to the cradle unit 300 of the above process and communicating with the called party (S80);

상기 준비과정에서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외부안테나를 사용할 것인지 판단하여 외부안테나를 사용하지 않으면 상기 접속과정(S180)으로 진행하여 호처리 및 통신하는 외부과정(S140)과, Determining whether to use an external antenna when the diversity antenna is not used in the preparation process, if the external antenna is not used, the process proceeds to the access process (S180) and the call process and communication (S140),

상기 외부과정(S140)에서 외부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에 크래들부(300)에 접속하고 외부안테나부를 스위칭으로 절체 설정하며 상기 접속과정(S170)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상기 휴대단말기가 내장된 인테나 안테나부(100) 대신에 외부안테나부(110)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를 크래들부(300)에 기구적으로 고정 부착하고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과정(S150); 상기 과정(S150)에서 크래들부(300)에 일체로 구성되는 외부안테나부(110)를 스위칭하여 인테나 안테나부(100)와 절체 설정하는 과정(S160)으로 이루어지는 절체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When the external antenna is used in the external process (S140), it is connected to the cradle unit 300, the external antenna unit is switched to the switching setting, and the process proceeds to the connection process (S170). When using the external antenna unit 110 instead of (100), the step of mechanically fix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to the cradle unit 300 (S150); In the process (S150) it is a configuration consisting of a switching process consisting of the step (S160) of switching the external antenna unit 110, which is integrally formed in the cradle unit 300 and the transfer setting with the antenna antenna unit 100.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크래들 다이버시티 안테나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radle diversity antenna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상기 멀티미디어(MULTIMEDIA)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급 신호와 문자메시지급 신호와 영상급 신호가 포함되는 멀미(멀티미디어) 통신을 할 것인지 판단하며(S100), 상기 판단(S10)에서 멀티미디어 통신을 하는 경우,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사용할 것인지 판단한다(S110). When the multimedia (MULTIMEDIA) portable terminal using the voice signal, the text message payment signal and the video signal including the motion sickness (multimedia) communication is determined (S100), if the multimedia communication in the determination (S10) In operation S110, it is determined whether to use a diversity antenna.

상기 판단(S100)에서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 크래들부(300)에 접속하므로, 휴대단말기의 매트릭스 스위치부(120)와 커넥터부(320)를 해당 커넥터(CONNECTOR)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상기 커넥터부(320)는 안테나 케이블부(330)에 의하여 외부안테나부(110)와 연결되어, 상기 휴대단말기가 외부안테나부(110)와 연결 접속된다(S120). In the case of using the diversity antenna in the determination (S100), since it is connected to the cradle unit 300, the matrix switch unit 120 and the connector unit 320 of the portable terminal are electrically connected using the corresponding connector. In addition, the connector unit 320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antenna unit 110 by the antenna cable unit 330, and the portab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antenna unit 110 (S120).

상기와 같이 접속 연결된 외부안테나부(110)는, 상기 휴대단말기 제어부(210)의 해당 제어에 의하여 매트릭스 스위치부(120)가, 상기 첨부된 도4와 같은 경로를 설정하므로, 다이버시티 안테나 경로를 설정하고, 다이버시티 안테나 시스템을 구동한다(S130). As the external antenna unit 110 connected as described above, the matrix switch unit 120 sets the path as shown in FIG. Set and drive the diversity antenna system (S130).

상기와 같이 다이버시티 안테나 시스템을 구동하면, 수신신호의 감도가 향상되므로, 멀티미디어 수신신호의 품질(QoS)을 제고하는 동시에, 기지국(RAN)의 서비스 영역(SERVICE AREA) 또는 CELL COVERAGE를 넓히는 결과가 된다. When the diversity antenna system is driven as described above, the sensitivity of the received signal is improved,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QoS) of the multimedia received signal and at the same time, increasing the service area or the cell cover of the base station RAN. do.

상기와 같이 다이버시티 안테나 시스템을 구동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통신하는 상태에서, 촬영되는 영상신호의 촬영각도를 설정하는 동시에 출력되는 영상신호의 관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슬라이딩고정부(340)의 위치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조절하므로, 상기 크래들부(300)가 형성하는 각도를 변경 설정하고 결과적으로, 휴대단말기가 설정하는 각도를 변경 설정한다(S170). In the state of multimedia communication using a portable terminal for driving the diversity antenna system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set the photographing angle of the video signal to be captured and to easily observe the output video signal, Since the position is adjusted by sliding movement, the angle formed by the cradle 300 is changed and set, and as a result, the angle set by the mobile terminal is changed and set (S170).

상기와 같이 다이버시티 안테나 시스템을 구동하고, 멀티미디어를 위한 각도 변경 설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지정된 상대방과의 호접속 처리를 하므로, 통신을 진행하고 종료한다(S180). The diversity antenna system is driven as described above, and the call connection processing with the designated counterpart is performed while the angle change setting for the multimedia is completed.

상기 준비과정(S110)에서 판단하여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외부안테나를 사용할 것인지 판단하고(S140), 상기 판단에서 외부안테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상기 접속과정(S180)으로 진행하여, 지정된 상대방과 호접속 처리하고 통신한다(S180). If it is determined in the preparation process (S110) that the diversity antenna is not used, it is determined whether to use an external antenna (S140), and if the external antenna is not used in the determination, the process proceeds to the connection process (S180). , The call connection process and communication with the specified counterpart (S180).

상기 외부과정(S140)에서 판단하여, 외부안테나를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휴대단말기(UE)를 상기 크래들부(300)에 접속하는 동시에 매트릭스 스위치부(120)와 크래들부(300)의 커넥터부(320)를 접속 연결하므로, 상기 외부안테나부(110)가 매트릭스 스위치부(120)에 접속 연결되도록 한다(S150). If it is determined in the external process (S140) that the external antenna is used, the connector of the matrix switch unit 120 and the cradle unit 300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UE at the same time. Since the connection unit 320 is connected, the external antenna unit 110 is connected to the matrix switch unit 120 (S150).

상기와 같이 접속된 외부 안테나부(110)를 휴대단말기의 인테나 안테나부(100)와 대체연결 또는 절체 연결하므로, 듀플렉서부(130)와 접속 연결되도록 설정하고(S160), 상기 접속과정으로 진행하여 상기 슬라이딩 고정부(340)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크래들부(300)가 멀티미디어 통신에 적합한 각도로 설정되도록 하고(S170), 호접속 처리에 의한 통신을 진행한다(S180). Since the external antenna unit 110 connected as described above is alternately connected or switched over with the antenna antenna unit 100 of the portable terminal, it is set to be connected to the duplexer unit 130 (S160), and proceeds to the connection process. By sliding the sliding fixing part 340, the cradle 300 is set at an angle suitable for multimedia communication (S170), and communication by call connection processing is performed (S180).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내장상태로 고정 구성되는 인테나 안테나부(100)를 이용하여 QCIF(QUARTER COMMON INTERFACE FORMAT)급, 15 FPS 이상에 해당하는 대량 데이터 전송의 VT의 멀티미디어 통신에서, 수신전파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공간 다이버시티 안테나 방식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VT multimedia communication of mass data transmission corresponding to QCIF (QUARTER COMMON INTERFACE FORMAT) level, 15 FPS or more, using the antenna antenna unit 100 fixedly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radio waves, a spatial diversity antenna scheme is provided.

특히, 소형화되는 휴대단말기의 크기에 의하여 파장(λ) 간격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를, 장시간 멀티미디어 통신에 필요한 크래들부(300)를 이용하여 일정한 파장(λ) 간격의 공간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확보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In particular, the problem that the wavelength (λ) interval cannot be secured due to the size of the miniaturized portable terminal is secured, and the spatial diversity antenna having a constant wavelength (λ) interval is secured by using the cradle unit 300 necessary for a long time multimedia communication. Provide advantages.

또한, 휴대단말기에 내장상태로 구비되는 인테나 안테나부(100) 대신에 고성 능의 외부안테나부(110)를 절체 접속하여 송수신 신호의 품질을 제고한 상태에서 멀티미디어 통신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instead of the antenna antenna 100 provided in the built-in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high performance external antenna unit 110 is connected and connected,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transmission and reception signals, thereby improving multimedia communication.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소형 휴대단말기에서 확보하지 못하는 파장간격을, 장시간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하여 탈부착 상태로 고정하는 크래들부를 이용하여, 파장간격의 외부안테나를 확보하고, 공간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운용하여 통신신호의 수신품질을 제고하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by using a cradle portion for fixing the wavelength interval that can not be secured in the small portable terminal in a detachable state for a long time multimedia communication, to secure the external antenna of the wavelength interval, and operate as a spatial diversity antenna Therefore, there is an industrial use effect to improve the reception quality of the communication signal.

또한, 휴대단말기 자체에 내장상태로 구비되는 인테나 안테나부 대신에 고성능 외부안테나부로 절체하여 송수신 신호의 품질을 제고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 convenience effect in use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ignal by switching to a high performance external antenna instead of the antenna antenna unit provided in the built-in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itself.

Claims (17)

휴대단말기에 내장되어 할당된 고주파 신호를 송신과 수신하는 인테나 안테나부와, An antenna antenna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allocated high frequency signal embedded in the mobile terminal; 상기 인테나 안테나부에 접속되고 제어에 의하여 고주파 신호 전송 경로를 변경 설정하는 매트릭스 스위치부와, A matrix switch unit connected to the antenna antenna unit and configured to change and set a high frequency signal transmission path under control; 상기 매트릭스 스위치부에 탈부착 상태로 접속되어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설정 운용되는 외부안테나부와, An external antenna unit connected to the matrix switch unit in a detachable state and configured to operate as a diversity antenna; 상기 매트릭스 스위치부에 접속되어 고주파 신호의 송신경로와 수신경로를 구분하고 각각의 경로로 전송하는 듀플렉서부와, A duplexer unit which is connected to the matrix switch unit and distinguishes a transmission path and a reception path of a high frequency signal and transmits each path; 상기 매트릭스 스위치부에 접속되고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운용되는 외부안테나부의 수신 고주파 신호를 입력하여 저잡음으로 증폭 출력하는 다이버시티 증폭부와, A diversity amplifier for inputting a received high frequency signal of an external antenna unit which is connected to the matrix switch unit and operated as a diversity antenna and amplifies and outputs a low noise; 상기 각 기능부의 운용을 제어하고 감시하는 제어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크래들 다이버시티 안테나 장치. Cradle diversity antenna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the operation of each functional unit is included.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테나 안테나부는, The antenna of claim 1, wherein the antenna antenna unit comprises: 상기 휴대단말기 외부에 돌출되지 않도록 내부에 일체로 내장 구비되고 이동통신에 할당된 고주파 신호를 무선송신과 무선수신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크래들 다이버시티 안테나 장치. Cradle diversity antenna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tegrally provided inside so as not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configured to wirelessly receive and wirelessly receive a high frequency signal assigned to mobile communica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안테나부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xternal antenna portion, 상기 휴대단말기를 탈부착 상태로 고정하는 크래들에 일체로 구성되며 매트릭스 스위치부에 커넥터로 접속과 해지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휴대단말기의 크래들 다이버시티 안테나 장치. Cradle diversity antenna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ntegrally configured to the cradle for fixing the portable terminal in a detachable state, and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nd disconnected by the connector to the matrix switch unit.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안테나부는,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external antenna portion, 휴대단말기를 탈부착 상태로 고정하는 크래들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휴대단말기가 크래들에 부착 고정된 상태에서 휴대단말기의 매트릭스 스위치부에 접속되며, 상기 매트릭스 스위치부의 경로 설정에 의하여 인테나 안테나부와 공간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구성하거나 또는 듀플렉서부와 접속 경로가 대체 설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크래들 다이버시티 안테나 장치. It is integrally fixed to the cradle that fixes the portable terminal in a detachable state, and the portab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matrix switch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in a state where the portable terminal is attached to and fixed to the cradle, and the antenna switch unit and the space diver are set by routing the matrix switch unit. A cradle diversity antenna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city antenna or a configuration in which a duplexer unit and a connection path are alternately se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매트릭스 스위치부에 외부안테나부가 접속되면, 선택에 의하여 매트릭스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인테나 안테나부와 외부안테나부의 다이버시티 안테나 경로를 설정하거나 외부안테나부를 인테나 안테나부와 경로 대체 설정하여 듀플렉서부에 접속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크래들 다이버시티 안테나 장치. When the external antenna unit is connected to the matrix switch unit, the matrix switch unit may be selectively controlled to set the diversity antenna paths of the antenna antenna unit and the external antenna unit, or the external antenna unit may be replaced with the antenna antenna unit to connect the duplexer unit. Cradle diversity antenna device of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휴대단말기 본체를 탈부착 상태로 고정 거치하는 안착부와, A seating part for fixing and mounting the main body of the mobile terminal in a detachable state; 상기 안착부의 하단부에 일체로 구성되고 휴대단말기의 리셉터클 단자와 접속하는 리셉터클부와, A receptacle unit integrally formed with a lower end of the seating unit and connected to a receptacle terminal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안착부의 일측부에 구성되고 휴대단말기의 매트릭스 스위치부 단자에 접속과 해지하는 커넥터부와, A connector portion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seating portion and connected to and disconnected from the terminal of the matrix switch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안착부의 일측 상단부에 고정 구성되어 이동통신 고주파 신호를 무선송수신하는 외부안테나부와, An external antenna unit configured to be fixed to an upper end portion of the seating unit to wirelessly transmit and receive a mobile communication high frequency signal; 상기 안착부의 뒷면부에 슬라이딩 상태로 고정 구성되어 외력이 인가되면 이동하는 슬라이딩고정부와, A sliding fixing part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rear part of the seating part to mov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상기 커넥터부와 외부안테나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안테나 케이블부가 포함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크래들 다이버시티 안테나 구조. Cradle diversity antenna structure of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comprising a configuration comprising an antenna cabl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nector and the external antenna. 삭제delete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고정부는,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liding fixing unit, 상기 안착부 뒷면부에 구성되고, 외력이 인가되면 슬라이딩되어 이동하며, 외력이 제거되면 슬라이딩되어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슬라이딩 상태에 의하여 상기 안착부가 설정하는 각도를 변경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크래들 다이버시티 안테나 구조. The seating part is configured on the rear part, 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sliding part moves, 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sliding part maintains the moved state and is configured to change the angle set by the seating part by the sliding state. Cradle diversity antenna structure of a mobile terminal.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안테나부는,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external antenna portion, 상기 안착부에 휴대단말기가 고정 거치되면, 휴대단말기에 내장된 인테나 안 테나와 소정 거리를 형성하여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선택 운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크래들 다이버시티 안테나 구조.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fixedly mounted on the seating portion, the cradle diversity antenna structure of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antenna antenna built in the portable terminal is configured to operate as a diversity antenna.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부는,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receptacle portion, 상기 안착부의 끝단부분에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휴대단말기를 탈부착 상태로 고정하는 울타리 형상의 일측부에 일체로 구비되며, 휴대단말기의 리셉터클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해당 신호를 전달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크래들 다이버시티 안테나 구조. It is integrally configured at the end of the seating portion, integrally provided at one side of a fence shape for fixing the portable terminal in a detachable state, and configured to electrically connect with a receptacle terminal of the portable terminal to transmit a corresponding signal. Cradle diversity antenna structure of a mobile terminal. 휴대단말기로 멀티미디어 통신하는 경우,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사용할 것인지 판단하는 준비과정과, In the case of multimedia communication with a mobile terminal, a preparation process for determining whether to use a diversity antenna, 상기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 크래들부에 상기 휴대단말기를 기구적으로 고정하고 전기적으로 접속하며, 상기 크래들부에 접속된 외부안테나부를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설정 구동하는 크래들 과정과, A cradle process of mechanically fixing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cradle unit when using the diversity antenna, and setting and driving an external antenna unit connected to the cradle unit as a diversity antenna; 상기 접속한 크래들부의 각도를 설정하고 호처리 요청에 의하여 통신하는 접속과정과, A connection process of setting an angle of the connected cradle and communicating by call processing request; 상기 준비과정에서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외부안테나를 사용할 것인지 판단하여 외부안테나를 사용하지 않으면 상기 접속과정으로 진행하여 호처리 및 통신하는 외부과정과, Determining whether to use an external antenna when the diversity antenna is not used in the preparation process, and when the external antenna is not used, proceeds to the connection process to perform call processing and communication; 상기 외부과정에서 외부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에 크래들부에 접속하고 외부안테나부를 스위칭으로 절체 설정하며 상기 접속과정으로 진행하는 절체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크래들 다이버시티 안테나 방법. When the external antenna is used in the external process, the cradle diversity antenna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to the cradle portion, the external antenna portion is switched to set by switching and the transfer process proceeds to the connection process. 삭제delete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과정은,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preparation process, 상기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급 신호와 메시지급 신호와 영상급 신호가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이용하여 지정된 상대방과 무선접속하고 통신하고자 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Determining whether to wirelessly connect and communicate with a designated party using a multimedia signal including a voice level signal, a message level signal, and a video level signal using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상대방과 멀티미디어 통신하고자 하는 경우, 수신되는 멀티미디어 신호의 게인 확보를 위하여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사용할 것인지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크래들 다이버시티 안테나 방법. When the multimedia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party, the cradle diversity antenna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o use a diversity antenna to secure the gain of the received multimedia signal. 삭제delete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과정은,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onnection process, 상기 크래들 과정에서 접속된 크래들부의 각도는 슬라이딩고정부를 슬라이딩 이동하여 임의 각도로 변경 설정하는 과정과, The process of setting the angle of the cradle portion connected in the cradle process is changed to an arbitrary angle by sliding the sliding fixing; 상기 크래들부에 부착 접속된 휴대단말기를 제어하여 호처리된 상대방과 통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크래들 다이버시티 안테나 방법. Cradle diversity antenna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attached to the cradle to communicate with the called party.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절체과정은,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transfer process, 상기 외부과정에서 휴대단말기가 내장된 인테나 안테나부 대신에 외부안테나부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를 크래들부에 기구적으로 고정 부착하고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과정과, In the case of using the external antenna instead of the antenna antenna unit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embedded, the process of fixedly attaching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cradle; 상기 크래들부에 일체로 구성되는 외부안테나부를 스위칭하여 인테나 안테나부와 절체 설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크래들 다이버시티 안테나 방법.Cradle diversity antenna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switching the external antenna unit integrally configured with the cradle portion to set the antenna antenna unit.
KR1020040069337A 2004-08-31 2004-08-31 A method and a structure and a apparatus of space diversity antenna with cradle for mobile phone KR1006641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9337A KR100664136B1 (en) 2004-08-31 2004-08-31 A method and a structure and a apparatus of space diversity antenna with cradle for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9337A KR100664136B1 (en) 2004-08-31 2004-08-31 A method and a structure and a apparatus of space diversity antenna with cradle for mobile 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0491A KR20060020491A (en) 2006-03-06
KR100664136B1 true KR100664136B1 (en) 2007-01-04

Family

ID=37127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9337A KR100664136B1 (en) 2004-08-31 2004-08-31 A method and a structure and a apparatus of space diversity antenna with cradle for mobil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413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22192A1 (en) * 2008-07-24 2010-01-28 Infineon Technologies Ag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mitter/Receiver Divers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0491A (en) 2006-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3205B1 (en) Mobile terminal device and antenna switch
EP2424125B1 (en) Multi-standard wireless terminals including smart antenna systems fo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communications
CN108199726B (en) Multi-way selector switch and related products
KR10083464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antenna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830910B2 (en) Wireless terminals including smart antenna systems having multiple antennas
US11246106B2 (e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power control
CN108494413B (en) Electronic equipment with multi-way selection switch
US7680510B2 (en) Diversity-switched front end base station transceiver system
KR20080005295A (en) Radio apparatus
JP3915763B2 (en) Mobile device
KR10098428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ll at data communication mode of mobile station
EP1547412B1 (en) Direct cellular communication
JP3891831B2 (en) Portable radio
US20060052069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664136B1 (en) A method and a structure and a apparatus of space diversity antenna with cradle for mobile phone
JP5369955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2002803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a Transmit Path of a Transceiver Between Three or More Antennas
CN114079476B (en) User equipment and communication method
JPH08172374A (en) Portable radio equipment
JP4265651B2 (en) Mobile device
KR20130030025A (en) Dual mod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improving data rate thereof
CN115037317A (en) Radio frequency LFEM device, radio frequency system and communication equipment
JP2006180191A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tenna switching apparatus, and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JP2003188763A (en) Wireless mobile equipment
CN101114923A (en) Frequency width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transcei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