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3569B1 - Method for offering childcare diary func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for offering childcare diary func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3569B1
KR100663569B1 KR1020050009548A KR20050009548A KR100663569B1 KR 100663569 B1 KR100663569 B1 KR 100663569B1 KR 1020050009548 A KR1020050009548 A KR 1020050009548A KR 20050009548 A KR20050009548 A KR 20050009548A KR 100663569 B1 KR100663569 B1 KR 100663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hild care
parenting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95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88638A (en
Inventor
안영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9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3569B1/en
Publication of KR20060088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86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3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35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3/00Nib holders
    • B43K3/04Nib holders with retractable n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43K23/12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육아일기 기능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정보에 의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육아 대상 및 그 육아대상에 대한 고유정보를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등록된 육아대상에 대한 육아정보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육아정보가 입력되면 이를 날짜별로 저장하는 과정과, 사용자 요청이 있으면 상기 저장된 육아정보를 사용자가 원하는 기간별로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육아대상의 정보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육아대상의 정보 즉, 육아일기를 편리하게 기록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viding a parenting diary function of a mobile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registering at least one parenting object and unique information on the parenting object based on user input information. Receiving child care information about the registered child care target; storing the child care information by date when the child care information is input; and displaying the stored child care information for each desired period of time if a user request is received. It features.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user to easily manage the information of the parenting target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record the information of the parenting target, that is, the parenting diary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ytime and anywhere.

이동 통신 단말기, 육아일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ild care diary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육아일기 기능 제공 방법{METHOD FOR OFFERING CHILDCARE DIARY FUNC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ow to provide parenting diary fun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ETHOD FOR OFFERING CHILDCARE DIARY FUNC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육아일기 기능 제공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for providing a parenting diary fun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내지 도 3(d)는 도 2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들.3A to 3D are exemplary diagrams for describing an operation process of FIG. 2.

도 4(a) 및 도 4(b)는 도 2의 동작 과정을 통해 메모리에 저장되는 파일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들.4 (a) and 4 (b) are exemplary diagrams illustrating a file structure stored in a memory through the operation of FIG. 2.

도 5는 도 2의 과정을 통해 작성된 육아일기의 디스플레이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5 is a flow chart showing a display process of the parenting diary created through the process of FIG.

도 6(a) 내지 도 6(e)는 도 5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들. 6 (a) to 6 (e) are exemplary diagrams for describing an operation process of FIG. 5.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부가 기능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 단 말기를 통해 육아대상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dditional function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managing information of a parenting target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육아는 어린아이 즉, 아기의 신체적 발육과 지적 교육, 정서의 건전한 발달을 위하여 노력하는 일을 말한다. 어린아이는 심신(心身)의 발육이라는 큰 특징을 갖는다. 때문에 어린아이의 몸과 마음의 성장을 장애하는 요인을 없애 주고, 순조로운 성장을 촉진하는 일이 육아의 가장 중요한 과제이다. 이는 어린아이뿐만 아니라 갓 태어난 동물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그래서 어린아이의 육아정보를 기록하는 육아일기는 어린아이와 부모 간에 바람직한 관계형성에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Child care is the effort of the physical development, intellectual education, and healthy development of the child, the baby. The child has a great characteristic of the development of mind and body. Therefore, eliminating the obstacles to the growth of the child's body and mind, and promoting the smooth growth is the most important task of child care. The same may be true of newborns as well as children. Therefore, the parenting diary, which records the child care information of the child, is very helpful in forming a desirabl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 and the parent.

흔히 부모들은 육아정보를 기록할 때 육아일기장을 구입하여 직접 육아정보를 기록하고, 아이의 사진을 찍어 상기 육아일기장에 붙이거나 인터넷 또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일기 형식으로 기록하고 있다. When parents record childcare information, parents often purchase a childcare diary and record childcare information directly, take pictures of the child, attach them to the childcare diary, or record them in a diary format using the Internet or a computer.

하지만 여성의 인터넷, 컴퓨터의 이용도는 아직 낮은 편이어서 인터넷 또는 컴퓨터로 육아일기를 작성하는 경우는 드물다. 또한 인터넷, 컴퓨터를 이용하여 육아일기를 작성한다 해도, 항상 주위에 컴퓨터가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women's internet and computer use is still low, so it is rare to write a parenting diary using the internet or computer. In addition, even if the parenting diary is created using the Internet and a computer,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a computer must always be around.

한편, 현대인들은 이동하면서 통화를 하거나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기기인 이동 통신 단말기를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항시 휴대하고 다니고 있다. On the other hand, modern people carr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a device that provides a communication function that can make a call or exchange data while moving, regardless of gender or age.

상기와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전화 통화 기능 이외에 단문 메시지 송수신 기능, 전화번호 저장 및 검색을 위한 메모리 기능, 잠금 기능, 경보 기능, 지역번호 확인 기능을 비롯하여 최근에는 카메라 기능, 디지털 방송 수신 기능, 게임 기 능 등과 같은 각종 부가적인 기능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사용자들에게 있어 많은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다.In addition to the telephone call func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short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a memory function for storing and retrieving a phone number, a lock function, an alarm function, an area code check function, and recently, a camera function, a digital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and a game device. By providing a variety of additional functional services, such as the ability to provide a lot of convenience for users living in the modern society.

때문에 일반 사용자들이 항상 휴대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육아일기 기능을 제공한다면 언제 어디서나 어린아이의 육아일기 작성에 있어 상당한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refore, if you provide a parenting diary func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the general users always carry out anytime, anywhere can provide a great convenience in the child care diary writing.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육아대상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managing information of a parenting target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육아대상의 정보를 편리하게 기록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a user to conveniently record information of a child care target anytime and anywher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육아일기 기능 수행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정보에 의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육아 대상 및 그 육아대상에 대한 고유정보를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등록된 육아대상에 대한 육아정보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육아정보가 입력되면 이를 날짜별로 저장하는 과정과, 사용자 요청이 있으면 상기 저장된 육아정보를 사용자가 원하는 기간별로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erforming a parenting diary fun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registering at least one parenting target and unique information on the parenting target based on user input information. Receiving child care information about the registered child care target; storing the child care information by date when the child care information is input; and displaying the stored child care information for each desired period of time if a user request is received. It features.

삭제delet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in the figures are represented by the same numerals wherever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RF부(110), 모뎀(120), 오디로 처리부(130), 키입력부(140), 메모리(150), 제어부(160), 카메라부(170), 영상처리부(180) 및 표시부(190)를 포함한다.The illustra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cludes an RF unit 110, a modem 120, an audio processor 130, a key input unit 140, a memory 150, a controller 160, a camera unit 170, and an image. The processor 180 and the display 190 are included.

RF부(110)는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또한 RE부(11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50)에 저장된 육아정보를 외부(예컨대, 개인용 컴퓨터 또는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The RF unit 110 is responsible for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voice data, text data, image data, and control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60, and the RF transmitter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the frequency of the transmitted signal for this, and the received signal. RF receivers for low noise amplification and frequency conversion. In addition, the RE unit 110 may transmit parent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50 to the outside (for example, a personal computer or a serv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60.

모뎀(MODEM)(120)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 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The modem 120 includes a transmitter for encoding and modulating the transmitted signal, a receiver for demodulating and decoding the received signal, and the like.

오디오 처리부(130)는 코덱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The audio processor 130 may configure a codec, and the codec includes a data codec for processing packet data and an audio codec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such as voice.

오디오 처리부(130)는 마이크(Microphone)로부터 입력된 전기신호를 변조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RF부(110)로부터 입력된 부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복조하여 스피커(Speaker)로 출력한다. 또한 오디오처리부(130)는 RF부(110)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코덱(Codec)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으로 구성된다. 상기 코덱은 제어부(160)에 포함될 수도 있다.The audio processor 130 modulates the electrical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and converts the electrical signal into voice data. The audio processor 130 demodulates the encoded voice data input from the RF unit 110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s it to the speaker. In addition, the audio processor 130 preferably includes a codec for converting and reproducing a digital audio signal received by the RF unit 110 into an analog signal or converting an analog audio signal generated from a microphone into a digital audio signal. Do. The codec is composed of a data codec for processing packet data and the like and an audio codec for processing audio signals such as voice. The codec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ler 160.

또한 오디오처리부(13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설정된 특정일이 되면 제어부(160)의 제어를 통해 이를 알리는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dio processor 130 may output an alarm for notifying the user through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60 when a specific date is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키입력부(140)는 키 매트릭스 구조(도시하지 않음)를 가지며 문자 키, 숫자 키, 각종 기능 키 및 외부 볼륨 키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신호를 제어부(160)로 출력한다. 그리고 키입력부(14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소정 위치에 카메라 모드로 진입할 때 사용하는 카메라 전원키(미도시)와 카메라 렌즈 모듈(미도시)의 줌 단계(즉, 배율)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하는 줌 키(미도시) 및 영상을 촬영할 때 사용하는 셔터(Shutter) 키(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The key input unit 140 has a key matrix structure (not shown) and includes a character key, numeric keys, various function keys, and an external volume key to output a key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key input by a user to the controller 160. do. In addition, the key input unit 140 adjusts a zooming step (ie, magnification) of a camera power key (not shown) and a camera lens module (not shown) used to enter a camera mod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a shutter key (not shown) used to take an image and a zoom key used to take an image.

메모리(15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 및 사용자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선택된 각종 정보들을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 (150)는 사용자의 입력정보에 의거하여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육아 대상에 대한 고유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육아대상에 대한 육아정보가 입력되면 이를 날짜별로 저장한다. 이 경우 상기 메모리(150)는 도 1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헤더 메모리와 이미지 메모리로 구분될 수 있으며, 헤더 메모리에는 육아대상의 고유정보 파일과 상기 고유정보에 링크된 날짜별 육아정보 파일들이 저장된다. 또한 이미지 메모리에는 상기 날짜별 육아정보에 각각 링크된 이미지 프레임들(예컨대, 사진이나 동영상)이 각각 저장된다. The memory 150 may include a program memory and a data memory, and store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selected based on user information and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 In addition, the memory 150 stores unique information on at least one parenting object input based on the user's input information, and stores child information for each child when the parenting information for the parenting object is input. In this case, although not shown in FIG. 1, the memory 150 may be classified into a header memory and an image memory. The header memory stores a unique information file of a child care target and a child care information file for each date linked to the unique information. In addition, the image memory stores image frames (eg, pictures or videos) linked to the child care information for each date.

상기 고유정보는 육아대상의 성별, 이름, 생년월일, 출생당시의 키와 몸무게, 질병에 대한 시기별 예방접종 예정 정보 등과 같은 고정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육아정보는 육아대상을 육아하면서 그 때의 키와 몸무게와 모습 및 행동을 나타내는 메모, 단일 이미지 프레임인 사진, 연속된 이미지 프레임인 동영상 및 질병에 대한 예방접종 결과(예컨대, 홍역 예방접종 완료) 등과 같이 육아대상이 자라면서 변화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nique information preferably includes fixed information such as gender, name, date of birth, height and weight at the time of birth, information on vaccination schedule for each diseas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parenting information is a vaccination result (e.g., measles vaccination completion) for the child, the memo indicating the height, weight, appearance and behavior, a single image frame, a continuous image frame video, and disease while raising the child care target It is desirable to include information that changes as the parenting target grows.

제어부(1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카메라부(170)의 영상 데이터 촬영을 위한 셔터 키가 입력되면 설정된 셔터 속도 값에 따라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사용자 입력정보(예컨대, 키입력)에 의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육아 대상에 대한 고유정보를 등록하고 이를 메모리(150)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ptures an image according to a set shutter speed value when a shutter key for capturing image data of the camera unit 170 is input. To control. In addition, the controller 160 controls to register the unique information about the at least one parenting target based on user input information (eg, key input) and store it in the memory 150.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육아정보 작성 요청이 있으면 상기 등록된 육아 대상에 대한 육아정보 입력창을 표시부(190)에 생성하고, 상기 육아정보가 입력되면 이를 날짜별로 메모리(150)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사용자 요청 시 메모리(150)에 저장된 육아정보를 독출하여 표시부(190)에 디스플레이 한다.The control unit 160 generates a child care information input window for the registered child care target on the display unit 190 when a user requests for creating child care information, and stores the child care information in the memory 150 by date when the child care information is input. do. In addition, the controller 160 reads child car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50 and displays the child car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50 on the display unit 190.

카메라부(camera module)(170)는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한 렌즈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렌즈부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촬영한다.The camera module 170 may include a lens unit (not shown) that can be pulled out and pulled out, and captures image data through the lens unit.

카메라부(170)는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The camera unit 170 includes a camera sensor for converting the photographed optical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 signal processor for converting the analog image signal photographed from the camera sensor into digital data.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라 가정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The camera sensor is assumed to be a charge coupled device (CCD) sensor, and the signal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by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In addition, the camera sensor and the signal processor may be integrally implemented or may be separately implemented.

영상처리부(180)는 카메라부(17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image processor 180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screen data for displaying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unit 170.

영상처리부(180)는 카메라부(17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표시부(19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영상처리부(180)는 영상 코덱을 구비하며, 표시부(19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image processor 180 processes the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unit 170 in units of frames, and outputs the fram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size of the display unit 190. In addition, the image processing unit 180 includes an image codec and performs a function of compressing the frame image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90 in a set manner or restoring the compressed frame image data to the original frame image data.

또한 영상처리부(180)는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한다고 가정하며, 제어부(160)의 제어하여 표시되는 화면 크기에 따라 온 스크린 표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assumed that the image processor 180 has an On Screen Display (OSD) function, and may output on-screen display data according to the screen size display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60.

표시부(19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 때,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표시부(190)는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The display unit 190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the like, and outputs various display data genera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is case, when the LCD is implemented using a touch screen method, the display unit 190 may operate as an input unit.

또한 표시부(190)는 영상처리부(180)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제어부(16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90 displays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or 180 on a screen, and displays user data output from the controller 160.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메모리(150)에 저장되는 육아정보를 별도의 장치에 백업하기 위해 적외선 통신 모듈이나 블루투스 모듈과 같은 통신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interface (not shown) such as an infrared communication module or a Bluetooth module to back up the child car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50 to a separate device You may.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육아일기 기능 제공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for providing a parenting diary fun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사용자 입력정보에 의거하여 육아대상의 고유정보를 등록한다(S110). 상기 고유정보는 육아대상의 성별, 이름, 생년월일, 출생당시의 키와 몸무게, 질병에 대한 시기별 예방접종 예정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예방접종 예정 정보는 일반적인 예방접종 정보로서 예컨대, 생후 1개월 이내 결핵 접종, 생후 2개월 이내 B형 간염 접종, 생후 6개월 이내 홍역 접종, 생후 12개월 이후 수두를 접종해야 하는 고정적인 정보를 의미하며, 상기 예방접종 정보는 메모리(150)에 기 저장하고 있거나 별도의 장치로부터 다운로드할 수 있다.1 and 2, the controller 160 registers unique information of a parenting target based on user input information (S110). The unique information includes gender, name, date of birth, height and weight at the time of birth, and information on vaccination schedule for each disease. Here, the information on the vaccination schedule is a general vaccin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the fixed information that should be vaccinated tuberculosis within 1 month of age, hepatitis B vaccine within 2 months of age, measles vaccine within 6 months of age, chickenpox after 12 months of age. The immunization information may be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150 or downloaded from a separate device.

한편, 제어부(160)는 사용자 요청에 의거하여 상기 육아대상의 생년월일로부터 시간을 카운트하여 상기 육아대상의 백일(즉, 돌)이나 일주년 및 생일을 나타내는 기념일, 질병에 대한 시기별 예방 접종일, 해당 날짜의 바이오 리듬이나 토정비결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특정일 알림 기능을 설정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60 counts the time from the date of birth of the child care subject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an anniversary indicating a hundred days (that is, a stone) or one year and a birthday of the child care target, the date of vaccination for each time of the disease, and the corresponding You can also set up specific day reminders that provide data that includes biorhythms or secrets of dates.

제어부(160)는 육아대상에 대한 상기 특정일 알림 기능이 설정되었는지 검사한다(S115). The controller 160 checks whether the specific day notification function for the child care target is set (S115).

제어부(160)는 상기 특정일 알림 기능이 설정되었으면 타이머(미도시)를 구동시켜 시간을 카운트 한다(S120). 이어 제어부(160)는 시간을 카운트 하면서 설정된 특정일이 되는지 체크한다(S125).If the specific day notification function is set, the controller 160 counts time by driving a timer (not shown). Subsequently, the controller 160 checks whether the set specific date is reached while counting the time (S125).

제어부(160)는 상기 설정된 특정일이 되면 이를 알리는 알람을 오디오처리부(130)를 통해 출력한다(S130). 이 때 제어부(160)는 상기 특정일을 알릴 때 표시부(190)를 통해 단문 메시지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으며, 오디오처리부(130)를 통해 음성 메시지로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상기 특정일 즉, 생일이나 생후 1개월 이내에 접종해야 하는 결핵의 예방 접종을 알릴 때 생일이나 생후 1개월 째 되는 날의 일주일 전부터 알람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미리 알려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160)는 기념일이나 상기 기념일 일주일 전에 폰 북에 저장된 전화번호들 중 미리 등록된 전화번호로 이를 알리는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The controller 160 outputs an alarm informing of this when the set specific date is reached through the audio processor 130 (S130).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60 may display a short message through the display unit 190 when notifying the specific date, or may output the voice message through the audio processor 130.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60 preferably outputs an alarm to inform the user in advance of a week before the date of birth or 1 month of birth when informing the vaccination of tuberculosis to be inoculated within the specific day, that is, birthday or 1 month of age. Do. In addition, the controller 160 may control to transmit a short message informing of this to a phone number registered in advance among the phone numbers stored in the phone book one day before the anniversary or the anniversary.

제어부(160)는 육아정보 입력 요청이 있는지 검사한다(S135). 상기 육아정보는 육아대상의 출생 이후 현재 키와 몸무게, 모습 및 행동을 나타내는 메모, 사진, 동영상 및 질병에 대한 예방접종 결과 등을 포함한다. 상기 메모는 텍스트 메모 또는 음성 메모가 될 수 있으며, 어린아이의 울음소리를 마이크를 통해 입력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60 checks whether there is a parenting information input request (S135). The parenting information includes vaccination results for memos, photographs, videos, and diseases indicating current height and weight, appearance, and behavior after birth of the parenting target. The memo may be a text memo or a voice memo, and a cry of a child may be input through a microphone.

제어부(160)는 상기 육아정보 입력 요청이 있으면 표시부(190)에 현재 날짜에 대한 육아정보 입력창을 생성한다(S140). 상기 육아정보 입력창은 상기 등록된 육아 대상에 대한 육아정보를 텍스트 및 이미지(예컨대, 사진이나 동영상)로 입력할 수 있는 창이며, 음성 메모나 아기의 울음소리 등을 마이크(미도시)를 통해 입력할 수도 있다. If there is a request for inputting the parenting information, the controller 160 generates a parenting information input window for the current date on the display unit 190 (S140). The child care information input window is a window for inputting child care information on the registered child care object as a text and an image (eg, a picture or a video), and a voice memo or a cry of a baby through a microphone (not shown). You can also type.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음성이나 키 입력 등을 통해 육아정보(예컨대, 텍스트 메모)가 입력되는지 검사한다(S145). 제어부(160)는 육아대상에 대한 텍스트 메모가 입력되면 입력된 육아정보 즉, 텍스트 메모(예컨대, 아기의 현재 키와 몸무게)를 상기 입력창에 디스플레이 한다(S150).The controller 160 checks whether child care information (eg, a text memo) is input through a user's voice or key input (S145). When the text memo for the child care target is input, the controller 160 displays the input child care information, that is, the text memo (for example, the current height and weight of the baby) in the input window (S150).

제어부(160)는 사진이나 동영상을 첨부하기 위해 기 설정된 소정키(예컨대, 메뉴 키) 입력이 있는지 검사한다(S155). 여기서 제어부(160)는 상기 소정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확인 키 입력을 검사한다(S175). The controller 160 checks whether there is a predetermined key input (eg, a menu key) input for attaching a photo or a video (S155). If the predetermined key is not input, the controller 160 checks a confirmation key input (S175).

제어부(160)는 상기 확인 키 입력이 있으면 상기 육아정보가 텍스트 메모만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입력된 텍스트 메모를 메모리(150)에 저장한 후, 종료한다(S180).If the confirmation key is input, the control unit 160 determines that only the text memo is inputted, and saves the input text memo in the memory 150 and ends (S180).

한편, 제어부(160)는 상기 과정(S155)에서 소정키(예컨대, 메뉴 키) 입력이 있으면 사용자가 상기 입력창에 입력할 이미지 프레임(예컨대, 사진이나 동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항목들을 디스플레이 한다(S160). 상기 이미지 프레임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소정 키 입력 시 상기 입력창에 입력할 이미지 프레임을 획득하기 위한 영상 촬영 모드로 전환하여 촬영된 영상을 이미지 프레임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이미지 프레임의 항목들을 섬-네일(Thumb-nail) 형태로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a predetermined key (for example, a menu key) input in step S155, the controller 160 displays items for selecting an image frame (for example, a picture or a video) to be input by the user in the input window ( S160). Preferably, the image frame is stored in advance by the user, and when a predetermined key is input, the image frame may be converted into an image capturing mode for acquiring an image frame to be input to the input window. In addition, the controller 160 may display the items of the image frame in the form of a thumbnail-nail.

이어 제어부(160)는 상기 디스플레이 된 항목들에 대한 사용자 선택이 있는지 확인한다(S165).Subsequently, the controller 160 checks whether there is a user selection for the displayed items (S165).

제어부(160)는 사용자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선택된 항목의 이미지 프레임을 상기 입력창의 소정 위치에 기 설정된 크기로 디스플레이 한다(S170).The controller 160 displays the image frame of the item selected based on the user selection information in a predetermined siz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input window (S170).

그리고 제어부(160)는 확인 키 입력이 있으면(S175), 상기 육아정보 입력창에 입력된 육아정보 즉, 텍스트 메모 및 이미지 프레임을 메모리(150)에 날짜별로 저장한다(S180).If there is a confirmation key input (S175), the controller 160 stores the child care information, that is, the text memo and the image frame, which are input in the child care information input window, by date in the memory 150 (S180).

한편, 제어부(160)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적외선 통신 모듈이나 블루투스 모듈과 같은 통신 인터페이스부(미도시)가 구비된 경우, 메모리(150)에 저장된 육아정보를 적외선 통신(IrDA)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통해 개인 컴퓨터이 전송하여 백업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상기 육아정보를 범용 직렬 버스(USB)에 전송하여 백업(Back-up)할 수도 있으며, RF부(110)를 통해 별도의 서버로 전송하여 백업할 수도 있다.Meanwhil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not shown) such as an infrared communication module or a Bluetooth module, the control unit 160 transmits childcar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50 to infrared communication (IrDA) or the like. Personal computers can transfer and back up via Bluetooth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controller 160 may back up by transmitting the parenting information to a universal serial bus (USB), or may be backed up by transmitting to a separate server through the RF unit (110).

도 3(a) 내지 도 3(d)는 도 2의 동작 과정 즉, 사용자가 육아대상의 고유정보를 등록하고, 등록된 육아대상의 육아정보를 작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 시도 들이다3 (a) to 3 (d) illustrate examples of the operation of FIG. 2, that is, a process in which a user registers unique information of a child care target and creates child care information of a registered child care target.

도 3(a)를 참조하면, 도 3(a)는 "육아일기 기능을 사용하시겠습니까?" 라는 메시지와 함께 사용자가 육아일기 기능의 사용 유무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Referring to Figure 3 (a), Figure 3 (a) is "Do you want to use the parenting diary function?" A screen for selecting whether or not to use the parenting diary function is shown with a message.

도 3(a)의 화면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키 입력에 의해 "예"가 선택된 후 확인키의 입력이 있으면 도 3(b)와 같이 육아대상의 고유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In the screen of FIG. 3 (a), when the mobile terminal is selected by the user's key input, if a confirmation key is inpu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s a screen for registering unique information of the parenting target as shown in FIG. 3 (b). .

도 3(b)에서 의 육아대상 고유정보 등록항목은 육아대상의 "1.성별", "2.이름", "3.생년월일", 육아대상의 키와 몸무게를 포함하는 "4.출생 시 신체정보", 및 "5.예방 접종 예정 시기"를 포함한다.The registered information unique to child care in FIG. 3 (b) includes "1. gender", "2. name", "3. date of birth", and "4. body at birth" including the height and weight of the childcare target. Information ", and" 5. Vaccination due time ".

사용자가 도 3(b)의 화면에서 상기 각 항목을 선택하여 해당 항목에 따른 육아대상의 고유정보를 입력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입력된 고유정보를 등록하게 된다. When the user selects each item on the screen of FIG. 3 (b) and inputs unique information of the parenting target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ite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gisters the inputted unique information.

도 3(c)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기 등록된 육아대상에 대한 사용자의 육아정보 입력 요청에 응답하여 육아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육아정보 입력창을 생성한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3 (c) shows a screen in whi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generates a child care information input window for inputting child care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user's child care information input request for a previously registered child care target.

도 3(c)를 참조하면, 도 3(c)는 사용자가 2월1일자 육아일기로 육아정보 입력창에 "A가 태어난 지 벌써 한달이 되었다. 체중도 15Kg이나 나간다."라는 텍스트 메모를 입력한 화면이다. 상기 텍스트 메모 입력 후, 사용자가 기 설정된 소정키(예컨대, 메뉴 키)를 입력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 이 상기 입력창에 입력할 이미지 프레임(예컨대, 사진이나 동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항목들을 디스플레이 한다. 이 때 사용자가 네비게이션 키 등을 이용하여 "1.사진 첨부" 항목을 선택한 후, 확인키를 입력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2월1일자로 기 저장된 사진 항목들을 디스플레이 한다. Referring to FIG. 3 (c), FIG. 3 (c) shows a text memo on the user's childcare diary dated February 1 stating that "A has been born for a month. The weight is 15 kg." Input screen. After inputting the text memo, when a user inputs a predetermined key (for example, a menu ke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s an image frame (for example, a picture or a photo) to be input in the input window as shown in FIG. Items to select). At this time, when the user selects the item "1. Attach a picture" using a navigation key and the like, and enters a confirmation key, the mobile terminal displays the picture items previously stored as of February 1.

이동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된 사진 항목들 중 "1. 2월1일 사진1"을 선택한 후, 확인 키를 입력하면 도 3(d)와 같이 선택된 항목의 이미지 프레임을 상기 입력창의 소정 위치에 기 설정된 크기로 디스플레이 한다. 이어 이동 통신 단말기는 확인 키 입력이 있으면, 상기 육아정보 입력창에 입력된 육아정보 즉, 텍스트 메모 및 이미지 프레임을 메모리(150)에 날짜별로 저장한다.When the user selects "1. 1 February 1 Photo 1" among the displayed photo items, and inputs a confirmation key, the mobile terminal displays the image frame of the selected item as shown in FIG. Display in the preset size. Subsequently, when there is a confirmation key inpu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ores the child care information, that is, the text memo and the image frame, which are input in the child care information input window, by date in the memory 150.

도 4(a)는 도 2의 동작 과정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모리(150)에 저장되는 파일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4(b)는 도 4(a)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예시도이다.4 (a)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file structure stored in the memory 15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operation process of Figure 2, Figure 4 (b)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more detailed view of Figure 4 (a). .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도시된 메모리(150)의 파일 구조는 헤더 메모리(151)와 이미지 메모리(153)로 구분되며, 헤더 메모리(151)에는 육아대상의 고유정보 파일과 상기 고유정보에 링크된 날짜별 육아정보 파일들이 저장됨을 알 수 있다. 4 (a) and 4 (b), the file structure of the illustrated memory 150 is divided into a header memory 151 and an image memory 153, and the header memory 151 has a unique parenting object. It can be seen that the information file and the child care information files for each date linked to the unique information are stored.

상기 육아대상의 고유정보 파일과 유아정보 파일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unique information file and the infant information file of the child care target as follows.

상기 고유정보 파일은 육아대상의 성별, 이름, 생년월일, 출생당시의 키와 몸무게, 질병에 대한 시기별 예방접종 예정 정보와 같은 고정적인 정보와 상기 육 아정보 파일들에 대한 링크(Link) 정보를 포함한다.The unique information file includes fixed information such as gender, name, date of birth, height and weight at the time of birth, and information on vaccination schedule for each disease, and link information on the child care information files. Include.

또한 상기 육아정보 파일은 육아정보가 저장된 날짜, 육아대상의 출생 이후 현재 키와 몸무게, 모습 및 행동을 기록한 텍스트 메모나 음성 메모, 질병에 대한 예방접종 결과와 이미지 프레임의 저장여부, 이미지 프레임의 저장 위치 정보, 저장된 이미지 프레임 개수 및 이미지 프레임에 대한 디스플레이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hild care information file is a text memo or voice memo recording the date of child care information, the current height and weight, appearance and behavior after the birth of the child care target, the results of vaccination and disease storage of the image frame, image frame storag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the position information, the number of stored image frames and the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for the image frame.

한편, 이미지 메모리(153)는 상기 날짜별 육아정보에 각각 링크된 이미지 프레임들(예컨대, 사진이나 동영상)을 각각 저장한다. On the other hand, the image memory 153 stores image frames (eg, a picture or a video) linked to the child care information for each date.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육아일기 디스플레이 과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Next, the parenting diary display proces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작성된 육아일기의디스플레이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즉, 도 5는 상기 도 2의 과정을 통해 작성된 육아일기의 디스플레이 과정을 나타낸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splay process of a parenting diary creat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FIG. 5 illustrates a display process of the parenting diary created through the process of FIG. 2.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육아정보(즉, 육아일기) 디스플레이 요청이 있는지 검사한다(S210). 1 and 5, the controller 160 checks whether there is a user's request to display child care information (ie, child care diary) (S210).

제어부(160)는 상기 디스플레이 요청이 있으면 표시부(190)에 디스플레이 할 육아정보의 항목들을 상기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하기 위해 육아정보의 항목들을 디스플레이 한다(S220). 이 때 상기 육아정보의 항목들은 육아정보를 나타낸 메모, 사진, 동영상, 질병에 대한 예방접종 결과 및 모든 육아정보를 볼 수 있는 전체보기 항목을 포함한다. 상기 전체보기 항목은 메모리(150)에 저장된 육아정보의 메모 나 사진, 예방접종 결과를 모두 볼 수 있는 항목을 의미한다. If there is a display request, the controller 160 displays the items of parenting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selects the items of parenting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90 (S220). At this time, the items of the child care information includes a memo, a picture, a video, a child's vaccination result for the disease, and a full view item for viewing all child care information. The full view item refers to an item for viewing all the memo or photo of the child car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50 and the immunization result.

제어부(160)는 상기 디스플레이 된 항목들 중 사용자의 항목 선택이 있는지 검사한다(S230). 이 때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된 항목들을 적어나 하나 이상 선택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60 checks whether there is an item selection of the user among the displayed items (S230). In this case, the user may write down one or more of the displayed items.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소정 항목이 선택되면 선택된 항목의 육아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기간 요청이 있는지 확인한다(S240). 이는 사용자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저장된 육아정보를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기간별로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기 위함이다.If a predetermined item is selected based on the user's selection information, the controller 160 checks whether there is a period request for displaying parenting information of the selected item (S240). This is to control to display the stored child care information for each period desired by the user upon request.

제어부(160)는 상기 사용자의 육아정보 기간 요청이 없으면 선택된 항목의 육아정보를 최초 저장일을 디폴트(Default)로 하여 날짜별로 디스플레이 한다(S280).If the user does not request the parenting information period, the control unit 160 displays the parenting information of the selected item by date using the initial storage date as a default (S280).

한편, 제어부(160)는 상기 과정(S240)에서 사용자의 육아정보 기간 요청이 있으면 표시부(190)를 통해 디스플레이 할 기간 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출력한다(S250).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160 outputs a message for inputting a period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90 when the user's parenting information period request in step (S240) (S250).

이어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거하여 요청 기간(예컨대, 2월1일부터 3월 1일까지)이 입력되면(S260), 상기 요청 기간에 저장된 상기 선택 항목의 육아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S270).Subsequently, when a request period (eg, February 1 to March 1) is input based on a user's key operation (S260), the controller 160 displays child care information of the selected item stored in the request period. (S270).

도 6(a) 내지 도 6(e)는 도 5의 동작 과정 즉,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작성된 육아일기의 디스플레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들이다.6A to 6E are exemplary diagrams for describing an operation process of FIG. 5, that is, a display process of a parenting diary creat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6(a)를 참조하면, 도 6(a)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사용자의 요청에 의거하 여 디스플레이 할 육아정보의 항목들을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하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 것이다. Referring to FIG. 6 (a), FIG. 6 (a) displays a screen for allowing a user to select items of child car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b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이동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된 항목들 중 "1.전체보기" 항목이 선택되면 날짜별로 저장된 육아정보의 메모나 사진, 동영상 및 예방접종 결과를 모두 디스플레이 한다.The mobile terminal displays all the memo, photographs, videos, and immunization results of the child care information stored by date when the item “1. View All” is selected among the displayed items based on the user's selection information.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2.메모별" 항목, "3.사진별" 항목, "4.동영상별" 항목, "5.예방접종 결과별" 항목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항목에 해당하는 육아정보만 날짜별로 디스플레이 한다.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selects one of the items "2. by memo", "3. by picture", "4. by video", and "5. by vaccination result" based on the user's selection information. When the child car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tem is displayed by date.

도 6(a)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의 항목(예컨대, "1.전체보기")이 선택된 후 확인 키 입력이 있으면, "기간별로 보시겠습니까?" 라는 메시지와 함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항목의 육아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기간 요청 유무를 선택하기 위한 도 6(b)의 화면을 도시한다. In FIG. 6 (a), if there is a confirmation key input after any one of the displayed items (for example, "1. All view") is selected, "Do you want to see by period?" 6B shows a screen for selecting whether or not a period request for displaying parenting information of an item selected by the user is displayed.

도 6(b)의 화면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키 입력에 의해 "예"가 선택된 후 확인키의 입력이 있으면, 도 6(c)와 같이 선택된 항목의 육아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기간의 입력을 요구하는 화면을 도시한다.In the screen of FIG. 6 (b), if a confirmation key is input after “Yes” is selected by the user's key inpu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puts a period for displaying parenting information of the selected item as shown in FIG. 6 (c). The request screen is shown.

도 6(c)는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육아정보의 디스플레이 기간 입력 요구에 응답하여 "2월1일부터 3월1일까지"를 선택된 항목의 육아정보 디스플레이 기간으로 입력하였음을 보여준다. FIG. 6C shows that the user inputs "February 1 to March 1" as the parenting information display period of the selected item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inputting the display period of the parenting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동 통신 단말기는 도 6(c)의 화면에서 육아정보 디스플레이 기간으로 "2월1일부터 3월1일까지"가 입력된 후 확인 키 입력이 있으면, 상기 요청 기간에 저장 된 "1.전체보기" 항목의 육아정보를 도 6(d)와 같이 디스플레이 한다.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a confirmation key input after "February 1 to March 1" is input as the parenting information display period on the screen of FIG. 6 (c),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ores the request period. Parenting information of the item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즉, 사용자는 도 6(d)의 화면을 통해 2월1일부터 3월 1일까지 저장된 육아일기를 선택하여 볼 수 있으며, 메뉴 키 입력을 통해 육아일기를 새로 작성하거나 수정할 수도 있다.That is, the user may select and view the parenting diary stored from February 1 to March 1 through the screen of FIG. 6 (d), and may newly create or modify the parenting diary through a menu key input.

이동 통신 단말기는 도 6(d)에서 사용자의 선택정보에 의해 2월1일에 저장된 육아일기가 선택된 후 확인 키 입력이 있으면, 도 6(e)와 같이 2월 1일 작성되어 저장된 육아일기의 모든 육아정보(예컨대, 메모와 사진)를 디스플레이 한다.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f there is a confirmation key input after the parenting diary stored on February 1 is selected by the user's selection information in FIG. 6 (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reated and stored on February 1 as shown in FIG. 6 (e). Display all parenting information (eg notes and photos).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육아대상의 정보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육아대상의 정보 즉, 육아일기를 편리하게 기록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user to easily manage the information of the child care target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record the information of the child care target, that is, the child care diary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ytime and anywhere.

Claims (19)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육아일기 기능 제공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providing a parenting diary fun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사용자 입력정보에 의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육아 대상 및 그 육아대상에 대한 고유정보를 등록하는 과정과.Registering at least one parenting object and unique information about the parenting object based on user input information; 상기 등록된 육아대상에 대한 육아정보를 입력받는 과정과,Receiving the child care information for the registered child care target; 상기 육아정보가 입력되면 이를 날짜별로 저장하는 과정과,Storing the child care information by date when the child care information is input; 사용자 요청이 있으면 상기 저장된 육아정보를 사용자가 원하는 기간별로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육아일기 기능 제공 방법.The method of providing a parenting diary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displaying the stored child care information for each user desired period when a user reques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육아 정보를 입력 받는 과정은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cess of receiving the child care information 사용자의 육아정보 입력 시 상기 등록된 육아 대상에 대한 육아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창을 표시부에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육아일기 기능 제공 방법.And generating an input window for receiving the child care information on the registered child care object on a display unit when the child care information is input by the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정보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nique information 육아대상의 성별, 이름, 생년월일, 출생당시의 키와 몸무게, 질병에 대한 시기별 예방접종 예정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육아일기 기능 제공 방법.A method of providing a parenting diary fun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gender, name, date of birth, height and weight at the time of birth, and information on vaccination schedule for each dise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gistration process 상기 육아대상의 생년월일로부터 시간을 카운트하여 상기 육아대상의 백일이나 일주년 및 생일을 나타내는 기념일, 질병에 대한 시기별 예방 접종일, 바이오 리듬이나 토정비결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특정일 알림 기능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육아일기 기능 제공 방법.Counting the time from the date of birth of the child care target to set a specific day notification function that provides data, including an anniversary indicating the hundred days or one year and the birthday of the child care target, the date of vaccination for each disease, biorhythm or secret A method of providing a parenting diary fun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ing the ste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육아정보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arenting information 상기 육아대상의 현재 키와 몸무게와 모습 및 행동을 나타내는 메모, 단일 이미지 프레임인 사진, 연속된 이미지 프레임인 동영상 및 질병에 대한 예방접종 결과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육아일기 기능 제공 방법.Providing a parenting diary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memo indicating the current height, weight, appearance and behavior of the parenting target, a picture as a single image frame, a video as a continuous image frame, and a vaccination result for a disease Way.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메모는 텍스트 메모 또는 음성 메모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육아일기 기능 제공 방법.The memo is a text memo or voice memo any on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mobile memo.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generating step 상기 등록된 육아 대상에 대한 육아정보를 텍스트 및 이미지로 입력할 수 있는 육아정보 입력창을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육아일기 기능 제공 방법. Childcare diary providing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a child care information input window for inputting the child care information for the registered child care targets in text and imag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toring process 사용자 입력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육아정보 입력창에 육아대상의 육아정보를 나타내는 텍스트를 입력받는 단계와,Receiving text indicating child care information of a child care target in the child care information input window based on user input information; 소정키가 입력되면 사용자가 상기 입력창에 입력할 현재 육아 대상의 이미지 프레임을 선택하기 위한 항목들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Displaying items for selecting an image frame of a current parenting target to be input to the input window when a predetermined key is input; 사용자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선택된 항목의 이미지 프레임을 상기 입력창의 소정 위치에 기 설정된 크기로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Displaying an image frame of an item selected on the basis of user selection information in a predetermined siz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input window; 확인 키 입력이 있으면 상기 육아정보 입력창에 입력된 육아정보를 날짜별로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육아일기 기능 제공 방법.If there is a confirmation key input method for providing a child care dia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storing the child care information entered in the child care information input window by date.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소정키는 메뉴 키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육아일기 기능 제공 방법.The predetermined key is a menu key providing method of the parenting diar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toring process 상기 소정키가 입력되면 사용자가 상기 입력창에 입력할 현재 육아 대상의 이미지 프레임을 선택하기 위한 항목들을 섬-네일 형태로 디스플레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육아일기 기능 제공 방법.When the predetermined key is input, the method for providing a parenting dia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displays the items for selecting the image frame of the current parenting target to be input in the input window in the form of a thumbnail.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저장된 육아정보를 적외선 통신(IrDA)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통해 개인 컴퓨터로 전송하여 백업(Back-up)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육아일기 기능 제공 방법.And transmitting the stored child care information to a personal computer through infrared communication (IrDA) or Bluetooth communication to back-up.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저장된 육아정보를 범용 직렬 버스(USB)로 전송하여 백업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육아일기 기능 제공 방법.A method of providing a parenting diary fun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backing up the stored child care information through a universal serial bus (USB).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저장된 육아정보를 별도의 서버로 전송하여 백업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육아일기 기능 제공 방법.Child care diary providing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backing up the stored child care information to a separate serv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splay process 사용자의 육아정보 디스플레이 요청이 있으면 디스플레이 할 육아정보의 종류를 상기 사용자가 선택하기 위한 항목들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Displaying items for the user to select a type of parenting information to display when a user requests display of parenting information; 사용자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선택된 항목의 육아정보를 최초 저장일을 디폴트(Default)로 하여 날짜별로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육아일기 기능 제공 방법.A method for providing a parenting diary fun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displaying the parenting information of the selected item based on the user selection information by date by default to the initial storage date (Default).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하기 위한 항목들은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items for the user to select 육아정보를 나타낸 메모, 사진, 동영상, 질병에 대한 예방접종 결과 및 모든 육아정보를 볼 수 있는 전체보기 항목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육아일기 기능 제공 방법.A method for providing a parenting diary fun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memo, a picture, a video showing child care information, a vaccination result for a disease, and a full view item for viewing all child care information. 제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육아대상의 특정일 알림 기능이 설정되면 시간을 카운트하는 과정과,Counting time when the notification function for the specific day of the child care target is set; 상기 카운트 결과 설정된 특정일이 되면 이를 알리는 알람을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육아일기 기능 제공 방법.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outputting an alarm for notifying when a specific date is set as a result of the counting.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output process 상기 기념일이 되면 폰 북에 저장된 전화번호들 중 미리 등록된 전화번호로 이를 알리는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육아일기 기능 제공 방법.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informing of this to the pre-registered phone number of the phone numbers stored in the phone book, characterized in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20050009548A 2005-02-02 2005-02-02 Method for offering childcare diary func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635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548A KR100663569B1 (en) 2005-02-02 2005-02-02 Method for offering childcare diary func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548A KR100663569B1 (en) 2005-02-02 2005-02-02 Method for offering childcare diary func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8638A KR20060088638A (en) 2006-08-07
KR100663569B1 true KR100663569B1 (en) 2007-01-02

Family

ID=37176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9548A KR100663569B1 (en) 2005-02-02 2005-02-02 Method for offering childcare diary func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356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5066A (en) * 2004-10-20 2006-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Infant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for mobile pho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5066A (en) * 2004-10-20 2006-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Infant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for mobile phon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6003506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8638A (en) 2006-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866404B (en) Video edit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0810303B1 (en) Method for displaying and transmitting data in wireless terminal
JP2004128607A (en) Portable telephone
JP4924442B2 (en) Playback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JP2008507227A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with picture-in-picture capabilities
EP3258414B1 (en) Promp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hotographing
JP6108755B2 (en) Shooting device, shot image transmission method, and shot image transmission program
JP2014038429A (en) Image processor,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KR100663569B1 (en) Method for offering childcare diary func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4501739B2 (en) Imaging apparatus, imaging method, and program
JP2011010007A (en) Electronic apparatus, image output method, and program
JP2011022420A (en) Image display device
JP2009181210A (en) Display control method, server, display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JP5549060B2 (en) Digital photo frame and digital photo frame system
KR100703944B1 (en) Image and audio reproducing apparatus, image and audio reproduc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computer readable program code means related thereto
JP2014027424A (en)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20060053477A (en) Method and system for storing image information
JP5950589B2 (en) IMAGING DEVICE, IMAG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2001218176A (en) Video and audio communication processing mechanism
JP2020046901A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WO2021237744A1 (en) Photograph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628072B1 (en) Method for editing and transmitting a photo and mobile phone using the same
JP490089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progra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2004226279A (en) Download system for liquid crystal timepiece
JP2017135474A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device, control program, and method for operating electronic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