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3160B1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remote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remote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3160B1
KR100663160B1 KR1020040040880A KR20040040880A KR100663160B1 KR 100663160 B1 KR100663160 B1 KR 100663160B1 KR 1020040040880 A KR1020040040880 A KR 1020040040880A KR 20040040880 A KR20040040880 A KR 20040040880A KR 100663160 B1 KR100663160 B1 KR 100663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er
display device
remote display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08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115666A (en
Inventor
김유식
Original Assignee
김유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식 filed Critical 김유식
Priority to KR1020040040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3160B1/en
Publication of KR20050115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56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3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31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제공한 문자, 화상, 동영상과 같은 디지털 컨텐츠를 여러 원격지점에 설치되어 있는 표시 장치에 제공하여 방영되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content such as text, images, and moving images provided by a user to a display device installed at various remote locations for airing.

본 발명에서는 여러 지점에 통신 기능을 가지는 현장 시스템인 원격지 표시 장치가 설치되며, 각각의 원격지 표시 장치는 중앙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과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다.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자신의 디지털 컨텐츠 및 식별 정보를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등록한 후 일정 시점에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특정 지점코드를 입력하면, 상기 사용자가 미리 등록하였던 디지털 컨텐츠가 상기 입력된 지점 코드에 해당하는 지점의 원격지 표시 장치 상에서 즉시 구동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remote display device, which is a field system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is installed at various points, and each remote display device is connected to a central content providing system through a network. When a user registers his or her digital content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 content providing system through the Internet and inputs a specific point code using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at a certain point in time, the digital content previously registered by the user is input to the input point code. It is immediately driven on the remote display device at that point.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미리 등록한 소정의 컨텐츠를 희망 지점과 희망 시점에 소정 원격지 표시 장치에 실시간으로 방영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시공을 초월해 자신의 컨텐츠에 대한 소비 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edetermined content registered in advance by the user can be broadcasted in real time to the desired remote display device at the desired point and the desired time point, the user can increase the consumption satisfaction of his or her content beyond construction. .

핸드폰, 인터넷, 원격지 표시장치, 컨텐츠Mobile Phone, Internet, Remote Display, Content

Description

원격지 표시 장치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remote display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to remote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지 표시 장치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to a remot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2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각 서버의 상세 구조도이다. 3 is a detailed structural diagram of each server shown in FIG.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인터넷 웹 페이지와 왑 페이지에 대한 정보입력사항의 구성도이다.5A and 5B are diagrams illustrating configuration of information input items for an Internet web page and a swap page in a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원격지의 표시 장치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to a remote display device.

최근 PDP나 LCD 등 대형 디지털 표시 장치의 보급이 급격하게 증가됨에 따라 가정용 영상매체로써의 한계를 넘어 상업용 영상매체의 용도로 사용하는 사례가 늘 어나고 있다. 특히, 다수의 위치에 표시 장치(이하, 다지점 표시 장치라고 명명함)를 위치시키고 각각의 표시 장치를 통하여 상업용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급속하게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Recently, as the spread of large digital display devices such as PDPs and LCDs has been rapidly increased, more and more cases have been used for commercial video media beyond the limit as a home image media. In particular, services for locating display devic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multi-point display devices) at a plurality of locations and providing commercial contents through each display device are rapidly increasing.

이와 같은 다지점 표시 장치를 통한 컨텐츠 서비스 방식에서, 종래에는 중앙 서버시스템이 일괄적으로 컨텐츠를 편성하고 해당 컨텐츠를 다지점 표시 장치에 방영시키는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불특정 다수의 개인 컨텐츠를 각 지점별로 선별하여 서비스하기는 곤란한 체계를 갖고 있다. In the content service method through the multi-point display device, since the central server system provides a service in a manner of collectively organizing the content and broadcasting the content to the multi-point display device, a large number of unspecified personal contents are provided. It is difficult to select and service each branch office.

또한 최근에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SMS 즉,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방송 중에 문자 자막을 송출할 수 있는 시스템 및 서비스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서비스는 사용자가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작성한 문자 메시지를 표시 장치상에 직접 송출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화상이나 동영상과 같은 컨텐츠의 경우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와 표시 장치와의 화면크기와 선명도의 격차로 인하여 직접적인 서비스가 곤란하다.Recently, a system and a service capable of transmitting text subtitles during broadcasting through SMS, that is, a text message service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However, this service is a method of sending a text message written by a user directly on the display device. Therefore, in the case of content such as an image or a video, the screen size and clarity between the mobile device and the display device are different. Direct service is difficult.

그러므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컨텐츠를 다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각 표시 장치에 용이하게 제공할 수 이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which can easily provide content to each display device arrang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인터넷을 통하여 특정 원격지의 표시 장치에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상기 표시 장치를 구동시키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and a method for driving the display device by providing a large amount of multimedia content to a display device at a specific remote location in real time through the Internet.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소정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원격지에 배치된 특정 표시 장치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user to display predetermined multimedia content on a specific display device remotely located using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제1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수의 지점에 설치되어 있는 원격지 표시 장치와 연결되어, 각 표시 장치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상기 원격지 표시 장치가 설치된 각 지점에 대한 지점 코드 및 원격지 표시 장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현장정보 데이터베이스; 사용자가 등록한 컨텐츠 및 사용자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예약정보 데이터베이스; 제2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지점 코드 및 사용자 식별 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예약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어 있는 컨텐츠를 추출하는 컨텐츠 방영 제어부; 및 상기 추출된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지점 코드에 대응하는 원격지 표시 장치로 제공하는 컨텐츠 송출부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remote display device installed at a plurality of points through a first network, and provides a content to each display device. A site information database that stores a point code and information about a remote display device for each point where the remote display device is installed; A reservation information database storing contents registered by a user an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content broadcasting control unit which extracts a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reservation information database when a point code an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re provided from a user terminal connected through a second network; And a content transmitting unit providing the extracted content to a remote display apparatus corresponding to a point code provided from the user terminal.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제1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시스템에 접속하여 방영하고자 하는 컨텐츠 및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지점 코드 및 사용자 식별 정보를 상기 시스템으로 제공하는 제2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a first terminal accessing the system through the first network and providing content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be aired; And a second terminal providing the branch code and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ystem through the second network.

또한, 상기 원격지 표시 장치는 컨텐츠를 방영하는 표시부; 상기 원격지 표 시 장치는 상기 컨텐츠 제공 시스템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현장 통신부; 및 상기 현장통신부를 통해 상기 컨텐츠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받은 컨텐츠를 상기 표시부로 제공하여 방영되도록 하고, 상기 컨텐츠의 방영 동작 결과를 체크하여 그에 따른 방영결과로그를 생성하는 현장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상기 원격지 표시 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방영 성공 또는 오류 발생 여부를 나타내는 방영결과로그가 전송되면, 상기 로그를 토대로 방영 결과를 기록하고, 방영결과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방영결과로그부; 및 상기 방영결과가 기록되는 방영로그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emote display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that broadcasts content; The remote display device is a field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a field controller configured to provide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through the field communication unit to the display unit for the display unit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check the result of the operation of the content to generate a broadcast result log accordingly. In this case, when the contents providing system transmits a broadcasting result log indicating whether the contents are successfully broadcasted or an error occurred from the remote display apparatus, the contents recording system records the broadcasting result based on the log and transmits the broadcasting result to the user terminal. Result log section; And a broadcasting log database in which the broadcasting result is recorde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수의 지점에 설치되어 있는 원격지 표시 장치 상에 사용자가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의 컨텐츠 제공 방법에서, a) 사용자가 제1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하여 상기 원격지 표시 장치 상에서 방영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면, 상기 컨텐츠를 등록시키는 단계; 및 b) 사용자가 제2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하여 등록된 컨텐츠의 방영을 요청하면, 상기 다수의 지점에 설치된 원격지 표시 장치 중 소정의 표시 장치로 상기 등록된 컨텐츠를 제공하여 방영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a)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컨텐츠를 방영하고자 하는 원격지 표시 장치를 선택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원격지 표시 장치에 대응하여 상기 제공되는 컨텐츠와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등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컨텐츠 방영 요청에 따라 상기 등록된 원격지 표시 장치로 상기 등록된 컨텐츠를 제공하여 방영되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ent providing method of a system that allows a user to provide content on a remote display device installed at a plurality of points over a network, a) a user Registering the content when the content to be broadcasted on the remote display device is provided through a network; And b) when the user requests to broadcast the registered content by connecting through the second network, providing the registered content to a predetermined display device among the remote display devices installed at the plurality of points to be broadcasted. . In this case, step a) may include requesting the user to select a remote display apparatus to which the content is to be broadcast; And registering the provided content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n response to the remote display device selected by the user, wherein step b) includes registering the content with the registered remot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content broadcasting request. Can be provided to be broadcas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수의 지점에 설치되어 있는 원격지 표시 장치 상에 사용자가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의 컨텐츠 제공 방법에서, a) 사용자가 제1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하여 상기 원격지 표시 장치 상에서 방영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면, 상기 컨텐츠와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등록시키는 단계; b) 사용자가 제2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하여 등록된 컨텐츠의 방영을 요청하면, 상기 사용자가에게 상기 컨텐츠를 방영하고자 하는 원격지 표시 장치를 선택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가 소정의 원격지 표시 장치를 선택하면,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토대로 등록되어 있는 컨텐츠를 찾는 단계; 및 d) 상기 컨텐츠를 사용자가 선택한 원격지 표시 장치로 제공하여 방영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ent providing method of a system that allows a user to provide content on a remote display device installed at a plurality of points via a network, a) a user Registering contents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when the contents are to be broadcasted on the remote display device through a network; b) requesting the user to select a remote display apparatus to which the content is to be broadcasted when the user connects through a second network and requests to broadcast the registered content; c) when the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remote display device, finding the registered content based on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user's terminal; And d) providing the content to a remote display device selected by the user so that the content is broadcasted.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컨텐츠를 방영한 원격지 표시 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 방영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는지 또는 오류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방영결과가 전송되는 단계; 상기 방영 결과가 전송되면 방영결과를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방영 결과를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having the above characteristics comprises the steps of: transmitting a broadcasting result indicating whether the contents broadcasting is normally performed or an error has occurred from the remote display apparatus that broadcasts the contents; Recording the airing result when the airing result is transmitted; And notifying a user of the broadcasting result.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에서, 상기사용자 식별 정보는 무선 단말기에 부여되는 전화번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네트워크는 유선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는 무선 네트워크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features as described above,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a telephone number assigned to the wireless terminal. In addition, the first network may be a wired network, and the second network may be a wireless network.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 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지 표시 장치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to a remot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지 표시 장치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는 원격지에 위치된 다수의 표시 장치에 소정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특정 컨텐츠를 제공하며, 특히, 사용자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상기 표시 장치들로 제공한다. In a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to a remot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ecific content is provided to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according to a request of a predetermined user. Provide multimedia content to the display devices.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첨부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다수의 지점에 설치된 원격지 표시 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 시스템과 연결되어 있다.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는 PC 와 같은 인터넷 웹 접속 접속장치를 통해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여 컨텐츠 파일과 자신의 식별 정보를 등록한 후, 핸드폰과 같은 모바일 왑 접속장치를 통해서 특정 지점의 원격지 표시 장치에 대하여 상기 등록한 컨텐츠를 방영하는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지정한 소정 지점에 위치된 원격지 표시 장치로 상기 방영을 요청한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원격지 표시 장치 상에 예약된 컨텐츠가 표시된다. To this e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remote display devices installed at a plurality of points are connected to a content providing system through a network. A plurality of unspecified users access a content providing system through an internet web access device such as a PC to register a content file and thei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n, for a remote display device at a specific point through a mobile swap connection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Request to broadcast the registered content. Accordingly,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provides the requested content to the remote display device located at a predetermined point designated by the user, so that the reserved content is displayed on the remote display device.

이하의 실시 예에서 컨텐츠는 문자(Text), 정지화상, 및 동영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표시 장치는 PDP, LCD, LED, Beam Projector, 및 CRT 등과 같이 디지털 영상신호를 표출하는 영상장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컨텐츠를 방영한다는 것은 표시 장치가 제공된 컨텐츠를 표시 및 재생시키는 동작을 의미한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content includes text, still images, and video. In addition, the digital display device includes an image device for displaying a digital image signal such as a PDP, LCD, LED, Beam Projector, and CRT. And broadcasting the content means an operation of displaying and playing the provided content by the display device.

다음에는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지 표시 장치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Next,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a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to a remot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featur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 및 도 3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지 표시 장치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2 and 3 illustrate a structure of a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to a remot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한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지 표시 장치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이하, 컨텐츠 제공 시스템이라고 명명함)(30)은 네트워크(인터넷, 무선 인터넷 등 유무선 형태의 모든 네트워크 포함)를 통하여 다수 지점에 위치되어 있는 다수의 원격지 표시 장치(10)와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이외에도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40)와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2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이동 통신사 시스템(60)과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원격지 표시 장치(10), 사용자 단말기(40) 및 이동 통신사 시스템(60)과 컨텐츠 제공 시스템(30) 사이에 연결된 네트워크를 유선 네트워크인 인터넷(20)이라고 명명하고, 사용자 단말기(40)와 이동 통신사 시스템(60) 사이에 연결된 네트워크를 무선 네트워크인 모바일 통신망(50)이라고 명명한다. 그러나, 각 장치 또는 시스템 사이에 형성되는 네트워크를 상기 예시한 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As shown in FIG. 2, a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to a remot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ntent providing system) 30 is a network (internet, wireless Internet, etc.). It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remote display device 10 is located at a plurality of points, and in addition to the user terminal 40 through a network, the user terminal 20 is a mobile carrier through the network May be connected to the system 60.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network connected between the remote display apparatus 10, the user terminal 40, the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system 60, and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30 will be referred to as a wired network, the Internet 20, A network connected between the user terminal 4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system 60 is calle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50 which is a wireless network. However, the network formed between each device or system is not limited to that illustrated above.

원격지 표시 장치(10)는 컨텐츠를 표시하는 PDP, LCD, CRT 등과 같은 표시부(11)와, 표시부(11)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여 표시 동작이 수행되도 록 하거나 컨텐츠 표시에 따른 방영결과로그를 생성하는 현장 제어부(12), 및 인터넷(20)을 통해 컨텐츠 제공 시스템(30)과 통신하여 제공되는 컨텐츠를 수신하거나 상기 방영결과로그를 송신하는 현장 통신부(13)를 포함한다. 현장 제어부(12)는 컴퓨터, 셋톱박스 등 프로세서 기능을 갖는 전산장치가 이용될 수 있으며, 현장 통신부(13)는 유/무선 LAN 등의 전용선 또는 ISP 사업자가 제공하는 통신망 등의 매체를 통하여 네트워크(20)에 접속 가능한 통신 단말기일 수 도 있다.The remote display apparatus 10 provides a display unit 11 such as a PDP, an LCD, a CRT, or the like to display content, and provides the multimedia content to the display unit 11 to perform a display operation or generate a broadcast result log according to the content display. The field control unit 12, and the field communication unit 13 for receiving the content provided by communicating with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30 through the Internet 20 or transmits the broadcast result log. The field controller 12 may be a computer device having a processor function such as a computer or a set-top box, and the field communication unit 13 may be connected to a network through a medium such as a dedicated line such as a wired / wireless LAN or a communication network provided by an ISP operator. 20) may be a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connected to.

사용자 단말기(40)는 인터넷(20)을 통해 상기 컨텐츠 제공 시스템(10)에 접속할 수 있는 웹 접속 기능을 가지는 제1 단말기(41), 모바일 통신망(50)을 통해 상기 컨텐츠 제공 시스템(30)에 접속할 수 있는 왑 접속 기능을 가지는 제2 단말기(42)를 포함한다. The user terminal 40 is connected to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30 through the first terminal 41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50 having a web access function for accessing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 through the Internet 20. And a second terminal 42 having a swap connectable function.

제1 단말기(41)는 인터넷으로 접속할 수 있는 웹브라우저를 포함하는PC, 인터넷 접속 가능한 TV 등의 통신 장치일 수 있으며, 제2 단말기(42)는 국제표준의 무선응용통신규약(WAP :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에 따라 무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PDA, 휴대폰 등의 무선 단말기일 수 있다. 여기서는 사용자 단말기(40)가 제1 단말기(41)와 제2 단말기(42)로 나뉘어진 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와는 달리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가 웹 접속 기능 및 왑 접속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도 있다. The first terminal 41 may be a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PC including a web browser capable of accessing the Internet, a TV capable of accessing the Internet, and the second terminal 42 is a wireless application communication protocol (WAP: Wireless Application) of international standards. Protocol) may be a wireless terminal such as a PDA, a mobile phone, etc. capable of wireless Internet access. In this example, the user terminal 40 is divided into a first terminal 41 and a second terminal 42. For example, a user terminal performs both a web access function and a swap access function. It may be done.

이동통신사 시스템(60)은 사용자 단말기(40)와 모바일 통신망(50)을 통해 통신하는 모바일 통신부(61), 컨텐츠 제공 시스템(10)과 인터넷(20)을 통해 통신하는 인터넷 통신부(62)를 포함한다. 모바일 통신부(61)는 이동통신사별로 다양한 무선 인터넷 접속방식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40)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KT의 경우는 Nate-On, KTF의 경우는 Magic-N, LGT의 경우는 Easy-I를 통해 접속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1004와 같은 핫넘버 인터넷접속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system 60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unit 61 which communicates with the user terminal 4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50, and an internet communication unit 62 which communicates with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 through the Internet 20. do.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61 may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40 according to various wireless Internet access methods for each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For example, SKT can be accessed through Nate-On, KTF through Magic-N, and LGT through Easy-I. In addition, a hot number internet connection method such as ** 1004 can be used.

한편,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원격지 표시 장치(10), 사용자 단말기(40), 그리고 이동 통신사 시스템(60)과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어, 사용자가 원격으로 상기 원격지 표시 장치(10) 상에서의 컨텐츠 표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를 기록 및 검색하거나 통신을 관장하는 처리 서버(31)와 처리 서버(31)에 의해 기록된 데이터 및 컨텐츠 파일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32)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it is connected to the remote display device 10, the user terminal 4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system 60 having a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via a network, so that the user remotely on the remote display device 10 As shown in FIG. 3,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30 which enables to control the display of the content includes the data recorded by the processing server 31 and the processing server 31 that record and retrieve data or manage communication. And a database server 32 for storing content files.

처리 서버(31)는 다수 지점에 위치된 원격지 표시 장치들에 대한 현장정보를 등록하는 현장정보 등록부(311), 사용자의 예약정보와 컨텐츠 파일을 등록하는 예약정보 등록부(312), 사용자의 방영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소정 원격지 표시 장치의 컨텐츠 방영 동작을 수행하는 컨텐츠 방영 제어부(313), 상기 컨텐츠 방영 제어부(313)의 제어에 따라 예약된 컨텐츠를 원격지 표시 장치(10)에 송출하는 컨텐츠 송출부(314)를 포함한다. 이외에도 원격지 표시 장치의 컨텐츠 표시에 따라 제공되는 방영결과로그를 관리하는 방영결과 로그부(315), 및 각 장치와 인터넷을 통하여 통신하는 서버 통신부(316)를 포함한다.The processing server 31 may include a site information register 311 for registering site information on remote display devices located at a plurality of points, a reservation information register 312 for registering a user's reservation information and a content file, and a user's broadcast request. A content broadcasting control unit 313 which receives information and performs a content broadcasting operation of a predetermined remote display device, and a content transmitting unit which transmits the reserved content to the remote display device 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ent broadcasting control unit 313; 314). In addition, a broadcasting result log unit 315 for managing the broadcasting result log provided according to the content display of the remote display device, and a server communication unit 316 for communicating with each device via the Internet.

데이터베이스 장치(32)는 현장정보 데이터베이스(321), 예약정보 데이터베이스(322), 방영로그 데이터베이스(323)를 포함한다. The database device 32 includes a site information database 321, a reservation information database 322, and a broadcast log database 323.

현장정보 데이터베이스(321)에는 각각의 지점에 위치된 원격지 표시 장치별 로 현장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현장 정보는 각 지점에 부여된 지점코드, 각 지점을 나타내는 명칭, 해당 원격지 표시 장치에 포함된 표시 장치의 종류 및/또는 크기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ite information database 321 stores site information for each remote display device located at each point. The site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a point code assigned to each point, a name indicating each point, a type and / or size of a display device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remote display device.

예약정보 데이터베이스(322)에는 사용자별로 등록한 예약 정보 및 컨텐츠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ID 등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등록한 컨텐츠, 그리고 컨텐츠 구동을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 예약일을 포함하는 예약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The reservation information database 322 stores reservation information and content information registered for each user. For example, contents registered by the user in correspondence with the ID of the user, and reserv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driving the content and the reservation date are stored.

여기서, 사용자 식별 정보는 사용자가 제2 단말기(42)를 통하여 시스템(30)에 접속하여 소정 지점에 위치한 원격지 표시 장치(10)로의 컨텐츠 방영을 요청할 경우, 시스템에서 상기 컨텐츠 방영을 요청한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보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제2 단말기(42)를 통해 접속한 경우 별도로 자신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입력하는 등의 번거로운 과정을 피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식별 정보로서 제2 단말기의 무선 번호(예를 들어, 핸드폰 번호, 또는 무선 단말기 자체에 부여된 하드웨어 식별 번호 등)를 사용한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인 무선 번호로 핸드폰 전화 번호를 사용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Here,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entifies a user who requested the content broadcast in the system when the user accesses the system 30 through the second terminal 42 and requests the content broadcast to the remote display apparatus 10 located at a predetermined point. Information to make it possible. Particular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accesses through the second terminal 42, the wireless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may be used a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so as to avoid a cumbersome process such as inputting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user separately. A number (for example, a mobile phone number or a hardware identification number assigned to the wireless terminal itself) is us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a mobile phone number is used as a wireless number, which i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user,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방영로그 데이터베이스(323)는 각 지점의 원격지 표시 장치별로 컨텐츠 방영 결과에 대한 정보 즉, 방영 결과 로그가 저장되어 있다. 방영결과 로그는 해당 컨텐츠 방영의 성공 여부, 로그 시각을 포함하며, 또는 오류 발생한 경우 오류로그를 포함한다. The broadcast log database 323 stores information on a content broadcast result, that is, a broadcast result log, for each remote display device at each point. The broadcast result log includes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content broadcast, the log time, or an error log if an error occurs.

위의 실시 예에서 각 서버(31,32)의 처리부(311∼316)와 데이터베이스 (321∼323)가 설명의 편의상 기능에 따라 분류한 것이며, 본 발명은 이러한 분류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processing units 311 to 316 and the databases 321 to 323 of the servers 31 and 32 are classified according to function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classification.

다음에는 이러한 구조를 토대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지 표시 장치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providing content to a remot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such a structure.

도 4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 컨텐츠를 등록하고 이를 원격지 표시 장치로 제공하여 구동시키는 동작 흐름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quence of operations for registering content in a content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roviding the same to a remote display device to drive the content.

사용자가 소정 지점에 위치한 원격지 표시 장치(10) 상에 특정 컨텐츠를 방영하고자 하면, 먼저, 컨텐츠 제공 시스템(30)에 접속하여 방영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등록시킨다. When a user wants to broadcast specific content on the remote display device 10 located at a predetermined point, the user first accesses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30 to register the content to be broadcasted.

즉, 사용자는 제1 단말기(41)를 통해 컨텐츠 제공 시스템(10)에 접속하며 (S100), 이에 따라 컨텐츠 제공 시스템(10)의 예약정보 등록부(312)는 컨텐츠 예약메뉴를 제공한다(S100∼S110). That is, the user accesses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 through the first terminal 41 (S100), and accordingly, the reservation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312 of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 provides a content reservation menu (S100 ~). S110).

사용자는 제공되는 컨텐츠 예약 메뉴를 통하여 자신의 성명, 그리고 제2 단말기(42)의 무선 번호 즉, 핸드폰 번호를 등록하고, 방영하고자 하는 컨텐츠 파일을 컨텐츠 제공 시스템(30)으로 제공한다(S120). 도 5a에 사용자단말기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 예약 메뉴 화면 및 그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예약 정보가 예시되어 있다. The user registers his / her name and the wireless number of the second terminal 42, that is, the mobile phone number, through the provided content reservation menu, and provides the content file to be broadcasted to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30 (S120). 5A illustrates a content reservation menu screen displayed on a user terminal and corresponding reservation information input by a user.

컨텐츠 제공 시스템(30)의 예약 정보 등록부(312)는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성명, 핸드폰 번호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기(4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를 예약 정보 데이터베이스(322)에 저장한다. 이 때, 부가적으로 상기 컨텐츠를 등록한 등록 일자도 함께 저장할 수 있다(S130).The reservation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312 of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30 stores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user terminal 40 in the reservation information database 322 in response to a user name and a mobile phone number input by the user. At this time, the registration date that additionally registered the content may be stored together (S130).

한편, 예약 정보 등록 완료후, 예약 정보 등록부(312)의 새로운 컨텐츠 등록 완료 표시에 따라 컨텐츠 제공 시스템(10)의 담당자가 직접 등록된 컨텐츠가 방영하기에 적합한 지의 여부를 검수할 수 있으며, 또는 예약 정보 등록부(312)가 자체적으로 상기 컨텐츠의 방영 적합성 여부를 검수할 수도 있다(S140). 그리고, 검수 결과에 따라 상기 컨텐츠에 대한 방영 여부를 결정하고, 방영에 적합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통보하여(예를 들어 등록된 핸드폰 번호로 방영 불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방영 불가를 알려줄 수 있다(S140). 이러한 방영 적합성 검수 단계(S140)는 선택적으로 수행된다.Meanwhile, after the reservation information registration is completed, the person in charge of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 may directly check whether or not the registered content is suitable for airing according to the new content registration completion indication of the reservation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312, or reserve The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312 may check whether the content is airing suitability (S140).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nspection result, it is determined whether to broadcast the content, and if it is not suitable for the broadcast, the user can be notified (for example, a message for not broadcasting to the registered mobile phone number can be transmitted). There is (S140). This broadcast suitability check step (S140) is optionally performed.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원격지 표시 장치(10) 상에 방영하고자 하는 특정 컨텐츠를 등록시킨 후, 선택적으로 상기 컨텐츠를 특정 원격지 표시 장치(10)에 방영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user may register specific content to be broadcasted on the remote display 10 and then selectively control the content to be broadcasted to the specific remote display 10.

사용자는 자신이 예약 등록한 상기 식별 정보를 가지는 단말기 즉, 등록된 핸드폰 번호를 가지는 제2 단말기(42)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공 시스템(30)으로 접속한다(S150). The user connects to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30 using the terminal ha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user, that is, the second terminal 42 having the registered mobile number (S150).

사용자가 제2 단말기(42)를 이용하여 접속하면, 컨텐츠 제공 시스템(30)의 컨텐츠 방영 제어부(313)는 제2 단말기(42)로 컨텐츠 구동 메뉴를 제공한다. 컨텐츠 제공 시스템(30)으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구동 메뉴는 서버 통신부(316)를 통 하여 이동통신사 시스템(60)의 인터넷 통신부(62)로 제공된 다음에 모바일 통신부(61)를 통하여 사용자의 제2 단말기(42)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이러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30)과의 통신에 따라 이동통신사 시스템(60)이 미리 컨텐츠 구동 메뉴를 저장하고 있다가 모바일 통신망(50)을 통해 접속하는 사용자의 제2 단말기(42)로 제공할 수도 있다(S160). When the user connects using the second terminal 42, the content broadcasting control unit 313 of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30 provides a content driving menu to the second terminal 42. The content driving menu provid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30 is provided to the Internet communication unit 62 of the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system 60 throug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316 and then the user's second terminal (eg,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61). 42). Alternatively, the mobile telecommunication company system 60 may store the content driving menu in advance according to communication with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30, and provide the content driving menu to the second terminal 42 of the user connecting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50. There is (S160).

컨텐츠 구동 메뉴에서는 컨텐츠를 방영하고자 하는 지점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란이 제공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자신이 예약 등록한 컨텐츠를 방영할 위치에 대한 지점코드를 입력한다(S170). 도 5b에 사용자의 제2 단말기(42)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 구동 메뉴 및 그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지점 코드가 예시되어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컨텐츠 방영 가능한 지점의 코드를 기억하지 못할 수도 있으므로, 컨텐츠 구동 메뉴에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30)의 제어에 따라 컨텐츠를 방영할 수 있는 모든 지점에 대한 코드 정보를 제공하고, 이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가 지점 코드를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In the content driving menu, an input box for selecting a point where the content is to be broadcasted is provided. Accordingly, the user inputs a point code for a location where the user broadcasts the contents registered in advance (S170). In FIG. 5B, a content driving menu displayed on the user's second terminal 42 and a point code input by the user are illustrated. In this case, since the user may not remember the code of the point where the content can be broadcasted, the code information for all the points where the content can be broadcas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30 in the content driving menu is provided. Based on this, the user may be prompted for a point code.

사용자가 입력한 지점 코드는 이동통신사 시스템(60)의 모바일 통신부(61)로 수신되며(S180), 모바일 통신부(61)는 지점 코드와 함께 송신되는 사용자의 제2 단말기(42)의 핸드폰 번호를 판별한 후, 상기 지점 코드와 핸드폰 번호를 컨텐츠 제공 시스템(40)으로 전송한다(S190). 일반적인 이동 통신 기술에서 접속하는 무선 단말기의 핸드폰 번호를 추출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기술임으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The point code input by the user is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61 of the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system 60 (S18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61 stores the mobile phone number of the second terminal 42 of the user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point code. After the determination, the point code and the mobile phone number are transmitted to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40 (S190). Extracting a mobile phone number of a wireless terminal to be connected in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컨텐츠 제공 시스템(40)의 컨텐츠 방영 제어부(313)는 상기 사용자의 핸드폰 번호와 지점코드를 수신한 다음(S200), 상기 핸드폰 번호를 토대로 예약 정보 데이터베이스(322)를 검색하여, 상기 핸드폰 번호에 매칭되어 있는 컨텐츠를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지점 코드를 토대로 현장정보 데이터베이스(321)를 토대로 컨텐츠를 송신할 해당 지점의 원격지 표시 장치를 판단한다. The content broadcasting control unit 313 of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40 receives the mobile phone number and the branch code of the user (S200), searches the reservation information database 322 based on the mobile phone number, and matches the mobile phone number. Detect content that has been created Then, the remote display device of the corresponding point to which the content is to be transmitted is determined based on the field information database 321 based on the point code.

다음, 컨텐츠 방영 제어부(313)는 원격지 표시 장치에 대한 정보와 함께 검출된 컨텐츠를 컨텐츠 송출부(314)로 전달하면서 송출을 명령하며, 이에 따라 컨텐츠 송출부(314)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지점 코드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원격지 표시 장치(10)로 송신한다(S210). Next, the content broadcasting control unit 313 instructs the transmission while delivering the detected content together with the information on the remote display device to the content delivery unit 314, so that the content delivery unit 314 transmits the content to the point code. In operation S210, the remote display apparatus 10 transmits to the remote display apparatus 10 disposed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mote display apparatus 10. FIG.

상기 원격지 표시 장치(10)의 현장 제어부(12)는 현장 통신부(13)를 통해 컨텐츠 제공 시스템(30)으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면(S220), 상기 컨텐츠를 표시 장치(11)로 제공하여 표시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컨텐츠 방영이 이루어진다 (S230).The site controller 12 of the remote display device 10 receives the content from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30 through the field communication unit 13 (S220), and provides the content to the display device 11 for display. . Accordingly, the content is broadcasted (S230).

다음, 상기 컨텐츠의 방영이 성공적으로 종료되거나 또는 중간에 에러가 발생할 경우 현장 제어부(12)는 해당하는 방영로그결과를 컨텐츠 제공 시스템(40)으로 전송한다(S240). 컨텐츠 제공 시스템(30)의 컨텐츠 방영 제어부(313)는 전송된 방영로그결과를 방영로그 데이터베이스(323)에 저장하고(S250), 해당하는 방영 결과를 인터넷(20)을 통해 이동통신사 시스템(60)으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한다(S260). 이동통신사 시스템의 모바일 통신부(61)가 모바일 통신망(50)을 통해 상기 방영 결과에 대한 메시지를 사용자의 제2 단말기(42)로 전송함으로써(S270∼S280), 사용자는 자신이 요청한 컨텐츠에 대한 방영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 아니면 오류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S290).Next, when the broadcast of the content is successfully terminated or an error occurs in the middle, the field controller 12 transmits the corresponding broadcast log result to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40 (S240). The content broadcasting control unit 313 of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30 stores the transmitted broadcasting log result in the broadcasting log database 323 (S250), and the corresponding broadcasting result is carried out by the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system 60 through the Internet 20. In order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 to be provided (S260).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61 of the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system transmits a message about the result of the broadcasting to the second terminal 42 of the user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50 (S270 to S280), the user broadcasts the content requested by the user. Whether this is done successfully or whether an error has occurred can be checked in real time (S290).

한편, 위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왑 접속시에 지점 코드를 입력하면서 컨텐츠 방영을 요청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지점 코드를 입력하지 않아도 자신이 등록한 컨텐츠가 소정 원격지 표시 장치에서 방영되도록 할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user requests content broadcasting while inputting a branch code at the time of a swap connection. Alternatively, content registered by the user may be broadcasted on a predetermined remote display apparatus without inputting a branch code.

이 경우에는, 상기 컨텐츠 등록 단계(S120)에서 사용자가 미리 등록한 컨텐츠를 방영하기 위한 지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컨텐츠를 방영할 수 있는 모든 지점에 대한 코드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소정 지점을 선택하도록 하고, 선택된 지점 코드와 함께 제공하는 컨텐츠 그리고 사용자 식별 정보를 예약 정보 데이터베이스(322)에 대응시켜 저장한다.In this case, the content registration step (S120) allows the user to select a point for broadcasting the content registered in advance. For example, by providing the code information for all points that can broadcast the content to the user to select a predetermined point, and the content an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vided with the selected point code corresponding to the reservation information database 322 Save it.

따라서, 이후 사용자가 제2 단말기를 이용하여 접속한 경우에, 사용자가 별도의 지점 코드를 입력하지 않고도 소정의 단축키 등을 동작시켜 컨텐츠 방영을 요청하면, 시스템(30)의 컨텐츠 방영 제어부(313)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토대로 예약 정보 데이터베이스(322)를 검색하여 미리 선택된 지점 코드를 확인한 후, 상기 지점 코드에 해당하는 원격지 표시 장치로 등록되어 있던 컨텐츠를 제공하여 방영되도록 한다. Therefore, when the user subsequently connects using the second terminal, when the user requests a content broadcast by operating a predetermined shortcut key or the like without inputting a separate point code, the content broadcast control unit 313 of the system 30 is provided. After searching the reservation information database 322 based o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confirm the pre-selected point code, and provides the content registered to the remote display device corresponding to the point code to be broadcast.

그러므로, 사용자는 모바일 통신망에 접속된 상태에서 지점 코드를 입력하는 등의 과정 없이도 자신이 원하는 원격지에 설치된 표시 장치 상에서 등록한 컨텐츠가 방영되도록 할 수 있다. Therefore, the user can allow the registered content to be broadcasted on a display device installed at a remote location desired by the user without inputting a point code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한편, 위의 상기 컨텐츠 등록 단계(S120)에서 사용자가 미리 원격지 표시 장치를 선택하는 것 이외에도, 상기 표시 장치가 등록된 컨텐츠를 방영하는 시점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추후 사용자가 제2 단말기를 통하여 접속하여 방영을 요청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시점에서 선택된 원격지 표시 장치 상에 등록된 컨텐츠가 방영되도록 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the user selects the remote display device in advance in the content registration step (S120) above, it is possible to set the time when the display device broadcasts the registered content, so that the user later connects through the second terminal Even if the broadcast request is not performed, the registered content may be broadcast on the selected remote display device at the point of time set by the user.

또한, 위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접속하여 등록된 컨텐츠의 방영을 요청하였으나, 사용자가 유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접속하여 등록된 컨텐츠의 방영을 요청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lthough the user requests to broadcast the registered content by using a wireless terminal, the user may request to broadcast the registered content by using a wired terminal.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is well known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indicated by the claims. Anyone who owns it can easily find out.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는 아무리 용량이 크고 복잡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라도 인터넷을 통해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등록할 수 있고, 상기 등록한 컨텐츠를 원하는 현장과 원하는 시점에 언제든 노출시킴으로써 개인의 컨텐츠 소비에 대한 만족도를 충족시키게 되며, 다음과 같은 효과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register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through the Internet, no matter how large and complex, and the content of the individual by exposing the registered content at any time and at any desired time. Satisfaction with consumption is satisfied, and the following effects are provided.

첫째, 대중화되고 일괄적인 편성프로그램을 갖는 일반 방송매체에서는 구현하기 어려운 개인 컨텐츠를 옥내외의 상업용 표시 장치 매체를 통해 다양하게 타겟팅하여 방영할 수 있다.First, it is possible to target and broadcast various personal contents through indoor and outdoor commercial display media that are difficult to implement in general broadcasting media having a popular and collective programming program.

둘째, 기존 핸드폰 문자 메시지의 방송 표출방식은 작성 후 즉시 방영이라는 측면에서 나름대로 유효하기는 하나, 화상이나 동영상으로의 표출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와 표시 장치와의 해상도 격차로 상기 방식에서 서비스가 어려웠던 점에 비추어, 본 발명은 대형 사이즈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자유롭게 서비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econd, although the broadcasting expression method of the existing mobile phone text message is effective in that it is immediately broadcasted after writing, the expression of image or video is difficult to service in the above method due to the resolution gap between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and the display device. In light of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freely service large-scale multimedia contents.

셋째, 사용자가 이미 인터넷을 통해 등록한 컨텐츠를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통해 원하는 시점과 원하는 지점의 표시 장치에 즉시 표출할 수 있다.Third, content registered by the user through the Internet can be immediately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at a desired time point and a desired point through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without limitation of time and space.

 

Claims (13)

다수의 지점에 설치되어 있는 원격지 표시 장치와 연결되어, 각 표시 장치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In a system that is connected to a remote display device installed at a plurality of points to provide content to each display device, 상기 원격지 표시 장치가 설치된 각 지점에 대한 지점 코드 및 원격지 표시 장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현장정보 데이터베이스; A site information database storing a point code and information on a remote display device for each point where the remote display device is installed; 사용자가 등록한 컨텐츠 및 사용자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예약정보 데이터베이스; A reservation information database storing contents registered by a user an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제1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의 제1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및 사용자 식별 정보를 상기 예약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예약정보등록부;A reservation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that registers content an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a first terminal of a user through a first network to the reservation information database; 무선 네트워크인 제2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하는 사용자의 제2 단말기로부터 지점 코드 및 사용자 식별 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예약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어 있는 컨텐츠를 추출하는 컨텐츠 방영 제어부; 및A content broadcasting control unit configured to extrac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reservation information database when a point code an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re provided from a second terminal of a user connecting through a second network, which is a wireless network; And 상기 추출된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의 제2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지점 코드에 대응하는 원격지 표시 장치로 제공하는 컨텐츠 송출부Content delivery unit for providing the extracted content to the remote display device corresponding to the point code provided from the second terminal of the user 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Content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는 무선 단말기에 부여되는 전화번호인 컨텐츠 제공 시스템.And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 telephone number assigned to a wireless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네트워크는 유선 네트워크인 컨텐츠 제공 시스템.And the first network is a wired network.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원격지 표시 장치는The remote display device 컨텐츠를 방영하는 표시부;A display unit for broadcasting content; 상기 원격지 표시 장치는 상기 컨텐츠 제공 시스템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현 장 통신부; 및The remote display device includes a field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상기 현장통신부를 통해 상기 컨텐츠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받은 컨텐츠를 상기 표시부로 제공하여 방영되도록 하고, 상기 컨텐츠의 방영 동작 결과를 체크하여 그에 따른 방영결과로그를 생성하는 현장 제어부On-site control unit for providing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through the field communication unit to the display unit to be aired, and check the result of the operation of the content to generate a broadcast result log accordingly 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Content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6 상기 원격지 표시 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방영 성공 또는 오류 발생 여부를 나타내는 방영결과로그가 전송되면, 상기 로그를 토대로 방영 결과를 기록하고, 방영결과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방영결과로그부; 및 A broadcast result log unit for recording a broadcast result based on the log and transmitting the broadcast result to a user terminal when a broadcast result log indicating whether the content is successfully broadcast or an error occurs is transmitted from the remote display device; And 상기 방영결과가 기록되는 방영로그 데이터베이스Broadcast log database in which the broadcast result is recorded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Content provid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수의 지점에 설치되어 있는 원격지 표시 장치 상에 사용자가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의 컨텐츠 제공 방법에서,In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of the system for allowing a user to provide content on a remote display device installed at a plurality of points over a network, a) 사용자의 제1 단말기가 제1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하여 상기 원격지 표시 장치 상에서 방영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면, 상기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등록하는 단계;a) when the first terminal of the user connects through a first network to provide content to be broadcasted on the remote display device, registering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b) 사용자의 제2 단말기가 무선 네트워크인 제2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하여 등록된 컨텐츠의 방영을 요청하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컨텐츠를 방영하고자 하는 원격지 표시 장치를 선택하도록 요청하는 단계;b) requesting the user to select a remote display apparatus to which the content is to be broadcasted when the user's second terminal connects through a second network which is a wireless network and requests to broadcast the registered content; c) 상기 사용자의 제2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원격지 표시 장치에 해당하는 지점 코드가 제공되면,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토대로 등록되어 있는 컨텐츠를 찾는 단계; 및c) if a point code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remote display apparatus is provided from the second terminal of the user, finding the registered content based o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econd terminal; And d) 상기 컨텐츠를 상기 지점 코드에 해당하는 원격지 표시 장치로 제공하여 방영되도록 하는 단계d) providing the content to a remote display device corresponding to the point code to be broadcasted 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Content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는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의 전화 번호인 컨텐츠 제공 방법.And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 telephone number of a user's wireless terminal.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컨텐츠를 방영한 원격지 표시 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 방영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는지 또는 오류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방영결과가 전송되는 단계;Transmitting a broadcasting result indicating whether the contents broadcasting is normally performed or an error has occurred from the remote display apparatus that broadcasts the contents; 상기 방영 결과가 전송되면 방영결과를 기록하는 단계; 및Recording the airing result when the airing result is transmitted; And 상기 방영 결과를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단계Notifying a user of the airing result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Content provid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방영결과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Content providing method for transmitting the broadcast result to the user's wireless terminal via a wireless network.
KR1020040040880A 2004-06-04 2004-06-04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remote display device KR1006631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880A KR100663160B1 (en) 2004-06-04 2004-06-04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remot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880A KR100663160B1 (en) 2004-06-04 2004-06-04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remote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5666A KR20050115666A (en) 2005-12-08
KR100663160B1 true KR100663160B1 (en) 2007-01-02

Family

ID=37289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0880A KR100663160B1 (en) 2004-06-04 2004-06-04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remote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316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617B1 (en) * 2007-10-04 2010-05-27 주식회사 두올테크 Electric Display Board System Based on Web Brows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225Y1 (en) 1999-12-22 2000-05-15 주식회사엘지텔레콤 Wireless electric bulletin boar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KR20030045861A (en) * 2000-05-18 2003-06-12 주식회사엠디에스프레이닝 Duplex message service method for controling wireless display board system on interne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225Y1 (en) 1999-12-22 2000-05-15 주식회사엘지텔레콤 Wireless electric bulletin boar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KR20030045861A (en) * 2000-05-18 2003-06-12 주식회사엠디에스프레이닝 Duplex message service method for controling wireless display board system on intern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5666A (en) 2005-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26304B2 (en) Comment delivery system
CN104205085B (en) The seamless browsing of equipment room
KR10181040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data of peripheral device in portable terminal
CN1089517C (en) Internet accessing apparatus and system thereof
US20100100904A1 (en) Comment distribution system, comment distribution server, terminal device, comment distribu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WI416934B (en) Information delivery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appliances
JP509476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by cooperation of portable terminal and signage
KR101815203B1 (en) Contents service method
JP6806762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pushing information
US20140298249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service page for executing application
JP2005165491A (en) Information browsing device equipped with communication function
EP2012542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through bidirectional communication network
US20020030697A1 (en) Information read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ading method
JP2002175301A (en) Map information retrieving device and its method
JP2007115260A (en) Information-providing method, display control terminal, information-providing device, terminal, setting device, attachment and recording medium
KR101240747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sensing action, kiosk device and mobile device used in the same
JP2018195339A (en) System, server, and program for providing electronic manual
CN103748542A (en) On-screen setting interaction for interactive television
RU2714368C2 (en) Real-time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based on digital line using intelligent terminal and method of distributing information
KR101508943B1 (en) Contents service system and contents service method
KR100663160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remote display device
JPWO2010140202A1 (en) Replication support apparatus, terminal device, replication support method, and replication support program
KR10102890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rganizing and playing data
JP2002091990A (en) On-demand picture distribution server, picture resource database, client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retrieval result
KR101442746B1 (en) Management system based on mobile communication available to manage a large number of content providers of one video playback contents App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