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3035B1 - 휴대 전화기용 투명창 및 이를 갖는 휴대 전화기 - Google Patents

휴대 전화기용 투명창 및 이를 갖는 휴대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3035B1
KR100663035B1 KR1020060002600A KR20060002600A KR100663035B1 KR 100663035 B1 KR100663035 B1 KR 100663035B1 KR 1020060002600 A KR1020060002600 A KR 1020060002600A KR 20060002600 A KR20060002600 A KR 20060002600A KR 100663035 B1 KR100663035 B1 KR 100663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window
mobile phone
antistatic layer
antistatic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2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진
Original Assignee
(주) 태양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태양기전 filed Critical (주) 태양기전
Priority to KR1020060002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30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3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3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3/00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 H05F3/02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by means of earthing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 전화기용 투명창 및 이를 갖는 휴대 전화기가 개시되어 있다. 휴대 전화기는 액정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액정 표시 화면을 갖는 액정표시모듈, 액정표시모듈을 수납하는 리어 케이스, 액정 표시 화면 부분을 노출시키는 개구를 갖고 리어 케이스와 결합되는 프론트 케이스 및 개구에 배치되는 투명한 몸체, 액정 표시 화면과 마주보는 몸체의 제1 면상에 형성되어 몸체에 정정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대전 방지층, 제1 대전 방지막 상에 형성되며 제1 대전 방지막의 주변을 따라 형성된 인쇄 패턴 및 인쇄 패턴을 덮는 코팅층을 갖는 투명창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 전화기용 투명창 및 이를 갖는 휴대 전화기{DISPLAY WINDOW OF A MOBILE PHONE AND MOBILE PHONE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화기용 투명창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화기용 투명창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화기용 투명창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6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화기용 투명창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화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화기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화기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 이다.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용 투명창 및 이를 갖는 휴대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정전기에 의하여 미세 파티클의 부착을 방지한 휴대 전화기용 투명창 및 이를 이용하여 부피를 감소시킨 슬림형 휴대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널리 보급된 휴대 전화기는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 및 정보를 처리하는 정보 처리부로 구분할 수 있다.
영상 표시부는 정보 처리부에서 처리된 정보를 표시하며, 평판형 표시모듈, 표시모듈을 수납하는 케이스 및 케이스 중 평판형 표시모듈의 화면 부분에 배치된 투명창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투명창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투명한 합성수지 물질을 포함한다. 투명한 합성수지 물질을 포함하는 투명창에는 쉽게 정전기가 발생될 수 있고, 정전기에 의하여 투명창 주변의 미세한 파티클 등이 투명창에 부착될 수 있다.
평판형 표시모듈 및 투명창이 상호 이격 된 대부분의 휴대 전화기는 투명창에 미세한 파티클이 부착되어도 별다른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최근 들어, 휴대 전화기의 부피 및 무게가 감소되면서 평판형 표시 모듈 및 투명창 사이의 간격이 급격히 감소되고, 이로 인해 투명창에 부착된 파티클들이 인식되어 영상의 표시 품질이 급격히 감소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표시모듈을 보호 및 미세 파티클 등에 의한 오염을 방지한 휴대 전화기용 투명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된 휴대 전화기용 투명창을 이용하여 보다 슬림한 부피를 갖는 휴대 전화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휴대 전화기용 투명창은 투명한 몸체, 몸체의 제1 면상에 형성되어, 몸체에 정정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대전 방지층, 제1 대전 방지층상에 형성되며, 제1 대전 방지층의 주변을 따라 형성된 인쇄 패턴 및 인쇄 패턴을 덮는 코팅층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휴대 전화기는 액정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액정 표시 화면을 갖는 액정표시모듈, 액정표시모듈을 수납하는 리어 케이스, 액정 표시 화면 부분을 노출시키는 개구를 갖고 리어 케이스와 결합되는 프론트 케이스 및 개구에 배치되는 투명한 몸체, 액정 표시 화면과 마주보는 몸체의 제1 면상에 형성되어 몸체에 정정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대전 방지층, 제1 대전 방지막 상에 형성되며 제1 대전 방지막의 주변을 따라 형성된 인쇄 패턴 및 인쇄 패턴을 덮는 코팅층을 갖는 투명창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 전화기용 투명창 및 이를 갖는 휴대 전화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휴대 전화기용 투명창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화기용 투명창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휴대 전화기용 투명창(100)은 몸체(10), 제1 대전 방지층(20), 인쇄 패턴(25) 및 코팅층(35)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10)는 투명한 기판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몸체(10)는 직육면체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몸체(10)는 제1 면(1), 제1 면(1)과 대향하는 제2 면(2) 및 제1 및 제2 면(1,2)들을 연결하는 측면(3)들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10)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예로서는, 아크릴 계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계열 수지, 폴리 스티렌 계열 수지, 메타 스타일렌 계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10)는 약 0.3㎜ 내지 약 2.0mm의 두께 T1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10)의 두께 T1이 0.3㎜ 이하일 경우 몸체(10)의 강도가 매우 약 해지고, 몸체(10)의 두께 T1이 2.0㎜ 이상일 경우, 몸체(10)의 부피 및 중량은 크게 증가된다.
제1 대전 방지층(20)은 투명한 대전 방지 물질을 포함하며, 몸체(10)의 제1 면(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대전 방지층(20)은 제1 면(1) 상에 박막 형태로 형성 또는 시트(sheet) 형태로 제1 면(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대전 방지층(20)은 박막 형태로 제1 면(1) 상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대전 방지층(20)은 약 1㎛ 내지 약 50㎛의 두께 T2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대전 방지층(20)의 두께 T2가 약 1㎛ 이하일 경우, 제1 대전 방지층(20)의 기계적 강도가 매우 약해지고, 제1 대전 방지층(20)에 의한 대전 방지 성능이 감소될 수 있다. 한편, 제1 대전 방지층(20)의 두께 T2가 약 50㎛ 이상일 경우, 제1 대전 방지층(20)에 의하여 몸체(10)의 유연성이 크게 감소된다. 몸체(10)의 유연성이 감소될 경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몸체(10)를 곡선 형상으로 휘어지게 제작하기 어렵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 대전 방지층(20)의 표면의 저항 값은 104Ω/㎠ 내지 1011Ω/㎠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대전 방지층(20)의 표면 저항 값이 104Ω/㎠ 미만일 경우 제1 대전 방지층(20)의 표면 경도가 감소되고, 제1 대전 방지층(20)의 표면 저항 값이 1011Ω/㎠ 이상일 경우, 제1 대전 방지층(20)의 대전 방지 특성이 크게 감소된다.
인쇄 패턴(25)은 제1 대전 방지층(2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인쇄 패턴 (25)은 비철 금속, 예를 들면,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인쇄 패턴(25)은 제1 대전 방지층(20)의 상면의 에지 부분을 따라 지정된 폭 W1로 형성된다. 인쇄 패턴(25)은 본 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화기용 투명창(100)의 심미성을 한층 향상시킨다.
코팅층(35)은 인쇄 패턴(25)을 감싸도록 제1 대전 방지층(20) 상에 배치된다. 코팅층(35)은 검은색 물질, 투명한 물질 또는 이외의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코팅층(35)은 인쇄 패턴(25)의 내측면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사용자가 본 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화기용 투명창(100)을 바라볼 경우, 휴대 전화기용 투명창(100)은 사각 테두리 형상을 갖는 코팅층(35)의 일부, 코팅층(35)의 외곽에 사각 테두리 형상을 갖는 인쇄 패턴(25)을 보게 되고, 인쇄 패턴(25)의 가운데 부분은 제1 대전 방지층(20)이 된다. 제1 대전 방지층(20)에 의하여 휴대 전화기용 투명창(100)의 내부에는 파티클이 부착되기 어렵다.
실시예 2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화기용 투명창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화기용 투명창은 제2 대전 방지층을 제외하면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화기용 투명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 및 동일한 명칭을 부여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대전 방지층(20)이 형성된 몸체(10)의 제1 면(1)과 대 향하는 제2 면(2)상에는 제2 대전 방지층(4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대전 방지층(40)은 제2 면(2)의 일부에 국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대전 방지층(40)은 격자 형상으로 제2 면(2)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2 대전 방지층(40)은 제2 면(2)의 전면적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3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화기용 투명창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화기용 투명창은 제3 대전 방지층을 제외하면 앞서 설명한 제2 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화기용 투명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 및 동일한 명칭을 부여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대전 방지층(20)이 형성된 몸체(10)의 제1 면(1), 제2 대전 방지층(20)이 형성된 몸체(10)의 제2 면(2)을 연결하는 몸체(10)의 측면(3)상에는 제3 대전 방지층(50)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10)의 측면(3) 상에 배치된 제3 대전 방지층(50)은 정전기에 의해 휴대 전화기의 케이스 및 몸체(10)의 측면(3) 사이로 침투하는 미세 파티클 및 오염물을 차단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3 대전 방지층(50)은 제1 대전 방지층(20), 제2 대전 방지층(40), 인쇄 패턴(25) 및 코팅층(35)의 측면을 모두 감싸는 형상을 갖는다.
실시예 4
도 5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화기용 투명창은 인쇄 패턴 및 문자 형성용 박막을 제외하면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화기용 투명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 및 동일한 명칭을 부여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대전 방지층(20)상에 형성된 인쇄 패턴(25)은 개구(22)를 갖는다. 개구(22)는 인쇄 패턴(25)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개구(22)는,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글자, 로고, 마크, 숫자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개구(22)에 대응하는 인쇄 패턴(25)상에는 문자 형성용 박막(32)이 배치된다. 문자 형성용 박막(32)은 홀로그램 패턴이 형성된 박막 또는 광 반사율이 뛰어난 금속 박막 등 다양한 박막을 사용할 수 있다. 개구(22)에 대응하는 인쇄 패턴(25) 상에 문자 형성용 박막(32)을 형성함에 따라 휴대 전화기용 투명창(100)에는 문자가 뚜렷하게 형성된다.
도 6a 및 도6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화기용 투명창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몸체(10)의 제1 면(1)상에는 제1 대전 방지층(20)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대전 방지층(20)은 대전 방지 물질, 대전 방지 물질을 용해시키는 솔벤트 및 대전 방지 물질을 고정시키기 위한 광 경화성 바인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유동성을 갖는 제1 대전 방지층(20)은 전면적에 걸쳐 몸체(10)의 제1 면(1)상에 도포 되고, 도포 된 제1 대전 방지층(20)은 자외선에 의하여 경화된다.
도 6b를 참조하면, 몸체(10)의 제1 면(1)상에 제1 대전 방지층(20)이 형성된 후, 제1 대전 방지층(20)상에는 인쇄 박막(25a)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인쇄 박막(25a)은 비철금속, 예를 들면,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등을 포함하고, 인쇄 박막(25a)은 진공 증착 법 등에 의하여 제1 대전 방지층(20) 상에 형성된다.
인쇄 박막(25a)이 형성된 후, 인쇄 박막(25a)의 상면의 에지 부분을 따라 띠 형상을 갖는 포토레지스트 패턴이 형성되고, 포토레지스터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인쇄 박막(25a)은 식각 되어 제1 대전 방지층(20) 상에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 패턴(25)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인쇄 패턴(25)을 형성할 때, 인쇄 패턴(25)에는 상술된 바와 같이 문자를 형성하기 위한 개구가 함께 형성되고, 개구의 상면에는 문자 형성용 박막이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6d를 참조하면, 인쇄 패턴(25)이 형성된 후, 인쇄 패턴(25)의 상면을 덮는 코팅층(35)이 형성될 수 있다. 코팅층(35)은 인쇄 패턴(25)을 형성하는 것과 동일한 공정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6a 내지 도 6d들을 통해 제작된 휴대 전화기용 투명창(100)의 제1 면(1)과 대향하는 제2 면(2)에는 제2 대전 방지층이 형성되고, 제1 면(1) 및 제2 면(2)을 연결하는 측면(3)들에는 제3 대전 방지층이 형성될 수 있다.
휴대 전화기
실시예 5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화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휴대 전화기(400)는 액정표시모듈(200), 리어 케이스(310), 프론트 케이스(320) 및 투명창(10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액정표시모듈(200)은 액정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액정표시모듈(200)은 액정을 제어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액정표시패널(210) 및 액정표시패널(210)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220)를 포함한다.
리어 케이스(310)는 액정표시모듈을 수납하며, 휴대 전화기(400)의 영상 표시부의 후면에 해당한다.
프론트 케이스(320)는 리어 케이스(310)와 결합되며, 프론트 케이스(320) 및 리어 케이스(310)가 결합됨에 따라 프론트 케이스(320) 및 리어 케이스(310)의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320) 및 리어 케이스(310)의 사이에는 액정표시모듈이 배치되며, 프론트 케이스(320) 중 액정표시모듈(220)로부터 발생된 영상을 프론트 케이스(320)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개구(330)가 형성된다.
개구(330)에는 투명창(100)이 배치 및 고정된다.
도 8을 참조하면, 투명창(100)은 몸체(10), 제1 대전 방지층(20), 인쇄 패턴(25) 및 코팅층(35)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10)는 투명한 기판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몸체(10)는 직육면체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몸체(10)는 제1 면(1), 제1 면(1)과 대향하는 제2 면(2) 및 제1 및 제2 면(1,2)들을 연결하는 측면(3)들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10)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예로서는, 아크릴 계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계열 수지, 폴리 스티렌 계열 수지, 메타 스타일렌 계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10)는 약 0.3㎜ 내지 약 2.0mm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10)의 두께가 0.3㎜ 이하일 경우 몸체(10)의 강도가 매우 약해지고, 몸체(10)의 두께가 2.0㎜ 이상일 경우, 몸체(10)의 부피 및 중량은 크게 증가된다.
제1 대전 방지층(20)은 투명한 대전 방지 물질을 포함하며, 몸체(10)의 제1 면(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대전 방지층(20)은 제1 면(1) 상에 박막 형태로 형성 또는 시트(sheet) 형태로 제1 면(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대전 방지층(20)은 박막 형태로 제1 면(1) 상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대전 방지층(20)은 약 1㎛ 내지 약 50㎛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대전 방지층(20)의 두께가 약 1㎛ 이하일 경우, 제1 대전 방지층(20)의 기계적 강도가 매우 약해지고, 제1 대전 방지층(20)에 의한 대전 방지 성능이 감소될 수 있다. 한편, 제1 대전 방지층(20)의 두께가 약 50㎛ 이상일 경우, 제1 대전 방지층(20)에 의하여 몸체(10)의 유연성이 크게 감 소된다. 몸체(10)의 유연성이 감소될 경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몸체(10)를 곡선 형상으로 휘어지게 제작하기 어렵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 대전 방지층(20)의 표면의 저항 값은 106Ω/㎠ 내지 1011Ω/㎠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대전 방지층(20)의 표면 저항 값이 106Ω/㎠ 미만일 경우 제1 대전 방지층(20)의 표면 경도가 감소되고, 제1 대전 방지층(20)의 표면 저항 값이 1011Ω/㎠ 이상일 경우, 제1 대전 방지층(20)의 대전 방지 특성이 크게 감소된다.
인쇄 패턴(25)은 제1 대전 방지층(2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인쇄 패턴(25)은 비철 금속, 예를 들면,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인쇄 패턴(25)은 제1 대전 방지층(20)의 상면의 에지 부분을 따라 지정된 폭 W1로 형성된다. 인쇄 패턴(25)은 본 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화기용 투명창(100)의 심미성을 한층 향상시킨다.
코팅층(35)은 인쇄 패턴(25)을 감싸도록 제1 대전 방지층(20) 상에 배치된다. 코팅층(35)은 검은색 물질, 투명한 물질 또는 이외의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코팅층(35)은 인쇄 패턴(25)의 내측면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다.
이와 같은 투명창(100)의 제1 면(1)은 액정표시패널(210)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투명창(100)의 제1 대전 방지층(20)에 의하여 휴대 전화기용 투명창(100) 및 액정표시모듈(220)의 사이에는 파티클 또는 오염물이 부착되기 어렵다.
실시예 6
도 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화기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화기용 투명창은 제3 대전 방지층을 제외하면 앞서 설명한 제5 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화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 및 동일한 명칭을 부여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프론트 케이스(320)의 개구(330) 및 투명창(100)의 측면(3) 사이에 갭(gap)이 형성될 경우, 개구(330) 및 투명창(100)의 측면(3) 사이에 형성된 갭으로 파티클 또는 오염물이 침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투명창(100)의 제1 면(1)에는 제1 대전 방지층(20)이 형성되고, 투명창(100)의 측면(3)상에는 제3 대전 방지층(50)이 더 배치된다. 제3 대전 방지층(50)은 개구(330) 및 측면(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갭을 통해 파티클 또는 오염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실시예 7
도 10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화기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화기용 투명창은 제2 대전 방지층을 제외하면 앞서 설명한 제6 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화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 및 동일한 명칭을 부여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투명창(100)의 제2 면(2)에는 제2 대전 방지층(40)이 더 형성된다. 제2 대전 방지층(40)은 오염물질이 가장 많은 투명창(100)의 제2 면(2) 상에 파티클 또는 오염물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휴대 전화기에 장착되는 투명창에 이물질, 파티클 또는 오염물질이 정전기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부착되어 휴대 전화기가 쉽게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큰 효과를 갖고, 이를 이용함으로써 휴대 전화기를 보다 슬림 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투명한 몸체;
    상기 몸체의 제1 면상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에 정정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대전 방지층;
    상기 제1 대전 방지층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대전 방지층의 주변을 따라 형성된 인쇄 패턴; 및
    상기 인쇄 패턴을 덮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휴대 전화기용 투명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0.3mm ∼ 2.0mm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용 투명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제1 면과 대향하는 제2 면상에 형성된 제2 대전 방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용 투명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제1 면 및 제2 면을 연결하는 측면 상에 형성된 제3 대전 방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용 투명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 방지막은 1㎛ 내지 50㎛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용 투명창.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 방지막은 104Ω/㎠ 내지 1011Ω/㎠의 표면 전기 저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용 투명창.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패턴은 상기 인쇄 패턴을 관통하는 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용 투명창.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패턴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개구를 덮어 상기 개구에 대응하는 문자를 형성하기 위한 박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용 투명창.
  9. 액정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액정 표시 화면을 갖는 액정표시모듈;
    상기 액정표시모듈을 수납하는 리어 케이스;
    상기 액정 표시 화면 부분을 노출시키는 개구를 갖고 상기 리어 케이스와 결합되는 프론트 케이스; 및
    상기 개구에 배치되는 투명한 몸체, 상기 액정 표시 화면과 마주보는 상기 몸체의 제1 면상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에 정정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대전 방지층, 상기 제1 대전 방지막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대전 방지막의 주변을 따라 형성된 인쇄 패턴 및 상기 인쇄 패턴을 덮는 코팅층을 갖는 투명창을 포함하는 휴대 전화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상기 개구의 측면 및 상기 투명창의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개구의 측면 및 상기 개구의 측면과 마주보는 상기 투명창의 측면 사이에 형성된 제3 대전 방지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과 대향하는 제2 면에 형성된 제2 대전 방지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KR1020060002600A 2006-01-10 2006-01-10 휴대 전화기용 투명창 및 이를 갖는 휴대 전화기 KR100663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2600A KR100663035B1 (ko) 2006-01-10 2006-01-10 휴대 전화기용 투명창 및 이를 갖는 휴대 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2600A KR100663035B1 (ko) 2006-01-10 2006-01-10 휴대 전화기용 투명창 및 이를 갖는 휴대 전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3035B1 true KR100663035B1 (ko) 2007-01-03

Family

ID=37866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2600A KR100663035B1 (ko) 2006-01-10 2006-01-10 휴대 전화기용 투명창 및 이를 갖는 휴대 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30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421B1 (ko) 2007-02-14 2008-01-28 유재준 이동통신단말기용 표시보호창의 로고인쇄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421B1 (ko) 2007-02-14 2008-01-28 유재준 이동통신단말기용 표시보호창의 로고인쇄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4624B2 (en) Electronic device with protection panel, protection panel, and method of fabricating protection panels
JP5938858B2 (ja) 表示装置
WO2016169393A1 (zh) 显示屏组件及终端
JP4516106B2 (ja) 平面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8607444B2 (en) Method for forming a housing of an electronic device
US20140133174A1 (en) Displays and Display Chassis Structures
US20090079706A1 (en) Display Device
US20110304569A1 (en) Panel Member Having Oscillating Element
JPWO2005081210A1 (ja) 電子機器表示窓の保護パネル及び保護パネルの製造方法
CN111785167B (zh) 屏幕组件和显示装置
JP2011085740A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053440A (ja) 表示装置
US9036109B2 (en) Electronic device with thermally matched light guide plate
JP2010039621A (ja) タッチパネル
JP2007065855A (ja) 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JP2008216939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4693874B2 (ja) 電子機器表示窓のタッチ入力機能付き保護パネル
JP5287415B2 (ja) バックライト付き液晶モジュール
JP2008287670A (ja) 電子機器表示窓のタッチ入力機能付き保護パネル
JP5868721B2 (ja) 入力装置
KR100663035B1 (ko) 휴대 전화기용 투명창 및 이를 갖는 휴대 전화기
JP2015138088A (ja) 画像表示装置
JP2019117392A (ja) 画像表示装置
KR20200050058A (ko) 메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CN212411470U (zh) 柔性盖板及柔性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