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2915B1 - 방송컨텐츠의 이상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컨텐츠의 이상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2915B1
KR100662915B1 KR1020050003363A KR20050003363A KR100662915B1 KR 100662915 B1 KR100662915 B1 KR 100662915B1 KR 1020050003363 A KR1020050003363 A KR 1020050003363A KR 20050003363 A KR20050003363 A KR 20050003363A KR 100662915 B1 KR100662915 B1 KR 100662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data
broadcast
broadcast signal
abnormalit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3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2675A (ko
Inventor
임채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3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2915B1/ko
Publication of KR20060082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2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2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2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4Monitoring of the internal components or processes of the client device, e.g. CPU or memory load, processing speed, timer, counter or percentage of the hard disk space u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방송컨텐츠의 이상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방송컨텐츠 이상확인 시스템은 소정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방송신호에 포함된 로우데이터(raw data)를 추출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상기 방송수신장치로부터 상기 로우데이터를 수신한 후, 상기 로우데이터의 이상을 확인하는 단말장치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로우데이터의 이상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방송컨텐츠, 디지탈방송신호, 로우데이터, 디버깅, 이상확인, MHP, MHEG, DSM-CC

Description

방송컨텐츠의 이상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 Error confirmation system for broadcasting contents and method thereof }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방송컨텐츠의 이상확인 시스템의 대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방송컨텐츠의 이상확인 시스템에 포함된 방송수신장치 및 단말장치간의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방송컨텐츠의 이상확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방송수신장치 110 : 방송신호수신부
120 : 방송신호분리부 130 : 제1통신인터페이스부
140 : 신호처리부 150 : UI생성부
160 : 출력부 170 : 제1제어부
200 : 단말장치 210 : 제2통신인터페이스부
220 : 디버깅부 230 : 구현부
240 : 디스플레이부 250 : 조작부
260 : 제2제어부
본 발명은 방송컨텐츠의 이상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방송신호에 포함된 로우데이터(Raw data)의 이상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방송수신장치에서 로우데이터를 PC와 같은 개발환경을 가진 단말장치로 전송한 후, 이상여부를 확인하는 방송컨텐츠의 이상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방송이 본격화되면서, 데이터방송서비스가 다양해지고, 이러한 데이터방송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량의 로우데이터(Raw data)가 디지털방송신호에 포함되어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된다. 방송수신장치는 이러한 다량의 로우데이터를 수신한 후, 신호 처리하여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데이터방송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이와 같은 방송수신장치를 개발하는 개발자는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방송신호에 포함된 오류 로우데이터로 인해 데이터방송서비스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이러한 이상이 방송수신장치의 자체적인 결함에 의한 것인지, 오류 로우데이터에 의한 것인지 확인할 수가 없다. 이러한 이유로, 개발자는 방송수신장치에서 발생하는 이상여부를 디버깅(debugging)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에 직면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송수신장치가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방송신호를 수신한 후, 디지털방송신호에 포함된 로우데이터를 추출하여, PC와 같은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단말장치는 로우데이터의 이상을 확인하고, 구현함으로써, 방송컨텐츠의 이상을 확인하는 시스템 및 이상확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컨텐츠 이상확인 시스템은 소정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방송신호에 포함된 로우데이터(raw data)를 추출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상기 방송수신장치로부터 상기 로우데이터를 수신한 후, 상기 로우데이터의 이상을 확인하는 단말장치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방송수신장치는 상기 방송국으로부터 디지털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방송신호수신부, 상기 디지털방송신호로부터 로우데이터를 추출하는 방송신호분리부, 상기 단말장치로 상기 로우데이터를 전송하는 제1통신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로우데이터를 소정 크기의 블럭(block)으로 나누어 전송하도록 상기 제1통신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방송신호분리부는 상기 디지털방송신호를 DSM-CC(Digital Storage Media-Command and Control)를 통해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로우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통신인터페이스부, 상기 로우데이터의 이상을 확인하는 이상확인부, 상기 로우데이터를 이용하여 소정 UI창를 구현하는 구현부, 및 상기 이상확인부의 이상확인 결과 및 상기 구현부의 구현결과를 화면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방송컨텐츠 이상확인 방법은 소정 디지털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방송신호로부터 로우데이터(raw data)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로우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로우데이터를 수신한 후, 이상확인 및 구현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방송컨텐츠의 이상확인 시스템의 대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방송컨텐츠의 이상확인 시스템은 방송수신장치(100) 및 단말장치(200)를 포함한다. 방송수신장치(100)는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방송신호를 수신한 후, 디지털방송신호에 포함된 로우데이터(raw data)를 추출하여, 단말장치(200)로 전송한다. 한편, 단말장치(200)는 방송수신장치(100)에서 전송되는 로우데이터를 수신하여, 이상확인하고, 단말장치상에서 UI창으로 구현한다.
먼저, 방송수신장치(100)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방송수신장치(100)는 방송신호수신부(110), 방송신호분리부(120), 제1통신인터페이스부(130), 신호처리부(140), UI생성부(150), 출력부(160), 및 제1제어부(170)를 포함한다.
방송신호수신부(110)는 후술되는 제1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방송신호를 선국하여 수신한다.
방송신호분리부(120)는 디지털방송신호를 비디오신호, 오디오신호, 및 데이터신호로 분리한다. 이때, MHEG(Multimedia & Hypermedia information coding Export Group)응용데이터, MHP(Multimedia Home Platform)응용데이터, 및 audio clip 데이터 등의 로우데이터가 DSM-CC(Digital Storage Media-Command & Control)를 통해 전송되는데, 방송신호분리부(120)는 이러한 로우데이터를 디지털방송신호로부터 추출한다.
여기서, DSM-CC는 멀티미디어 광대역 서비스 전송을 위해 1996년 초 MPEG-2으로 제정된 표준으로서, 지역적으로 분산된 서버들에 저장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들을 MPEG전송 스트림 전달계를 통해 최종 사용자에게 전달되도록 보장하는 명령 및 제어방법 체계이다. 이러한 DSM-CC는 개방되어 있고, 동작환경(OS,네트워크, 및 저장매체 등)에 독립적이므로 VOD(Video On Demand),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원격쇼핑, 및 원격학습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제1통신인터페이스부(130)는 방송신호분리부(120)에서 추출된 로우데이터를 전송에 적합한 크기의 블럭(block)으로 분할하여, 단말장치(200)로 전송한다.
신호처리부(140)는 방송신호분리부(120)에서 분리된 비디오신호 및 오디오신호를 신호 처리한다.
UI생성부(150)는 방송신호분리부(120)에서 분리된 로우데이터와 같은 데이터신호로 데이터방송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창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출력부(160)는 신호 처리된 비디오신호 및 UI창을 화면에 표시하고, 신호 처리된 오디오신호를 적당한 크기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제1제어부(170)는 상술한 방송신호분리부(120)를 제어하여, 디지털방송신호로부터 로우데이터를 추출한다. 또한, 추출한 로우데이터를 전송에 적합한 크기의 블럭으로 분할하여 단말장치(200)로 전송하도록 상술한 제1통신인터페이스부(130)를 제어한다.
다음은 단말장치(200)의 구성을 살펴보도록 한다. 단말장치(200)는 제2통신인터페이스부(210), 디버깅부(220), 구현부(230), 디스플레이부(240), 조작부(250), 및 제2제어부(260)를 포함한다.
제2통신인터페이스부(210)는 후술되는 제2제어부(260)의 제어에 따라, 방송수신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로우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러한 방송수신장치(100) 및 단말장치(200)간의 통신에 관해서는 도 2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디버깅부(220)는 로우데이터를 디버깅하여, 이상여부를 확인한다. 즉, 블럭으로 분할되어 전송된 로우데이터를 방송국에서 MHEG응용데이터, MHP응용데이터, 및 audio clip데이터로 생성한 파일로 복원하여, 파일포맷이 정상인지 체크하여, 방송컨텐츠의 이상을 확인한다. 복원된 파일의 파일포맷이 정상인 경우, 파일명과 타입(type)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구현부(230)는 복원된 로우데이터로 방송수신장치(100)에서 구현되고 있는 UI창을 재현한다.
디스플레이부(240)는 이상여부 및 구현상태를 화면에 표시한다.
조작부(250)는 사용자가 이상여부 및 구현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명령을 단말장치(200)에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미도시) 및 마우스(미도시)등이다.
제2제어부(260)는 분할된 블럭이 수신완료 될 때마다, ACK(acknowledge) 혹은 NAK(negative acknowledge)를 제1통신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방송수신장치(100)로 전송한다. 또한, 분할되어 전송된 로우데이터를 복원하여 파일포맷이 정상 인지를 확인하도록 상술한 디버깅부(220)를 제어하고, UI창을 단말장치(200)상에서 재현하도록 구현부(230)를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방송컨텐츠의 이상확인 시스템에 포함된 방송수신장치 및 단말장치간의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방송수신장치(100)가 CONNECT명령을 단말장치(200)로 전송한다. 이때, 전송되는 CONNECT명령은 OP코드(operation code)로써, 파일타입(type), 블럭 사이즈, 및 파일명을 포함한다. 파일타입은 방송수신장치(100)에서 전송하고자하는 로우데이터의 파일타입이 MHP, MHEG, 및 오디오 클립데이터인지를 단말장치(200)에 알려준다. 블럭 사이즈는 큰 용량의 로우데이터를 전송에 적합하게 분할한 한 블럭의 크기이다. 파일명은 방송수신장치(100)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로우데이터의 파일명이다(S280).
이때, 단말장치(200)에서 ACK를 방송수신장치(100)로 전송하면, 데이터통신이 시작되고, 단말장치(200)에서 NAK를 방송수신장치(100)로 전송하면, 방송수신장치(100)는 CONNECT명령을 재 전송한다(S282).
그리고, 방송수신장치(100)가 전송에 적합한 크기로 분할된 블럭을 순차적으로 단말장치(200)로 전송한다(S284,S288).
단말장치(200)는 한 블럭의 전송이 완료될 때마다, 검사합(Checksum)을 통해 블럭의 전송상태를 체크하여, ACK 혹은 NAK를 방송수신장치(100)로 전송한다(S286,S290).
마지막 블럭의 전송이 완료되면(S292), 단말장치(200)는 전송된 블럭을 통합 하여, CRC(Cycle Redundancy Check)를 통해 로우데이터의 손상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CRC오류가 발생하면, 단말장치(200)는 NAK를 방송수신장치(100)로 전송하며, 방송수신장치(100)로부터 로우데이터를 재 수신한다(S294).
이와 같이 로우데이터의 수신이 완료되면, 단말장치(200)는 파일포맷을 체크하여 이상여부를 확인하고, 로우데이터로 UI창을 구현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방송컨텐츠의 이상확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따르면, 먼저 제1제어부(170)가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방송신호를 선국하여 수신하도록 방송신호수신부(110)를 제어한다(S310).
또한, 제1제어부(170)는 디지털방송신호로부터 로우데이터(raw data)를 추출하도록 방송신호분리부(120)를 제어한다(S320).
그리고, 추출한 로우데이터를 전송에 적합한 크기의 블럭(block)으로 분할하도록 제1통신인터페이스부(130)를 제어한다(S330).
제1통신인터페이스부(130)는 제1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분할된 블럭을 순차적으로 단말장치(200)에 전송한다(S340).
제2통신인터페이스부(210)는 제1통신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순차적으로 전송되는 블럭을 수신하고, 제2제어부는 수신된 블럭의 오류를 체크한 후, ACK 혹은 NAK를 전송한다. 이때, ACK가 제1통신인터페이스부(130)에 전송되면, 블럭의 전송이 완료되고, NAK가 제1통신인터페이스부(130)에 전송되면, 제1제어부(170)는 블럭을 재 전송하도록 제1통신인터페이스부(130)를 제어한다(S350).
제2제어부(260)는 블럭의 전송이 완료되면, 로우데이터를 복원하여, 디버깅하도록 디버깅부(220)를 제어함으로써, 로우데이터의 이상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UI창을 구현하도록 구현부(230)를 제어한다(S360).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방송신호에 포함된 오류 로우데이터를 확인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방송신호에 포함된 오류 로우데이터를 확인하여, 방송수신장치를 디버깅하는데 있어서, 오류 로우데이터로 인한 혼선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5)

  1. 소정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방송신호에 포함된 로우데이터(raw data)를 추출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상기 방송수신장치로부터 상기 로우데이터를 수신한 후, 상기 로우데이터를 복원한 파일의 포맷이 정상인지 체크하여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컨텐츠의 이상확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수신장치는,
    상기 방송국으로부터 디지털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방송신호수신부;
    상기 디지털방송신호로부터 로우데이터를 추출하는 방송신호분리부;
    상기 단말장치로 상기 로우데이터를 전송하는 제1통신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로우데이터를 소정 크기의 블럭(block)으로 나누어 전송하도록 상기 제1통신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컨텐츠의 이상확인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신호분리부는,
    상기 디지털방송신호를 DSM-CC(Digital Storage Media-Command and Control)를 통해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컨텐츠의 이상확인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로우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통신인터페이스부;
    상기 로우데이터를 복원한 파일의 포맷이 정상인지 체크하여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이상확인부;
    상기 로우데이터를 이용하여 소정 UI창를 구현하는 구현부; 및
    상기 이상확인부의 이상확인 결과 및 상기 구현부의 구현결과를 화면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컨텐츠의 이상확인 시스템.
  5. 방송수신장치가 소정 디지털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송수신장치가 상기 디지털방송신호로부터 로우데이터(raw data)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방송수신장치가 상기 로우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단말장치가 상기 방송수신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로우데이터를 수신한 후, 상기 로우데이터를 파일로 복원하여, 상기 파일의 포맷이 정상인지 체크함으로써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로우데이터로 UI(User Interface)창을 구현하는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컨텐츠의 이상확인 방법.
KR1020050003363A 2005-01-13 2005-01-13 방송컨텐츠의 이상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62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3363A KR100662915B1 (ko) 2005-01-13 2005-01-13 방송컨텐츠의 이상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3363A KR100662915B1 (ko) 2005-01-13 2005-01-13 방송컨텐츠의 이상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675A KR20060082675A (ko) 2006-07-19
KR100662915B1 true KR100662915B1 (ko) 2007-01-02

Family

ID=37173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3363A KR100662915B1 (ko) 2005-01-13 2005-01-13 방송컨텐츠의 이상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291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675A (ko) 2006-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7854C (zh) 从远程网络发射触发命令并控制广播台交互节目内容的协议和系统
CN1451229A (zh) 视频解码器中用于节目特定信息差错管理的系统
EP1791362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an electronic service guide transmission error in a digital video broadcasting system
CN103532923B (zh) 一种实时媒体流传输方法及系统
JP5752697B2 (ja) デジタル受信機及び対応するデジタル送信システムサーバ
KR100429838B1 (ko) 인터랙티브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에서 업스트림채널을 이용한 사용자 요구 처리방법 및 그 장치
CN102301737B (zh) 用于在基于因特网协议的电视系统中进行电视数据的传输期间确保可靠性的方法和设备
CN101835009B (zh) 信息处理装置和方法、程序以及信息处理系统
KR100662915B1 (ko) 방송컨텐츠의 이상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7430860B (zh) 用于对包括系统数据的音频比特流进行解码的方法和设备
JPH10190634A (ja) データ伝送方法及びデータ伝送システム
KR101125558B1 (ko) 디지털 방송과 인터넷 전송을 함께 이용한 파일 다운로드 방법, 그 장치
CN101521786A (zh) 基于数字电视hdtv平台的高清转码方法
KR102432936B1 (ko) 지상파 uhd 방송 재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JP4160740B2 (ja) データ放送受信装置及びデータ放送受信プログラム
US7120167B1 (en) Broadcasting system and its method
CN110891154B (zh) 一种视频容错传输系统与容错发送装置
US7869462B2 (en) Broadcast system and method therefor
JP3244120B2 (ja) エラー判別処理システム
JP2005020437A (ja) コンテンツ補正システムおよび受信機器
JP4433772B2 (ja) データ放送の送出確認システム、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4572638B2 (ja) 再送信システム
KR100876766B1 (ko)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전자 서비스 가이드 전송에러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CN201383854Y (zh) 基于数字电视hdtv平台的高清转码器
JPH10191282A (ja) データ伝送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通信システム、送信装置、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