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1579B1 - A method of silent retry control for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A method of silent retry control for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1579B1
KR100661579B1 KR1020050019949A KR20050019949A KR100661579B1 KR 100661579 B1 KR100661579 B1 KR 100661579B1 KR 1020050019949 A KR1020050019949 A KR 1020050019949A KR 20050019949 A KR20050019949 A KR 20050019949A KR 100661579 B1 KR100661579 B1 KR 100661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all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99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98995A (en
Inventor
김용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9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1579B1/en
Publication of KR20060098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89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1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15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9Management thereof
    • H04W28/0958Management thereof based on metrics or performance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호시도를 제어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호시도시에 가입자의 수가 차이가 많이 나는 지역별 기지국 마다 접근 변수 메시지값을 해당 지역과 기지국의 상태에 적합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여 기지국의 부하제어와 호통화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시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control of the visibility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rein a user us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ransmit an access variable message value for each base station where the number of subscribers is different in the good cit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trolling a call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can be provid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as to facilitate load control and call communication of a base station.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호통화 시도시에 가입자의 수가 차이가 많이나는 지역별 기지국의 부하와 전계세기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시도 횟수를 제한하도록 하여 기지국의 부하를 조절하고 호통화 연결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역별 기지국의 현재 상태와 로드, 전계의 세기, 가입자의 수등 기지국의 처리 능력에 따른 접근 변수 메시지값을 상황에 맞게 조정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여 기지국의 동작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통화를 위한 호대기 시간을 단축시킨다.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load of the base station by limiting the number of call attempt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load of the base station for each region and the electric field strength when the user attempts to make a call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nection can be handled smoothly. The present invention can smoothly process the operation of the base station by provid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adjusting the value of the access variable message according to the processing capacity of the base station, such as the current state and load of the base station by region, the electric field strength, the number of subscribers according to the situation. Reduce call waiting time for your call.

접근변수 메시지값. Access variable message value.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시도 제어 방법{A method of silent retry control for mobile terminal}A method of silent retry control for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base s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시도 제어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call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Drawing>

20 : 이동통신 단말기 21 : 기지국2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1: base sta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호시도를 제어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호시도시에 가입자의 수가 차이가 많이 나는 지역별 기지국 마다 접근 변수 메시지값을 해당 지역과 기지국의 상태에 적합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여 기지국의 부하제어와 호통화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시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control of the visibility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rein a user us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ransmit an access variable message value for each base station where the number of subscribers is different in the good cit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trolling a call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can be provid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as to facilitate load control and call communication of a base station.

일반적으로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가 지향하는 궁극적인 목표는 유비쿼터스 서비스 제공을 위한 플랫폼의 실현에 있다. 즉 각각의 망이 있는 유선서비스, 이동통신서비스, 방송서비스가 하나의 망으로 융합되기 위해서는 서비스 통합부터 이루어져야 한다. 유비쿼터스 사회로의 진화를 가속화시키고 실현시키는 기반이 바로 차세대 이동통신이 될 것이다. 이동통신 서비스가 보다 풍요한 삶을 추구하기 위하여 전세계적으로 기술개발 및 표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In general, the ultimate goal of the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s to realize a platform for providing ubiquitous service. In other words, in order to converge wired service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and broadcast services with each network into a single network, service integration must be performed. The next gener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will be the foundation for accelerating and realizing the evolution to ubiquitous society. In order to pursue a richer life of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echnology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are being carried out all over the world.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전송능력의 향상과 망간 융합을 지원하는 차세대 이동통신 개발을 위하여 ITU-R의 WP8F, EU의 WWRF(Wireless World Research Forum), 일본의 mITF(Mobile IT Forum), 중국의 FuTURE(Future Technologies for Universal Radio Environment), 우리나라의 NGMC(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등 국제기구와 세계 각국은 표준화 및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ITU-R's WP8F, EU's Wireless World Research Forum (WWRF), Japan's Mobile IT Forum (MITF), China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Future (Future Technologies for Universal Radio Environment) and NGMC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in Korea and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promoting standardization and technology development.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전력이 낮으면 통화품질이 낮아지고, 높으면 통화품질은 좋아지나, 같은 채널을 사용하는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간섭을 크게 주어 다른 가입자의 통화품질이 나빠진다. 따라서 모든 가입자가 양호한 통화품질을 유지하며 용량을 최대로 하기 위해서는 기지국에 수신되는 각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전력이 같고, 그 크기가 최소한의 신호대 간섭비를 가지도록 각각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전력을 제어하여야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송수신부의 부정합, 주파수 대역이 달라져서 나타나는 상이한 페이딩 특성과, 순방향과 역방향 채널의 차이점으로 인하여 역방향 채널의 경로 손실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다. 이 러한 오차를 수정하기 위하여 각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순방향 채널로 전해지는 저속의 전력제어 명령에 의하여 출력을 조절한다. 기지국은 역방향 채널의 상태를 감시하여 오차 정보를 얻고 이를 정해진 값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서 출력을 높이거나 낮추도록 단말기에 명령을 내린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지국은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의 역방향 채널의 전력을 조절하여 적절한 통화품질과 용량의 최대화를 동시에 만족시킨다.On the other hand, if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w, the call quality is lowered, and if it is high, the call quality is good, but the interference of 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using the same channel is greatly increased, which degrades the call quality of other subscribers. Therefore, in order for all subscribers to maintain good call quality and maximize the capacity, the transmission power of ea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djusted so that the reception power of ea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d by the base station is the same and the size has the minimum signal-to-interference ratio. Control.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ath loss of the reverse channel cannot be accurately predicted due to different fading characteristics due to mismatch of the transceiver and different frequency band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forward and reverse channels. In order to correct this error, ea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djusts the output by a low speed power control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forward channel. The base station monitors the state of the reverse channel to obtain error information, compares it with a predetermined value, and instructs the terminal to raise or lower the output according to the result. In this way, the base station adjusts the power of the reverse channel of a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o satisfy the appropriate call quality and maximize the capacity at the same time.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호통화 재시도(Silent Retry)에 관한 접근변수 메시지값(Access Parameters Message 또는 Enhanced Access Parameters Message)의 설정이 소프트웨어적으로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에 동일한 값으로 코딩되어져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호통화시도를 하는 경우 해당 호통화 재시도값에 따라 재다이얼을 하여 기지국에 액세스하여 통화를 시도한다.In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access parameter message value (Access Parameters Message or Enhanced Access Parameters Message) setting related to the call retry (Silent Retry) is software-coded to the same value in a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o that the user moves. When a call is attempted using a communication terminal, a call is attempted by accessing a base station by redialing according to the call retry value.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호(Call)시도 시에, 기지국에서 아무런 응답이 없는 경우 사용자가 알지 못하게 하여 호시도를 다시하는 호통화 재시도(Silent Retry)가 있는데, 호통화 재시도시 접근변수 메시지값(Access Parameters Message 혹은 Enhanced Access Parameters Message)으로 설정되는 호통화 재시도 횟수값, 호통화 재시도시의 시간간격값, 호통화 재시도 총시간값을 고정적으로 설정하여 호시도를 한다.At the time of Call attempt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is a Silent Retry that retries the call without notifying the user when there is no response from the base station. Calls are attempted by fixedly setting the number of call retry attempts, the time interval value of the call retry attempts, and the total time of call retry attempts, which are set in the Parameters Message or Enhanced Access Parameters Message).

그러나 가입자의 차이가 지역별 마다 다르고 기지국에서 수용할 수 있는 가입자의 수가 다르고, 전계의 세기나 현재의 부하상태가 다르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동일하게 설정된 호통화 재시도값을 이용하여 통화시도를 하는 경우에는 불필요 하게 기지국의 오동작을 일으키고, 통화 성공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because the difference in subscribers varies from region to region, the number of subscribers that can be accommodated by the base station, and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r current load condition are different, call attempts are made using the same call retry value se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base station malfunctions unnecessarily and the call success time is delay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호통화 시도시에 가입자의 수가 차이가 많이나는 지역별 기지국의 부하와 전계세기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시도 횟수를 제한하도록 하여 기지국의 부하를 조절하고 호통화 연결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시도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so that the user to limit the number of call attempt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load and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base station for each region where the number of subscribers is large when the user attempts to make a call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controlling a call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adjusting a load of a base station and smoothly handling a call connection.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지역별 기지국의 부하와 전계세기에 따라 해당 기지국 영역에 위치하여 호통화 시도를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접근 변수 메시지 값(Access Parameters Message)을 조정 제공하여 기지국의 부하를 조절하고 호통화의 연결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시도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adjusts the load of the base station by adjusting and providing an access parameter message valu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located in the base station area and attempts to make a call according to the load and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base station for each reg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controlling a call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smoothly connecting a call.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시도 제어 방법은,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호시도 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1단계와, 기지국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시도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의 특성에 맞도록 접근 변수 메시지값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2단계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접근 변수 메시지값에 따라 호시도 신호를 송신하는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a user transmits a call view signal to a base sta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ceives a call view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a base station, Providing an access variable message valu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ccordance with a characteristic; and transmitting the call view signal according to the access variable message value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

또한, 본 발명의 기지국은 접근 변수 메시지값을 상기 기지국의 처리 능력과 부하에 따라 다르게 설정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고, 접근 변수 메시지값은 최대다이얼 횟수값, 재다이얼 시간 간격값, 최대 재다이얼 시간값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ase s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ets the access variable message value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rocessing capacity and load of the base station to provid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access variable message value is the maximum dial number value, redial time interval value, the maximum redial And a dial time value.

또한, 본 발명의 최대다이얼 횟수값은 기지국의 전계의 세기가 약한 경우 상기 최대 다이얼 횟수값을 크게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재다이얼 시간 간격값은 상기 기지국의 부하가 많은 경우 상기 재다이얼 시간 간격값을 크게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연결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maximum number of times of dia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increasing the maximum number of times of dialing when the strength of the electric field of the base station is weak.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reducing the call connection tim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increasing the dial time interval value.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시도 제어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base s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low chart of the operation control method of the call view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접근 변수 메시지 값(Access Parameters Message)은 최대 재다이얼 횟수값을 나타내는 SR_MAX_DIALS(Max number of dials per explicit origination attempt)와, 재다이얼시의 시간간격값을 나타내는 SR_PERIOD_TIME(Time from origination failure to next silent redial attempt)와, 최대 재다이얼 시간값인 SR_MAX_TIME Field(Maximum silent redial sequence time per explicit origination attempt)로 이루어져 기지국에서 상기한 최대 재다이얼값, 재다이얼시의 시간간격값과 최대 재다이얼 시간값 등의 접근변수 메시지값 들을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고 이동통신 단말기는 접근변수 메시지값들을 임시 저장하여 해당 지역별 기지국에서 호통화 시도시에 변수값에 따라 통화시도를 하고, 기지국은 로드의 제어와 통화 연결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다.The access parameter message valu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ximum number of dials per explicit origination attempt (SR_MAX_DIALS) representing a maximum number of redials, and a time from origination failure to next SR_PERIOD_TIME (a time interval of redialing). It consists of a silent redial attempt) and SR_MAX_TIME Field (Maximum silent redial sequence time per explicit origination attempt), which is the maximum redial value, time interval value and maximum redial time value, etc. Provides access variable message values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emporarily stores the access variable message values and attempts to make a call according to the variable value when a call is attempted at the base station by region, and the base station controls the load control and call connection. I can handle it smoothly.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base s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특정한 지역에 위치한 기지국(21)에 속한 이동통신 단말기(2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호통화 시도를 하는 경우 기지국(21)에서 이동통신 단말기(20)로부터 호통화시도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본 발명의 접근 변수 메시지값을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고, 이를 임시 저장하여 수신된 접근 변수 메시지값에 따라 통화시도를 한다. When a user attempts to make a call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belonging to the base station 21 located in a specific area When the base station 21 receives a call call attempt sig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The access variable message value is provi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 is temporarily stored to attempt a call according to the received access variable message value.

접근 변수 메시지값은 지역별 기지국(21)의 가입자 수용수나 현재 기지국의 전계의 세기와 로드(load) 등을 참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로 제공하는 것으로, 해당 지역에 위치한 기지국(21)의 전계의 세기가 약한 경우 최대 다이얼 횟수값(SR_MAX_DIALS)을 크게 조정하여 제공한다.The access variable message value is provi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by referring to the number of subscribers of the base station 21 for each region or the strength and load of the electric field of the current base station, and the electric field of the base station 21 located in the corresponding area. If the strength of is weak, the maximum number of dials (SR_MAX_DIALS) is adjusted to provide a large value.

또한, 기지국(21)의 부하가 많은 경우 재다이얼시의 시간간격값(SR_PERIOD_TIME)을 크게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의 호연결 대기 시간을 단축시키고 원활하게 한다.In addition, when the load of the base station 21 is high, the time interval value SR_PERIOD_TIME at the time of redialing is increased to shorten the call connection waiting tim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and make it smooth.

본 발명은 지역별 기지국(21)의 현재 상태와 로드, 전계의 세기, 가입자의 수에 따라서 고정적으로 지정되었던 접근 변수 메시지값을 상황에 맞게 제공하여 기지국의 동작을 원활하게 처리하고 사용자의 호대기 시간을 단축시킨다.The present invention smoothly handles the operation of the base station and provides the user's call waiting time by providing an access variable message value fixed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e, load, electric field strength, and number of subscribers according to the situation. Shorten.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시도 제어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call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특정 지역의 기지국(21)에 속하고 이동통신 단말기(20)로 호통화 신호를 기지국(21)으로 송신을 하면, 기지국(21)에서는 해당 기지국의 로드, 가입자수, 전계의 세기를 파악을 한다(S30~S32).When the user belongs to the base station 21 of a specific area and transmits a call signal to the base station 21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the base station 21 determines the load, the number of subscribers, and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base station. (S30 ~ S32).

해당 지역의 기지국(21)에서는 접근 변수 메시지값을 기지국(21)의 처리 능력에 맞는 값으로 조정을 하여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로 최대 다이얼 횟수값(SR_MAX_DIALS), 재다이얼시의 시간간격값(SR_PERIOD_TIME), 최대 재다이얼 시간을 설정한 값(SR_MAX_TIME Field)으로 이루어진 접근 변수 메시지값을 송신을 한다(S33).The base station 21 in the region adjusts the access variable message value to a value suitable for the processing capability of the base station 21, so that the maximum number of dials (SR_MAX_DIALS) of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and the time interval during redialing are performed. An access variable message value including a value SR_PERIOD_TIME and a value (SR_MAX_TIME field) for setting a maximum redial time is transmitted (S33).

이동통신 단말기(20)는 수신된 접근 변수 메시지 값을 수신 파악하고 임시 저장을 하여, 해당 최대 다이얼 횟수값(SR_MAX_DIALS), 재다이얼시의 시간간격값(SR_PERIOD_TIME), 최대 재다이얼 시간을 설정한 값(SR_MAX_TIME Field)으로 이루어진 접근 변수 메시지값에 따라 호통화 재시도를 하여 상대방과의 통화연결을 기지국(21)에 요구하여 통화를 한다(S34).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receives and grasps the received access variable message value and temporarily stores it, and sets a corresponding maximum number of dial times (SR_MAX_DIALS), a time interval value during redial (SR_PERIOD_TIME), and a maximum redial time. The call is retried according to the access variable message value including the SR_MAX_TIME field to request the call connection with the other party to the base station 21 to make a call (S34).

사용자가 해당 기지국(21)에 계속 위치한 경우에는 동일한 접근 변수 메시지값을 이용하여 호통화시도를 한다(S36).If the user continues to be located in the base station 21, the call is attempted using the same access variable message value (S36).

한편, 사용자가 현재 속한 기지국(21)에서 이동을 하여 다른 지역의 기지국에 연결된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해당 지역의 기지국으로부터 조정된 접근 변수 메시지값을 수신하여 해당 접근 변수 메시지값에 따라 통화시도를 하여 상대방과 통화를 한다(S35, S37~S38).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moves from the base station 21 to which the user currently belongs and is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in another area, as described above, the adjusted access variable message value is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of the corresponding area and the call attempt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access variable message value. To talk to the other party (S35, S37-S38).

본 발명은 지역별 기지국(21)의 현재 상태와 로드, 전계의 세기, 가입자의 수에 따라서 접근 변수 메시지값을 상황에 맞게 조정 제공하여 기지국의 동작을 원활하게 처리하고 사용자의 통화를 위한 호대기 시간을 단축시킨다.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access variable message value according to the situation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e and load of the base station 21 by region, the electric field strength, and the number of subscribers according to the situation to smoothly handle the operation of the base station and the call waiting time for the user's call. Shorte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역별 기지국의 현재 상태와 로드, 전계의 세기, 가입자의 수등 기지국의 처리 능력에 따른 접근 변수 메시지값을 상황에 맞게 조정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여 기지국의 동작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통화를 위한 호대기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access variable message value according to the processing power of the base station, such as the current state and load of the base station by region, the electric field strength, the number of subscribers according to the situation to provide to the mobile terminal to facilitate the operation of the base station. It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waiting time for the user's call.

Claims (5)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호시도 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1단계와;A step of transmitting, by a user, a call lookup signal to a base sta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시도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의 현재 처리능력을 파악하고 그 결과에 따른 접근 변수 메시지값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2단계와;Receiving, by the base station, a call view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dentifying a current processing capability of the base station, and providing an access variable message value according to the resul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접근 변수 메시지값에 따라 호시도 신호를 송신하는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시도 재시도 제어 방법.And transmitting a call view signal according to the access variable message value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접근 변수 메시지값을 상기 기지국의 처리 능력과 부하에 따라 다르게 설정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시도 재시도 제어 방법.And the base station sets the access variable message value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rocessing capacity and load of the base station to provide the access variable message valu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접근 변수 메시지값은 최대다이얼 횟수값, 재다이얼 시간 간격값, 최대 재다이얼 시간값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시도 재시도 제어 방법.The access variable message value includes a maximum redial value, a redial time interval value, and a maximum redial time value.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최대다이얼 횟수값은 기지국의 전계의 세기가 약한 경우 상기 최대 다이얼 횟수값을 크게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시도 재시도 제어 방법.And the maximum dial number value includes increasing the maximum dial number value when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base station is weak.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재다이얼 시간 간격값은 상기 기지국의 부하가 많은 경우 상기 재다이얼 시간 간격값을 크게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연결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시도 재시도 제어 방법. The redial time interval value may include reducing the call connection tim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increasing the redial time interval value when the load of the base station is heavy. Way.
KR1020050019949A 2005-03-10 2005-03-10 A method of silent retry control for mobile terminal KR1006615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949A KR100661579B1 (en) 2005-03-10 2005-03-10 A method of silent retry control for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949A KR100661579B1 (en) 2005-03-10 2005-03-10 A method of silent retry control for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995A KR20060098995A (en) 2006-09-19
KR100661579B1 true KR100661579B1 (en) 2006-12-27

Family

ID=37630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9949A KR100661579B1 (en) 2005-03-10 2005-03-10 A method of silent retry control for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1579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995A (en) 200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4805A (en) Multi-mode communication network with handset-selected channel assignments
RU2405255C2 (en) Method and system to control capacity in multiband mobile station
JP3075159B2 (en) How to send and receive calls on a cellular cordless phone
US6119003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utomatic mode selection in a multimode mobile terminal
AU2004202077B2 (en) Complex wireless service arrangement using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20020082019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ccomplishing inter-frequency, inter-network, and inter-tier soft handoff using dual transmission/reception or compression
US20010029191A1 (en) Radio communications system and components for a method of radio tansmission by various radio transmissin modes
JPH08506468A (en) Method of controlling a subscriber station of a wireless system
US20060014557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power level for communication in a wireless network
KR20020014805A (en) A method for initiating in a terminal of a cellular network the measurement of power levels of signals and a terminal
US6542517B1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mobile station in voice mode or pager mode
AU730242B2 (en) Transceiver hopping
US7421280B2 (en) Wireless network and wireless access terminals using enhanced SYNC—ID parameter
KR100661579B1 (en) A method of silent retry control for mobile terminal
EP1953964B1 (en) Loading control methods and apparatus for wireless access points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in support of legacy terminals
US6615051B2 (en) Radio telecommunications terminal and control method
JP4301639B2 (en) Mobile radio terminal device
JP3621688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all channel control method
US7020454B2 (en) Method for making communication in wireless local loop system
KR970003970B1 (en) Telepoint base station
CN115633385A (en)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communication system parameters and nonvolatile storage medium
KR20000042768A (en) Method for implementing cellular phone
WO2007062326A2 (en) Wlan mobile phone and wireless network
KR20040067358A (en) Auto Re-Calling Control Method At The Internal wired,wireless network Co-Service System
KR20000008114A (en) Hand-over method while sending dial tone at mobile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