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9896B1 - Method for embodying scatternet in short range communication - Google Patents

Method for embodying scatternet in short range communi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9896B1
KR100659896B1 KR1020060010540A KR20060010540A KR100659896B1 KR 100659896 B1 KR100659896 B1 KR 100659896B1 KR 1020060010540 A KR1020060010540 A KR 1020060010540A KR 20060010540 A KR20060010540 A KR 20060010540A KR 100659896 B1 KR100659896 B1 KR 100659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catternet
connection
forming
ma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05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은교
손진호
윤찬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0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989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9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98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12Arrangements for wireless medium access control, e.g. by allocating physical layer transmission capac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 method for forming a scatternet in short-range communication is provided to enable a terminal to form an SCO channel with the first device and be operated as a master device to request connection from the second device by performing a role switch when a connection command with the second device occurs in a state that the terminal operates as a slave device, so that the terminal can function as the master device. A method for forming a scatternet in short-range communication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A terminal(300) forms an SCO(Synchronous Connection Oriented) channel with the first device(the first AP(Access Point))(310) as a slave device(S308). The terminal(300) and the first device(310) perform a role switch so that the terminal(300) can be operated as a master device when a command for connection with the second device(the second AP)(320) occurs in the terminal(300)(S312). The terminal(300), operating as the master device, connects with the second device(320) to form the scatternet(S318).

Description

근거리 통신에서 스캐터넷의 형성방법{Method for embodying scatternet in short range communication}Method for embodying scatternet in short range communication

도 1은 종래의 스캐터넷을 형성하지 못하는 일 예의 동작을 보인 도면.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operation that does not form a conventional scatternet.

도 2는 종래의 스캐터넷을 형성하지 못하는 다른 예의 동작을 보인 도면.Figure 2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operation that does not form a conventional scatternet.

도 3은 본 발명의 형성방법에 따라 스캐터넷을 형성하는 일 실시 예의 동작을 보인 도면.3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an embodiment of forming a scatternet according to the form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형성방법에 따라 스캐터넷을 형성하는 다른 실시 예의 동작을 보인 도면.4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forming a scatternet according to the form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에서 스캐터넷의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forming a scatternet in near field communication.

보다 상세하게는 마스터 장치로 동작하는 제 1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로 동작하는 단말기가 상호간에 SCO(Synchronous Connection Oriented) 채널을 형성하여 음성신호를 전송하는 상태에서 단말기가 마스터 장치로 제 2 장치에 접속을 요청하여 스캐터넷을 형성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에서 스캐터넷의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device acting as the master device and the terminal acting as the slave device form a synchronous channel orientated channel (SCO) with each other to transmit voice signals, and thus the terminal connects to the second device as the master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forming a scatternet in short-range communication that can form a scatternet upon request.

통신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여러 가지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이 개발되었다.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은 블루투스, 직비(Zigbee), UWB(Ultra Wide Band) 및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등을 비롯한 여러 가지의 알려져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various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at short range.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is known in various ways including Bluetooth, Zigbee, Ultra Wide Band (UWB), wireless local area network (LAN), and the like.

이러한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들 중에서 블루투스는 1999년 7월 공식 표준으로 버전 1.0이 발표된 이후에 지속적으로 발전되고 있다. 블루투스는 최대 데이터 전송속도가 1Mbps(패킷의 헤더를 고려한 실효 전송속도는 쌍방향 모두 433.9kbps이고, 한 방향이 723.2kbps이며, 다른 한 방향이 57.6kbps임)이다. 전송거리는 송신전력이 1㎽일 경우에 약 10m 이내이며, 최대 송신전력은 100㎽로 규정되어 있다.Among thes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Bluetooth has been continuously developed since version 1.0 was released as an official standard in July 1999. Bluetooth has a maximum data rate of 1Mbps (the effective transmission rate considering packet headers is 433.9kbps in both directions, 723.2kbps in one direction, and 57.6kbps in the other). The transmission distance is within 10m when the transmission power is 1㎽, and the maximum transmission power is specified as 100㎽.

그리고 블루투스는 사용자가 무면허로 사용할 수 있는 2.4000∼2.4835㎓의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대역에서 1㎒의 대역폭으로 79개의 채널을 설정하고, 주파수 호핑방식(Frequency Hopping Spread Spectrum)으로 1초에 약 1600번 정도 채널을 변경하면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고 있다.In addition, Bluetooth sets 79 channels with 1MHz bandwidth in 2.4000∼2.4835㎓ ISM (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band that user can use unlicensed, and uses frequency hopping spread spectrum in 1600 seconds The data is transmitted by changing the channel about once.

블루투스가 주파수 호핑방식을 사용하여 통신함에 따라 잡음이 심한 무선 환경에서도 정확히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소정의 패킷을 송수신한 후 새로운 채널의 주파수로 호핑함으로써 주파수 간섭을 피하고 있다. 그러므로 블루투스 통신은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다른 시스템들보다 더 빨리 호핑하며, 더 짧은 패킷을 사용하여 보다 안정하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As Bluetooth uses a frequency hopping method, data can be transmitted accurately even in a noisy wireless environment, and frequency interference is avoided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predetermined packet and hoping at a frequency of a new channel. Therefore, Bluetooth communication hops faster than other systems operating in the same frequency band and can transmit data more stably using shorter packets.

상기 블루투스에서 하나의 마스터 장치와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가 근거리 통신으로 접속되어 작동하는 집합을 피코넷(piconets)이라고 한다. 그리고 피코넷 상 에서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들은 마스터 장치의 주파수 호핑 순번과 시간에 따라 동작한다.In Bluetooth, a set in which one master device and a plurality of slave devices are connected and operated by short-range communication is called a piconet. In the piconet, a plurality of slave devices operate according to the frequency hopping order and time of the master device.

하나의 피코넷에서 슬레이브 장치의 수는 최대 7개로 제한되어 있고, 각각의 슬레이브 장치들은 하나의 마스터 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The number of slave devices in a piconet is limited to a maximum of seven, and each slave device communicates with one master device.

그러나 통신 담당영역이 넓어지거나 망 수가 많아질 경우에 복수의 피코넷들을 연결하여 스캐터넷을 형성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communication area is expanded or the number of networks increases, a plurality of piconets may be connected to form a scatternet.

상기 스캐터넷에서는 마스터 장치와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들 중 일부가 두 개 이상의 피코넷에 속하게 된다. 상기 두 개 이상의 피코넷에 속하는 마스터 장치 또는 슬레이브 장치는 몇 개의 슬롯을 한쪽의 피코넷에서 사용하고, 다른 몇 개의 슬롯은 다른 쪽의 피코넷에서 사용하는 시간 분배를 하여야 한다.In the scatternet, some of the master device and the plurality of slave devices belong to two or more piconets. A master device or a slave device belonging to two or more piconets needs to distribute time using several slots in one piconet and the other slots in the other piconet.

피코넷 내의 모든 슬레이브 장치들은 마스터 장치의 호핑 순번에 동기되어 있으므로 스캐터넷의 두 개의 서로 다른 피코넷에서 마스터 장치가 하나인 경우는 불가능하다. 즉, 서로 다른 피코넷에서 마스터 장치는 각기 존재한다. Since all slave devices in the piconet are synchronized to the hopping sequence of the master device, it is impossible to have one master device in two different piconets of the scatternet. That is, master devices exist in different piconets.

이러한 블루투스에 있어서 블루투스 스펙 1.2 칩은 벤더(vendor)에 따라 스캐터넷을 지원하는 정도가 상이하다. 특히 단말기가 제 1 장치와 SCO 채널을 형성하여 음성신호를 전송하고 있을 경우에 단말기가 제 2 장치와 접속하여 스캐터넷을 형성할 수 없었다.For this Bluetooth, the Bluetooth specification 1.2 chip differs in supporting scatternets depending on the vendor. In particular, when the terminal establishes an SCO channel with the first device and transmits a voice signal, the terminal cannot connect with the second device to form a scatternet.

즉, 단말기가 제 1 장치와 HV3(Header Value 3)으로 SCO 채널을 형성하여 음성통화를 수행하고 있을 경우에 여유 있는 타임 슬롯은 4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단말기가 제 2 장치와 접속하여 스캐터넷을 형성할 경우에 ID 패킷과 FHS(Frequency Hop Synchronization) 패킷을 전송해야 한다.That is, when the terminal establishes an SCO channel with the first device and the header value 3 (HV3) to perform a voice call, there are four time slots. In this state, when the terminal connects to the second device to form a scatternet, an ID packet and a frequency hop synchronization (FHS) packet should be transmitted.

이 때, 단말기가 SCO 채널을 형성한 피코넷 내에서 슬레이브 장치일 경우에 스캐터넷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가이드 슬롯(guard slot)이 발생하므로 ID 패킷과 FHS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타임 슬롯의 여유가 충분하지 않게 되어 스캐터넷을 형성하지 못하게 된다.In this case, when the terminal is a slave device in the piconet that forms the SCO channel, a guard slot occurs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scatternet, so there is not enough time slot for transmitting the ID packet and the FHS packet. This prevents them from forming a scatternet.

이러한 종래의 기술을 도 1 및 도 2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is conventional techniqu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of FIGS. 1 and 2.

도 1은 종래의 스캐터넷을 형성하지 못하는 일 예의 동작을 보인 모식도이다. 여기서, 부호 100은 단말기이다. 상기 단말기(100)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사용하고, 또한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operation that can not form a conventional scatternet. Here, reference numeral 100 denotes a terminal. The terminal 100 is, for exampl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can be conveniently carried by a user and used for Bluetooth communication.

부호 110은 제 1 AP(Access Point)이고, 부호 120은 제 2 AP이다.Reference numeral 110 denotes a first access point (AP), and reference numeral 120 denotes a second AP.

상기 단말기(100)가 제 1 AP(110)와 SCO 채널을 형성할 경우에 단말기(100)가 마스터 장치(M)로 동작하여 제 1 AP(110)에 CTP(Cordless Telephone Profile) 접속을 요청한다(S100).When the terminal 100 forms an SCO channel with the first AP 110, the terminal 100 operates as a master device M to request a Cordless Telephone Profile (CTP) connection to the first AP 110. (S100).

그러면, 제 1 AP(110)는 슬레이브 장치(S)로 동작하여 상기 CTP 접속을 허가한다(S102).Then, the first AP 110 operates as a slave device S to permit the CTP connection (S102).

그리고 역할 교환(role switch)을 수행하여 단말기(100)가 슬레이브 장치(S)로 동작하고, 제 1 AP(110)가 마스터 장치(M)로 동작하도록 한다(S104).The terminal 100 operates as the slave device S and the first AP 110 operates as the master device M by performing a role switch (S104).

즉, 단말기(100)와 제 1 AP(110)의 사이에 SCO 채널을 형성할 경우에 제 1 AP(110)가 마스터 장치(M)로 동작하고, 단말기(100)가 슬레이브 장치로 동작하도록 규정되어 있는 것으로서 단말기(100)와 제 1 AP(110)는 역할 교환을 수행하여 단말 기(100)가 슬레이브 장치(S)로 동작하고, 제 1 AP(110)가 마스터 장치(M)로 동작하도록 역할을 교환한다.That is, when the SCO channel is formed between the terminal 100 and the first AP 110, the first AP 110 operates as the master device M and the terminal 100 operates as a slave device. As such, the terminal 100 and the first AP 110 perform a role exchange so that the terminal 100 operates as the slave device S and the first AP 110 operates as the master device M. FIG. Exchange roles.

이와 같은 상태에서 단말기(100)와 제 1 AP(110)는 SCO 채널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대방의 어드레스를 비롯한 셋업 메시지를 상호간에 교환하고(S106), SCO 채널을 형성하여 상호간에 음성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S108).In this state, the terminal 100 and the first AP 110 may exchange setup messages including the address of the other party to form an SCO channel (S106), and form an SCO channel to transmit voice signals to each other. (S108).

이와 같이 단말기(100)와 제 1 AP(110)는 SCO 채널을 형성한 상태에서 단말기(100)로 제 2 AP(120)와 접속하여 스캐터넷을 형성하는 명령이 입력될 경우에(S110) 단말기(100)는 마스터 장치(M)로 동작하여 제 2 AP(120)에 CTP 접속을 요청해야 한다(S112).As such, when the terminal 100 and the first AP 110 form a SCO channel, when the command to connect to the second AP 120 to form a scatternet is input (S110). The 100 must operate as the master device M and request a CTP connection to the second AP 120 (S112).

그러나 단말기(100)와 제 1 AP(110)가 SCO 채널을 형성한 상태에서 단말기(100)는 슬레이브 장치(S)로 동작하고 있으므로 단말기(100)가 마스터 장치(M)로 제 2 AP(120)에 CTP 접속을 요청하지 못하여 스캐터넷을 형성할 수 없다.However, since the terminal 100 operates as a slave device S while the terminal 100 and the first AP 110 form an SCO channel, the terminal 100 serves as the master device M. ) Cannot establish a scatternet because it cannot request a CTP connection.

도 2는 종래의 스캐터넷을 형성하지 못하는 다른 예의 동작을 보인 모식도이다. 여기서, 부호 200은 단말기이고, 부호 210은 블루투스 헤드셋이며, 부호 220은 블루투스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블루투스 장치(220)는 예를 들면, 컴퓨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 등을 비롯하여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장치이다.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another example that can not form a conventional scatternet. Here, reference numeral 200 denotes a terminal, reference numeral 210 denotes a Bluetooth headset, and reference numeral 220 denotes a Bluetooth device. Here, the Bluetooth device 220 is a device capable of Bluetooth communication, including, for example, a computer 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블루투스 헤드셋(210)이 단말기(200)와 SCO 채널을 형성하여 음성신호를 전송할 경우에 블루투스 헤드셋(210)이 마스터 장치(M)로 단말기(200)에 CTP 접속을 요청한다(S200).When the Bluetooth headset 210 forms an SCO channel with the terminal 200 and transmits a voice signal, the Bluetooth headset 210 requests the CTP connection to the terminal 200 to the master device M (S200).

그러면, 단말기(200)는 슬레이브 장치(S)로 블루투스 헤드셋(210)에 CTP 접 속을 허가하고(S202), 단말기(200)와 블루투스 헤드셋(210)이 상호간에 SCO 채널을 형성하여 음성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S204).Then, the terminal 200 permits the CTP connection to the Bluetooth headset 210 to the slave device S (S202), and the terminal 200 and the Bluetooth headset 210 form an SCO channel to each other to generate a voice signal. It is possible to transmit (S204).

이와 같이 단말기(200)와 블루투스 헤드셋(210)이 SCO 채널을 형성한 상태에서 단말기(200)로 블루투스 장치(220)와 접속하여 스캐터넷을 형성하는 명령이 입력될 경우에(S206) 단말기(200)는 마스터 장치(M)로 동작하여 블루투스 장치(220)에 ACL(Asynchronous ConnectionLess) 접속을 요청해야 한다(S208).When the terminal 200 and the Bluetooth headset 210 form the SCO channel, the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the Bluetooth device 220 to form a scatternet command (S206). ) Operates as the master device M to request an Asynchronous ConnectionLess (ACL) connection to the Bluetooth device 220 (S208).

그러나 블루투스 헤드셋(210)의 CTP 접속요청에 따라 SCO 채널을 형성한 상태에서 블루투스 헤드셋(210)이 마스터 장치(M)로 동작하고, 단말기(200)는 슬레이브 장치(S)로 동작하고 있으므로 단말기(200)가 마스터 장치(M)로 블루투스 장치(220)에 ACL 접속을 요청하지 못하여 스캐터넷을 형성할 수 없다.However, according to the CTP connection request of the Bluetooth headset 210, the Bluetooth headset 210 operates as the master device M and the terminal 200 operates as the slave device S while the SCO channel is formed. 200 cannot form a scatternet because the master device M does not request ACL access from the Bluetooth device 220.

즉, AP 또는 블루투스 헤드셋 등의 제 1 장치와 단말기가 상호간에 SCO 채널을 형성하여 음성신호를 전송하고, 단말기가 슬레이브 장치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단말기로 다른 AP 또는 블루투스 장치 등을 비롯한 소정의 제 2 장치와의 접속 명령이 입력될 경우에 단말기가 슬레이브 장치로 동작하고 있으므로 해당 명령을 정상으로 수행하지 못하고, 이로 인하여 스캐터넷을 형성하지 못하였다.That is, a first device such as an AP or a Bluetooth headset and a terminal form an SCO channel to each other to transmit a voice signal, and a predetermined second including a second AP or a Bluetooth device to the terminal while the terminal is operating as a slave device. When the connection command with the device is input, the terminal operates as a slave device, so the command cannot be executed normally, and thus, the scatternet cannot be formed.

그러므로 단말기가 제 1 장치와 SCO 채널을 형성하고, 또한 슬레이브 장치로 동작할 경우에도 단말기가 제 2 장치와 접속하여 스캐터넷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Therefore, when the terminal forms the SCO channel with the first device and also acts as a slave device, it is necessary to allow the terminal to connect with the second device to form a scatternet.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가 제 1 장치와 SCO 채널을 형성하고, 슬레이브 장 치로 동작할 경우에도 제 2 장치와 접속하여 스캐터넷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근거리 통신에서 스캐터넷의 형성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forming a scatternet in short-range communication that enables a terminal to form an SCO channel with a first device and to connect with a second device to form a scatternet even when operating as a slave device. .

이러한 목적을 가지는 본 발명의 근거리 통신에서 스캐터넷의 형성방법에 따르면, 단말기가 슬레이브 장치로 동작하여 제 1 장치와 SCO 채널을 형성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 2 장치와의 접속 명령이 발생될 경우에 단말기와 제 1 장치가 역할 교환을 수행하여 단말기가 마스터 장치로 동작하게 한다. 그리고 단말기는 제 2 장치와의 접속 명령에 따라 제 2 장치에 접속을 요청하고, 그 접속 요청에 따라 제 2 장치가 접속을 허가하여 접속한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forming a scatternet i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object, when the terminal is operating as a slave device and a connection command with the second device is generated while forming a SCO channel with the first device, And the first device perform a role exchange to allow the terminal to operate as a master device. The terminal requests a connection to the second device according to the connection command with the second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permits the connection according to the connection request and connects.

그러므로 본 발명의 근거리 통신에서 스캐터넷의 형성방법은, 단말기가 슬레이브 장치로 제 1 장치와 SCO(Synchronous Connection Oriented)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 제 2 장치와의 접속 명령이 발생될 경우에 상기 단말기 및 제 1 장치가 역할 교환을 수행하여 단말기가 마스터 장치로 동작하게 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터 장치로 동작하는 단말기가 상기 제 2 장치와 접속하여 스캐터넷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refore, the method of forming a scatternet i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terminal forming a synchronous channel oriented (SCO) channel with a first device as a slave device; When the terminal receives a connection command with a second device, performing a role exchang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first device to operate the terminal as a master device; And forming a scatternet by connecting to the second device by a terminal acting as the master device.

상기 SCO 채널의 형성은; 상기 단말기가 마스터 장치로 동작하여 상기 제 1 장치에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제 1 장치가 슬레이브 장치로 동작하여 접속을 허가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 허가에 따라 상기 단말기 및 제 1 장치가 SCO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ormation of the SCO channel; Operating the terminal as a master device to request access to the first device; Allowing the first device to operate as a slave device according to the connection request to permit connection; And forming the SCO channel by the terminal and the first device according to the access permission.

상기 SCO 채널을 형성하기 이전에; 상기 단말기 및 제 1 장치가 역할 교환을 수행하여 상기 단말기가 슬레이브 장치로 동작하고, 상기 제 1 장치가 마스터 장치로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ior to forming the SCO channel; And performing a role exchang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first device so that the terminal operates as a slave device and the first device operates as a master device.

상기 제 1 장치는; AP(Access Point)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apparatu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ccess point (AP).

또한 상기 SCO 채널의 형성은; 상기 제 1 장치가 마스터 장치로 동작하여 상기 단말기에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기가 슬레이브 장치로 동작하여 접속을 허가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 허가에 따라 상기 제 1 장치와 상기 단말기가 SCO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formation of the SCO channel; Requesting access to the terminal by operating the first device as a master device; Allowing the terminal to operate as a slave device according to the connection request to permit connection; And forming the SCO channel by the first device and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access permission.

상기 제 1 장치는; 블루투스 헤드셋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Bluetooth headset.

상기 접속 요청은; CTP(Cordless Telephone Profile) 접속 요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ion reques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Cordless Telephone Profile (CTP) connection request.

상기 단말기와 상기 제 2 장치의 접속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 2 장치에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제 2 장치가 접속을 허가하여 접속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onnecting the terminal to the second device comprises: requesting, by the terminal, the connection to the second device; And allowing the second device to access and connect according to the connection request.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 2 장치에 접속을 요청하는 것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 2 장치에 CTP(Cordless Telephone Profile) 또는 ACL(Asynchronous ConnectionLess) 접속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erminal requesting connection to the second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rminal requests a CTP (Cordless Telephone Profile) or ACL (Asynchronous ConnectionLess) connection to the second device.

상기 스캐터넷을 형성한 이후에; 상기 단말기와 상기 제 2 장치가 역할 교환을 수행하여 단말기가 슬레이브 장치로 동작하고, 제 2 장치가 마스터 장치로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fter forming the scatternet; And performing a role exchang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econd device so that the terminal operates as a slave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operates as a master device.

이하, 첨부된 도 3 및 도 4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근거리 통신에서 스캐터넷의 형성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forming a scatternet in short-range commun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FIGS. 3 and 4.

도 3은 단말기가 제 1 장치와 SCO 채널을 형성한 상태에서 제 2 장치와 접속하여 스캐터넷을 형성하는 본 발명의 형성방법의 일 실시 예의 동작을 보인 모식도이다. 여기서, 부호 300은 단말기이고, 부호 310은 제 1 장치인 제 1 AP이며, 부호 320은 제 2 장치인 제 2 AP이다.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of an embodiment of a form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terminal forms a scatternet by connecting to a second device in a state in which an SCO channel is formed with a first device. Here, reference numeral 300 denotes a terminal, reference numeral 310 denotes a first AP as a first device, and reference numeral 320 denotes a second AP as a second device.

상기 단말기(300)가 제 1 AP(310)와 SCO 채널을 형성할 경우에 단말기(300)가 마스터 장치(M)로 동작하여 제 1 AP(310)에 CTP(Cordless Telephone Profile) 접속을 요청한다(S300).When the terminal 300 forms an SCO channel with the first AP 310, the terminal 300 operates as a master device M to request a Cordless Telephone Profile (CTP) connection to the first AP 310. (S300).

그러면, 제 1 AP(310)는 슬레이브 장치(S)로 동작하여 상기 CTP 접속을 허가한다(S302).Then, the first AP 310 operates as a slave device S to permit the CTP connection (S302).

그리고 역할 교환(role switch)을 수행하여 단말기(300)가 슬레이브 장치(S)로 동작하고, 제 1 AP(310)가 마스터 장치(M)로 동작하도록 한다(S304).The terminal 300 operates as the slave device S and the first AP 310 operates as the master device M by performing a role switch (S304).

이와 같은 상태에서 단말기(300)와 제 1 AP(310)는 SCO 채널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대방의 어드레스를 비롯한 셋업 메시지를 상호간에 교환하고(S306), SCO 채널을 형성하여 상호간에 음성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S308).In this state, the terminal 300 and the first AP 310 may exchange setup messages including the address of the other party to form an SCO channel (S306), and form an SCO channel to transmit voice signals to each other. (S308).

이와 같이 단말기(300)와 제 1 AP(310)는 SCO 채널을 형성한 상태에서 단말기(300)로 제 2 AP(320)와 접속하여 스캐터넷을 형성하는 명령이 입력될 경우에(S310) 단말기(300)는 마스터 장치(M)로 동작하여 제 2 AP(320)에 CTP 접속을 요청해야 한다.When the terminal 300 and the first AP 310 are connected to the second AP 320 to the terminal 300 while the SCO channel is formed, a command for forming a scatternet is input (S310). The 300 may operate as the master device M and request a CTP connection to the second AP 320.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먼저 단말기(300)와 제 1 AP(310)와 역할 교환을 수행한다(S312). 그러면, 단말기(300)가 마스터 장치(M)로 동작하고, 제 1 AP(310)가 슬레이브 장치(S)로 동작하게 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first performs a role exchange with the terminal 300 and the first AP 310 (S312). Then, the terminal 300 operates as the master device M, and the first AP 310 operates as the slave device S. FIG.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 1 AP(310)에 대하여 마스터 장치(M)로 동작하는 단말기(300)는 제 2 AP(320)에 대해서도 마스터 장치(M)로 동작하여 CTP 접속을 요청한다(S314).In this state, the terminal 300 operating as the master device M with respect to the first AP 310 also operates as the master device M with respect to the second AP 320 to request a CTP connection (S314).

상기 CTP 접속 요청에 따라 제 2 AP(320)는 슬레이브 장치(S)로 동작하여 접속을 허가하고(S316), 단말기(300)와 제 2 AP(320)가 역할 교환을 수행한다(S318).In response to the CTP access request, the second AP 320 operates as a slave device S to permit access (S316), and the terminal 300 and the second AP 320 exchange roles (S318).

그러면, 단말기(300)가 슬레이브 장치(S)로 동작하고, 제 2 AP(320)가 마스터 장치(S)로 동작하며, 스캐터넷을 형성한다.Then, the terminal 300 operates as the slave device S, the second AP 320 operates as the master device S, and forms a scatternet.

도 4는 본 발명의 형성방법의 다른 실시 예의 동작을 보인 모식도이다. 여기서, 부호 400은 단말기이고, 부호 410은 제 1 장치인 블루투스 헤드셋이며, 부호 420은 제 2 장치인 블루투스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블루투스 장치(220)는 예를 들면, 컴퓨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 등을 비롯하여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장치이다.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form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reference numeral 400 denotes a terminal, reference numeral 410 denotes a Bluetooth headset which is a first device, and reference numeral 420 denotes a Bluetooth device which is a second device. Here, the Bluetooth device 220 is a device capable of Bluetooth communication, including, for example, a computer 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블루투스 헤드셋(410)이 단말기(400)와 SCO 채널을 형성하여 음성신호를 전송할 경우에 블루투스 헤드셋(410)이 마스터 장치(M)로 단말기(400)에 CTP 접속을 요청한다(S400).When the Bluetooth headset 410 establishes an SCO channel with the terminal 400 and transmits a voice signal, the Bluetooth headset 410 requests a CTP connection to the terminal 400 to the master device M (S400).

그러면, 단말기(400)는 슬레이브 장치(S)로 블루투스 헤드셋(410)에 CTP 접속을 허가하고(S402), 단말기(400)와 블루투스 헤드셋(410)이 상호간에 SCO 채널을 형성하여 음성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S404).Then, the terminal 400 permits the CTP connection to the Bluetooth headset 410 to the slave device S (S402), and the terminal 400 and the Bluetooth headset 410 form an SCO channel to each other to transmit a voice signal. To allow (S404).

이와 같이 단말기(400)와 블루투스 헤드셋(410)이 SCO 채널을 형성한 상태에서 단말기(400)로 블루투스 장치(420)와 접속하여 스캐터넷을 형성하는 명령이 입력될 경우에(S406) 단말기(400)는 마스터 장치(M)로 동작하여 블루투스 장치(420)에 ACL(Asynchronous ConnectionLess) 접속을 요청해야 한다.As such, when the terminal 400 and the Bluetooth headset 410 form the SCO channel, the terminal 400 connects to the Bluetooth device 420 to form a scatternet. ) Must act as the master device M to request an Asynchronous ConnectionLess (ACL) connection to the Bluetooth device 420.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먼저 단말기(400)와 블루투스 헤드셋(410)과 역할 교환을 수행한다(S408). 그러면, 단말기(400)가 마스터 장치(M)로 동작하고, 블루투스 헤드셋(410)이 슬레이브 장치(S)로 동작하게 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first performs a role exchange with the terminal 400 and the Bluetooth headset 410 (S408). Then, the terminal 400 operates as the master device M, and the Bluetooth headset 410 operates as the slave device S.

이와 같은 상태에서 블루투스 헤드셋(410)에 대하여 마스터 장치(M)로 동작하는 단말기(400)는 블루투스 장치(420)에 대해서도 마스터 장치(M)로 동작하여 ACL 접속을 요청한다(S410).In this state, the terminal 400 operating as the master device M with respect to the Bluetooth headset 410 also operates as the master device M with respect to the Bluetooth device 420 (S410).

상기 ACL 접속 요청에 따라 블루투스 장치(420)는 슬레이브 장치(S)로 동작하여 접속을 허가하고(S412), 단말기(400)와 블루투스 장치(420)가 역할 교환을 수행한다(S414).In response to the ACL access request, the Bluetooth device 420 operates as a slave device S to permit connection (S412), and the terminal 400 and the Bluetooth device 420 exchange roles (S414).

그러면, 단말기(400)가 슬레이브 장치(S)로 동작하고, 블루투스 장치(420)가 마스터 장치(S)로 동작하며, 스캐터넷을 형성한다.Then, the terminal 400 operates as the slave device S, the Bluetooth device 420 operates as the master device S, and forms a scatternet.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field of the invention provided by the claims below It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기가 제 1 장치와 SCO 채널을 형성하고, 슬레이브 장치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제 2 장치와의 접속명령이 발생될 경우에 단말기와 제 1 장치가 역할 교환을 수행하여 단말기가 마스터 장치로 동작하도록 한 후 단말기가 제 2 장치에 접속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terminal forms an SCO channel with a first device and a connection command is generated with a second device while operating as a slave device, the terminal and the first device perform a role exchange. By allowing the terminal to operate as a master device, the terminal can request connection to the second device.

그러므로 본 발명은 단말기가 마스터 장치로 역할을 교환하여 제 2 장치와 접속하고, 스캐터넷을 형성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can exchange roles with the master device, connect with the second device, and form a scatternet.

Claims (10)

단말기가 슬레이브 장치로 제 1 장치와 SCO(Synchronous Connection Oriented)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Establishing, by the terminal, a SCO (Synchronous Connection Oriented) channel with the first device as a slave device; 상기 단말기에 제 2 장치와의 접속 명령이 발생될 경우에 상기 단말기 및 제 1 장치가 역할 교환(role switch)을 수행하여 단말기가 마스터 장치로 동작하게 하는 단계; 및When the terminal receives a connection command with a second device, causing the terminal and the first device to perform a role switch to operate the terminal as a master device; And 상기 마스터 장치로 동작하는 단말기가 상기 제 2 장치와 접속하여 스캐터넷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 근거리 통신에서 스캐터넷의 형성방법.And forming a scatternet by the terminal acting as the master device to connect to the second apparatu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CO 채널의 형성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ormation of the SCO channel; 상기 단말기가 마스터 장치로 동작하여 상기 제 1 장치에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Operating the terminal as a master device to request access to the first device; 상기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제 1 장치가 슬레이브 장치로 동작하여 접속을 허가하는 단계; 및Allowing the first device to operate as a slave device according to the connection request to permit connection; And 상기 접속 허가에 따라 상기 단말기 및 제 1 장치가 SCO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에서 스캐터넷의 형성방법.And forming a SCO channel by the terminal and the first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access permiss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SCO 채널을 형성하기 이전에;3. The method of claim 2, prior to forming the SCO channel; 상기 단말기 및 제 1 장치가 역할 교환을 수행하여 상기 단말기가 슬레이브 장치로 동작하고, 상기 제 1 장치가 마스터 장치로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에서 스캐터넷의 형성방법.And performing a role exchang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first device so that the terminal operates as a slave device, and the first device operates as a master device.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치는;The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device comprises: a; AP(Access Poin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에서 스캐터넷의 형성방법.A method of forming a scatternet in short-range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access point (AP).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CO 채널의 형성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ormation of the SCO channel; 상기 제 1 장치가 마스터 장치로 동작하여 상기 단말기에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Requesting access to the terminal by operating the first device as a master device; 상기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기가 슬레이브 장치로 동작하여 접속을 허가하는 단계; 및Allowing the terminal to operate as a slave device according to the connection request to permit connection; And 상기 접속 허가에 따라 상기 제 1 장치와 상기 단말기가 SCO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에서 스캐터넷의 형성방법.And forming a SCO channel between the first apparatus and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access permiss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치는;6. The apparatus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device; 블루투스 헤드셋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에서 스캐터넷의 형성방법.A method of forming a scatternet in short-range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Bluetooth headset. 제 2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요청은;The method of claim 2 or 5, wherein the connection request; CTP(Cordless Telephone Profile) 접속 요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에서 스캐터넷의 형성방법.A method of forming a scatternet in short-range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Cordless Telephone Profile (CTP) connection reques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와 상기 제 2 장치의 접속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econd device;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 2 장치에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 및Requesting, by the terminal, access to the second device; And 상기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제 2 장치가 접속을 허가하여 접속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에서 스캐터넷의 형성방법.And the second device permits the connection according to the connection request, and connects to the second devic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요청은;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nnection request;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 2 장치에 CTP(Cordless Telephone Profile) 또는 ACL(Asynchronous ConnectionLess) 접속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에서 스캐터넷의 형성방법.And the terminal requests a CTP (Cordless Telephone Profile) or ACL (Asynchronous ConnectionLess) connection to the second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터넷을 형성한 이후에;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fter forming the scatternet; 상기 단말기와 상기 제 2 장치가 역할 교환을 수행하여 단말기가 슬레이브 장치로 동작하고, 제 2 장치가 마스터 장치로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에서 스캐터넷의 형성방법.And performing a role exchang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econd device so that the terminal acts as a slave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acts as a master device.
KR1020060010540A 2006-02-03 2006-02-03 Method for embodying scatternet in short range communication KR1006598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0540A KR100659896B1 (en) 2006-02-03 2006-02-03 Method for embodying scatternet in short range commun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0540A KR100659896B1 (en) 2006-02-03 2006-02-03 Method for embodying scatternet in short range communic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9896B1 true KR100659896B1 (en) 2006-12-20

Family

ID=37815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0540A KR100659896B1 (en) 2006-02-03 2006-02-03 Method for embodying scatternet in short range communi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989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269B1 (en) * 2008-06-09 2010-07-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fault tolerant time synchronization protocol and the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269B1 (en) * 2008-06-09 2010-07-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fault tolerant time synchronization protocol and the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5214B2 (en) Distributed bluetooth system
US7242905B2 (en) Method of information sharing between cellular and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7894387B2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a multi-line gateway using cordless telephony terminals
US7142814B2 (en) Automatic Bluetooth inquiry mode headset
US20080031184A1 (en) Bluetooth-base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Shepherd Bluetooth wireless technology in the home
KR100389820B1 (en) Method for establishing link between bluetooth apparatuses using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EP3445080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 adaptive frequency hopping (afh) map
US20020164953A1 (en) Bluetooth adaptor
KR20030063793A (en) Bluetooth system capable of communicating on a scatternet and communicating method thereof
EP1372299A1 (en) A system for improving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s
KR20010060287A (en)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080000553U (en) The portable terminal using the bluetooth protocol
KR100659896B1 (en) Method for embodying scatternet in short range communication
US6975684B1 (en) Dynamic slave frequency selection for improving uplink frequency hopping wireless communications
EP1433292A1 (en) Extending bluetooth personal area networks
KR100370605B1 (en) Method of sharing information using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Rathi Blue tooth protocol architecture
KR20050018860A (en) Ninetec Buletooth Linker System
EP172252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n instant messenger function using a local area network
EP1355469A1 (en) Voice data transmission
Haartsen Bluetooth-ad-hoc networking in an uncoordinated environment
KR20040039562A (en) Voice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using bluetooth
Song et al. The Study about the Bluetooth Communication
JP3990245B2 (en) Voice cal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