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9633B1 - 암호키 변환 기능을 갖는 ic 카드, ic 카드 시스템 및결제 단말기 - Google Patents

암호키 변환 기능을 갖는 ic 카드, ic 카드 시스템 및결제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9633B1
KR100659633B1 KR1020040030083A KR20040030083A KR100659633B1 KR 100659633 B1 KR100659633 B1 KR 100659633B1 KR 1020040030083 A KR1020040030083 A KR 1020040030083A KR 20040030083 A KR20040030083 A KR 20040030083A KR 100659633 B1 KR100659633 B1 KR 100659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encryption key
data
communication means
encry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0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0891A (ko
Inventor
다까미유따까
후꾸시마신이찌로
하시모또가즈노리
아이까와마꼬또
이나미쯔데쯔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40100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0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9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9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H04L63/046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using hop-by-hop encryption, i.e. wherein an intermediate entity decrypts the information and re-encrypts it before forwarding 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5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an additional device, e.g. smartcard, SIM or a different communication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IC 카드에 있는 어플리케이션 제공자가 기록한 정보를 다른 어플리케이션 제공자가 참조나 판독 변경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C 카드에 기록한 정보에 기입 및 판독하기 위한 암호 키를 복수 가지며, 어플리케이션 제공자가 자신이 관리하는 암호 키에 의해 기입 및 판독할 수 있는 파일에 암호화에 이용하는 암호 키 변환 기능을 제공하여, 해당 암호 키 변환 기능을 통해, 다른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의 파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거나 기입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중앙 연산 장치, 접촉 단말기 프로그램, 통신부, 비접촉 통신부, 메모리

Description

암호키 변환 기능을 갖는 IC 카드, IC 카드 시스템 및 결제 단말기{IC CARD WITH CIPHER KEY CONVERSION FUNCTION, IC CARD SYSTEM AND SETTLEMENT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IC 카드의 내부 파일 구성을 도시하는 파일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처리 순서.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커맨드 응답 사양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커맨드 응답 사양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커맨드 응답 사양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커맨드 응답 사양을 나타 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IC 카드의 내부 파일 구성을 도시하는 파일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커맨드 응답 사양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커맨드 응답 사양을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IC 카드의 내부 파일 구성을 도시하는 파일 구성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IC 카드의 내부 파일 구성을 도시하는 파일 구성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커맨드 응답 사양을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커맨드 응답 사양을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비접촉 IC 카드
2 : 중앙 연산 장치
3 : IC 카드 내 프로그램
4 : 통신부
5 : 비접촉 통신부
6 : 메모리
본 발명은 IC 카드 내부에 정보를 기록하여 운용하는 IC 카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IC 카드에 정보를 기록하여 운용하는 시스템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1-167241호에 기재된 기술이 있다. 이 문헌에는 「멀티 어플리케이션 비접촉 IC 카드를 작성할 때, 각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의 기밀 정보를 확실하게 보유할 수 있도록 한다」라는 것을 과제로 하여, 「실장하는 어플리케이션 수에 따라 메모리(6)를 복수의 영역(7a∼7d)으로 분할하여, 각각의 분할 영역(7a∼7d)을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마다 독립한 메모리 공간으로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1개의 비접촉 IC 카드(1)에 실장하는 경우에도, 개개의 어플리케이션 제공자가 독자적인 기밀 정보를 종래의 발행 메이커에 개시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여, 중요한 기밀 사항이 제3자에게 누설되지 않아 시큐러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라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IC 카드에 기록한 정보를 각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의 기밀 정보를 보유하면서 다른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의 기밀 정보를 기입 및 판독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IC 카드에 임의의 어플리케이션 제공자가 기록한 정보를, 다른 어플리케이션 제공자가 참조나 판독 변경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IC 카드가 제1 암호 키 및 제2 암호 키를 기억하고 있는 메모리와, 상기 제1 암호 키에 의해 암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제1 암호 키에 의해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제2 암호 키에 의해 암호화하는 연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특징 및 그 밖의 특징들과,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하는 도면에 관련하여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 1∼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참조 부호 1은 내부에 중앙 연산 장치(2)를 갖는 IC 카드이며, 참조 부호 3은 IC 카드(1) 내부 에 기록된 IC 카드 내 프로그램이고, 참조 부호 4는 IC 카드(1)가 물리적으로 접속된 외부 기기와 데이터의 교환을 행하기 위한 ISO7816에서 규정된 사양에 따른 접촉 통신부이며, 참조 부호 5는 비접촉으로 접속된 외부 기기와 데이터의 교환을 행하기 위한 ISO14443에서 규정된 사양에 따른 비접촉 통신부이고, 참조 부호 6은 IC 카드 내 프로그램(3) 중의 일부인 처리 프로그램 A이며, 참조 부호 7은 처리 프로그램 A(6) 내부의 기능인 데이터 판독 보관 기능이고, 참조 부호 8은 처리 프로그램 A(6) 내부에서 시큐어로 보관된 암호 키 A이며, 참조 부호 9는 처리 프로그램 A(6) 내부에서 암호 키 A(8)를 이용하여 암호 처리를 행하는 암호 처리 A이고, 참조 부호 10은 IC 카드 내 프로그램(3)의 내부에서 처리 프로그램 A(6)와는 다른 처리 프로그램 B이며, 참조 부호 11은 처리 프로그램 B(10)의 내부에서 시큐어로 보관된 암호 키 A이고, 참조 부호 12는 처리 프로그램 B(10)의 내부에서 암호 키 A(11)를 이용하여 암호 처리를 행하는 암호 처리 A이며, 참조 부호 13은 처리 프로그램 B(10)의 내부에서 시큐어로 보관된 암호 키 B이고, 참조 부호 14는 처리 프로그램 B(10)의 내부에서 암호 키 B(13)를 이용하여 암호 처리를 행하는 암호 처리 B이며, 참조 부호 15는 처리 프로그램 B(10)의 내부 기능으로서 암호 처리 A(12)와 암호 처리 B(14)를 사용하여 데이터 변환을 행하는 데이터 변환 기능이고, 참조 부호 16은 처리 프로그램 A(6)와 처리 프로그램 B(10)가 서로 직접 내부의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참조나 개변하지 않고 서로 데이터를 교환하는 프로그램간 데이터 전송 수단이다.
참조 부호 17은 접촉 통신부(4)를 통해 IC 카드(1)와 통신 처리를 행하는 접 촉용 단말기이며, 참조 부호 18은 IC 카드(1)의 접촉 통신부(4)를 통해 IC 카드(1)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IC 카드 접속부이고, 참조 부호 19는 접촉용 단말기(17)의 제어를 행하는 접촉용 단말기 중앙 연산 장치이며, 참조 부호 20은 접촉용 단말기 중앙 연산 장치(19)의 제어를 기술한 접촉 단말기 프로그램이고, 참조 부호 21은 접촉 단말기 프로그램(20)에서 사용하는 암호 키 B이며, 참조 부호 22는 접촉 단말기 프로그램(20)에서의 내부의 기능으로서 암호 키 B(21)를 이용한 처리를 행하는 암호 처리 B이고, 참조 부호 23은 비접촉 통신부(5)를 통해 IC 카드(1)와 통신 처리를 행하는 비접촉용 단말기이며, 참조 부호 24는 IC 카드(1)의 비접촉 통신부(5)를 통해 IC 카드(1)와 직류적으로 접속하지 않고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비접촉 송수신부이고, 참조 부호 25는 비접촉용 단말기(23)의 제어를 행하는 비접촉용 단말기 중앙 연산 장치이며, 참조 부호 26은 비접촉용 단말기 중앙 연산 장치(25)의 제어를 기술한 비접촉 단말기 프로그램이고, 참조 부호 27은 비접촉 단말기 프로그램(26)에서 사용하는 암호 키 A이며, 참조 부호 28은 비접촉 단말기 프로그램(26)의 내부의 기능으로서 암호 키 A(27)를 이용한 처리를 행하는 암호 처리 A이고, IC 카드(1)와 접촉용 단말기(17) 사이는 접촉 통신(29)에 의해 통신하며, IC 카드(1)와 비접촉용 단말기(23) 사이는 비접촉 통신(30)에 의해 통신하는 구성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IC 카드(1)의 내부 파일 구성을 도시하는 파일 구성도이다. 도 2에서 도시하는 파일 구성은 ISO7816과 ISO14443에 따른, 도 1에서 도시한 IC 카드(1)의 내부에서, IC 카드 내 프로그램(3)을 접촉 통신부(4) 또는 비접촉 통신부(5)로부터 보았을 때의 내부 파일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중앙 연산 장치(2)의 처리에 의해 실현되고 있다. 참조 부호 201은 IC 카드(1) 내부 파일의 기간(基幹)이 되는 MF를 나타낸다. 도 1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있다. 참조 부호 202는 데이터 판독 보관 기능(7)이 데이터 판독하거나 기록하는 데이터 파일을 나타낸다. 참조 부호 203은 데이터 변환 기능(15)이 데이터의 변환에 일시적으로 이용하는 데이터 일시 기억 파일이다. 이들 파일은 불휘발성 메모리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접촉용 단말기(17)의 접촉 단말기 프로그램(20)의 처리를 나타내는 처리 순서이다. IC 카드(1)가 IC 카드 접속부(18)에 접속되어, 접촉용 단말기(17)가 처리를 개시하면(단계 301), 접촉용 단말기(17)는 ISO7816에 정의된 수순에 따라, 카드 활성화를 행한다(단계 302). 접촉용 단말기(17)는 활성화된 IC 카드(1)가 출력하는 ATR을 판독하여, ATR에 따른 처리 조건으로 설정된다. 또한, 접촉용 단말기(17)는 SelectFile(처리 프로그램 B)(단계 303)의 단계에서, ISO7816에서 정의된 SelectFile 커맨드의 파일 ID에 처리 프로그램 B(10)의 DF 명칭을 설정하여 송출한다. IC 카드(1)는 프로그램 기동 기능에 의해 IC 카드(1)의 동작 제어가 처리 프로그램 B(10)로 옮겨 데이터 변환 기능(15)을 이용 가능하게 한다. 단계 304에서, 접촉용 단말기(17)는 암호 키 B(21)를 이용한 상호 인증을 IC 카드(1)와의 사이에서 행한다. 단계 305에서는, 암호 데이터 기입 커맨드를 발행하여, 암호화한 데이터를 기입할 것을 지시한다. 단계 306에서는, 암호 데이터 판독 커맨드를 발행하여,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판독한다. 이들 일련의 처리를 끝낸 후, 단계 307에서 처리 프로그램 B(10)의 동작을 종료하는 구성이다.
이상의 구성에 따라, 이하 본 발명의 동작을 도 4∼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본 실시예의 IC 카드(1)의 접촉 통신부(4)를 통해 송수신하는 암호 데이터 기입 커맨드의 정의를 나타낸 커맨드 응답 사양이다. 커맨드는 ISO7816에 따른 데이터 형식과 수순에 따라, IC 카드(1)에 전달된다. 암호 데이터 기입 커맨드를 수취한 IC 카드(1)는 IC 카드(1) 내부의 중앙 연산 장치(2)에 의해 처리 프로그램 B(10)에 따른 동작을 행한다. 이 동작을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암호 데이터 기입 커맨드를 수취한 IC 카드(1)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순서이다. 도 5의 단계 501에서 암호 데이터 기입 커맨드를 수취한다. 단계 502에서, 수취한 저장 데이터를 데이터 변환 기능(15)을 이용하여 암호 처리 B(14)에 따라 암호 키 B(13)를 이용하여 복호 처리를 행한다. 단계 503에서 복호한 저장 데이터를 데이터 일시 기억 파일(203)에 기록한다. 데이터 일시 기억 파일(203)은 불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시점에서 IC 카드(1)의 처리가 중단되더라도 저장 데이터가 보존된다. 단계 504에서, 데이터 일시 기억 파일(203)에 기록된 복호된 저장 데이터에, 암호 키 A(11)를 이용한 암호 처리 A(12)에 따른 암호 처리가 실시한다. 암호 처리가 실시된 저장 데이터는 단계 505에서 프로그램간 데이터 전달 수단(16)을 통해 처리 프로그램 A(6)에 암호화한 저 장 데이터를 전달한다. 단계 506에서, 처리 프로그램 A(6)는 데이터 판독 보관 기능(7)에 의해 암호 처리 A(9)를 이용하여, 수취한 암호화된 저장 데이터를 암호 키 A(8)를 이용하여 복호하고, 데이터 파일(202)에 저장한다. 데이터 파일(202)로의 저장이 정상적으로 종료한 경우, 처리 프로그램 A(6)는 정상 종료인 것을 통지하는 응답을 프로그램간 데이터 전송 수단(16)을 통해 처리 프로그램 B(10)에 응답한다. 단계 507에서 처리 프로그램 B(10)는 통지를 수취하면, 처리 프로그램의 응답을 ISO7816에 규정한 Status로서 출력한다. IC 카드(1)의 동작으로서는 암호 데이터 기입 커맨드를 수취한 후의 일련의 동작을 단계 508에서 종료한다. 단계 502의 처리에서부터 단계 505의 처리(509)까지는 처리 프로그램 B(10)의 처리이며, 단계 507의 처리(단계 510)도 처리 프로그램 B(10)의 처리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하는 본 실시예의 IC 카드(1)의 접촉 통신부(4)를 통해 송수신하는 암호 데이터 판독 커맨드의 정의를 나타낸 커맨드 응답 사양이다. 커맨드는 ISO7816에 따른 데이터 형식과 수순에 따라, IC 카드(1)에 전달된다. 암호 데이터 판독 커맨드를 수취한 IC 카드(1)는 IC 카드(1) 내부의 중앙 연산 장치(2)에 의해 처리 프로그램 B(10)에 따른 동작을 행한다. 암호 데이터 판독 커맨드는 응답으로서 판독 데이터가 응답되는 커맨드 형식이다. 이 동작을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암호 데이터 판독 커맨드를 수취한 IC 카드(1)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순서이다. 도 7의 단계 701에서 암호 데이터 판독 커맨드를 수취한다. 단계 702에서, 수취한 암호 데이터 판독 커맨드에 따라, 데이터의 판독 지시를 프로그램 간 데이터 전송 수단(16)을 통해 처리 프로그램 A(6)에 통지한다. 단계 703에서, 처리 프로그램 A(6)는 수취한 판독 지시에 따라, 데이터 판독 보관 기능(7)에 의해 데이터 파일(202)에 기록된 데이터를 암호 키 A(8)를 이용하여 암호화하고, 암호 키 A에 의해 암호화한 판독 데이터로서 프로그램간 데이터 전송 수단을 통해 처리 프로그램 B(10)에 응답한다. 처리 프로그램 B(10)는 프로그램간 데이터 전송 수단을 통해 수취한 암호 키 A에 의해 암호화한 판독 데이터를 단계 704에서 데이터 일시 기억 파일(203)에 기록한다. 데이터 일시 기억 파일(203)은 불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시점에서 IC 카드(1)의 처리가 중단되어도 저장 데이터가 보존된다. 단계 705에서, 데이터 일시 기억 파일(203)에 기록된 암호 키 A에 의해 암호화한 판독 데이터를 암호 키 A(11)를 이용한 암호 처리 A(12)에 의해 복호한다. 복호된 판독 데이터를, 재차 데이터 일시 기억 파일(203)에 기록한다. 단계 706에서 데이터 일시 기억 파일(203)에 기록된 복호된 판독 데이터를, 암호 키 B(13)를 이용한 암호 처리(14)에 따라 재차 암호화를 실시한다. 단계 707에서 재차 암호화가 실시된 판독 데이터를 Status와 함께 ISO7816에서 규정된 출력으로서 출력한다. IC 카드(1)의 동작으로서는 암호 데이터 기입 커맨드를 수취한 후의 일련의 동작을 단계 708에서 종료한다. 단계 702의 처리 709와 단계 704에서부터 단계 707까지의 처리(710)는 처리 프로그램 B(10)의 처리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하는 비접촉용 단말기(23)의 비접촉 단말기 프로그램(26)의 조작 처리를 나타내는 처리 순서이다. IC 카드(1)가 비접촉 송수신부(24)에 접속되며, 비접촉용 단말기(23)가 처리를 개시하면(단계 801), 비접촉용 단말기(23) 는 ISO14443에 정의된 수순에 따라, 카드 활성화를 행한다(단계 802). 비접촉용 단말기(23)는 SelectFile(처리 프로그램 A)의 단계 803에서, ISO7816에서 정의된 SelectFile 커맨드의 파일 ID에 처리 프로그램 A(6)의 DF 명칭을 설정하여 ISO14443에 나타낸 수순에 따라 송출한다. IC 카드(1)는 프로그램 기동 기능에 의해 IC 카드(1)의 동작 제어가 처리 프로그램 A(6)로 이행하여 데이터 판독 보관 기능(7)을 이용 가능하게 한다. 단계 804에서, 비접촉용 단말기(23)는 암호 키 A(8)를 이용한 상호 인증을 IC 카드(1)와의 사이에서 행한다. 단계 805에서는, 암호 데이터 기입 커맨드를 발행하여, 암호화한 데이터의 기입을 지시한다. 단계 806에서는 암호 데이터 판독 커맨드를 발행하여,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판독한다. 이들 일련의 처리를 끝낸 후, 단계 807에서 처리 프로그램 A(6)의 동작을 종료하는 동작을 행한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하는 본 실시예의 IC 카드(1)의 비접촉 통신부(5)를 통해 송수신하는 암호 데이터 기입 커맨드의 정의를 나타낸 커맨드 응답 사양이다. 커맨드는 ISO7816에 따른 데이터 형식을 ISO14443에서 정의된 수순에 따라, IC 카드(1)에 전달된다. 비접촉용 단말기(23)는 암호 키 A(27)를 이용한 암호 처리 A(28)에 의해 암호화된 저장할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 데이터 기입 커맨드에 설정하여 송출한다. 이 암호 데이터 기입 커맨드를 수취한 IC 카드(1)는 IC 카드(1) 내부의 중앙 연산 장치(2)에 의해 처리 프로그램 A(6)에 따른 동작을 행한다. 처리 프로그램 A(6)에서는, 데이터 판독 보관 기능(7)에 의해, 입력된 저장할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 키 A를 이용한 암호 처리 A(9)에 의해 해독하여, 데이터 파일(202)에 저장한다. 데이터 파일(202)로의 저장이 정상적으로 종료한 경우, 처리 프로그램 A(6)는 정상 종료인 것을 통지하는 응답을 출력한다. 도 9에 나타낸 동작은 도 5의 단계 506에서 나타낸 처리 프로그램 A(6)의 동작과 데이터의 입출력의 경로가 다른 것 이외에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동작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하는 본 실시예의 IC 카드(1)의 비접촉 통신부(5)를 통해 송수신하는 암호 데이터 판독 커맨드의 정의를 나타낸 커맨드 응답 사양이다. 커맨드는 ISO78l6에 따른 데이터 형식을 ISO14443에서 정의된 수순에 따라, IC 카드(1)에 전달된다. 암호 데이터 판독 커맨드를 수취한 IC 카드(1)는 IC 카드(1) 내부의 중앙 연산 장치(2)에 의해 처리 프로그램 A(6)에 따른 동작을 행한다. 암호 데이터 판독 커맨드는 응답으로서 데이터가 응답되는 커맨드 형식이다. 처리 프로그램 A(6)에서는, 데이터 판독 보관 기능(7)에 의해 데이터 파일(202)에 기록된 데이터를 암호 키 A(8)를 이용하여 암호화하며, 암호 키 A에 의해 암호화하고, 판독한 암호 데이터로서 출력한다. 도 10에 나타낸 동작은 도 7의 단계 703에서 나타낸 처리 프로그램 A(6)의 동작과 데이터의 입출력의 경로가 다른 것 이외에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동작이다.
이상 설명한 동작에 따른 본 실시예의 효과를 이하에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비접촉용 단말기(23)와 IC 카드(1) 사이 및 접촉용 단말기(17)와 IC 카드(1) 사이에서 상호 인증을 행하기 위해, 각각의 단말기와 IC 카드가 서로 올바른 것을 확인한 후에 데이터의 판독이나 기입을 행함으로써, 시큐러티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호 인증에 이용하는 암호 키를 데이터의 암호화나 복호에 이용하는 암호 키와 동일하다고 설명하였지만, 어느 한쪽이나 혹은 각각을, 상호 인증에 의해 서로 교환된 데이터로부터 파생한 일시적인 암호 키에 의한 암호화와 복호로 하는 것은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또한, 암호 방식도, 본 실시예에서는 비접촉용 단말기(23)와 IC 카드(1) 사이 및 접촉용 단말기(17)와 IC 카드(1) 사이에서 어느 것이나 공통 키 암호 방식을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 중 어느 한쪽, 혹은 양쪽을 일반적으로 알려진 공개 키 암호 방식으로 하여도 전혀 문제가 없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암호 키의 기록 방법에 관해서도 전혀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며, 본 실시예에서는 미리 각 암호 키가 IC 카드(1) 내부에 기록되어 있다고 하여 설명하였지만, 미리 한쪽 암호 키를 IC 카드(1) 내부에 기록해두고, 이 기록된 암호 키를 이용한 상호 인증 후, 그 암호 키나 상호 인증에 의해 교환된 데이터의 결과에 따라 파생한 일시적인 암호 키를 이용하여 다른 암호 키를 암호화하여 배송하고, 그 IC 카드(1)의 내부에서 미리 기록된 암호 키나 일시적인 암호 키를 이용하여 해독하여 기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록될 데이터는 데이터 파일(202)에 기록되지만, 이 예비로서 데이터 변환 기능(15)이 독자적으로 데이터 일시 기억 파일로 변환한 데이터를 기록 보관해두고, 필요에 따라 소거나 판독 가능하도록 하여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 11 내지 도 1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있다. 제2 실시예가 제1 실시예와 다른 점은 접촉용 단말기(17)에 복수의 암호 키로서 암호 키 B1(1101), 암호 키 B2(1102)가 기록되며, 이들 암호 키를 선택하는 암호 키 B 선택 기능(1103)이 제공되어 있는 점, 또한 비접촉용 단말기(23)에도 복수의 암호 키로서 암호 키 A1(1104), 암호 키 A2(1105), 암호 키 A3(1106)가 기록되며, 이들 암호 키를 선택하는 암호 키 A 선택 기능(1107)이 제공되어 있는 점, 및 IC 카드(1)에도 해당 각 단말기에 대응한 기능 구성(도시 생략)을 부가한 점이다. 이 IC 카드(1)에 부가한 기능 구성을 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IC 카드(1)의 내부 파일 구성을 도시하는 파일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있다. 제2 실시예가 제1 실시예와 다른 점은, 데이터 변환 기능(15)에 암호 키 전환 기능(1201)을 구비한 점, 데이터 판독 보관 기능(7)에 데이터 파일 전환 기능(1202)을 구비한 점, 암호 키 전환 기능(1201)에 의해 전환되는 복수의 암호 키 B 및 암호 키 A로서, 암호 키 B1(1203), 대응한 암호 키 A1(1204), 암호 키 B2(1205), 대응한 암호 키 A2(1206)를 구비한 점, 데이터 파일 전환 기능(1202)에 의해 전환되는 복수의 데이터 파일과 암호 키 A로서 데이터 파일1(1207)과 암호 키 A1(1208), 데이터 파일2(1209)와 암호 키 A2(1210), 데이터 파일3(1211)과 암호 키 A3(1212)을 구비한 점이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이하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하는 본 실시예의 IC 카드(1)의 접촉 통신부(4)를 통해 송수신하는 암호 데이터 기입 커맨드의 정의를 나타낸 커맨드 응답 사양이다. 커 맨드는 ISO7816에 따른 데이터 형식과 수순에 따라, IC 카드(1)에 전달된다. 커맨드 데이터로서, 제1 실시예에서의 저장 데이터 이외에, 저장할 데이터의 복호에 이용하는 암호 키 B의 ID를 나타내는 복호 키와 저장 데이터의 저장처를 나타내는 파일 ID를 나타내는 저장처가 부가된다. 접촉용 단말기(17)는 설정할 복호 키에 대응한 암호 키 B를 이용한 암호 처리 A(28)에 의해 암호화된 저장할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 데이터 기입 커맨드에 설정하고, 대응한 복호 키와 저장처를 설정하여 송출한다. 이 암호 데이터 기입 커맨드를 수취한 IC 카드(1)는 IC 카드(1) 내부의 중앙 연산 장치(2)에 의해 처리 프로그램 B(10)에 따른 동작을 행한다. 처리 프로그램 B(10)에서는 암호 키 B로서 암호 키 전환 기능(1201)에 의해 이용할 보관된 암호 키 중에서 이용할 암호 키 B를 선택한다. 데이터 판독 보관 기능(7)에 의해, 입력된 저장할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 처리 B(14)에 따라 암호 키 B를 이용하여 해독하고, 데이터 일시 기억 파일(203)에 복호된 저장 데이터로서 저장한다. 암호 키 전환 기능(1201)을 이용하여, 저장처에 나타낸 파일 ID에 대응한 암호 키 A를 선택한다. 복호된 저장 데이터에 대해서는 선택된 암호 키 A를 이용한 암호 처리 A(12)에 따른 암호 처리가 실시된다. 암호 처리가 실시된 저장 데이터는 프로그램간 데이터 전달 수단(16)을 통해 데이터로서, 저장할 데이터 파일을 나타내는 저장처를 부가하여 송출된다. 암호화된 저장 데이터를 수취한 처리 프로그램 A(6)는 데이터 파일 전환 기능에 의해 저장처의 파일과 사용할 암호 키 A를 선택한다. 이 후, 처리 데이터 판독 보관 기능(7)에 의해 암호 처리 A(9)를 이용하여, 수취한 암호화된 저장 데이터를 선택된 암호 키 A를 이용하여 복호하고, 선택된 데이터 파일 에 저장한다. 암호 데이터 기입 커맨드에 부가하는 복호 키와 저장처에 따라, 저장할 파일과 사용할 암호 키를 전환하여 처리하는 동작이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하는 본 실시예의 IC 카드(1)의 접촉 통신부(4)를 통해 송수신하는 암호 데이터 판독 커맨드의 정의를 나타낸 커맨드 응답 사양이다. 커맨드는 ISO7816에 따른 데이터 형식과 수순에 따라 IC 카드(1)에 전달된다. 커맨드 데이터로서, 제1 실시예에 추가로 데이터의 암호에 이용할 암호 키 B의 ID를 나타내는 암호 키와 판독할 저장 데이터의 저장처를 나타내는 파일 ID를 나타내는 판독처가 부가된다. 암호 데이터 판독 커맨드를 수취한 IC 카드(1)는 IC 카드(1) 내부의 중앙 연산 장치(2)에 의해 처리 프로그램 B(10)에 따른 동작을 행한다. 수취한 암호 데이터 판독 커맨드에 따라, 데이터의 판독 지시를 프로그램간 데이터 전송 수단(16)을 통해 처리 프로그램 A(6)에 통지한다. 이 때, 판독할 저장 데이터의 저장처를 나타내는 파일 ID를 나타내는 판독처를 부가한다. 처리 프로그램 A(6)는 데이터 파일 전환 기능(1202)에 의해, 데이터 파일과 대응하는 암호 키 A를 선택한다. 데이터 판독 보관 기능(7)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 파일에 기록된 데이터를 대응한 암호 키 A를 이용하여 암호화하고, 암호 키 A에 의해 암호화한 판독 데이터로서 프로그램간 데이터 전송 수단을 통해 처리 프로그램 B(10)에 응답한다. 처리 프로그램 B(10)는 프로그램간 데이터 전송 수단을 통해 수취한 암호 키 A에 의해 암호화한 판독 데이터를 데이터 일시 기억 파일(203)에 기록한다. 암호 키 전환 기능(1201)에 의해, 복호에 이용할 암호 키 A와 암호화에 이용할 암호 키 B를 선택한다. 데이터 일시 기억 파일(203)에 기록된 암호 키 A에 의해 암호화한 판독 데이터를, 선택된 암호 키 A를 이용한 암호 처리 A(12)에 따라 복호한다. 복호된 판독 데이터를 재차 데이터 일시 기억 파일(203)에 기록하고, 선택된 암호 키 B를 이용한 암호 처리(14)에 따라 재차 암호화를 실시한다. 재차 암호화가 실시된 판독 데이터를 Status와 함께 ISO7816에 규정된 출력으로서 출력한다. 비접촉용 단말기(23)의 동작도, 비접촉용 단말기(23)가 사용하는 암호 키 A를 암호 키 A 선택 기능(1107)에 의해 전환하여 처리를 행함으로써, 접촉용 단말기(17)에서의 동작의 프로그램간 데이터 전송 수단(16)을 통해 데이터를 수취한 처리 프로그램 A(6)과 마찬가지의 동작을 행한다.
이상 설명한 동작에 따른 본 실시예의 효과를 이하에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암호화에 이용하는 암호 키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곳, 및 저장할 파일에 대응한 암호 키를 복수 중에서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일마다 이용할 암호 키를 바꾼 운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상호 인증과 조합하는 것, 및 암호화와 복합화에 이용하는 암호 키를 바꿔서 이용하는 것에 대하여, 어떠한 제한도 없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 15∼도 2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제3 실시예가 제1 실시예와 다른 점은, 외부와의 통신으로서 비접촉 통신부만을 가지며 IC 카드 내 프로그램(3)으로서 처리 프로그램 A(6)만을 갖는 비접촉 IC 카드(1501)와, 외부와의 통신으로서 접촉 통신부만을 가지며 IC 카드 내 프로그램(3)으로서 암호 키 B에만 대응한 접촉 IC 카드(1502)와, 단말기로서 접촉과 비접촉의 2개의 외부 인터페이스를 가지며, 해당 외부 인터페이스를 전환하기 위한 전환 기능(1504)과 단말기 처리를 행하는 양용(兩用) 단말기 중앙 연산 장치(1505)를 갖는 소매점 단말기(1503)와, 회수 단말기(1506)와, 데이터 변환용 IC 카드(1507), 접촉용 IC 카드에만 대응하고 하나의 관리용의 접촉용 IC 카드(1502)와, 이용 IC 카드 전환 기능(1510)을 가지며 이들의 제어와 프로그램 처리를 행하는 접촉용 단말기 중앙 연산 장치(1509)를 갖는 소매점 관리 단말기(1508)를 구비한 점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구성을 도 1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본 실시예의 접촉 IC 카드(1502)와 소매점 관리 단말기(1508)의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접촉 IC 카드(1502)는 접촉 전용 IC 카드 내 프로그램(1601)과 내부에 접촉 전용 처리 프로그램(1602)을 구비하고 있다. 접촉 전용 처리 프로그램(1602)은 제1 실시예의 처리 프로그램 A(6)이 실장하고 있었던 데이터 판독 보관 기능(7)을 암호 키 B(13)를 사용하도록 한 것이 실장되어 있다. 소매점 관리 단말기(1508)는 접촉용 단말기 중앙 연산 장치(1509)에 의해 동작하는 단말기 프로그램(1603)이 실장되며, 접촉 IC 카드(1502)를 2개 삽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용할 접촉 IC 카드(1502)의 전환은 접촉용 단말기 중앙 연산 장치(1509)의 지시에 따라 이용 IC 카드 전환 기능이 전환되는 구성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구성을 도 1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본 실시예의 접촉 IC 카드(1502)의 내부 파일 구성을 도시하는 파일 구성도이다. 참조 부호 201은 IC 카드(1) 내부 파일의 기간이 되는 MF이다. 참조 부호 202는 데이터 판독 변환 기능(7)에 의해 데이터 판독하거나 기록하는 데이터 파일이다. 이들 파일은 불휘발성 메모리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구성을 도 1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본 실시예의 데이터 변환용 IC 카드(1507)의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데이터 변환용 IC 카드(1507)는 데이터 변환용 IC 카드 내 프로그램(1801)과 내부에 데이터 변환 처리 프로그램(1802)을 구비하고 있다. 데이터 변환 처리 프로그램(1802)은 제1 실시예의 처리 프로그램 B(10)가 갖고 있었던 데이터 변환 기능(15)을 갖는 구성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구성을 도 1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본 실시예의 데이터 변환용 IC 카드(1507)의 내부 파일 구성을 도시하는 파일 구성도이다. 참조 부호 201은 IC 카드(1) 내부 파일의 기간이 되는 MF이다. 참조 부호 203은 데이터 변환 기능(15)이 데이터의 변환에 일시적으로 이용하는 데이터 일시 기억 파일이다. 이들 파일은 불휘발성 메모리에 배치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따라 이하에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매점 관리 단말기(1508)에, 관리 접촉 IC 카드(1502)와 점포 접촉 IC 카드(1502)를 삽입한다. 삽입한 접촉 IC 카드(1502)를 각각 활성화하여, 한쪽에서 출력한 데이터를 다른 쪽에 입력하는 처리를 행함으로써, 2개의 접촉 IC 카드(1502) 사이에서 상호 인증을 행한다. 상호 인증 후에, 한쪽 접촉 IC 카드(1502)에 암호 데이터 판독 커맨드를 발행하면, 한쪽 접촉 IC 카드(1502)의 데이터 파일(202)에 기록된 데이터를 암호 키 B(13)에 의해 암호화한 데이터를 출력 한다. 그 출력한 암호화된 데이터를 암호 데이터 기입 커맨드에 의해 다른 쪽에 입력함으로써, 암호 키 B(13)을 이용한 암호 처리에 의해, 데이터 파일(202)에 다른쪽 접촉 IC 카드(1502)가 보존한 데이터를, 또 다른 한쪽 접촉 IC 카드(1502)로 시큐어로 이동할 수 있다. 미리 한쪽 접촉 IC 카드(1502)의 데이터 파일(202)에 데이터를 기록해둠으로써, 시큐어로 접촉 IC 카드(1502) 사이의 데이터 이동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전자 화폐나 전자 어음 등의 개찬을 방지해야 할 데이터를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점포 접촉 IC 카드(1502)에 미리 전자 화폐를 기록해두고, 이것을 소매점 관리 단말기(1508)를 이용하여 점포 접촉 IC 카드(1502)로 이동한다. 이 후, 점포 접촉 IC 카드(1502)는 소매점 관리 단말기(1508)로부터 추출하여, 화폐를 부여하는 점포에 설치된 소매점 단말기(1503)에 삽입된다. 소매점 단말기(1503)의 접촉 통신부에, 사용자가 소지하는 접촉 IC 카드(1502)가 삽입된 경우, 소매점 단말기(1503)는 소매점 관리 단말기(1508)와 마찬가지로 데이터 파일(202)에 기록된 전자 화폐를 이동한다. 사용자가 소지하는 IC 카드(1)가 접촉 통신부에 삽입된 경우, 소매점 관리 단말기(1508)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데이터 파일(202)에 데이터가 기록된다. 이것에 의해, 접촉 IC 카드(1502)와 마찬가지로 전자 화폐가 이동한다. 비접촉 IC 카드가 삽입된 경우에는 데이터 변환용 IC 카드(1507)를 이용하여 처리를 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동작을 도 2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도 18에 도시하는 데이터 변환용 IC 카드(1507)의 접촉 통신부(4)를 통해 송수신하는 암호 데이터 변환 커맨드의 정의를 나타낸 커맨드 응답 사양이다. 커맨드는 ISO7816에 따 른 데이터 형식과 수순에 따라, 데이터 변환용 IC 카드(1507)에 전달된다. 암호 데이터 변환 커맨드를 수취한 데이터 변환용 IC 카드(1507)는, 수취한 변환할 암호화 데이터를 데이터 변환 기능(15)을 이용하여 암호 처리 B(14)에 따라 암호 키 B(13)를 이용하여 복호 처리를 행한다. 복호한 변환할 데이터를 데이터 일시 기억 파일(203)에 기록한다. 데이터 일시 기억 파일(203)은 불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시점에서 데이터 변환용 IC 카드(1507)의 처리가 중단되어도, 변환할 데이터가 보존된다. 데이터 일시 기억 파일(203)에 기록된 변환할 데이터는 암호 키 A(11)를 이용한 암호 처리 A(12)에 따른 암호 처리가 실시된다. 암호 처리가 실시된 변환된 데이터는, ISO7816에 규정한 Status와 함께 변환한 암호화 데이터로서 출력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동작을 도 2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도 18에 도시하는 데이터 변환용 IC 카드(1507)의 접촉 통신부(4)를 통해 송수신하는 암호 데이터 역변환 커맨드의 정의를 나타낸 커맨드 응답 사양이다. 커맨드는 ISO7816에 따른 데이터 형식과 수순에 따라, 데이터 변환용 IC 카드(1507)에 전달된다. 암호 데이터 역변환 커맨드를 수취한 데이터 변환용 IC 카드(1507)는, 수취한 역변환할 암호화 데이터를 데이터 변환 기능(15)의 암호 처리 A(12)에 따라 암호 키 A(11)를 이용한 복호 처리를 행한다. 복호한 역변환할 데이터를 데이터 일시 기억 파일(203)에 기록한다. 데이터 일시 기억 파일(203)은 불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시점에서 데이터 변환용 IC 카드(1507)의 처리가 중단되어도, 역변환할 데이터가 보존된다. 데이터 일시 기억 파일(203)에 기록된 역변환할 데이터 에 대해서는 암호 키 B(13)를 이용한 암호 처리 B(14)에 따른 암호 처리가 실시된다. 암호 처리가 실시된 역변환된 데이터는 IS07816에 규정된 Status와 함께 역변환한 암호화 데이터로서 출력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동작을 도 2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도 15에 도시하는 소매점 단말기(1503) 및 회수 단말기(1506)의 데이터 변환용 IC 카드(1507)에 대한 처리를 나타내는 처리 순서이다. 소매점 단말기(1503) 및 회수 단말기(1506)가 처리를 개시하면(2201), 소매점 단말기(1503) 및 회수 단말기(1506)는 ISO7816에 정의된 수순에 따라, 카드 활성화(2202)를 행한다. 소매점 단말기(1503) 및 회수 단말기(1506)는 활성화된 IC 카드(1)가 출력하는 ATR을 판독하여, ATR에 따른 처리 조건으로 설정된다. 또한, 소매점 단말기(1503) 및 회수 단말기(1506)는 SelectFile(데이터 변환 기능)의 단계 2203에서, IS07816에서 정의된 SelectFile 커맨드의 파일 ID에 데이터 변환 처리 프로그램 B(1802)의 DF 명칭을 설정하여 송출한다. IC 카드(1)는 프로그램 기동 기능에 의해 IC 카드(1)의 동작 제어가 데이터 변환 처리 프로그램 B(1802)로 이행하여 데이터 변환 기능(15)을 이용 가능하게 한다. 단계 2204에서, 소매점 단말기(1503) 및 회수 단말기(1506)는 암호 키 A(11)를 이용한 상호 인증을, 비접촉으로 접속된 IC 카드(1) 혹은 비접촉 IC 카드(1501)와 데이터 변환용 IC 카드(1507) 사이에서 행한다. 단계 2205에서, 소매점 단말기(1503) 및 회수 단말기(1506)는 암호 키 B(13)를 이용한 상호 인증을, 접촉으로 접속된 접촉 IC 카드(1502)와 데이터 변환용 IC 카드(1507) 사이에서 행한다. 단계 2206에서는, 소매점 단말기(1503)에서 처리되 는 접촉 IC 카드(1502)로부터 비접촉 IC 카드(1501) 혹은 비접촉 통신(30)을 행하고 있는 IC 카드(1)로의 데이터 파일(202)의 내용의 이동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접촉 IC 카드(1502)로부터 비접촉 IC 카드(1501) 혹은 비접촉 통신(30)을 행하고 있는 IC 카드(1)로의 데이터 파일(202)의 내용의 이동인 경우, 단계 2207에서 접촉 IC 카드(1502)에 대하여 암호 데이터 판독 커맨드를 발행한다. 단계 2208에서 판독한 암호 데이터를, 암호 데이터 변환 커맨드가 변환하는 암호 데이터로 설정하여, 데이터 변환용 IC 카드(1507)에 입력한다. 데이터 변환용 IC 카드(1507)의 응답으로서 취득한 변환한 암호 데이터를 단계 2209에서 비접촉 IC 카드(1501) 혹은 비접촉 통신(30)을 행하고 있는 IC 카드(1)로 암호 데이터 기입 커맨드와 함께 입력한다. 비접촉 IC 카드(1501) 혹은 비접촉 통신(30)을 행하고 있는 IC 카드(1)는 입력된 저장할 암호화 데이터를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데이터 파일(202)에 기입한다. 단계 2210에서, 데이터 변환용 IC 카드(1507)를 이용한 처리가 종료된다.
한편, 단계 2206에서 '아니오'로 판단된 경우의 처리는, 단계 2211에서 비접촉 IC 카드(1501) 혹은 비접촉 통신(30)을 행하고 있는 IC 카드(1)에 암호 데이터 판독 커맨드를 발행한다. 단계 2212에서, 판독한 암호 데이터를 암호 데이터 역변환 커맨드가 역변환하는 암호 데이터로 설정하고, 데이터 변환용 IC 카드(1507)에 입력한다. 데이터 변환용 IC 카드(1507)의 응답으로서 취득한 역변환한 암호 데이터를 단계 2213에서 접촉 IC 카드(1502) 혹은 접촉 통신(29)을 행하고 있는 IC 카드(1)로 암호 데이터 기입 커맨드와 함께 입력한다. 접촉 IC 카드(1502) 혹은 접 촉 통신(29)을 행하고 있는 IC 카드(1)는 입력된 저장할 암호화 데이터를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데이터 파일(202)에 기입한다. 단계 2210에서, 데이터 변환용 IC 카드(1507)를 이용한 처리가 종료된다.
또한, 단계 2207, 2209, 2211, 2213은 데이터 변환용 IC 카드(1507) 이외에 대한 처리이지만, 설명을 위해 특별히 기재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동작에 따른 본 실시예의 효과를 이하에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IC 카드로서 2 종류의 암호 키를 갖는 것을 동일한 구조로 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IC 카드는 그 내부의 데이터를 용이하게 판독할 수 없다는 등의 특징이 있으며, 암호 키를 전부 IC 카드 내에 기록하고 있기 때문에, 암호 키를 용이하게 판독할 수 없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설명된 실시예들을 개시하였지만, 상기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변경되거나 수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설명한 실시예에 한하지 않으며,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 내에서 모든 변경 및 수정이 행해질 수 있음을 의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제공자는 다른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와 제휴하여 보다 좋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8)

  1. 삭제
  2. 외부와 데이터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과,
    제1 및 제2 프로그램과, 각각 대응하는 제1 및 제2 암호 키를 기억하고 있는 메모리와,
    상기 제2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해 입력된 상기 제2 암호 키에 의해 암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제2 암호 키에 의해 복호화하고, 그 복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제1 암호 키에 의해 암호화하여 상기 메모리에 일시 기억하며, 상기 제1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에 일시 기억된 상기 제1 암호 키에 의해 암호화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연산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
  3. 외부 단말기와 접촉하여 통신하는 접촉 통신 수단과,
    외부 단말기와 비접촉으로 통신하는 비접촉 통신 수단과,
    제1 및 제2 프로그램과, 각각 대응하는 제1 및 제2 암호 키를 기억하고 있는 메모리와,
    비접촉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외부와 통신할 경우, 상기 제1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암호 키에 의해 암호화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암호 키에 의해 복호화하여 처리하고, 접촉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외부와 통신할 경우, 상기 제2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암호 키에 의해 암호화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암호 키에 의해 복호화하고, 그 복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제1 암호 키에 의해 암호화하여 상기 메모리에 일시 기억하고, 상기 제1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에 일시 기억된 상기 제1 암호 키에 의해 암호화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연산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
  4. 외부와 데이터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과,
    제1 및 제2 프로그램을 기억하며, 또한 상기 제1 프로그램이 액세스 가능한 제1 영역에 제1 암호 키를 기억하고, 상기 제2 프로그램이 액세스 가능한 제2 영역에 상기 제1 암호 키 및 제2 암호 키를 기억하는 메모리와,
    상기 제2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해 입력된 상기 제2 암호 키에 의해 암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제2 영역에 기억된 상기 제2 암호 키에 의해 복호화하고, 그 복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제2 영역에 기억된 상기 제1 암호 키에 의해 암호화하여 상기 메모리에 일시 기억하며, 상기 제1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에 일시 기억된 데이터를 상기 제1 영역에 기억된 상기 제1 암호 키에 의해 복호화하고, 그 복호화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연산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
  5. 통신 수단과 메모리와 연산 수단을 포함하는 IC 카드와,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해 상기 IC 카드에 정보의 판독 또는 기입을 행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IC 카드 시스템으로서,
    상기 메모리는, 제1 및 제2 프로그램과, 각각 대응하는 제1 및 제2 암호 키를 기억하고 있으며,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제2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해 입력된 상기 제2 암호 키에 의해 암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제2 암호 키에 의해 복호화하고, 그 복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제1 암호 키에 의해 암호화하여 상기 메모리에 일시 기억하며, 상기 제1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에 일시 기억된 상기 제1 암호 키에 의해 암호화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 시스템.
  6. 외부와 데이터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과,
    제1 및 제2 프로그램, 상기 제1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1 암호 키군, 및, 상기 제2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암호 키군을 기억하고 있는 메모리와,
    상기 제2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해 입력된 상기 제2 암호 키군 중 1개의 암호 키에 의해 암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제2 암호 키군 중 1개의 암호 키에 의해 복호화하며, 상기 제1 암호 키군에서 1개의 암호 키를 선택하여, 그 복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암호 키에 의해 암호화하고 상기 메모리에 일시 기억하며, 상기 제1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암호 키에 의해 암호화된 상기 메모리에 일시 기억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연산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
  7. 제1 암호 키를 기억하고 있는 제1 IC 카드와, 제2 암호 키를 기억하고 있는 제2 IC 카드와, 상기 제1 및 제2 암호 키를 기억하고 있는 제3 IC 카드와, 상기 제1 내지 제3 IC 카드와 통신하는 결제 단말기를 포함하는 IC 카드 시스템으로서,
    상기 결제 단말기는, 상기 제1 IC 카드로부터 상기 제1 암호 키에 의해 암호화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제3 IC 카드에 송신하며,
    상기 제3 IC 카드는 상기 결제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암호 키에 의해 암호화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제1 암호 키에 의해 복호화하며, 그 복호화한 데이터를 상기 제2 암호 키에 의해 암호화하고, 상기 제2 암호 키에 의해 암호화한 데이터를 상기 결제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결제 단말기는 상기 제3 IC 카드로부터 상기 제2 암호 키에 의해 암호화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수신한 데이터를 제2 IC 카드에 송신하며,
    상기 제2 IC 카드는 상기 결제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암호 키에 의해 암호화된 데이터를 수신하며, 그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제2 암호 키에 의해 복호화하고,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 시스템.
  8. 외부와 통신하는 통신 수단과,
    제1 및 제2 프로그램과, 각각 대응하는 제1 및 제2 암호 키를 기억하고 있는 메모리와,
    상기 제1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암호 키에 의해 암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제1 암호 키에 의해 복호화하며, 그 복호화한 데이터를 상기 제2 암호 키에 의해 암호화하고, 상기 제2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암호 키에 의해 암호화한 데이터를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해 외부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연산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
  9. 제1 암호 키를 기억하고 있는 제1 IC 카드와, 제2 암호 키를 기억하고 있는 제2 IC 카드와, 상기 제1 및 제2 암호 키를 기억하고 있는 제3 IC 카드와, 상기 제1 내지 제3 IC 카드와 통신하는 결제 단말기를 포함하는 IC 카드 시스템에서의 결제 단말기로서,
    상기 제1 내지 제3 IC 카드와 통신하는 통신 수단과,
    상기 제1 IC 카드로부터 상기 제1 암호 키에 의해 암호화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제3 IC 카드에 송신하며, 상기 제3 IC 카드에서 상기 제1 암호 키에 의해 암호화된 데이터로부터 변환된 상기 제2 암호 키에 의해 암호화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제2 IC 카드에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단말기.
  10. 전기적인 정보를 수취하여 판단이나 처리를 행하는 중앙 연산부, 및 상기 중앙 연산부의 지시에 따라 정보를 기록하거나 소거할 수 있는 메모리를 가지며, 외부로부터의 정보의 판독 또는 기입을 가능하게 하는 IC 카드와, 상기 IC 카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정보의 판독 또는 기입을 행하는 단말기부를 포함하는 IC 카드 시스템으로서,
    상기 메모리에 적어도 2개의 암호 연산용 암호 키를 기록하고, 상기 IC 카드 내부에서, 외부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상기 암호 키 중 하나를 이용하여 복호한 후, 다른 암호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 IC 카드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IC 카드는, 하나로 적어도 2가지의 다른 기능을 가지며, 상기 한쪽 기능이 상기 메모리 중 다른쪽 기능이 관리하는 영역을 직접 참조나 기록이나 개찬(改竄)을 할 수 없거나 곤란하게 하여, 상기 한쪽 기능이 상기 다른쪽 기능에 데이터의 교환을 행하는 수단을 가지며, 상기 한쪽 기능이 상기 메모리에 기록한 암호 키를 가지며, 상기 다른쪽 기능이 상기 한쪽 기능이 기록한 암호 키와 대응한 암호 키와 관련되지 않은 암호 키 중 2개를 상기 메모리에 기록하고, 상기 다른 기능이 상기 암호 키 중 하나를 이용하여 복호한 후, 상기 암호 키 중 다른 암호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IC 카드는, 외부로부터의 정보의 판독 또는 기입을 행하기 위한 통신 수단으로서 단자가 접촉하여 전기 신호를 교환함으로써 정보의 교환을 행하는 접촉 통신 수단과, 단자가 접촉하지 않고 공간을 통한 전기 신호의 교환에 의해 정보의 교환을 행하는 비접촉 통신 수단 중 적어도 2개의 통신 수단을 포함하는 IC 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 기능이 상기 비접촉 통신 수단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정보의 판독 또는 기입을 행하고, 상기 다른쪽 기능이 상기 접촉 통신 수단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정보의 판독 또는 기입을 행하는 IC 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 시스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부는, 상기 IC 카드와의 통신 수단으로서 단자가 접촉하여 전기 신호를 교환함으로써 정보의 교환을 행하는 접촉 통신 수단과, 단자가 접촉하지 않고 공간을 통한 전기 신호의 교환에 의해 정보의 교환을 행하는 비접촉 통신 수단 중 적어도 2개의 통신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 통신 수단과 상기 비접촉 통신 수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통신 수단 선택 기능을 가지며, 상기 통신 수단 선택 기능이 상기 비접촉 통신 수단을 선택했을 때에는, 상기 IC 카드 내부에서, 상기 암호 키 중 하나를 이용하여 복호한 후, 상기 암호 키 중 다른 암호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는 기능을 유효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 시스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부는, 상기 IC 카드와의 통신 수단으로서 단자가 접촉하여 전기 신호를 교환함으로써 정보의 교환을 행하는 접촉 통신 수단과, 단자가 접촉하지 않고 공간을 통한 전기 신호의 교환에 의해 정보의 교환을 행하는 비접촉 통신 수단 중 적어도 2개의 통신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 통신 수단과 상기 비접촉 통신 수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통신 수단 선택 기능을 가지며, 상기 통신 수단 선택 기능이 상기 접촉 통신 수단을 선택했을 때에는, 상기 IC 카드 내부에서, 상기 암호 키 중 하나를 이용하여 복호한 후, 상기 암호 키 중 다른 암호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는 기능을 유효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 시스템.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IC 카드 내부에서, 상기 암호 키 중 하나를 이용하여 복호한 후, 복호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기록하고, 상기 암호 키 중 다른 암호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 시스템.
  1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가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 드 시스템.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가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
KR1020040030083A 2003-05-20 2004-04-29 암호키 변환 기능을 갖는 ic 카드, ic 카드 시스템 및결제 단말기 KR1006596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41295 2003-05-20
JP2003141295A JP4729839B2 (ja) 2003-05-20 2003-05-20 Icカー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0891A KR20040100891A (ko) 2004-12-02
KR100659633B1 true KR100659633B1 (ko) 2006-12-20

Family

ID=33095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0083A KR100659633B1 (ko) 2003-05-20 2004-04-29 암호키 변환 기능을 갖는 ic 카드, ic 카드 시스템 및결제 단말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04523B2 (ko)
EP (1) EP1480411A3 (ko)
JP (1) JP4729839B2 (ko)
KR (1) KR100659633B1 (ko)
CN (1) CN10034659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77628A4 (en) 2004-06-30 2008-12-17 Panasonic Corp RECORDING MEDIUM AND DEVICE AND METHOD FOR RECORDING INFORMATION ON A RECORDING MEDIUM
WO2006066999A2 (en) * 2004-12-22 2006-06-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handling data
CN1878055B (zh) * 2005-06-07 2010-11-03 北京握奇数据系统有限公司 一种分离式大数据量加/解密设备及实现方法
KR100722683B1 (ko) 2005-07-22 2007-05-29 주식회사 하이스마텍 키 공유를 위한 키 변환 방법 및 그 장치
US7747861B2 (en) * 2005-11-09 2010-06-29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redundant secure storage of sensitive data by using multiple keys
JP4435076B2 (ja) * 2005-11-18 2010-03-17 フェリカネットワークス株式会社 携帯端末,データ通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0517236C (zh) * 2006-04-03 2009-07-22 北京握奇数据系统有限公司 智能卡嵌入式操作系统及其控制方法
US7690579B2 (en) * 2006-07-13 2010-04-06 Research In Motion Limited Answer to reset (ATR) pushing
EP1933528B9 (fr) * 2006-12-12 2018-05-23 Orange Sécurisation d'accès à des services depuis un équipement communicant avec une entité personnelle
CN100535935C (zh) * 2006-12-26 2009-09-02 北京握奇数据系统有限公司 Cpu与逻辑加密双用智能卡及其数据同步方法
SG146551A1 (en) * 2007-03-29 2008-10-30 Toshiba Kk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4631935B2 (ja) * 2008-06-06 2011-02-1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通信システム
CN101499142B (zh) * 2008-12-29 2012-05-02 北京握奇数据系统有限公司 一种双界面智能卡及其对应用指令进行处理的方法
SG165220A1 (en) * 2009-03-25 2010-10-28 Toshiba Kk Processing apparatus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processing system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JP5235764B2 (ja) * 2009-04-16 2013-07-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Icチップおよびこれを搭載した情報処理装置
JP5454184B2 (ja) * 2010-02-05 2014-03-26 富士通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そのプログラム及びデータ保護方法
JP2011243135A (ja) * 2010-05-21 2011-12-01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2768744B (zh) * 2012-05-11 2016-03-16 福建联迪商用设备有限公司 一种远程安全支付方法和系统
CN107077633B (zh) * 2014-10-22 2020-06-16 索尼公司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程序
CN110447030B (zh) * 2017-03-21 2023-07-07 日本电气株式会社 终端设备、信息处理系统、终端设备的控制方法和程序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1767B2 (ja) * 1991-02-08 1999-06-07 株式会社東芝 暗号通信システム及び携帯可能電子装置
SG46692A1 (en) * 1992-03-30 1998-02-20 Telstra Corp Ltd A cryptographic communications method and system
DE69532434T2 (de) * 1994-10-27 2004-11-11 Mitsubishi Corp. Gerät für Dateiurheberrechte-Verwaltungssystem
US6073236A (en) * 1996-06-28 2000-06-06 Sony Corporation Authentication method, communication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2996182B2 (ja) * 1996-08-19 1999-12-27 日本電気株式会社 Icカードシステム及びicカード
US6220510B1 (en) * 1997-05-15 2001-04-24 Mondex International Limited Multi-application IC card with delegation feature
KR100734692B1 (ko) 1998-07-31 2007-07-02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2가지 용도로 사용되는 휴대체, 통신 시스템, 통신방식, 단말장치,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E19925389A1 (de) 1999-06-02 2000-12-21 Beta Re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Übertragung von Daten auf SmartCards
JP2001167241A (ja) * 1999-12-10 2001-06-22 Fujitsu Ltd 非接触icカ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251290A (ja) * 2000-03-06 2001-09-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放送システムとコンテンツの配信、蓄積、再生方法
JP2001313636A (ja) * 2000-04-28 2001-11-09 Sony Corp 認証システム、認証方法、認証装置及びその方法
JP4074057B2 (ja) * 2000-12-28 2008-04-09 株式会社東芝 耐タンパプロセッサにおける暗号化データ領域のプロセス間共有方法
CN1186732C (zh) * 2001-04-20 2005-01-26 宏碁股份有限公司 电脑硬盘的保护方法及保护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29839B2 (ja) 2011-07-20
US20040256470A1 (en) 2004-12-23
EP1480411A2 (en) 2004-11-24
KR20040100891A (ko) 2004-12-02
JP2004349754A (ja) 2004-12-09
CN1551045A (zh) 2004-12-01
CN100346594C (zh) 2007-10-31
US7404523B2 (en) 2008-07-29
EP1480411A3 (en) 2007-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9633B1 (ko) 암호키 변환 기능을 갖는 ic 카드, ic 카드 시스템 및결제 단말기
US8762720B2 (en) Method of mutual authentication between a communication interface and a host processor of an NFC chipset
US6230267B1 (en) IC card transportation key set
EP0985203B1 (en) Key transformation unit for an ic card
KR100720328B1 (ko) 생체 인증 장치 및 단말
WO2014081073A1 (ko) 다이나믹 트랙 2 정보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 및 방법
CN101329786B (zh) 移动终端获取银行卡磁道信息或支付应用的方法及系统
JP4651212B2 (ja) 携帯可能情報記憶媒体およびその認証方法
CN102123027A (zh) 信息安全处理方法和移动终端
EP1369829A2 (en) Electronic value data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between IC cards
CN101162535B (zh) 利用ic卡实现磁条卡交易的方法及系统
CN101866411B (zh) 非接触式cpu卡一卡多应用安全认证加密方法及系统
CN101330675B (zh) 一种移动支付终端设备
SK176199A3 (en) Payment process and system
CN102024288A (zh) 一种使用智能卡进行安全支付的方法和系统
CN201742425U (zh) 非接触式cpu卡一卡多应用安全认证加密系统
KR20210134214A (ko) 다중 회전 보안 키가 있는 비접촉식 카드
CN101883357A (zh) 一种终端与智能卡之间的相互认证方法、装置及系统
JP4546099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
JP3693709B2 (ja) 携帯可能情報記録媒体に対する情報書込/読出方法
JP4529508B2 (ja) 情報記憶媒体システム、情報記憶媒体、命令形式変換方法及び命令形式変換プログラム
JP4306235B2 (ja) Icカード発行装置
JP2004355211A (ja) 決済処理システム
JP2004252578A (ja) 提供元のicカード、提供先のicカード、情報授受媒介装置、icカード間情報授受システム、icカードプログラム、プログラム及びicカード間情報授受方法
KR960003846B1 (ko) 전송로에 의해 원격적 또는 국부적으로 연결된 송,수신장치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확실히 식별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