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9032B1 - 유선전화기능을 갖는 휴대전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유선전화기능을 갖는 휴대전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9032B1
KR100659032B1 KR20030038664A KR20030038664A KR100659032B1 KR 100659032 B1 KR100659032 B1 KR 100659032B1 KR 20030038664 A KR20030038664 A KR 20030038664A KR 20030038664 A KR20030038664 A KR 20030038664A KR 100659032 B1 KR100659032 B1 KR 100659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ignal
pstn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38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7958A (ko
Inventor
공태호
Original Assignee
공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태호 filed Critical 공태호
Priority to KR20030038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9032B1/ko
Publication of KR20040107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7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9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903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를 PSTN망에 연결하여 유선 전화망을 통해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 유선전화기능을 갖는 휴대전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이동통신단말기를 PSTN망에 연결하고, 유선전화 형태로 그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는 PSTN망에서 이용할 수 있는 각종 부가기능제공프로그램이 제공되는 부가기능제공부, 유·무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신호처리부, PSTN망과의 호 처리가 가능한 프로그램이 제공되는 교신S/W제공부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발생되는 음성신호 및 부가 신호를 PSTN망으로 전송하는 한편, 상기 PSTN망으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 및 부가 신호를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된 커넥터부를 매개로 PSTN 인터페이스모듈부가 접속되며; 상기 PSTN 인터페이스모듈부는 PSTN망에 접속하는 소켓부(Socket), 전화라인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 극성을 통일시키고 2선식-1선식 신호변환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후속단에서 신호 처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브릿지 다이오드, 상기 PSTN망에서 인가되는 호출신호(Ring)신호를 검출하고 CPU에 전달하는 호출신호검출부, CPU의 제어동작을 받으며 송수화기의 후크-오프 또는 후크-온 기능을 수행하는 루프스위치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하며 음성신호 전달과 아울러 전체적인 제어동작을 행하는 CPU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입출력되는 음성신호와 CPU에서 제공되는 전화번호선택신호(DTMF) 및 톤(Tone)신호를 전화망에 송수신하는 음성신호회로부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그러한 구성에 의해 이동통신단말기를 PSTN망에 접속하여 일반 유선전화기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무선 통신과 대비하여 유선통신 요금이 저렴할 경우 통신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별도의 유선전화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선전화기능을 갖는 휴대전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CELLULAR PHONE HAVING A WIRE TELEPHONE FUNCTION AND THE CONTROLL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선전화기능을 갖는 휴대전화장치를 보인 전체적인 블록구성도,
도 2는 도 1의 PSTN 인터페이스모듈부를 보인 블록구성도,
도 3a는 도 2의 루프스위치부를 보인 실시예 회로도,
도 3b는 도 2의 호출신호 검출부를 보인 실시예 회로도,
도 4는 도 1의 이동통신단말기를 보인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선전화기능을 갖는 휴대전화장치를 이용하기 위한 초기화 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유선전화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PSTN 인터페이스 모듈부, 116 : 호출신호 검출부,
118 : 루프스위치부, 120 : PSTN용 CPU,
122 : 음성신호회로부, 200 : 이동통신단말기,
210 : 신호처리부, 220 : 부가기능제공부,
240 : 커넥터부.
본 발명은 유선전화기능을 갖는 휴대전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 가능한 휴대전화장치(예컨대, 셀룰러폰, CDMA, GSM방식의 단말기 등)를 공중회선교환전화망(PSTN)에 접속하여 일반 유선통신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 유선전화기능을 갖는 휴대전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공중회선교환전화망과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통화 경로를 형성하고 통화를 행할 수 있도록 유선전화기와 이동통신단말기가 각각 별도로 제공되고 있으며, 이동통신단말기는 그 사용상의 편리함 때문에 근래 들어서 유선전화 가입자보다 이동통신 가입자의 증가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이 나타나고 있으며, 각종 부가 서비스 제공에 따라 그 이용 격차는 갈수록 벌어지고 있다.
그러나 통상 상기 유선전화기를 보유하고 있는 각 가정은 가족 구성원 별로 이동통신단말기를 각각 보유하고 있으며, 집안 내에서도 유선전화기를 통한 통화 비율보다 개인의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대부분 통화하고 있기 때문에, 유선전화기의 사용이 점차 줄어들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도 각 가정내에서는 일반 유선전화기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유선전화기와 이동통신단말기를 병행하여 사용함으로써 통신비 부담이 2중으로 발생되며, 유선전화기가 파손되면 다시 구입해야 하기 때문에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었다. 즉, 현재까지 이동통신망과 유선망이 각각 별도로 제공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를 그 유선망에 접속할 수 없어 별도로 유선전화기와 이동통신단말기를 가지고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를 공중회선교환망에 선택적으로 접속하여 유선통화 및 그에 따른 유선 부가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활용성을 증대하고 전화기의 구매비용을 절감시켜 경제성을 증대시키도록 한 유선전화기능을 갖는 휴대전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선전화기능을 갖는 휴대전화장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PSTN망에 연결하고, 유선전화 형태로 그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는 PSTN망에서 이용할 수 있는 각종 부가기능제공프로그램이 제공되는 부가기능제공부, 유·무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신호처리부, PSTN망과의 호 처리가 가능한 프로그램이 제공되는 교신S/W제공부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발생되는 음성신호 및 부가 신호를 PSTN망으로 전송하는 한편, 상기 PSTN망으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 및 부가 신호를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된 커넥터부를 매개로 PSTN 인터페이스모듈부가 접속되며; 상기 PSTN 인터페이스모듈부는 PSTN망에 접속하는 소켓부(Socket), 전화라인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 극성을 통일시키고 2선식-1선식 신호변환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후속단에서 신호 처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브릿지 다이오드, 상기 PSTN망에서 인가되는 호출신호(Ring)신호를 검출하고 CPU에 전달하는 호출신호검출부, CPU의 제어동작을 받으며 송수화기의 후크-오프 또는 후크-온 기능을 수행하는 루프스위치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하며 음성신호 전달과 아울러 전체적인 제어동작을 행하는 CPU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입출력되는 음성신호와 CPU에서 제공되는 전화번호선택신호(DTMF) 및 톤(Tone)신호를 전화망에 송수신하는 음성신호회로부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유선전화기능을 갖는 휴대전화장치의 제어방법은; 이동통신단말기와, 그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된 커넥터부에 접속된 PSTN 인터페이스 모듈부과의 상호 데이터 교환처리에 따라 임의의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 단말기와의 통화호를 설정하기 위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PSTN 사용 모드로 설정한 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PSTN 인터페이스 모듈부를 매개하여 PSTN망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PSTN 망으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그 PSTN 인터페이스 모듈부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할 때, 헥사(Hexa)의 00~FF번지까지 사용되는 아스키 데이터와, 제어데이터·다이얼 디지트·CID 및 SMS 의 4가지로 형태로 구분되는 데이터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PSTN 인터페이스 모듈부의 상호간에서 송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 질 때, 상기 제어데이터·다이얼 디지트·CID 및 SMS의 종류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전송된 후, 정보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전송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선전화기능을 갖는 휴대전화장치를 보인 전체적인 블록구성도, 도 2는 도 1의 PSTN 인터페이스모듈부를 보인 블록구성도, 도 3a는 도 2의 루프스위치부를 보인 실시예 회로도, 도 3b는 도 2의 호출신호 검출부를 보인 실시예 회로도, 도 4는 도 1의 이동통신단말기를 보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200)를 전화회선(PSTN망)에 연결하고 유선전화기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단말기(200)의 커넥터부(240)를 매개하여 PSTN 인터페이스모듈부(110)가 구비된다.
상기 PSTN 인터페이스모듈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충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충전모듈부내에 제공되거나, 또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모듈부와 소정 커넥터를 매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00)에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PSTN 동작에 적절하게 제공되는 부가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부가기능제공부(220), 유·무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신호처리부(210), PSTN망을 이용할 수 있도록 상기 PSTN 인터페이스모듈부(110)와 교신 가능한 소정의 소프트웨어가 제공되는 교신S/W 제공부(230), 상기 PSTN 인터페이스모듈부(110)와 연결되어 다음 [표 1]과 같이 이동통신단말기(200)의 입출력단자 접속표준으로 권고되는 24핀 입출력단자를 사용하게 되는 커넥터부(240)가 포함된다.
[표 1]
번호 신호명 입출력 PSTN Dual 모드용 비고
1 Battery ID 입력
2 핸즈프리 모드 입력
3 DSR 출력 데이터 교환용
4 파워(5.0~5.5V) 전원
5 파워(5.0~5.5V) 전원
6 온 스위치 입력
7 Audio in/PCM Rx 입력 라인 수화 신호
8 Option/PCM Clock 출력
9 Option/PCM Sync 출력
10 option/USB D- 입력
11 Audio out/PCM Tx 출력 라인 송화 신호
12 Power Ground 전원 PIM 전원 GND
13 RxD 입력 데이터 교환용
14 TxD 출력 데이터 교환용
15 option/USB D+ 출력
16 USB Power (+5.oV) 전원
17 DCD 출력 데이터 교환용
18 R1 출력 휴대전화 착신표시
19 Power Ground 전원 PIM 전원 GND
20 RFR : RTS 출력
21 Power (+4.2V) /SWB+ 전원 PIM 전원 공급용
22 Power (+4.2V) /SWB+ 전원 PIM 전원 공급용
23 CTS 입력 데이터 교환용 PIM 접속상태표시
24 DTR 입력 데이터 교환용 PIM 접속상태표시
그리고, 이동통신단말 기능을 제어하는 CPU(230; 신호처리부)가 구비되며, 그 CPU(230)는 오디오 신호처리, 입/출력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고, PSTN 모드를 조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가 탑재되어 상기 PSTN 인터페이스모듈부(110)와의 데이터 교환과 통화로 설정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00)와 PSTN 인터페이스 모듈부(110)와의 음성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또는 디지털/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처리하는 코덱부(250)(CODEC)가 구비된다.
상기 부가기능제공부(220)는 휴대통화모드 및 유선통화모드를 선택적으로 조작하기 위한 모드선택기능과, 발신자표시서비스(CID), 단문메시지서비스(SMS) 등을 제공하도록 대응되는 소프트웨어가 제공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PSTN 인터페이스 모듈부(110)는 PSTN망에 접속하는 소켓부(112)와, 전화라인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 극성을 통일시키고 2선식-1선식 신호변환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후속단에서 신호 처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브릿지 다이오드(114), 상기 PSTN망에서 인가되는 호출신호(Ring)신호를 검출하고 CPU(120)에 전달하는 호출신호검출부(116), CPU(120)의 제어동작을 받으며 송수화기의 후크-오프(Hook-Off) 또는 후크-온(Hook-On) 기능을 수행하는 루프스위치부(118),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00)와 데이터를 교환하며 음성신호 전달과 아울러 전체적인 제어동작을 행하는 CPU(120),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00)로부터 입출력되는 음성신호와 CPU(120)에서 제공되는 전화번호선택신호(DTMF) 및 톤(Tone)신호를 전화망에 송수신하는 음성신호회로부(122)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00)에 구비되는 커넥터부(240)와 대응되는 소정 커넥터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CPU(120)는 소정 클럭 주파수(예컨대, 32.768KHz) 수준으로 동작되는 4비트 또는 8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최소 10Kbyte의 롬(ROM)과 최소 1Kbyte의 램(RAM)을 보유하여야 하며, 1200bps FSK 송수신 기능과 톤 수신기능, DTMF 발생기 및 시리얼 입/출력 기능이 제공되어 집적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음성신호회로부(122)는 예컨대 'KA8603'과 같은 범용 소자가 사용된다.
또한, 루프스위치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트랜지스터(TR1, TR2)가 사용되거나 또는 릴레이(Relay)가 선택적으로 사용되며, 호출신호검출부(116)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PSTN망을 통해 인가된 호출신호를 전원이 입력된 상태에서 이를 검출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트랜지스터가 사용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외의 다른 소자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PSTN 인터페이스 모듈부(110)의 동작 전원은 커넥터부(240)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공급받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00)와 PSTN 인터페이스 모듈부(110) 상호간의 데이터 교환방식은 RS-232C 표준 인터페이스 방식에 의한 양방향 통신채널이 제공되며, 전송속도는 9600bps, 'Non parity·1 스타트 비트(Start Bit)·2 스톱비트(Stop Bit)'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한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질 때 통상 제어데이터(Control Data), 다이얼 디지트(Dial Digit), 발신자표시서비스(CID) 및 단문메시지서비스(SMS)의 4가지로 데이터 형식으로 구분되며 이를 다음 [표 2]에 나타내고 있다.
[표 2]
구분 데이터 신호명 기능설명 비고
CONTROL PIM ID PIC 최초통신시에 HHP로 전달 HHP←PIM
Hook On HK_ON PSTN 전화회선 끊음 HHP→PIM
Hook Off HK_OFF PSTN 전화회선 잡음 HHP→PIM
Hold On HLD_ON PSTN 통화 보류 HHP→PIM
Hold Off HLC_OFF PSTN 통화 보류 해제 HHP→PIM
Mute On M_ON 송화차단 HHP→PIM
Mute Off M_OFF 송화차단 해제 HHP→PIM
Long Flash FSH_L 600msec Flash HHP→PIM
Short Flash FSH_S 300msec Flash HHP→PIM
Ring On R_ON PSTN 호출신호 HHP←PIM
Ring Off R_OFF PSTN 호출신호 HHP←PIM
End Transmit END 송신종료 HHP↔PIM
Acknowledge ACK 교신확인 HHP↔PIM
Reset PIM RST PIM 모듈 초기화 HHP→PIM
Dial Digit Digit 0~9,*,# 다이얼 넘버 아스키코드 HHP→PIM
Pause P 아스키코드; Blank HHP→PIM
CID Tel. Number NUM 전화번호-아스키코드 HHP→PIM
Name NAME 송화자이름-아스키코드 HHP→PIM
SMS Receiver MSG R_MSG 수신메시지-아스키코드 HHP←PIM
Send MSG S_MSG 송신메시지-아스키코드 HHP→PIM
그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유선전화기능을 갖는 휴대전화장치 및 그 이용방법을 도 1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200)와 PSTN 인터페이스 모듈부(110)의 초기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하는 바, 이동통신단말기(200)는 PSTN 망을 통해 통화 가능하도록 유선통화모드로 설정되는 한편, PSTN 인터페이스 모듈부(110)가 대기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동안에 이동통신단말기(200)로부터 PSTN 인터페이스 모듈부(110)에 리셋 요구신호가 발생되면, PSTN 인터페이스 모듈부(110)는 상기 리셋 요구신호에 대해 초기화 과정이 수행되게 된다.
이후, 상기 PSTN 인터페이스 모듈부(110)로부터 ID 송출이 발생되면 그 ID에응답하여 ACK 코드 값을 재 송신하게 되고, PSTN 인터페이스 모듈부(110)의 ACK 코 드값 확인에 따라 정상적인 초기화 과정을 종료하게 된다.
그러한 초기화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00)와 PSTN 인터페이스 모듈부(110)는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도 6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PSTN 망을 통해 송신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절차를 보인 흐름도이다.
이를 설명하면, 우선적으로 부가기능제공부(220)에서 모드선택기능 조작에 따라 유선통화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00)는 PSTN 모드를 사용할 수 있는 대기상태를 갖게 된다.
이후, 통화 시도를 위해 이동통신단말기(200)의 송수화기(예컨대, 통화버튼)를 후크 오프(Hook-Off) 조작하면 통화경로 형성요구가 발생되고, ACK 코드 신호 확인 후에 통화 경로가 형성된다.
사용자가 통화 경로 형성에 따라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 전화번호를 다이얼링 하게 되면 PSTN 인터페이스 모듈부(110)는 상기 다이얼링된 전화번호를 수신하고, 이후 PSTN망을 통해 송출하여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 단말기에 호출음을 발생시켜 통화 요구를 인지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대방 단말기의 후크 오프(Hook-Off)가 발생되면 통화경로가 형성되어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바, 그러한 과정은 이동통신단말기(200) 사용자가 마이크를 통해 음성신호가 인가되면 CPU(230)를 통해 코덱부(250)에 인가되게 되고, 상기 코덱부(250)는 상기 CPU(230)로부터 전송된 디지털화된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커넥터부(240)를 통해 PSTN 인터페이스 모듈부(110)로 전 송한다.
상기 PSTN 인터페이스 모듈부(110)는, 우선 음성신호회로부(122)에 의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00)에서 전송된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CPU(120)의 제어동작을 받는 루프스위치부(118)를 통해 브릿지 다이오드(114)에 인가시킨다. 이후, PSTN망에 접속된 소켓부(112)를 통해 PSTN 망에 음성신호를 송출시켜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시켜 일반적인 통화경로에 따라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러한 일반적인 통화 후에 통화 종료, 예컨대 후크 온(Hook-On) 상태가 되면 통화경로망의 복구와 함께 이동통신단말기(200) 및 PSTN 인터페이스 모듈부(110)가 대기상태로 변환 처리된다.
도 7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PSTN 망을 통해 수신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절차를 보인 흐름도이다.
상기 PSTN 인터페이스 모듈부(110) 및 이동통신단말기(200)가 대기 상태에서 상기 PSTN 망을 통해 임의의 통화 상대방으로부터 통화 요구가 발생되면, 소켓부(112)를 통해 인가된 링신호를 호출신호검출부(116)가 검출하고, 그 검출된 링 신호를 이동통신단말기(200)측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상기 링 신호에 대한 호출음을 스피커를 통해 발생시키게 되고, 호출음 발생에 대해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가 소정 통화 연결 버튼(도면 미도시)를 조작하면 후크 오프(Hook-Off)상태가 되어 통화로가 형성된다.
상기 통화로가 형성되면, 상대방으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통화를 행하게 되는바, 상기 음성신호는 PSTN망을 통해 소켓부(112), 브릿지 다이오드(114) 및 루프 스위치부(118)에 순차적으로 전송되고, 음성신호회로부(122)를 매개하여 이동통신단말기(200)로 보내지게 된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상기 전송된 음성신호를 코덱부(250)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고, CPU(230)의 제어에 따라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킨다.
그러한 통화로 형성에 따라 소정 통화과정이 수행되며, 통화 종료후에 통화 종료버튼(도면 미도시)를 조작하여, 즉 후크 온(Hook-On)상태로 변환시키면 통화로가 복구되고 대기상태로 천이된다.
한편,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00)와 PSTN인터페이스 모듈부(110) 상호간은 호처리를 위한 정보교환이 이루어져야 하는바, 그 교환되는 데이터는 8bit로 구성되고, 아스키 데이터와 전술한 바 있는 제어데이터·다이얼 디지트·CID 및 SMS와 같이 4가지의 데이터 형태를 갖는 데이터 형식의 2바이트로 이루어진다. 이때 전화번호 또는 단문 메시지 등과 같이 데이터 길이가 긴 경우에는 복수의 바이트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때 데이터를 전송할 때 상기 데이터 형식을 먼저 전송하여 뒤따라오는 데이터의 성격을 인지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질 때 DSR·DCD 및, 상기 PSTN 인터페이스 모듈부가 이동통신단말기에 접속되어 데이터 교환을 위한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그 이동통신단말기에 통보하는 CTS, DTR신호가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형식 및 제어코드 할당방법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즉, D7 ~ D0까지의 8비트 형식에서 '00010001:11'은 제어데이터, '00010010;12'는 다이얼디지트, '00010011;13'은 CID데이터, '00010100;14'는 단문메시지(SMS Message)를 나타낸다.
또한, 제어코드 할당은; '100000利;80~83'은 PIM ID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서, '80'은 Normal Phone, '81'은 CID Phone, '82'는 CID +SMS Phone, '83'는 Reserved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계속해서, '10010000;90'은 후크 온 상태, '10010001;91'은 후크 오프상태, '10100000;A0'는 홀드 오프(Hold off), '10100001;A1'는 홀드 온(Hold on), '10110000;B0'은 뮤트 오프(Mute off), '10110001;B1'은 뮤트 온(Mute on), '11000000;C0'은 Long Flash, '11000001;C1'는 Short Flash, '11010000;D1'는 링 오프, '11010001;D2'는 링 온, '11100100;E4'는 END(End of Data), '11100110;E6'은 ACK, '11101010;EA'는 PSTN 인터페이스 모듈부 Reset 신호이다.
한편, 유선통화모드가 아닌 휴대통화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200)만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무선 통화호 경로 설정에 따라 통화를 하게 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부가기능제공부(220)에 제공된 각종 서비스 기능, 예컨대 발신자번호 표시나 단문메시지전송서비스 등도 유선통화모드에서 사용자가 유선전화기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방식에 의해 PSTN망을 통해 전송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기재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는 CDMA 또는 GSM 방식 등을 포함하는 모든 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 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선전화기능을 갖는 휴대전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PSTN망을 통한 유선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어 통화요금의 절약을 기대할 수 있고, 유선전화기로의 사용이 가능하여 그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하나의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유선망에서와 같이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9)

  1. 이동통신단말기를 PSTN망에 연결하고, 유선전화 형태로 그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는 PSTN망에서 이용할 수 있는 각종 부가기능제공프로그램이 제공되는 부가기능제공부와 유·무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신호처리부 및 PSTN망과의 호 처리가 가능한 프로그램이 제공되는 교신S/W제공부가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발생되는 음성신호 및 부가 신호를 PSTN망으로 전송하는 한편, 상기 PSTN망으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 및 부가 신호를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PSTN 인터페이스모듈부가 구성된 유선전화기능을 갖는 휴대전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PSTN 인터페이스모듈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충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충전모듈부내에 제공되고,
    상기 PSTN 인터페이스모듈부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된 커넥터부를 매개로 접속되며,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부는, PSTN망에 접속하는 소켓부(Socket), 전화라인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 극성을 통일시키고 2선식-1선식 신호변환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후속단에서 신호 처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브릿지 다이오드, 상기 PSTN망에서 인가되는 호출신호(Ring)신호를 검출하고 CPU에 전달하는 호출신호검출부, CPU의 제어동작을 받으며 송수화기의 후크-오프 또는 후크-온 기능을 수행하는 루프스위치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하며 음성신호 전달과 아울러 전체적인 제어동작을 행하도록 소정 클럭 주파수로 동작되는 4비트 또는 8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 최소 10Kbyte의 용량을 갖는 롬(ROM)과 최소 1Kbyte의 용량을 갖는 램(RAM), 1200bps FSK 송수신 기능부와 톤 수신기능부, DTMF 발생기 및 시리얼 입/출력 기능부가 제공되는 CPU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입출력되는 음성신호와 CPU에서 제공되는 전화번호선택신호(DTMF) 및 톤(Tone)신호를 전화망에 송수신하는 음성신호회로부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한편,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PSTN 인터페이스 모듈부 상호간에 의해 교환되는 데이터는 헥사(Hexa)의 00~FF번지까지 사용되는 아스키 데이터와, 제어데이터·다이얼 디지트·CID 및 SMS의 4가지로 형태로 구분되는 데이터로 구성되며, DSR·DCD 및, 상기 PSTN 인터페이스 모듈부가 이동통신단말기에 접속되어 데이터 교환을 위한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그 이동통신단말기에 통보하는 CTS, DTR신호가 상기 데이터 교환에 필요한 제어신호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전화기능을 갖는 휴대전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PSTN 인터페이스 모듈부를 접속하기 위해 구비되는 커넥터부는 휴대전화단말기의 입출력단자 접속표준으로 제공되는 'TTAS.KO-06.0028/R2'에서 권고하는 24핀 입출력단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전화기능을 갖는 휴대전화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STN 인터페이스모듈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모듈부와 소정 커넥터를 매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전화기능을 갖는 휴대전화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기능제공부는 휴대통화모드 및 유선통화모드를 선택적으로 조작하기 위한 모드선택기능과, 발신자표시서비스(CID), 단문메시지서비스(SMS) 등을 제 공하도록 대응되는 소프트웨어가 각각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전화기능을 갖는 휴대전화장치.
  6. 삭제
  7. 삭제
  8. 이동통신단말기와, 그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되는 PSTN 인터페이스모듈부와의 상호 데이터 교환처리에 따라 임의의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 단말기와의 통화호를 설정하기 위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PSTN 사용 모드로 설정한 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PSTN 인터페이스 모듈부를 매개하여 PSTN망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PSTN 망으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그 PSTN 인터페이스모듈부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유선전화기능을 갖는 휴대전화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PSTN 인터페이스모듈부를 매개하여 PSTN망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PSTN 망으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그 PSTN 인터페이스모듈부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할 때, 헥사(Hexa)의 00~FF번지까지 사용되는 아스키 데이터와, 제어데이터·다이얼 디지트·CID 및 SMS의 4가지 형태로 구분되는 데이터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PSTN 인터페이스모듈부의 상호간에서 송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전화기능을 갖는 휴대전화장치의 제어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 질 때, 상기 제어데이터·다이얼 디지트·CID 및 SMS의 종류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전송된 후, 정보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전화기능을 갖는 휴대전화장치의 제어방법.
KR20030038664A 2003-06-16 2003-06-16 유선전화기능을 갖는 휴대전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59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38664A KR100659032B1 (ko) 2003-06-16 2003-06-16 유선전화기능을 갖는 휴대전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38664A KR100659032B1 (ko) 2003-06-16 2003-06-16 유선전화기능을 갖는 휴대전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8829U Division KR200329371Y1 (ko) 2003-06-16 2003-06-16 유선전화기능을 갖는 휴대전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7958A KR20040107958A (ko) 2004-12-23
KR100659032B1 true KR100659032B1 (ko) 2006-12-21

Family

ID=37381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38664A KR100659032B1 (ko) 2003-06-16 2003-06-16 유선전화기능을 갖는 휴대전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90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21440C (zh) * 2006-03-21 2008-09-24 天地一家商务管理(北京)有限公司 融无线通信与固定通信于一体的终端设备及其使用方法
CN102387243A (zh) * 2010-09-06 2012-03-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
CN102387611A (zh) * 2010-09-06 2012-03-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7958A (ko) 2004-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6799B1 (en) Premises telephonic interface system for communicating using a hand-held wireless device
US20060148420A1 (en) Apparatus for wirelessly-coupling a Bluetooth-wireless cellular mobile handset to a docking station for connecting a standard telephone set to the cellular network
US20040198236A1 (en) Wireless telephone jack
AU621752B2 (en) Cellular telephone with standard telephone set
US200200866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 standard telephone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CN1945994B (zh) 蓝牙手机来电自动转到固话接听的方法
US200802125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ly coupling various communication devices through common channel
KR100659032B1 (ko) 유선전화기능을 갖는 휴대전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6608889B2 (en) Telephone having convenience feature data transfer capability
KR100359872B1 (ko)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무선 핸즈프리의 제어방법
KR200329371Y1 (ko) 유선전화기능을 갖는 휴대전화장치
KR100593608B1 (ko) 무선 교환시스템에서 무선 핸드셋과 전화기 본체간의연결 방법
KR20020016645A (ko) 피에스티엔과 브오아이피 정합회로를 내장한 인터넷폰게이트웨이 시스템
US6580922B1 (en) Method of transmitting telephone number in wireless local loop system
US20040005909A1 (en) Method for originating and terminating mobile (aka cellular) telephone calls on an analog phone line system utilizing the mobile handset as a gateway
KR100377392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음성 입/출력 장치 및 방법
JP3389733B2 (ja) 電話機
KR20010045585A (ko) 무선가입자망시스템에서 내선기능을 갖는 가입자접속장치
JP4436749B2 (ja) 電話機アダプタ
KR100427495B1 (ko)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유선전화기 통화시스템에서외부전화기와 통화를 이룬 유선전화기의 과금시스템 및 그방법
KR200323834Y1 (ko) 휴대폰을 이용한 선후불 통신카드용 자동접속 장치
KR100323751B1 (ko)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운용 방법
KR100464477B1 (ko) 키폰시스템의 내선단말기간 통신거리 연장을 위한어댑터장치
KR100877845B1 (ko) 아이피 폰을 이용한 헤드셋, 이어셋 무선연결 단말장치
JP3726049B2 (ja) 短縮ダイヤルの課金システム、及び、その課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