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8825B1 - 광동축혼합망을 이용한 공시청망에서의 다중 대역 채널에대한 상향/하향신호 정합 및 노이즈 제거 시스템 - Google Patents

광동축혼합망을 이용한 공시청망에서의 다중 대역 채널에대한 상향/하향신호 정합 및 노이즈 제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8825B1
KR100658825B1 KR1020050022218A KR20050022218A KR100658825B1 KR 100658825 B1 KR100658825 B1 KR 100658825B1 KR 1020050022218 A KR1020050022218 A KR 1020050022218A KR 20050022218 A KR20050022218 A KR 20050022218A KR 100658825 B1 KR100658825 B1 KR 100658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network
band
frequency
up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2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0579A (ko
Inventor
박동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윌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윌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윌테크
Priority to KR1020050022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8825B1/ko
Publication of KR20060100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0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8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8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55Material asp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 유선방송 시스템 또는 공청 방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HFC 통신 기술을 이용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어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상향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상대적으로 높은 고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고 해당 주파수 대역에 대한 대역필터링 동작 후 원래의 주파수 대역으로 역 주파수 변환한 신호를 출력하는 상향신호 처리기들과; 각 이용자 단말기측으로 분배되는 하향신호에서 이용자 단말기의 구동에 대한 정보를 인지하여 그에 따라 이용자 단말기의 동작상태에 연동하여 상기 상향신호 처리기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다수의 케이블 모뎀 제어기를 구비함으로써, 광동축혼합망(HFC)을 이용한 공시청망을 구현하는 데 장애요인으로 우선시되는 상향 노이즈의 유입을 차단하고 다양하게 제공되는 인터넷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다중 채널 대역에 대한 안정적 신뢰성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광동축혼합망을 이용한 공시청망에서의 다중 대역 채널에 대한 상향/하향신호 정합 및 노이즈 제거 시스템{SYSTEM FOR UP/DOWN STREAM MATCHING AND NOISE CANCELING IN MASTER ANTENNA TELEVISION NETWORK USING HFC NETWORK}
도 1은 종래의 HFC(Hybrid Fiber Coaxial) 망을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의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대역 채널에 대한 상향/하향신호 정합 및 노이즈 제거 시스템을 이용한 공시청망의 구현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대역 채널에 대한 상향/하향신호 정합 및 노이즈 제거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
도 4는 도 3에서 상향신호 처리기의 구성 예시도.
도 5 내지 도 8은 상향신호 처리기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MCA-NCS(Multi Channel Auto Noise Canceling System)
210 : 외부신호결합기 220 : 하향신호처리기
230A~230C : 상향신호처리기 240 : 내부신호결합기
260 : 분배기 250A~250C : 케이블 모뎀 제어기
231 : 주파수 변환기 232A~232C : 대역통과필터
233 : 주파수 역 변환기
본 발명은 기존 유선방송 시스템(CATV : Cable Television) 또는 공청 방송 시스템(MATV : Master Antenna Television)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HFC 통신 기술을 이용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동축혼합망(광+동축케이블이 혼합된 전송망)(Hybrid Fiber Coaxial; HFC)을 이용한 공시청망을 구현하는 데 장애요인으로 우선시되는 상향 노이즈의 유입을 차단하고 다양하게 제공되는 인터넷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다중 채널 대역에 대한 안정적 신뢰성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광동축혼합망을 이용한 공시청망에서의 다중 대역 채널에 대한 상향/하향신호 정합 및 노이즈 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합건물에서는 공시청망(MATV Network)을 구성하여 여러 채널의 프로그램을 다가구에서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서, 공시청망이라 함은 같은 건물이나 건물 밀집지역 내의 다양한 TV 수상기들을 연결시키는 단일 신호수신체계를 의미하며, 하나의 주 안테나를 세우고 거기에서 TV신호를 복수의 TV수상기에 분배하여 텔레비젼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네트워크 망을 뜻한다.
특히, 다수의 가구가 밀집된 아파트에서는 다수의 TV 수신 가정의 욕구를 만 족시켜 주기 위하여, 상기 공시청망을 지역의 케이블TV 회사들과 연계하는 경우가 많다. 대체로, 상기 지역 케이블TV 회사들의 경우, 케이블 전파 중계소로부터 사용자(end user)와 근접해 있는 노드까지는 광섬유 케이블을 사용하여 TV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노드들로부터 개별 사용자의 TV수신용 셋톱박스까지는 동축케이블을 사용하여 TV신호를 송신한다.
이처럼 비디오 및 음성 데이터로 이루어진 TV신호를 사용자까지 전송시키는데 있어서, 네트워크의 서로 다른 부분에서 광섬유 케이블과 동축케이블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HFC 통신 기술이라고 지칭한다.
상기한 HFC 통신 기술에 있어서는, 기업이나 가정에 항상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동축케이블을 교체하지 않고서도 광섬유 케이블의 신뢰성 있는 우수한 신호 전송 특성을 사용자 가까이에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HFC기술에 있어서는, 백본 파이프(Backbone pipe)로 광섬유케이블을 사용하기 때문에, 동축케이블만을 사용할 때보다 더 많은 데이터를 높은 대역폭으로 전송할 수 있어서 서버/클라이언트 모델에 입각한 쌍방향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으며, 광섬유 케이블이 포설된 기반시설 부분은 동축케이블보다 더 높은 신뢰도를 가지므로 지리적으로 인접한 케이블 TV회사 또는 전화회사들의 네트워크를 상호 연계하는데 더 효율적이다.
따라서 현재 많은 케이블TV 회사 및 전화회사들이 기존의 네트워크 망을 HFC 네트워크 망으로 업그레이드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최근에는 케이블 TV 서비스의 기반 네트워크망인 HFC망을 이용하여 초 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 상용화됨으로써 인터넷 서비스가 전국민적으로 확산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구현함에 있어서, HFC망을 통하여 인터넷 상향신호와 하향신호가 전송되는 과정을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인터넷 네트워크(10)를 통해 전송된 인터넷 데이터 패킷은 라우터(router; 20)를 거치며, 라우터(20)를 통해 전송된 인터넷 데이터 패킷은 CMTS(Cable modem termination system; 30)를 통해 케이블 모뎀(40)에서 수신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된다. 변환된 인터넷 데이터는 결합기(Combiner; 50)에서 CATV 송신국(60)으로부터 송출되는 케이블TV 신호와 결합되어 광송신기(70)를 통해 광네트워크(80)로 전송되며, 전송된 복합 신호는 광망종단장치(90)와 동축 케이블 네트워크(100)를 거쳐 분기기(110)를 통해 인터넷 서비스가 제공될 건물로 전송된다.
분기기(110)에서 분기된 복합 신호는 신호 분리기(120)에서 인터넷 신호와 케이블TV 신호로 분리되어 각각 개별적인 케이블 라인을 통해 전송되며, 분리된 신호 중에서 인터넷 신호는 케이블 모뎀(40)을 통해 이용자 단말기(130)에서 인식 가 능한 신호로 변환되어 이용자 단말기(130)로 입력되고 케이블 TV신호는 컨버터(140)를 거쳐 TV 수상기(150)로 입력된다.
한편, 이용자 단말기(130)로부터 전송되는 인터넷 상향신호는 먼저 케이블 모뎀(40)을 거쳐 동축케이블 네트워크(100)를 통해 광망종단장치(90)에 입력되어 광신호로 변환된 후 광네트워크(80)로 전송된다. 그런 다음, 인터넷 상향신호는 광 수신기(160)를 통하여 CMTS(30)에 입력되어 인터넷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된 후 라우터(20)를 거쳐 인터넷 네트워크(10)로 전송된다.
그런데, 전술한 HFC망을 이용한 인터넷 상/하향 신호전송 모델을 아파트 등의 복합건물에 구축된 공시청망(MATV)에 적용시키게 되면, 공시청망을 통해 전송되는 인터넷 상향신호에 유입되는 여러 가지 불필요한 노이즈의 영향으로 신뢰성 있는 인터넷 데이터의 송신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복합건물의 경우는 공시청망을 통한 인터넷 서비스는 이루어지지 않고, ADSL, 홈 랜, 외벽 배선 케이블 모뎀 등의 방법에 의해 인터넷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현재 시도되고 있는 상기와 같은 방식들에는 여러 가지 결함들이 존재하고 있다. 예컨대, 새로운 망을 구축하기 위해 설치비중이 가중되는 문제, 대단위 아파트 단지의 경우 각 가정으로 가는 라인들을 일일이 찾고 그 라인에 신호를 인입해야 하는 설치공사의 복잡함, 가입자가 증가할수록 추가 장비를 증설하기 어려운 점, 아파트의 경우 단지의 지하에 헤드엔드가 위치하게 되는데 이 공간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인터넷 서비스 가입자가 늘어날수록 헤드엔드 설치 공간을 계속해서 점유해 가는 공간적인 제약, 및 인터넷 상향신호로 유입되는 잡음은 인터넷 통 신에 많은 영향을 끼치나 이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는 점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즉, 종래의 유선 케이블 모뎀은 상향 및 하향 주파수가 다르며 전송 용량이 다르고, 실제 사용되고 있는 거리 또한 짧기 때문에 성능의 문제로 유선에서 만 사 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더넷 백본과 같은 아키텍쳐로 이용자 수가 늘어날수록 급격히 성능이 떨어지게 되고, 무 증폭으로 전송 가능한 거리가 1Km 이내로 매우 짧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증폭을 하게 되더라도 노이즈 때문에 먼 거리에 전송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더욱이 인터넷을 이용한 각종의 솔루션 서비스 예를 들어 VoIP(Voice of Internet Protocol)을 이용한 인터넷 전화서비스 혹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로 통칭되는 디지털 방송과 같은 서비스를 통합 운영하기에는 현재까지 제안되어진 기술로써 한계점이 있으며, 추후 소비자들의 욕구(고속화, 다변화)를 만족 시켜줄 수 없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유선방송 시스템(CATV : Cable Television) 또는 공청 방송 시스템(MATV : Master Antenna Television)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HFC 통신 기술을 이용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동축혼합망(광+동축케이블이 혼합된 전송망)(Hybrid Fiber Coaxial; HFC)을 이용한 공시청망을 구현하는 데 장애요인으로 우선시되는 상향 노이즈의 유입을 차단하고 다양하게 제공되는 인터넷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다중 채널 대역에 대한 안정적 신뢰성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광동축혼합망을 이용한 공시청망에서의 다중 대역 채널에 대한 상향/하향신호 정합 및 노이즈 제거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동축혼합망을 이용한 공시청망에서의 다중 대역 채널에 대한 상향/하향신호 정합 및 노이즈 제거 시스템의 특징은, 광동축혼합망을 기반으로 복합건물에 배선되어 있는 공시청망에 접속된 복수의 이용자 단말기 상에서 인터넷 서비스 및 부가 서비스가 하나의 공시청망 케이블 라인을 통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광동축혼합망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상향신호와 하향신호의 송수신단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외부신호결합기와; 상기 외부신호결합기를 통해 수신되는 하향신호를 입력받아 신호증폭 등의 과정을 수행하는 하향신호처리기와; 제어신호에 따라 임의의 채널별로 입력되는 신호에서 노이즈 제거 등의 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외부신호결합기를 통해 광동축혼합망측으로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다수의 상향신호처리기와; 상기 공시청망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상향신호와 하향신호의 송수신단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내부신호결합기와; 상기 내부신호결합기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을 공시청망에 연결되어 있는 이용자 단말기 측에 분배하는 분배기; 및 상기 하향신호처리기 혹은 상기 분배기를 통해 각 이용자 단말기측으로 분배되는 하향신호에서 이용자 단말기의 구동에 대한 정보를 인지하여 그에 따라 이용자 단말기의 동작상태에 연동하여 상기 상향신호 처리기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다수의 케이블 모뎀 제어기를 포함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동축혼합망을 이용한 공시청망에서의 다중 대역 채널에 대한 상향/하향신호 정합 및 노이즈 제거 시스템의 부가적인 특징으로, 상기 상향신호 처리기는 할당된 케이블 모뎀 제어기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내부신호결합기측에서 입력되는 상향신호를 입력받아 중심 주파수를 상기 제어신호에 따른 고주파 대역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주파수 변환기와; 상기 주파수 변환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설정된 주파수 대역만 통과시키는 다수의 대역통과필터; 및 상기 대역통과필터를 통해 필터링되어진 신호를 상기 주파수 변환기에 입력되어진 주파수 대역으로 역 변환하여 출력하는 주파수 역 변환기로 구성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동축혼합망을 이용한 공시청망에서의 다중 대역 채널에 대한 상향/하향신호 정합 및 노이즈 제거 시스템의 부가적인 다른 특징으로, 상기 대역통과필터는 상기 주파수 변환기의 출력 주파수대역에 대응하는 어떤 대역통과필터가 상기 주파수 변환기의 동작에 연동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동축혼합망을 이용한 공시청망에서의 다중 대역 채널에 대한 상향/하향신호 정합 및 노이즈 제거 시스템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주파수 역 변환기는 상기 주파수 변환기의 입출력 처리과정의 역순으로 신호처리 하도록 구성되어지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동축혼합망을 이용한 공시청망에서의 다중 대역 채널에 대한 상향/하향신호 정합 및 노이즈 제거 시스템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상향신호 처리기는 제어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상향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상대적으로 높은 고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고 해당 주파수 대역에 대한 대역필터링 동작 후 원래의 주파수 대역으로 역 주파수 변환한 신호를 출력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동축혼합망을 이용한 공시청망에서의 다중 대역 채널에 대한 상향/하향신호 정합 및 노이즈 제거 시스템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상향신호 처리기는 두 번의 주파수 대역 변환에 의해 소정 이득의 증폭율을 갖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대역 채널에 대한 상향/하향신호 정합 및 노이즈 제거 시스템을 이용한 공시청망의 구현 예시도로서, HFC통신망의 구성과 동작은 첨부한 도 1에서의 설명과 중복됨에 따라 생략한다.
또한, 참조번호 200으로 지칭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대역 채널에 대한 상향/하향신호 정합 및 노이즈 제거 시스템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역시 도 1의 구성과 설명이 중복됨에 따라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그 차이점만을 설명하면, 참조번호 200으로 지칭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대역 채널에 대한 상향/하향신호 정합 및 노이즈 제거 시스템(이하 MCA-NCS라 칭함)이 헤드엔드믹서와 공시청망(MATV)사이에 존재함에 따라 점선으로 표시한 각 가정에서는 채널의 대역을 구분하여 인터넷 신호와 케이블TV 신호가 공급되어진다. 따라서 각각 개별적인 케이블 라인을 통해 전송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케이블 라인을 통해 데이터가 전송되어지며, 인터넷 신호에 한하여 케이블 모뎀을 구축(IP 분배 등의 이유)하고, 각 가정의 이용자는 라우터 등의 장비 혹은 개별 인터넷 단말기를 갖는 인터넷 전화기 혹은 팩스 등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적용됨에 따라 종래 기술과 차별되는 가장 큰 특징은 공시청망(MATV)의 케이블 라인을 통해 직접적으로 인터넷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상향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한다는 것이며, 공시청망(MATV)의 케이블 라인을 통해 송수신되는 디지털 데이터의 전송 채널별로 자동적인 인식 과정을 통해 다중 채널의 신호 처리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의 구현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첨부한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대역 채널에 대한 상향/하향신호 정합 및 노이즈 제거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로서, 헤드엔드믹서등을 통해 HFC망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상향신호와 하향신호의 송수신단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외부신호결합기(210)와, 상기 외부신호결합기(210)를 통해 수신되는 하향신호를 입력받아 신호증폭 등의 과정을 수행하는 하향신호처리기(220)와, 제어신호에 따라 임의의 채널별로 입력되는 신호에서 노이즈 제거 등의 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외부신호결합기(210)를 통해 HFC망측으로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다중채널별 상향신호처리기 (230A~230C)와, 상기 하향신호처리기(220)를 통한 신호를 공시청망(MATV)을 형성하는 각 가정별로 공급하거나 각 가정별로 발생되는 신호를 상기 다중채널별 상향신호처리기(230A~230C)로 공급함으로써 공시청망(MATV)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상향신호와 하향신호의 송수신단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내부신호결합기(240)와, 상기 내부신호결합기(240)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을 실제적으로 공시청망(MATV)을 형성하는 각 가정에 분배하는 분배기(260), 및 상기 하향신호처리기(220)를 통한 신호 혹은 상기 분배기(260)를 통해 각 가정별로 분배되는 하향신호에서 공시청망(MATV)에 연결되어 있는 케이블 모뎀의 구동에 대한 정보(고정 혹은 유동 IP할당 정보, 프록시 정보 등등)를 인지하여 그에 따라 케이블 모뎀의 동작상태에 연동하고 그에 따라 상기 상향신호 처리기(230A~230C)의 작동을 제어하는 케이블 모뎀 제어기(250A~250C)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대역 채널에 대한 상향/하향신호 정합 및 노이즈 제거 시스템의 구성 중 상향신호 처리기의 구성은 첨부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다.
상기 상향신호 처리기는 첨부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할당된 케이블 모뎀 제어기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내부신호결합기 측에서 입력되는 상향신호를 입력받아 중심 주파수를 상기 제어신호에 따른 고주파 대역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주파수 변환기(231)와, 상기 주파수 변환기(23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설정된 주파수 대역만 통과시키는 다수의 대역통과필터(232A~232C), 및 상기 대역통과필터(232A~232C)를 통해 필터링되어진 신호를 상기 주파수 변환기 (231)에 입력되어진 주파수 대역을 역 변환하여 출력하는 주파수 역 변환기(233)로 구성되어진다.
이때, 상기 대역통과필터(232A~232C)는 상기 주파수 변환기(231)의 출력 주파수대역에 대응하는 대역통과필터가 상기 주파수 변환기(231)의 동작에 연동할 수 도 있으며, 상기 주파수 역 변환기(233)는 상기 주파수 변환기(231)의 입출력 처리과정의 역순으로 구성되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현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대역 채널에 대한 상향/하향신호 정합 및 노이즈 제거 시스템에서 상향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동작을 첨부한 도 5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임의의 케이블 모뎀을 통해 인터넷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이 신호에는 통상적으로 잡음이 혼재하게 된다. 이때의 잡음을 상향잡음이라 칭하며, 공시청망의 형성시 자연스럽게 발생되는 것으로 이를 억제하는 방법은 현재로써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임의의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35MHz의 중심주파수)을 갖는 인터넷 신호에 상향잡음이 혼재하는 예가 첨부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다고 가정한다.
이때, 상향신호가 발생되기 이전에 이미 하향신호 중 케이블 모뎀의 동작을 위한 예비동작 즉 IP할당과 프록시 설정 등의 정보가 상향신호를 발생시키는 케이블 모뎀에 제공되었으며, 이 신호는 역시 케이블 모뎀 제어기(250A~250C)에 제공되어진다. 상기 케이블 모뎀 제어기(250A~250C)에서는 임의의 케이블 모뎀이 작동준 비 되었음을 인지하고, 그에 따라 상향신호의 발생에 따른 대기상태에 돌입한다.
이후 상기 케이블 모뎀 제어기(250A~250C)에서는 해당 케이블 모뎀을 통해 상향신호가 발생되고 이 신호가 공시청망을 경유하면서 첨부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노이즈가 혼재되어진 상향신호를 내부결합기(240)를 통해 입력받는 상향신호 처리기(230A~230C)중 상향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적합한 상향신호 처리기(230A~230C)를 동작시킨다.
상기 상향신호 처리기(230A~230C)를 구성하는 주파수 변환기는 입력되는 상향신호에서 인터넷 신호의 중심주파수 대역을 첨부한 도 6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특정의 고주파 대역으로 주파수 변환을 하게 된다.
즉, 상향잡음은 대체적으로 저주파 대역이므로 고주파 신호 대역으로 인터넷신호를 변환하면 첨부한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노이즈 레벨이 낮거나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 인터넷신호가 존재하게 된다.
이후 대역통과 필터를 통해 주파수 변환되어진 영역의 신호만을 통과시키면 첨부한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원래 인터넷 신호가 존재하던 주파수 영역의 노이즈가 제거되어 진다.
상기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노이즈가 제거되어진 상태에서 고주파수 대역으로 주파수 변환되어져 있던 인터넷 신호는 주파수 역 변환기(233)에 의해 원래의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되어진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원래의 주파수 대역으로 돌아온 인터넷 신호의 예가 첨부한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다.
첨부한 도 5와 도 8을 비교하여 살펴보면, 공시청망을 경유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인터넷 신호에 혼재되었던 상향 잡음이 백색잡음과 같이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 즉 특정의 데이터 값을 갖는 잡음이 아니라 평탄한 잡음(베이스 DC전압 값의 의미임)으로 변화되었으므로 이는 기존의 통신기법으로 수신측에서 해결 가능하며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
또한, 주파수 변환의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신호의 증폭이 이루어짐에 따라 별도의 증폭기를 사용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송출신호의 증폭 효과를 얻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주파수를 고주파 대역으로 변환한 후 대역필터를 이용하여 노이즈를 제거하는 이유는 첨부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노이즈가 혼재하는 상태에서 인터넷 신호의 중심 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하게 되면, 중심 주파수 대역에 존재하는 노이즈를 제거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광동축혼합망을 이용한 공시청망에서의 다중 대역 채널에 대한 상향/하향신호 정합 및 노이즈 제거 시스템을 제공 하면 광동축혼합망(광+동축케이블이 혼합된 전송망)을 이용한 공시청망을 구현하는 데 장애요인으로 우선시되는 상향 노이즈를 차단하고 다양하게 제공되는 인터넷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다중 채널 대역에 대한 안정적 신뢰성을 구축할 수 있다.

Claims (6)

  1. 광동축혼합망을 기반으로 복합건물에 배선되어 있는 공시청망에 접속된 복수의 이용자 단말기 상에서 인터넷 서비스 및 부가 서비스가 하나의 공시청망 케이블 라인을 통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광동축혼합망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상향신호와 하향신호의 송수신단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외부신호결합기와;
    상기 외부신호결합기를 통해 수신되는 하향신호를 입력받아 신호증폭 등의 과정을 수행하는 하향신호처리기와;
    제어신호에 따라 임의의 채널별로 입력되는 신호에서 노이즈 제거 등의 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외부신호결합기를 통해 광동축혼합망측으로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다수의 상향신호처리기와;
    상기 공시청망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상향신호와 하향신호의 송수신단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내부신호결합기와;
    상기 내부신호결합기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을 공시청망에 연결되어 있는 이용자 단말기 측에 분배하는 분배기; 및
    상기 하향신호처리기 혹은 상기 분배기를 통해 각 이용자 단말기측으로 분배되는 하향신호에서 이용자 단말기의 구동에 대한 정보를 인지하여 그에 따라 이용자 단말기의 동작상태에 연동하여 상기 상향신호 처리기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다수의 케이블 모뎀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동축혼합망을 이용한 공 시청망에서의 다중 대역 채널에 대한 상향/하향신호 정합 및 노이즈 제거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신호 처리기는 할당된 케이블 모뎀 제어기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내부신호결합기측에서 입력되는 상향신호를 입력받아 중심 주파수를 상기 제어신호에 따른 고주파 대역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주파수 변환기와;
    상기 주파수 변환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설정된 주파수 대역만 통과시키는 다수의 대역통과필터; 및
    상기 대역통과필터를 통해 필터링되어진 신호를 상기 주파수 변환기에 입력되어진 주파수 대역으로 역 변환하여 출력하는 주파수 역 변환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동축혼합망을 이용한 공시청망에서의 다중 대역 채널에 대한 상향/하향신호 정합 및 노이즈 제거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통과필터는 상기 주파수 변환기의 출력 주파수대역에 대응하는 어떤 대역통과필터가 상기 주파수 변환기의 동작에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동축혼합망을 이용한 공시청망에서의 다중 대역 채널에 대한 상향/하향신호 정합 및 노이즈 제거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역 변환기는 상기 주파수 변환기의 입출력 처리과정의 역순으로 신호처리 하도록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동축혼합망을 이용한 공시청망에서의 다중 대역 채널에 대한 상향/하향신호 정합 및 노이즈 제거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신호 처리기는 제어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상향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상대적으로 높은 고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고 해당 주파수 대역에 대한 대역필터링 동작 후 원래의 주파수 대역으로 역 주파수 변환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동축혼합망을 이용한 공시청망에서의 다중 대역 채널에 대한 상향/하향신호 정합 및 노이즈 제거 시스템.
  6. 제 2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신호 처리기는 두 번의 주파수 대역 변환에 의해 소정 이득의 증폭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동축혼합망을 이용한 공시청망에서의 다중 대역 채널에 대한 상향/하향신호 정합 및 노이즈 제거 시스템.
KR1020050022218A 2005-03-17 2005-03-17 광동축혼합망을 이용한 공시청망에서의 다중 대역 채널에대한 상향/하향신호 정합 및 노이즈 제거 시스템 KR100658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2218A KR100658825B1 (ko) 2005-03-17 2005-03-17 광동축혼합망을 이용한 공시청망에서의 다중 대역 채널에대한 상향/하향신호 정합 및 노이즈 제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2218A KR100658825B1 (ko) 2005-03-17 2005-03-17 광동축혼합망을 이용한 공시청망에서의 다중 대역 채널에대한 상향/하향신호 정합 및 노이즈 제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0579A KR20060100579A (ko) 2006-09-21
KR100658825B1 true KR100658825B1 (ko) 2006-12-15

Family

ID=37632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2218A KR100658825B1 (ko) 2005-03-17 2005-03-17 광동축혼합망을 이용한 공시청망에서의 다중 대역 채널에대한 상향/하향신호 정합 및 노이즈 제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882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0579A (ko) 200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7030B1 (en) Broadband cable television and computer network
US5557319A (en) Subscriber return system for CATV full service networks
US2005017503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OCSIS service over a passive optical network
WO201203881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imultaneous ip and non-ip based communication services using passive optical networks
US5966410A (en) Method and system for cleaning a frequency band
US6594827B1 (en) Method and an arrangement for integrated radio telecommunication via a CATV network
CA2338189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communication
US7570607B2 (en) Integrating video, voice and data traffic in a single, conferencing system using existing connections
RU2212115C2 (ru) Оптимизир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для распределения сигналов телевизионных и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ых служб от периферийного узла к абонентским терминалам
KR100684208B1 (ko) 유선망에 대한 멀티 채널 제공 시스템
KR100658825B1 (ko) 광동축혼합망을 이용한 공시청망에서의 다중 대역 채널에대한 상향/하향신호 정합 및 노이즈 제거 시스템
US20100043032A1 (en)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Multimedia Over Coax Alliance Standard
EP2680499A1 (en) Data distribu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ple services
KR100366234B1 (ko) 공시청망(matv)을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용 필터링 장치
KR100611408B1 (ko) 공시청망(matv)을 이용한 근거리 통신 시스템
KR20170105227A (ko) 방송통신 시스템 통합 장치 및 방법
EP1671435A2 (en) Broadcasting system with return channel
KR100703718B1 (ko) 광대역 케이블 채널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EP1695479B1 (en) System for signals distribution to a plurality of users
WO2006109119A2 (en) Distribution system with video intercom functions
EP1125385A1 (en) In-home network using an existing coaxial cable installation
KR100892071B1 (ko) 방송/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한 광 송수신장치
CN113824991A (zh) 境外电视信号传输系统、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WO2003096692A1 (en) Noise filtering apparatus for internet service using master antenna television network
JP2006352288A (ja) 光伝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