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8199B1 - 분실/도난 방지를 위한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분실/도난 방지를 위한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8199B1
KR100658199B1 KR1020060004243A KR20060004243A KR100658199B1 KR 100658199 B1 KR100658199 B1 KR 100658199B1 KR 1020060004243 A KR1020060004243 A KR 1020060004243A KR 20060004243 A KR20060004243 A KR 20060004243A KR 100658199 B1 KR100658199 B1 KR 100658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communication terminal
threshold distance
communication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4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60004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81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8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8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14Mechanical actuation by lifting or attempted removal of hand-portable articles
    • G08B13/1427Mechanical actuation by lifting or attempted removal of hand-portable articles with transmitter-receiver for distance dete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3/1025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실/도난 방지를 위한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귀중한 물품 등에 설치된 대상 식별자로부터 임계 거리 이상 이동될 때 경보 신호를 발생시켜서, 분실/도난 등에 의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 또는 상기 물품이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분실물, 물품, 알람, 경보음, 통신 단말기

Description

분실/도난 방지를 위한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Communication Device for Miss and Burglar-proof and Method of the Same}
도 1은 통신 단말기를 분실한 경우에 대처하는 종래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실/도난 방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대상 식별자가 부착된 물품과 통신 단말기간에 통신을 하는 예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통신 단말기의 분실/도난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통신 단말기 310: 경보부
320: 제어부 341: 스피커
342: 진동 모터 343: 발광 소자
350: 경보음원 메모리 360: 근거리 통신부
370: 무선 트랜시버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실/도난을 방지할 수 통신 단말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통신 단말기는 장거리 의사 소통 수단으로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으며,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들에게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이동 중에도 편리하게 의사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므로 필수품처럼 널리 이용되고 있다. 최근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프로세서의 성능이 향상되고, 메모리의 리소스가 증대됨에 따라 종래의 이동 통신 서비스뿐만 아니라 다방면에서 여러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 이에 따라, 통신 단말기의 활용 빈도가 높아지면서 통신 단말기를 휴대하다가 분실 또는 도난 당하는 사례도 함께 급증하고 있다.
도 1은 통신 단말기를 분실한 경우를 예로 들어 대처하는 종래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보는 것과 같이,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 지갑, 열쇠를 포함한 열쇠고리 등 각종 물품들을 휴대하다가 실수나 소매치기 등으로 뜻하지 않게 물품들의 일부(여기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분실할 수 있다(110). 이때 사용자는 그 분실된 물품을 찾기 위한 방법으로 분실된 물품을 보관하는 물품 보관소 등을 방문하거나 해당 통신 단말기에 대한 전화 번호로 통화를 시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분실물을 보관하고 있는 상대방과 접촉할 수 있고(120), 증명 과정을 거쳐 분실한 통신 단말기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단말기뿐만 아니라 지갑과 같은 물품 등도 유사한 방법으로 찾을 수 있다. 이때, 분실물을 찾는데 상당히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고 분실물들을 보관하거나 사용 중지 요청 등을 관리하기 위한 비용이나 인력 등도 별도로 요구되므로 경제적으로 큰 손실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방법은 다행히 분실한 물품을 보관하는 사람이나 기관이 있는 경우에만 가능한 것이고 소매치기/도난 등 예상치 못한 상황으로 잃어버리게 되는 경우에는 잃어버린 자신의 물건을 되찾을 가능성이 극히 희박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분실/도난 방지를 위하여 대상 식별자를 부착한 물품으로부터 임계 거리 이상 떨어지는 경우에 경보음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신 단말기와 소지품간에 거리 간격이 미리 지정된 임계 거리를 벗어나게 되면 다양한 방법의 경보음을 출력하는 통신 단말기의 분실 방지 알람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 는, 일정 물품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대상 식별자로부터 임계 거리 이상 이동되는지 여부에 따라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경보부; 및 기지국과 호 연결을 제어하고, 상기 경보부에서 발생되는 상기 경보 신호를 체크하여 상기 경보 신호의 액티브 시에 출력 수단을 통하여 경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보에 의하여 상기 대상 식별자가 설치된 물품으로부터 상기 임계 거리 이상 이탈되는지 여부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분실/도난 방지 알람 방법은, 일정 물품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대상 식별자로부터 임계 거리 이상 이동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식별자로부터 임계 거리 이상 이동되는지 여부에 따라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경보 신호의 액티브 시에 출력 수단을 통하여 대상 식별자가 설치된 물품으로부터 임계 거리 이탈을 경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통신 단말기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예로 들어 기술하지만 통신을 위한 모든 유무선 전기전자장치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실 방지 알람 시스템(2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기 분실/도난 방지 알람 시스템(200)은 통신 단말기(210) 및 식별자 부착 물품들(221 ~ 225)을 포함한다.
상기 분실/도난 방지 알람 시스템(200)에서 셀룰러 폰, PCS, PDA, DMB 폰 등 통신 단말기(210)가 일정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식별자 부착 물품들(221 ~ 225)과 통신을 하면서 그 거리 간격이 설정된 임계치를 벗어나게 되면 상기 통신 단말기(210)의 출력 수단을 통해 경보음을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통신 단말기(210) 또는 상기 물품들(221 ~ 225)이 서로 이탈되는지 상기 사용자가 쉽게 인지하여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통신 단말기(210)는 기지국과 호 연결이 없는 대기 모드나 통화 상태 등 모든 경우에 대하여 상기 물품들(221 ~ 225)에 설치된 식별자로부터 상기 임계치 이내의 거리를 유지하고 있는가에 대해 판단한다. 만약 상기 물품들(221 ~ 225)에 설치된 대상 식별자들 중 어느 하나와 임계 거리 이상 차이가 나게 될 때에 상기 통신 단말기(210)는 경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통신 단말기(210)는 상기 경보 신호가 액티브 되면 출력 수단을 통하여 상기 임계 거리 이탈을 사용자에게 경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물품들(221 ~ 225)이나 상기 통신 단말기(210)를 깜박 잊고 놓고 가는 경우 등에 있어서 분실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고, 소매치기, 도난 등 타의에 의하여 상기 물품들(221 ~ 225)와 상기 통신 단말기(210)가 서로 이탈되는 경우에도 신속하게 대처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단말기(210)는 상기 물품들(221 ~ 225)에 설치된 대상 식별자들과 통신을 하면서 거리에 따라 경보음 출력 유무를 결정하여 임계 거리를 이탈하면 소정 출력 방법을 통해 출력을 한다. 예를 들어, 두 개의 물품이 지정해 놓은 1미터 보다 많이 떨어지게 되면 상기 통신 단말기(210)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상 식별자는 열쇠고리나 지갑 등 일정 물품에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대상 식별자와 통신을 하는 신호 감지 장치가 상기 통신 단말기(210)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지갑은 들고 나가지만 통신 단말기(210)를 두고 나갈 때 상기 통신 단말기(210)에서 강력한 소리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역으로 상기 통신 단말기(210)는 가지고 있으나 지갑 등 다른 물품을 흘리거나 모르는 사이에 누군가에 의해 도난을 당했을 때 마찬가지로 상기 통신 단말기(210)에서 강한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단말기(210)의 보다 상세한 동작은 이하 도 3을 참고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 단말기(210)는 PDC(Personal Digital Cellular)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폰, CDMA-2000(1X, 3X)폰, WCDMA(Wideband CDMA)폰, 듀얼 밴드/듀얼 모드(Dual Band/Dual Mode)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스마트(Smart) 폰, 핸드폰 등과 같은 통신 기능이 포함될 수 있는 휴대용 기기,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단말기,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MGCP(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 MEGACO(Media Gateway Control),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핸드 헬드 PC(Hand-Held PC),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와이브로(WiBro) 단말기, MP3 플레이어, MD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 그리고 국제 로밍(Roaming) 서비스와 확장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기반의 단말기 등을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핸드 헬드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의미하는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nfrared Data Association), 유무선 랜카드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한 위치 추적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GPS 칩이 탑재된 무선 통신 장치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일정한 연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해석된다.
상기 식별자 부착 물품들(221 ~ 225)은 지갑(221), 열쇠고리(222), 우산(223), 시계(224), 및 시스템 다이어리(225) 등으로 통상적으로 사람들이 자주 휴대하고 다니는 모든 물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 물품들의 특정 위치에 해당 대상 식별자를 부착하고, 상기 대상 식별자와 상기 통신 단말기(210) 간에 단순한 거리 감지 센서를 이용한 통신이나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이나 RFID 태그를 이용한 RFID 통신 등을 수행하는 일정 통신 모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임계 거리를 지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도 4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210)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기 통신 단말기(210)는 경보부(310), 제어부(320), 입력부(330), 출력부(340), 스피커(341), 진동 모터(342), 발광 소자(343), 경보음원 메모리(350), 근거리 통신부(360), 및 무선 트랜시버(370)를 포함한다.
상기 경보부(310)는 대상 식별자를 부착한 일정 물품로부터 임계 거리 이상 이동되는 지 여부에 따라 경보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경보부(310)는 도 2에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대상 식별자를 부착한 복수의 물품들 중 어느 하나와 임계 거리 이상 떨어질 때 상기 경보 신호가 발생되도록 하여 다수의 물품들과의 관계에서 분실/도난이 방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각각의 물품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서 각 물품의 해당 대상 식별자가 상기 통신 단말기(210)와 떨어질 때 서로 상이한 경보음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통신 단말기(210)의 각 구성 요소들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이동 통신 망을 통하여 기지국과 호 연결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상기 경보부(310)에서 발생되는 상기 경보 신호를 체크하고, 상기 경보 신호가 액티브 될 때 출력 수단을 통하여 경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경보는 상기 통신 단말기(210)의 스피커 등 각종 출력부(340)를 통해 소리 형태로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아래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이, 진동이나 상기 발광 소자(343)를 이용한 점멸 방식 등이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경보는 상기 대상 식별자에 구비된 출력 장치에서도 경보 음 형태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경보 신호에 따라 상기 대상 식별자에 구비된 출력 장치에서 일정 경보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20)는 통상적으로 모뎀 DSP(Digital Signal Processor)와 연관된 통신 단말기상의 모든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세서 기능을 포함한다. 기저 대역 신호(baseband signal) 등 내부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DSP를 많이 구비할수록 빠른 처리 속도로 인하여 각각의 모드에 따른 동작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20)로서 MSM(Mobile Station Modem), DSP(Digital Signal Processor), OMAP(Open Multimedia Application Platform)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330)는 상기 통신 단말기(210)에 각종 명령을 내리거나 설정을 하기 위한 장치로 본원 발명에서는 특히 경보 방법, 예를 들어, 스피커(341), 진동 모터(342), 발광 소자(343)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편리하게 상기 통신 단말기(210)의 경보음 출력 방법을 조작하기 위한 핫키(Hot-key)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330)의 입력 장치로는 키패드,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및 음성 인식 모듈 등이 하나 이상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출력부(340)는 상기 통신 단말기(210)의 설정이나 일정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또한, 상기 출력부(340)에서 사용할 수 있는 출력 장치로 통신 단말기(210)에 구비된 LCD, 유기 LED, PDP, LED 등 시각적 출력 수단, 벨소리, 컬러링, MP3 등 다양한 음악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 이어폰 등 청각적 출력 수단, 및 진동 모터 등을 이용한 촉각적 출력 수단이 최소 하나 이상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원 발명에서는 상기 스피커(341), 진동 모터(342), 발광 소자(343)를 이용하여 상기 임계 거리에 따른 경보 신호에 따라 출력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341)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경보음은 스피커의 최대 출력 레벨로 출력되도록 하여 상기 사용자가 분실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경보음에 해당하는 별도의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경보 신호의 액티브 시에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출력 수단으로 전송하는 경보음원 메모리(350)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벨소리, 음악, 음성 등 다양한 방법으로 경보음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경보음원 메모리(350)로서 D 램의 고속 쓰기 능력 및 플래시 메모리의 비활성 기능을 하나의 D 램에 구현한 NV(Non-Volatile) D 램, NAND 메모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343)는 여러 가지 신호를 빛의 형태로 출력하는 소자로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임계 거리 미만에 위치하는 경우에 파워 온(Power On)되고, 상기 임계 거리 이상이면 반복적으로 점멸하는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신 단말기(210)는 청각 장애인 등과 같이 시각을 사용하지 못하는 상황에 있는 경우에 용이하게 분실 상황을 통지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부(360)는 물품들에 부착된 해당 대상 식별자와 근거리 통신을 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상기 통신 단말기(210)는 상기 근거리 통신을 위하여 단순한 거리 감지 센서를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지그비(Zigbee), Wi-Fi(Wireless Fidelity), 홈 RF, 및 UWB(Ultra Wide Band)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는 근거리에 놓여 있는 컴퓨터와 이동 통신 단말기, 가전 제품 등을 무선으로 연결하여 쌍방향으로 실시간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규격의 통신 모듈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적외선 통신은 Infrared Data Association 규격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케이블 없이 적외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적외선 방식의 IrDA 통신 포트는 LAN에 버금가는 디지털 정보의 송수신 기능을 갖추고 있다. 또한, 상기 지그비는 저속 전송 속도를 갖는 홈 오토메이션 및 데이터 네트워크를 위한 표준 기술로서 버튼 하나로 하나의 동작을 잡아 집안 어느 곳에서나 전등 제어, 홈 보안 시스템, 및 VCR on/off 등을 가능하도록 하고 인터넷을 통한 전화 접속으로 홈 오토메이션을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기술로서 본원 발명의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Wi-Fi는 무선 이더넷 호환성 협회(WECA)에서 802.11b 무선 이더넷 표준에 대해 제공하고 있는 규격으로 통신거리가 비교적 긴 장점이 있다. 상기 홈 RF는 공간에 전파되는 전자파(electromagnetic waves)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으로 4GHz ISM 대역에서의 RF 통신은 확산 스펙트럼(Spread Spectrum) 기술을 사용하는데 상기 RF(Radio Frequency)는 가청 주파수 이상 가시선 이하 전자 주파수인데, FM 과 AM 라디오를 포함한 모든 방송과 위성, 그리고 셀룰러폰을 이 영역에서 주로 사용한다. 또한, UWB(초광대역통신, Ultra Wide Band)은 2∼10GHz의 고주파대역을 활용하는 무선 통신 기술로서 초광대역통신(UWB)은 극초단파를 이용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고 전송속도가 빨라 홈네트워킹 시스템이나 유비쿼터스 환경을 구현할 무선 통신 기술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무선 트랜시버(transceiver)(370)는 기지국과 전파를 송수신하면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거나 본원 발명에 따른 일정 정보를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무선 송수신기이고, 단일 패키지에 무선 트랜스미터(transmitter)와 무선 리시버(receiver)를 결합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트랜시버(370)는 휴대폰이나 무선 전화기, 휴대용 무전기 등 모든 무선 전송 장치들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아날로그 신호 또는 디지털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도 4는 대상 식별자가 부착된 물품과 통신 단말기(210)간에 통신을 하는 예시이다.
도 4에서 보는 것과 같이, 사용자는 상기 통신 단말기(210)를 휴대하고 있다. 상기 사용자가 실수로 대상 식별자가 부착된 우산(223)을 버스, 택시 등 교통수단이나 회사, 학교, 술집 등 일정 공간에 실수로 가지고 나오는 것을 잊고 나오는 경우가 있다. 또한, 우산 외에도 지갑, 열쇠고리, 시계, 및 시스템 다이어리 등은 많은 사람들이 자주 휴대하고 다니면서도 종종 가지고 가는 것을 잊는 물품들로서 상기 대상 식별자가 부착될 수 있는 대상들이다.
상기 통신 단말기(210)와 식별자 부착 우산(223)은 임계 거리 'a' 만큼 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거리 'a' 이상 거리를 유지하게 되면 상기 통신 단말기(210)에서는 앞서 설명한 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리 'a' 이내에 위치한다면 상기 발광 소자(343)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210)가 상기 임계 거리 미만에 위치하고 있음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고, 만약 상기 임계 거리를 초과하게 되면 반복적으로 점멸하도록 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통신 단말기(210)는 상기 대상 식별자와 통신을 위해 단순한 거리 감지 센서나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등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대상 식별자와 RFID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이와 같은 통신에 따라 각 해당 물품으로부터 상기 임계 거리 이상 이동되는지 판단을 위한 감지 신호가 상기 대상 식별자로부터 전달 되어 상기 근거리 통신부(360)에서 수신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근거리 통신부(360)에서 수신되는 해당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경보부(310)에서는 대상 식별자를 부착한 해당 물품으로부터 임계 거리 이상 이동되는 지 여부를 확인하여 해당 경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RFID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에, 한쪽은 RFID 태그를 구비하고 다른 한쪽은 RFID 판독기를 설치하여 상호 감지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감지의 정도에 따라 거리를 구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서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210)를 동작 과정의 단계에 따라 설명을 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통신 단말기(210)의 분실/도난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통신 단말기(210)는 기지국과 호 연결이 없는 대기 모드에 있을 수 있다(S510). 여기서, 분실/도난 방지를 위한 본 발명의 경보 방법이 대기 모드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대기 모드 이외의 모든 상태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화 중이나 데이터 서비스 이용 중에도 같은 경보 방법이 실현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통신 단말기(210)는 일정 물품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대상 식별자로부터 임계 거리 이상 이동 여부를 확인한다(S520). 이때, 통신 단말기(210)는 일정 물품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대상 식별자로부터 상기 임계치 이내의 거리가 유지되고 있는가에 대해 판단한다. 또한, 상기 대상 식별자들과 상기 통신 단말기(210)는 단순 거리 감지 센서, 근거리 통신, RFID 통신, 바코드 감지를 통한 통신을 수행하여 거리 감지를 위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통신 단말기(210)는 경보부(310)를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식별자로부터 임계 거리 이상 이동될 때 액티브되는 경보 신호를 발생한다(S530). 이에 따라, 상기 경보 신호의 액티브 시에 일정 출력 수단을 통하여 대상 식별자가 설치된 물품으로부터 임계 거리 이탈이 경보될 수 있다(S540).
즉, 상기 대상 식별자와 상기 통신 단말기(210)간의 거리가 지정된 임계 거리 이상 떨어지는 경우에 일정 경보가 출력될 수 있으며 상기 경보는 상기 통신 단말기(210)의 리소스를 활용하여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벨소리, 음악, 및 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소리 형태로 제공되거나 진동 모터를 작동시켜 출력된 진동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경보부(310)는 복수의 물품들에 부착된 대상 식별자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임계 거리 이상 떨어질 때 상기 경보 신호를 발생할 수도 있고, 이때에는 해당 대상 식별자 마다 서로 다른 형태의 경보 출 력을 통하여 상호간에 구분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보는 상기 제어부(320)에 의해 상기 경보음이 대상 식별자의 스피커 또는 상기 스피커(341)에서 출력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경보를 위한 방법으로, 상기 임계 거리 미만에 위치하는 경우에 파워 온(Power On)되는 발광 소자(343)를 이용할 수 있고, 이때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임계 거리를 넘으면 반복적으로 점멸되도록 하여 청각 장애인 등의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현재 상황을 판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어부(320)는 위와 같은 경보를 위한 다양한 출력 방법을 핫키에 의해 컨트롤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통신 단말기(210)와 연관하여 언급된 실시예들은 대상 식별자에 적용될 수 있고,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 5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분실 방지 알람 제공 방법에는 도 2 내지 도 4의 실시예들에서 언급한 상세한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실 방지 알람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는, 대상 식별자를 부착한 물 품들로부터 이탈되는 경우에 다양한 수단을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통신 단말기나 또는 물품들이 분실/도난되지 않도록 신속하게 알려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일정 물품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대상 식별자로부터 임계 거리 이상 이동되는지 여부에 따라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경보부; 및
    기지국과 호 연결을 제어하고, 상기 경보부에서 발생되는 상기 경보 신호를 체크하여 상기 경보 신호의 액티브 시에 출력 수단을 통하여 경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경보에 의하여 상기 대상 식별자가 설치된 물품으로부터 상기 임계 거리 이상 이탈되는지 여부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는 벨소리, 음악, 및 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는 진동 모터를 작동시켜 출력된 진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는 스피커의 최대 출력 레벨로 출력되는 소리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를 위한 별도의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경보 신호의 액티브 시에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출력 수단으로 전송하는 경보음원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부는 복수의 대상 식별자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임계 거리 이상 떨어질 때 상기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대상 식별자들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른 경보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거리 미만에 위치하는 경우에 파워 온(Power On)되는 발광 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거리를 넘으면 반복적으로 점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보 신호에 따라 상기 대상 식별자에 구비된 출력 장치에서 일정 경보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핫키 입력에 따라 상기 경보음의 종류가 선택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거리 이상 이동되는지 판단을 위한 신호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지그비(Zigbee), Wi-Fi(Wireless Fidelity), 홈 RF, 또는 UWB(Ultra Wide Band) 통신을 통하여 상기 대상 식별자로부터 전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거리 이상 이동되는지 판단을 위한 신호가 RFID 통신을 통하여 상 기 대상 식별자로부터 전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4.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단말기의 분실/도난을 방지하는 알람 방법에 있어서,
    일정 물품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대상 식별자로부터 임계 거리 이상 이동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식별자로부터 임계 거리 이상 이동되는지 여부에 따라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경보 신호의 액티브 시에 출력 수단을 통하여 대상 식별자가 설치된 물품으로부터 임계 거리 이탈을 경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분실/도난 방지 알람 방법.
  15. 제14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060004243A 2006-01-16 2006-01-16 분실/도난 방지를 위한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658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4243A KR100658199B1 (ko) 2006-01-16 2006-01-16 분실/도난 방지를 위한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4243A KR100658199B1 (ko) 2006-01-16 2006-01-16 분실/도난 방지를 위한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8199B1 true KR100658199B1 (ko) 2006-12-15

Family

ID=37733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4243A KR100658199B1 (ko) 2006-01-16 2006-01-16 분실/도난 방지를 위한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819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792B1 (ko) 2007-03-06 2008-06-19 선우정보기술(주) 지-웨이브시스템장착 분실도난방지장치와 이의 제작방법
KR100963786B1 (ko) * 2008-08-29 2010-06-14 타임시스템(주) 지그비 통신을 이용한 휴대품 분실 알림장치
KR20160000616A (ko) 2014-06-25 2016-01-05 공승빈 분실방지수신기 호출장치
KR101982417B1 (ko) 2017-12-08 2019-05-24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비콘을 활용한 촉각인지 방식의 사물지시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792B1 (ko) 2007-03-06 2008-06-19 선우정보기술(주) 지-웨이브시스템장착 분실도난방지장치와 이의 제작방법
KR100963786B1 (ko) * 2008-08-29 2010-06-14 타임시스템(주) 지그비 통신을 이용한 휴대품 분실 알림장치
KR20160000616A (ko) 2014-06-25 2016-01-05 공승빈 분실방지수신기 호출장치
KR101982417B1 (ko) 2017-12-08 2019-05-24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비콘을 활용한 촉각인지 방식의 사물지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2037B2 (en) Bluetooth assistant
US8045961B2 (en) Systems for wireless authentication based on bluetooth proximity
US8112066B2 (en) System for NFC authentication based on BLUETOOTH proximity
CN102768790B (zh) Nfc报警系统及方法
US9313313B2 (en) Proximity access and/or alarm apparatus
US8498618B2 (en) Systems for intelligent authentication based on proximity
US8750797B2 (en) Proximity access and alarm apparatus
US8115609B2 (en) Multi function bluetooth apparatus
US20090207014A1 (en) Systems for monitoring proximity to prevent loss or to assist recovery
CN101360306A (zh) 一种告警方法和系统
MXPA06012697A (es) Metodo y dispositivo para union por bluetooth.
US20080125040A1 (en) Location discovery using bluetooth
US8818335B2 (en) Device security
EP2053573A1 (en) Locating portable devices
CN101405777A (zh) 用于检测并指示移动设备之间的接近度的丢失的方法、系统及装置
JP2007019748A (ja) 携帯端末装置、認証制御方法及び認証制御プログラム
JP2007019719A (ja) 携帯端末装置、無線通信ユニット、および使用制限システム
KR100658199B1 (ko) 분실/도난 방지를 위한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70047125A (ko) 위험 상황을 통지하는 비상 경보 시스템 및 방법
WO2007143248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ual mode communications
JP4529893B2 (ja) 携帯装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WO20091241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the loss of property
CN107272985B (zh) 通知消息处理方法及相关产品
CN202711399U (zh) Nfc报警系统
CN202016521U (zh) 无线移动式实时防盗告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