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6746B1 - 발포체의 토출헤드 - Google Patents

발포체의 토출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6746B1
KR100656746B1 KR1020050034794A KR20050034794A KR100656746B1 KR 100656746 B1 KR100656746 B1 KR 100656746B1 KR 1020050034794 A KR1020050034794 A KR 1020050034794A KR 20050034794 A KR20050034794 A KR 20050034794A KR 100656746 B1 KR100656746 B1 KR 100656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arc
hole
connection member
annula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4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2401A (ko
Inventor
유상호
Original Assignee
(주)거창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거창기계 filed Critical (주)거창기계
Priority to KR1020050034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6746B1/ko
Publication of KR20060112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2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6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6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6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C44/46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n open space or onto moving surfaces, i.e. to make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4/461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n open space or onto moving surfaces, i.e. to make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dispensing apparatus, e.g. dispensing foaming resin over the whole width of the moving surface
    • B29C44/465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n open space or onto moving surfaces, i.e. to make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dispensing apparatus, e.g. dispensing foaming resin over the whole width of the moving surface with adjustable die g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1/00Handling, e.g. 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storage of plastics material before moulding; Automation, i.e. automated handling lines in plastics processing plants, e.g. using manipulators or robots
    • B29C31/04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moulded, e.g. into a mould cavity
    • B29C31/042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moulded, e.g. into a mould cavity using dispensing heads, e.g. extruders, placed over or apart from the moulds
    • B29C31/044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moulded, e.g. into a mould cavity using dispensing heads, e.g. extruders, placed over or apart from the moulds with moving heads for distributing liquid or viscous material into the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포체의 토출헤드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젤라틴 수성 수지가 통과하는 라인과 폴리올이 통과하는 라인과, 경화제인 엠디아이(MDI)가 통과하는 라인을 포함하는 라인조합부재와, 상기 라인조합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라인조합부재의 각 라인과 연통된 몸체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라인조합부재의 각 라인의 3종류 원료가 상호 만나서 하나의 통로로 유출되도록 통로부를 가지며, 상기 라인조합부재의 각 라인에서 제공되는 3종류 물질의 통과량을 조절하는 조절나사부를 포함하는 몸체부재와, 상기 몸체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재의 통로부와 연통되는 관통공을 가지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관통공과 연통되는 출구관통공을 가지는 토출부재를 포함하되, 유동되는 물질에 와류를 일으켜서 그 교반이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마련되며, 상기 몸체부재와 연결부재의 사이에 위치되는 제1환형공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로 2종류 이상의 원액을 혼합하여 발포할 수 있으며, 전기 모터 등을 이용하지 않고 원호를 이용한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저렴한 단가로 제조될 수 있으며, 3종류 발포체의 원액을 용이하게 교반시켜 그 발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발포체의 토출헤드{Injection head of for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체의 토출헤드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토출헤드의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토출헤드의 조절나사 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토출헤드의 각 구성부품을 분리한 정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토출헤드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라인조합부재 20. 몸체부재
30. 상부삽입부재 40. 상부연결부재
50. 중간삽입부재 60. 중간연결부재
70. 하부삽입부재 80. 하부연결부재
90. 토출부재 110. 제1원호
120. 제2원호 130. 제3원호
140. 제4원호 150. 제5원호
160. 제6원호 170. 제7원호
180. 제8원호
본 발명은 토출헤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 등의 층간소음재로 사용되는 발포체의 토출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원액을 분사시키는 장치도 고정식과 이동식 등 여러 가지가 있다.
그런데,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원액은 그 점도가 높고 반응성이 좋아서 쉽게 굳어져 버리는 특성 때문에 유동성이 아주 낮은 특징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우레탄 발포체를 토출시키는 종래의 토출헤드, 특히 이동식 토출헤드는 우레탄 발포체의 원액의 교반을 좋게 하기 위해서 별도의 소형인 전기 펌프 등이 필요하였다. 그러므로 그 장치가 복잡해지고 비용이 고가라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종래의 우레탄 발포체를 토출시키는 이동식 토출헤드는 서로 다른 종류의 원액 2가지를 혼합하여 토출시키는 것이 대부분으로서 3종류의 원액을 혼합하여 토출시키는 이동식 토출헤드는 없었다.
따라서, 이렇게 3종류의 원액을 혼합하여 토출시키는 이동식 토출헤드의 필요성은 있었으나 그러한 장치가 없어서, 이동식 폴리우레탄 토출헤드를 사용하여 발포체를 형성시키는 데는 사용상 여러 가지 제약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3종류의 원액을 혼합하여 발포체를 발포할 수 있으며, 전기 모터 등을 이용하지 않으므로 저렴한 단가로 제조될 수 있으며, 3종류 원액을 용이하게 교반시켜 그 발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발포체의 토출헤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포체의 토출헤드는 젤라틴 수성수지가 통과하는 라인과 폴리올이 통과하는 라인과, 경화제인 엠디아이(MDI)가 통과하는 라인을 포함하는 라인조합부재와, 상기 라인조합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라인조합부재의 각 라인과 연통된 몸체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라인조합부재의 각 라인이 상호 만나서 하나의 통로로 유출되도록 통로부를 가지며, 상기 라인조합부재의 각 라인에서 제공되는 물질의 통과량을 조절하는 조절나사부를 포함하는 몸체부재와, 상기 몸체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재의 통로부와 연통되는 관통공을 가지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관통공과 연통되는 출구관통공을 가지는 토출부재를 포함하되, 교반되는 물질에 와류를 일으켜서 그 교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마련되며, 상기 몸체부재와 연결부재의 사이에 위치되는 제1환형공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포체의 토출헤드의 상기 제1환형공간부재는, 상기 몸체부재의 상기 각 라인과 상기 통로부가 상호 만나는 지점에 마련된 원호형상을 가지는 제1원호와, 상기 제1원호와 대향되는 원호 형상을 가지는 제2원호가 그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에 삽입되는 상부삽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포체의 토출헤드는, 교반되는 물질에 와류를 일으켜서 그 교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마련되며, 상기 몸체부재와 연결부재의 사이에 위치되는 제2환형공간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몸체부재와 결합된 상부연결부재와,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결합된 중간연결부재와, 상기 중간연결부재와 결합된 하부연결부재로 구비되며, 상기 제2환형공간부재는, 상기 상부연결부재에 마련되며, 상기 제2원호와 반대되는 원호인 제3원호와, 상기 제3원호와 대향되는 원호인 제4원호를 가지며 상기 중간연결부재에 삽입되는 중간삽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포체의 토출헤드는, 교반되는 물질에 와류를 일으켜서 그 교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마련되며, 상기 몸체부재와 연결부재의 사이에 위치되는 제3환형공간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환형공간부재는, 상기 중간연결부재에 마련되며, 상기 제4원호와 반대되는 원호인 제5원호와, 상기 제5원호와 대향되는 원호인 제6원호를 가지며 상기 하부연결부재에 삽입되는 하부삽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포체의 토출헤드는, 교반되는 물질에 와류를 일으켜서 그 교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마련되며, 제4환형공간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4환형공간부재는, 상기 하부연결부재에 마련되며, 상기 제6원호와 반대되는 원호인 제7원호와, 상기 제7원호와 대향되는 원호인 제8원호를 가지며 상기 라인조합부재로부터 제공되는 물질을 토출하는 토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포체의 토출헤드의 상기 몸체부재는 상기 라인조합부재의 각 라인과 연통되는 구멍인 라인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라인관통공은 상기 몸체관통공과 연통되며, 상기 조절나사부는, 회전되는 손잡이에 의해서 회전되어 전진되어 상기 각 라인관통공을 막으며, 후퇴되어 상기 각 라인관통공을 개방시켜서 각 라인으로 교반되는 물질의 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포체의 토출헤드의 상기 라인조합부재에는, 세정액이 통과하는 라인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포체의 토출헤드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체의 토출헤드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체의 토출헤드의 분리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토출헤드의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분리사시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토출헤드의 조절나사 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토출헤드의 각 구성부품을 분리한 정면도를,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토출헤드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체의 토출헤드(500)는 라인조합부재(10)와, 몸체부재(20)와, 상부삽입부재(30)와, 상부연결부재(40)와, 중간삽입부재(50)와, 중간연결부재(60)와, 하부삽입부재(70)와, 하부연결부재(80)와, 토출부재(9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라인조합부재(10)는 천연단백질수성수지가 통과하는 제1라인(11)과, 폴 리올이 통과하는 제2라인(12)과 경화제인 엠디아이(MDI)가 통과하는 제3라인(13)과, 세정액이 통과하는 제4라인(14)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재(20)는 상기 라인조합부재(10)와 결합되며, 상기 라인조합부재(10)의 각 라인과 연통된 몸체관통공(21)을 가지며, 상기 라인조합부재(10)의 각 라인이 상호 만나서 하나의 통로로 유출되도록 통로부(22)를 가지며, 상기 라인조합부재(10)의 각 라인에서 제공되는 물질의 통과량을 조절하는 조절나사부(24)를 포함하며, 각 라인이 상호 만나는 지점은 제1원호(11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재(20)는 상기 라인조합부재(10)의 각 라인과 연통되는 구멍인 라인관통공(16)을 가지며, 상기 라인관통공(16)은 상기 몸체관통공(21)과 연통된다.
또한, 상기 조절나사부(2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되는 손잡이(25)에 의해서 회전되어 전진되어 상기 각 라인관통공(16)을 막으며, 후퇴되어 상기 각 라인관통공(16)을 개방시켜서 각 라인으로 유동되는 물질의 양을 조절한다. 미설명부호 26은 오링이다.
상기 상부삽입부재(30)는 상기 몸체부재(20)의 제1원호(110)와 대향되는 원호인 제2원호(120)를 가지며, 관통된 관통공(35)을 가진다.
상기 상부연결부재(40)는 상기 상부삽입부재(30)가 삽입되는 삽입홈(41)을 가지며, 상기 몸체부재(20)와 결합되며, 상기 제2원호(120)와 반대되는 원호인 제3원호(130)를 가지며, 그 중간부위는 관통된 관통공(45)을 가진다.
상기 중간삽입부재(50)는 상기 상부연결부재(40)의 제3원호(130)와 대향되는 원호인 제4원호(140)를 가지며, 관통된 관통공(55)을 가진다.
상기 중간연결부재(60)는 상기 중간삽입부재(50)가 삽입되는 삽입홈(61)을 가지며, 상기 상부연결부재(40)와 결합되며, 상기 제4원호(140)와 반대되는 원호인 제5원호(150)를 가지며, 그 중간부위는 관통된 관통공(65)을 가진다.
상기 하부삽입부재(70)는 상기 중간연결부재(60)의 제5원호(150)와 대향되는 원호인 제6원호(160)를 가지며, 관통된 관통공(75)을 가진다.
상기 하부연결부재(80)는 상기 하부삽입부재(70)가 삽입되는 삽입홈(81)을 가지며, 상기 중간연결부재(60)와 결합되며, 상기 제6원호(160)와 반대되는 원호인 제7원호(170)를 가지며, 관통된 관통공(85)을 가진다.
상기 토출부재(90)는 상기 하부연결부재(80)의 제7원호(170)와 대향되는 원호인 제8원호(180)를 가지며, 관통된 관통공(95)을 가지며, 상기 라인조합부재(10)로부터 제공되는 물질을 토출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체의 토출헤드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상기 손잡이(25)를 회전시켜 상기 제1라인(11)과 제2라인(12)과 제3라인(13)으로 물질이 유통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라인(11)으로는 천연단백질수성수지가 유동되며, 제2라인(12)으로는 폴리올이 유동되며, 제3라인(13)으로는 경화제인 엠디아이(MDI)가 유동된다.
이 때, 상기 손잡이(25)는 각 라인마다 설치되어 있으므로 각 라인으로 흐르는 물질의 양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유입된 각 물질은 상기 몸체부재(20)의 라인관통공(16)과 몸체관통공(21)을 통과하게 되며, 상기 몸체부재(20)의 통로부(22)에서 서로 혼합되게 된다.
이어서, 서로 혼합된 물질은 상기 몸체부재(20)와 상기 상부삽입부재(30)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어 와류를 일으킨다. 즉 상기 몸체부재(20)의 제1원호(110)와 상기 상부삽입부재(30)의 제2원호(120)가 서로 대향되게 되어 있으면서 그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공간 내에서 와류를 일으키면서 교반되기 쉽도록 되며, 또한 상기 상부삽입부재(30)의 제2원호(120)에 의해서 혼합물질이 상기 상부삽입부재(30)의 관통공(35)으로 유동되는 마찰력이 적으지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질(3)은 상기 상부연결부재(40)의 관통공(45)을 통과하게 되며, 상기 상부연결부재(40)의 끝단에 마련된 제3원호(130)와 상기 중간삽입부재(50)의 제4원호(140)가 이루는 공간에 수용되어 다시 와류를 일으키게 된다. 동일하게 상기 와류에 의해서 그 교반이 용이해진 혼합물질(3)은 상기 중간삽입부재(50)의 관통공(55)을 지나 상기 중간연결부재(60)의 관통공(65)을 통과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질(3)은 상기 중간연결부재(60)의 끝단에 마련된 제5원호(150)와 상기 하부삽입부재(70)의 제6원호(160)가 이루는 공간에 수용되어 다시 와류를 일으키면서 그 유동이 용이하게 되어 상기 하부삽입부재(70)의 관통공(75)을 지나 상기 하부연결부재(80)의 관통공(85)을 통과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질(3)은 상기 하부연결부재(80)의 끝단에 마련된 제7원호(170)와 상기 토출부재(90)의 제8원호(180) 사이의 공간에서 와류를 일으키며 그 교반이 용이하게 되어 상기 토출부재(90)의 관통공(95)을 지나서 최종적으로 토출 이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와류를 이용하여 혼합물질(3)의 교반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므로 별도의 모터 등이 필요가 없는 것이다.
이어서, 혼합물질(30)을 유출시켜 발포를 시킬 필요가 없을 시에는 상기 손잡이(25)를 역회전시켜 각 라인의 물질이 상기 몸체부재(20) 내로 유입되지 않게 하면 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재(20) 내부와 각 관통공들을 깨끗하게 세정시킬 필요가 있을 시에는 상기 제4라인(14)을 통하여 세정액을 분무하면 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25)와 상기 몸체부재(20)가 만나는 지점에 눈금을 표시하여 상기 손잡이(25)가 회전되는 양을 표시하도록 하여도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포체의 토출헤드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 3종류의 원액을 혼합하여 폴리우레탄을 발포할 수 있으며, 전기 모터 등을 이용하지 않고 원호의 형상을 이용하여 구조적인 특징을 활용함으로써 저렴한 단가로 제조될 수 있으며, 3종류의 발포체 원액을 용이하게 교반시켜 그 발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젤라틴 수성수지가 통과하는 라인과 폴리올이 통과하는 라인과, 경화제인 엠디아이(MDI)가 통과하는 라인을 포함하는 라인조합부재;
    상기 라인조합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라인조합부재의 각 라인과 연통된 몸체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라인조합부재의 각 라인이 상호 만나서 하나의 통로로 유출되도록 통로부를 가지며, 상기 라인조합부재의 각 라인에서 제공되는 물질의 통과량을 조절하는 조절나사부를 포함하는 몸체부재;
    상기 몸체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재의 통로부와 연통되는 관통공을 가지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관통공과 연통되는 출구관통공을 가지는 토출부재;를 포함하되,
    유동되는 물질에 와류를 일으켜서 그 교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마련되며, 상기 몸체부재와 연결부재의 사이에 위치되는 제1환형공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체의 토출헤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환형공간부재는,
    상기 몸체부재의 상기 각 라인과 상기 통로부가 상호 만나는 지점에 마련된 원호형상을 가지는 제1원호와,
    상기 제1원호와 대향되는 원호 형상을 가지는 제2원호가 그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에 삽입되는 상부삽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체의 토출헤드.
  3. 제 1 항에 있어서,
    교반되는 물질에 와류를 일으켜서 그 교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마련되며, 상기 몸체부재와 연결부재의 사이에 위치되는 제2환형공간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몸체부재와 결합된 상부연결부재와,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결합된 중간연결부재와, 상기 중간연결부재와 결합된 하부연결부재로 구비되며,
    상기 제2환형공간부재는,
    상기 상부연결부재에 마련되며, 상기 제2원호와 반대되는 원호인 제3원호와,
    상기 제3원호와 대향되는 원호인 제4원호를 가지며 상기 중간연결부재에 삽입되는 중간삽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체의 토출헤드.
  4. 제 1 항에 있어서,
    교반되는 물질에 와류를 일으켜서 그 교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마련되며, 상기 몸체부재와 연결부재의 사이에 위치되는 제3환형공간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환형공간부재는,
    상기 중간연결부재에 마련되며, 상기 제4원호와 반대되는 원호인 제5원호와,
    상기 제5원호와 대향되는 원호인 제6원호를 가지며 상기 하부연결부재에 삽입되는 하부삽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체의 토출헤드.
  5. 제 1 항에 있어서,
    교반되는 물질에 와류를 일으켜서 그 교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마련되며, 제4환형공간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4환형공간부재는,
    상기 하부연결부재에 마련되며, 상기 제6원호와 반대되는 원호인 제7원호와,
    상기 제7원호와 대향되는 원호인 제8원호를 가지며 상기 라인조합부재로부터 제공되는 물질을 토출하는 토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체의 토출헤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재는 상기 라인조합부재의 각 라인과 연통되는 구멍인 라인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라인관통공은 상기 몸체관통공과 연통되며,
    상기 조절나사부는,
    회전되는 손잡이에 의해서 회전되어 전진되어 상기 각 라인관통공을 막으며, 후퇴되어 상기 각 라인관통공을 개방시켜서 각 라인으로 유동되는 물질의 양을 조 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체의 토출헤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조합부재에는,
    세정액이 통과하는 라인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체의 토출헤드.
KR1020050034794A 2005-04-27 2005-04-27 발포체의 토출헤드 KR100656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794A KR100656746B1 (ko) 2005-04-27 2005-04-27 발포체의 토출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794A KR100656746B1 (ko) 2005-04-27 2005-04-27 발포체의 토출헤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401A KR20060112401A (ko) 2006-11-01
KR100656746B1 true KR100656746B1 (ko) 2006-12-13

Family

ID=37620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4794A KR100656746B1 (ko) 2005-04-27 2005-04-27 발포체의 토출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67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264B1 (ko) 2007-10-11 2008-03-03 (주)거창기계 2액형 스프레이 머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833B1 (ko) * 2007-12-21 2009-10-01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디스플레이 제조용 원액 혼합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4457A (ja) 2001-09-20 2003-04-03 Toyo Tire & Rubber Co Ltd 樹脂発泡体原液吐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4457A (ja) 2001-09-20 2003-04-03 Toyo Tire & Rubber Co Ltd 樹脂発泡体原液吐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264B1 (ko) 2007-10-11 2008-03-03 (주)거창기계 2액형 스프레이 머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401A (ko) 2006-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341041A1 (en) Static mixer
WO2009083909A3 (en) Ultrasonic treatment chamber for preparing antimicrobial formulations
US4263166A (en) Spray foam insulation gun
US20090201761A1 (en) Swirling flow producing apparatus, method of producing swirling flow, vapor phase generating apparatus, microbubble generating apparatus, fluid mixed and fluid injection nozzle
EP1637302A4 (en) MIXER, MIXING METHOD AND PROCESS FOR PRODUCING GYPSUM PLATE
KR100656746B1 (ko) 발포체의 토출헤드
JP2008114151A (ja) 流体混合器及び混合要素部材
US3801018A (en) Shower head
US20080310253A1 (en) Multi-component mixing apparatus
US20110139283A1 (en) Jet Regulator and Sanitary Water Outlet
WO2003053494A3 (en) Creation and agitation of multi-component fluids in injection systems
CN102500256A (zh) 旋转式喷射混合器
WO2008143139A1 (ja) インラインミキサー構造
KR101701197B1 (ko) 발포소재 믹싱헤드
JP5302561B2 (ja) 多液塗装用塗料供給装置の混合装置
JP2005349821A (ja) 複数成分ミキシングヘッド
CN211329084U (zh) 一种破乳剂稀释装置
MXPA04005924A (es) Cabeza mezcladora con cabeza triinclinable.
JP2001321701A (ja) スプレーガン
KR20150029352A (ko) 다이나믹 믹서가 적용된 폴리우레탄폼 발포장치
JP2005246167A (ja) 多液混合装置
JP6345923B2 (ja) ペースト混合器及びディスペンサ
US20150375182A1 (en) Collider Mixer
JP2010149009A (ja) 多液混合装置
JP2009096822A (ja) 二液混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