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5211B1 - 알람모드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 알람 방법 - Google Patents

알람모드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 알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5211B1
KR100655211B1 KR1020050044379A KR20050044379A KR100655211B1 KR 100655211 B1 KR100655211 B1 KR 100655211B1 KR 1020050044379 A KR1020050044379 A KR 1020050044379A KR 20050044379 A KR20050044379 A KR 20050044379A KR 100655211 B1 KR100655211 B1 KR 100655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delay time
portable terminal
presen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4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4837A (ko
Inventor
최지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4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5211B1/ko
Publication of KR20060124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4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5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5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람모드를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에 알람 방법에 관한 것으로, 알람신호 출력 후 지연시간 설정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지연시간 설정을 결정한 경우에 지연시간을 입력하여, 입력한 상기 지연시간 만큼 지연하여 상기 알람신호를 다시 출력하게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지연시간 입력에 사용하는 키패드를 포함하는 알람모드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사용한 알람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알람, 휴대용 단말기, 모닝 콜

Description

알람모드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 알람 방법{Portable terminal with alarm mode and alarm method thereof}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된 알람모드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 및,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지연시간 설정이 가능한 알람모드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이다.
본 발명은 알람모드를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에 알람 방법에 관한 것으로, 알람신호 출력 후 지연시간 설정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지연시간 설정을 결정한 경우에 지연시간을 입력하여, 입력한 상기 지연시간 만큼 지연하여 상기 알람신호를 다시 출력하게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지연시간 입력에 사용하는 키패드를 포함하는 알람모드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사용한 알람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단말기의 급격한 발달에 따라 특히 무선 음성 통화 및 정보 교환이 가능한 휴대폰은 필수품이 되었다.
휴대용 단말기 초기에는 단순히 휴대할 수 있고, 무선 통화가 가능한 것으로 인식되었으나, 그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그리고 휴대할 수 있다는 특성에 따라 개인 정보를 저장하는 등과 같은 여러 가지 기능이 추가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전자수첩으로 사용하거나 알람시계 기능을 가진 것이 그것이다.
특히, 여행, 출장 등과 같이 주거지를 떠나 다른 곳에 기거하게 되는 경우에는 알람시계가 없기 때문에 휴대용 단말기를 그 대용으로 사용하게 되고, 심지어는 주거지에서도 알람시계 대신 휴대용 단말기를 알람시계 대용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기능은 통상적으로 일정한 시간을 설정하여 일정한 멜로디 또는 벨소리를 출력한다. 이러한 경우에, 알람소리에 사용자가 기상하게 되더라도 휴대폰을 조작하여 알람소리를 해제시키고 취침을 계속하게 되면 더 이상 휴대폰에서의 알람기능은 계속되지 않기 때문에 알람기능 본래의 목적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으로 스누지 알람이 있다. 스누지 알람이라 함은 알람을 해지 하기 전까지 미리 정한 일정간격으로 계속해서 울리는 알람을 뜻한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스누지 알람은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만 알람이 울림으로써 매일 변하는, 그 날의 컨디션이나 개인 스케줄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가 없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에 있어, 지연시간 설정이 가능한 알람모드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방법에 있어, 지연시간 설정이 가능한 알람모드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알람신호 출력 후 지연시간 설정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지연시간 설정을 결정한 경우에 지연시간을 입력하여, 입력한 상기 지연시간 만큼 지연하여 상기 알람신호를 다시 출력하게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지연시간 입력에 사용하는 키패드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 방법에 있어서, 알람신호를 출력하는 알람 출력단계, 상기 알람 출격 단계 후 지연시간 설정여부를 결정하는 지연시간 결정 단계, 상기 지연시간 결정단계에서 상기 지연시간 설정을 결정하는 경우에 지연시간을 입력하는 지연시간 입력단계; 및, 상기 지연시간 입력단계에서 입력한 상기 지연시간 만큼 지연하여 상기 알람신호를 다시 출력하는 설정 알람 출력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 방법을 제공한다.
이외에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위의 실시 예들의 변경, 구성요 소의 추가 등이 가능하다. 또한 다른 실시 예들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알람모드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알람모드에서 알람시 재알람을 위한 지연시간을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아래에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된 알람모드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를 참조하면, 알람모드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100), 표시부(102), 키패드(104), 메모리(106), 통신부(108), 안테나(110), 코덱(112), 마이크(114) 및 스피커(116)를 포함한다.
제어부(100)는 알림모드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알림 모드에서 알람출력시 지연시간을 입력받아 입력받은 지연시간만큼 지연하여 다시 알람신호를 출력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통상적인 제어부(100)의 처리 및 제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표시부(102)는 상기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또는 인디케이터), 제한된 숫자와 문자들, 동화상(moving picture) 및 정화상(still picture)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표시부(102)는 칼라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다.
키패드(key pad)(104)는 0∼9의 숫자키들과, 메뉴키(menu), 취소키(지움), 확인키, 통화키(TALK), 종료키(END), 인터넷 접속키, 네비게이션 키들(▲/▼/◀/▶) 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메모리(106)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동작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고, 저장용 데이터(전화번호, SMS 메시지, 화상 데이터 등)를 저장한다.
통신부(108)는 수신할 때는 안테나(110)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주파수 하강시켜 수신신호를 역확산(despreading) 및 채널복호(channel decoding)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송신할 때는 데이터를 채널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하고 주파수 상승시켜 안테나(110)를 통해 송신한다. 또한 수신하는 파일롯 채널을 통해 기지국 식별번호를 수신한다.수신신호를 역확산(despreading) 및 채널복호(channel decod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100)에 연결된 오디오 코덱(CODEC : Coder-Decoder)(112)과, 코덱(112)에 접속된 마이크(114) 및 스피커(116)는 음성 통화에 사용되는 음성 입출력 블록이다. 코덱(112)은 제어부(100)에서 제공되는 PCM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 성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116)를 통해 송출하고, 상기 마이크(114)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PCM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알람모드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 방법을 아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지연시간 설정이 가능한 알람모드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이다.
200단계에서 현재 시간이 미리 정한 알람시간인지 확인한다.
상기 200단계에서 현재시간이 알람시간이면, 202단계에서 알람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202단계에서 알람신호가 출력되면, 204단계에서 알람 해제 여부를 결정하고 해제로 결정되면 종료한다.
상기 204단계에서 알람을 해제 하지 않으면, 206단계에서 다음 알람신호를 출력할 때까지의 지연시간을 설정한다.
상기 206단계에서 설정한 지연시간 만큼, 208단계에서 대기하고, 202단계로 돌아간다.
또한, 상기 206단계에서 지연시간을 설정하지 않으면, 210단계에서 미리 정한 일정시간 만큼 대기하고, 202단계로 돌아간다.
상기 206단계에서 설정하는 지연시간은 키패드(104)의 키버튼으로 눌러 지 연하고자 하는 시간을 입력한다. 예를 들어 5분이면 5의 키버튼을, 15분이면 1과 5의 키버튼을 눌러 입력한다.
또한 상기 206단계에서 지연시간을 설정하는 다른 방법으로 키패드의 숫자 키버튼이 눌려지면 해당숫자에 미리 정한 일정시간을 곱하여 지연시간으로 설정하는 방법, 키패드의 숫자 키버튼에 대응하는 미리 정한 일정시간을 지연시간으로 설정하는 방법, 키패드의 특정키를 반복해서 누름으로 누른 횟수에 미리 정한 일정시간을 곱하여 지연시간으로 설정하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지연시간 설정을 단순화 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은 알람신호 출력 후 지연시간 설정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지연시간 설정을 결정한 경우에 지연시간을 입력하여, 입력한 상기 지연시간 만큼 지연하여 상기 알람신호를 다시 출력하게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지연시간 입력에 사용하는 키패드를 포함하는 알람모드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사용한 알람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의 사용자가 하나의 알람만 설정함으로 다수의 알람을 설정한 효과를 주며, 재알람을 울리는 지연시간을 능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한다.

Claims (6)

  1.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알람신호를 출력할 때 지연시간을 입력받으면, 입력받은 상기 지연시간만큼 지연하여 상기 알람신호를 다시 출력하게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지연시간 입력에 사용하는 키패드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기설정된 각각의 상기 지연시간을 가지는 키 버튼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4.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 방법에 있어서,
    알람신호를 출력하는 알람 출력단계;
    상기 알람 출격 단계 후 지연시간을 입력받는 지연시간 입력단계; 및
    상기 지연시간 입력단계에서 입력받은 상기 지연시간만큼 지연하여 상기 알람신호를 다시 출력하는 설정 알람 출력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 방법.
  5. 삭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시간 입력단계는,
    기설정된 각각의 상기 지연시간을 가지는 키 버튼의 키 입력을 통해 입력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방법.
KR1020050044379A 2005-05-26 2005-05-26 알람모드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 알람 방법 KR100655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379A KR100655211B1 (ko) 2005-05-26 2005-05-26 알람모드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 알람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379A KR100655211B1 (ko) 2005-05-26 2005-05-26 알람모드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 알람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4837A KR20060124837A (ko) 2006-12-06
KR100655211B1 true KR100655211B1 (ko) 2006-12-11

Family

ID=37729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4379A KR100655211B1 (ko) 2005-05-26 2005-05-26 알람모드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 알람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521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4837A (ko) 2006-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7135B1 (ko) 동작 감지를 이용하여 알람 제어를 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방법
KR100381137B1 (ko) 전화기에서 특정일 알림방법
US7415293B1 (en) Method for saving battery power consumption by controlling the display of a portable telephone
KR100424469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음성 알람 장치 및 방법
KR20050023822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저전력모드 수행 방법
KR100655211B1 (ko) 알람모드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 알람 방법
US2008006438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enabling cell phone ringing or beeping
KR10119637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 방법
KR10067948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타이머를 이용한 자동 설정 변경 방법
GB2340338A (en) A telephone arranged to generate a waiting message
KR10078565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화번호부를 이용한 모닝콜 작동방법
KR20060135413A (ko)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 방법
KR20030041567A (ko) 휴대폰의 스누즈 알람방법
KR100584362B1 (ko)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수신상태 뮤트방법
KR100539155B1 (ko) 다음 알람 해제 방법
KR100827084B1 (ko) 매너모드에서 알람모드로 자동으로 전환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방법
KR100776305B1 (ko) 휴대 단말기의 취침 모드 제어 방법
KR10077097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착신모드를 자동으로 변경하기 위한방법
KR101067713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모닝콜 발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KR2002005677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 및 단축키를 이용한 모드전환방법
KR20070067342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취침 모드 진행시 수신정보 알림방법
KR20060033055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자동으로 알림모드를 변경하기 위한방법
KR100604600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알람 방법
JP2001274871A (ja) 携帯通信装置
KR10067803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자동 응답 기능 수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