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4260B1 - 멤버쉽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멤버쉽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4260B1
KR100654260B1 KR1020050110665A KR20050110665A KR100654260B1 KR 100654260 B1 KR100654260 B1 KR 100654260B1 KR 1020050110665 A KR1020050110665 A KR 1020050110665A KR 20050110665 A KR20050110665 A KR 20050110665A KR 100654260 B1 KR100654260 B1 KR 100654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membership
information
module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0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환
김유희
Original Assignee
황인환
김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인환, 김유희 filed Critical 황인환
Priority to KR1020050110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42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4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426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멤버쉽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객체 개념을 도입하여 1개 이상의 멤버쉽 카드 사용자나 멤버쉽을 필요로 하는 사용자들이 다양한 서비스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도록 멤버쉽 카드 명칭이나 방문 장소, 가상공간과 관련 콘텐츠를 객체로 표현하고 사용자가 희망하는 객체를 구성하여 이러한 객체 공간에서 사용자는 희망하는 콘텐츠를 간편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용도와 목적에 맞게 서비스를 제공받고, 접근성이 용이한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멤버쉽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객체를 직접 선택하여 객체의 위치 정보를 서비스 제공자에게 제공하는 방식으로 개인적 사생활이 침해되지 않는 범위에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멤버쉽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부담이 되는 통신료 문제를 위해 웹 페이지에서 객체 공간 구성이 가능하며, 패킷 접속 이외에 대기상태에서 데이터버스트 메시지 내에 서비스를 위한 특정 플래그를 포함시켜 변경된 데이터를 구분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한 멤버쉽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멤버쉽 서비스, 멤버쉽 카드, 콘텐츠, 객체지향 개념, 객체관계형

Description

멤버쉽 서비스 시스템{Membership Service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멤버쉽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멤버쉽 서비스 시스템에 의한 멤버 서비스 등록의 실시예에 대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멤버쉽 서비스 시스템에 의한 객체 단위 관계 구조에 대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멤버쉽 서비스 시스템에 의한 객체 관계의 메쉬구조에 대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멤버쉽 서비스 시스템에 의한 위치정보 서비스에 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멤버쉽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람들의 실생활에서 주로 활동하는 영역이나 사이버공간(Cyberspace)에서 멤버쉽 카드(membership card), 소지자나 멤버쉽회원이 요구하는 각종 멤버쉽 서비스(membership service)의 종류와 내용을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하여 멤버쉽 서비스 지역에서 다양한 서비스 혜택 및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멤버쉽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멤버쉽 서비스는 각종 멤버쉽 카드 소지자나 회원에게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에게 멤버쉽 가맹점, 제휴업체, 별도의 서비스 지역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쉽고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사, 신용카드회사, 대형쇼핑몰 또는 대형할인마트 등에서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점차 서비스 업체와 콘텐츠 분야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멤버쉽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멤버쉽 서비스 카드는 이동통신사, 금융업체, 쇼핑몰이나 백화점 또는 패밀리 레스토랑 등 폭 넓은 분야에서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사의 멤버쉽 카드는 SKT의 리더스 클럽, TTL 등의 멤버쉽 카드, LGT의 카이, 패밀리 카드, KTF는 비기, 나크로스 등이 있고 금융업체의 멤버쉽 카드는 LG 빅패밀리 카드, 조흥은행 다음 세이버 카드, 롯데카드, 현대 M카드, 기타 증권 서비스 카드 등이 있으며, 쇼핑몰이나 백화점은 E마트, 롯데 백화점, 현대백화점, 까르프 등이 멤버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카드를 사용하고 있고, 이외에도 T.G.I 프라이데이스, 아웃백 스테이크 하우스 등의 패밀리 레스토랑에서도 멤버쉽 서비스를 고객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멤버쉽 카드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회원 서비스의 종류로는 포탈사이트나 방송국 사이트에서 부가 서비스 회원으로 가입하여 VOD나 MP3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정액제로 사용하거나, 여행 사, 전시관, 화랑, 문화센터, 스포츠 센터, 대형 서점 등에 회원으로 가입하여 다양한 행사 정보 및 할인 혜택을 받거나, 자동차 보험, 영화관, 미술관 등에서 오토카 서비스를 받거나, 예정 영화 소개, 화보 소개 등의 정보를 얻는 것 등이 있었다.
이외에 유사한 서비스로 여가나 취미 생활을 통한 동호회나 써클, 게임 길드, 지역모임 등에 참가형 회원간에 친목 및 정보 교류를 받는 것 등이 있었다.
예를 들면, 등산, 낚시, 스키, 수영, 바둑, 음악, 게임 등의 동호회에 가입하여 친목을 쌓거나 정보를 교류하는 것이 있었다.
주로 이러한 멤버쉽 서비스는 고객에게 할인 및 이벤트 행사, 포인트나 마일리지 적립, 쿠폰, 에프터 서비스 등의 혜택이 제공되며, 회원 등급이나 특별 고객에 대한 우대 서비스 혜택의 방문 횟수나 유효기간이나 시간대별 할인 범위 설정 등 고객 확보를 위한 다양한 마케팅 방법과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멤버쉽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는 첫째, 멤버쉽 서비스 내용을 인터넷 환경에서 검색하는 것으로 카드사나 관련업체의 홈페이지 또는 대형 포탈사이트를 방문하고, 검색하여, 서비스 유형, 서비스 지역 또는 다양한 이벤트나 행사 등의 카테고리를 선택하여 콘텐츠 정보를 얻는 방법, 두 번째, 카드나 통신 요금결재 등의 우편이 배달될 때, 우편물과 함께 전단지 형태로 포함되어 서비스 내용을 전달하는 방법, 세 번째로 멤버쉽 서비스 방문 장소나 공공장소에 배치된 안내판이나 광고 문구 또는 책자로 홍보하는 방법, 마지막으로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주변 지역 정보를 검색하여 교통, 주차장, 기상, 맛집 등 위치 정보와 그 밖에 사용 자가 선택한 실시간 뉴스 정보, 기상 예보, 오늘의 화제, 증권 정보, 스포츠 소식 또는 연예속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 등이 있다.
상술한 다양한 멤버쉽 서비스 제공 방법 중 하나인 이동통신기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하는 방법은 이미 구성된 콘텐츠 카테고리 범위에서 사용자가 희망하는 정보를 선택하는 브라우징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브라우징 접근 방식은 사용자가 콘텐츠에 접근하는 방법에 문제로 인하여 시간적 소비에 대한 부담을 요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정 웹사이트를 검색하거나 서비스 장소에 배치된 안내판으로 정보를 얻어 사용자에게 꼭 필요한 멤버쉽 정보만을 보다 쉽게 얻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이를 보완하여 콘텐츠 카테고리 범위에서 사용자 요구에 의한 맞춤형 정보만을 단문 문자 메시지(SMS:Short Message Service)로 정보를 전송하는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또한, 증권속보, 교통정보, 날씨 정보가 주기적 또는 순차적으로 휴대폰 화면에 텍스트 형태로 제공되었다.
최근에는 기존의 셀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응용한 방송형 콘텐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었다.
이는 휴대용 단말기가 통화 상태가 아닌 상태(대기상태)에서 기존의 유선 포탈사이트의 콘텐츠 정보를 축소한 형태나 증권, 날씨, 교통 정보 등 고객 맞춤형을 목적으로 하는 애플릿을 다운로드 받아 대기 화면(대기상태의 화면)에서 실행하면 10분이나 20분 등의 주기적 시간 간격마다 콘텐츠 정보가 갱신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새로운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무선 인터넷 웹 페이지에 접속하는 방식에는 카테고리를 검색하는 브라우징 방식, 문자 메시지나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고하는 팝업 방식, 사용자가 필요할 때마다 애플릿을 실행하는 애플릿 선택 방식, 별도의 휴대폰 조작 없이 대기화면에 주기적으로 정보가 갱신되는 다이나믹 대기화면 방식으로 분류된다.
그러나, 상술한 방식을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경우, 위치 정보 서비스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문제에 따른 법적인 제약 사항과 사용자 측면에서 과도한 패킷 사용에 따른 비용은 사용자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생활에서 주로 활동하는 영역이나 가상공간에서 멤버쉽 카드의 소지자나 멤버쉽 회원이 요구하는 각종 멤버쉽 서비스의 종류와 내용을 회원이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멤버쉽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멤버쉽 서비스를 포함하여 기존의 여행, 쇼핑, 예술, 문화, 레저, 스포츠, 오락 등 각종 행사나 공연 일정, 맵 정보와 이벤트 등 관련 카테고리를 법인이나 단체 또는 개인에게 사용자 클라이언트 환경으로 특정 공간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특정 공간에 각종 정보를 등록하고 공유하는 커뮤니 티 환경을 제공하는 멤버쉽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멤버쉽 카드 소지자에게 서비스 지역의 방문 시간과 서비스 종류에 따라 고객 카드의 목적과 용도에 맞는 각종 혜택 및 이벤트, 정보 알림 기능, 상품 또는 지식 정보 검색, 포인트 정산 알림, 자기 위치 알림 또는 해당지역 정보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멤버쉽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멤버쉽 서비스 지역의 위치정보 서비스를 개인의 프라이버시 보호 등 위치정보 보호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의 법적인 제약부분을 침해하지 않도록 사용자가 직접 위치 정보를 제공하거나 위치를 선택하여 기존 방식과 다른 사용자 선택형 위치 정보 서비스 방식의 멤버쉽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언제 어디서나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 항목을 추가 또는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고 웹 환경에서도 데이터의 공유 및 동기화를 제공하며, 서비스를 위한 관련 데이터를 휴대용 단말기인 경우 대기 상태에서도 처리하도록 하여 인터넷 정보 서비스의 과도한 패킷 사용료를 절감하고 사용자의 인터넷 서비스 사용량을 증가하도록 하는 멤버쉽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멤버쉽 서비스 시스템은, 유무선 인터넷 환경에서 멤버쉽 카드 소지자나 회원에게 시간과 장소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 정보와 혜택을 제공하는 멤버쉽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컨텐츠, 서비스 및 고객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는 내용을 관리하고, 멤버쉽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동통신망과 유선망의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하는 관리서버, 객체지향 개념을 도입하여 멤버쉽 카드나 가맹점, 제휴업체, 이외의 서비스 지역과 게시판이나 커뮤니티 공간 및 폰북, SMS, 사진, 동영상을 포함하는 개인용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휴대용 단말기나 웹 페이지에서의 객체로 표현하고, 상기 객체를 임의로 추가 또는 변경하여 원하는 객체로 이루어진 별도의 객체 공간을 구성하고 관리하는 객체 생성 도구자, 상기 객체 생성 도구자를 통해 구성된 객체 및 객체 공간을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객체 공간의 상하위 계층적 관계 구조인 스키마를 관리하는 객체 관리자, 상기 이동통신망 및 유선망을 통한 객체 공간으로의 접근을 허용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의 제공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이 활성화 되도록 조절하는 객체 제어자, 휴대용 단말기나 웹 페이지에서 원하는 멤버쉽 서비스를 선택하여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가 제공받도록 하는 객체 접속 실행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객체 생성 도구자는, 상기 객체 및 상기 객체와 객체 공간 간의 관계 또는 객체와 객체와의 관계를 단순한 아이콘, 텍스트, 맵, 리스트 또는 트리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객체 생성 도구자는, 상기 객체를 임의로 추가 또는 변경하여 구성된 객체 공간에서 특정 객체를 선택했을 때, 상기 선택된 특정 객체와 관련된 모든 객체를 연결해주며, 상기 객체 사이의 상하관계도 함께 표시하여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객체 관리자는, 상기 객체 생성 도구자가 상기 객체 공간을 구성할 수 있도록 상기 객체와 객체 공간간의 관계 및 상기 객체와 객체 사이에 대한 구조 정보를 상기 객체 생성 도구자에 제공하며, 상기 객체 공간에서 특정 객체를 선택했을 시 상기 선택된 특정 객체와 관련된 서비스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상기 객체 생성 도구자에게 제공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객체 관리자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객체 및 객체 공간을 상기 객체 제어자에게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객체 관리자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고객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고객 정보를 상기 객체 제어자 및 객체 접속 실행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객체 관리자는, 객체명, 객체 아이디, 객체 속성에 관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객체 관리 모듈, 상기 객체 생성 도구자가 상기 객체 및 객체 공간을 단순한 아이콘, 텍스트, 맵, 리스트 또는 트리 형태로 디스플레이하여 화면상에 표현하도록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 휴대용 단말기 또는 유선 단말기로 제공받은 서비스에 대한 콘텐츠를 웹페이지에서 마킹 업 모드로 설정 후, 개인용 컴퓨터를 포함한 단말기에서 설정된 링크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마킹 업 모듈, 상기 객체 제어자의 데이터 전송, 공유 및 트랜젝션이 가능하도록 상기 객체 공간에 객체의 추가 또는 삭제에 의한 데이터 변경이 발생할 때마다 상기 변경된 정보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객체 제어자에게 제공하는 플래그 모듈, 상기 객체 제어자가 제공하는 위치 정보 제공에 대한 서비스에 대해 위치 정보가 자동으로 상기 관리서버에 제공되도록 하는 제1 위치정보제공모듈 및 상기 객체 제어자가 제공하는 위치 정보 제공에 대한 서비스에 대해 위치 정보가 임의로 정한 기간에 제공되거나, 임의로 선택한 기간에 제공되는 제2 위치정보제공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객체 관리자는, 상기 객체 공간에서 특정 객체를 선택했을 시 상기 객체 생성 도구자에 의해 상기 객체 공간에 등록되지 않은 객체를 자동으로 검색하고 연결하여, 상기 미 등록 된 객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객체 제어자는, 개인 또는 기업 고객이 상기 관리서버에 접속을 요청할 경우 상기 고객의 접근 허용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개인 고객의 누적 포인트 또는 회원 서비스 등급을 포함하는 일반 고객 정보를 해당 서비스 업체에 요청하여 상기 개인 고객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객체 제어자는, 무선랜, 블루투스, 지그비 또는 RFID를 포함하는 위치측위 장치를 사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위치측위모듈 및 상기 위치측위모듈로부터 위치정보를 전송받고, 고객이 위치 정보 기반형 멤버쉽 서비스를 원할 경우, 상기 위치측위모듈로부터 얻은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위치 정보를 토대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측위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객체 제어자는, 휴대용 단말기가 서비스 지역에 위치하게 되면, 셀아이디 또는 GPS 방식에 의해 상기 위치 측위 서버로부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얻거나 상기 위치측위모듈로부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얻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위치한 곳을 토대로 해당 위치와 관련된 서비스를 자동으로 알려주는 자동알림모듈 및 상기 위치측위모듈로부터 얻은 위치 정보를 자동으로 상기 위치측위서버에 전송되도록 하지 않고, 주기적 또는 위치정보를 전송하지 않도록 하여, 고객이 임의의 시간에 직접 위치정보 상기 위치측위서버에 제공하도록 하는 위치정보전송모듈, 고객이 구성한 객체 공간에서 직접 객체를 선택하여 객체에 해당되는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인 사용자 선택 위치 알림 모듈; 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객체 제어자는, 상기 객체 공간을 구성하는 객체는 유무선 환경에서 생성, 추가, 변경 및 제거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객체 제어자는, 상기 객체 공간에 객체의 생성, 추가, 변경 및 제거에 의한 데이터 변경이 발생할 때마다 대기상태에서 데이터버스트 메시지 내에 특정 플래그를 포함시켜 변경된 데이터를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객체 접속 실행자는, 무선 프로토콜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프로토콜 모듈, 데이터버스트 메시지를 송수신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모듈, 왑 접속 및 브라우징 또는 패킷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휴대용 단말기나 웹 페이지에서 보여지는 메뉴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은, 상기 객체 공간에 객체의 생성, 추가, 변경 및 제거에 의한 데이터 변경이 발생할 때 대기화면의 일측에 아이콘을 포함하는 시각적인 효과를 주어 데이터의 변경을 알려주고, 상기 객체 접속 실행자를 통하여 서비스에 연결시 변경된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멤버쉽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멤버쉽 서비스 시스템(100)은 객체지향 개념을 도입하여 휴대용 단말기나 컴퓨터 단말기등의 웹페이지에 멤버쉽 카드, 가맹점, 제휴업체 및 이외의 서비스 지역과 공간을 객체로 표현하여 사용자가 객체를 선택하고, 선택한 객체로 객체 공간을 구성하도록 하여 멤버쉽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멤버쉽 서비스 시스템(100)은 데이터 베이스(110), 관리서버(120), 객체제어자(130), 객체 관리자(140), web 및 wap서버(150), 객체 생성 도구자(160), 유무선 통신망(170), 객체 접속 실행자(180) 및 유무선 단말기(190)로 이루어져 있다.
데이터 베이스(110)에는 컨텐츠, 서비스 및 고객 정보가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리서버(120)는 데이터 베이스(100)에 저장되는 내용을 관리하고, 멤버쉽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동통신망과 유선망의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객체 제어자(130)는 유무선 통신망(170)을 통한 객체 공간으로의 접근을 허용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에 저장된 정보의 제공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이 활성화 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객체 제어자(130)는 유무선 통신망(170)을 통해 관리 서버(120)에 일반 개인 및 기업 고객의 접근을 허용하고 일반 멤버쉽 정보의 저장 및 관리, 누적 포인트나 회원 서비스 등급 및 사용 포인트 등의 고객 고유 정보를 기업 고객에 요청하고, 상기 정보를 기업 고객으로부터 제공받으며, 객체 공간에 데이터 트랜젝션 등 객체 공간이 활성화 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객체 제어자(130)는 유무선 통신망(170)을 통해 관리 서버(120)에 일반 개인 또는 기업 고객이 상기 관리 서버(120)에 접속을 요청할 경우 고객의 접근 허용 여부를 결정하고, 개인 또는 기업 고객이 객체 공간을 공유하여 정보를 얻는 고객 맞춤형 멤버쉽 정보 커뮤니티를 개인 또는 기업 고객에게 제공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객체 제어자(130)는 무선랜, 블루투스, 지그비 또는 RFID를 포함하는 위치측위 장치를 사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위치측위모듈(132) 및 위치측위모듈(132)로부터 위치정보를 전송받아, 고객이 위치 정보 기반형 멤버쉽 서비스를 원할 경우, 상기 위치측위모듈로부터 얻은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되, 상기 위치 정보를 토대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측위서버(134)를 포함한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가 서비스 지역에 위치하게 되면, 셀 아이디(Cell-ID) 또는 GPS 방식에 의해 상기 위치 측위 서버(134)로부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얻거나 상기 위치측위모듈(132)로부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얻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위치한 곳을 토대로 해당 위치와 관련된 서비스를 자동으로 알려 주는 자동알림모듈(136) 및 위치측위모듈(132)로부터 얻은 위치 정보를 자동으로 상기 위치측위서버(134)에 전송되도록 하지 않고, 주기적 또는 위치정보를 전송하지 않도록 하여, 고객이 임의의 시간에 직접 위치정보를 상기 위치측위서버(134)에 제공하도록 하는 위치전송모듈(138), 상기 위치측위모듈(132)을 사용하지 않고 고객이 구성한 객체 공간에서 직접 객체를 선택하여 객체에 해당되는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인 사용자 선택 위치 알림 모듈(도면부호)을 포함한다.
위치측위서버(134)는 기지국 셀방식이나 GPS 방식 및 무선랜, 블루투스, 지그비 또는 RFID를 포함하는 위치측위 장치로 얻은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관리 서버(12)에 전송하여, 고객이 멤버쉽 서비스를 요구할 경우 위치정보 기반형 멤버쉽 서비스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관리 서버(120)는 개인 및 기업 고객을 포함하여 콘텐츠와 멤버쉽 서비스를 제공하며, 유무선 통신망(170)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가 위치한 곳을 자동으로 위치측위서버(134)로 전송하도록 설정하지 않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일정 시간에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하거나, 주기적으로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으며, 위치정보가 자동으로 전송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위치정보가 자동으로 전송되지 않도록 설정할 경우, 사용자가 서비스 카드를 입력하게 되면, 멤버쉽 서비스는 선택형 메뉴로 전환되는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요청하고, 사용자가 선택형 메뉴로 전환을 요청하면 카드에 맞는 멤버쉽 지역에서 원하는 지역을 선택하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직접 객체 접속 실행자(180)를 통해 객체를 선택하는 방법이고, 이 방법 외에 사용자가 서비스가 필요할 때 직접 위치정보를 객체 제어자(130)에게 제공하여 위치정보기반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위치정보가 자동으로 전송되는 것을 설정할 경우, 해당하는 카드가 제공하는 서비스 중 현재 위치에 맞는 서비스가 자동으로 표시되면서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멤버쉽 서비스 시스템(100)에 가입된 기업 고객은 콘텐츠를 고객이 제공받을 수 있도록 콘텐츠 제공자를 통해 제작하여 데이터 베이스(110)에 저장하게 된다.
제작된 콘텐츠와 서비스는 관리서버(120)에서 제어하게 되며, 객체 공간에 접속하는 고객에게 제공되게 된다.
반대로, 콘텐츠 제공자는 기업 고객이 제시하는 정보를 객체 공간이라는 사이버(Cyberspace)공간을 통해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에 만족하도록 제시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공되는 콘텐츠의 내용은 기업 고객 별로 시간과 장소에 맞게 분류하고 최적의 수익이 창출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객체 공간을 사용하는 기업 고객은 기업 광고 및 홍보를 비롯하여 쇼핑 정보, 이벤트 등 고객이 만족할 수 있는 정보와 이벤트를 제시해야하는 경쟁 체제를 갖게 되어, 질적으로 뛰어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객체 제어자(130)는 유무선통신망(170)으로 객체 공간의 데이터 일치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객체 공간을 구성하는 객체는 유무선 환경에서 생성 및 제거가 가능하도록 하여 유선 단말기 및 무선 단말기에서 동일하게 공유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TV를 구매하러 객체 공간 중 하나인 A 백화점을 방문하한다면, A 백화점의 모든 이벤트 및 TV와 관련된 정보를 대기화면이나 웹서버에 접속하여 멤버쉽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다른 예로, 국립공원을 방문했을 경우, 국립공원이 객체 공간에 등록되어 있다면 해당 국립공원의 문화재나 보물의 소개, 주요 공원, 숙박시설, 등산 경로 등의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제공받은 콘텐츠는 개인용 컴퓨터에서 멤버쉽 서비스의 서버에 로그인하여 실제 경험했던 콘텐츠를 재생하여 보거나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데이터의 전송, 공유 및 트랜잭션(transaction)이 가능하도록 이동통신 환경에서 음성 통화나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는 트래픽 상태를 포함하여 대기상태에서 데이터버스트 메시지를 사용하여 데이터버스트 메시지 타입을 상기 서비스에 맞도록 이동통신사와 정의하고 메시지 내용이 포함된 송수신 데이터를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에 가공하여 처리하고, 객체 공간에 객체 추가 또는 삭제에 의한 데이터 변경이 발생할 때마다 데이터버스트 메시지 내에 특성 플래그를 포함시켜 이를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플래그란, 보내는 메시지의 중요성을 스스로 알고 있어야 하거나 수신 자에게 알려야 하는 경우, 예를 들어, 마감 시간이 지정되어 있는 이벤트에 대한 메시지를 보내는 경우 또는 특정 항목에 대한 입력을 요구하는 경우에 사용하게 된다.
즉, 어떤 문제에 대한 추가 작업이 필요함을 미리 상기시키고 싶을 때나 보내는 메시지에서 상대방에게 회신을 요청하는 경우 플래그를 지정할 수 있게 된다.
객체 관리자(140)는 객체 생성 도구자(160)를 통해 구성된 객체 및 객체 공간을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에 저장하고 상기 객체 공간의 상?하위 계층적 관계 구조인 스키마를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객체 관리자는 멤버쉽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최적화하여 관리하고, 네트워크 구성자와 연동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객체 간의 특성과 관계구조를 스키마로 표현하여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정의하고, 객체 공간과 객체에 제공되는 멥버쉽 서비스 정보로, 멤버쉽 서비스 제공업체의 변경 또는 추가되는 콘텐츠를 우선적으로 관리하게 된다.
또한, 객체간 상하관계를 의미하는 스키마 구조를 사용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게 객체 링크에 대한 구조 정보를 객체 생성 도구자(160)의 클래스 메타포어(class metaphore)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클래스 메타포어(class metaphore)를 사용하여 쉽게 멤버쉽 서비스 구간을 구성하고 서비스 공간에 사용자가 등록한 객체 및 객체와 관련된 멤버쉽 서비스의 관계 구조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 및 객체 공간은 객체 관리자(140)에 의해 데이터 베이 스에 저장되어 객체 제어자(130)에게 전달되게 된다.
객체 관리자(140)는 객체 공간에의 접근 및 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해 고객의 개인 정보를 관리하고 관련 데이터를 객체 제어자(130) 및 객체 접속 실행자(180)에게 제공하게 된다.
이때, 개인 정보는 단말기 종류, 단말기 번호, 위치 측위 방식, 단말기 서비스 유형, 접속자 유형, 관심분야, 관심 지역 등과 필요에 의해 개인의 성별, 연령, 취향, 주소 등을 포함한다.
이때, 위치 측위 방식은 GPS, RFID, Cell-ID등을 말한다.
또한, 객체 관리자(140)는 객체명, 객체 아이디, 객체 속성에 관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객체 관리 모듈(141), 상기 객체 생성 도구자(160)가 상기 객체 및 객체 공간을 단순한 아이콘, 텍스트, 맵, 리스트 또는 트리 형태로 디스플레이 하여 화면상에 표현하도록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142), 휴대용 단말기 또는 유선 단말기로 제공받은 서비스에 대한 콘텐츠를 웹 페이지에서 마킹 업 모드(Marking up mode)로 설정 후, 개인용 컴퓨터를 포함한 단말기에서 설정된 링크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마킹 업 모듈(143), 상기 객체 제어자의 데이터 전송, 공유 및 트랜젝션(transaction)이 가능하도록 상기 객체 공간에 객체의 추가 또는 삭제에 의한 데이터 변경이 발생할 때마다 상기 변경된 정보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객체 제어자에게 제공하는 플래그 모듈(144), 상기 객체 제어자가 제공하는 위치 정보 제공에 대한 서비스에 대해 위치 정보가 자동으로 상기 관리서버에 제공되도록 하는 제1위치정보제공모듈(145) 및 상기 객체 제어자가 제공하는 위치 정보 제공에 대한 서비스에 대해 위치 정보가 임의로 정한 기간에 제공되거나, 임의로 선택한 기간에 제공되는 제2위치정보제공모듈(14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객체 속성은 클래스, 인스턴스(최하위 클래스를 구성하는 객체) 또는 클래스이면서 인스턴스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모듈(142)은 화면상에 객체간의 관계를 리스트, 맵, 아이콘, 텍스트 또는 트리 형태로 보여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객체 관리자(140)는 객체간의 관계의 메쉬구조를 사용자에게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입력한 카드와 관련된 서비스를 메쉬 형태와 트리 또는 팝다운(Pop-Down), 텍스트 등의 형태를 갖는 가이드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하도록 객체 생성 도구자(160)에게 제시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여, 객체 관계의 메쉬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객이 먼저 소지한 카드를 토대로 A사, B사, C사, D사를 객체로 입력할 경우, 객체 관리자(140)가 각 카드회사에 따른 관련된 서비스를 데이타베이스(110)에서 검색하여 객체 생성 도구자(160)에게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멤버쉽 가맹점이 영화 할인 서비스 지역으로 A영화관, B영화관, C영화관이 존재하고, 백화점으로 a백화점, B쇼핑 센타, C마트가 존재하고, 놀이동산으로 A월드, B월드, C랜드가 존재하며, 할인 푸드점으로 A푸드, B푸드가 존재할 경우, 4개의 카드사와 서비스 가맹점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멤버쉽 가맹점 중 각 카드사가 서비스를 제공해줄 수 있는 곳에 실선 또는 점선으로 가이드 하여 사용자가 알기 쉽게 보여준다.
이와 같이 멤버쉽 가맹점 및 서비스 가능 카드가 매쉬 구조로 형성되고 이를 객체 관리자(140)가 자동으로 매쉬 구조를 갖는 스키마로 형성하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객체 관리자(140)를 통해 위 4개의 카드를 등록하고, A월드와 C푸드를 관심 지역으로 등록을 마칠 경우, 객체 관리자(140)는 자동으로 사용자가 미등록한 관련 멤버쉽 지역을 연결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미등록한 객체를 등록할 것인지, 미등록한 객체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할 것인지를 사용자가 선택하게 하는 등의 미등록 객체를 관리하게 된다.
이외에 모든 객체를 연결하는 자동모드와 등록된 객체만을 연결하는 수동모드를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 서비스의 예로 사용자가 방문한 패스트 푸드점에서 푸드명을 휴대폰으로 입력할 경우 해당카드의 포인트 적립 상태나 적립 가능 포인트에 대한 서비스 내역을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사용자가 푸드점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 콘텐츠를 선택하여, 제공받을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푸드점의 맵정보를 친구에게 전송하거나, 푸드점이 제공하는 E카드 보내기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푸드점의 서비스 상태에 만족하게 된다면, 관심지역이라는 객체 공간을 등록하고, 별도로 관리할 수도 있다.
신용카드 이외에 영화관 멤버쉽 카드, 쇼핑몰이나 대형마트의 멤버쉽 카드 사용고객인 경우 기존에 등록된 상기 4개의 카드에 추가하여 카드명을 등록할 경우 동일한 기능이 적용된다.
또한, 거래용 카드가 아닌 복수개의 콘도 회원 카드인 경우 존재하는 여러 개의 콘도 명칭(C1, C2, C3..)을 각각 입력하지 않고, 하나로 입력(C)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하나의 상위 클래스(C콘도)를 구성하게 되며, 각 콘도가 위치하는 지역이 함께 연관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A지역의 C1콘도, B지역의 C2콘도, C지역의 C3콘도로 연관되어 구성되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B지역 C2콘도만을 관심지역으로 입력하고 콘도 회원 카드를 입력하지 않을 경우, 카드 여부에 대한 가이드가 제공되지만, 만약 입력하지 않을 경우 C2콘도만 관심 지역으로 등록된다.
이와 같이 객체 관리자(140)는 사용자가 맞춤형 멤버쉽 서비스를 기호와 취향에 맞게 등록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객체 생성 도구자(160)는 객체지향 개념을 도입하여 멤버쉽 카드나 가맹점, 제휴업체, 이외의 서비스 지역과 공간 및 폰북, SMS, 사진, 동영상을 포함하는 개인용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휴대용 단말기나 웹 페이지에서의 객체로 표현하고, 상기 객체를 임의로 추가 또는 변경하여 원하는 객체로 이루어진 별도의 객체 공간을 구성하고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객체 생성 도구자(160)는 휴대용 단말기나 웹 페이지를 포함하는 유무선 단말기(190)에서 멤버쉽 서비스의 추가 또는 변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객체 생성 도구자(160)는 객체 공간과 객체 관계를 사용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클래스 메타포어(class metaphore)를 사용한 개념적 방법을 통해 객체 공간을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객체 공간은 객체 지향적 관점에서 보면 하나의 커다란 클래스 실행 환경이다.
또한, 객체 공간에 등록된 객체는 인스턴스나 또 다른 클래스의 의미를 갖는다.
또한, 객체는 카드명, 카드 가맹점, 제휴 업체의 상호나 브랜드명 또는 지역 명칭을 가지며, 사용자는 등록된 객체를 하나의 관심 장소나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로 이해하게 된다.
따라서, 클래스 메타포어는(class metaphore) 객체 공간에서 이러한 객체나 객체 사이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디스플레이 하여 사용자가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때 디스플레이 방식은 단순한 아이콘이나 텍스트 또는 맵이나 트리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객체 속성에 따른 객체간 상하위의 계층적 관계를 의미하는 스키마를 의미적으로 전달하여 사용자가 객체를 구성하고 구성된 객체 공간에서 특정 객체를 선택하여 멤버쉽 서비스와 관련된 모든 객체를 연결해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특정 카드와 관련된 제휴사나 서비스 내용에 대해 전혀 알지 못해도, 특정 카드명을 입력하여 정보를 얻을 수 있고, 반대로 서비스 적용 가능한 카드 정보가 없어도 제휴사를 입력하여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클래스 메타포어(class metaphore)는 사용자가 객체를 인지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객체 공간에서의 상하위 계층적 객체 관계를 구성하면서 보안, 공유, 상속 등의 객체 관계형 특성을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여, 멤버스 서비스 등록에 대해 상세한 설명을 한다.
도 2에서 볼 때, 객체는 멤버쉽 카드명(A카드, B카드, C카드), 백화점, 식당, 영화관 등이 된다.
이러한 각 객체는 객체 간 속성에 따라 별도의 클래스를 구성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휴대용 단말기나 웹 페이지를 통해 멤버쉽 서비스를 처음 접속하면, 사용자가 사용 가능한 멤버쉽 서비스에 대한 카테고리(카드, 쇼핑, 레저, 스포츠, 취미, 음식 등)가 제시되고, 이러한 카테고리에서 '카드'를 선택하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카드명(A카드, B카드, C카드)으로 최상위 클래스(220)가 구성된 것이 보여 지고, a백화점, b식당, 영화관 등으로 구성된 두 번째 클래스(230)가 보여 진다.
이때, 두 번째 클래스(230)에서 영화관을 선택하면 영화관의 하위 클래스(240)로 멤버쉽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영화관 명칭(C1영화관, C2영화관)이 보여 지게 된다.
이때, 최하위 클래스(240)에는 고유 명칭을 갖는 유일한 객체로 구성된다.
즉, 두 번째 클래스(230)에서 영화관은 고유 명칭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하 나의 선택 가능한 객체이고, 상기 두 번째 클래스(230)에서 영화관을 선택했을 때, 영화관을 선택함에 따라 보여지는 최하위 클래스(240)에는 각 영화관의 고유한 명칭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A카드를 선택할 경우, 자동적으로 다음 클래스(230)에서 A카드가 서비스될 수 있는 객체에 대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점선으로 가이드 된다.
이때, 사용자가 점선으로 가이드 된 객체를 선택하여 등록한 경우는 등록된 객체와 관련된 다른 카드인 B카드나 C카드가 실선으로 연결되어 선택한 객체에 대해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카드를 가이드 해주게 된다.
객체 공간에 대한 다른 예를 들면, 특정 백화점의 고객 카드나 신용카드, 백화점 내 특정 장소(예를 들어, a양복점, b음식점, c레코드점)라는 각각의 객체가 존재할 경우 백화점은 하나의 커다란 공간 영역 객체이며 고객카드나 신용카드는 백화점에 속해 백화점의 특성에 포함될 수도 있고, 각각의 카드와 제휴된 또 다른 공간 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백화점 내 특정 장소는 백화점에서만 존재한다.
즉, 고객이 백화점, 할인점, 영화관 등의 다양하게 선택 가능한 카테고리 중, 백화점을 선택하여 들어가면, 백화점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카드와 사용할 수 없는 카드가 분류되게 된다.
또한, 백화점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카드 중 어떤 것은 b음식점에서만 사용이 가능하고, 어떤 것은 c레코드점에서만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때, 백화점은 도 2에 대한 설명 중, 멤버쉽 서비스가 가능한 카테고리에서 선택한 '카드'라는 객체와 의미상 일치하게 된다.
또한, 백화점에서 사용할 수 있는 카드는 도 2에서 최상위 클래스(220)인 A카드, B카드, C카드와 의미상 일치하게 되며, a양복점, b음식점 및 c레코드점은 최하위 클래스(240)가 되는 것이다.
이 경우, 도 2에서와는 달리 두 번째 클래스(230)가 없는 경우이다.
도 2에서 사용자가 두 번째 클래스(230)에서 영화관을 선택하면, 영화관에 대한 하위 클래스, 여기서는 최하위 클래스(240)로써 각 영화관의 고유명이 표시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C1영화관을 선택한 경우 C1영화관 고유의 콘텐츠 서비스가 제공되며, 사용자가 원할 경우 C1영화관에서 제공되는 콘텐츠에 접근이 허용되게 된다.
이는 사용자의 객체 공간에 입력된 A카드가 C1영화관에 대한 멤버쉽 서비스를 제공하는 콘텐츠가 존재할 경우 A카드의 서비스 내용이 사용자에게 제공됨을 의미한다.
만약, C1영화관을 선택한 것이 아니라 광범위하게 A카드를 선택한 것이라면, A카드와 관련된 서비스 사항으로 C1영화관을 포함한 여러 정보가 제공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객체 공간은 상기한 설명 중 멤버쉽 서비스가 가능한 카테고리를 의미하는 슈퍼 클래스(Super Class), 상기한 설명 중 '카드'를 선택했을 때 표시된, A카드, B카드 C카드를 의미하는 A클래스(A Class) 및 B클래스(B Class), A클래스에 포함되는 객체(instance) a1 및 a2, B클래스에 포함된 객체 b1, 별다른 하위 클래스가 없어 바로 최하위 클래스가 되는 객체1 및 객체2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객체 및 상위 클래스의 범위, 수에 따라 다르게 구성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객체 접속 실행자(180)는 휴대용 단말기나 웹 페이지에서 원하는 멤버쉽 서비스를 선택하여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가 제공받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객체 접속 실행자(180)는 휴대용 단말기나 웹 페이지를 포함하는 유무선 단말기(190)에서 원하는 멤버쉽 서비스를 선택하여 해당 서비스의 서버에 접속하고,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가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클라이언트 환경이다.
또한, 객체 접속 실행자(180)는 휴대용 단말기의 다운로드형 애플릿이나 내장형 플랫폼, 왑 접속 메뉴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객체 접속 실행자(180)는 유무선 단말기(190)에서 원하는 멤버쉽 서비스를 선택하여 멤버쉽 서버에 접속하고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환경이다.
또한, 객체 접속 실행자(180)는, 무선 프로토콜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프로토콜 모듈(182), 데이터버스트 메시지를 송수신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모듈(184), 왑 접속 및 브라우징 또는 패킷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86) 및 휴대용 단말기나 웹 페이지에서 보여지는 메뉴 모듈(188)을 포함한다.
이때, 메뉴 모듈(188)은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다운로드형 애플릿이나 내장형 플랫폼, 대표전화 번호 접속, SMS콜백 또는 이동통신사의 왑 접속 메뉴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데이터 처리모듈(184)은, 객체 공간에 객체의 생성, 추가, 변경 및 제거에 의한 데이터 변경이 발생할 때 대기화면의 일 측에 아이콘을 포함하는 시각적인 효과를 주어 데이터의 변경을 알려주고, 상기 객체 접속 실행자를 통하여 서비스에 연결 시 변경된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객체 접속 실행자(180)는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대기상태에서 CBS나 트래픽 상태의 SMS/MMS나 트래픽 채널로 갱신된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웹 서버와 연동하며 고객 컴퓨터나 데스크형 단말기에서 브라우저로 바로 웹 페이지에 접속하거나 전용 멤버쉽 서비스용 웹 접속 프로그램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멤버쉽 서비스의 접근방식을 콘텐츠의 시공간적인 방법에 의해 분류하면, 경마장이나 증권 매장, 부동산 정보 및 스포츠 경기장 등 실시간 정보가 요구되는 시간적 특성을 갖는 경우, 영화관, 전시관 및 음식점 등의 위치정보가 요구되는 경우, 일반 뉴스, 오락 및 커뮤니티 등 시간과 위치에 무관한 경우로 나누어질 수 있다.
또한, 공간적 특성으로는 뉴스 매체, 신문사, 홈 및 커뮤니티 등의 가상 공간과 실제 존재하는 주변 시설 정보 등으로 나뉘어 질 수 있다.
따라서, 콘텐츠의 시공간적 특성에 의해 객체 접속 실행자(180)자의 형태를 결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멤버쉽 서비스에 증권 매장을 등록하고, 위치기반 정보에 의해 회사 근처의 LG 증권으로 객체 공간이 형성된 경우, LG증권이 제공하는 콘텐츠 및 서비스를 고객이 사용하게 되며, 그 내용으로는 특정 종목 시세, 주가, 긴급 추천 종목 등 다양한 커뮤니티를 포함한 서비스 내용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이동통신 무선망 개방에 의해 독립적인 IP를 할당받아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이 가능하며, 포털 사이트 전용 플랫폼 등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멤버쉽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내장형 플랫폼으로 멤버쉽 서버로 바로 접속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멤버쉽 서비스 시스템은, 객체 개념을 도입하여 1개 이상의 멤버쉽 카드 사용자나 멤버쉽을 필요로 하는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서비스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도록 멤버쉽 카드 명칭이나 방문 장소, 가상 공간과 관련 콘텐츠를 객체로 표현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객체를 구성하도록 하여 이러한 객체 공간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용도와 목적에 맞게 제공받고, 콘텐츠를 쉽게 선택할 수 있으며, 접근이 용이한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멤버쉽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멤버쉽 서비스 시스템은, 객체를 직접 선택하여 객체의 위치 정보를 서비스 제공자에게 제공하는 방식으로 개인적 사생활 침해를 일으키지 않는 범위에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멤버쉽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멤버쉽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부담이 되는 통신료 문제를 위해 웹 페이지에서 객체 공간 구성이 가능하며, 패킷 접속 이외에 대기상태에서 데이터버스트 메시지에 내에 서비스를 위한 특정 플래그를 포함시켜 변경된 데이터를 구분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 멤버쉽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6)

  1. 유무선 인터넷 환경에서 멤버쉽 카드 소지자나 회원에게 시간과 장소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 정보와 혜택을 제공하는 멤버쉽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컨텐츠, 서비스 및 고객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는 내용을 관리하고, 멤버쉽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동통신망과 유선망의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하는 관리서버;
    객체지향 개념을 도입하여 멤버쉽 카드나 가맹점, 제휴업체, 이외의 서비스 지역과 게시판이나 커뮤니티 공간 및 폰북, SMS, 사진, 동영상을 포함하는 개인용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휴대용 단말기나 웹 페이지에서의 객체로 표현하고, 상기 객체를 임의로 추가 또는 변경하여 원하는 객체로 이루어진 별도의 객체 공간을 구성하고 관리하는 객체 생성 도구자;
    상기 객체 생성 도구자를 통해 구성된 객체 및 객체 공간을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객체 공간의 상하위 계층적 관계 구조인 스키마를 관리하는 객체 관리자;
    상기 이동통신망 및 유선망을 통한 객체 공간으로의 접근을 허용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의 제공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이 활성화 되도록 조절하는 객체 제어자;
    휴대용 단말기나 웹 페이지에서 원하는 멤버쉽 서비스를 선택하여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가 제공받도록 하는 객체 접속 실행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버쉽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생성 도구자는,
    상기 객체 및 상기 객체와 객체 공간 간에 관계 또는 객체와 객체와의 관계를 단순한 아이콘, 텍스트, 맵, 리스트 또는 트리 형태로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버쉽 서비스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생성 도구자는,
    상기 객체를 임의로 추가 또는 변경하여 구성된 객체 공간에서 특정 객체를 선택했을 때, 상기 선택된 특정 객체와 관련된 모든 객체를 연결해주며, 상기 객체사이의 상하관계도 함께 표시하여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버쉽 서비스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관리자는,
    상기 객체 생성 도구자가 상기 객체 공간을 구성할 수 있도록 상기 객체와 객체 공간간의 관계 및 상기 객체와 객체 사이에 대한 구조 정보를 상기 객체 생성 도구자에 제공하며, 상기 객체 공간에서 특정 객체를 선택했을 시 상기 선택된 특정 객체와 관련된 서비스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상기 객체 생성 도구자에게 제공하여 디스플레이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버쉽 서비스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관리자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객체 및 객체 공간을 상기 객체 제어자에게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버쉽 서비스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관리자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고객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고객 정보를 상기 객체 제어자 및 객체 접속 실행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버쉽 서비스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관리자는,
    객체명, 객체 아이디, 객체 속성에 관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객체 관리 모듈;
    상기 객체 생성 도구자가 상기 객체 및 객체 공간을 단순한 아이콘, 텍스트, 맵, 리스트 또는 트리 형태로 디스플레이 하여 화면상에 표현하도록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
    휴대용 단말기 또는 유선 단말기로 제공받은 서비스에 대한 콘텐츠를 웹 페이지에서 마킹 업 모드로 설정 후, 개인용 컴퓨터를 포함한 단말기에서 설정된 링크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마킹 업 모듈;
    상기 객체 제어자의 데이터 전송, 공유 및 트랜젝션이 가능하도록 상기 객체 공간에 객체의 추가 또는 삭제에 의한 데이터 변경이 발생할 때마다 상기 변경된 정보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객체 제어자에게 제공하는 플래그 모듈;
    상기 객체 제어자가 제공하는 위치 정보 제공에 대한 서비스에 대해 위치 정보가 자동으로 상기 관리서버에 제공되도록 하는 제1 위치정보제공모듈; 및
    상기 객체 제어자가 제공하는 위치 정보 제공에 대한 서비스에 대해 위치 정보가 임의로 정한 기간에 제공되거나, 임의로 선택한 기간에 제공되는 제2 위치정보제공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버쉽 서비스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관리자는,
    상기 객체 공간에서 특정 객체를 선택했을 시 상기 객체 생성 도구자에 의해 상기 객체 공간에 등록되지 않은 객체를 자동으로 검색하고 연결하여, 상기 미등록된 객체를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버쉽 서비스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제어자는,
    개인 또는 기업 고객이 상기 관리서버에 접속을 요청할 경우 상기 고객의 접근 허용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개인 고객의 누적 포인트 또는 회원 서비스 등급을 포함하는 일반 고객 정보를 해당 서비스 업체에 요청하여 상기 개인 고객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버쉽 서비스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제어자는,
    개인 또는 기업 고객이 상기 관리서버에 접속을 요청할 경우 상기 고객의 접근 허용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개인 또는 기업 고객이 객체 공간을 공유하여 정보를 얻는 고객 맞춤형 멤버쉽 정보 커뮤니티를 상기 개인 또는 기업 고객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버쉽 서비스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제어자는,
    무선랜, 블루투스, 지그비 또는 RFID를 포함하는 위치측위 장치를 사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위치측위모듈; 및 상기 위치측위모듈로부터 위치정보를 전송받고, 고객이 위치 정보 기반형 멤버쉽 서비스를 원할 경우, 상기 위치측위모듈로부터 얻은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위치 정보를 토대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측위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버쉽 서비스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제어자는,
    휴대용 단말기가 서비스 지역에 위치하게 되면, 셀아이디 또는 GPS 방식에 의해 상기 위치 측위 서버로부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얻거나 상기 위치측위모듈로부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얻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위치한 곳을 토대로 해당 위치와 관련된 서비스를 자동으로 알려주는 자동알림모듈; 및 상기 위치측위모듈로부터 얻은 위치 정보를 자동으로 상기 위치측위서버에 전송되도록 하지 않고, 주기적 또는 위치정보를 전송하지 않도록 하여, 고객이 임의의 시간에 직접 위치정보 상기 위치측위서버에 제공하도록 하는 위치정보전송모듈; 상기 위치측위모듈을 사용하지 않고 고객이 구성한 객체 공간에서 직접 객체를 선택하여 객체에 해당되는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인 사용자 선택 위치 알림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버쉽 서비스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제어자는,
    상기 객체 공간을 구성하는 객체는 유무선 환경에서 생성, 추가, 변경 및 제거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버쉽 서비스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제어자는,
    상기 객체 공간에 객체의 생성, 추가, 변경 및 제거에 의한 데이터 변경이 발생할 때마다 사용자에게 부담이 되는 통신료 문제를 위해 대기상태에서 데이터버스트 메시지 내에 서비스를 위한 특정 플래그를 포함시켜 변경된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버쉽 서비스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접속 실행자는,
    무선 프로토콜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프로토콜 모듈;
    데이터버스트 메시지를 송수신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모듈;
    왑 접속 및 브라우징 또는 패킷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휴대용 단말기나 웹 페이지에서 보여 지는 메뉴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버쉽 서비스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은,
    상기 객체 공간에 객체의 생성, 추가, 변경 및 제거에 의한 데이터 변경이 발생할 때 대기화면의 일측에 아이콘을 포함하는 시각적인 효과를 주어 데이터의 변경을 알려주고, 상기 객체 접속 실행자를 통하여 서비스에 연결 시 변경된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버쉽 서비스 시스템.
KR1020050110665A 2005-11-18 2005-11-18 멤버쉽 서비스 시스템 KR100654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665A KR100654260B1 (ko) 2005-11-18 2005-11-18 멤버쉽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665A KR100654260B1 (ko) 2005-11-18 2005-11-18 멤버쉽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4260B1 true KR100654260B1 (ko) 2006-12-06

Family

ID=37732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0665A KR100654260B1 (ko) 2005-11-18 2005-11-18 멤버쉽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42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323B1 (ko) * 2008-04-24 2009-06-02 제영수 위치 및 개인화 정보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대기화면제공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WO2012026642A1 (ko) * 2010-08-27 2012-03-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비스 존에 해당하는 서비스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323B1 (ko) * 2008-04-24 2009-06-02 제영수 위치 및 개인화 정보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대기화면제공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WO2012026642A1 (ko) * 2010-08-27 2012-03-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비스 존에 해당하는 서비스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8549068B2 (en) 2010-08-27 2013-10-01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ervi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service z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1061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rganizing content for mobile media services
US10839427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anagement of information content for enhanced accessibility ove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7920849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dvertisements/messages based on wireless data communication technology
US8682350B2 (en) Location-based advertising message serving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US20030004802A1 (en) Methods for providing a virtual coupon
US201000575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match mapping
US20030055983A1 (en) Methods for providing a virtual journal
US20030004743A1 (en) Methods for providing a location based merchant presence
US20150019665A1 (en) Linking context-based information to text messages
US20070282621A1 (en) Mobile dating system incorporating user location information
US200100415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based stimuli motivated information delivery
CN101916417A (zh) 一种基于位置的信息共享系统
JP2012075143A (ja) ターゲット広告の位置ベースサービス(lbs)システム及び方法
CN101479757A (zh) 移动通信设备的基于位置的无线电子商务
JP2008518505A (ja) ターゲット広告の位置ベースサービス(lbs)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8518505A6 (ja) ターゲット広告の位置ベースサービス(lbs)システム及び方法
CN102216946A (zh) 移动广告系统中提供和接收移动广告服务的装置和方法
US20030100337A1 (en) Wireless device for broadcast of information and related method for use with mobile wireless devices
JP2004258148A (ja) 無線端末広告システム
KR100654260B1 (ko) 멤버쉽 서비스 시스템
WO2001057724A1 (en) Interactive agent for mobile device
KR102392531B1 (ko) 아티스트와 팬간의 커뮤니케이션 중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RU2368008C1 (ru) Информа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KR20050081576A (ko)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정보 제공 및 질의 처리 서비스 방법
Karagiozidis et al. Commercial use of mobile, personalised location-based ser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