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2238B1 - 회전형 트립표시기를 구비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 Google Patents

회전형 트립표시기를 구비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2238B1
KR100652238B1 KR1020050040319A KR20050040319A KR100652238B1 KR 100652238 B1 KR100652238 B1 KR 100652238B1 KR 1020050040319 A KR1020050040319 A KR 1020050040319A KR 20050040319 A KR20050040319 A KR 20050040319A KR 100652238 B1 KR100652238 B1 KR 100652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p
auxiliary holder
overload relay
thermal overload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0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7780A (ko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0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2238B1/ko
Publication of KR20060117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7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61/00Electrothermal relays
    • H01H61/06Self-interrupters, i.e. with periodic or other repetitive opening and closing of contacts
    • H01H61/063Self-interrupters, i.e. with periodic or other repetitive opening and closing of contacts making use of a bimetallic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5/00Details of relays
    • H01H45/02Bases; Casing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5/00Details of relays
    • H01H45/14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3Avoiding erroneous switch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형 트립표시장치를 구비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주회로의 과전류 발생시 만곡하는 바이메탈과, 만곡하는 상기 바이메탈에 의해 수평이동가능하게 구동접속되는 시프터와, 상기 수평이동하는 시프터에 의해 가압되어 회동가능한 석방레버와, 정상시 대응되는 단자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고 과전류 발생시 상기 석방레버의 회동력에 의해 상기 대응되는 단자에 접촉하는 상태로 반전하는 반전기구를 구비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에 있어서, 수직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몸체부와, 상기 트립표시기에 회동력을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몸체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한 동력전달부를 구비하며, 상기 반전기구의 일단부에 접속되어, 과전류 발생시 반전하는 상기 반전기구의 일단부에 의해 상승하는 보조홀더와; 상기 보조홀더와 구동접속되고, 상기 보조홀더로부터의 구동력 전달에 의해 회동하여 트립동작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트립표시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회전형 트립표시기를 구비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THERMAL OVERLOAD RELAY HAVING A ROTATABLE TRIP-INDICATING DEVICE}
도 1은 종래의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라인(Ⅱ-Ⅱ)을 따라 취한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종 단면도이며,
도 3(a)는 도 2의 계전기가 정상 통전상태에 있는 경우를 단면도로서 나타내고,
도 3(b)는 도 3의 계전기가 트립상태에 있는 경우를 단면도로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은 도 2의 보조홀더를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립표시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덮개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8(a)는 도 5 내지 도 7의 구성을 채용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트립표시기를 구비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정상 통전상태를 단면도로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b)는 도 8(a)의 계전기가 트립상태인 경우를 단면도로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히터부 12: 히터케이스
13: 주바이메탈 14: 히터
15: 시프터 21: 개폐기구부
22: 개폐케이스 22': 케이스
23: 석방 레버 26: 반전기구
28: 반전 스프링 30: 상부 덮개
31, 41: 보조홀더 33: 노출부
35: 삽입부 37: 돌부
43: 동력전달부 51: 트립표시기
52: 회전축 53: 계합부
55: 표시부 57: 표시구
본 발명은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계전기의 트립상태를 명확하게 표시하고 사용자가 계전기가 과전류나 결상과 같은 회로상의 이상상태로 트립상태에 있음을 인식하지 못한 채로 트립표시기를 잘못 조작하여 계전기를 통전상태로 초기화시키는 것을 구조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회전형 트립표시기를 구비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는 전자접촉기와 함께 전자개폐기를 구성하여 모터에 통전되는 전류가 미리 설정한 전류값 이상이 되면 지정 시간 후에 회로를 트립(trip)하여 모터가 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전기기기이다.
또한 교류모터의 경우 통상 3상(R,S,T)의 교류전류가 흐르는데, 이 때 상기 3상 중에 어느 한 상이라도 끊어져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 때(결상)에는 나머지 상으로 전류가 집중됨에 따라 또는 과부하나 과전류시 온도가 상승하여 권선이 소손되는 등의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통상 모터에는 과부하 또는 결상 시 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과부하 계전기를 연결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과부하 계전기에 대하여, 도 1은 종래의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라인(Ⅱ-Ⅱ)을 따라 취한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종 단면도이며, 도 3(a)는 도 2의 계전기가 정상 통전상태에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도 3(b)는 도 3의 계전기가 트립상태에 있는 경우를 나타내며, 도 4은 도 2의 보조홀더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과부하 계전기는 크게 전원과 부하 즉 모터간의 회로상에 연결되어 과전류나 결상이 발생했을 때 발열하는 과부하 계전기의 하부에 위치한 히터부(11)와, 히터부(11) 내에서 히터부(11)의 발열에 따라 만곡하는 주바이메탈(13)의 만곡에 연동되어 상기 전원과 부하간 회로를 개폐시키는 과부하 계전기의 상부에 위치한 개폐 기구부(21)로 구분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lower case, 12)에는 히터부(11)를 이루는 주바이메탈(13), 히터(heater)(14), 주바이메탈(13)에 구동접속되어 주바이메탈(13)의 만곡에 따라 수평이동하는 시프터(shifter, 15) 등이 내장되고, 외부로는 전원측 전선이 연결되는 주 단자(10)가 통상 3개(3상 교류용)가 구비된다.
하부 케이스(12)의 상부에 연결된 상부 케이스(upper case)(22)에는 개폐기구부(21)를 이루는 석방 레버(23), 반전기구(26), 리셋버튼(29), 보조홀더(31) 등이 내장된다.
석방 레버(23)는 시프터(15), 보다 상세하게는 시프터 고리(16)의 이동에 연동되어 도면 상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온도보상 바이메탈(24)과, 그러한 온도보상 바이메탈(24)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하여서 반전 기구(26)의 중앙 부분(27)을 내리 누르는 돌출한 꼭지(25)를 포함한다.
반전기구(26)는 중앙 부분(27)과, 중앙 부분(27)과 반전기구(26) 사이에 끼워지는 반전 스프링(28)을 포함하고, 도 3(a)와 같은 정상 통전상태에서 중앙 부분(27)은 반전기구(26) 보다 위로 들려지며, 이러한 상태는 반전 스프링(28)에 의해 유지된다.
리셋버튼(29)은 도 3(b)와 같은 트립상태를 도 3(a)와 같은 초기 통전상태로 되돌리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트립상태에 대해서는 위의 정상 통전상태와 아울러 이하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리셋버튼(29)과 함께 상부 덮개(30)에는 계전기의 동작감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정 다이얼(29')가 배열된다.
보조홀더(31)에는,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95번 단자(95)가 놓이는 돌부(37)와 반전 기구(26)가 삽입될 수 있도록 위 아래로 대향하는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 삽입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보조홀더(31)는 반전 기구(26)의 상태 변화, 즉 정상 통전상태에서 트립상태로의 변화 또는 그 역의 변화에 따라 개폐케이스(22) 외부로 상승하여 노출되거나 상부 케이스(22) 내부로 은폐된다. 특히 보조홀더(31)의 상단은 보조홀더(31)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돌출한 노출부(33)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노출부(33)가 개페 케이스(22) 위로 돌출함에 따라 이를 통하여 관리자는 트립상태을 시각적으로 판별할 수 있게 된다.
반전 기구(26)는 97번 단자(97)에 연결되어 있고, 98번 단자(98)와 짝을 이루며, 정상 통전상태에서는 서로 떨어져(개방) 있다. 95번 단자(95)와 96번 단자(96)는 모터 즉, 부하에 연결되는 단자와 전원에 연결되는 단자의 주회로 단자로서, 서로 짝을 이루며 정상 통전상태에서 서로 접촉(폐로)되어 있다. 96번 단자(96)와 97번 단자(97)는 위쪽에 접점이 붙어 있고, 95번 단자(95)와 98번 단자(98)는 아래쪽에 접점이 붙어있다. 97번 단자(97)의 반전 기구(26)는 보조홀더(31)의 삽입부(35)에 끼워지고, 95번 단자(95)는 보조홀더(31)의 돌부(37)에 얹혀진다. 98번 단자(98)는 리셋버튼(29)의 하부에 장착된다. 이러한 95번 내지 98번 단자(95 내지 98) 각각과 모터 또는 모터 제어부(미도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보조 단자(10')는 개페 케이스(22)의 외부에 설치된다. 95번 내지 98번 단자(95 내지 98)로 구성됨에 따라 보조 단자(10')는 총 4개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제, 특히 도 3(a) 및 3(b)를 참조하여 종래의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정 상상태와 트립상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과 부하간 회로에 과전류가 흐르거나 결상이 발생하면 이는 주 단자(10)를 통하여 전달되고, 그에 따라 히터케이스(12) 내의 주바이메탈(13)에 권선된 코일 형태의 히터(14)가 발열하게 된다. 이러한 열에 의하여 주바이메탈(13)이 만곡하고 그에 따라 시프터(15)가 도면 상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시프터 고리(16)는 석방레버(23)의 온도보상 바이메탈(24)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회전 운동에 의해 석방레버(23)의 꼭지(25)는 반전기구(26)의 중앙 부분(27)을 도면 상 아래로 누르게 된다. 이에 따라 반전기구(26)와 중앙 부분(27)이 수평을 이루는 임계점을 넘게 되면 도 3(a)와 같은 정상상태와는 반대로 판스프링으로 구성되는 반전기구(26)는 위로 올라가고 중앙 부분(27)은 아래로 내려 오게 된다. 이때도 정상상태와 마찬가지로 반전 스프링(28)에 의해 이러한 상태는 계속 유지된다. 나아가 이러한 상태를 "트립상태"라 하며, 이는 도 3(b)에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트립상태에서는 보조홀더(31)가 위로 상승하고 그에 따라 보조홀더(31)와 연동된 95번 단자(95)가 상승하게 되어서, 95번 단자(95)와 96번 단자(96)는 서로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변화는 95번 내지 98번 단자(95 내지 98)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보조 단자(10')를 통하여 모터 제어부에 전달된다. 그에 따라 모터 제어부는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모터의 소손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리셋버튼(29)을 누르면 서로 접촉되어 있는 98번 단자(98)와 97번 단자 (97)의 반전기구(26)가 동시에 내려가고 반전기구(26)가 앞서 말한 임계점을 역으로 넘게 되면 반전기구(26)가 아래로 내려오면서 상대적으로 중앙 부분(27)이 위로 올라가는 "통전상태"로 되돌아 간다. 또한 리셋버튼(29)은 98번 단자(98)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한다.
앞서 살펴본 트립상태는, 보조홀더(31)의 상단에 형성된 노출부(33)가 개폐케이스(22) 위로 돌출함에 따라 외부적으로 표현된다. 즉, 사용자는 노출부(33)의 수직 방향으로의 돌출 여부로 계전기의 트립 여부를 판별하는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계전기에서 별도의 트립표시 장치가 없이 단지 보조홀더(31)의 노출부(33)의 상승으로 트립상태를 판별하는 방식에 따르면, 통상 보조홀더가 매우 작을 뿐만 아니라 그 상승 정도가 애매한 경우 등에 있어서 트립 여부를 즉각적으로 판별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관리자가 작업 중에 트립상태를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실수로 돌출한 보조홀더를 누르게 되면, 보조홀더가 계전기를 정상상태로 초기화하는 리셋버튼의 역할을 수행하게 됨에 따라, 관리자는 계전기가 트립상태에 있음에도 이를 인식할 방법이 없어 계전기가 정상상태라고 오판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트립상태를 명확하게 표시하고 트립표시장치를 잘못 조작하여 계전기를 통전상태로 초기화하는 것을 구조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주회로의 과전류 발생시 만곡하는 바이메탈과, 만곡하는 상기 바이메탈에 의해 수평이동가능하게 구동접속되는 시프터와, 상기 수평이동하는 시프터에 의해 가압되어 회동가능한 석방레버와, 정상시 대응되는 단자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고 과전류 발생시 상기 석방레버의 회동력에 의해 상기 대응되는 단자에 접촉하는 상태로 반전하는 반전기구를 구비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에 있어서,
승강 운동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몸체부와, 상기 트립표시기에 회동력을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몸체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한 동력전달부를 구비하며, 상기 반전기구의 일단부에 접속되어, 과전류 발생시 반전하는 상기 반전기구의 일단부에 의해 상승하는 보조홀더와;
상기 보조홀더와 구동접속되고, 상기 보조홀더로부터의 구동력 전달에 의해 회동하여 트립동작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트립표시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 발을 달성하기 위명에 따른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의 목적 및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에 대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좀 더 명백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홀더, 트립표시기, 및 상부 덮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8(a)는 이러한 보조홀더, 트립표시기, 및 상부 덮개를 채용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열동형 과부하 계전 기가 정상 통전중인 상태를 나타내고, 도 8(b)는 도 8(a)의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가 트립상태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트립표시기를 구비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는 크게 보조홀더(41)와 트립표시기(5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보조홀더(41)는 수직방향(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몸체부(42)와, 상기 트립표시기(51)에 회동력을 제공하기 위해서 몸체부(42)로부터 수평방향으로 트립표시기(51)쪽을 향하게 돌출한 동력전달부(43)를 구비한다. 몸체부(42)의 하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대략 사각형의 기판부(부호 미지정)가 구비되며, 상기 기판부의 상부에는 반전기구(26)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삽입부(35)가 구비되고, 상기 기판부의 하부에는 과전류에 의한 트립동작시 보조단자(95)를 들어올려 보조단자(96)과 분리시킴으로써 주회로를 차단하기 위한 돌부(37)이 구비된다.
트립표시기(51)는,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위의 보조홀더(41)의 동력전달부(43)가 계합되는 계합부(53)를 통해 보조홀더(41)의 승강에 연동된다. 이러한 트립표시기(51)는 보조홀더(41)의 동력전달부(43)와 계합하여 보조홀더 (41)의 승강에 따른 회전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계합부 (53)와, 계합부 (53)에 연결되어 트립발생 시 계합부(53)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하여 외부를 향해 트립발생을 인식할 수 있도록 회전하여 표시해주는 원호형의 표시부(55)를 포함한다.
트립표시기(51)의 회전축(52)은 케이스(22')에 축설된다. 계합부(53)는 원 호형 표시부(55)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1 평면부(54)와, 제 1 평면부(54)와의 사이에 보조홀더(41)의 동력전달부(43)가 계합될 수 있도록 제 1 평면부(54)에 평행하게 소정거리만큼 이격하여 마련되는 제 2 평면부(54')를 포함한다. 보조홀더(41)의 승하강 동작과 트립표시기(51)의 회전 동작이 원활하게 연동될 수 있도록 계합부(53)의 제 2 평면부(54')의 일단부는 경사면(54")을 가진다. 계합부(53)의 제 2 평면부(54')의 일단부가 직면이라면, 보조홀더(41)의 승하강시 제 2 평면부(54')의 일단부와 동력전달부(43)간의 접촉 및 이탈이 원활하지 않아 보조홀더(41)의 승하강과 트립표시기(51)의 회전이 중도에 정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계전기 외부에서 계전기의 상태, 즉 트립 또는 정상 통전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트립인식부로서 상부 덮개(30)에는 표시구(57)가 개구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표시구(57)는 트립상태로 진행되어 보조홀더(41)의 상승에 따라 완전히 회전한 트립표시기(51)의 표시부(55)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어야 함은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상부 덮개 (30)에 형성된 표시구 (57)상에는 투명 창이 복개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표시구(57)만 개구된 구성과는 달리 먼지 등의 이물질이 계전기내부로 침입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제 도 8(a) 및 8(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트립 표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종래기술에 대해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상 통전상태에서 종래기술에서 보조단자(95) 및 보조단자(96)으로 기술된 주회로와 연결된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이 서로 접촉하 여 주회로가 통전하며, 이때 보조홀더(41)의 동력전달부(43)는 'U'자형의 계합부(53)를 이루는 제 1 평면부(54)와 제 2 평면부(54') 사이에 계합된 상태로 있게된다. 또한 이때 원호형의 표시부(5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덮개(30)상의 표시구(57)를 향하는 것이 아닌 계전기의 내부벽면을 향하고 있어 외부로 트립상태가 표시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주회로에 과전류가 흐르거나 결상이 발생하여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가 트립상태가 되면, 보조홀더(41)가 상승하게 된다. 그에 따라 보조홀더(41)의 하부의 돌부(37)가 보조단자(95)를 들어올려 보조단자(96)과 분리시킴으로써 주회로를 차단함과 동시에, 이때 동력전달부(43)는 계합부(53)의 제 1 평면부(54)을 상부 덮개(30)쪽으로 밀어 올리게 된다. 이에 의하여 트립표시기(51)는 케이스(22')에 축설된 회전축(52)을 중심으로 도 6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트립표시기(51)의 원호형 표시부(55) 역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도 8(a)와 같이 계전기의 내부벽면을 향하고 있던 트립표시기(51)의 원호형 표시부(55)가 도 8(b)와 같이 계전기의 상부면을 향하도록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완전히 회전한 상태에서, 보조홀더(41)의 동력전달부(43)는 계합부(53)의 제 2 평면부(54')의 일단부에 형성된 경사면(54")과 접촉된다. 여기서, 완전히 회전한 상태라 함은 트립표시기(51)의 표시부(55)가 표시구(57)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위치까지 회전한 상태를 말한다.
이때 상기 표시구(57)에는 투명 창(미도시)이 복개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회전된 상태의 표시부(55)를 투명 창을 통하여 봄으로써 트립 발생을 인지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립표시부(51)는 종래의 보조홀더(31)의 노출부(33)처럼 상부 덮개(30)가 이루는 평면에 수직 방향으로 상승하여 돌출하는 것이 아니라, 회전함에 따라 위 평면에 수평하게 노출되는 방식을 따른다. 그에 따라 트립상태 여부를 명확하게 판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리자가 부지 간에 노출부(33)를 내리 눌러서 트립상태인 계전기를 정상상태로 초기화시키는 실수를 구조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계전기가 트립상태임을 관리자가 보다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트립표시부(51), 특히 표시부(55)에는 트립상태를 알리는 문자나 색채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문자나 색채가 동시에 부여될 수도 있다. 즉, '트립'이라는 문자를 표시부(55)에 형성하거나, 표시부(55)를 빨간색 등 관리자에게 쉽게 인식될 수 있는 색으로 도포할 수 있다. 나아가, 표시부(55)에 위와 같은 문자를 부여하면서 그러한 문자가 더욱 부각되도록 하는 색채를 상기 문자의 색으로 부여하거나 배경색으로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어두운 공간에서 계전기가 사용되는 경우 등에 대비하여 위의 표시부(55)에 형광 물질을 도포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트립상태를 관리자에게 명확하게 표시할 뿐만 아니라 계전기가 트립상태임을 인지하지 못한 관리자가 트립표시부를 잘못 조작하여 계전기를 정상상태로 초기화시키는 것을 구조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회전형 트립표시장치를 구비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가 제공된다.

Claims (8)

  1. 주회로의 과전류 발생시 만곡하는 바이메탈과, 만곡하는 상기 바이메탈에 의해 수평이동가능하게 구동접속되는 시프터와, 상기 수평이동하는 시프터에 의해 가압되어 회동가능한 석방레버와, 정상시 대응되는 단자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고 과전류 발생시 상기 석방레버의 회동력에 의해 상기 대응되는 단자에 접촉하는 상태로 반전하는 반전기구를 구비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에 있어서,
    수직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몸체부와, 상기 트립표시기에 회동력을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몸체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한 동력전달부를 구비하며, 상기 반전기구의 일단부에 접속되어, 과전류 발생시 반전하는 상기 반전기구의 일단부에 의해 상승하는 보조홀더와;
    상기 보조홀더와 구동접속되고, 상기 보조홀더로부터의 구동력 전달에 의해 회동하여 트립동작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트립표시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립표시기는 상기 보조홀더의 동력전달부와 계합하여 상기 보조홀더의 승강에 따른 회전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계합부와, 상기 계합부에 연결되어 트립발생 시 상기 계합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하여 외부를 향해 트립발생을 인식할 수 있도록 회전하여 표시해주는 원호형의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립표시기의 계합부는 상기 원호형 표시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1 평면부와, 제 1 평면부와의 사이에 상기 보조홀더의 동력전달부가 계합될 수 있도록 제 1 평면부에 평행하게 소정거리만큼 이격하여 마련되는 제 2 평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홀더의 승하강과 상기 트립표시기의 회전이 원활하게 연동될 수 있도록 상기 계합부의 제 2 평면부의 일단부는 경사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립표시기의 표시부에는 트립상태를 알리는 문자, 색채 중 적어도 하나가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트립표시기의 표시부에는 형광 물질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는 상부 덮개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 덮개에는 상기 트립표시기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해 개구된 표시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덮개에 형성된 표시구상에는 투명 창이 복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KR1020050040319A 2005-05-13 2005-05-13 회전형 트립표시기를 구비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KR100652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319A KR100652238B1 (ko) 2005-05-13 2005-05-13 회전형 트립표시기를 구비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319A KR100652238B1 (ko) 2005-05-13 2005-05-13 회전형 트립표시기를 구비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7780A KR20060117780A (ko) 2006-11-17
KR100652238B1 true KR100652238B1 (ko) 2006-12-01

Family

ID=37705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0319A KR100652238B1 (ko) 2005-05-13 2005-05-13 회전형 트립표시기를 구비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22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67500A (zh) * 2019-10-26 2020-02-07 广东中宝温控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带辅助回弹机构的自动复位突跳式温控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7246A (ja) 2001-02-13 2002-08-23 Fuji Electric Co Ltd 熱動形過負荷継電器
KR200304676Y1 (ko) 2002-11-18 2003-02-15 동아전기공업 주식회사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고정구조
KR100400779B1 (ko) 2001-11-12 2003-10-08 엘지산전 주식회사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오동작 방지구조
KR200343539Y1 (ko) 2003-11-26 2004-03-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KR100475071B1 (ko) 2002-12-14 2005-03-10 엘지산전 주식회사 차단기의 결상신호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7246A (ja) 2001-02-13 2002-08-23 Fuji Electric Co Ltd 熱動形過負荷継電器
KR100400779B1 (ko) 2001-11-12 2003-10-08 엘지산전 주식회사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오동작 방지구조
KR200304676Y1 (ko) 2002-11-18 2003-02-15 동아전기공업 주식회사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고정구조
KR100475071B1 (ko) 2002-12-14 2005-03-10 엘지산전 주식회사 차단기의 결상신호 표시장치
KR200343539Y1 (ko) 2003-11-26 2004-03-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67500A (zh) * 2019-10-26 2020-02-07 广东中宝温控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带辅助回弹机构的自动复位突跳式温控器
CN110767500B (zh) * 2019-10-26 2021-09-17 广东中宝温控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带辅助回弹机构的自动复位突跳式温控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7780A (ko) 2006-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09710B1 (en) Contact mechanism for electric overload relay
EP1429361B1 (en) Phase deficiency display device for molded case circuit breaker
KR100652238B1 (ko) 회전형 트립표시기를 구비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US5910759A (en) Contact mechanism for electronic overload relays
KR200450332Y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온도보상 바이메탈과 석방레버의 결합구조
KR100689321B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CN100419933C (zh) 断路器的热-磁自动分离装置
EP1078384B1 (en) Contact mechanism for electronic overload relays
KR101037777B1 (ko) 테스트 버튼이 형성된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KR101052715B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KR200411507Y1 (ko) 차단기용 트립 감도 조정 기구
KR200411526Y1 (ko) 회전형 트립표시기를 구비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KR200411508Y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KR100516944B1 (ko)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의 연동구조
KR100268014B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KR200411527Y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KR200226336Y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트립장치
KR200218834Y1 (ko) 결상 보호용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시프터와 레버 구조
KR101759597B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US1847922A (en) Circuit interrupter
KR200452521Y1 (ko) 안전커버를 구비한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KR100510711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과부하 계전기
KR200241478Y1 (ko) 열동형과부하계전기
KR100357202B1 (ko) 회로 차단기의 경보 스위치 구동장치
JPH07161278A (ja) 回路遮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