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1735B1 - 가입자망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가입자망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1735B1
KR100651735B1 KR1020050033526A KR20050033526A KR100651735B1 KR 100651735 B1 KR100651735 B1 KR 100651735B1 KR 1020050033526 A KR1020050033526 A KR 1020050033526A KR 20050033526 A KR20050033526 A KR 20050033526A KR 100651735 B1 KR100651735 B1 KR 100651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subscriber
traffic
downlink
up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3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3568A (ko
Inventor
이형일
이정희
이범철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1/294,937 priority Critical patent/US8031682B2/en
Publication of KR20060063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3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1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1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04L47/2441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relying on flow classification, e.g. using integrated services [IntSer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1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by tagging of packets, e.g. using discard eligibility [DE] b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2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by discarding or delaying data units, e.g. packets or frames

Abstract

광대역 가입자망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 및 상/하향 트래픽 처리 방법이 개시된다. 상향 트래픽 처리부는 하향 링크인 가입자 링크들로부터 수신한 패킷들을 가입자 링크별로 저장하고, 가입자 링크별로 저장된 패킷들을 스케줄링하여 상향 링크로 전송한다. 그리고, 하향 트래픽 처리부는 상향 링크로부터 수신한 패킷을 가입자 링크들의 각각과 연결된 방송 버스를 통해 가입자 링크들로 방송하고, 가입자 링크별로 패킷의 전송 여부를 결정한다. 이로써, 상/하향 트래픽이 비대칭인 광대역 가입자망에서 효율적으로 가입자 트래픽을 집선, 스위칭 및 방송할 수 있다.
가입자 링크, 상향 링크, 하향 링크, 방송 버스

Description

가입자망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traffic aggregating/switching in subscriber network and method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망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상향 트래픽 처리부의 구체적인 구성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3a 내지 도 3d는 도 1의 하향 트래픽 처리부의 구체적인 구성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입력 버퍼로부터 방송 버스로의 패킷 전송을 제어하는 방송 버스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 버퍼형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입력 버퍼형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에서 가입자간 트래픽의 처리를 위한 내부 경로를 두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망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의 상향 트래픽 처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망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의 하향 트래픽 처 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가입자망의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향 트래픽이 비대칭인 광대역 가입자 망에서 다양한 대역을 가진 가입자 트래픽을 집선하고 스위칭하는 집선-스위칭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전송 속도는 매년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디지털 방송,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 VOD), 화상 전화, 화상 회의 등의 새로운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도입도 눈앞에 두고 있다. 기존의 데이터 서비스와 함께 음성(Voice over IP, VoIP), 방송 그리고 기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실시간 트래픽을 구별하여 품질 보장(Quality of Service)을 제공함과 더불어 가입자별로 광대역의 전송대역폭을 제공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기존의 가입자망 기술인 전화선을 이용하는 xDSL 기술과 coaxial 케이블을 이용하는 HFC 기술은 1-10Mbps 정도의 대역을 제공하는 기술로는 적당하지만 보다 높은 대역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기술적 난제들이 많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이 요구된다.
새로운 기술로서 주목받고 잇는 것이 이더넷(Ethernet) 기술이다. 이더넷 기술은 이미 기업 시장에서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구축을 위해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관련 부품 및 시스템이 2 계층(Layer 2) 기술들 중에서 가장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되고 있다.
최근에 대단위 아파트 단지 등에서 고속 이더넷(Fast Ethernet, 최대 100Mbps) 기술을 기반으로 근거리 통신망의 구축에 사용되던 이더넷 스위치(Ethernet Switch)를 이용하여 가입자 망을 구성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이더넷 스위치들은 근거리 통신망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가입자 트래픽을 처리하기에 기능 및 성능 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하다.
우선 가입자 트래픽은 비균일한(non-uniform) 목적지 분포를 가진다. 특히, 가입자 망에서는 가입자간 트래픽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하나의 가입자 망에 속한 가입자들은 근거리 통신망에서 연결된 사용자들과는 달리 가입자 간에는 트래픽을 거의 생성하지 않는다.
이것은 가입자 망이 근거리 통신망과 같이 가입자간 통신을 위한 망이 아니라 다수의 가입자들을 상위 망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망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입자 망에는 가입자들로부터 상향 링크로 향하는 상향 트래픽과 상향 링크에서 가입자들로 향하는 하향 트래픽의 주요한 두 가지 트래픽 흐름을 가진다.
또한, 상/하향의 트래픽 흐름들은 비대칭적인(asymmetric) 특징을 가진다. 하향으로는 상향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트래픽이 존재하며 방송(broadcasting) 서비스와 같이 멀티캐스트(multicast) 전송을 요하는 트래픽을 처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향으로는 하향보다는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트래픽이 존재하지만, 다수의 가입자 트래픽이 하나의 상향 링크의 대역을 놓고 경쟁하게 되고 이러한 트래픽을 공평성(fairness)과 우선순위(priority)에 맞게 전송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가 된다.
현재 이더넷 기반 기술의 가입자 망을 구성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이더넷 스위치들은 위에서 기술한 가입자 망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즉, 이더넷 스위치는 모든 사용자간의 트래픽이 균일하면서 대칭적인 근거리 통신망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비균일하고 비대칭적인 가입자 망의 트래픽을 처리하기에는 비효율적이다.
예를 들어, 포트 수가 N인 이더넷 스위치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NxN 스위치 패브릭(switch fabric)이 필요하다. 그러나 가입자 상호간에는 트래픽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는 가입자 망의 특징을 이용하면 동일한 수의 가입자를 수용하기 위해서 약(Nx1 + 1xN)의 스위칭 용량(switchign capacity)이 필요할 뿐이다.
또한 현재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대부분의 이더넷 스위칭 소자들은 공유 버퍼형이나 공유 버스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된 이더넷 스위치의 구조의 일예로는 "Michael V. Lan 외 7인, 'Gigabit Ethernet switches using a shared buffer architectur',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vol. 41, issue 12, pp. 76-84, Dec. 2003"이 있다.
공유 버퍼형이나 공유 버스형 스위치는 포트의 수가 늘어나면 중앙의 버퍼 혹은 버스의 동작 속도가 이에 비례하여 확장되어야 하며 이러한 구성은 많은 가입자를 하나의 소자로 수용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한다.(이와 관련된 설명은, "Nick McKeown, 'The iSLIP scheduling algorithm for input-queued switches", IEEE/ACM Transactions on Networking, vol 7, pp. 188-201, April 1999"에 기술되어 있다.)
또한, 기존의 이더넷 스위치의 경우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해서 목적지의 개수만큼 패킷을 중복해서 전송해야 한다. 따라서 방송 트래픽과 같은 우선순위가 높은 멀티캐스트 트래픽이 스위치 내에서 많은 대역폭을 차지하는 경우에 우선순위가 낮은 기존의 트래픽들은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이 현저히 줄어들어 전송 품질이 나빠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하향 트래픽이 비대칭인 광대역 가입자망에서 버퍼의 효율을 높이고 상/하향 링크의 속도 정합 문제를 해결하여 하나의 장치로 다수의 광대역 가입자에게 효율적으로 집선, 스위칭 및 방송을 수행하는 가입자망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하향 트래픽이 비대칭인 광대역 가입자망에서 버퍼의 효율을 높이고 상/하향 링크의 속도 정합 문제를 해결하여 하나의 장치로 다수의 광대역 가입자에게 효율적으로 집선, 스위칭 및 방송을 수행하는 집선-스위칭 장치의 상/하향 트래픽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망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의 일 실시예는, 하향 링크인 가입자 링크들로부터 수신한 패킷들을 상기 가입자 링크별로 저장하고, 상기 가입자 링크별로 저장된 패킷들을 스케줄링하여 상향 링크로 전송하는 상향 트래픽 처리부; 및 상기 상향 링크로부터 수신한 패킷을 상기 가입자 링크들의 각각과 연결된 방송 버스를 통해 상기 가입자 링크들로 방송하고, 상기 가입자 링크별로 상기 패킷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하향 트래픽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망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의 상향 트래픽 처리 방법의 일 실시예는, 하향 링크인 가입자 링크들로부터 패킷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패킷들을 상기 가입자 링크별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가입자 링크별로 저장된 패킷들을 스케줄링하여 상향 링크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망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의 하향 트래픽 처리 방법의 일 실시예는, 상향 링크로부터 수신한 패킷을 하향 링크인 가입자 링크들의 각각과 연결된 방송 버스를 통해 상기 가입자 링크들로 방송하는 단계; 및 상기 가입자 링크별로 상기 패킷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망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의 가입자간 트래픽 처리 방법의 일 실시예는, 하향 링크인 가입자 링크들로부터 패킷들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패킷들을 상기 가입자 링크별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가입자 링크별로 저장된 패킷들을 스케줄링하여 상향 링크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스케줄링된 패킷의 헤더 정보를 기초로 상기 패킷의 목적지가 상기 가입자 링크들 중 어느 하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패킷의 목적지가 상기 가입자 링크들 중 어느 하나이면, 상기 패킷을 하향 링크인 가입자 링크들의 각각 과 연결된 방송 버스를 통해 상기 가입자 링크들로 방송하는 단계; 및 상기 가입자 링크별로 상기 패킷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써, 상/하향 트래픽이 비대칭인 광대역 가입자망에서 효율적으로 가입자 트래픽을 집선, 스위칭 및 방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망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망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 및 도 3a 내지 도 3d는 각각 도 1의 상향 트래픽 처리부(110) 및 하향 트래픽 처리부(120)의 구체적인 구성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가입자망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는 상향 트래픽 처리부(110) 및 하향 트래픽 처리부(120)로 구성된다. 특히, 도 1의 가입자망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는 가입자 트래픽을 상/하향의 두 가지로 구분하고, 가입자간 트래픽이 거의 존재하는 않는 점을 고려한 일 실시예이다.
먼저, 상향 트래픽 처리 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도 1의 가입자망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는 상향 트래픽과 하향 트래픽을 분리하여 서로 다른 수단(즉, 상향 트래픽 처리부(110) 및 하향 트래픽 처리부(120))을 통해 처리한다. 여기서, 상향 트래픽이란 다수의 가입자로부터 하나 또는 다수의 상향 링크로 향하는 패킷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이러한 트래픽의 흐름은 대 칭적인 스위칭 기능보다는 집선 기능을 요구하며, 특히 가입자 간에 공평한 대역 사용이 보장되어야 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상향 트래픽 처리부의 구체적인 구성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다수의 가입자 링크와 상향 링크를 연결하는 방법으로 도 2a와 같이 공유 버퍼(210)를 사용하는 방식이 있다. 도 2a의 방법은 상향과 하향 트래픽을 분리하여 처리함으로써 하나의 공유 버퍼(210)가 처리하는 패킷의 수를 줄일 수 있지만, 가입자 수가 늘어남에 따라 공유 버퍼(210)의 처리 속도 또한 비례하여 빨라져야 하므로, 결국 이 부분이 집선-스위칭 장치를 확장하는 데 병목 부분이 된다.
다음으로, 도 2b를 살펴보면, 상향 트래픽 처리부(110)는 집선기(multiplexer)(220)와 출력 버퍼(230)로 구성된다. 도 2b의 구성은 입력 측에 버퍼를 만들기 않기 위하여 집선기(220)와 출력 버퍼(230)가 가입자 링크의 전체 대역폭을 합친 것보다 빠르게 동작하여야 한다. 결국, 도 2a의 공유 버퍼(210)를 사용하는 구성과 차이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2c와 같이 다수의 가입자 링크들과 상향 링크를 연결하는 전용의 스케줄러(250)를 사용하는 구성을 사용한다. 도 2c의 구성에 따르면, 입력버퍼(240,242,24k)는 가입자 링크로 도착하는 패킷들을 저장되고, 스케줄러(250)는 가입자들 간의 공평성을 고려하여 입력 버퍼(240,242,24k)에 저장된 패킷들이 상향 링크로 전송되는 순서를 정한다. 도 2c의 구성에 따르면 스케줄러(250)의 동작 속도는 상향 링크의 동작 속도와 같게 결정된다. 따라서, 가입자 링 크의 수가 늘어나도 상향 트래픽 처리부(110) 내에 이와 비례하여 동작 속도가 빨라져야 하는 병목이 존재하지 않으며, 따라서 구현이 용이하고 우수한 확장성을 가진다.
다음으로 하향 트래픽 처리 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하향 트래픽이란 상향 링크로부터 다수의 가입자로 향하는 패킷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또한, 방송(broadcasting) 등과 같은 새로운 서비스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하향으로 멀티캐스트(multicast)되는 트패릭을 성능 저하 없이 처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 3a 내지 도 3d는 도 1의 하향 트래픽 처리부(120)의 구체적 구성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의 구성은 상향 링크로부터 오는 패킷을 다수의 가입자 링크로 전달하기 위하여 공유 버퍼(310)를 사용한다. 이 경우는 도 2a의 상향 트래픽 처리부(1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향과 하향 트래픽을 분리하여 처리함으로써(이더넷 스위치에서와 같이 상/하향의 구분 없이 단일의 공유 버퍼로 모든 트래픽을 처리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하나의 공유 버퍼(310)가 처리하는 패킷의 수를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상향 링크로부터 수신한, 멀티캐스트를 요구하는 패킷은 다수의 가입자 링크로 한꺼번에 전송되어야 함을 고려할 때, 이 공유 버퍼(310)의 동작 속도는 가입자 수가 늘어남에 따라 비례하여 빨라져야 한다. 결국 이 부분이 집선-스위칭 장치를 확장하는데 병목 부분이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성능 저하 없이 처리하기 위하여 도 3b, 도 3c 및 도 3d에 도시된 구성과 같이 방송 버스(330,350,370)를 이용한다. 방송 버스(330,350,370)는 상향 링크로부터 수신한 패킷을 방송 버스(330,350,370)에 연결된 모든 가입자 링크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향 링크로부터 전송된 패킷은 모든 가입자 링크로 우선 전송된다. 그 후, 각각의 가입자 링크에서는 들어온 패킷을 검사하여 이 패킷이 자신을 목적지로 하고 있으면 가입자 링크로 전송하고 그렇지 않으면 버린다.
만일, 상향 링크의 속도가 가입자 링크의 속도보다 빠르면 하향 트래픽 처리부(120) 내에 버퍼가 필요하다. 도 3b, 도 3c 및 도 3d는 방송 버스를 기준으로 이러한 버퍼들의 위치를 다르게 한 구성이다. 상향 링크의 속도가 가입자 링크의 속도보다 빠른 것이 일반적이므로 이러한 구성들을 가정한다.
도 3b의 구성은 방송 버스(330)와 함께 출력 버퍼(230,322,32k)를 사용하는 구성이다. 이 경우 상향 링크로 도착한 패킷들은 무조건 방송 버스(330)로 전송되고 출력 버퍼(320,322,32k)에 저장되었다가 가입자 링크로 전송된다. 도 3b의 구성은 가입자 링크에서 패킷의 목적지를 확인하는 외에 별다른 제어가 필요 없으므로 운용이 간단하다는 이점이 있지만, 멀티캐스트되는 패킷들이 그 수만큼 복사되어 출력 버퍼(320,322,32k)에 저장되므로 버퍼의 효율 측면에서 단점이 있다.
도 3c의 구성은 방송 버스(350)와 함께 입력 버퍼(340)를 사용하는 구성이다. 이 경우는 상향 링크로부터 수신한 패킷들은 일단 입력 버퍼(340)에 저장되고 그 패킷이 가입자 링크로 전송될 수 있을 때 방송 버스(350)를 통해서 가입자 링크로 전송된다. 각각의 가입자 링크는 전송된 패킷의 목적지를 확인하여 그 패킷을 전송할 것인지 아니면 폐기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도 3c의 구성은 버퍼(340)의 효율은 높아지지만 입력 버퍼(340)에 저장된 패킷들을 언제 방송 버스(350)로 전송할 것인가를 계산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에 관하여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d의 구성은 방송 버스(370)와 함께 입력 버퍼(360) 및 출력 버퍼(380,382,38k)를 두는 구성이다. 도 3d의 구성은 도 3b 및 도 3c의 방식을 혼용하여, 입력 버퍼(260)와 출력 버퍼(380,382,38k)의 양을 조절하여 버퍼의 효율과 제어의 복잡성을 조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버퍼의 효율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경우 도 3c 및 도 3d와 같이 하향 입력 버퍼(340,360)를 가지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방송 버스와 가입자 링크 사이에 전송 속도 차이가 있는 경우 이를 고려하여 패킷들을 방송 버스로 전송하는 순서를 정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방송 버스가 가입자 링크와 비교하여 10 배 빠르게 동작한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하나의 가입자 링크에 패킷을 전송하고 나면 그 속도 차이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에는 다시 그 가입자 링크로 패킷을 전송하지 못한다. 즉, 패킷의 길이가 일정하다고 가정하고 하나의 패킷을 전송하는데 t라는 시간이 걸린다면, 하나의 가입자 링크로 패킷을 전송하고 나면 10t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은 이 가입자 링크로 패킷을 전송해서는 안 된다.
도 4는 입력 버퍼로부터 방송 버스로의 패킷 전송을 제어하는 방송 버스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방송 버스부는 목적지 주소 비트 레지스터(410), 각각의 가입자 링크별로 구비된 카운터(400,402,404,406,40k) 및 다수의 논리 연산자로 구성된 패킷 전송 결정부(420,422,424,426,42k,430)를 포함한다.
각각의 카운터(400,402,404,406,40k)는 방송 버스와 가입자 링크의 속도 차이에 따른 패킷 전송의 최대 시간 차이값을 가진다. 어느 가입자 링크로 패킷이 하나 전송되면 그 가입자 링크에 해당하는 카운터(400,402,404,406,40k)는 최대값으로 초기화되며 시간이 진행됨에 따라서 그 값을 감소시킨다. 카운터 값이 0이 되면 카운터는 해당 가입자 링크로 전송이 가능하다는 의미로 0 값을 출력하고, 카운터 값이 0이 아니면 해당 가입자 링크로 전송이 불가능하다는 의미로 1 값을 출력한다.
목적지 주소 비트 레지스터(410)는 방송 버스로 전송할 패킷이 입력 버퍼에 도착하면 우선 이 패킷의 목적지 가입자 링크에 해당하는 주소를 비트 열로 변환하여 저장한다.
패킷 전송 결정부는 해당 가입자 링크에 해당하는 카운터의 출력 값과 목적지 주소 비트 레지스터의 해당 비트를 AND 연산(420,422,424,426,42k)하고, 각 가입자 링크에 대한 AND 연산의 결과를 OR 회로(430)의 입력으로 인가한다. 그리고, 패킷 전송 결정부는 OR 회로(430)의 결과가 0이면 패킷을 전송하고, 만일 1이면 패킷을 전송하지 않고 입력 버퍼에서 대기시킨다.
방송 버스로 전송할 패킷이 멀티캐스트를 원하는 패킷이고 일부의 주소에 관해서는 이 패킷의 전송이 가능하면, 일부의 주소에 대해서만 패킷을 전송하고, 패 킷을 전송하지 못한 나머지 가입자 링크에 해당되는 주소를 다시 목적지 주소 비트 레지스터(410)에 인가하여 하향 입력 버퍼에서 기다리게 할 수 있다. 패킷이 가입자 링크로 전송되면 전송된 가입자 링크에 해당되는(목적지 주소 비트 레지스터 값으로 알 수 있는) 카운터들(400,402,404,426,40k)은 최대값으로 초기화되고 출력 값을 1로 바꾼다.
예를 들어, 카운터들의 출력이 0101이고 목적지 주소 비트 레지스터의 값이 1010이면 이 둘의 비트별 AND 연산의 결과는 0000이 된다. 따라서 이 패킷은 전송이 가능하다. 또 다른 예로, 카운터들의 출력이 1100이고 목적지 주소 비트 레지스터의 값이 1010이면 이 둘의 비트별 AND 결과는 1000이 된다. 따라서 이 패킷은 전송이 불가능하다.
도 3d와 같은 구성의 경우에는 하향 출력 버퍼(380,382,38k)가 존재하므로 상기와 같은 엄격한 계산을 요구하지 않는다. 이 경우에는 상향 링크 쪽에서 패킷을 임의로 전송하다가 하항 출력 버퍼(380,382,38k)가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으로 패킷들이 저장되면 입력 버퍼(360) 쪽으로 신호를 보내 이 가입자 링크로 패킷을 더 이상 보내지 않도록 하는 흐름 제어(flow control) 방식을 이용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 버퍼형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입력 버퍼형 광대역 가입자망의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500)는 상향 트래픽과 하향 트래픽을 분리하여 처리하고, 상향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한 상향 트래픽 처리부(110)는 상향 입력버퍼부들(520,522,52k)과 스케줄러(530) 를 기본 구성요소로 포함하며, 하향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한 하향 트래픽 처리부(120)는 하향 입력 버퍼부(550)와 방송 버스부(56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광대역 가입자망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500)는 상향 대역제한부(510,512,51k), 상향 입력버퍼부(520,522,52k), 스케줄러(530) 및 상향 속도정합 버퍼부(535)를 포함하는 상향 트래픽 처리부(110)와 하향 대역제한부(540), 하향 목적지 구별부(545), 하향 입력버퍼부(550), 하향 스케줄러(555), 방송버스부(560), 패킷선택부(570,572,57k) 및 하향 속도정합 버퍼부(580,582,58k)를 포함하는 하향 트래픽 처리부(120)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 링크에서 상향 링크로 전송되는) 상향 트래픽의 처리 과정을 기술한다.
하나의 가입자 링크를 통해서 패킷이 도착하면, 상향 대역제한부(510,512,51k)은 패킷 헤더 정보를 참조하여 패킷을 분류하고 분류된 트래픽 흐름(traffic flow)에 대해 미리 할당된 대역으로 전송량을 제한한다. 즉, 상향 대역제한부(510,512,51k)는 분류된 트래픽 흐름이 할당된 대역보다 많은 양의 패킷을 보내고 있으면 도착한 패킷을 버린다. 상향 대역제한부(510,512,51k)를 통과한 패킷은 상향 입력버퍼부(520,522,52k)에 저장된다.
상향 입력버퍼부(520,522,52k)에 저장된 패킷들은 스케줄러(530)에 의해 결정된 순서에 따라서 상향 링크의 속도정합 버퍼부(535)로 전송된다. 스케줄러(530)는 상향 대역제한부(510,512,51k)에서 결정된 우선순위와 가입자들 사이의 공평성을 고려하여 전송 순서를 정한다.
상향 속도정합 버퍼부(535)는 본 발명에 따른 집선-스위칭 장치(500)의 내부 전송 속도와 하나 또는 다수의 상향 링크들의 전송 속도 차이를 보상하기 위해서 패킷을 잠시 저장한다.
다음으로 (상향 링크에서 가입자로 전송되는) 하향 트래픽의 처리 과정을 기술한다.
상향 링크로부터 패킷이 도착하면 하향 대역제한부(540)은 패킷 헤더 정보를 참조하여 패킷을 분류하고 분류된 트래픽 흐름(traffic flow)에 대하여 미리 할당된 대역으로 전송량을 제한한다. 즉, 분류된 트래픽 흐름이 할당된 대역보다 많은 양의 패킷을 보내고 있으면 도착한 패킷을 버린다.
하향 목적지 구별부(545)는 하향 대역제한부(540)를 통과한 패킷들의 이더넷 목적지 주소(destination MAC address)를 보고 해당 패킷의 목적지 포트(즉, 가입자 링크)를 결정하고, 결정된 목적지 포트 정보를 간단한 태그(tag) 형태로 패킷에 부착한다. 이 과정에서 해당 패킷이 멀티캐스트 패킷인 경우에는 다수의 목적지를 나타내는 태그를 패킷에 부착한다.
하향 목적지 구별부(545)에 의해서 목적지 포트를 나타내는 태그가 부착된 패킷은 하향 입력 버퍼부(550)에 저장된다. 하향 스케줄러(555)는 하향 입력버퍼부(550)에 저장된 패킷들의 목적지 주소를(도 4에서 제시한 구성을 이용하여) 검사하여 해당 가입자 링크로 전송 가능한 패킷을 찾아서 순서를 정하여 전송한다. 하향 입력 버퍼부(550)로부터 출력된 패킷들은 방송 버스부(560)를 거쳐서 가입자 링크의 패킷 선택부들(570,572,57k)로 한꺼번에 전송된다.
즉, 방송 버스부(560)는 들어온 패킷을 모든 가입자 링크로 방송(broadcasting)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각각의 가입자 링크에 해당하는 패킷 선택부들(570,572,57k)은 도착한 패킷들의 태그를 조사하여 자신의 가입자 링크를 목적지로 하는 패킷들만 선택하여 통과시키고 그렇지 않은 패킷들은 버린다. 패킷 선택부(570,572,57k)에서 선택된 패킷들은 하향 속도정합 버퍼부에 저장된다.
하향 속도정합 버퍼부(580,582,58k)는 본 발명에 따른 집선-스위칭 장치(500)의 내부 전송 속도와 하나 또는 다수의 가입자 링크들의 전송 속도 차이를 보상하기 위해서 패킷을 잠시 저장한다.
도 6은 도 5의 가입자망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에서 가입자간 트래픽의 처리를 위한 내부 경로를 두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입자간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하여 상향 속도정합 버퍼부(535) 앞에 내부 경로 패킷 선택부(610)를 두고 상향 트래픽 중에서 가입자로 향하는 트래픽을 골라서 내부 경로 버퍼부(620)에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내부경로 패킷 선택부(610)는 하향 트래픽에 대한 하향 목적지 구별부(545)와 동일한 라우팅 테이블을 사용한다. 패킷이 스케줄러(530)를 경유하여 내부경로 패킷 선택부(610)에 도착하면, 내부경로 패킷 선택부(610)는 패킷의 목적지 주소를 라우팅 테이블에 참조하여 해당 주소가 존재하면 이 패킷에 목적지를 나타내는 태그(tag)를 붙이고 이를 내부경로 버퍼부(620)에 저장한다. 내부경로 버퍼부(620)에 저장된 패킷은 하향 트래픽과 더불어 방송 버스부(560)를 통해서 각각의 가입자로 전송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망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의 상향 트래픽 처리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집선-스위칭 장치는 하향 링크인 가입자 링크들로부터 수신한 패킷을 트래픽 흐름별로 분류하고, 트래픽 흐름별로 미리 할당된 대역폭에 따라 패킷의 폐기여부를 결정한다(S700).
그리고, 집선-스위칭 장치는 패킷을 가입자 링크별로 저장하고(S710), 패킷들의 출력 순서를 정하여 출력한다(S720). 일반적으로 상향 링크와 하향 링크의 전송 속도는 상이하므로, 집선-스위칭 장치는 상/하향 링크의 전송 속도차이를 보상하기 위해 패킷을 일시 저장한 후(S730), 패킷을 상향 링크로 전송한다(S740).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망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의 하향 트래픽 처리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집선-스위칭 장치는 상향 링크로부터 수신한 패킷을 트래픽 흐름별로 분류하고, 트래픽 흐름별로 미리 할당된 대역폭에 따라 수신한 패킷의 폐기 여부를 결정한다(S800).
집선-스위칭 장치는 폐기되지 않은 패킷의 헤더 정보를 기초로 목적지 가입자 링크에 해당하는 주소를 결정하여 패킷에 부착한다(S810). 그리고, 집선-스위칭 장치는 패킷을 버퍼에 저장하고 스케줄링한다(S820).
모든 가입자 링크들로 패킷을 방송하는 방송 버스와 가입자 링크의 전송 속도는 일반적으로 상이하므로, 집선-스위칭 장치는 전송 속도 차이를 고려하여 버퍼에 저장된 패킷들을 방송 버스를 통해 방송한다(S830).
집선-스위칭 장치는 방송 버스를 통해 출력된 패킷들은 각각의 가입자 링크별로 수신한 패킷의 태그를 검사하여 패킷의 전송 여부를 결정한다(S840). 그리고, 집선-스위칭 장치는 하향 링크와 상향 링크의 속도 차이를 보상하기 위해 패킷을 임시 저장한 후(S850), 하향 링크로 패킷을 전송한다(S860).
본 발명에 따른 스케줄러와 방송 버스부의 동작 속도는 가입자 링크의 수가 늘어나도 변하지 않고 상수값을 가진다. (단지, 상향 링크의 속도나 상향 링크의 수가 증가하는 경우에만 그 속도가 증가한다.) 이것은 본 발명이 상향 트래픽의 처리를 위하여 입력 버퍼를 사용하는 구성을 취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가입자망의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는 가입자 링크의 수가 늘어나도 내부적인 동작 속도가 늘어나지 않으므로 보다 많은 가입자 링크를 하나의 장치로 수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입력 버퍼형 교환기(input-buffered switch)에서 나타나는 고질적인 문제인 버퍼 선두 충돌(Head-of-Line blocking, HOL blocking)과 같은 문제가 없으며 그 제어도 아주 간단하다.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가입자망의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는 상향 및 하향 트래픽을 나누어서 각각의 전송 경로를 미리 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향 입력 버퍼부와 하향 입력 버퍼부는 가입자 링크의 수가 늘어나도 요구되는 메모리 대역폭(memory bandwidth)이 늘어나지 않는다. 이것은 본 발명이 분산된 입력 버퍼 방식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하향으로 입력 버퍼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한번만 저장하는 효과로 인하여 버퍼의 효율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공유 버퍼형의 이더넷 스위치에서보다 품질 보장(Quality of Service, QoS)을 구현하는 것이 용이하다. 공유 버퍼형 이더넷 스위치의 경우에 모든 패킷에 대한 처리 과정이 공유 버퍼의 읽고 쓰는 동작과 연계되어 중앙 집중적으로 처리되어야 하고 모든 입/출력 조합에 대한 트래픽을 가정하여 처리 과정을 설계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N개의 입/출력 포트를 가지는 이더넷 스위치의 경우 최소한 N^2 개의 입/출력 조합에 대해서 논리적인 버퍼들을 관리하고 품질 보장을 이행하여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최소한 2N개의 논리적인 버퍼가 필요하며 상향 입력버퍼부가 관리하는 가입자 링크가 다수인 경우 이를 더 줄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대역 제한이나 흐름 제어와 같은 기능들이 분산된 버퍼별로 분리되어 처리되므로 그 처리 부담이 경감된다. 따라서 품질 보장을 위한 구현 부담이 줄어든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많은 수의 가입자 링크의 상향 트래픽을 가입자간 공평성과 우선 순위를 고려하려 하나 또는 다수의 상향 링크에 집선하고, 하향 트래픽을 다수의 광대역 가입자에게 효율적으로 스위칭 및 방송하며, 특히 하향 입력 버퍼 방식을 사용하여 버퍼의 효율이 높아진 광대역 가입자망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를 사용할 경우, 기존의 이더넷 스위치보다 고성능 및 고집적으로 보다 많은 가입자에게 더 많은 서비스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라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용량의 가입자망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필요한 내부의 교환 용량(switching capacity)이 가입자 링크의 수에 비례하여 증가하지 않고 상향 링크의 대역으로 한정되며, 패킷들을 분산하여 저장 및 처리하므로 메모리의 입/출력 대역이나 패킷 처리 부담도 적다. 그리고, 하향 트래픽을 방송 버스부에서 방송 후 선택(broadcasting and select) 방식으로 처리하므 로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가입자망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는 하향의 멀티캐스트 트래픽이 있을 때 하향 입력 버퍼를 사용하여 버퍼 사용의 효율을 높인다. 이러한 결과로 하나의 광대역 가입자망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를 위해서 필요한 버퍼의 총량이 감소한다. 또한, 다수의 가입자를 수용하는 경우에도 하향 트래픽을 저장하기 위해서 필요한 버퍼의 양은 가입자 수에 비례하여 늘어나지 않으며 따라서 다수의 가입자를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수용할 수 있다.

Claims (21)

  1. 하향 링크인 가입자 링크들로부터 수신한 패킷들을 상기 가입자 링크별로 저장하고, 상기 가입자 링크별로 저장된 패킷들을 스케줄링하여 상향 링크로 전송하는 상향 트래픽 처리부; 및
    상기 상향 링크로부터 수신한 패킷을 상기 가입자 링크들의 각각과 연결된 방송 버스를 통해 상기 가입자 링크들로 방송하고, 상기 가입자 링크별로 상기 패킷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하향 트래픽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망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트래픽 처리부는,
    상기 하향 링크로부터 수신한 패킷들을 상기 가입자 링크별로 저장하는 상향 입력 버퍼부; 및
    상기 상향 입력 버퍼부에 저장된 패킷들의 출력 순서를 결정하는 스케줄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망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트래픽 처리부는,
    상기 하향 링크로부터 수신한 패킷의 헤더 정보를 기초로 상기 패킷을 트래픽 흐름별로 분류하고, 상기 트래픽 흐름별로 할당된 대역폭에 따라 상기 패킷의 폐기 여부를 결정하는 상향 대역 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망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트래픽 처리부는,
    하향 링크의 전송 속도와 상기 상향 링크의 전송 속도의 차이를 보상하기 위해 스케줄링된 패킷을 일시 저장하는 상향 속도 정합 버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망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트래픽 처리부는,
    상기 상향 링크와 상기 가입자 링크들을 연결하는 방송 버스를 통해 상기 상향 링크로부터 수신한 패킷을 상기 가입자 링크들로 방송하는 방송 버스부; 및
    상기 가입자 링크들의 각각에서 상기 패킷의 목적지 주소 값을 기초로 상기 패킷의 전송여부를 결정하는 패킷 선택부; 및
    상향 링크의 전송 속도와 상기 가입자 링크의 전송 속도의 차이를 보상하기 위해 패킷을 일시 저장하는 하향 속도 정합 버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망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트래픽 처리부는,
    상기 상향 링크로부터 수신한 패킷을 저장하는 하향 입력 버퍼부;
    상기 하향 입력 버퍼부와 상기 가입자 링크들을 연결하는 방송 버스를 통해 상기 하향 입력 버퍼부에 저장된 패킷을 상기 가입자 링크들로 방송하는 방송 버스 부; 및
    상기 가입자 링크들의 각각에서 상기 패킷의 목적지 주소 값을 기초로 상기 패킷의 전송여부를 결정하는 패킷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망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버스부는,
    상기 방송 버스의 전송 속도와 상기 가입자 링크의 전송 속도차이를 기초로 상기 패킷의 방송을 상기 가입자 링크별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망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버스부는,
    상기 상향 링크로부터 수신한 패킷의 목적지 가입자 링크에 해당하는 주소 값을 비트 열로 저장하는 목적지 주소 비트 레지스트;
    가입자 링크별로 패킷의 전송 간격 시간을 세는 카운터; 및
    상기 목적지 주소 비트 레지스터의 가입자 링크별 비트 값과 상기 카운터의 가입자 링크별 전송 시간 간격의 경과여부를 기초로 상기 하향 입력 버퍼부에 저장된 패킷을 가입자 링크들로 방송하는 패킷 전송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망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트래픽 처리부는,
    상기 방송 버스의 전송 속도와 상기 가입자 링크의 전송 속도의 차이를 보상하기 위해 상기 방송 버스를 통해 출력된 패킷을 상기 가입자 링크별로 일시 저장하는 속도 정합 버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망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트래픽 처리부는,
    상기 입력 버퍼부에 저장된 패킷들의 출력 순서를 결정하는 하향 스케줄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망 트래픽 집선-스위치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트래픽 처리부는,
    상기 상향 링크로부터 수신한 패킷의 헤더 정보를 기초로 상기 패킷을 트래픽 흐름별로 분류하고, 상기 트래픽 흐름별로 할당된 대역폭에 따라 상기 패킷의 폐기 여부를 결정하는 하향 대역 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망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트래픽 처리부는,
    상기 상향 링크로부터 수신한 패킷의 목적지 주소를 기초로 패킷의 목적지 가입자 링크에 해당하는 주소를 결정하는 하향 목적지 구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망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트래픽 처리부로부터 출력된 패킷의 헤더 정보를 기초로 상기 패킷의 목적지가 상기 가입자 링크들 중 어느 하나인지를 판단하는 내부 경로 패킷 선택부; 및
    상기 패킷의 목적지가 상기 가입자 링크들 중 어느 하나이면 상기 패킷을 상기 하향 트래픽 처리부로 전송하기 위해 저장하는 내부 경로 버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망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
  14. 하향 링크인 가입자 링크들로부터 패킷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패킷들을 상기 가입자 링크별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가입자 링크별로 저장된 패킷들을 스케줄링하여 상향 링크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망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의 상향 트래픽 처리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수신 단계는,
    상기 하향 링크로부터 수신한 패킷의 헤더 정보를 기초로 상기 패킷을 트래픽 흐름별로 분류하고, 상기 트래픽 흐름별로 할당된 대역폭에 따라 상기 패킷의 폐기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망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의 상향 트래픽 처리 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하향 링크의 전송 속도와 상기 상향 링크의 전송 속도의 차이를 보상하기 위해 스케줄링된 패킷을 일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가입자망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의 상향 트래픽 처리 방법.
  17. 상향 링크로부터 수신한 패킷을 하향 링크인 가입자 링크들의 각각과 연결된 방송 버스를 통해 상기 가입자 링크들로 방송하는 단계; 및
    상기 가입자 링크별로 상기 패킷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망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의 하향 트래픽 처리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방송 단계 전에,
    상기 상향 링크로부터 수신한 패킷의 헤더 정보를 기초로 상기 패킷을 트래픽 흐름별로 분류하고, 상기 트래픽 흐름별로 할당된 대역폭에 따라 상기 패킷의 폐기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폐기되지 않은 패킷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망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의 하향 트래픽 처리 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방송 단계는,
    상기 상향 링크로부터 수신한 패킷의 목적지 가입자 링크에 해당하는 주소 값을 비트 열로 저장하는 단계;
    가입자 링크별로 패킷의 전송 간격 시간을 세는 단계; 및
    상기 목적지 주소 비트 레지스터의 가입자 링크별 비트 값과 상기 카운터의 가입자 링크별 전송 시간 간격의 경과여부를 기초로 상기 패킷을 가입자 링크들로 방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망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의 하향 트래픽 처리 방법.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버스의 전송 속도와 상기 가입자 링크의 전송 속도의 차이를 보상하기 위해 상기 방송 버스를 통해 출력된 패킷을 상기 가입자 링크별로 일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망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의 하향 트래픽 처리 방법.
  21. 하향 링크인 가입자 링크들로부터 패킷들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패킷들을 상기 가입자 링크별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가입자 링크별로 저장된 패킷들을 스케줄링하여 상향 링크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스케줄링된 패킷의 헤더 정보를 기초로 상기 패킷의 목적지가 상기 가입자 링크들 중 어느 하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패킷의 목적지가 상기 가입자 링크들 중 어느 하나이면, 상기 패킷을 하향 링크인 가입자 링크들의 각각과 연결된 방송 버스를 통해 상기 가입자 링크들 로 방송하는 단계; 및
    상기 가입자 링크별로 상기 패킷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망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의 가입자간 트래픽 처리 방법.
KR1020050033526A 2004-12-07 2005-04-22 가입자망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 및 그 방법 KR100651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294,937 US8031682B2 (en) 2004-12-07 2005-12-06 Apparatus and method for aggregating and switching traffic in subscriber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2509 2004-12-07
KR20040102509 2004-1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3568A KR20060063568A (ko) 2006-06-12
KR100651735B1 true KR100651735B1 (ko) 2006-12-01

Family

ID=37159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3526A KR100651735B1 (ko) 2004-12-07 2005-04-22 가입자망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173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3568A (ko) 2006-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3865B2 (en) Combined hardware/software forwarding mechanism and method
EP0993152B1 (en) Switching device with multistage queuing scheme
US6674760B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end-to-end QoS in packet-switched networks
US9276870B2 (en) Switching node with load balancing of bursts of packets
US7046665B1 (en) Provisional IP-aware virtual paths over networks
US7298754B1 (en) Configurable switch fabric interface bandwidth system and method
US7983295B2 (en) Optimizing packet queues for channel bonding over a plurality of downstream channels of a communications management system
US6981054B1 (en) Flow control arrangement in a network switch based on priority traffic
US8416795B2 (en) Ethernet switching
US20040264472A1 (en) Method and system for open-loop congestion control in a system fabric
US20080196033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network data
US20110019544A1 (en) Systems for scheduling the transmission of data in a network device
JP2006506845A (ja) ルータにおけるパケットに対し論理リンクを選択する方法
US7623453B2 (en) Aggregation switch apparatus for broadband subscribers
US6947380B1 (en) Guaranteed bandwidth mechanism for a terabit multiservice switch
US803168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ggregating and switching traffic in subscriber network
US9197438B2 (en) Packet forwarding node
US8218440B2 (en) High speed transmission protocol
US11728893B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packet transmission
KR100651735B1 (ko) 가입자망 트래픽 집선-스위칭 장치 및 그 방법
US7376140B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ignment of ATM virtual circuits to queues in a DSLAM
KR100582554B1 (ko) 통신과 방송의 융합 서비스를 위한 액세스 시스템
Mancas et al. APPROACHES FOR PROVIDING QUALITY OF SERVICE IN MULTIMEDIA NETWORKS
Gebali et al. Switches and Routers
JPH11191778A (ja) 中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