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1547B1 - Menu wall paper display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Menu wall paper display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1547B1
KR100651547B1 KR1020050116040A KR20050116040A KR100651547B1 KR 100651547 B1 KR100651547 B1 KR 100651547B1 KR 1020050116040 A KR1020050116040 A KR 1020050116040A KR 20050116040 A KR20050116040 A KR 20050116040A KR 100651547 B1 KR100651547 B1 KR 100651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background
image
key
z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60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명환
홍노경
이창훈
강태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6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154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1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15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Abstract

A method for displaying a menu background scree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to offer a user the zoomed menu background screen by making the menu background screen zoomed in/out, thereby enabling the user to have fun when the user us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roviding a background screen with dynamic menu. A method for displaying a menu background scree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of: displaying an image as the menu background screen corresponding to a tile area among images corresponding to an arbitrary background layer if a menu selection mode is set up(201); displaying an image as the menu background screen corresponding to the arbitrary tile area of an image having a zoom scale of a next step of the displayed menu background image by changing a background layer if background zoom-in key input is sensed(205~209); displaying an image as the menu background screen corresponding to the arbitrary tile area of an image having a zoom scale of a previous step of the currently displayed menu background image by changing the background layer if background zoom-out key input is sensed(205~209).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의 메뉴 배경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MENU WALL PAPER DISPLAY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How to display the menu backgroun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ENU WALL PAPER DISPLAY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의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2는 메뉴 선택 모드시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의 일반적인 레이어 구조를 나타낸 도면,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general layer structure of a screen displayed in a menu selection mode;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라 메뉴 선택 모드하에서 메뉴 배경 화면을 구성하는 레이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3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layer constituting a menu background screen under a menu selection mod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근 메뉴 배경 화면 설정 과정을 나타낸 도면,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erspective menu wallpaper sett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원근 메뉴 배경 화면 제공 과정을 나타낸 도면,5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menu wallpaper provid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뉴 선택 모드의 표시화면을 나타낸 도면. 6 is a view showing a display screen of the menu selecti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뉴 선택 모드하에서 제공되는 메뉴 배경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displaying a menu background screen provided under a menu selection mode.

이동 통신 단말의 사용이 일상화되면서, 이동 통신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더욱더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이동 통신 단말에서 제공되는 각종 기능에 대응되는 메뉴 리스트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메뉴 선택 모드에서 메뉴 리스트를 제공하는 방식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하나로써, 텍스트 형태의 제공 방식과 그래픽 형태의 제공 방식으로 분류되어질 수 있다. As the u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ecomes more common, the user interfa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being developed more variously. A method of providing a menu list in a menu selection mode in which a user selects a desired menu by providing a menu list corresponding to various functions provided b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lso one of the user interfaces. Can be categorized into a form of presentation.

일반적으로 그래픽 형태의 제공 방식에 따라 메뉴 리스트를 제공하는 경우 메뉴 선택 모드시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은 임의의 이미지로 이루어진 메뉴 배경 이미지와, 이동 통신 단말에 저장된 다수의 메뉴들중 가장 상위에 속하는 메뉴로 이루어진 메뉴 리스트와, 상기 메뉴 리스트 중 현재 임시로 선택된 메뉴 아이콘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임의의 메뉴가 임시로 선택되어 대응하는 메뉴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확정 선택을 요구하는 키입력등이 발생하면, 임시 선택된 메뉴가 확정 선택되어 상기 메뉴의 세부 메뉴 리스트가 제공되거나, 해당 기능이 실행된다. 이때, 통상적으로 상기 배경 화면은 하나의 이미지로 구성되어 임시 선택되는 메뉴의 변화와 상관없이 고정적인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메뉴 리스트를 구성하는 메뉴에 대응되는 각기 다른 이미지로 구비하여 임시 선택되는 메뉴가 변화되면 대응하는 이미지가 배경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된다.In general, in the case of providing a menu list according to the method of providing a graphic form, the screen displayed in the menu selection mode is composed of a menu background image composed of an arbitrary image and a menu belonging to the top of a plurality of menus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nu list and a menu icon currently selected temporarily from the menu list. When a certain menu is temporarily selected and a corresponding menu icon is displayed, and a key input requesting a confirmation selection is generated from the user, the temporary selected menu is determined and selected to provide a detailed menu list of the menu, or The function is executed. In this case, the background screen is typically configured to display a fixed image irrespective of a change of a menu temporarily selected as one image, or to be temporarily selected by providing different images corresponding to the menu constituting the menu list. When the menu is changed, the corresponding image is configured to be displayed as the background screen.

그런데 상기와 같이 다양한 배경 이미지가 제공되더라도, 단조로운 패턴이 반복됨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 사용에 있어 사용자가 지루함을 느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동적인 메뉴 배경 화면 제공 방식이 필요한다. However, even when various background images are provided as described above, as the monotonous pattern is repeated, the user may feel bored when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dynamic menu background providing method that can induce user interes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메뉴 배경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displaying a menu background screen that may cause interest of a user.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동적인 메뉴 배경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displaying a dynamic menu wallpaper to a user.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근 메뉴 배경 화면 설정 요구에 따라 상기 임의의 이미지의 소정의 일부 영역에 대한 다수의 단계별 확대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다수의 단계별 확대 이미지와 상기 임의의 이미지를 각각 미리 정해진 개수의 타일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각 이미지를 확대 배율에 따라 순차적 배경 레이어로 저장하는 과정과, 메뉴 선택 모드가 설정되면 임의의 배경 레이어에 대응하는 이미지 중 임의의 타일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메뉴 배경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배경 줌 인 키 입력이 감지되면 배경 레이어를 변경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된 메뉴 배경 이미지 다음 단계의 확대 배율을 가지는 이미지의 임의 의 타일 영역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메뉴 배경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배경 줌 아웃 키 입력이 감지되면 배경 레이어를 변경하여 상기 현재 디스플레이된 메뉴 배경 이미지 이전 단계의 확대 배율을 가지는 이미지의 임의의 타일 영역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메뉴 배경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tepped magnified images of a predetermined partial region of the arbitrary image are generated according to a perspective menu wallpaper setting request, and the plurality of stepped magnified images and the arbitrary image are generated. Dividing into a predetermined number of tile areas, and storing each image as a sequential background layer according to an enlargement magnification, and when a menu selection mode is set, corresponding to any tile area among images corresponding to an arbitrary background layer Displaying an image as a menu background screen, and when a background zoom-in key input is detected, the background layer is changed to display an image corresponding to an arbitrary tile area of the image having the magnification of the next step of the displayed menu background image. With the process of displaying as wallpaper, the background zoom out key in And when the force is detected, changing the background layer to display an image corresponding to an arbitrary tile area of the image having the magnification of the previous step of the currently displayed menu background image as a menu background scree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Note that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re represen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symbo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먼저,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1을 참조하여, 이동 통신 단말은 제어부(11), 메모리부(13), 디스플레이장치(15), 키입력부(17), 베이스밴드처리부(19), RF(Radio Frequency) 모듈(21), 음성처리부(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First,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Referring to FIG. 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control unit 11, a memory unit 13, a display device 15, a key input unit 17, a baseband processing unit 19, an RF (Radio Frequency) module 21, It includes a voice processing unit 23.

상기 제어부(11)는 이동 통신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The controller 11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5)는 각종 화상 정보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 또는 메모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을 제어부(11)의 제어에 의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The display device 15 displays various image information and images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or stored in the memory unit 13 on the scree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

상기 키 입력부(17)는 *, #키,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이 구비하는 여러 가지 기능에 대응되게 메뉴(menu), 선택, 통화, 지움, 전원/종료, 볼륨(volume), 촬영 등 다수 기능키와. 상향키, 하향키, 우향키, 좌향키로 구성되는 방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1)에 제공한다. 그리고 키 입력부(17)는 0 ~ 9의 각 숫자가 할당되고, 각 숫자가 할당된 키에 다수의 한글 또는 영문자가 할당된 문자키를 구비한다. The key input unit 17 has a number of function keys such as *, # keys, and menus, selections, calls, deletions, power / end, volume, and shooting to correspond to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ow. Direction keys including up key, down key, right key, and left key are provided, and the controller 11 provides key input data corresponding to a key pressed by the user. In addition, the key input unit 17 includes a character key to which each number of 0 to 9 is assigned, and a plurality of Korean or English characters are assigned to the key to which each number is assigned.

상기 RF 모듈(21)은 안테나를 통해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데, 베이스밴드 처리부(19)를 통해 제어부(11)로부터 입력되는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RF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신호를 복조하여 베이스밴드 처리부(19)를 통해 제어부(11)에 제공한다. 베이스밴드 처리부(19)는 RF 모듈(21)과 제어부(11)간에 송,수신되는 베이스밴드 신호를 처리 한다.The RF module 21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with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an antenna. The RF module 21 modulates a signal to be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11 through the baseband processor 19 and transmits an RF signal through the antenna. In addition, the RF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is demodulated and provided to the controller 11 through the baseband processor 19. The baseband processor 19 processes baseband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RF module 21 and the controller 11.

제어부(11)와 연결된 상기 음성처리부(23)와, 음성처리부(23)에 접속된 마이크(MIC) 및 스피커(SPK)는 전화 통화 및 음성 녹음에 사용된다. The voice processing unit 23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1 and the microphone MIC and the speaker SPK connected to the voice processing unit 23 are used for phone calls and voice recording.

상기 메모리부(13)는 제어부(11)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참조 데이터,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 등을 저장하며, 제어부(11)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제공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원근 메뉴 배경 화면 설정과 관련된 프로그램 데이터와, 메뉴 배경 이미지로 설정 가능한 다수의 이미지를 저장한다. 상기 원근 메뉴 배경 화면이란 본 발명에 따라 메뉴 선택 모드시 제공되는 메뉴 배경 화면에서 원근감이 느껴지도록 배경 이미지가 디스플레되는 화면이다. 즉, 원근 메뉴 배경 화면이 설정되면 메뉴 선택 모드하에서 입력되는 키에 대응하 여 배경 이미지의 일부 영역이 줌 인(zomm in) 또는 줌 아웃(zoom out)되어 메뉴 배경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것이다. The memory unit 13 stores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11, reference data, various kinds of updatable storage data, and the like, and is provided as a working memory of the control unit 11. Program data related to the perspective menu background set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lurality of images that can be set as the menu background image are stored. The perspective menu background screen is a screen on which a background image is displayed to feel a perspective on a menu background screen provided in a menu selection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when the perspective menu background screen is set, a portion of the background image is zoomed in or zoomed out in correspondence to the key input in the menu selection mode and displayed as the menu background screen.

상기 메뉴 선택 모드란 이동 통신 단말에서 제공되는 각종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들의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임의의 메뉴를 선택함에 따라 선택된 메뉴에 대응되는 기능이 이동 통신 단말에 설정, 수행되게 하는 모드이다. 상기 메뉴 선택 모드는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에 구비되는 메뉴키 입력에 따라 설정되며, 메뉴키 입력시 이동 통신 단말에서 제공하는 표시화면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레이어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2는 메뉴 선택 모드시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의 일반적인 레이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2를 참조하여, 메뉴 선택 모드 하에서 표시화면에는 메뉴 배경 화면과 관련된 제1레이어(31)와, 메뉴를 나타내는 메뉴 아이콘과 관련된 제2레이어(33)와, 표시 화면을 더욱 풍부하게 장식하는 부가적인 이미지와 관련된 제3레이어(35)가 동시에 디스플레이된다. The menu selection mode provides a list of menus corresponding to various functions provided b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user, and set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enu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the user selects an arbitrary menu. Mode. The menu selection mode is generally set according to a menu key input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display screen provi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menu key is inpu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as shown i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general layer structure of a screen displayed in a menu selection mode. Referring to Fig. 2, under the menu selection mode, the display screen has a first layer 31 associated with the menu background screen, a second layer 33 associated with a menu icon representing the menu, and an additional richer decoration of the display screen. The third layer 35 associated with the conventional image is displayed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은 상기 제1레이어(31)를 구성하는 메뉴 배경 화면을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원근 배경 화면으로 설정하고, 메뉴 선택 모드 설정시 상기 원근 배경 화면 설정에 따라 메뉴 배경 화면을 구성하는 배경이미지를 줌 인 또는 줌 아웃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원근감이 느껴지도록 메뉴 배경 화면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sets a menu background screen constituting the first layer 31 as the perspective wallpaper according to a user selection, and sets a background image constituting a menu wallpaper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wallpaper setting when a menu selection mode is set. It provides a menu wallpaper for perspective by zooming in or out.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이동 통신 단말에서 원근 메뉴 배경 화면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3과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라 메뉴 선택 모드하에서 메뉴 배경 화면을 구성하는 레이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근 메뉴 배경 화면 설정 과정을 나타 낸 도면이다. A process of setting the perspective menu background scree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as follows. 3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layer constituting a menu background screen under a menu selecti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menu background sett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4를 참조하여, 이동 통신 단말이 제어부(11)는 101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원근 메뉴 배경 화면 설정 요구가 있으면 103단계로 진행한다. 103단계에서 제어부(11)는 미리 저장된 이미지들중 원근 메뉴 배경 화면으로 설정 가능한 이미지의 리스트를 제공하고 105단계로 진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근 메뉴 배경 화면은 하나의 이미지 의 일정 영역을 단계별로 확대하여 제공하는 것이기 때문에, 원근 메뉴 배경 화면으로 설정될 배경 이미지는 일정정도 이상의 해상도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103단계에서 제어부(11)는 이동 통신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이미지중, 미리 정해진 해상도 이상의 해상도를 가지는 이미지들이 리스트를 제공한다. 이때, 제공되는 이미지들은 이동 통신 단말에 디폴트로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는 물론, 이동 통신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어 저장되는 이미지가 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4,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quests a perspective menu background setting request from the user in step 101, the controller 11 proceeds to step 103. In step 103, the controller 11 provides a list of images that can be set as a perspective menu background screen among pre-stored images, and the flow proceeds to step 105. Since the perspective menu wallpa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large and provide a predetermined region of one image step by step, the background image to be set as the perspective menu wallpaper should have a certain resolution or more. Accordingly, in step 103, the controller 11 provides a list of images having a resolution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solution among a plurality of images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is case, the provided images may be images that are photographed and stored by a camera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well as an image stored by defaul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한편, 105단계에서 제어부(11)는 상기 105단계에서 제공된 이미지 리스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의 소정의 제1영역을 미리 정해진 크기의 이미지가 되도록 확대하고, 제1영역에 포함되는 소정의 제2영역을 상기 미리 정해진 크기의 이미지가 되도록 확대하여 다수의 단계별 확대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선택된 이미지와 상기 다수의 단계별 확대 이미지 각각을 n개의 타일 영역으로 분할한 후 107단계로 진행한다. In operation 105, the controller 11 enlarges a predetermined first area of the image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image list provided in step 105 to be an imag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includes a predetermined second area included in the first area. An area is enlarged to be an imag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to generate a plurality of stepped enlarged images, and the selected image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stepped enlarged images are divided into n tile areas, and the flow proceeds to step 107.

다시 말해 제어부(11)는 상기 선택된 이미지 상에서 미리 설정된 일부 영역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미리 정해진 크기로 확대하고, 상기 확대된 일부 영역에 포 함되는 다른 일부 영역을 미리 정해진 크기로 확대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써, 선택된 이미지와 관련되는 단계별로 확대된 이미지들을 생성하는 것이다. 이때 생성되는 확대 이미지의 개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달라 질 수 있으며, 이러한 이미지들은 모두 배경 이미지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도3을 참조하여, 두 개의 확대 이미지를 생성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3에서 꽃밭과, 언덕과, 숲과, 하늘을 포함하는 제1이미지(71)는 상기 선택된 이미지, 즉 원본 이미지에 해당된다. 그리고 제2이미지(73)는 상기 제1이미지(71)의 일부 영역, 즉, 숲이 포함되는 일부 영역이 상기 제1이미지(71)의 크기만큼 확대되어 생성된 확대 이미지로서, 숲과 서너 송이의 꽃, 하늘, 나무 가지를 포함하는 이미지이다. 그리고 제3이미지(75)는 상기 제2이미지(71)의 일부 영역, 즉, 꽃과, 하늘, 나무 가지의 일부가 포함되는 영역이 상기 제1이미지(71)의 크기만큼 확대되어 생성된 확대 이미지로서, 확대된 한 송이의 꽃과 하늘과 확대된 나무 가지의 일부로 이루어진다. 실질적으로 제3이미지(75)는 상기 제2이미지(71)로 확대된 상기 제1이미지(71)의 일부 영역에 포함된 소정의 영역이 확대된 이미지이다. In other words, the controller 11 repeats a process of enlarg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partial region on the selected image to a predetermined size and enlarging another partial region included in the enlarged partial region to a predetermined size. By doing so, it is to generate the enlarged images in stages associated with the selected image. In this case, the number of magnified images generated may va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images are all included in the background image.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in which two enlarged images are generat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In FIG. 3, the first image 71 including the flower garden, the hill, the forest, and the sky corresponds to the selected image, that is, the original image. The second image 73 is an enlarged image generated by expanding a portion of the first image 71, that is, a region including a forest, by the size of the first image 71. Image containing flowers, sky and tree branches. In addition, the third image 75 is an enlargement generated by expanding a portion of the second image 71, that is, a region including a part of a flower, the sky, and a tree branch by the size of the first image 71. As an image, it consists of an enlarged flower, part of the sky, and an enlarged tree branch. The third image 75 is an image in which a predetermined area included in a portion of the first image 71 enlarged to the second image 71 is enlarged.

이후, 제어부(11)는 상기와 같이 생성된 확대 이미지(73, 75)와 상기 선택된 이미지(71) 각각을 n개의 타일 영역으로 분할한다. 예를 들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이미지를 각각 3개의 타일 영역으로 분할한다. 이에 따라 제1이미지(71)는 제7, 8,9 타일 영역(63,65,67)으로 분할되고, 제2이미지(73)는 제4,5,6 타일 영역(57,59,61)으로 분할되고, 제3이미지(75)는 제1,2,3 타일 영역(51,53,55)으로 분할된다. 이렇게 분할된 타일 영역 단위로 하나의 전체 이미지가 본 발명에 따 라 메뉴 배경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된다. Thereafter, the controller 11 divides each of the enlarged images 73 and 75 and the selected image 71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into n tile area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one image is divided into three tile regions. Accordingly, the first image 71 is divided into seventh, eighth and ninth tile regions 63, 65 and 67, and the second image 73 is the fourth, fifth and sixth tile regions 57, 59 and 61. The third image 75 is divided into first, second and third tile areas 51, 53, and 55. One whole image is displayed as a menu background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units of tile regions thus divided.

이후, 제어부(11)는 107단계에서 각 이미지를 확대 배율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경 레이어로 저장하고, 메뉴 임시 선택 변경키 각각에 줌 인, 줌 아웃, 스크롤 키 데이터를 할당하여 원본 메뉴 배경 화면을 설정을 완료한다. In operation 107, the controller 11 sequentially stores each image as a background layer according to an enlargement ratio, and assigns zoom-in, zoom-out, and scroll key data to each menu temporary selection change key to set the original menu wallpaper. To complete.

다시 말해 원본 이미지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확대 이미지들은 원본 이미지의 일부 영역을 서로 다른 배율로 확대한 이미지이기 때문에, 저 배율로 확대된 이미지부터 고 배율로 확대된 이미지 순으로 각각 레이어를 구분하여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제어부(11)는 원본 이미지와 확대 이미지를 확대 배율에 따라 순차적 배경 레이어로 저장한다. 도3의 예에서는 상기 제1이미지(71)가 제3-1배경 레이어로 저장되고, 상기 제2이미지(73)가 제3-2배경 레이어로 저장되고, 상기 제3이미지(75)가 제3-3배경 레이어로 저장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어부(11)는 메뉴 선택 모드하에서 메뉴의 임시 선택 상태를 변경하는 키들 각각에 줌 인 키 데이터, 줌 아웃 키데이터, 좌향 스크롤 키 데이터, 우향 스크롤 키 데이터를 할당한다. 상기 메뉴의 임시 선택 상태를 변경하는 키는 일반적으로 방향키가 이용되며, 이에 따라 줌 인/아웃 키 데이터는 각각 상향키와 하향키에 할당되고, 좌향/우향 스크롤 키 데이터는 각각 좌향키와 우향키에 할당된다. 상기와 같이 키 데이터가 할당됨으로써 제어부(11)는 메뉴 선택 모드에서 방향키의 입력을 감지하여, 메뉴 배경 화면을 줌 인, 줌 아웃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when the original image is enlarged, the enlarged images are enlarged images of some areas of the original image at different magnifications, so that the layers are stored in order from the low magnification image to the high magnification image. It is possible to do Accordingly, the controller 11 stores the original image and the enlarged image as sequential background layers according to the magnification. In the example of FIG. 3, the first image 71 is stored as a 3-1 background layer, the second image 73 is stored as a 3-2 background layer, and the third image 75 is stored in a third layer. It is saved as 3-3 background layer. The controller 11 allocates zoom in key data, zoom out key data, left scroll key data, and right scroll key data to each of the keys for changing the temporary selection state of the menu under the menu selection mode. As a key for changing the temporary selection state of the menu, a direction key is generally used. Accordingly, zoom in / out key data is assigned to an up key and a down key, respectively, and left and right scroll key data are respectively used for a left and right key. Is assigned to. As the key data is allocated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11 detects the input of the direction key in the menu selection mode, and zooms in and out the menu background screen for display.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설정된 원근 메뉴 배경 화면이 메뉴 선택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과정을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원 근 메뉴 배경 화면 제공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The perspective process of the perspective menu background screen set as described above in the menu selection m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5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menu background provid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를 참조하여, 메뉴 선택 모드가 설정되면 제어부(11)는 201단계에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메뉴 리스트와 현재 임시 선택된 메뉴 아이콘과 배경 이미지의 임의의 타일 영역에 해당하는 배경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뉴 선택 모드의 표시화면을 나타낸 도면으로, 제어부(11)는 메뉴키 입력을 감지하면 메뉴 화면(80)과 같은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Referring to FIG. 5, when the menu selection mode is set, the controller 11 displays a background screen corresponding to an entire tile list and a tile area of a currently temporarily selected menu icon and a background image as shown in FIG. 6 in step 201. Display.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screen of a menu selection mod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troller 11 detects a menu key input, the controller 11 displays a screen such as the menu screen 80.

이후, 203단계에서 제어부(11)는 임시 선택된 메뉴를 변경하는 키 입력이 있는지 확인하여, 임시 선택 메뉴를 변경하는 키 입력이 있으면 205단계로 진행하고, 임시 선택 메뉴를 변경하는 키 입력이 아니면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임시 선택 메뉴 변경키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방향키이다. 207단계에서 제어부(11)는 키입력에 따라 줌 인/아웃 키 데이터가 발생하는지 확인하여 줌 인/아웃 키 데이터가 발생하면 207단계로 진행하고, 줌 인/아웃 키 데이터가 발생하지 않으면 211단계로 진행한다. 즉, 방향키 중 상향키 또는 하향키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1)는 207단계로 진행한다. 207단계에서 제어부(11)는 발생하는 줌/인 아웃 키 데이터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배경 레이어를 변경하고 209단계로 진행한다. 209단계에서 제어부(11)는 변경된 레이어에 대응하는 확대 이미지의 임의의 타일 영역에 해당하는 배경 화면과 전체 메뉴 리스트와 현재 임시 선택된 메뉴 아이콘 디스플레이한다. In step 203, the controller 11 checks whether there is a key input for changing the temporarily selected menu, and if there is a key input for changing the temporary selection menu, the controller 11 proceeds to step 205. Perform the action. The temporary selection menu change key is a direction ke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207, the control unit 11 checks whether the zoom in / out key data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key input, and if the zoom in / out key data is generated, proceeds to step 207, and if the zoom in / out key data does not occur, step 211 Proceed to That is, if an up key or down key input is detected among the direction keys, the controller 11 proceeds to step 207. In step 207, the control unit 11 sequentially changes the background layer in response to the generated zoom / in-out key data, and proceeds to step 209. In operation 209, the controller 11 displays a background screen, an entire menu list, and a currently temporarily selected menu icon corresponding to an arbitrary tile area of the enlarged image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layer.

도3을 참조 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어부(11)가 메뉴키 입력에 따라 상기 제5타일영역(57)을 메뉴 배경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201단계), 상향 키가 입력되면(203단계), 줌 인 키 데이터가 발생한다(205단계). 이에 따라 제어부(11)는 배경 레이어를 현재 메뉴 배경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된 이미지 보다 확대된 이미지가 속하는 배경 레이어로 변경한다. 즉, 상기 제5타일영역(57)은 상기 제3화면(75)의 일부 영역이므로, 제어부(11)는 배경 레이어를 제3-2배경 레이어에서 제3-3배경 레이어로 변경한다(207단계). 그리고 제3-3배경 레이어에 속하는 제3이미지(75)에서, 상기 제5타일영역(57)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제2타일영역(53)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배경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메뉴 배경 화면의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5타일영역(57)에 해당하는 이미지에서 상기 제2타일영역(53)에 해당하는 이미지로 불연속적으로 교체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아니라 연속적인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제5타일영역(57)에서 점차적으로 줌 인되어 제2타일영역(53)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배경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이다. 그리고 임시 선택된 메뉴 아이콘도 상기 상향키의 입력에 대응하면 변경된 메뉴에 대응하는 아이콘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된다(209단계). Referring to FIG. 3, for example, when the controller 11 displays the fifth tile area 57 as a menu background screen according to a menu key input (step 201), when an up key is input ( In step 203, zoom-in key data is generated (step 205).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1 changes the background layer to a background layer to which the enlarged image belongs to rather than the image displayed as the current menu background screen. That is, since the fifth tile area 57 is a partial area of the third screen 75, the controller 11 changes the background layer from the 3-2 background layer to the 3-3 background layer (step 207). ). In addition, in the third image 75 belonging to the third-3 background layer,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ile area 53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fth tile area 57 is displayed as a background screen. In this case, the display of the menu background screen may be configured to be displayed as a continuous image instead of being discontinuously replaced with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ile region 53 from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fth tile region 57. Can be. That i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ile area 53 is gradually zoomed in in the fifth tile area 57 to be displayed as a background screen. If the temporarily selected menu icon also corresponds to the input of the up key, the menu icon is changed to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menu and displayed (step 209).

다른 예로, 제어부(11)는 상기 제5타일영역(57)을 메뉴 배경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하향키의 입력을 감지하면, 줌 아웃 키데이터가 발생하고 상기와 같은 유사한 과정에 따라 제1이미지(51)의 제8타일영역(65)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메뉴 배경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역시 제5타일영역(57)에 해당하는 이미지에서 점차적으로 줌 아웃되어 제8타일영역(65)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디시플레이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the controller 11 displays the fifth tile area 57 as the menu background screen, when the down key is detected, zoom-out key data is generated and the first process is performed according to a similar process as described above.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eighth tile area 65 of the image 51 is displayed as a menu background screen. In this case,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fth tile region 57 may be gradually zoomed out to display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eighth tile region 65.

한편, 도5로 돌아가서 제어부(11)는 211단계에서 상기 203단계에서 감지한 키 입력에 따라 배경 스크롤 키 데이터가 발생하면 213단계로 진행한다. 즉, 방향키 중 좌향키 또는 우향키 입력이 감지되면, 213단계에서 제어부(11)는 입력된 키에 할당된 스크롤 방향에 대응하여 동일한 배경 레이어 상에서 다음 순서의 타일 영역에 해당하는 배경 화면과 전체 메뉴 리스트와 현재 임시 선택된 메뉴 아이콘 디스플레이하고 214단계로 진행한다. 5, if the background scroll key data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key input detected in step 203 in step 211, the controller 11 proceeds to step 213. That is, when an input of a left or right key among the direction keys is detected, in step 213, the controller 11 corresponds to the scroll direction assigned to the input key and the background screen corresponding to the tile area of the next order and the entire menu on the same background layer. Display the list and the currently temporarily selected menu icon and proceed to step 214.

도3을 참조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어부(11)가 메뉴키 입력에 따라 상기 제5타일영역(57)을 메뉴 배경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201단계), 좌향키가 입력되면(203단계), 좌향 스크롤 데이터가 발생한다(205단계). 이에 따라 제어부(11)는 현재 메뉴 배경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된 이미지가 속하는 배경 레이어를 유지한 채 왼쪽에 위치한 타일 영역에 해당하는 즉, 제4타일영역(57)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배경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제5타일영역(57)에서 제4타일영역(57)으로의 이동은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즉, 메뉴 배경 화면이 제5타일영역(57)에 해당하는 이미지부터 제4타일영역(57)에 해당하는 이미지까지 오른쪽으로 움직이듯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이다. 그리고 임시 선택된 메뉴 아이콘도 상기 상향키의 입력에 대응하면 변경된 메뉴에 대응하는 아이콘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된다(213단계).Referring to FIG. 3, for example, when the control unit 11 displays the fifth tile area 57 as a menu background screen according to a menu key input (step 201), when the left key is input ( In step 203, leftward scroll data is generated (step 205). Accordingly, the controller 11 displays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tile area located on the left, that is, the fourth tile area 57, as the background screen while maintaining the background layer to which the image displayed as the current menu background screen belongs. . At this time, the movement from the fifth tile area 57 to the fourth tile area 57 is continuously performed. That is, the menu background screen is displayed as if moving from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fth tile area 57 to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fourth tile area 57 to the right. If the temporarily selected menu icon also corresponds to an input of the up key, the menu icon is changed to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menu and displayed (step 213).

다른 예로, 제어부(11)가 메뉴키 입력에 따라 상기 제5타일영역(57)을 메뉴 배경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우향키가 입력되는 경우 제6타일영역(59)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배경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영시, 제5타일영역(57)에 해당하는 이미지부터 제6타일영역(59)에 해당하는 이미지까지 배경 화면이 왼쪽으 로 흐르듯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이다. As another example, when the right side key is input while the control unit 11 displays the fifth tile area 57 as a menu background screen according to a menu key input,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sixth tile area 59 is displayed as a background screen. Display. At this time, the background screen is displayed as if the background screen flows to the left from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fth tile area 57 to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sixth tile area 59.

도5로 돌아가서, 제어부(11)는 214단계에서 메뉴 확정 선택키입력이 감지되면 현재 임시 선택된 메뉴의 세부 리스트를 제공하고, 확정 선택키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2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203단계 내지 상기 213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5, if the menu determination selection key input is detected in step 214, the control unit 11 provides a detailed list of the currently selected menu. If the determination selection key input is not detected, the control unit 11 proceeds to step 203, in step 203 to FIG. Step 213 is repeated.

이에 따라 제어부(11)는 메뉴 배경 화면으로 설정된 배경 이미지를 줌 인/아웃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전체 이미지를 상세하게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ontroller 11 may zoom in / out the background image set as the menu background screen and provide the entire image in detail.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 of claims and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메뉴 선택 모드에서 제공되는 메뉴 배경 화면을 줌 인하거나 줌 아웃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 사용시 즐거움을 느끼게 할 수 있으며, 동적으로 메뉴 배경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zoom in or zoom out a menu background screen provided in a menu selection mode, so that the user can feel pleasure whe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an provide a menu background screen dynamically.

Claims (8)

이동 통신 단말의 메뉴 배경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A method for displaying a menu background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원근 메뉴 배경 화면 설정 요구에 따라 상기 임의의 이미지의 소정의 일부 영역에 대한 다수의 단계별 확대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다수의 단계별 확대 이미지와 상기 임의의 이미지를 각각 미리 정해진 개수의 타일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각 이미지를 확대 배율에 따라 순차적 배경 레이어로 저장하는 과정과,Generate a plurality of stepped enlarged images of a predetermined partial region of the random image according to a perspective menu wallpaper setting request, and divide the plurality of stepped enlarged images and the random image into a predetermined number of tile regions, respectively; Storing the images as sequential background layers according to a magnification; 메뉴 선택 모드가 설정되면 임의의 배경 레이어에 대응하는 이미지 중 임의의 타일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메뉴 배경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When the menu selection mode is set, display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an arbitrary tile area among images corresponding to an arbitrary background layer as a menu wallpaper; 배경 줌 인 키 입력이 감지되면 배경 레이어를 변경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된 메뉴 배경 이미지 다음 단계의 확대 배율을 가지는 이미지의 임의의 타일 영역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메뉴 배경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When the background zoom-in key input is detected, changing the background layer to display an image corresponding to an arbitrary tile area of the image having the magnification of the next step of the displayed menu background image as a menu wallpaper; 배경 줌 아웃 키 입력이 감지되면 배경 레이어를 변경하여 상기 현재 디스플레이된 메뉴 배경 이미지 이전 단계의 확대 배율을 가지는 이미지의 임의의 타일 영역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메뉴 배경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배경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And when the background zoom-out key input is detected, changing the background layer to display an image corresponding to an arbitrary tile area of the image having the magnification of the previous step of the currently displayed menu background image as a menu wallpaper. Characterized by the menu wallpaper display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선택 모드하에서 배경 스크롤 키 입력이 감지되면 현재 배경 레이어를 유지하고, 입력된 스크롤 키에 할당된 스크롤 방향에 따라 이웃하는 타일 영역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배경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배경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The display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when a background scroll key input is detected in the menu selection mode, the current background layer is maintained, and an image corresponding to a neighboring tile area is displayed as a wallpaper according to the scroll direction assigned to the input scroll key. Method for displaying a menu wallpaper, characterized in tha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이미지의 소정의 일부 영역에 대한 다수의 단계별 확대 이미지를 생성은 상기 임의의 이미지의 소정의 영역을 미리 정해진 크기의 이미지가 되도록 확대하고, 상기 소정의 영역에 포함되는 소정의 영역을 상기 미리 정해진 크기의 이미지가 되도록 확대함으로써, 상기 다수의 단계별 확대 이미지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배경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generating a plurality of stepped enlarged images of a predetermined partial region of the arbitrary image is enlarged to include an image of a predetermined size and included in the predetermined region. And a plurality of stepped enlarged images are generated by enlarging a predetermined area to be the imag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 줌 인 키는 상향키이고, 배경 줌 아웃 키는 하향키이고, 상기 배경 스크롤키는 좌향키와 우향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배경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ackground zoom in key is an up key, the background zoom out key is a down key, and the background scroll key comprises a left key and a right ke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 화면 디스플레이시 선택가능한 메뉴 리스트와, 임시 선택된 메뉴를 나타내는 아이콘들을 함께 디스플레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배경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4, wherein the menu list which is selectable when the background screen is displayed and icons representing the temporarily selected menu are displayed togeth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 줌 인키, 배경 줌 아웃키, 배경 스크롤키 입력에 대응하여, 임시 선택되는 메뉴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배경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menu that is temporarily selected is displayed in response to the input of the background zoom in key, the background zoom out key, and the background scroll ke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 줌 인 키 및 줌 아웃 키 입력에 따른 메뉴 배경 화면의 디스플레이는 상기 배경 줌 인키 입력 키 및 줌 아웃 키 입력 이전에 디스플레이된 메뉴 배경 화면에서 점차적으로 줌 인 및 줌 아웃되어 상기 줌 인 키 및 줌 아웃 키 입력에 따른 해당 이미지가 메뉴 배경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됨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배경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splay of the menu background screen according to the background zoom in key and the zoom out key input is gradually zoomed in and out of the menu background screen displayed before the background zoom in key input key and the zoom out key input. And display the corresponding image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zoom in key and the zoom out key as a menu wallpap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 스크롤 키 입력에 따른 메뉴 배경 화면의 디스플레이는 상기 배경 스크롤 키 입력 전에 디스플레이된 메뉴 배경 화면에서 상기 스크롤키 입력에 따른 해당 이미지까지 이미지가 연속적으로 이동하듯이 디스플레이됨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배경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isplay of the menu background screen according to the background scroll key input is displayed as the image continuously moves from the menu background screen displayed before the background scroll key input to the corresponding image according to the scroll key input. To display the menu wallpaper.
KR1020050116040A 2005-11-30 2005-11-30 Menu wall paper display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515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6040A KR100651547B1 (en) 2005-11-30 2005-11-30 Menu wall paper display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6040A KR100651547B1 (en) 2005-11-30 2005-11-30 Menu wall paper display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1547B1 true KR100651547B1 (en) 2006-11-30

Family

ID=37714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6040A KR100651547B1 (en) 2005-11-30 2005-11-30 Menu wall paper display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154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0505A (en) * 2011-11-30 2013-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0505A (en) * 2011-11-30 2013-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KR101870325B1 (en) 2011-11-30 2018-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1809B1 (en) Portable device and idle screen display method thereof
US8595638B2 (en) User interface,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special locations on a map
JP4144555B2 (en) Electronic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078797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ize of user data in a portable terminal
EP1677182B1 (en) Display method,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display program
TWI418200B (en) Mobile terminal and screen displaying method thereof
JP2007251920A (en) High-speed application access method for mobile terminal and device required thereby
US20050071771A1 (en) Menu displaying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20060276234A1 (en) Character input method for adding visual effect to character when character is input and mobile station therefor
KR10117988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screen in mobile terminal
CN101160932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horizontal and vertical display of the menu and submenu structure
JP2006185273A (en) Display method, portable terminal equipment and display program
WO2006123513A1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information displaying method
WO2006065066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improved user interface
JP5231361B2 (en) Electronic equipment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JP2008077655A (en) Electronic appliance, display controlling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JP2008065837A (en) Electronic applian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20090303254A1 (en)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ing of a graphical object on a display of a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0651452B1 (en) Menu wall paper display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51547B1 (en) Menu wall paper display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11164625A (en) Electronic applian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0860034B1 (en) Methods for displaying menu and setting wallpaper, and terminal using these methods
US20040106438A1 (en) Mobile phone and related method capable of displaying customized animation
EP1752866A2 (en) Slidable input device and portabl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10737380B (en) Thinking guide graph display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