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1268B1 - 단말기의 사용자 인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의 사용자 인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1268B1
KR100651268B1 KR1020050109894A KR20050109894A KR100651268B1 KR 100651268 B1 KR100651268 B1 KR 100651268B1 KR 1020050109894 A KR1020050109894 A KR 1020050109894A KR 20050109894 A KR20050109894 A KR 20050109894A KR 100651268 B1 KR100651268 B1 KR 100651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motion information
input unit
inform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9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상원
문정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50109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12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1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1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에서 미리 지정한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정당한 사용자 여부를 인증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사용자 인증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일정한 구간 동안 연속적인 접촉에 의한 모션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 미리 정해진 비밀 모션 정보를 저장하는 비밀 모션 저장부; 및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현재 모션 정보와 상기 비밀 모션 저장부에 저장된 비밀 모션 정보와의 일치 여부에 따라, 정당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 통신, 문자 입력, 터치 패드, 패스워드, 사용자 인증

Description

단말기의 사용자 인증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USER IN TERMINAL}
도 1은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수직방향으로 제1,2 표시부가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1,2 표시부에 리스트를 표시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수평방향으로 제1,2 표시부가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1,2 표시부에 리스트를 표시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메시지 발신함(Send message)을 형성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장치가 적용된 이동 통신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 정보의 구분 기준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 정보의 입력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장치를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비밀 모션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모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미리 지정한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정당한 사용자 여부를 인증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는 단순 히 통화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가 기능이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와 인터넷을 결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보급되고 있으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SMS), 멀티 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ing Service: MMS), 이메일(E-mail) 전송 및 채팅(chatting)뿐만 아니라 금융 결제 등이 가능하게 되었 다.
이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가 다양한 정보의 제공뿐만 아니라 금융 결제 등의 수단으로 활용됨에 따라, 분실 또는 도난 등으로 인하여 타인이 무단으로 사용하게 되는 경우 개인의 신상 정보 유출 또는 금융 사고 등의 발생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패스워드(password)를 적용하여 타인의 무단 사용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는 다수의 키버튼을 이용하여 몇 개 숫자를 조합함으로써 패스워드를 지정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러나 숫자의 조합을 통한 패스워드 지정 방식은 대부분 자신의 생일, 기념일 또는 주민등록번호 등 개인 신상 정보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타인이 쉽게 패스워드를 유추해 낼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그 특성상 소형화 및 경량화를 추구하기 때문에 키패드 역시 자판의 크기나 개수가 최소한의 내용을 입력할 수 있는 기본 형태를 갖도록 구성되어야 하고,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는 패스워드의 형태에는 일정한 제한이 따르게 된다.
도 1은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10)에는 숫자키(11)와, 기능키(12), 방향키(13) 및 LCD(Liquid crystal display)(14)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숫자키(11)에는 수 개의 한글 자모 및 영문 알파벳이 할당되어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상기 LCD(13) 상의 메뉴 또는 컨텐츠 등의 리스트(List)를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방향키(13)를 이용하여 상위 리스트의 메뉴 또는 컨텐츠를 선택한 후, 상기 상위 리스트에 연계된 하위 리스트의 메뉴 또는 컨텐츠를 선택하는 과정을 반복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리스트 표시 방식에 따르면, 사용자는 특정 상위 리스트를 선택한 후 하위 리스트를 검색해야 한다. 그리고 다시 다른 상위 리스트에 속한 하위 리스트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처음 지정한 상위 리스트로 복귀한 후, 재차 다른 상위 리스트의 하위 리스트를 검색해야 하기 때문에 원하는 메뉴 또는 컨텐츠를 찾기가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또한 이렇게 복잡한 정보 검색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노령자 등 이동 통신 단말기(10)의 조작이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로 하여금 각종 이동 통신 서비스의 이용에 대한 욕구를 감소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나아가 이러한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10)에서는 상기 숫자키(11)를 이용하여 숫자의 조합에 따른 패스워드를 지정할 수 있을 뿐이고,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는 패스워드의 형태에는 일정한 제한이 따르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와 키 패드 형태를 변경함으로써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디스플레이부 상의 정보를 검색 및 선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사용자 인증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일정한 구간 동안 연속적인 접촉에 의한 모션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 미리 정해진 비밀 모션 정보를 저장하는 비밀 모션 저장부; 및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현재 모션 정보와 상기 비밀 모션 저장부에 저장된 비밀 모션 정보와의 일치 여부에 따라, 정당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사용자 인증 방법은, 패스워드 입력을 요청하는 제1 단계; 입력부를 이용하여 적어도 일정한 구간 동안 연속적인 접촉에 의한 모션 정보를 입력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모션 정보가 미리 저장된 비밀 모션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참조번호 및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바 형(bar type) 휴대폰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폴더 형(folder type), 플립 형(flip type), 슬라이드 형(slide type), 회전형(swing type) 등 다양한 형태의 휴대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폰 뿐만 아니라, PDA 및 각종 휴대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는 디스플레이부(21)와 입력부(22)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1)는 이동 통신 단말기(20)의 본체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입력부(22)에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소정의 정보가 배열된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1)는 본체 전면에서 실질적으로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좌우 양 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상기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제1,2 표시부(21a,21b)와, 수평 방향으로 상기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제3 표시부(21c)가 형성된다. 여기서 수직방향이란 이동 통신 단말기(20)의 길이방향을 말하며, 수평방향이란 이동 통신 단말기(20)의 폭 방향을 말한다.
상기 표시부(21a,21b,21c)에는 각각 소정의 정보가 배열된 리스트가 표시된다. 여기서 리스트란 메뉴, 아이콘, 컨텐츠, 문자 또는 숫자 등 이동 통신 단말기(21)의 디스플레이부(21) 상에 표시되는 모든 일련의 하위 정보 또는 상기 하위 정보를 포함하는 일련의 상위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1)내에 사용자, 제조자 또는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자가 임의로 지정될 수 있 다.
상기 도 2에서는 디스플레이부(21) 좌측에 수직방향, 즉 이동 통신 단말기(20)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제1 표시부(21a)가 배열되고, 우측에 수직방향으로 제2 표시부(21b)가 배열되며, 수평방향으로 제3 표시부(21c)가 배열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1 표시부(21a)에는 제1 리스트(예를 들어, 메뉴, 아이콘, 컨텐츠, 문자 또는 숫자 등)가 표시된다. 또한 제2 표시부(21b)에 제2 리스트(예를 들어, 메뉴, 아이콘, 컨텐츠, 문자 또는 숫자 등)가 표시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리스트는 상위 정보가 배열된 상위 리스트에 해당하고, 상기 제2리스트는 상기 상위 리스트에 연계된 하위 정보가 배열된 하위 리스트에 해당한다. 그리고 수평 방향, 즉 이동 통신 단말기(20)의 폭방향으로 배열되는 제3 표시부(21c)에는 제3 리스트(예를 들어, 전송속도, 정보저장여부 등 단말기 환경 설정 또는 정보 선택을 위한 리스트)가 표시된다. 상기 제1 내지 3 표시부(21a,21b,21c)에 표시되는 제1 내지 3 리스트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상기 입력부(22)는 이동 통신 단말기(20)의 본체 하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1)의 아래에 형성된다. 상기 입력부(22)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문지르거나 긁음으로써 상기 표시부(21a,21b,21c)에 배열된 리스트 중 특정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입력부(22)는 제1 내지 제3 입력부(22a,22b,22c)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입력부(22a,22b,22c)는 이동 통신 단말기(20)의 본체 하부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표시부(21a,21b,21c)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 성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표시부(21a)가 이동 통신 단말기(20)의 길이 방향(수직방향)으로 좌측 배열되는 경우, 상기 제1 입력부(22a)는 상기 제1 표시부(21a) 하부에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의 좌측에서 상기 제1 표시부(21a)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부(21)의 좌측에 형성된 제1 표시부(21a)에 대한 제1 리스트를 그 아래에 형성된 제1 입력부(22a)를 이용하여 선택 및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21)의 우측에 형성된 제2 표시부(21b)에 대한 제2 리스트를 상기 제2 표시부(21b) 아래에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제2 입력부(22b)를 이용하여 선택 및 입력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제1,2 표시부(21a,21b)에는 한글 자모, 영어 알파벳, 숫자 또는 특수 문자를 배열하고, 상기 입력부(22a,22b)를 입력하여 문자 입력 장치로서도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21)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3 표시부(21c)에 대한 제3 리스트를 대하여 역시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3 입력부(22c)를 이용하여 선택 및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3 입력부(22c)는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그 양단은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 입력부(22a) 및 제2 입력부(22b)에 각각 연결되며, 그 양단의 기능은 상기 제1,2 입력부(22a,22b)의 기능과 일부 중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2 입력부(22a,22b) 중 상기 제3 입력부(22c)와 중첩되는 부분은 상기 제3 입력부(22c)로서도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22)는 전체적으로 영문자 'H'의 형태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내지 3 입력부(22a,22b,22c)는 이동 통신 단말기(20) 상에서 상기 제1 내지 3 표시부(21a,21b,21c)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므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움직이는 방향과 상기 제1 내지 3 표시부(21a,21b,21c) 상에서 커서, 포인터 등과 같은 선택 수단이 이동하는 방향이 일치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사용자가 정보 검색 시 자신의 손가락 위치를 수시로 보지 않고서도, 상기 제1 내지 3 입력부(22a,22b,22c)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내지 3 표시부(21a,21b,21c)에 표시된 리스트들을 바라보며 용이하게 원하는 정보를 선택 및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22) 중 제1,2 또는 3 입력부(22a,22b,22c)에 손가락을 접촉시킨 후 아래 방향으로 긁으면(scrach), 이동 통신 단말기(20)의 내부에 구성된 제어부(미 도시)는 이를 표시부(21a,21b,21c) 상에서 커서(curser), 포인터(pointer) 또는 특정 아이콘(icon)을 활성화 하는 방법 등으로 형성되는 선택 수단(미도시)을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입력 신호로 인식한다. 반대로 사용자는 상기 제1,2 또는 3 입력부(22a,22b,22c)의 표면을 하부에서 상부로 긁으면, 상기 제어부(미 도시)는 상기 선택 수단(커서, 포인터, 또는 특정 아이콘의 활성화 등)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입력 신호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제3 입력부(22c)의 표면을 수평방향(좌에서 우방향 또는 우에서 좌방향)으로 긁으면, 상기 제어부(미 도시)는 상기 선택 수단(커서, 포인터, 또는 특정 아이콘의 활성화 등)을 우방향 또는 좌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입력 신호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제1 또는 2 입력부(22a,22b)의 상단 또는 하단, 또는 제3 입력부(22c)의 양단을 손가락으로 일정 시간 이상 동안 계속하여 접촉하고 있으면, 상기 제어부(미 도시)는 상기 선택 수단이 상기 제1,2 또는 3 표시부(22a,22b,22c) 상을 계속하여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입력 신호로 인식하여, 상기 선택 수단을 일렬로 배열된 리스트 위로 이동시킴으로써 특정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선택 수단은 현재 선택된 특정 정보를 다른 선택되지 않은 정보와 구별하는 기능을 하며, 선택된 정보의 명암, 크기 또는 굵기를 조절하거나, 해당 정보가 포함된 프레임의 명암, 크기 또는 모양을 변형시키거나, 혹은 별도의 커서 또는 아이콘(icon)을 이용하여 선택된 정보를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22)에 접촉하였던 손가락을 떼는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20)의 내부에 구성된 제어부(미 도시)는 이를 선택 신호로 인식하여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하여 선택된 특정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21)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22)는 일 예로, 기존의 노트북 컴퓨터 등에서 사용하는 압력식 터치 패드 또는 정전식 터치 패드 등과 같이 공지된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 상에서 상기 영문자 'H' 형태를 갖는 입력부(22)의 상부 또는 중앙에 특정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키와, 통화 요청을 위한 통화키, 및 통화 종료 또는 선택 취소 등의 기능을 갖는 종료키 등을 형성하기 위한 키버튼(key button)(23,24)이 추가로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20)를 쥘 때 일반적으로 좌우측 엄지 손가락이 각각 제1 입력부(22a)와 제2 입력부(22b)에 닿게 되고, 또한 상기 2 개의 제1,2 입력부(22a,22b) 사이에 상기 제3 입력부(22b)를 형성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양 손의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입력부들 (22a,22b,22c)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선택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수직방향으로 제1,2 표시부가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부(22) 상에 수직방향, 즉 이동 통신 단말기(20)의 길이방향으로 제1, 2 표시부(21a,21b)가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제1, 2 입력부(22a,22b)를 갖는 입력부(22)가 배열된다. 이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21) 상에 제1, 2 표시부(21a,21b)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2 표시부(21a,21b)에 표시되는 제1,2 리스트를 선택하기 위하여 상기 제1, 2 입력부(22a,22b)만을 사용하고, 제3 입력부(22c)는 이용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1,2 표시부에 리스트를 표시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4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GUI로서 전화번호부(Phone Book)를 형성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표시부(21a)에는 일 예로서 ㄱ~ㅎ의 한글 자음(제1 리스트)을 순서대로 나열하고, 제1 입력부(22a)에 상하방향으로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리스트 중 특정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이어서 도 4(b)는 선택수단(25)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리스트 중 'ㄱㄴㄷ'의 색인정보로 이루어진 상위 리스트가 선택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 4(b)에서 상기 'ㄱㄴㄷ'의 상위 리스트에는 사용자에 의하여 미리 저장된 '고영수', '김 규열', '김기택', '김영철', '노현식 등'의 인명으로 이루어진 하위 리스트(제2 리스트)가 연관되어 배열된다. 즉, 상기 상위의 색인정보(제1 리스트)에는 상기 하위의 인명정보(제2 리스트)가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c)는 상기 제2 리스트 중 상기 제2 리스트에 할당된 다른 선택수단(26)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리스트 중 '김영철'이란 인명이 선택된 경우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입력부(22a)와 제2 입력부(22b)를 이용하여 상기 제1,2 표시부(21a,21b)에 표시된 두 개 이상의 리스트를 동시에 검색 또는 선택할 수 있으므로, 빠르게 원하는 메뉴 또는 정보를 선택할 수 있으며, 멀티태스킹(multi tasking)도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수평방향으로 제1,2 표시부가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에서 디스플레이부(22)의 상측에 수평방향, 즉 이동 통신 단말기(20)의 폭방향으로 제1 표시부(21a)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표시부(21a)의 하부에 제2 표시부(21b)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a)에서는 상기 제1 표시부(21a)에서 제1 상위 리스트의 하부에 제2 표시부(21b)가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즉 이 경우는 표시수단에 의하여 상기 제1 표시부(21a)의 상위 리스트(제1 내지 제4 상위 리스트) 중 제1 상위 리스트가 선택됨으로써 상기 제1 상위 리스트가 활성화된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당업자라면 상기 제2 내지 제4 상위 리스트의 하부에도 각각에 할당된 하위 리스트가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2 표시부(21a,21b)의 하부에는 제1, 2 입력부 (22a,22b)를 갖는 입력부(22)가 배열된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1,2 표시부에 리스트를 표시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6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GUI로서 메시지관리함(Message)을 형성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표시부(21a)에는 일 예로서 '받은 메시지', '보낸 메시지', '스팸 메시지 등'의 메뉴정보(제1 리스트)를 나열하고, 제1 입력부(22a)에 상하방향으로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리스트 중 특정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이어서 도 6(b)는 선택수단(25)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리스트 중 '보낸 편지함'의 메뉴로 이루어진 상위 리스트가 선택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 6(b)에서 상기 '보낸 편지함'의 상위 리스트에는 사용자가 발신한 메시지 정보들로 이루어진 하위 리스트(제2 리스트)가 연관되어 배열된다. 즉, 상기 상위의 '보낸 편지함(제1 리스트)'에는 상기 하위의 '발신 메시지 정보(제2 리스트)'가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c)는 상기 제2 리스트 중 상기 제2 리스트에 할당된 다른 선택수단(26)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리스트 중 3번째 저장된 발신 메시지가 선택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메시지 발신함(Send message)을 형성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7(a)에서는 제1 표시부(21a)에는 '받는이', '내용', '보낸이', '환경설 정' 등의 정보(제1 리스트)가 나열되고, 상기 제1 리스트의 정보는 제1 입력부(22a)를 이용하여 스크롤함으로써 검색 및 선택할 수 있다. 이어서 도 7(b)는 선택수단(25)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리스트 중 '내용'이라는 정보가 선택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리스트 중 '내용'이라는 정보가 선택된 경우, 디스플레이부 좌측에는 상기 '내용'이라는 상위 정보에 연관되어 사용자가 송신할 메시지(제2 리스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21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입력창(21b)은 제2 입력부(22b)를 이용하여 스크롤하여 원하는 내용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도 7(c)는 선택수단(25)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리스트 중 '환경설정'이라는 상위 정보가 선택된 경우를 나타낸다. 상기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경설정'이라는 상위 정보가 선택된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속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제3 표시창(21c)가 형성되고, 상기 제3 표시창(21c)의 속도 정보는 제3 입력부(22c)를 이용한 좌우 스핀(spin)입력 과정을 통하여 조절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장치가 적용된 이동 통신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영문자 'H' 형태의 터치패드식 입력부(22)를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2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고유한 패스워드를 입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패스워드로서 기존의 숫자의 조합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영문자 'H' 형태의 터치패드식 입력부(22)를 이용하여 일정한 형태의 모션(motion) 정보를 이용하게 된다. 여기서 모션 정보란 상기 영문자 'H' 형태의 입력부(22)를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펜 등을 이용하여 적어도 일정한 구간 동안 연속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상기 입력부(22)에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모션 정보는 상기 입력부(22)에 입력되는 입력신호가 적어도 일정 구간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즉, 상기 모션 정보를 형성하는 입력신호에 일정 구간 불연속 점이 포함되는 경우에도 모두 상기 모션 정보의 범주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 통신 단말기(20)을 이용하여 특정 기능 또는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부(21) 상에 사용자에게 본 발명에 따른 비밀 모션 정보를 입력할 것을 요청하는 화면이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러면 도 8의 참조번호 80,81에 의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22)의 일정 구간을 화살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접촉함으로써 모션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여기서 모션 정보는 상기 입력부(22)에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대한 정보, 즉 상기 화살표의 시점, 종점, 방향, 길이, 이동경로 등의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22)의 상부 또는 중앙에 형성된 키버튼(23,24)는 특정 기능 또는 서비스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키와, 통화 요청을 위한 통화키, 및 통화 종료 또는 선택 취소 등의 기능을 갖는 종료키 등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 정보 구분 기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영문자 'H' 형태의 입력부(22)를 제 ①영 내지 제⑥ 영역의 6개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 경계를 기준으로 모션 정보의 길이, 방향을 결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91과 같이 입력되는 모션 정보는 그 시점이 제① 영역에 위치하고, 제② 영역에서 절곡되어, 종점이 제② 영역에 위치하는 입력신호에 의하여 생성된다. 또한 참조번호 92와 같이 입력되는 모션 정보는 그 시점이 제① 영역에 위치하고, 제② 영역에서 절곡되어, 종점이 제⑤ 영역에 위치하는 입력신호에 의하여 생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입력부(22)에 입력되는 입력 신호의 시점, 종점, 방향, 길이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모션 정보를 구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입력부(22)를 더욱 많은 수의 세밀한 영역으로 구분하여, 입력신호의 시점, 종점, 방향, 길이 등에 관한 정보뿐만 아니라 그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더욱 정밀하게 해석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모션 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 정보의 입력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션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a) 및 상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션 정보는 제1 입력부(22a)의 일측 단부에서 시작하여, 제3 입력부(22c)를 통하여, 제2 입력부(22b)의 일측 단부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101,102). 또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션정보는 제1 입력부(22a)에서 시작하여 제2 또는 3 입력부(22b, 22c)로 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103), 제2 또는 3 입력부(22b, 22c)로부터 시작하여 제1 입력부(22a)에서 종단되는 형태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장치를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장치를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1)와, 입력부(22)와, 제어부(1101)와, 메모리(1102)와, 모션 정보 저장부(1103)와, 듀플렉서(Duplexer)(1104)와, 송신부(1105)와, 수신부(1106) 및 오디오부(1107)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1102)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본 발명에 따라 분류된 제1 내지 제3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1102)에 의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소정의 설정된 영역에 저장한다.
상기 모션 정보 저장부(1103)는 상기 입력부(22)를 통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패스워드로서 사용하고자 미리 정한 비밀 모션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모션 정보 저장부(1103)는 상기 메모리(1102) 내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논리적으로 구분된다.
상기 듀플렉서(1104)는 안테나(AT)를 통해 기지국(미 도시)과 통신을 수행하며, 송수신되는 신호를 분리한다.
상기 송신부(1105)는 제어부(1101)의 제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라서 입력된 문자 및, 오디오부(1107)로부터 출력된 무선신호를 필터링하고 증폭하여 듀플렉서(1104)를 거쳐 안테나(AT)를 통해 송신한다. 또한 이동 통신 서버 또는 인터넷 서버 등과 사전에 모션 정보에 의한 사용자 인증 약정이 있는 경우, 상기 송신부(1105)는 상기 제어부(1102)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입력부(22)에 입력되는 모션 정보를 무선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수신부(1106)는 제어부(1101)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안테나(AT)를 통해 입력된 후 듀플렉서(1104)에 의해 분리된 무선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미약한 수신 신호를 증폭 및 필터링하여 출력한다.
상기 오디오부(1107)는 제어부(1101)의 제어를 받아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조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부(1107)는 수신부(1106)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복조하여 스피커(SP)에 음성신호로서 송출한다.
상기 제어부(1101)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입력부(22)에 입력된 신호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1)에 표시되는 리스트의 정보를 선택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1101)는 상기 입력부(22)에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선택 수단을 상기 디스플레이부(21)의 표시부에 표시된 소정 리스트에 포함된 정보 사이를 이동시키고,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하여 선택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21) 상에서 활성화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1)는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입력부(22)를 통하여 입력되는 모션 정보를 이용하여 정당한 사용자 여부를 인증하는 기능을 한다. 즉,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22)를 통하여 사전에 특정 모션 정보를 비밀 모션 정보로서 상기 모션 정보 저장부(1103)에 저장한다. 이후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일정한 기능 또는 서비스 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1)는 도 8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1)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패스워드의 입력을 요청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101)는 사용자에 의하여 현재 입력되는 입력 모션 정보가 상기 미리 저장된 비밀 모션 정보와 동일한 경우에만 정당한 사용자로 판단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일정한 기능 또는 서비스를 이동할 수 있도록 제공하며,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인증 실패 처리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비밀 모션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20)에 비밀 모션 정보를 등록하기 위하여, 먼저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20)에 대한 타인의 무단 사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패스워드로서 비밀 모션 정보를 저장 및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20)에 구성된 비밀 모션 정보 입력키를 선택한다(S1201). 여기서 상기 비밀 정보 입력키로는 상기 입력부(22)를 사용하거나 별도로 형성된 키버튼(22,23)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22)를 적어도 일정한 구간 동안 연속적으로 접촉함으로써 형성되는 특정 모션 정보를 비밀 모션 정보로서 입력하여(S1202), 모션 정보 저장부(1103)에 저장한다(S1203).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비밀 모션 정보를 정확히 입력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동일한 비밀 모션 정보를 재입력하여 재확인하 는 과정을 거치도록 한다(S1204).
상기 단계(S1204)에서 재확인 과정을 거쳐, 처음 입력한 비밀 모션 정보와 재확인을 위하여 입력한 비밀 모션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1205),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완료키를 입력함으로써(S1206) 절차를 종료한다. 반면에 상기 단계(S1205)에서 판단한 결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단계(S1204)로 진입하여 비밀 모션 정보의 재확인 과정을 거치게 된다. 여기서 종료키로는 역시 상기 입력부(22)를 사용하거나 별도로 형성된 키버튼(22,23)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모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20)를 이용하여 특정 기능 또는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선택하는 경우(S1301), 내부의 제어부(1101)는 정보 보호를 위하여 패스워드, 즉 모션 정보의 입력을 요청한다(S1302). 상기 단계(S1302)에서 모션 정보의 입력 요청 시, 상기 제어부(1101)는 디스플레이부(21)를 통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본 발명에 따른 비밀 모션 정보를 입력할 것을 요청하는 별도의 화면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비밀 모션의 입력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사용자는 정당한 사용자임을 확인하기 위하여 영문자 'H' 형태의 입력부(22)를 이용하여 현재 모션 정보를 입력한다(S1303). 여기서 현재 모션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에서는 사용자가 터치 패드로 이루어진 입력부(22)를 적어도 일정한 구간 동안 연속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상기 현재 모션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이 제어부(1101)는 상기 입력부(20)에 입력된 현재 모션 정보와 모션 정보 저장부(1103)에 미리 저장된 비밀 모션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304). 상기 현재 모션 정보와 상기 비밀 모션 정보는 그 입력신호의 시점, 종점, 방향, 길이뿐만 아니라 그 이동 경로 등의 정보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일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입력된 현재 모션 정보와 상기 비밀 모션 정보가 완전 일치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일정한 오차 범위 내에서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단계(S1304)에서 확인결과, 상기 현재 모션 정보와 상기 비밀 모션 정보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실행하고자 하는 해당 기능 또는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S1305), 본 발명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진다. 반면에 상기 단계(S1304)에서 확인결과 상기 현재 모션 정보와 상기 비밀 모션 정보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단계(S1303)로 진입하여 정확한 모션 정보를 재차 입력하도록 요구하고, 미리 정해진 횟수(예를 들어, 3회) 동안 연속하여 미리 설정된 비밀 모션 정보와 다른 잘못된 모션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인증이 실패하였음을 통지하고 절차를 종료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증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과 같이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터치 패드를 이용하여 많은 정보를 편리하게 검색 및 선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 숫자의 조합에 의한 패스워드 사용 방식을 탈피하여 다양한 형태의 패스워드를 이용함으로써 개인 정보의 무단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일정한 구간 동안 연속적인 접촉에 의한 모션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
    미리 정해진 비밀 모션 정보를 저장하는 비밀 모션 저장부; 및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모션 정보와 상기 비밀 모션 저장부에 저장된 비밀 모션 정보와의 일치 여부에 따라, 정당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사용자 인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모션 정보 또는 상기 비밀 모션 정보는,
    상기 입력부에 입력되는 입력신호의 시점, 종점, 방향, 길이, 또는 이동 경로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사용자 인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수직 방향의 신호가 입력되는 제1 입력부;
    수평 방향의 신호가 입력되는 제2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사용자 인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수직 방향으로 신호가 입력되는 제3 입력부를 더 포함하여 'H'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사용자 인증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및 3 입력부는 일정 간격으로 분할되어 모션 정보의 길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사용자 인증 장치.
  6. 패스워드 입력을 요청하는 제1 단계;
    입력부를 이용하여 적어도 일정한 구간 동안 연속적인 접촉에 의한 모션 정보를 입력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모션 정보가 미리 저장된 비밀 모션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사용자 인증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모션 정보 또는 상기 비밀 모션 정보는,
    상기 입력부에 입력되는 입력신호의 시점, 종점, 방향, 길이, 또는 이동 경로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사용자 인증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수직 방향의 신호가 입력되는 제1 입력부; 및
    수평 방향의 신호가 입력되는 제2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사용자 인증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수직 방향으로 신호가 입력되는 제3 입력부를 더 포함하여 'H'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사용자 인증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및 3 입력부는 일정 간격으로 분할되어 모션 정보의 길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사용자 인증 방법.
KR1020050109894A 2005-11-16 2005-11-16 단말기의 사용자 인증 장치 및 방법 KR100651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9894A KR100651268B1 (ko) 2005-11-16 2005-11-16 단말기의 사용자 인증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9894A KR100651268B1 (ko) 2005-11-16 2005-11-16 단말기의 사용자 인증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1268B1 true KR100651268B1 (ko) 2006-12-01

Family

ID=37731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9894A KR100651268B1 (ko) 2005-11-16 2005-11-16 단말기의 사용자 인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126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73737A1 (ko) * 2011-11-16 2013-05-23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패스워드 아이콘을 이용한 사용자 단말기의 패스워드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KR101511381B1 (ko) * 2008-07-04 2015-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인증장치 및 방법
WO2015053473A1 (ko) * 2013-10-08 2015-04-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서명 등록 방법, 서명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KR101526346B1 (ko) * 2008-08-08 2015-06-05 아싸 아브로이 에이비 방향 감지 메커니즘 및 통신 인증
US9524383B2 (en) 2008-08-08 2016-12-20 Assa Abloy Ab Directional sensing mechanism and communications authentication
WO2016208808A1 (ko) * 2015-06-26 2016-12-29 (주)마인드퀘이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9773362B2 (en) 2008-08-08 2017-09-26 Assa Abloy Ab Directional sensing mechanism and communications authentic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3345A (ko) * 2001-08-03 2003-02-14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사용자 인증 장치
KR20060030568A (ko) * 2004-10-06 2006-04-11 엘지엔시스(주) 고객 인증 시스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3345A (ko) * 2001-08-03 2003-02-14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사용자 인증 장치
KR20060030568A (ko) * 2004-10-06 2006-04-11 엘지엔시스(주) 고객 인증 시스템, 장치 및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381B1 (ko) * 2008-07-04 2015-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인증장치 및 방법
KR101526346B1 (ko) * 2008-08-08 2015-06-05 아싸 아브로이 에이비 방향 감지 메커니즘 및 통신 인증
US9524383B2 (en) 2008-08-08 2016-12-20 Assa Abloy Ab Directional sensing mechanism and communications authentication
US9773362B2 (en) 2008-08-08 2017-09-26 Assa Abloy Ab Directional sensing mechanism and communications authentication
US9998454B2 (en) 2008-08-08 2018-06-12 Assa Abloy Ab Directional sensing mechanism and communications authentication
US10554650B2 (en) 2008-08-08 2020-02-04 Assa Abloy Ab Directional sensing mechanism and communications authentication
WO2013073737A1 (ko) * 2011-11-16 2013-05-23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패스워드 아이콘을 이용한 사용자 단말기의 패스워드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WO2015053473A1 (ko) * 2013-10-08 2015-04-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서명 등록 방법, 서명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WO2016208808A1 (ko) * 2015-06-26 2016-12-29 (주)마인드퀘이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21985A1 (en) Portable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Using Emoji Characters
US20220141329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conversation management for incoming instant messages
US861066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ing touch screen in portable terminal
US10572142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instant messaging
US9632695B2 (en)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djusting an insertion point marker
US8698773B2 (en) Insertion marker placement on touch sensitive display
US8009146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facilitating data entry via a touchscreen
US9495058B2 (en)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functions and display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8918736B2 (en) Replay recommendations in a text entry interface
KR100651268B1 (ko) 단말기의 사용자 인증 장치 및 방법
US20070152979A1 (en) Text Entry Interface for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N104834353A (zh) 移动终端、移动终端中的用户界面方法和移动终端的护盖
CN103164146A (zh) 移动终端的解锁方法和装置
US9423947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US201000994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receiver information of text message
CN103164107A (zh) 动态生成和使用图形化的联系人图谱的方法和装置
US11086410B2 (en) Apparatus for text entry and associated methods
KR10069263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네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
KR10063840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WO2006076411A2 (en) Recognition of scribed indicium on a user interface
KR20150022597A (ko) 필기체 입력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