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9164B1 - Vehicle key module for transmission control - Google Patents

Vehicle key module for transmission contr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9164B1
KR100649164B1 KR1020050036807A KR20050036807A KR100649164B1 KR 100649164 B1 KR100649164 B1 KR 100649164B1 KR 1020050036807 A KR1020050036807 A KR 1020050036807A KR 20050036807 A KR20050036807 A KR 20050036807A KR 100649164 B1 KR100649164 B1 KR 100649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vehicle
button
key module
sh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68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114746A (en
Inventor
서준형
허재진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6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9164B1/en
Publication of KR20060114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47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9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91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2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push button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38Releasing-devices separate from shu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속 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차량 키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키와 자동변속기 차량의 변속 레버가 결합된 형태의 장치로써 차량에서 키 모듈을 이용해서 전자화된 자동 변속 및 시동, 도어 잠금/해제 기능이 가능하도록 기능을 통합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key module including a shift control function.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key module including a vehicle key and a shift lever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incorporating a function to enable a door lock / unlock function.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동키와 변속 버튼을 일체로 구비하는 키 모듈은, 상기 키 모듈의 일단에 구비되고, 차량 내부의 키 슬롯에 삽입되어 차량을 시동하는 차량 시동키와, 상기 시동키의 양 측단에 구비되고 상기 시동키가 삽입되는 경우 차량의 자동 변속기와 연결되는 복수의 단자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접촉부와, 상기 키 모듈의 일면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버튼 입력에 따른 소정의 변속 모드에 대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변속 버튼과,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변속 모드에 대한 제어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복수의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상기 자동 변속기에 전달하는 전자 회로로 이루어진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key module including a vehicle start key and a shift button integrally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key module and inserted into a key slot in a vehicle to start the vehicle, and A plurality of contacts provided at both sides and connected to a plurality of terminals respectively connected to an automatic transmission of the vehicle when the ignition key is inserted, and provided at one side of the key module in a predetermined shift mode according to a user's button input And a plurality of shift buttons for generating an input signal for the shift signal, and an electronic circuit for converting the input signal into a control signal for the shift mode and transferring the control signal to the automatic transmission through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ntacts. .

시동키, 변속 레버, 도어 잠금/해제, 버튼타입, 무선시동 Start key, shift lever, door lock / unlock, button type, wireless start

Description

변속 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차량 키 모듈{Vehicle key module for transmission control}Vehicle key module including a shift control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 모듈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ke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 모듈을 상부 커버를 열었을 때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hape of the key module when the top cover is ope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 모듈의 평면도이다.3 is a plan view of a ke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절단면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ting plane BB ′ of FIG. 3.

도 5는 도 3의 절단면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ting plane AA ′ of FIG. 3.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 모듈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ke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3의 절단면 C-C'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C-C 'of FIG. 3.

도 8은 시동키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ignition key.

도 9는 시동키가 돌출되었을 때의 구조를 나타내는 절개 평면도이다.Fig. 9 is a cutaway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when the ignition key is projected.

도 10은 시동키가 삽입되었을 때의 구조를 나타내는 절개 평면도이다.Fig. 10 is a cutaway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when the ignition key is inserted.

도 11은 무선 시동 버튼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wireless start button.

도 12는 시동키의 내부 구조를 보다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12 is a view showing in more detail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ignition key.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 모듈의 신호전달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ignal transmission flow of a ke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키 모듈 본체 11 : LCD 패널10: key module body 11: LCD panel

13a : 도어 잠금 버튼 13b : 도어 열림 버튼13a: door lock button 13b: door open button

14 : 무선 시동 버튼 20 : 상부 덮개14: wireless start button 20: top cover

21 : 릴리스(release) 버튼 22a, 22b, 22c, 22d : 변속 버튼21: release button 22a, 22b, 22c, 22d: shift button

23a, 23b, 23c, 23d : 변속단 표시용 LED 24 : 버튼 스프링23a, 23b, 23c, 23d: shift stage LED 24: button spring

25 : 버튼 축 31 : 상부 돌출면25 button axis 31 upper projection surface

32 : 상부 침강면 40a, 40b : 시동키 잠금 수단32: upper settled surface 40a, 40b: ignition key locking means

41 : 작동축 42a, 42b : 판 스프링41: working shaft 42a, 42b: leaf spring

43 : 메인 스프링 44 : 3단 지지축43: main spring 44: three-stage support shaft

45 : 시동키 잠금틀 46a, 46b : 제1 고정홈45: ignition key locking frame 46a, 46b: first fixing groove

47a, 47b : 제2 고정홈 50 : 시동키47a, 47b: second fixing groove 50: ignition key

51 : 신호 전달선 52 : 접촉부51: signal transmission line 52: contact portion

53 : 인쇄회로기판(PCB) 54a, 54b : 돌출부53: printed circuit board (PCB) 54a, 54b: protrusion

71 : 디지털 입력부 72 : 컨트롤러71: digital input unit 72: controller

73, 75, 76 : 디지털 출력부 74 : 아날로그 출력부73, 75, 76: digital output 74: analog output

77 : RF 모듈 78 : 자동 변속기 입력 신호77: RF module 78: automatic transmission input signal

본 발명은 변속 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차량 키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키와 자동변속기 차량의 변속 레버가 결합된 형태의 장치로써 차량에서 키 모듈을 이용해서 전자화 된 자동 변속 및 시동, 도어 잠김/해제 기능이 가능하도록 기능을 통합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key module including a shift control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a device in which a vehicle key and a shift lever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are combin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incorporating a function to enable a door lock / unlock function.

소위 "원격 키 모듈(remote key module)"은 운전자가 차량 외부에서 리모콘을 동작시키면 차량에 구비된 제어 유닛에서 상기 리모콘의 송신 정보에 따라 차량의 엔진을 구동시키거나, 도어 락(door lock) 기능을 수행하는 등 직접 차량 키를 해당 키 박스에 접촉하지 않아도 무선으로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원격 키 모듈은 수동 키와 결합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수동으로 도어를 열거나 시동을 걸 수도 있고 무선으로 이러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원격 키 모듈은 일반적으로, 전파나 적외선을 이용하여 차량의 각종 장치들을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장치 및 제어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다.The so-called "remote key module" is to drive the engin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information of the remote control in the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vehicle when the driver operates the remote control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or door lock function It is a device that allows wireless operation without having to directly touch the vehicle key, such as to perform the. This remote key module is combined with a manual key so that the user can manually open or start the door and perform this operation wirelessly. In addition, such a remote key module generally includes a control device and a control program so as to remotely control various devices of the vehicle by using radio waves or infrared rays.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차량의 키 모듈은 위와 같이 도어 락, 엔진 시동, 트렁크 개폐, 히터 구동 등 정지하고 있는 차량에 대한 각종 제어 기능을 포함하고 있을 뿐이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키 모듈은 주행 중에 변속을 위해서는 사용되지 않으며, 운전자는 별도의 변속 레버를 통해서만 차량의 변속을 구현할 수 있었다. 이러한 변속 레버는 키 모듈과 분리되어 있을 뿐 아니라, 운전자의 조작 의지를 기계적인 케이블을 이용하여 변속기에 전달하게 됨으로써, 조작의 불편함과 차량 내부의 공간적인 제약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By the way, the key module of such a conventional vehicle includes only various control functions for the stationary vehicle as described above, such as door lock, engine start, trunk opening and closing, and heater driving. Therefore, in the related art, the key module is not used for shifting while driving, and the driver can implement shifting of the vehicle only through a separate shift lever. This shift lever is not only separated from the key module, but also transmits the driver's operation intention to the transmission using a mechanical cable, thereby causing inconvenience in operation and space constraints inside the vehicle.

또한, 만약 불법 침입자가 차량 내부에 침입하여 어떻게든 시동만 가능하게 한다 면, 그 이후에는 상기 변속 레버를 이용하여 주행하는데 아무 어려움이 없으므로, 차량 도난에도 다소 취약한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if the illegal intruder intrudes into the vehicle to allow only some starting, after that, there is no difficulty in driving by using the shift lever, and thus,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vehicle is slightly vulnerable to thef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고안된 것으로, 주차 중인 차량을 그 상태로부터 운전 상태에 이르기까지 필요한 일련의 동작, 즉, 도어 개폐, 차량 시동, 및 차량 변속 등의 일련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일체의 명령을 전달하는 차량 키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s designed to control a series of operations required from a parking vehicle to a driving state, that is, a series of operations such as opening / closing a door, starting a vehicle, and shifting a vehicl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key module for delivering any comman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키 모듈은, 차량 시동키와 변속 버튼을 일체로 구비하는 키 모듈로서, 상기 키 모듈의 일단에 구비되고, 차량 내부의 키 슬롯에 삽입/회전되어 차량을 시동하는 차량 시동키와, 상기 시동키의 양 측단에 구비되고 상기 시동키가 삽입되는 경우 차량의 자동 변속기와 연결되는 복수의 단자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접촉부와, 상기 키 모듈의 일면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버튼 입력에 따른 소정의 변속 모드에 대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변속 버튼과,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변속 모드에 대한 제어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복수의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상기 자동 변속기에 전달하는 전자 회로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vehicle ke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key module that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 vehicle start key and a shift button, which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key module, and is inserted / rotated in a key slot inside the vehicle. Vehicle start keys for starting the vehicle, a plurality of contacts provided at both side ends of the start key, and connected to a plurality of terminals respectively connected to an automatic transmission of the vehicle when the start key is inserted, and one surface of the key module A plurality of shift buttons which are provided in the and generate an input signal for a predetermined shift mode according to a user's button input, convert the input signal into a control signal for the shift mode, and convert the control signal out of the plurality of contacts; An electronic circuit for transmitting to the automatic transmission via at least on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 embodiments are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 모듈(100)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key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키 모듈(100)은 외형상 크게 시동키(50)와 상부 커버(20)와, 키 모듈 본체(10)으로 크게 나뉠 수 있다. 상기 키 모듈(100)의 양 측단에는 키-인(key-in) 상태가 되었을 때 변속기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단자와 접촉되는 복수의 접촉부(52)가 구비된다.The key module 100 may be broadly divided into a starter key 50, an upper cover 20, and a key module body 10 in appearance. Both side ends of the key module 100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tacts 52 contacting terminals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transmission when the key-in state becomes a key-in state.

상기 상부 커버(20)의 상면에는 릴리스 버튼(23), 변속 버튼(22a, 22b, 22c, 22d), 및 변속단 표시용 LED(23a, 23b, 23c, 23d)가 구비되며, 상기 상면의 후단에는 상부 커버(20)를 키 모듈 본체(10)으로부터 열거나 닫기 위한 상부 커버 손잡이(29)가 형성된다.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20 is provided with a release button 23, shift buttons 22a, 22b, 22c, 22d, and shift stage display LEDs 23a, 23b, 23c, 23d, and a rear end of the upper surface. An upper cover handle 29 is formed to open or close the upper cover 20 from the key module body 10.

릴리스 버튼(21)이 눌려지면 상기 시동키(50)가 삽입 또는 돌출되고, 눌려지지 않으면 상기 시동키는 삽입된 상태 또는 돌출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When the release button 21 is pressed, the ignition key 50 is inserted or protruded. If it is not pressed, the ignition key is fixed in the inserted state or the protruded state.

그리고, 상기 변속 버튼(22a, 22b, 22c, 22d)은 각각 P(주차), R(후진), N(중립), D(주행)의 4가지 모드 별로 각각 하나씩 할당되는데, 특정 변속 버튼이 눌려지면 해당 모드에 따른 차량 변속이 이루어진다. 상기 변속 버튼(22a, 22b, 22c, 22d)에 의하여 입력된 신호는 후술할 PCB(53)에서 의하여 변속기 제어 신호로 변환되어 키 -인 상태에서 접촉부(52)를 통해 자동 변속기(미도시)로 전달된다.In addition, the shift buttons 22a, 22b, 22c, and 22d are allocated to each of four modes of P (parking), R (reverse), N (neutral), and D (driving), respectively. The vehicle shifts according to the ground mode. The signal input by the shift buttons 22a, 22b, 22c, and 22d is converted into a transmission control signal by the PCB 53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then transferred to an automatic transmission (not shown) through the contact unit 52 in the key-in state. Delivered.

또한 변속단 표시용 LED(23a, 23b, 23c, 23d)는 전방의 변속 버튼(22a, 22c) 및 후방의 변속 버튼(22b, 22d) 사이 및 후방의 변속 버튼(22b, 22d)의 뒤에 구비되어 선택된 변속단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현재 어떤 변속 버튼(22a)이 눌려진다면 상기 변속 버튼(22a)에 대응되는 LED(23a)가 점등될 것이다.In addition, the shift stage display LEDs 23a, 23b, 23c, and 23d are provided between the front shift buttons 22a and 22c and the rear shift buttons 22b and 22d and behind the rear shift buttons 22b and 22d. Display the selected gear. For example, if any shift button 22a is currently pressed, the LED 23a corresponding to the shift button 22a will be turned on.

한편, 현재 차량의 상태(현재의 변속 단수, 차량 문의 개폐 등)를 표시하는 LCD 패널(11)는 도 1에서와 같이 키 모듈 본체(10)의 상부 돌출면(31) 상에 구비될 수도 있지만, 상부 커버(20) 상의 임의의 위치에 구비되더라도 상관 없다. 다만, PCB(53)가 키 모듈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된다고 한다면 단자의 연결상 키 모듈 본체(10)의 상부 돌출면(31) 상에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LCD panel 11 displaying the current state of the vehicle (current shift stage, opening and closing the vehicle door, etc.)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rotruding surface 31 of the key module body 10 as shown in FIG. It may be provided at any position on the top cover 20. However, if the PCB 53 is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key module body 10,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PCB 53 is provided on the upper protruding surface 31 of the key module body 10 in connection with the terminal.

도 2는 키 모듈(100)을 상부 커버를 열었을 때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key module 100 when the top cover is opened.

도 2와 같이, 키 모듈 본체(10)의 상부 침강면(32)에는 도어 잠금 버튼(13a), 도어 열림 버튼(13b), 및 무선 시동 버튼(14)가 구비된다. 도어 잠금 버튼(13a)은 눌려지면 도어 열림 상태에서 도어 잠금 상태로 전환되고, 도어 열림 버튼(13b)이 눌려지면 반대로 도어 잠금 상태에서 도어 열림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두 버튼(13a, 13b)은 토글 버튼(toggle button)의 형태로 하나의 버튼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무선 시동 버튼(14)은 눌려지면 원격으로 차량의 시동을 걸어주는 역할을 한다.As shown in FIG. 2, the upper locking surface 32 of the key module body 10 is provided with a door lock button 13a, a door open button 13b, and a wireless start button 14. When the door lock button 13a is pressed, the door is switched from the door open state to the door lock state, and when the door open button 13b is pressed, the door lock button 13a is switched from the door lock state to the door open state. The two buttons 13a and 13b may be configured as one button in the form of a toggle button. In addition, the wireless start button 14 serves to remotely start the vehicle when pressed.

상기 도어 잠금 버튼(13a), 도어 열림 버튼(13b), 및 무선 시동 버튼(14) 중 어느 하나의 버튼이 눌려지면 그에 따른 신호는 PCB(53)으로 입력되고, PCB(53) 상에 구현된 RF 모듈은 상기 입력된 신호에 따른 무선 신호를 생성하여 원격으로 차량의 무선 신호 수신부(미도시)에 전달하며, 이에 따라서 해당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When any one of the door lock button 13a, the door open button 13b, and the wireless start button 14 is pressed, a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is input to the PCB 53, and is implemented on the PCB 53. The RF module generates a radio signal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and remotely transmits the radio signal to a radio signal receiver (not shown) of the vehicle, and thus an operation may be perform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 모듈의 평면도이다. 이 후, 도 3에서 표시한 A-A', B-B', 및 C-C'를 절단한 단면도는 이후의 도면들에서 설명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는 도 5에서,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는 도 4에서 도시되며, C-C'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는 도 7에서 도시될 것이다.3 is a plan view of a ke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at,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lines A-A ', B-B', and C-C 'shown in FIG. 3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drawings. Specifically, the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s shown in FIG. 5, the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s shown in FIG. 4, and the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is shown in FIG. 7.

도 4는 도 3의 절단면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ting plane BB ′ of FIG. 3.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릴리스 버튼(21)은 하단의 작동축(41)과 연결되며, 버튼 스프링(24)에 의하여 탄성 지지를 받는다. 따라서 릴리스 버튼(21)을 누르면 이에 따라 작동축(41)도 하강하게 되며, 누름 상태를 해제하면, 릴리스 버튼(21)은 버튼 스프링(2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로 회귀한다.As shown in FIG. 4, the release button 21 is connected to the lower working shaft 41 and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button spring 24. Accordingly, when the release button 21 is pressed, the operation shaft 41 is also lowered accordingly. When the release state is released, the release button 21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button spring 24.

한편, 키 모듈 본체(10)의 내부, 특히 상부 돌출면의 아래쪽 위치에는 소정 높이에 PCB(53)가 고정된다. 상기 PCB(53)에는 각종 제어 모듈, 및 신호 입/출력 모듈 등이 구비되는데 PCB(53)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도 14의 블록도를 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CB 53 is fixed at a predetermined height inside the key module main body 10, especially at the lower position of the upper protruding surface. The PCB 53 is provided with various control modules, signal input / output modules, etc.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CB 5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block diagram of FIG. 14.

PCB(53)는 시동키(50)의 접촉부(52)와 신호 전달선(51)에 의하여 연결된다. 그리고 이외에 미도시 되었지만, LCD 패널(51), 도어 잠금 버튼(13a), 도어 열림 버튼(13b), 무선 시동 버튼(14), 변속 버튼(22a, 22b, 22c, 22d), 변속단 표시용 LED(23a, 23b, 23c, 23d)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The PCB 53 is connected by the contact portion 52 of the starter key 50 and the signal transmission line 51.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LCD panel 51, the door lock button 13a, the door open button 13b, the wireless start button 14, the shift buttons 22a, 22b, 22c, and 22d, and a shift stage display LED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23a, 23b, 23c, and 23d.

시동키(50)는 메인 스프링(43)에 의하여 탄성 반발력을 제공받음으로써 특별한 제한이 없는 한 원래의 돌출 위치로 복원된다. 시동키(50)는 외력이 가해지면 키 모듈 본체(10) 내부로 밀려 들어 갈 수 있으며, 이 때에는 시동키의 일단과 연결된 3단 지지축(44)에 의하여 가이드될 수 있다. 이러한 3단 지지축(44)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3개의 축(직경이 가장 작은 축을 제외하고는 모두 중공축임)이 연결된 구성을 가지는데 축방향 압축력이 가해지면 작은 직경을 가지는 축이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축의 중공 내부로 들어감으로써 그 전체 길이가 축소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The starter key 50 is provided with an elastic repulsion force by the main spring 43, and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rotruding position,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ignition key 50 may be pushed into the key module body 10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in this case, the ignition key 50 may be guided by a three-stage support shaft 44 connected to one end of the ignition key. The three-stage support shaft 44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ree shafts having different diameters (all except hollow shafts are hollow shafts) are connected, and when the axial compressive force is applied, the shaft having a smaller diameter is larger. The entire length can be reduced by entering the hollow interior of the shaft having a diameter.

한편, 도 5는 도 3의 절단면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릴리스 버튼(21)은 버튼 축(25)과 연결되어 작동축(41)에 소정의 움직임을 전달하고, 외력이 해제되면 버튼 스프링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원된다. 작동축(41)은 키 모듈 본체(10)의 상부 침강면(32)을 관통하여 버튼 축(25)과 연결되며 하단부는 쐐기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ting plane A-A 'of FIG. 3. The release button 21 is connected to the button shaft 25 to transmit a predetermined movement to the operating shaft 41, and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button spring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leased. The operating shaft 41 is connected to the button shaft 25 by passing through the upper subsided surface 32 of the key module body 10, and the lower end is formed in a wedge shap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 모듈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작동축(41)의 좌우측에는 시동키 잠금 수단(40a, 40b)가 각각 구비되어 있어서 릴리스 버튼(21)의 누름에 의하여 작동축(41)이 하강하면 상기 시동키 잠금 수단(40a, 40b)간의 간격은 벌어지게 되고 시동키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이후 다시 릴리스 버튼(21)이 원 위치로 복귀하면 작동축(41)은 상승하여 원 위치로 회귀되고 이에 따라서 시동키 잠금 수단(40a, 40b)도 다시 잠금 상태로 돌아간다. 시동키 잠금 수단(40a, 40b)가 잠금 상태로 돌아가는 것은 양 측에서 작용하는 판 스프링 (42a, 42b)의 탄성 반발력 때문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ke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arting key locking means 40a, 40b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perating shaft 41, so that when the operating shaft 41 is lowered by pressing the release button 21, the starting key locking means 40a, 40b is separated. The gap opens and the ignition lock is unlocked. Then, when the release button 21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again, the operating shaft 41 is raised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and thus the start key locking means 40a, 40b also returns to the locked state. The return of the ignition key locking means 40a, 40b to the locked state is due to the elastic repulsive force of the leaf springs 42a, 42b acting on both sides.

한편, 시동키(50)는 시동키 잠금틀(45)에 의하여 그 일단이 고정되는데, 상기 시동키 잠금틀(45)은 시동키 잠금 수단(40a, 40b)에 의하여 잠기거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시동키(50)와 연결되는 신호 전달선(51)은 시동키(50)가 삽입되는 움직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다소 여유 있는 길이를 갖는다.On the other hand, one end of the ignition key 50 is fixed by the ignition key locking frame 45, the ignition key locking frame 45 may be locked or unlocked by the ignition key locking means (40a, 40b). have. The signal transmission line 51 connected to the ignition key 50 has a length that is somewhat relax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ignition key 50 being inserted.

도 7은 도 3의 절단면 C-C'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작동축(41)이 하강(D 방향)하면, 작동축(41)의 하단부에 위치한 쐐기부(41a)가 좌측의 시동키 잠금 수단(40a)을 좌측(E 방향)으로 우측의 시동키 잠금 수단(40b)을 우측(F 방향)으로 밀게 되고, 따라서 시동키 잠금 수단(40a, 40b)은 각각 판 스프링(42a, 42b)의 지지를 받으면서 좌측,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며, 이에 의하여 시동키 잠금틀(45)의 잠김 상태는 해제된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C-C 'of FIG. 3. When the operating shaft 41 is lowered (D direction), the wedge part 41a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operating shaft 41 moves the starter key locking means 40a on the left side to the left side (E direction). 40b is pushed to the right (F direction), and thus, the ignition key locking means 40a, 40b is moved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leaf springs 42a and 42b, respectively, whereby the ignition key locking frame The locked state of 45 is released.

도 8은 시동키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시동키 잠금 상태에 있을 때에는, 시동키 잠금틀(45)의 좌우측단의 돌출부(54a, 54b)는 시동키 잠금 수단(40a, 40b)의 전방에 위치한 제1 고정홈(46a, 46b)에 맞물려 고정된다. 이 때 상기 돌출부(54a, 54b)가 상기 제1 고정홈(46a, 46b)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판 스프링(42a, 42b)이 탄성 반발력을 제공한다. 또한, 시동키 잠금 수단(40a, 40b)의 후방에는 마찬가지로 제2 고정홈(47a, 47b)가 구비되어 있다. 8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ignition key. When in the ignition key locking state, the projections 54a and 54b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ignition key locking frame 45 are engaged with the first fixing grooves 46a and 46b located in front of the ignition key locking means 40a and 40b. It is fixed. In this case, the leaf springs 42a and 42b provide elastic repulsion so that the protrusions 54a and 54b are not separated from the first fixing grooves 46a and 46b. Further, second fixing grooves 47a and 47b are similarly provided behind the start key locking means 40a and 40b.

도 9는 시동키가 돌출되었을 때의 구조를 나타내는 절개 평면도이며, 도 10은 시동키가 삽입되었을 때의 구조를 나타내는 절개 평면도이다. 도 9와 같은 상태로 시동키 잠금 상태에서는 돌출부(54a, 54b)와 제1 고정홈(46a, 46b)이 맞물려 있어서, 외력을 시동키(50)에 가하더라도 시동키(50)는 키 모듈 본체(10)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는다.Fig. 9 is a cutaway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when the ignition key is projected, and Fig. 10 is a cutaway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when the ignition key is inserted. In the state of locking the ignition key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9, the protrusions 54a and 54b and the first fixing grooves 46a and 46b are engag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ignition key 50 is the key module body eve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ignition key 50. It is not inserted into the inside of (10).

이 후 도 10과 같이, 릴리스 버튼(21)을 누름에 따라서 시동키 잠금 수단(40a, 40b)이 벌어지게 되면, 제1 고정홈(46a, 46b)는 돌출부(54a, 54b)로부터 이탈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시동키(50)은 잠김 해제 상태가 되고,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면 키 모듈 본체(10)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와 같이 시동키(50)가 삽입된 상태에서 릴리스 버튼(21)의 누름을 해제하면 다시 시동키 잠금 수단(40a, 40b)은 잠금 상태가 되며 이 때, 시동키 잠금틀(45)의 돌출부(54a, 54b)는 시동키 잠금 수단(40a, 40b)의 제2 고정홈(47a, 47b)와 맞물려 고정된다. 그리고, 메인 스프링(43) 및 3단 지지축(44)는 압축된 상태가 된다. 이 후, 다시 릴리스 버튼(21)을 누르면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서, 메인 스프링(43)의 탄성 반발력에 의하여 시동키(50)는 원 위치로 복귀된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10, when the ignition key locking means 40a or 40b is opened as the release button 21 is pressed, the first fixing grooves 46a and 46b are separated from the protrusions 54a and 54b. Thus, the ignition key 50 is in the unlocked state and is inserted into the key module body 10 when the user applies an external force. When the release button 21 is released while the ignition key 50 is inserted in this way, the ignition key locking means 40a, 40b is locked again, and at this time, the protrusion of the ignition key locking frame 45 54a and 54b are engaged with the second fixing grooves 47a and 47b of the ignition key locking means 40a and 40b. The main spring 43 and the three-stage support shaft 44 are in a compressed state. Thereafter, when the release button 21 is pressed again, the locked state is released, and the ignition key 5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repulsive force of the main spring 43.

한편, 본 발명에서 PCB(5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버튼들(13a, 13b, 14, 22a, 22b, 22c, 22d)은 도 1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두 개의 도선(61a, 61b)위에 위치하며, 버튼이 눌려지지 않으면 상기 도선(61a, 61b)는 개방 상태에 있지만, 상기 도선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도선(61a, 61b)은 단락 상태가 된다. 따라서, 버튼의 누름 여부에 따라서 서로 다른 신호를 PCB(53)에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uttons 13a, 13b, 14, 22a, 22b, 22c, and 22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CB 53 are positioned on two conductive wires 61a and 61b, as shown in FIG. When the button is not pressed, the conductive wires 61a and 61b are in an open state, but when the conductive line button is pressed, the conductive wires 61a and 61b are shorted. Therefore, different signals can be transmitted to the PCB 53 depending on whether the button is pressed.

도 12은 시동키(50)의 내부 구조를 보다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이와 같이 복수의 도선으로 이루어진 신호 전달선(51)은 대응되는 개수의 접촉부(52a 내지 52f)와 각각 연결된다. 도 12와 같이 6개의 점촉부가 존재하는 경우에, 4개의 변속 모드 (P, R, N, 및 D)를 이용하고자 한다면, 2개의 접촉부는 예비로 남겨 둘 수도 있다.12 illustrates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ignition key 50 in more detail. As such, the signal transmission lines 51 including the plurality of conductive wires are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numbers of contact portions 52a to 52f, respectively. In the case where there are six contact points as shown in FIG. 12, if four shift modes (P, R, N, and D) are to be used, the two contacts may be reserved.

이러한 시동키(50)가 차량 내부의 키 슬롯(key slot; 미도시됨)삽입되어 일정 각도로 회전되면 시동이 걸리게 된다. 또한, 시동키(50)가 상기 키 슬롯에 삽입되면 상기 접촉부(52a 내지 52f)는 각각에 대응되는 단자(미도시됨)와 접촉되며, 상기 단자는 자동 변속기로 연결된다.When the ignition key 50 is inserted into a key slot (not shown) inside the vehicle and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ignition is started. In addition, when the ignition key 50 is inserted into the key slot, the contact portions 52a to 52f contact each corresponding terminal (not shown), and th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automatic transmission.

따라서, 시동키(50)의 각각의 접촉부로부터 대응되는 변속 모드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가 상기 자동 변속기로 전달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상기 자동 변속기는 차량의 운동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refore, a control signal indicating a corresponding shift mode can be transmitted from each contact of the ignition key 50 to the automatic transmission, whereby the automatic transmission can perform movement control of the vehicle.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 모듈의 신호전달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ignal transmission flow of a ke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변속 버튼(22a, 22b, 22c, 22d)이 눌러짐에 따라서 생성되는 신호는 PCB(53)로 구현된 전자 회로의 디지털 입력부(D/I)(72)로 입력되어 중앙의 컨트롤러(72)로 전달된다. 컨트롤러(72)는 변속 버튼이 나타내는 변속 모드에 따라서 서로 다른 전압(아날로그 전압)을 아날로그 출력부(A/O)(74)를 출력하고, 출력된 전압 신호(78; 자동 변속기로 입력되는 신호)는 접촉부(52a 내지 52d)를 통하여 차량 내부의 자동 변속기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0~4볼트는 주행 모드(D)를, 4~6볼트는 중립 모드(N))를, 6~8볼트는 후진 모드(R)를, 그리고 8~Vcc 볼트는 주차 모드(P)를 나타내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Vcc는 바이어스(bias) 전압을 의미한다.The signal generated as the shift buttons 22a, 22b, 22c, and 22d are pressed is input to the digital input unit (D / I) 72 of the electronic circuit implemented by the PCB 53 to the central controller 72. Delivered. The controller 72 outputs a different voltage (analog voltage) to the analog output unit (A / O) 74 according to the shift mode indicated by the shift button, and outputs an output voltage signal 78 (a signal input to an automatic transmiss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automatic transmission inside the vehicle through the contact (52a to 52d). For example, 0-4 volts for driving mode (D), 4-6 volts for neutral mode (N), 6-8 volts for reverse mode (R), and 8 to Vcc volts for parking mode ( P) can be shown. Here, Vcc means a bias voltage.

한편, 도어 잠금 버튼(13a), 도어 열림 버튼(13b), 무선 시동 버튼(14) 중 어느 하나의 버튼이 눌려짐에 따라서 생성되는 신호도 마찬가지로 디지털 입력부(71)를 거 쳐서 중앙의 컨트롤러(72)로 전달된다. 컨트롤러(72)는 상기 전달된 신호에 따른 출력 신호를 디지털 출력부(73)을 통하여 R/F 모듈(77)로 출력한다.On the other hand, a signal generated as one of the door lock button 13a, the door open button 13b, and the wireless start button 14 is pressed is similarly passed through the digital input unit 71 to the central controller 72. Is delivered. The controller 72 outputs an output signal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signal to the R / F module 77 through the digital output unit 73.

그러면, R/F 모듈(77)은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적외선, 또는 R/F 신호 등의 무선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무선 신호를 안테나를 통하여 차량의 무선 수신부(미도시됨)으로 전송한다.Then, the R / F module 77 generates a radio signal such as an infrared ray or an R / F signal and transmits the generated radio signal to a radio receiver (not shown) of the vehicle through an antenna.

한편, 변속 단수, 차량 문의 개폐 등 현재의 차량 동작 상태는 컨트롤러(72)가 디지털 출력부(76)을 통하여 출력된 신호에 따라 LCD 패널(11)에 표시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차량 동작 상태는 변속단 표시용 LED(23a, 23b, 23c, 23d)를 통하여 보조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urrent vehicle operating state, such as the gear shift stag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ehicle door may be displayed on the LCD panel 11 according to the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72 through the digital output unit 76. In addition, the vehicle operation state may be displayed auxiliary through the shift stage display LEDs 23a, 23b, 23c, and 23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I can understand that.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키 모듈에 변속 레버의 기능을 결합함으로써 기존의 변속레버가 불필요하게 되어 차량 내부의 공간 활용성이 증대된다. 또한 차량 키 모듈에 전자식 변속 방식을 적용하여 변속이 편리하며, 상기 차량 키 모듈에 무선시동 및 도어(door) 잠김/해제 기능을 통합 및 추가함으로써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대부 분의 동작을 일원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mbining the function of the shift lever with the vehicle key module, the existing shift lever is unnecessary, thereby increasing the space utilization inside the vehicle. In addition, the shifting is convenient by applying the electronic shifting method to the vehicle key module, and the operation and control of the vehicle can be unified by integrating and adding wireless start and door lock / unlock functions to the vehicle key module. hav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동 키의 삽입/돌출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사용자가 키 모듈을 사용하지 않고 휴대함에 있어서 보다 편리하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more convenient for the user to carry without using the key module by enabling the insertion / projection of the ignition key.

Claims (7)

차량 시동키와 변속 버튼을 일체로 구비하는 키 모듈로서,A key module having a vehicle start key and a shift button integrally, 상기 키 모듈의 일단에 구비되고, 차량 내부의 키 슬롯에 삽입되어 차량을 시동하는 차량 시동키;A vehicle start key provided at one end of the key module and inserted into a key slot inside the vehicle to start the vehicle; 상기 시동키가 삽입될 때 차량의 자동 변속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촉부; At least one contact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automatic transmission of the vehicle when the ignition key is inserted; 상기 키 모듈의 일면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버튼 입력에 따른 소정의 변속 모드에 대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변속 버튼; 및A plurality of shift button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key module to generate an input signal for a predetermined shift mode according to a user's button input; And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변속 모드에 대한 제어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복수의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상기 자동 변속기에 전달하는 전자 회로를 포함하는 차량 키 모듈.And an electronic circuit converting the input signal into a control signal for the shift mode and transferring the control signal to the automatic transmission through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ntact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사용자의 버튼 입력에 따라서 도어 락 제어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기 위한 제1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도어 잠금/해제 버튼; 및A door lock / release button for generating a first input signal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door lock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user's button input; And 사용자의 버튼 입력에 따라서 차량 시동을 위한 제어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기 위한 제2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무선 시동 버튼을 더 포함하며,Further comprising a wireless start button for generating a second input signal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starting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user's button input, 상기 전자 회로는 상기 제1 입력 신호 및 상기 제2 입력 신호를 도어 락 제어 신호 및 차량 시동을 위한 제어 신호로 각각 변환하여 송출하는 차량 키 모듈.And the electronic circuit converts the first input signal and the second input signal into a door lock control signal and a control signal for starting the vehicle, respectively, and transmits the sam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차량의 현재 상태를 표시하는 LCD 패널을 더 포함하는 차량 키 모듈.And a LCD panel for displaying the current state of the vehicl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시동키는 잠금 상태에 있다가 소정의 버튼을 누르는 동안 잠금 해제 상태가 되어 외력을 가하면 상기 키 모듈이 내부로 삽입되는 차량 키 모듈.And the ignition key is in a locked state and becomes unlocked while pressing a predetermined button so that the key module is inserted therei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키의 잠금 상태는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locking state of the ignition key is 상기 시동키의 일단에 연결/고정되는 시동키 잠금틀의 양 측면에 구비된 돌출부가 상기 잠금틀의 양 측면을 감싸는 시동키 잠금 수단에 구비된 제1 고정홈에 맞물림으로써 유지되는 차량 키 모듈.Vehicle key module that is maintained by engaging the first fixing groove provided in the start key locking means for enclosing both sides of the lock frame to the protrusion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tart key lock fram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tart key. 제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키 모듈이 내부로 삽입된 후 상기 소정의 버튼의 누름을 해제하면 상기 돌출부가 상기 잠금 수단에 구비된 제2 고정홈에 맞물림으로써 상기 시동키가 상기 키 모듈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잠금 상태가 되는 차량 키 모듈.When the predetermined button is released after the key module is inserted into the inside, the protruding portion is engaged with the second fixing groove provided in the locking means, so that the lock state is inserted with the ignition key inserted into the key module. Vehicle key module.
KR1020050036807A 2005-05-02 2005-05-02 Vehicle key module for transmission control KR1006491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6807A KR100649164B1 (en) 2005-05-02 2005-05-02 Vehicle key module for transmission contr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6807A KR100649164B1 (en) 2005-05-02 2005-05-02 Vehicle key module for transmission contr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4746A KR20060114746A (en) 2006-11-08
KR100649164B1 true KR100649164B1 (en) 2006-11-27

Family

ID=37652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6807A KR100649164B1 (en) 2005-05-02 2005-05-02 Vehicle key module for transmission contr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9164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686B1 (en) * 2011-12-15 2013-1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Electronic automatic shift lever
KR101393902B1 (en) 2011-12-13 2014-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hift lever improving operability in automatic transmission
US8801570B2 (en) 2011-06-09 2014-08-12 Hyundai Motor Company Ignition control type auto lever device
KR101438307B1 (en) * 2013-02-27 2014-09-15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Vehicular transmission range switch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933B1 (en) * 2013-03-29 2014-06-11 강상욱 Automobile Remote Key for Checking Lock or Unlock of Door
IT201800010033A1 (en) * 2018-11-05 2020-05-05 Silatech S R L Control system for an automatic gearbox of a motor vehicle including a portable control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8554A (en) * 1988-03-25 1990-01-12 Babcock Ind Inc Mechanical type interlock device
KR20010015286A (en) * 1999-07-13 2001-02-26 기사키 아키라 Vehicle shift lever device
KR20020044813A (en) * 2000-12-06 2002-06-19 이철환 Key inter lock cable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8554A (en) * 1988-03-25 1990-01-12 Babcock Ind Inc Mechanical type interlock device
KR20010015286A (en) * 1999-07-13 2001-02-26 기사키 아키라 Vehicle shift lever device
KR20020044813A (en) * 2000-12-06 2002-06-19 이철환 Key inter lock cable system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01570B2 (en) 2011-06-09 2014-08-12 Hyundai Motor Company Ignition control type auto lever device
KR101393902B1 (en) 2011-12-13 2014-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hift lever improving operability in automatic transmission
KR101338686B1 (en) * 2011-12-15 2013-1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Electronic automatic shift lever
KR101438307B1 (en) * 2013-02-27 2014-09-15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Vehicular transmission range switching device
US9845868B2 (en) 2013-02-27 2017-12-19 Daesung Electric Co., Ltd. Shift range switching device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4746A (en) 200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9164B1 (en) Vehicle key module for transmission control
US8400263B2 (en) Sliding key fob
US20080229794A1 (en) Portable device
CN102842450A (en) Power window switch
WO1999001635A3 (en) Device for transmitting mechanical control movements and/or electric signals between a door actuating device and a door closer device of a motor vehicle door
US20070017787A1 (en) Compound Switch
IT201800010033A1 (en) Control system for an automatic gearbox of a motor vehicle including a portable control device.
US6935147B1 (en) Key with indicator and retractable shield
JP2001006480A (en) Multi-function switch device
JP5833496B2 (en) Vehicle portable device
JP2002189558A (en) Manual input device and on-vehicle equipment controller using the same
KR100956483B1 (en) Device for opening and shutting glove box of car
JPH10207605A (en) Inputting device
US20070146119A1 (en) Door open-close device
JPH01289396A (en) Remotely controlled transmitter
JP3864058B2 (en) Transmitter
JP4762761B2 (en) Mobile device for remote control
JP7207191B2 (en) VEHICLE DOOR HANDLE DEVICE AND METHOD OF FIXING ELECTRONIC CIRCUIT DEVICE FOR VEHICLE DOOR HANDLE DEVICE
JP2022123823A (en) Door handle device for vehicle
CN214659499U (en) Electromechanical integrated multi-control motor home lock
KR101126484B1 (en) Switching device for a vehicle
US20240093532A1 (en) Key with a button for an electromechanical locking device
KR0115272Y1 (en) A power switch united signal receiver in romote controller
KR20040076059A (en) Door latch assembly having multi-function
JP2008008032A (en) Portable machine of electronic ke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