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9118B1 - Multiband-multimode terminal and communication type switching method for multiband-multimode terminal - Google Patents

Multiband-multimode terminal and communication type switching method for multiband-multimod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9118B1
KR100649118B1 KR1020050125670A KR20050125670A KR100649118B1 KR 100649118 B1 KR100649118 B1 KR 100649118B1 KR 1020050125670 A KR1020050125670 A KR 1020050125670A KR 20050125670 A KR20050125670 A KR 20050125670A KR 100649118 B1 KR100649118 B1 KR 100649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mobile communication
modem
video
video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56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충희
Original Assignee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filed Critical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to KR1020050125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911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9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91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6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control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types of networks in order to establish a new radio link in the target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4Messaging devices, e.g. message cent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n MB-MM(Multiband Multi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mmunication method converting method in the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provided to enable video communication to be converted into voice communication when one of originating and receiving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moves to an area where the video communication is unavailable during the video communication, thus call continuity is ensured. The first modem(210) performing video communication in connection with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ecides wheth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a video communication disability area(300,305). If so, the first modem(210) outputs a driving command for performing handover to the second modem(220)(310-335). The second modem(220) is driven by receiving the driving command, and carries out voice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by conducting handover(340).

Description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통신방식 전환 방법{Multiband-multimode terminal and communication type switching method for multiband-multimode terminal}Multiband-multimode terminal and communication type switching method for multiband-multimode terminal

도 1은 CDMA 이동통신망이 기본적으로 구축된 통신 환경에서 WCDMA 방식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망을 간단하게 나타낸 도면.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for providing a WCDMA service in a communication environment in which a CDM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basically constructed.

도 2는 본 발명에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망의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n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통신방식 전환 방법에 관한 순서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method switching method in an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통신방식 전환 방법에 관한 순서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method switching method in an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기존의 CDMA 이동통신망100: existing CDM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10-1, 110-2, 110-3 : 오버레이 지역110-1, 110-2, 110-3: overlay area

120-1, 120-2, 200 : MB-MM 이동통신 단말기120-1, 120-2, 200: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10 : 마스터 모뎀210: master modem

220 : 슬레이브 모뎀220: slave modem

250 : 입력부250: input unit

255 : 출력부255: output unit

270 : 제1 이동통신망270: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71 : 제1망 RNC271: first network RNC

272 : 제1망 MSC272: first network MSC

280 : 제2 이동통신망280: seco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81 : 제2망 BSC281: second network BSC

282 : 제2망 MSC282: second network MSC

본 발명은 MB(Multiband)-MM(Multimode)(이하, 'MB-MM'이라 칭함)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통신방식 전환 방법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band (MB) -MM (multim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switching a communication method in an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 중에도 원격지에 위치한 상대방과 음성 통화가 가능한 휴대형 장치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초기에는 음성 통신만이 가능하였으나, 점차 문자와 기호를 이용하는 데이터 통신방식,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통신방식으로 진화하고 있다.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portable device capable of making a voice call with a counterpart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while moving. Initially, only a voice communication was possible, bu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evolved into a data communication method using text and symbols and a multimedia communication method including a video signal.

음성과 문자 통신방식은 비교적 데이터의 용량이 작아 코드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CDMA'라 칭함)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이 적합하였다. 하지만, 최근의 영상 신호가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통신방식에서는 데이터의 양이 많아 데이터 송출 속도가 빠른 이동통신 시스템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요구에 적합한 시스템이 3세대(3GPP) 이동통신 시스템이며, 일 예로 광대역코드분할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WCDMA' 라 칭한다)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이 있다.Voice and text communication methods have a relatively small data capacity, and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suitable. However, in the multimedia communication method including the recent video signal, a large amount of data requires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high data transmission speed. A system suitable for such a requirement is a third generation (3GPP)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example, 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typ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도 이동통신망 접속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다. 즉, CDMA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하여 음성과 데이터 통신을 하는 휴대형 단말기, WCDMA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과 접속하여 멀티미디어 통신을 하는 휴대형 단말기, CDMA 방식과 WCDMA 방식을 모두 수용하고 선택적으로 접속하여 통신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variously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ess method. 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for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by connecting to the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portable terminal for multimedia communication by connecting to the W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MB which accepts and selectively connects and communicates with both the CDMA and WCDMA methods. -MM may be classified in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CDMA 이동통신망이 기본적으로 구축된 통신 환경에서 WCDMA 방식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망을 간단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for providing a WCDMA type service in a communication environment in which a CDM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basically construct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CDMA 방식의 서비스는 광범위한 영역(100)에서 제공되고 있으나 WCDMA 방식의 서비스는 CDMA 방식의 서비스 지역 내의 일부의 지역(110-1, 110-2, 110-3, 이하'110'으로 통칭함)에서만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CDMA 서비스 지역 내의 일부 지역은 WCDMA 서비스 지역과 중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영역을 오버레이 지역(110)이라 할 수 있다. 물론, CDMA 서비스 지역 이 외의 영역에 WCDMA 서비스 지역이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1, CDMA-type services are currently provided in a wide range of areas 100, but WCDMA-type services are provided in some regions 110-1, 110-2, 110-3, and CDMA-type service region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110'). Thus, some regions within the CDMA coverage area may overlap with the WCDMA coverage area, such an area may be referred to as an overlay area 110. Of course, the WCDMA service area may exist independently in an area other than the CDMA service area.

오버레이 지역(110)은 기존의 2세대 이동통신망인 CDMA 이동통신망과 3세대 이동통신망인 WCDMA 이동통신망이 공존하는 형태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오버레이 지역(110) 내외에서 WCDMA 방식의 서비스와 CDMA 방식의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기 위해서는 CDMA 모뎀과 WCDMA 모뎀을 모두 구비하고 있고, 각 모뎀 간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120-1, 120-2, 이하 '120'으로 통칭함)를 구비하여야 한다.The overlay area 110 is a form in which a conventional CDM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hich is a secon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WCDM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hich is a thi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exist. Accordingly, in order to be able to selectively use the WCDMA type service and the CDMA type service in the overlay area 110, the user has both a CDMA modem and a WCDMA modem, and MB-MM mobile communication selectively operates between the modems. Terminals 120-1, 120-2, hereafter referred to as '120' should be provided.

그런데, 이러한 MB-MM 이동통신 단말기(120)를 이용하여 오버레이 지역(110)에서 화상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발신측 및/또는 착신자측 MB-MM 이동통신 단말기(120)가 화상통신을 할 수 없는 지역(예를 들어, CDMA 이동통신망(100) 및/또는 CDMA 이동통신망과 오버레이 지역(110)의 경계 영역(Border cell) 등)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가 문제된다. However, when video communication is performed in the overlay area 110 using the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the calling party and / or the called party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may perform video communication. The problem arises in the case where it is located in an unoccupied area (eg, a border cell of the CDM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and / or the CDM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overlay area 110).

종래에는 WCDMA 이동통신망(110)에서 발신측 MB-MM 이동통신 단말기가 화상통신을 시도하는 경우, 착신자측 MB-MM 이동통신 단말기가 화상통신을 할 수 없는 지역에 위치하여 있으면 발신측 MB-MM 이동통신 단말기는 WCDMA 이동통신망(110)으로부터 "지금은 화상통신을 수행할 수 없다"는 의미의 BNPA(Bearer capability Not Presently Available) 메시지를 수신하고, 음성통신으로 자동 재발신을 시도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화상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초기 호 연결(call connection) 단계에서만 가능할 뿐이다. 즉, 이미 화상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발신측 및 수신측 MB-MM 이동통신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화상통신을 할 수 없는 지역으로 이 동하게 되는 경우에는 바로 무선 통신을 중단(call drop)한다. Conventionally, when the calling party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tempts video communication in the WCDM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10, if the called party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in an area where video communication is not possible, the calling party MB-M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a bearer capability not presently available (BNPA) message from the WCDM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10, meaning that it cannot perform image communication at this time, and attempts to automatically redial the voice communication. However, this method is only possible at the initial call connection stage for connecting video communications. That is, when at least one of the calling and receiving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which are already performing video communication moves to an area where video communication is not possib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is immediately dropped.

이로 인해, 사용자는 통화의 연속성을 보장받지 못할 뿐만 아니라, 착신측 MB-MM 이동통신 단말기로 음성 통신을 시도하기 위하여 다시 음성 신호(origination call) 연결을 시도하여야 하는 불편을 야기한다.As a result, the user may not be guaranteed the continuity of the call, and may cause inconvenience that the user must attempt to connect an origination call again in order to attempt voice communication with the destination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따라서, 본 발명은 화상통신을 수행하던 중 발신측 및 수신측 MB-MM 이동통신 단말기 중 하나 이상이 화상통신을 할 수 없는 지역으로 이동하면 화상통신에서 음성 통신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통신방식 전환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one or more of the calling and receiving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move to an area where video communication is not possible during the video communication, the MB-MM mobile communication is switched from the video communication to the voice communica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switching a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a terminal and an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화상통신을 수행하던 중 발신측 및 수신측 MB-MM 이동통신 단말기 중 하나 이상이 화상통신을 할 수 없는 지역으로 이동하게 되는 경우에도 통화의 연속성을 보장 받을 수 있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통신방식 전환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B-MM that can ensure the continuity of the call even if one or more of the source and receiving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oved to the area where the video communication is not possible during the video communica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switching a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화상통신을 수행하던 중 발신측 및 수신측 MB-MM 이동통신 단말기 중 하나 이상이 화상통신을 할 수 없는 지역으로 이동하게 되는 경우에도 사용자에 상응하는 음성신호 연결을 위한 버튼 조작이 필요 없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통신방식 전환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button operation for connecting a voice signal corresponding to a user even when one or more of the sending and receiving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move to an area where video communication is not possible.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 communication method switching method in an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ad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there is provided an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제1 이동통신망에 접속되어 화상통신 수행 중 화상통신 불능 지역으로 진입하면 핸드오버를 위한 구동 명령을 출력하는 제1 모뎀; 및 상기 구동 명령을 수신하여 구동되고, 핸드오버를 수행하여 제2 이동통신망에 접속되어 음성통신을 수행하는 제2 모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first modem connected to a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outputting a driving command for handover when entering a video communication disabled area during a video communication; And a second modem configured to receive and drive the driving command, perform a handover, and be connected to a seco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perform voice communication.

상기 MB-MM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1 모뎀의 제어에 의해 화상통신 불능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video communication disable message under the control of the first modem.

상기 MB-MM 이동통신 단말기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고, 음성통신 전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모뎀은 상기 음성통신 전환 명령에 따라 상기 구동 명령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plurality of buttons and further include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voice communication switch command, wherein the first modem outputs the driving command according to the voice communication switch command. Can be.

상기 제2 모뎀과 상기 제2 이동통신망 간의 음성통신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면 상기 제1 모뎀은 화상통신을 종료할 수 있다.If voice communication between the second modem and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normally performed, the first modem may terminate the video communication.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there is provided an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제1 이동통신망에 접속되어 화상통신 수행 중 상대방 MB-MM 이동통신 단말기가 화상통신 불능 지역으로 진입하면, 상기 제1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상대 단말 화상통신 불능지역 위치 메시지를 수신하고, 화상통신 불능 메시지를 출력하는 제1 모뎀; 및 상기 화상통신 불능 메시지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other party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s the video communication disabled area during the video communication connected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first mobile A first modem for receiving a counterpart video communication disabled area location message from a communication network and outputting a video communication disabled message; And an out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nd output the video communication disable message.

상기 MB-MM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1 모뎀은 상기 출력부에 상기 상대 단말 화상통신 불능 메시지가 출력되면 화상통신을 종료하고, 상기 제1 이동통신망에 접속되어 음성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first modem terminates the video communication when the counterpart video communication disable message is output to the output unit,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perform voice communication. Can be.

상기 제1 모뎀은 상기 출력부에 상기 상대 단말 화상통신 불능 메시지가 출력되면, 화상통신을 종료하지 아니하고, 상기 제1 이동통신망에 접속되어 화상통신과는 다른 경로를 통하여 음성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first modem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perform voice communication through a different path from the video communication without terminating the video communication when the counterpart video communication disable message is output to the output unit. .

상기 제1 모뎀은 상기 제1 이동통신망과 음성통신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면 화상통신을 종료할 수 있다.The first modem may terminate the video communication when the voice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normally performed.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there is provided an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통신방식 전환 방법에 있어서, 제1 이동통신망에 접속되어 화상통신을 수행하는 제1 모뎀이 화상통신 불능 지역에 위치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모뎀이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구동 명령을 제2 모뎀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모 뎀이 상기 구동 명령을 수신하여 구동되고, 핸드오버를 수행하여 제2 이동통신망과 음성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통신방식 전환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ethod of switching a communication method in an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rmining whether a first modem connected to a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performing video communication is located in an area where video communication is unavailable. step; Outputting, by the first modem, a driving command to perform a handover to a second modem; And the second modem is driven by receiving the driving command, and performing voice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by performing a handover to switch the communication method in the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ethod is provided.

상기 통신방식 전환 방법은 화상통신 불능 지역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1 모뎀이 화상통신 불능 메시지를 출력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부가 상기 화상통신 불능 메시지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ethod switching method comprises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video communication disabled message to the output unit when the first modem is located in the video communication disabled area; And receiving and outputting the video communication disable message by the output unit.

상기 통신방식 전환 방법은 상기 출력부에 의해 출력된 상기 화상통신 불능 메시지에 상응하여, 입력부가 음성통신 전환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모뎀은 상기 음성통신 전환 명령에 따라 상기 구동 명령을 출력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an input of a voice communication switching command in response to the video communication disable message output by the output unit, wherein the first modem is further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voice communication switching command. A drive command can be output.

상기 통신방식 전환 방법은 상기 제2 모뎀과 상기 제2 이동통신망 간에 음성통신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면, 상기 제1 모뎀은 화상통신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erminating the video communication when the voice communication is normally performed between the second modem and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there is provided an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통신방식 전환 방법에 있어서, 제1 이동통신망에 접속되어 화상통신 수행 중 상대방 MB-MM 이동통신 단말기가 화상통신 불능 지역에 위치하면, 제1 모뎀이 상기 제1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상대 단말 화상통신 불능지역 위치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 기 제1 모뎀이 상기 상대방 MB-MM 이동통신 단말기가 화상통신을 수행할 수 없는 지역에 위치하였다는 화상통신 불능 메시지를 출력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부가 상기 화상통신 불능 메시지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통신방식 전환 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ethod of switching a communication method in an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other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in an area where video communication is unavailable while being connected to a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performing video communication. Receiving, by the first modem, a counterpart location communication location location message from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ransmitting, by the first modem, a video communication disable message indicating that the other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in an area where video communication cannot be performed; And outputting the output unit to receive and output the video communication disable message.

상기 통신방식 전환 방법은 상기 제1 모뎀은 상기 출력부에 상기 상대 단말 화상통신 불능 메시지를 전송한 후, 화상통신을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모뎀은 상기 제1 이동통신망에 접속되어 음성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ethod switching method may include the step of: the first modem transmitting the video communication disable message of the opposite terminal to the output unit, and ending the video communication; And the first modem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perform voice communication.

상기 통신방식 전환 방법은 상기 제1 모뎀은 상기 출력부에 상기 상대 단말 화상통신 불능 메시지를 전송한 후, 화상통신을 종료하지 아니하고, 상기 제1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화상통신과는 다른 경로를 통하여 음성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communication mode switching method, the first modem transmits the video communication incapacity message of the opposite terminal to the output unit, and does not terminate the video communication, but accesses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 different path from the video communica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performing voice communication.

상기 통신방식 전환 방법은 상기 제1 모뎀은 상기 제1 이동통신망과 음성통신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면 화상통신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terminating the video communication when the first modem normally performs voice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구분하기 위해 부가되는 서수(예를 들어, 제1, 제2)는 각 구성 요소가 각 단락 또는 명세서 전반적인 설명을 위해 기재되는 순서에 따라 부가한 것에 불과하며, 이는 각 구성 요소의 명칭을 특정하거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유념하여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rdinal numbers (eg, first and second) added to distinguish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added in the order in which each component is described for each paragraph or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is not intended to specify the name of each component or to limit the scope of rights.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following merely illustrates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although not explicitly described or shown herein, can embody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vent various methods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that are included in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detailed descriptions, including the principles, aspects, a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listing specific embodiments, are intended to include structural and functional equivalents.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리성을 위하여 제1 모뎀을 마스터 모뎀으로 하고 제2 모뎀을 슬레이브 모뎀이라고 편의상 정의하나 그 용어(즉, 제1, 제2, 마스터 및 슬레이브)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않음은 자명하다.In this specifica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irst modem is defined as a master modem and the second modem is defined as a slave modem for convenienc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by the terms (ie, first, second, master, and slave). It is self-evident.

이하,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망 간의 통신 구조를 설명함에 있어,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마스터 모뎀은 WCDMA 모뎀인 것으로, 슬레이브 모뎀은 CDMA 모뎀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다만,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 포함되는 모뎀이 CDMA 모뎀과 WCDMA 모뎀으로 제한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가 슬레이브 모뎀을 2개 이상 구비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communication structure between the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ster modem provided in the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WCDMA modem, and the slave modem is a CDMA modem. It is assumed that it is. However, it is obvious that the modem included in the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limited to the CDMA modem and the WCDMA modem. Although a separate description is omitted, it is apparent that the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wo or more slave modems.

또한, 마스터 모뎀과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제1 이동통신망은 WCDMA 이동통신망이고, 슬레이브 모뎀과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제2 이동통신망은 CDMA 이동통신망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제1 이동통신망 및 제2 이동통신망은 하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종류의 이동통신방식(예를 들어, TDMA 방식, GSM 방식 등)에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하다. In addition, it is assumed that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o the master modem and performing communication is the WCDM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o the slave modem and performing communication is the CDM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included in on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addition,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the same or similar to other types of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for example, TDMA, GSM, etc.).

또한, 화상통신을 수행하던 중에 화상통신을 수행할 수 없는 지역에 위치하는 단말기를 발신측 단말기로, 발신측 단말기와 화상통신을 수행하던 단말기를 수신측 단말기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In addition, a terminal located in an area where video communication cannot be performed during video communication is defined as a calling terminal and a terminal performing video communication with a calling terminal is described as a receiving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에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망의 구성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of an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마스터 모뎀(210), 슬레이브 모뎀(220), 마스터 고주파 처리부(230), 슬레이브 고주파 처리부(240), 입력부(250), 출력부(255), 듀플렉서(260) 및 안테나(265)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2, the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ster modem 210, a slave modem 220, a master high frequency processor 230, a slave high frequency processor 240, and an input unit ( 250, an output unit 255, a duplexer 260, and an antenna 265.

마스터 모뎀(210)은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마스터 모드(즉, 마스터 모뎀(210)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하는 통신 모드)로 동작할 때, 기저대역(Base Band)의 각종 신호 처리와 제어를 수행한다. 특히, 제1 이동통신망(270)에 접속하여 화상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화상통신 중에 화상통신을 수행할 수 없는 지역(예를 들어, CDMA 이동통신망(100) 및/또는 CDMA 이동통신망과 오버레이 지역(110)의 경계 영역(Border cell) 등, 이하 '화상통신 불능 지역'이라 칭함)으로 이동되면, 이를 감지하여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 화상통신 불능지역 위치 메시지를 송출한다. 화상통신 불능 지역에 위치하게 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일 예로, 마스터 모뎀(210)이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부터 수신신호 세기 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저장되어 있는 임계값과 이를 비교하여 수신신호 세기 정보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는 화상통신 불능 지역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는 방법이 있다. 이를 구현하는 것은 당업자에 자명한 바, 여기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The master modem 210 processes various signals of base bands when the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operates in a master mode (that is, a communication mode using a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master modem 210). And control. In particular,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70 is connected to perform image communication. In addition, an area in which video communication cannot be performed during video communication (for example, a CDM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and / or a border cell of the CDM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overlay area 110, etc. If the location is moved to the "area", it detects this and transmits the video communication disabled area location message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70). There are a variety of ways to detect whether you are located in an area where you are unable to communicate. For example, when the master modem 210 receives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nformation from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70 and compares it with a previously stored threshold value, if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nformation is smaller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master modem 210 is located in an area where video communication is impossible. There is a way to determine that it is locate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implementa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

그런데, 화상통신에서 음성통신으로 전환되는 경우는 당해 MB-MM 단말기가 화상통신 불능 지역으로 이동하는 경우와 상대방 단말기가 화상통신 불능 지역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하, 각각의 경우에서의 마스터 모뎀(21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However, when switching from video communication to voice communication, there may be a case where the corresponding MB-MM terminal moves to a video communication disabled region and a counterpart terminal moves to a video communication disabled region. 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of the master modem 210 in each case will be described.

먼저, 당해 MB-MM 단말기(200)가 화상통신 중에 화상통신 불능 지역으로 이동한 경우의 마스터 모뎀(21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First, the operation of the master modem 210 when the MB-MM terminal 200 moves to an area where video communication is unavailable during video communication will be described.

또한, 마스터 모뎀(210)은 화상통신 불능 지역에 위치한 것을 사용자에게 인지시키기 위하여 화상통신 불능 메시지가 출력부(255)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음성통신을 위하여 슬레이브 모뎀(220)으로 핸드오버를 위한 구동 명령을 전송한다. 또한, 입력부(250)를 통해 음성통신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음성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 화상통신 종료 메시지(예를 들어, 화상 신호 release order message)를 송출하여 화상통신을 종료시킨다. 또한, 화상통신 종료 메시지를 송출한 후, 긍정 응답(ACK) 신호를 수신하거나 임의의 시간 경과하면 제1 이동통신망(270)과 음성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 음성 신호를 송출한다. In addition, the master modem 210 allows the video communication disable message to be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255 in order to recognize the user located in the video communication disabled area. In addition, the drive command for handover is transmitted to the slave modem 220 for voice communication. In addition, when a voice communication switching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250, a video communication end message (eg, an image signal release order message) is sent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70 to perform voice communication. Ends. In addition, after transmitting the video communication end message, the voic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70 to receive an acknowledgment (ACK) signal or to perform voice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70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Send it out.

또한, 마스터 모뎀(210)이 화상통신을 패킷 통신(Packet Service, PS)을 이 용하여 수행하는 경우에는 음성통신은 일반 회선 통화(Circuit Service, CS)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도 있으므로, 화상통신이 종료되지 아니하여도 음성 신호를 정상적으로 송수신할 수도 있다. 따라서, 마스터 모뎀(210)은 화상통신을 종료하지 아니하고 음성통신을 위하여 슬레이브 모뎀(220)으로 핸드오버를 위한 구동 명령을 송출하고, 슬레이브 모뎀(220)이 핸드오버를 수행하여 음성통신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이후에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 화상통신 종료 메시지를 송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master modem 210 performs video communication using a packet service (PS), voice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using a general circuit call (CS), so that video communication ends. If not, the voice signal may be transmitted and received normally. Accordingly, the master modem 210 transmits a driving command for handover to the slave modem 220 for voice communication without terminating the video communication, and the slave modem 220 performs the handover to perform voice communication normally. After that, the video communication end mess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70.

다음으로, 상대방 MB-MM 이동통신 단말기가 화상통신 중에 화상통신 불능 지역으로 이동한 경우에서의 마스터 모뎀(210) 동작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operation of the master modem 210 when the other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ves to a video communication disabled area during video communication.

마스터 모뎀(210)은 화상통신 중에 상대방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화상통신 불능 지역에 위치하게 되면,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부터 상대 단말 화상통신 불능 지역 위치 메시지를 수신하고, 출력부(255)를 통해 화상통신 불능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화상통신 불능 메시지를 출력부(255)로 전송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거나 입력부(250)로부터 긍정 응답(ACK)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화상통신 종료 메시지를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 송출하여 화상통신을 종료시킬 수 있다. 이후,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음성통신을 수행한다. When the counterpart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s located in a video communication disabled area during video communication, the master modem 210 receives a counterpart video communication disabled area location message from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70 and outputs the message. The video communication disable message is output through the unit 255. In addition, when a preset time elapses after receiving the video communication disable message to the output unit 255 or when an ACK signal is received from the input unit 250, the video communication end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70. ) To terminate the video communication. Thereafter, the voic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70 to perform voice communication.

물론, 마스터 모뎀(210)이 화상통신을 패킷통신(Packet Service, PS)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경우에는 음성통신은 일반 회선통화(Circuit Service, CS)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도 있으므로, 마스터 모뎀(210)은 화상통신을 종료하지 아니한 채, 음성통신을 위한 음성 신호를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부터 수신하고, 음성통신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이후에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 화상통신 종료 메시지를 송출할 수도 있다Of course, when the master modem 210 performs a video communication using a packet service (PS), the voice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using a general circuit call (CS), so the master modem 210 ) Receives a voice signal for voice communication from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70 without terminating the video communication, and sends a video communication end message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70 after the voice communication is normally performed. You may

슬레이브 모뎀(220)은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슬레이브 모드(즉, 슬레이브 모뎀(220)에 따른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통신 모드)로 동작할 때, 기저대역(Base Band)의 각종 신호 처리와 제어를 수행한다. 특히, 화상통신을 수행하던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화상통신을 할 수 없는 경계 지역이나 제2 이동통신망(280)에 위치한 경우에 마스터 모뎀(210)의 제어에 의하여 구동되어(즉, 마스터 모뎀(210)의 구동 명령에 의하여 구동되어) 핸드오버를 완료한 후 제2 이동통신망(280)과 음성통신을 수행한다. 이 때, 슬레이브 모뎀(220)은 핸드오버가 완료되어 제2 이동통신망(280)과 정상적으로 음성통신을 수행한다는 것을 마스터 모뎀(210)으로 보고할 수 있다. 즉, 긍정 응답(ACK) 신호를 마스터 모뎀(2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마스터 모뎀(210)이 구동 명령을 전송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 후에도 부정 응답(NACK)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긍정 응답(ACK) 신호를 수신한 것으로 가정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The slave modem 220 processes various signals of base bands when the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operates in a slave mode (that is, a communication mode using a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slave modem 220). And control. In particular, when the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performing video communication is located in a boundary area where video communication is not possible or in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80, the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s driven by the control of the master modem 210 (ie After the handover is completed, the voice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80 is performed. In this case, the slave modem 220 may report to the master modem 210 that handover is completed and normally performs voice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80. That is, an acknowledgment (ACK)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master modem 210. Of course, when the master modem 210 does not receive a negative acknowledgment (NACK) signal even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ransmitting the driving command, it may be assumed that the acknowledgment (ACK) signal is received.

마스터 고주파 처리부(230)는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수신단과 마스터 모뎀(210)으로부터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 송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송신단을 포함하며, 마스터 모뎀(210)이 망으로 송출하는 신호를 증폭하는 등 송수신되는 마스터 모드의 각종 고주파를 처리한다. 특히, 제1 이동통신망(270)에서 송신하는 무선국 정보를 수신하여 마스터 모뎀(210)에 송출한다.The master high frequency processor 230 includes a receiving end for process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70 and a transmitting end for process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ster modem 210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70. The 210 processes various high frequencies of the master mode transmitted and received, such as amplifying a signal transmitted to the network. In particular, the wireless st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70 is received and transmitted to the master modem 210.

슬레이브 고주파 처리부(240)는 제2 이동통신망(28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 를 처리하는 수신단과 슬레이브 모뎀(220)으로부터 제2 이동통신망(280)으로 송출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송신단을 포함하며, 슬레이브 모뎀(220)이 제2 이동통신망(280)으로 송출하는 신호를 증폭하는 등 송수신되는 슬레이브 모드의 각종 고주파를 처리한다.The slave high frequency processor 240 includes a receiver for process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80 and a transmitter for process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lave modem 220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80, and the slave modem. 220 amplifies a signal transmitted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80 and processes various high-frequency in the slave mode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입력부(250)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상응하는 각종 신호가 생성되며, 생성된 신호를 마스터 모뎀(210)에 입력한다. 특히,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상응하는 음성통신 전환 명령을 생성하여 마스터 모뎀(210)으로 입력한다. 입력부(250)는 숫자 패드 및/또는 터치 패드일 수 있다.The input unit 250 may include a plurality of buttons, various signals corresponding to user button manipulations are generated, and the generated signals are input to the master modem 210. In particular, a voice communication switching command corresponding to a button operation of a user is generated and input to the master modem 210. The input unit 250 may be a numeric pad and / or a touch pad.

출력부(255)는 마스터 모뎀(210)의 제어에 의해, 각종 사진, 영상, 문자, 및 음성 등의 데이터를 출력한다. 특히, 화상통신을 수행하는 상대방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전송한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마스터 모뎀(210)으로부터 화상통신 불능 메시지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이 때, 화상통신 불능 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일 예로, 출력부(255)에 팝업창을 사용하여 미리 저장된 화상통신 불능 메시지에 상응하는 문자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다. 또는,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화상통신 불능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들 방법들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한 바,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출력부(255)는 LCD 및/또는 스피커일 수 있다. The output unit 255 outputs data such as various pictures, videos, texts, and voices under the control of the master modem 210. In particular, the video and / or audio data transmitted by the counterpart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performing video communication is output. In addition, the video communication disable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master modem 210 and output. At this time, the method of outputting the video communication disabled message is various. For example, text data corresponding to a pre-stored video communication disabled message may be output to the output unit 255 using a popup window. Alternatively, audio data may be output. As described above, a method for outputting a video communication disable message may be various, and these methods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output unit 255 may be an LCD and / or a speaker.

듀플렉서(260)는 상기 각 모드의 서로 다른 고주파 대역을 분리하고, 안테나(265)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제1 및/또는 제2 이동통신망(270, 280)으 로부터의 신호를 송수신한다.The duplexer 260 separates the different high frequency bands of the respective modes, and the antenna 265 is a signal from the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nd the first and / or seco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270 and 280. Send and receiv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동통신망(270)은 제1망 무선국 제어부(Radio Network Controller, 이하 'RNC'라 칭함)(271) 및 제1망 교환부(Mobile Switching Center, 이하, 'MSC'라 칭함)(272)를 포함한다. 또한, 제1 이동통신망(270)은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Packet Data Service Node, PDSN)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70 includes a first network radio station controller (RNC) 271 and a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RNC'). MSC ') (272). In addition,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70 may further include a packet data service node (PDSN).

제1망 RNC(271)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마스터 모뎀(210)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국(Base Station, BS)(도시되지 않음)을 제어한다. 특히, 무선국을 제어하여 무선국에서 MB-MM 이동 통신 단말기(200, 즉 마스터 모뎀(210))으로 무선국 정보(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 등)를 송출하도록 한다. The first network RNC 271 controls a base station (BS) (not shown) that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aster modem 210 of the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n particular, the radio station is controlled so that the radio station transmits radio st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a system information block (SIB), etc.) to the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at is, the master modem 210).

물론, 제1 이동통신망(270)에서 마스터 모뎀(210)으로 송출하는 각종 신호들은 제1망 RNC(271)가 마스터 모뎀(210)과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국을 제어하여 마스터 모뎀(210)으로 송출하는 것이다. 다만,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이동통신망 (270)이 마스터 모뎀(210)으로 각종 신호들을 송출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반대로, 마스터 모뎀(210)에서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 신호를 송출하는 경우에도 무선국을 통해서 제1망 RNC(271)로 송출되는 것이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마스터 모뎀(210)이 제1 이동통신망(270)에 신호들을 송출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Of course, various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70 to the master modem 210 are transmitted to the master modem 210 by controlling a radio station where the first network RNC 271 communicates with the master modem 210. It is. Howev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explanation,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70 will be described as transmitting various signals to the master modem 210. On the contrary, even when a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master modem 210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70, the master modem 210 is transmitted to the first network RNC 271 through a wireless station. It will be described as transmitting signals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70.

따라서, 제1 이동통신망(270)은 화상통신을 수행하던 마스터 모뎀(210)이 화상통신을 수행할 수 없는 지역에 위치한 경우, 마스터 모뎀(210)으로부터 화상통 신 불능 지역 위치 메시지를 수신하여 수신측 단말기로 발신 단말 화상통신 불능 지역 위치 메시지를 송출한다. 또한, 제1 이동통신망(270)은 마스터 모뎀(210)으로부터 화상통신 종료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측 단말기로부터 수신 단말 화상통신 종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를 마스터 모뎀(210)으로 알려줄 수 있다(일 예로, 긍정 응답(ACK) 신호 등을 마스터 모뎀(210)으로 송출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음).Accordingly, when the master modem 210 performing video communication is located in an area where video communication is not possible,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70 receives and receives a video communication location location message from the master modem 210. Sends outgoing terminal video communication area location message to the terminal. In addition,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70 may receive a video communication end message from the master modem 210, and notify the master modem 210 when the receiving terminal video communication end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receiving terminal. , A method of transmitting an acknowledgment (ACK) signal or the like to the master modem 210).

제1망 MSC(272)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제1 이동통신망(270)에 위치한 경우,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대한 각종 식별자 관리,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 탐색 및 추적 등을 수행한다. The first network MSC 272 manages various identifiers for the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nd the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s located in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70. 200 Search and track.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이동통신망(280)은 제2망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 이하, 'BSC'라 칭함)(281) 및 제2망 MSC(282)를 포함한다. 제2 이동통신망(280)은 패킷 교환 장치(Serving GPRS Support Node, SGSN)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80 includes a second network base station controll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SC") 281 and a second network MSC 282. .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80 may further include a Serving GPRS Support Node (SGSN).

제2망 BSC(281)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슬레이브 모뎀(220)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도시되지 않음)을 제어한다. The second network BSC 281 controls a base station (not shown) that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lave modem 220 of the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물론, 제2 이동통신망(280)에서 슬레이브 모뎀(220)으로 송출하는 각종 신호들은 제2망 BSC(281)가 슬레이브 모뎀(220)과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을 제어하여 슬레이브 모뎀(220)으로 송출하는 것이다. 다만,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이동통신망 (280)이 슬레이브 모뎀(220)으로 각종 신호들을 송출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반대로, 슬레이브 모뎀(220)에서 제2 이동통신망(280)으로 신호를 송출하는 경우에도 기지국을 통해서 제2망 BSC(281)로 송출되는 것이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슬레이브 모뎀(220)이 제2 이동통신망(280)에 신호들을 송출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Of course, various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80 to the slave modem 220 are transmitted to the slave modem 220 by controlling the base station through which the second network BSC 281 communicates with the slave modem 220. It is. Howev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explanation,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80 will be described as transmitting various signals to the slave modem 220. On the contrary, even when the slave modem 220 transmits a signal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80, the slave modem 220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network BSC 281 through the base station. The transmission of signals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80 will be described.

따라서, 슬레이브 모뎀(220)은 음성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음성 신호를 제2 이동통신망(280)으로 송출한다.Therefore, the slave modem 220 transmits a voice signal for performing voice communication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80.

제2망 MSC(282)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제2 이동통신망(280)에 위치한 경우,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대한 각종 식별자 관리,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 탐색 및 추적 등을 수행한다.The second network MSC 282 manages various identifiers for the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nd the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s located in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80. 200 Search and track.

이하, 도 3 및 도 4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통신방식 전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switching a communication method in an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슬레이브 모뎀(220)은 구동 종료 상태인 경우를 가정한다.Before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it is assumed that the slave modem 220 of the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s in a driving termination state.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통신방식 전환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method switching method in an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제1 이동통신망(270)에 접속되어 화상통신을 수행하고 있는(단계 300) 마스터 모뎀(210)은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즉, 발신측 단말기)가 화상통신을 수행할 수 없는 지역(예를 들어, CDMA 이동통신망(100) 및/또는 CDMA 이동통신망과 오버레이 지역(110)의 경계 영역(Border cell) 등)으로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305). 여기에서,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 화상통신을 수행할 수 없는 지역에 위치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일 예로, 마스터 모 뎀(210)이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부터 수신신호 세기 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저장되어 있는 임계값과 이를 비교하여 수신신호 세기 정보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는 화상통신을 수행할 수 없는 지역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는 방법이 있다. 이를 구현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바, 여기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First, the master modem 210 connected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70 to perform video communication is performed by the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at is, the calling terminal) to perform video communica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it has moved to an unknown region (eg, a CDM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and / or a border cell of the CDM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overlay area 110, etc.) (step 305). Here, the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he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s located in an area where image communication cannot be performed is various. For example, when the master modem 210 receives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nformation from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70 and compares it with a previously stored threshold value, whe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nformation is smaller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video communication is performed. There is a way to judge that it is located in an area that cannot be done.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implement thi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

판단 결과,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화상통신을 수행할 수 없는 지역에 위치하였다고 판단되면, 마스터 모뎀(210)은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 화상통신 불능 지역 위치 메시지를 송출한다(단계 310). 이는 화상통신을 수행하던 상대방 단말기(즉, 수신측 단말기)에게 화상통신을 수행할 수 없다는 것을 알리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1 이동통신망(270)은 화상통신 불능 지역 위치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측 단말기로 발신자 단말기가 화상통신을 수행할 수 없는 지역에 위치하였다는 신호(이하, '발신단말 화상통신 불능 지역 위치 메시지'라 칭함)를 송출한다(단계 315). As a result of determin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s located in an area where video communication cannot be performed, the master modem 210 transmits a video communication location location message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70. (Step 310). This is to inform the counterpart terminal (that is, the receiving terminal) that is performing the video communication that the video communication cannot be performed. Therefore, when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70 receives the video communication location location message,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70 receive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caller terminal is located in an area where the calling terminal cannot perform video communication. Location message '(step 315).

단계 320에서, 마스터 모뎀(210)은 화상통신 불능 메시지를 출력부(255)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이는 화상통신을 수행할 수 없다는 것을 발신측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함이다. In step 320, the master modem 210 outputs the video communication disable message through the output unit 255. This is to inform the calling user of the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at video communication cannot be performed.

단계 325에서, 출력부(255)는 화상통신 불능 메시지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화상통신 불능 메시지는 음성 메시지 또는 경고음의 형태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255)는 팝업창을 사용하여 미리 저장된 화상통신 불능 메시지에 상응하는 문자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상통신 불능 메 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들 방법들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한 바,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operation 325, the output unit 255 receives and outputs a video communication disable message. The video communication failure message may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in the form of a voice message or an alert sound. For example, the output unit 255 may output text data corresponding to a pre-stored image communication disabled message using a popup window. As such, a method for outputting a video communication disabled message may be various, and these methods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단계 330에서, 출력부(255)에 화상통신 불능 메시지가 출력되면, 발신측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사용자(이하, '발신측 사용자'라 칭함)는 통신을 중단할 것인지, 음성통신으로 전환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고, 입력부(250)는 발신측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상응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마스터 모뎀(210)으로 출력한다. 다만, 여기에서는, 발신측 사용자가 음성통신으로 전환하는 경우를 선택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입력부(250)는 음성통신 전환 명령을 생성하여 마스터 모뎀(210)으로 입력한다. 물론, 발신측 사용자가 통신을 중단하는 경우를 선택한 경우에는 입력부(250)가 통신을 종료시키기 위한 명령을 생성하여 마스터 모뎀(210)으로 입력할 것임은 자명하다. In step 330, when the video communication disable message is output to the output unit 255, the user of the calling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calling user) will stop communication. It is possible to select whether to switch to communication, the input unit 250 generate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button operation of the calling user and outputs to the master modem 210. However, it is assumed here that the calling user selects the case of switching to voice communication. Therefore, the input unit 250 generates a voice communication switching command and inputs it to the master modem 210. Of course, when the calling user selects to stop the communication, it is obvious that the input unit 250 generates a command for terminating the communication and inputs it to the master modem 210.

단계 335에서, 음성통신 전환 명령을 수신한 마스터 모뎀(210)은 수신측 단말기와 음성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슬레이브 모뎀(220)으로 핸드오버(즉, 인터시스템(Intersystem) 핸드오버)를 수행시키기 위한 구동 명령(이하, '구동 명령'이라 칭함)을 슬레이브 모뎀(220)으로 전송한다. In operation 335, the master modem 210 having received the voice communication switch command performs a handover (ie, an intersystem handover) to the slave modem 220 to perform voice communication with the receiving terminal. The driving comman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riving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slave modem 220.

단계 340에서, 슬레이브 모뎀(220)은 구동 명령에 의하여 구동되어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정상적으로 핸드오버를 완료한 슬레이브 모뎀(220)은 제2 이동통신망(280)으로 음성 신호를 송출하여 음성통신을 수행한다. 이 때, 슬레이브 모뎀(220)이 송출한 음성 신호를 수신측 단말기의 마스터 모뎀으로 송출하는 방법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하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슬레이브 모뎀(220)은 마스터 모뎀(210)으로 핸드오버를 정상적으로 완료하였다는 의미의 핸드오버 완료 메시지(ACK 신호 등)를 출력할 수 있다. 물론, 마스터 모뎀(210)이 구동 명령을 출력한 후 임의의 시간이 경과하면 핸드오버 완료 메시지가 수신된 것으로 간주하는 방법도 있다. 또한, 마스터 모뎀(210)에서 슬레이브 모뎀(220)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한 바,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step 340, the slave modem 220 is driven by a drive command to perform a handover. The slave modem 220 which normally completes the handover transmits a voice signal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80 to perform voice communication. At this time, a method for transmitting the voice signal transmitted by the slave modem 220 to the master modem of the receiving terminal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here. In addition, the slave modem 220 may output a handover complete message (ACK signal, etc.) indicating that the handover is normally completed to the master modem 210. Of course, if a certain time elapses after the master modem 210 outputs the driving command, there is also a method in which a handover completion message is received. In addition, a method of performing a handover from the master modem 210 to the slave modem 220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

단계 350에서, 마스터 모뎀(210)은 슬레이브 모뎀(220)으로부터 핸드오버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또는 구동 명령을 출력한 후 임의의 시간이 경과하면 화상통신을 종료한다. 여기에서, 화상통신을 종료하는 순서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즉, 마스터 모뎀(210)이 구동 명령을 출력하기 이전에 화상통신을 종료시킬 수도 있다. 또한, 수신측 단말기에서 화상통신을 종료하는 경우에도 화상통신이 종료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In operation 350, the master modem 210 terminates the video communication upon receiving the handover complete message from the slave modem 220 or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outputting the driving command. Here, the order of terminating the video communication is not essential. That is, the video communication may be terminated before the master modem 210 outputs the driving command. In addition, it is obvious that the video communication may be terminated even when the receiving terminal terminates the video communica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통신방식 전환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method switching method in an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마스터 모뎀(210)에 접속되어 화상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제1 이동통신망(270) (단계 400)은 상대방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즉, 발신측 단말기)가 화상통신을 수행할 수 없는 지역(예를 들어, CDMA 이동통신망(100) 및/또는 CDMA 이동통신망과 오버레이 지역(110)의 경계 영역(Border cell) 등)에 위치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메시지 수신 여부에 대하여 판단한다(단계 410). 즉, 제1 이동통신망 (270)은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화상통신 불능지역 위치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 판단한다. First,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70 (step 400) connected to the master modem 210 and performing video communication is performed by the other party's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at is, calling party terminal) performing video communica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 message is received whether or not it is located in an area that cannot be located (for example, the CDM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and / or the border cell of the CDM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overlay area 110). Step 410). That is,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70 determines whether a video communication impossible area location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calling terminal.

판단 결과, 화상통신 불능지역 위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제1 이동통신망(270)은 발신자 단말기가 화상통신 불능지역에 위치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이하, '발신 단말 화상통화 불능지역 위치 메시지'라 칭함)를 마스터 모뎀(210)으로 송출한다(단계 420).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video communication zone location message is received,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70 notifies that the caller terminal is located in the video communication zo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aller terminal video call zone location message). ) Is sent to the master modem 210 (step 420).

단계 430에서, 발신 단말 화상통화 불능지역 위치 메시지를 수신한 마스터 모뎀(210)은 화상통신 불능 메시지를 출력부(255)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이는 발신자 단말기가 화상통화 불능지역에 위치하여 화상통화를 수행할 수 없다는 것을 수신측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함이다. 이 때, 출력부(255)는 팝업창을 사용하여 미리 저장된 화상통신 불능 메시지에 상응하는 문자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상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화상통신 불능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들 방법들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한 바,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operation 430, the master modem 210 receiving the caller's video call dead zone location message may display the video communication disabled message through the output unit 255. This is to inform the user of the receiving terminal that the calling terminal cannot locate the video call because the caller terminal is located in the area where the video call is unavailable. In this case, the output unit 255 may display text data corresponding to a pre-stored image communication disabled message using a popup window. It may also be output using the corresponding voice data. As described above, a method for outputting a video communication disable message may be various, and these methods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단계 440에서, 마스터 모뎀(210)은 화상통신 종료 메시지를 제1 이동통신망으로 송출하고, 화상통신을 종료시킨다(단계 445). 이는, 발신자 단말기가 송출하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음성통신으로 전환하기 위함이다. 이는 화상통신도 음성통신과 동일한 일반 회선 통화(Circuit Service, CS)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마스터 모뎀(210)이 화상통신을 수행 중이면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없기 때문이다. In step 440, the master modem 210 sends a video communication end message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ends video communication (step 445). This is for receiving a voice signal transmitted by the caller terminal to switch to voice communication. This is because the video communication is not able to receive the voice signal when the master modem 210 is performing the video communication when performing communication using the same general circuit call (Circuit Service, CS) as the voice communication.

그러나, 화상통신을 일반 회선 통화(Circuit Service, CS)가 아닌 패킷 통신(Packet Service, PS)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마스터 모뎀(210)이 화상통신을 수행 중인 경우에도 음성통신을 위한 음성 신호를 일반 회선 통화(CS)를 이용하여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마스터 모뎀(210)이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부터 음성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하면 화상통신 종료 메시지를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 송출하여 화상통신을 종료시킬 수 있다. 즉, 후술하는 단계 450 내지 단계 470을 수행한 이후에 단계 440 내지 단계 445를 수행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video communication uses a packet service (PS) rather than a general circuit call (CS), even if the master modem 210 is performing video communication, the voice signal for voice communication is used for the general line. Receive using a call (CS). In this case, when the master modem 210 normally receives a voice signal from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70, the video communication termination message may be sent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70 to terminate the video communication. That is, after performing steps 450 to 470 to be described later, steps 440 to 445 may be performed.

단계 450에서, 제1 이동통신망(270)이 발신측 단말기(즉, 상대방 단말기)가 송출한 음성 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마스터 모뎀(210)으로 송출하고(단계 460), 마스터 모뎀(210)이 이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여 발신측 단말기와 음성통신을 수행한다(단계 470). 이 때, 발신자 단말기(즉, 상대방 단말기)의 슬레이브 모뎀에서 송출한 음성 신호를 마스터 모뎀(210)이 수신하는 방법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하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step 450, when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70 receives the voice signal transmitted by the calling terminal (ie, the counterpart terminal),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70 transmits the voice signal to the master modem 210 (step 460), and the master modem 210 receives the voice signal. Normally, voice communication is performed with the calling terminal (step 470). At this time,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master modem 210 receives the voi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lave modem of the caller terminal (ie, the counterpart terminal).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her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통신을 수행하던 중 발신측 및 수신측 MB-MM 이동통신 단말기 중 하나 이상이 화상통신을 할 수 없는 지역으로 이동하면 화상통신에서 음성 통신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통신방식 전환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one or more of the calling and receiving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move to an area where video communication is not possible while performing video communication, the MB is switched from video communication to voice communica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vide a communication method switching method in the -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화상통신을 수행하던 중 발신측 및 수신측 MB-MM 이동통신 단말기 중 하나 이상이 화상통신을 할 수 없는 지역으로 이동하게 되는 경우에도 통화의 연속성을 보장 받을 수 있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통신방식 전환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B-MM that can ensure the continuity of the call even if one or more of the source and receiving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oved to the area where the video communication is not possible during the video communication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can provide a communication method switching metho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화상통신을 수행하던 중 발신측 및 수신측 MB-MM 이동통신 단말기 중 하나 이상이 화상통신을 할 수 없는 지역으로 이동하게 되는 경우에도 사용자에 상응하는 음성신호 연결을 위한 버튼 조작이 필요 없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통신방식 전환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button operation for connecting a voice signal corresponding to a user even when one or more of the sending and receiving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move to an area where video communication is not possible.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can provide a communication method switching method in the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does not ne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Claims (16)

MB(Multiband)-MM(Multimode)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In the MB (Multiband) -MM (Multi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 이동통신망에 접속되어 화상통신 수행 중 화상통신 불능 지역으로 진입하면 핸드오버를 위한 구동 명령을 출력하는 제1 모뎀; 및A first modem connected to a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outputting a driving command for handover when entering a video communication disabled area during a video communication; And 상기 구동 명령을 수신하여 구동되고, 핸드오버를 수행하여 제2 이동통신망에 접속되어 음성통신을 수행하는 제2 모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And a second modem which is driven by receiving the driving command and is connected to a seco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by performing a handover to perform voice communica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모뎀의 제어에 의해 화상통신 불능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MB-MM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video communication disable message under the control of the first modem.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고, 음성통신 전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되,Including a plurality of buttons, and further comprising an input for receiving a voice communication switching command, 상기 제1 모뎀은 상기 음성통신 전환 명령에 따라 상기 구동 명령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 And the first modem outputs the driving command according to the voice communication switching comman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 모뎀과 상기 제2 이동통신망 간의 음성통신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면 상기 제1 모뎀은 화상통신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first modem terminates the video communication when the voice communication between the second modem and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normally performed. MB(Multiband)-MM(Multimode)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In the MB (Multiband) -MM (Multi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 이동통신망에 접속되어 화상통신 수행 중 상대방 MB-MM 이동통신 단말기가 화상통신 불능 지역으로 진입하면, 상기 제1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상대 단말 화상통신 불능지역 위치 메시지를 수신하고, 화상통신 불능 메시지를 출력하는 제1 모뎀; 및When the other party's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s the video communication disabled area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receives the video communication disabled area location message from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other party receives the video communication disabled message. A first modem to output; And 상기 화상통신 불능 메시지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And an out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nd output the video communication disable message.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1 모뎀은 상기 출력부에 상기 상대 단말 화상통신 불능 메시지가 출력되면 화상통신을 종료하고, 상기 제1 이동통신망에 접속되어 음성통신을 수행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 And the first modem terminates video communication when the counterpart video communication disable message is output to the output unit, and connects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perform voice communication.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1 모뎀은 상기 출력부에 상기 상대 단말 화상통신 불능 메시지가 출력되면, 화상통신을 종료하지 아니하고, 상기 제1 이동통신망에 접속되어 화상통신과는 다른 경로를 통하여 음성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 The first modem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perform voice communication through a different path from the video communication without terminating the video communication when the counterpart video communication disable message is output to the output unit.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1 모뎀은 상기 제1 이동통신망과 음성통신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면 화상통신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first modem terminates video communication when voice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normally performed. MB(Multiband)-MM(Multimode)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통신방식 전환 방법에 있어서,In the communication method switching method in the MB (Multiband) -MM (Multi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 이동통신망에 접속되어 화상통신을 수행하는 제1 모뎀이 화상통신 불능 지역에 위치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Determining whether a first modem connected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performing video communication is located in an area where video communication is unavailable; 상기 제1 모뎀이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구동 명령을 제2 모뎀으로 출력 하는 단계; 및Outputting, by the first modem, a driving command to perform a handover to a second modem; And 상기 제2 모뎀이 상기 구동 명령을 수신하여 구동되고, 핸드오버를 수행하여 제2 이동통신망과 음성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통신방식 전환 방법.And the second modem is driven by receiving the driving command, and performing a handover to perform voice communication with a seco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화상통신 불능 지역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1 모뎀이 화상통신 불능 메시지를 출력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When the video communication device is located in a video communication area, transmitting the video communication disabled message to an output unit by the first modem; And 상기 출력부가 상기 화상통신 불능 메시지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통신방식 전환 방법.And outputting the output unit to receive and output the video communication disable message.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출력부에 의해 출력된 상기 화상통신 불능 메시지에 상응하여, 입력부가 음성통신 전환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In response to the video communication disabled message output by the output uni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inputting a voice communication switching command input unit, 상기 제1 모뎀은 상기 음성통신 전환 명령에 따라 상기 구동 명령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통신방식 전환 방법.And the first modem outputs the driving command according to the voice communication switching command.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2 모뎀과 상기 제2 이동통신망 간에 음성통신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면, 상기 제1 모뎀은 화상통신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통신방식 전환 방법.And if the voice communication is normally performed between the second modem and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first modem further comprises terminating the video communication. MB(Multiband)-MM(Multimode)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통신방식 전환 방법에 있어서,In the communication method switching method in the MB (Multiband) -MM (Multi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 이동통신망에 접속되어 화상통신 수행 중 상대방 MB-MM 이동통신 단말기가 화상통신 불능 지역에 위치하면, 제1 모뎀이 상기 제1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상대 단말 화상통신 불능지역 위치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When the counterpart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in a video communication disabled area while being connected to a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performing a video communication, receiving, by the first modem, a counterpart video communication disabled location message from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제1 모뎀이 상기 상대방 MB-MM 이동통신 단말기가 화상통신을 수행할 수 없는 지역에 위치하였다는 화상통신 불능 메시지를 출력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Transmitting, by the first modem, a video communication disable message indicating that the counterpart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in an area where video communication cannot be performed; And 상기 출력부가 상기 화상통신 불능 메시지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통신방식 전환 방법.And outputting the output unit to receive and output the video communication disable message.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제1 모뎀은 상기 출력부에 상기 상대 단말 화상통신 불능 메시지를 전송한 후, 화상통신을 종료하는 단계; 및Terminating a video communication after the first modem transmits the counterpart video communication disabled message to the output unit; And 상기 제1 모뎀은 상기 제1 이동통신망에 접속되어 음성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통신방식 전환 방법.The first modem is connected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performing a voic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제1 모뎀은 상기 출력부에 상기 상대 단말 화상통신 불능 메시지를 전송한 후, 화상통신을 종료하지 아니하고, 상기 제1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화상통신과는 다른 경로를 통하여 음성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통신방식 전환 방법.The first modem transmits the video communication incapacity message of the opposite terminal to the output unit, and does not terminate the video communication, but accesses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perform voice communication through a path different from the video communication. Communication method switching method in the MB-M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ing.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제1 모뎀은 상기 제1 이동통신망과 음성통신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면 화상통신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통신방식 전환 방법.The first modem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terminating the video communication when the voice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normally performed.
KR1020050125670A 2005-12-19 2005-12-19 Multiband-multimode terminal and communication type switching method for multiband-multimode terminal KR1006491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5670A KR100649118B1 (en) 2005-12-19 2005-12-19 Multiband-multimode terminal and communication type switching method for multiband-multimod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5670A KR100649118B1 (en) 2005-12-19 2005-12-19 Multiband-multimode terminal and communication type switching method for multiband-multimod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9118B1 true KR100649118B1 (en) 2006-11-24

Family

ID=37713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5670A KR100649118B1 (en) 2005-12-19 2005-12-19 Multiband-multimode terminal and communication type switching method for multiband-multimod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9118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4148A (en) * 1993-03-30 1994-10-07 Hitachi Ltd Moving pictur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 controller
KR20050077122A (en) * 2004-01-26 2005-08-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of switching multi-mode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multi access communication network
KR20060038722A (en) * 2004-11-01 2006-05-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hand over from portable internet network to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for video telephony ser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4148A (en) * 1993-03-30 1994-10-07 Hitachi Ltd Moving pictur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 controller
KR20050077122A (en) * 2004-01-26 2005-08-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of switching multi-mode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multi access communication network
KR20060038722A (en) * 2004-11-01 2006-05-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hand over from portable internet network to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for video telephony ser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0584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by U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circuit switched fallback service
KR101237658B1 (en) Connection establishment system and method
AU2008295911B2 (en) Mobile communication method, mobile exchange station, radio base station, mobile station
US9380504B2 (en) Method,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for changing access cell
JP2014511079A (en) Voice business implementation method and terminal
KR2011005622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work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4822168A (en) Gui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frequency band switching of wireless terminal
KR20080086854A (en) Method for enhancing data transmission efficiency for a radio resource control procedure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related apparatus
KR20070085732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lacement of an emergency call
US10887772B2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KR20070104580A (en) Frequency layer dispersion
JP4433152B2 (en) Method of handover in a multi-mode telecommunications network
JP2006050630A (en)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witching method between networks
KR20080058372A (en) Efficient sharing of mobile equipment identifiers
KR100649118B1 (en) Multiband-multimode terminal and communication type switching method for multiband-multimode terminal
KR100718008B1 (en) Method for controlling Multi-mode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Hand-over Between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KR100783797B1 (en) Multiband-multimode terminal and origination call connection method for multiband-multimode terminal
KR100649123B1 (en) Multiband-multimode terminal and receiving call processing method for multiband-multimode terminal
KR100757088B1 (en) Multiband-Multimode terminal and intersystem handover method in the Multiband-Multimode terminal
GB2416960A (en) Means and method for a mobile radio communications device to switch networks for emergency call establishment
KR100719834B1 (en) Multiband-multimode terminal and handover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879664B1 (en) Method of performing traffic handover between synchronous 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and asynchrous 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erforming the traffic handover
KR100747749B1 (en) Multiband-multimode terminal and modem operation method for multiband-multimode terminal
KR100733035B1 (en) Method for processing handover
KR100645192B1 (en) Hybri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