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8736B1 - 왑 게이트웨이에서 무선 인터넷 접속 페이지 메뉴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왑 게이트웨이에서 무선 인터넷 접속 페이지 메뉴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8736B1
KR100648736B1 KR1020050098609A KR20050098609A KR100648736B1 KR 100648736 B1 KR100648736 B1 KR 100648736B1 KR 1020050098609 A KR1020050098609 A KR 1020050098609A KR 20050098609 A KR20050098609 A KR 20050098609A KR 100648736 B1 KR100648736 B1 KR 100648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quest signal
menu
messag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8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8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87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8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8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4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로 무선 인터넷 접속 페이지 메뉴를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왑 게이트웨이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다수의 겟 메시지가 삽입된 패킷 형태의 메뉴 요청신호를 수신받으면 이 패킷에 삽입된 겟 메시지를 추출하여 각 겟 메시지를 콘텐츠 제공서버에게 각각 전달해 이에 콘텐츠 제공서버로부터 각각 응답되는 무선 인터넷 접속 페이지 메뉴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왑 게이트웨이, 무선 인터넷 접속 페이지 메뉴, 겟 메시지, 패킷, 파이프 라인

Description

왑 게이트웨이에서 무선 인터넷 접속 페이지 메뉴 전송 방법{Method of transfering the menu for wap-connection}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망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터넷 접속 페이지 메뉴 전송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이동통신 단말기 20 : 기지국 제어기
30 :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 40 : 왑 게이트웨이
50 : 콘텐츠 제공서버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로 무선 인터넷 접속 페이지 메뉴를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왑 게이트웨이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다 수의 겟 메시지가 삽입된 패킷 형태의 메뉴 요청신호를 수신받으면 이 패킷에 삽입된 겟 메시지를 추출하여 각 겟 메시지를 콘텐츠 제공서버에게 각각 전달해 이에 콘텐츠 제공서버로부터 각각 응답되는 무선 인터넷 접속 페이지 메뉴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무선 인터넷 관련 기술 발전에 힘입어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무선 인터넷에 접속해 콘텐츠를 즐기거나 정보를 검색할 수 있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버튼을 조작하여 URL을 입력시켜 해당 콘텐츠 제공서버(CP; Contents Provider)로 접속해 각종 콘텐츠를 다운로드받는다.
위와 같이 사용자가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매번 URL을 직접 입력시켜야지만 해당 콘텐츠 제공서버로 접속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버튼 조작 및 URL 암기에 대한 번거로움을 주고 있는 형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즉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무선 인터넷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 단말기로 무선 인터넷 접속 페이지 메뉴(menu for wap-connection, 일명 왑 접속용 메뉴)가 제공된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접속 페이지 메뉴에는 각각의 왑 페이지를 나타내는 이미지 형태의 아이콘, 왑 페이지에 대한 텍스트 형태의 설명, 왑 페이지를 지시하는 URL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메뉴 중 특정 아이콘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해당되는 왑 페이지로 접속한다.
종래 기술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무선 인터넷 접속 페이지 메뉴를 제공하는 것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공지의 왑 게이트웨이(WAP Gateway)란 무선망에 속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유선망에 속한 콘텐츠 제공서버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개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먼저,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인터넷 접속 버튼을 누르게 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왑 게이트웨이를 통해 콘텐츠 제공서버에게 하나의 겟 메시지(Get Message)를 보내어 무선 인터넷 접속 페이지 메뉴, 바람직하게는 이 메뉴를 이루는 어떠한 객체를 전송해 달라고 요청한다. 여기서, 겟 메시지는 무선 인터넷 접속 페이지 메뉴에 포함된 하나의 객체[이미지 등]을 전송해 달라는 메뉴 요청신호이다.
그러면, 상기 콘텐츠 제공서버는 겟 메시지의 요청 사항에 대응되는 객체를 왑 게이트웨이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보내어 무선 인터넷 접속 페이지 메뉴 전송 요청에 대해 응답한다. 이후에,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 인터넷 접속 페이지 메뉴에 포함된 다른 객체들을 요청/응답받기 위해서 각각의 겟 메시지를 전송하고서 이에 대한 각 객체를 응답받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겟 메시지#1 전송 -> 객체#1 수신 -> 겟 메시지#2 전송 -> 객체#2 수신 -> ... -> 겟 메시지 #N 전송 -> 객체 #N 수신].
즉,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각 객체를 다운로드받아서 무선 인터넷 접속 페이지 메뉴를 구성하기 위해서 무선 인터넷 접속 페이지 메뉴에 포함된 객체 수만큼의 겟 메시지를 왑 게이트웨이를 통해 콘텐츠 제공서버로 각각 전송해서 각 겟 메시지에 대응되는 객체를 각각 수신받고 있는 형편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무선 인터넷 접속 페이지 메뉴를 구성하기 위해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객체 수만큼의 메뉴 요청신호를 왑 게이트웨이로 전송, 예컨대 이전에 전송했던 메뉴 요청신호에 대응되는 응답을 받은 후에야 그 다음의 메뉴 요청신호를 왑 게이트웨이로 전송하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인터넷 접속 페이지 메뉴를 구성하는데 있어 다수의 겟 메시지 전송으로 인해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그로 인해 사용자의 무선 인터넷 접속 지연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왑 게이트웨이는 고성능 장비임에도 불구하고 별다른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고서 단지 이동통신 단말기와 콘텐츠 제공서버간의 요청/응답을 중개하는 기능만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와 왑 게이트웨이간의 연동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인터넷 접속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왑 게이트웨이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다수의 겟 메시지가 삽입된 패킷 형태의 메뉴 요청신호를 수신받으면 이 패킷에 삽입된 겟 메시지를 추출하여 각 겟 메시지를 콘텐츠 제공서버에게 각각 전달해 이에 콘텐츠 제공서버로부터 각각 응답되는 무선 인터넷 접속 페이지 메뉴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왑 게이트웨이가 이동통신 단말기 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인터넷 접속 페이지 메뉴 요청신호(이하, "메뉴 요청신호"라 함)를 콘텐츠 제공서버에게 중개해 이에 콘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응답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메뉴 요청신호를 수신받으면 이 메뉴 요청신호에 삽입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겟 메시지[get message]를 추출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추출한 각 겟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상기 콘텐츠 제공서버에게 각각 중개해 이에 콘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각 객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각각 전송하는 제 2 단계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 발명은 상기 제 1 단계에서의 겟 메시지 추출 과정에 앞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메뉴 요청신호를 수신받으면 가입자 단말 프로파일을 조회하여 이 이동통신 단말기가 본 메뉴 요청신호 파이프 라인 기능이 포함된 브라우저가 탑재된 단말인지를 검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검사 결과로 본 메뉴 요청신호 파이프 라인 기능이 포함된 브라우저 탑재 단말이면 상기 겟 메시지 추출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검사 결과로 본 메뉴 요청신호 파이프 라인 기능이 포함된 브라우저 탑재 단말이 아니면 상기 수신받은 메뉴 요청신호를 그대로 콘텐츠 제공서버에게 중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망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망은 이동통신 단말기(10), 기지국 제어기(20),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30), 왑 게이트웨이(40) 및 콘텐츠 제공서버(50)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기지국 제어기(20)에 기지국이 구비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이 외에도 상기 통신망에는 이동통신 교환기, 홈 위치 등록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기본적인 구성 요소가 더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왑 게이트웨이(40)를 통해 콘텐츠 제공서버(50)에게 무선 인터넷 접속 페이지 메뉴를 요청해서 응답받는데 있어 메뉴 요청신호 전송 횟수 및 메뉴 요청신호 전송 소요 시간을 줄여서 빠른 시간 내에 무선 인터넷 접속 페이지 메뉴에 상응되는 객체(예; 이미지 등)을 다운로드받게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다수의 겟 메시지가 삽입된 패킷 형태의 메뉴 요청신호, 즉 다수의 겟 메시지를 하나의 패킷에 삽입시켜 이 패킷을 메뉴 요청신호로 사용하여 왑 게이트웨이(40)에게 무선 인터넷 접속 메뉴를 요청한다.
또한, 위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메뉴 요청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상 기 왑 게이트웨이(40)는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다수의 겟 메시지가 삽입된 패킷 형태의 메뉴 요청신호를 수신받으면 이 패킷에 삽입된 겟 메시지를 추출하여 각 겟 메시지를 콘텐츠 제공서버(50)에게 각각 전달해 이에 콘텐츠 제공서버(50)로부터 각각 응답되는 무선 인터넷 접속 페이지 메뉴를 이동통신 단말기(10)로 각각 전송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왑 게이트웨이(40)간, 예컨대 WAP 구간의 메뉴 요청신호의 규격을 개량시켜 하나의 패킷 형태의 메뉴 요청신호에 여러개의 겟 메시지가 포함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10)가 하나의 메뉴 요청신호를 사용해 여러개의 객체를 요구한다.
특히, 왑 게이트웨이(40)와 콘텐츠 제공서버(50)간, 에컨대 HTTP 구간의 메뉴 요청신호의 규격을 개량시키는 방안도 검토할 수 있겠으나, 서로 다른 사업자에 의해 운용되는 수백여대의 콘텐츠 제공서버(50)의 메뉴 요청신호 처리 프로세스를 천편 일률적으로 변경시키는데 무리가 있으며, 더군다나 유선망에 적용된 기존 HTTP 규격을 변경시킨다면 상기 콘텐츠 제공서버(50)와 타 웹서버간의 겟 메시지 운용에 문제가 발생될 것이 자명하다.
따라서, 위와 같은 HTTP 구간의 메뉴 요청신호 규격 변경 불가를 고려하여,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왑 게이트웨이(40)가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수신받은 메뉴 요청신호에서 각 겟 메시지를 추출해 이를 기존 HTTP 규격에 맞추어 콘텐츠 제공서버(50)에게 각각 전송하도록 구현한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단말 내에 탑재되어 있는 브라우저 (Browser)가 메뉴 요청신호를 생성하여 왑 게이트웨이(40)로 전송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브라우저에 다수의 겟 메시지를 패킷 형태의 메뉴 요청신호에 삽입시켜 전송하는 기능, 일명 메뉴 요청신호 파이프 라인 기능(menu request pipeline function)을 탑재한다. 이 메뉴 요청신호 파이프 라인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의 파이프 라인 기능이란 여러개의 데이터를 병렬적으로 구성하여 특정 모듈로 순차적으로 보내는 것을 말한다. 이를 응용해,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0)에 탑재된 브라우저가 사용자에 의해 메뉴 다운로드 요구가 발생되면 이 무선 인터넷 접속 메뉴를 이루는 각 객체를 다운로드받는데 사용되는 각 겟 메시지의 크기 및 패킷의 크기[이러한 패킷 크기는 망 특성에 따라 정해져 있다]를 고려하여 하나의 패킷에 삽입할 수 있을 만큼의 겟 메시지들을 패킷에 삽입시켜 왑 게이트웨이(40)로 전송한다. 물론, 패킷에 다수의 겟 메시지를 삽입하는데 있어 패킷의 헤더 정보를 위한 공간이 남겨져야 함을 쉽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브라우저는 왑 게이트웨이(40)에 적용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기종이라면 어떠한 브라우저에도 본 메뉴 요청신호 파이프 라인 기능을 탑재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프라웨어사(Infraware) 또는 텔레카사(teleca)에서 개발한 WAP 1.3 프로토콜이 적용된 NGB(Next Generation Browser)에 본 메뉴 요청신호 파이프 라인 기능을 탑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터넷 접속 페이지 메뉴 전송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 순서도이다. 이하, 이동통신 단말기(10)가 다운로드받고자 하는 무선 인터넷 접속 페이지 메뉴가 6개의 객체(예; 이미지), 예컨대 객체 #1, 객체 #2, 객체 #3, 객체 #4, 객체 #5 및 객체 #6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10), 왑 게이트웨이(40) 및 콘텐츠 제공서버(50)간에 TCP/IP 세션이 성립된 상태에서(200), 사용자에 의해 무선 인터넷 접속 페이지 메뉴 다운로드 요구가 발생되면(201), 이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이 무선 인터넷 접속 페이지 메뉴를 요청하는데 사용될 각 겟 메시지의 크기를 파악하여 하나의 패킷에 삽입시킬 다수의 겟 메시지를 결정한다(202).
즉, 패킷이 고정된 크기를 갖고 있지만 무선 인터넷 접속 페이지 메뉴에 대응되는 각 겟 메시지의 크기가 서로 다른데,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패킷에 삽입시킬 겟 메시지의 수가 고정된 것이 아니라 겟 메시지의 크기에 따라 패킷에 삽입시킬 겟 메시지 개수 및 순서 등을 동적으로 결정한다. 이하, 겟 메시지 #1[객체 #1에 대응], 겟 메시지 #2[객체 #2에 대응], 겟 메시지 #3[객체 #3에 대응]을 첫번째로 전송할 패킷에 삽입하고, 겟 메시지 #4[객체 #4에 대응], 겟 메시지 #5[객체 #5에 대응]를 두번째로 전송할 패킷에 삽입하고, 나머지 겟 메시지, 즉 겟 메시지 #6[객체 #6에 대응]을 세번째로 전송할 패킷에 삽입할 것으로 결정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위와 같이 패킷에 삽입할 다수의 겟 메시지를 결정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겟 메시지 #1, 겟 메시지 #2 및 겟 메시지 #3를 하나의 패킷에 삽 입시켜 이 패킷을 메뉴 요청신호로 사용하여 왑 게이트웨이(40)에게 무선 인터넷 접속 메뉴를 요청한다(203). 다음의 [표 1]은 이 "203" 과정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왑 게이트웨이(40)로 보낸 메뉴 요청신호를 캡쳐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겟 메시지 #1, 겟 메시지 #2 및 겟 메시지 #3에 해당되는 부분에 밑줄을 그어 두었다.
[2005 Sep 29 17:34:42.788] RP Tx Data TCP Header Src Port : 32770 ( 0x8002 ) Dest Port : 9093 ( 0x2385 ) Seq Number : 3383124381, ( 0xC9A6619D ) Ack Number : 1478369621 ( 0x581E2155 ) TCP Header Length : 20 Flag : 0x18 ..0..... : (No URG) ...1.... : ACK ....1... : PSH .....0.. : (No RTS) ......0. : (No SYN) .......0 : (No FIN) Window : 5896 ( 0x1708 ) Checksum : Correct ( 0x1CAF ) Urgent Pointer : 0 Data Field Length : 536 ------------------------------------------------------------------------------- connectNum : 1, IP_ID : 1, Push : 1, Sequence : 1, ACK : 1, Window Size : 1 Urgent_Point : 0 ------------------------------------------------------------------------------- ConnectNum : 00 , TCP Checksum : 1C AF, delta window : FD E8, delta ack : 02 18 delta sequence : DA, delta IP ID : 03, Data Field Length : 541 ------------------------------------------------------------------------------- GET http://wap.nate.com/page_temp/20050831/search_128(1).png?SM=0000000&SU=0000100002 HTTP/1.1 //GET Message #1 Host: wap.nate.com Accept: */* User-Agent: SKT56SS79201112812821101696619014;124;4;49482;148;2236 Connection: Keep-Alive GET http://wap.nate.com/page_temp/20050925/128_star.sis?SM=0000000&SU=0000100002 HTTP/1.1 //GET Message #2 Host: wap.nate.com Accept: */* User-Agent: SKT56SS79201112812821101696619014;124;4;49482;148;2236 Connection: Keep-Alive GET http://wap.nate.com/page_temp/20050928/128X160_nate_mainAll_0929(2).png?SM=0000000&SU=000011 //GET Message #3 PCF IP Address : 192.168.33.142(0xC0 A8 21 8E) PDSN IP Address : 192.168.54.164(0xC0 A8 36 A4) GRE Packet Key : 12857(0x3239) Number of GRE Packet : 8 GRE Sequence Number - GRE[1/8](25 bytes): 0x29(Seq Num:41) ( 7E 2D 7D 5E 00 1C AF 00 FD E8 00 02 18 DA 03 47 45 54 20 68 74 74 70 3A 2F )
그러면(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메뉴 요청을 받으면], 상기 왑 게이트웨이(40)는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수신받은 메뉴 요청신호에 상응되는 위 패킷에 삽입된 각 겟 메시지[겟 메시지 #1, 겟 메시지 #2 및 겟 메시지 #3]를 추출한다(204).
상기 "204" 과정을 수행하는데 있어, 왑 게이트웨이(40)는 본 메뉴 요청신호 파이프 라인 기능이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10)뿐만 아니라 기존 방식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도 하나의 겟 메시지에 상응되는 메뉴 요청신호를 수신받는다. 이에, 왑 게이트웨이(40)가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메뉴 요청신호 모두에 대해 겟 메시지 추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데 시스템 부하가 걸릴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204" 과정을 수행하기에 앞서, 가입자 단말 프로파일(User Agent Profile)을 조회해서 겟 메시지 추출 프로세스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왑 게이트웨이(40)는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메뉴 요청신호를 수신받으면 가입자 단말 프로파일을 조회하여 본 메뉴 요청신호 파이프 라인 기능이 포함된 브라우저를 이 이동통신 단말기(10)가 탑재하고 있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로, 이동통신 단말기(10)가 본 메뉴 요청신호 파이프 라인 기능이 포함된 브라우저 타입이면 상기 "204"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검사 결과로, 이동통신 단말기(10)가 본 메뉴 요청신호 파이프 라인 기능이 포함된 브라우저 타입이 아니면 기존 방식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메뉴 요청신호를 수신받으면 곧바로 콘텐츠 제공서버(50)로 중개한다. 부연 설명하면, 가입자 단말 프로파일에는 다음의 [표 2]와 같은 브라우저 타입정보 필드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본 메뉴 요청신호 파이프 라인 기능이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10)에 대한 가입자 단말 프로파일의 브라우저 타입정보 필드에 "15"가 등록되어 있다.
브라우저 타입(Browser Type) [AU :00] [Erics. :01] [Nokia :02] [Telson :03] [NGB : 15]
그리고 나서, 상기 왑 게이트웨이(40)는 상기 추출한 각 겟 메시지[겟 메시지 #1, 겟 메시지 #2 및 겟 메시지 #3]를 순차적으로 콘텐츠 제공서버(50)에게 각각 전달해 이에 콘텐츠 제공서버(50)로부터 각각 수신되는 각 객체[객체 #1, 객체 #2 및 객체 #3]를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한다(205 내지 213). 여기서, 왑 게이트웨이(40)는 메뉴 요청신호[각 겟 메시지]를 콘텐츠 제공서버(50)에게 보내고 나서 이에 대한 응답[각 객체]을 받으면 이동통신 단말기(10)로 해당 응답을 보낸 후에 그 다음의 겟 메시지를 콘텐츠 제공서버(50)에게 보내는데, 이는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왑 게이트웨이(40)간의 무선 구간 또는 왑 게이트웨이(40)와 콘텐츠 제공서버(50)간의 유선 구간에서 리퀘스트(request)에 대한 리스폰스(response)가 유실 또는 미수신되는 경우에 재전송(retry) 요청/응답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함이다.
위와 같은 "203" 과정 내지 "213" 과정과 같이, 이후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겟 메시지 #4, 겟 메시지 #5를 하나의 패킷에 삽입시켜 이 패킷을 메뉴 요청신호로 사용하여 왑 게이트웨이(40)에게 메뉴를 요청하여 이에 대한 객체 #4, 객체 #5를 왑 게이트웨이(40)로부터 각각 수신받는다(214). 한편, 상기 왑 게이트웨이(40)는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수신받은 패킷에서 겟 메시지 #4, 겟 메시지 #5를 추출하여 각 겟 메시지를 콘텐츠 제공서버(50)에게 전송하여 이에 대한 객체 #4, 객체 #5를 각각 응답받아 이동통신 단말기(10)로 각각 전송한다(215, 216).
마지막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겟 메시지 #6을 하나의 패킷에 삽입시켜 이 패킷을 메뉴 요청신호로 사용하여 왑 게이트웨이(40)에게 메뉴를 요청하여 이에 대한 객체 #6을 수신받아서 무선 인터넷 접속 메뉴를 브라우저 상에 구성하게 된다. 이에, 사용자는 브라우저에 표시된 무선 인터넷 접속 메뉴 상의 아이콘 등을 선택하여 손쉽게 해당 왑페이지로 접속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한 결과, 사용자가 메뉴를 선택해 특정 왑페이지에 접속하는데 있어 기존 방식에 비해 대략 0.6초 정도의 시간이 단축됨을 알 수 있었다. 부가적으로, 하나의 패킷에 하나의 겟 메시지가 삽입될 경우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패킷 형태의 메뉴 요청신호를 구성하지 않고서 기존 방식을 사용해 겟 메시지 형태 그대로를 왑 게이트웨이(40)로 전송해 메뉴를 요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를 들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기술자는 본원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원리 및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또는 변경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메뉴 요청신호 전송 횟수 및 메뉴 요청신호 전송 소요 시간을 줄임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인터넷 접속 페이지 메뉴 다운로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의 무선 인터넷 접속 지연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WAP 구간의 무선 인터넷 접속 페이지 메뉴 요청 중개 프로세스만을 변경시키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HTTP 구간의 프로세스를 변경시키는 것에 비해 효율적으로 프로세스 변경을 용이하게 해서 무선 인터넷 접속 페이지 메뉴 전송을 빠른 시간 내에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왑 게이트웨이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인터넷 접속 페이지 메뉴 요청신호(이하, "메뉴 요청신호"라 함)를 콘텐츠 제공서버에게 중개해 이에 콘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응답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메뉴 요청신호를 수신받으면 이 메뉴 요청신호에 삽입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겟 메시지[get message]를 추출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추출한 각 겟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상기 콘텐츠 제공서버에게 각각 중개해 이에 콘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각 객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각각 전송하는 제 2 단계
    로 이루어진 왑 게이트웨이에서 무선 인터넷 접속 페이지 메뉴 전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에서의 겟 메시지 추출 과정에 앞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메뉴 요청신호를 수신받으면 가입자 단말 프로파일을 조회하여 이 이동통신 단말기가 본 메뉴 요청신호 파이프 라인 기능이 포함된 브라우저가 탑재된 단말인지를 검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검사 결과로 본 메뉴 요청신호 파이프 라인 기능이 포함된 브라우저 탑재 단말이면 상기 겟 메시지 추출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검사 결과로 본 메뉴 요청신호 파이프 라인 기능이 포함된 브라우저 탑재 단말이 아니면 상기 수신받은 메뉴 요청신호를 그대로 콘텐츠 제공서버에게 중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왑 게이트웨이에서 무선 인터넷 접속 페이지 메뉴 전송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추출한 첫번째 겟 메시지를 콘텐츠 제공서버에게 전송하고 나서 이 겟 메시지에 대응되는 객체를 수신받으면 이 객체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 후에 그 다음의 겟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콘텐츠 제공서버에게 전송해 이에 대응되는 객체를 수신받아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왑 게이트웨이에서 무선 인터넷 접속 페이지 메뉴 전송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사용자로부터 메뉴 다운로드 요구신호가 입력되면 이 메뉴를 이루는 각 객체를 요청하는데 사용되는 각 겟 메시지의 크기를 파악하여 하나의 메뉴 요청신호에 삽입시킬 다수의 겟 메시지를 결정하고서, 각 겟 메시지를 해당되는 메뉴 요청신호에 삽입시켜 상기 왑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왑 게이트웨이에서 무선 인터넷 접속 페이지 메뉴 전송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요청신호는 패킷 형태로 이루어지되, 이 패킷은 적어도 하나의 겟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왑 게이트웨이에서 무선 인터넷 접속 페이지 메뉴 전송 방법.
  6. 유무선 통신망에 연결된 왑 게이트웨이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무선 인터넷 접속 페이지 메뉴 요청신호(이하, "메뉴 요청신호"라 함)를 수신받으면 가입자 단말 프로파일을 조회하여 이 이동통신 단말기가 본 메뉴 요청신호 파이프 라인 기능이 포함된 브라우저가 탑재된 단말인지를 검사하는 단계;
    상기 검사 결과로 본 메뉴 요청신호 파이프 라인 기능이 포함된 브라우저 탑재 단말이면 상기 수신받은 메뉴 요청신호에 삽입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겟 메시지[get message]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각 겟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해당 콘텐츠 제공서버에게 각각 중 개해 이에 콘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각 객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각각 전송하는 단계
    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50098609A 2005-10-19 2005-10-19 왑 게이트웨이에서 무선 인터넷 접속 페이지 메뉴 전송방법 KR100648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609A KR100648736B1 (ko) 2005-10-19 2005-10-19 왑 게이트웨이에서 무선 인터넷 접속 페이지 메뉴 전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609A KR100648736B1 (ko) 2005-10-19 2005-10-19 왑 게이트웨이에서 무선 인터넷 접속 페이지 메뉴 전송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8736B1 true KR100648736B1 (ko) 2006-11-24

Family

ID=37713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8609A KR100648736B1 (ko) 2005-10-19 2005-10-19 왑 게이트웨이에서 무선 인터넷 접속 페이지 메뉴 전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873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5961A (ko) * 2000-12-12 2002-06-20 문정국 왑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중계방법
KR20050040465A (ko) * 2003-10-28 2005-05-03 주식회사 넷츠 무선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처리 게이트웨이장치
KR20060035953A (ko) * 2004-10-21 2006-04-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의 메뉴 구성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5961A (ko) * 2000-12-12 2002-06-20 문정국 왑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중계방법
KR20050040465A (ko) * 2003-10-28 2005-05-03 주식회사 넷츠 무선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처리 게이트웨이장치
KR20060035953A (ko) * 2004-10-21 2006-04-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의 메뉴 구성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8217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ceiving and demultiplexing multi-modal document content
US8041296B2 (en) Profile and capability of WAP-terminal with external devices connected
US6519458B2 (en) Wireless data transport method, and mobile terminal and interworking function device therefor
US73338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lating resource names in a wireless environment
US81907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a web server on a device with a dynamic IP-address residing behind a firewall
US200700738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wering proxy bandwidth utilization
US9065526B2 (en) Relay device, relay method, and relay device control program
US20100235464A1 (en) Handoff and optimization of a network protocol stack
KR20110081851A (ko) 감소된 액세스시간으로 콘텐츠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6941354B2 (en) Mobile terminal permitting selection of communication channel for receiving message attachments
CN104519139B (zh) 缓存方法、缓存边缘服务器、缓存核心服务器和缓存系統
CA2468172A1 (en) Method for connecting to a wireless internet service
CN107222561A (zh) 一种传输层反向代理方法
US20140164543A1 (en)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 Server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Server Cooperation
JP2002542637A (ja) ネットワークを介した通信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100498361B1 (ko) 이동 통신단말기의 무선 인터넷 동기화 방법
WO2013185696A2 (zh) 一种数据处理的方法与设备
US8185607B1 (en) Querying wireless network offerings
JP4724721B2 (ja) マルチ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トコルにおいて、サービスプラットフォームがユーザー端末情報を獲得することを保証する方法
KR100648736B1 (ko) 왑 게이트웨이에서 무선 인터넷 접속 페이지 메뉴 전송방법
CN106714164B (zh) Portal页面中资源文件的获取方法、无线AP及Portal服务器
WO2010022671A1 (zh) 数据传输的方法、代理装置和系统
US20090052446A1 (en) Communications Interface
JP2001333062A (ja) Webページ共有システム
US8825015B2 (en) Accessing web pages on communication paths with low bandwid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