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8639B1 - 무릎관절견인장치 - Google Patents

무릎관절견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8639B1
KR100648639B1 KR1020050128677A KR20050128677A KR100648639B1 KR 100648639 B1 KR100648639 B1 KR 100648639B1 KR 1020050128677 A KR1020050128677 A KR 1020050128677A KR 20050128677 A KR20050128677 A KR 20050128677A KR 100648639 B1 KR100648639 B1 KR 100648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ee joint
towing
fixing member
thigh
lower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8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정길
오철기
Original Assignee
오정길
오철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정길, 오철기 filed Critical 오정길
Priority to KR1020050128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86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8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8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23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kn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4Kn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58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ock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65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imits of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61H2201/1261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combined with active exercising of the pati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은 무릎관절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퇴부에 조임고정되는 대퇴부고정부재와; 하퇴부에 조임고정되는 하퇴부고정부재와; 상기 대퇴부고정부재와 상기 하퇴부고정부재 사이에 게재되어 무릎관절이 펴질 때 상기 무릎관절의 대퇴골과 연골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키는 무릎관절이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무릎관절의 관절운동을 원활하게 조절하여 정상적이며 안정적인 보행을 가능하게 함은 물론, 상기 관절운동과 더불어 상기 무릎관절의 대퇴골과 연골 사이의 간격이 자동으로 조절되어 무릎관절의 연골이 마모되거나 손상을 입은 착용자가 보행시 느끼는 극심한 통증 및 충격을 현저하게 완화시키는 동시에 노약자, 비만인, 성장기에 있는 청소년 또는 운동선수의 무릎관절에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함으로써 관절연골의 손상으로 인한 퇴행성 관절염의 진행 또는 하지의 변형과 같은 문제를 예방함은 물론 키높이 효과로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무릎관절, 대퇴부, 하퇴부, 요부, 대퇴골, 연골

Description

무릎관절견인장치{KNEE JOINT EXTENSION APPARATUS}
도 1은 본 무릎관절견인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1,2의 실시예가 착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d는 도 1,2의 무릎관절이격수단의 작동상태를 단계별로 나타낸 작동상태도이고,
도 5a 내지 도 5d는 도 4a,b,c,d의 무릎관절이격수단의 제1회전판 및 제2회전판이 각각 치차로 이루어진 경우의 작동상태를 단계별로 나타낸 작동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무릎관절견인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측면도이고,
도 8a 내지 도 8d는 도 6,7의 무릎관절이격수단의 작동상태를 단계별로 나타낸 작동상태도이고,
도 9a 내지 도 9d는 도 8a,b,c,d의 무릎관절이격수단의 굴곡부와 상기 굴곡부에 접하는 제2견인부재의 일단이 치차로 이루어진 경우의 작동상태를 단계별로 나타낸 작동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무릎관절견인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측면도이고,
도 12a 내지 도 12e는 도 10,11의 무릎관절이격수단의 작동상태를 단계별로 나타낸 작동상태도이고,
도 13a 내지 도 13e는 도 12a,b,c,d,e의 무릎관절이격수단의 이격부재와 상기 이격부재에 접하는 제1,2,견인부재의 상·하단부가 치차로 이루어진 경우의 작동상태를 단계적으로 나타낸 작동상태도이고,
도 14는 본 무릎관절견인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측면도이고,
도 16a 및 도 16b는 도 14,15의 실시예가 착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17은 본 무릎관절견인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측면도이고,
도 19는 본 무릎관절견인장치가 통상의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대퇴부고정부재, 30; 하퇴부고정부재,
50; 요부고정부재, 70; 신발,
90; 벨크로, 100; 무릎관절이격수단,
110, 210, 410; 제1견인부재, 130, 230, 430; 제2견인부재,
150; 연결부재, 170; 제3견인부재,
250; 제1가이드부재, 270; 제2가이드부재,
290; 가이드부재고정패드, 300; 이격부재,
310; 무릎관절보호패드, 330; 치차,
450; 제1회전판, 470; 제2회전판,
490; 가이드편, 500; 베이스부재,
510; 편심축, 530; 이탈방지쇠,
111; 굴곡부, 111a; 축공,
131; 걸림편, 151; 축,
153; 스프링, 155; 고정편,
157; 볼트, 159; 결합홀,
R1; 전면 길이, R2; 측면 길이.
본 발명은 무릎관절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릎관절의 관절운동을 원활하게 조절하여 정상적이며 안정적인 보행을 가능하게 함은 물론, 상기 관절운동과 더불어 상기 무릎관절의 대퇴골과 연골 사이의 간격이 자동으로 조절되어 무릎관절의 연골이 마모되거나 손상을 입은 착용자가 보행시 느끼는 극심 한 통증 및 충격을 현저하게 완화시키는 동시에 노약자, 비만인, 성장기에 있는 청소년 또는 운동선수의 무릎관절에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함으로써 관절연골의 손상으로 인한 퇴행성 관절염의 진행 또는 하지의 변형과 같은 문제를 예방함은 물론 키높이 효과로 성장을 촉진하는 무릎관절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릎관절에서 오는 피로도와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서 퇴행성관절염 환자나 무릎이 약한 노인들에게 무릎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서 무릎보호대 등을 사용하였다.
상기 무릎보호대는 통상 고무사를 직조한 고무섬유나 합성섬유 등으로 제조되고, 밴드형식이나 파스너와 같은 결착수단이 형성된 결착밴드식으로 형성되어 무릎관절부위에 착용되었다.
그러나, 무릎관절 등과 같은 인체관절은 접거나 펴는 움직임이 빈번히 수반되기 마련이므로, 단순히 관절부위를 조여주기만 하는 상기 종래의 무릎보호대로는 원활하고도 정확한 관절운동을 유지할 수 없어 거동이 불편했을 뿐만 아니라, 관절을 보호하고 지지하는 데 그 한계가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무릎보호대는 단순압박에 의해 무릎관절을 고정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바, 상기 종래의 무릎보호대를 착용했다고 하더라도 보행시 착용자 의 체중이 무릎관절에 온전히 쏠리게 되어 무릎관절의 마찰, 즉 대퇴골과 연골 사이의 마찰 등으로 발생되는 통증 및 충격을 완화시키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195324호(접철 지지대가 형성된 관절보호대),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07651(무릎관절 보조기구에 있어서의 각도조절장치),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82803호(슬관절 퇴행성 관절염으로 인한 통증 완화 및 오형으로 변형된 다리 교정과 관절염 예방을 위한 보조장치), 국내 공개특허 제10-2005-0079218호(회전부하 설정수단을 갖는 관절 보조 장비의 회전조인트 및 상기 회전조인트를 이용한 관절보조장비 및 상기 관절보조장비의 제작방법) 및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78573호(무릎보호대에 설치되는 무릎보호 및 충격완화장치)와 같은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시된 기술들은 공히 무릎관절의 굴신운동을 가능하게 하였다는 점에서는 인정할 만하나, 상기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195324호(접철 지지대가 형성된 관절보호대)는 조인터에 의한 단순 접철만을 구현하여 종래의 밴드 또는 결착밴드식 관절보호대와 별반 차이가 없으며, 상기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07651(무릎관절 보조기구에 있어서의 각도조절장치)는 치열과 스프링의 조합으로 무릎관절의 각도를 조절하나 그 조절은 눌림버튼이라는 별도의 수단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구조가 복잡하고 번거로우며, 아울러 무릎관절의 통증 및 충격완화 문제 역시 해결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상기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82803호(슬관절 퇴행성 관절염으로 인한 통증 완화 및 오형으로 변형된 다리 교정과 관절염 예방을 위한 보조장치)는 형상과 구조, 그리고 압박에 의해 무릎관절의 통증 및 변형 다리의 교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나, 고정편이라는 별도의 수단을 부가해야 하는 단점과 인위적 구조에 의한 강압적이며 과도한 압박으로 착용자에게 심한 피로감을 유발하는 동시에 혈액순환장애를 초래할 문제점을 여전히 지니고 있으며, 상기 국내 공개특허 제10-2005-0079218호(회전부하 설정수단을 갖는 관절 보조 장비의 회전조인트 및 상기 회전조인트를 이용한 관절보조장비 및 상기 관절보조장비의 제작방법)은 회전부하의 조절에 의해서 각도조절의 편의성을 부가하도록 구성될 뿐, 무릎관절의 통증 및 충격완화의 문제점은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였다.
아울러, 상기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78573호(무릎보호대에 설치되는 무릎보호 및 충격완화장치)는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보행이나 구보시 무릎에 축적된 굴절에너지를 이용하여 무릎관절의 통증 및 충격을 완화하도록 구성되었으나, 상기 스프링의 무작위적, 무절제적 움직임에 따른 무릎관절의 반복적인 마찰로 인해 무릎관절의 통증 및 충격이 역으로 극심해 질 수 있는 우려가 다분하다. 또한 보행 또는 구보시 상기 스프링의 수축과 팽창이 반복적, 계속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노약자나 관절질환계 환자의 경우에는 오히려 보행 자체가 어려워지는 문제점과 하체에 쥐, 경련, 근육 뭉침과 같은 또 다른 질환을 불러오는 문제점 역시 지니고 있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절보호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간편한 착용은 물론 무릎관절의 관절운동을 원활하게 조절함으로써, 착용자가 정상적이며 안정적인 보행을 가능하게 하는 관절견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관절운동과 더불어 상기 무릎관절의 대퇴골과 연골 사이의 간격이 자동으로 조절되어 무릎관절의 연골이 마모되거나 손상을 입은 착용자가 보행시 느끼는 극심한 통증 및 충격을 현저하게 완화시키는 관절견인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노약자, 비만인, 성장기에 있는 청소년 또는 운동선수의 무릎관절에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함으로써 관절연골의 손상으로 인한 퇴행성 관절염의 진행 또는 하지의 변형과 같은 문제를 예방하는 것은 물론 키높이 효과로 성장을 촉진시키는 관절견인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대퇴부에 조임고정되는 대퇴부고정부재와; 하퇴부에 조임고정되는 하퇴부고정부재와; 상기 대퇴부고정부재와 상기 하퇴부고정부재 사이에 게재되어 무릎관절이 펴질 때 상기 무릎관절의 대퇴골과 연골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키는 무릎관절이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릎관절견인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무릎관절이격수단은 상기 대퇴부고정부재의 양측부 또는 상기 하퇴부고정부재의 양측부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되며, 일단이 반 타원형상의 굴곡부로 이루어진 제1견인부재와; 상기 하퇴부고정부재의 양측부 또는 상기 대퇴부고정부재의 양측부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되며, 일단이 상기 제1견인부재의 굴곡부에 접하는 제2견인부재와; 일측은 상기 제1견인부재의 굴곡부와 축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제2견인부재의 일단부를 내부로 유도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릎관절이격수단은 상기 대퇴부고정부재의 양측부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되는 제1견인부재와; 상기 제1견인부재의 하단부를 내부로 유도하는 제1가이드부재와; 상기 하퇴부고정부재의 양측부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되는 제2견인부재와; 상기 제2견인부재의 상단부를 내부로 유도하는 제2가이드부재와; 상기 제1가이드부재의 내부로 유도된 상기 제1견인부재의 하단 및 상기 제2가이드부재의 내부로 유도된 상기 제2견인부재의 상단과 그 외주연이 각각 접하는 동시에 무릎관절보호패드에 그 측부가 고정되는 타원형상의 이격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릎관절이격수단은 상기 대퇴부고정부재의 양측부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되는 제1견인부재와; 상기 하퇴부고정부재의 양측부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되는 제2견인부재와; 상기 제1견인부재의 하단부 전면에 축결합된 제1회전판과; 상기 제2견인부재의 상단부 전면에 축결합되며, 상기 제1회전판의 외주와 접하는 제2회전판과; 상기 제1견인부재와 상기 제2견인부재의 배면에 위치하여 일측은 상기 제1견인부재의 하단부를 내부로 유도하는 가이드편이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제2견인부재의 상단부의 배면과 편심축결합되되, 상기 편심축결합은 상기 제2견인부재의 제2회전판의 편심운동을 가능케 하는 베이스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굴곡부는 중앙부에 하나 이상의 축공이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축공을 기준으로 전면 길이가 측면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길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판의 중심축과 상기 제2회전판의 중심축을 일체로 연결시켜 상기 무릎관절의 굴신운동에 따른 상기 제1회전판과 상기 제2회전판의 상호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쇠가 더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굴곡부와 상기 굴곡부에 접하는 제2견인부재의 일단, 상기 이격부재와 상기 이격부재에 접하는 제1,2견인부재의 상·하단부 또는 상기 제1,2회전판은 각각 치차로 이루어져 상호 치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의 내주, 상기 제1,2가이드부재의 내주 또는 상기 가이드편의 내주에는 스프링의 일단을 길이방향으로 고정하는 고정편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견인부재의 일단부의 외주, 상기 제1,2견인부재의 상·하단부의 외주 또는 상기 제1견인부재의 하단부의 외주에는 상기 스프링의 타단을 걸림지지하는 걸림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대퇴부고정부재의 상부에 구비되어 요부에 조임고정되는 요부고정부재와; 상기 요부고정부재의 외측부에 하측으로 길이방향으로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대퇴부고정부재의 외측부에 장착된 상기 제1,2견인부재의 타단 또는 상기 제1견인부재의 상단에 축결합되는 제3견인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하퇴부고정부재의 양측부에 장착되는 상기 제1,2견인부재의 타단 또는 상기 제2견인부재의 하단은 신발의 양측부에 축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 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무릎관절견인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1,2의 실시예가 착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d는 도 1,2의 무릎관절이격수단의 작동상태를 단계별로 나타낸 작동상태도이고, 도 5a 내지 도 5d는 도 4a,b,c,d의 무릎관절이격수단의 제1회전판 및 제2회전판이 각각 치차로 이루어진 경우의 작동상태를 단계별로 나타낸 작동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무릎관절견인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측면도이고, 도 8a 내지 도 8d는 도 6,7의 무릎관절이격수단의 작동상태를 단계별로 나타낸 작동상태도이고, 도 9a 내지 도 9d는 도 8a,b,c,d의 무릎관절이격수단의 굴곡부와 상기 굴곡부에 접하는 제2견인부재의 일단이 치차로 이루어진 경우의 작동상태를 단계별로 나타낸 작동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무릎관절견인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측면도이고, 도 12a 내지 도 12e는 도 10,11의 무릎관절이격수단의 작동상태를 단계별로 나타낸 작동상태도이고, 도 13a 내지 도 13e는 도 12a,b,c,d,e의 무릎관절이격수단의 이격부재와 상기 이격부재에 접하는 제1,2,견인부재의 상·하단부가 치차로 이루어진 경우의 작동상태를 단계적으로 나타낸 작동상태도이고, 도 14는 본 무릎관절견인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측면도이고, 도 16a 및 도 16b는 도 14,15의 실시예가 착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17은 본 무릎관절견인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측면도이고, 도 19는 본 무릎관절견인장치가 통상의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대퇴부고정부재(10)와 하퇴부고정부재(30), 그리고 무릎관절의 대퇴골과 연골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키는 무릎관절이격수단(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무릎관절견인장치의 일 실시예의 정면 및 측면을 나타낸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대퇴부고정부재(10) 및 상기 하퇴부고정부재(30)는 각각 착용자의 대퇴부 및 하퇴부에 조임고정되어 상기 대퇴부 및 하퇴부에 밀착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대퇴부고정부재(10) 및 상기 하퇴부고정부재(3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복수로 분할형성되어 각각 대퇴부 및 하퇴부에 고정되거나, 하나의 몸체로 일체로 형성되어 각각 대퇴부 및 하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임고정방법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벨크로(9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대퇴부고정부재(10) 및 상기 하퇴부고정부재(30)를 상기 대퇴부 및 하퇴부에 밀착고정시킬 수 있는 통상의 조임고정방법이 채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무릎관절이격수단(100)은 상기 대퇴부고정부재(10)와 상기 하퇴부고정부재(30) 사이에 게재되어 무릎관절이 펴질 때 상기 무릎관절의 대퇴골과 연골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키도록 구성되는바, 상세하게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견인부재(110)와, 제2견인부재(130), 그리고 상기 제1견인부재(110)와 상기 제2견인부재(130)를 연결해주는 연결부재(150)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견인부재(110)는 상기 대퇴부고정부재(10)의 양측부 또는 상기 하퇴부고정부재(30)의 양측부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되며, 일단이 반 타원형상의 굴곡부(111)를 갖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2견인부재(130)는 상기 하퇴부고정부재(30)의 양측부 또는 상기 대퇴부고정부재(10)의 양측부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되며, 일단이 상기 제1견인부재(110)의 굴곡부(111)에 접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재(150)는 일측은 상기 제1견인부재(110)의 굴곡부(111)의 중앙부에 축(151)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제2견인부재(130)의 일단을 내부로 유도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1견인부재(110)와 상기 제2견인부재(130)는 상기 대퇴부고정부재(10)의 양측부 또는 상기 하퇴부고정부재(30)의 양측부에 길이방향, 즉 수직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고정장착되어 상기 연결부재(150)를 매개체로 상호 끝단이 접촉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견인부재(110)가 상기 대퇴부고정부재(10)의 양측부에 수직하게 고정된 경우에는 상기 제2견인부재(130)는 상기 하퇴부고정부재(30)의 양측부에 수직하게 고정되며, 역으로 상기 제1견인부재(110)가 상기 하퇴부고정부재(30)의 양측부에 고정된 경우에는 상기 제2견인부재(130)는 상기 대퇴부고정부재(10)에 고정된다. 단, 이하 첨부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일관되게 상기 제1견인부재(110)는 상기 대퇴부고정부재(10)의 양측부에 고정장착하였으며, 상기 제2견인부재(130)는 상기 하퇴부고정부재(30)의 양측부에 고정장착하였음을 밝힌다.
여기서, 접촉이 일어나는 상기 제1견인부재(110) 일단, 즉 끝단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반 타원형상의 굴곡부(111)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150)는 일측은 상기 제1견인부재(110)의 굴곡부(111)의 중앙부와 축(151)에 의해 축결합을 이루며, 타측은 상기 제2견인부재(130)의 끝단, 즉 상기 굴곡부(111)와 접촉하게 되는 끝단을 포함한 상단부를 내부로 유도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1 및 도 2의 상기 무릎관절이격수단(100)의 요부의 내부구성 확대 도시한 부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견인부재(110)의 일단, 즉 하단에는 반 타원형상의 굴곡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굴곡부(111)는 중앙부에 하 나 이상의 축공(111a)이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축공(111a)을 기준으로 전면 길이(R1)가 측면 길이(R2)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길게 이루어져야 한다.
여기서, 상기 굴곡부(111)의 축공(111a)에 축(151)이 끼워져 상기 연결부재(150)의 일측과 상기 제1견인부재(110)가 축결합을 이루게 되며, 상기 축(151)을 기준으로 상기 제1견인부재(110)는 무릎관절의 굴신에 따라 회전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굴곡부(111)의 형상을 상기 축공(111a)을 기준으로 전면 길이(R1)가 측면 길이(R2)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길게 한 이유는 상기 제1견인부재(110)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제1견인부재(110)의 굴곡부(111)에 접해 있는 상기 제2견인부재(130)의 상하운동을 가능케 하기 위함이다.
즉, 무릎관절이격수단(100)의 작동상태를 단계별로 나타낸 도 4a 내지 도 4d의 작동상태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무릎관절의 굴신운동에 따라 상기 축(151)을 기준으로 상기 제1견인부재(110)의 굴곡부(111)는 상기 축(151)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굴곡부(11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견인부재(130)의 상단은 상기 굴곡부(111)의 외주에 접한 채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굴곡부(111)의 형상이 반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즉 상기 축공(111a)을 기준으로 전면 길이 (R1)가 측면 길이(R2)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길게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기 제2견인부재(130)는 상기 길이차이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상하로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제2견인부재(130)의 상하이동거리는 무릎관절의 굴신정도에 따라 차츰 변하게 되며, 도면에서 볼 때는 도 4a〈 도 4b〈 도 4c〈 도 4d 순으로 상기 제2견인부재(130)의 이동거리가 더 커짐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축공(111a)을 상기 굴곡부(111)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복수로 형성함으로써, 착용자의 신체조건이나 무릎관절의 상태, 크기, 통증의 정도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축공(111a) 중 하나를 택하여 상기 제1견인부재(110)의 굴곡부(111)와 상기 연결부재(150)의 일측을 축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1견인부재(110)의 굴곡부(111)의 회전중심을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굴곡부의 전면 길이(R1)와 측면 길이(R2)의 차이를 더 크게 하거나 적게 함으로써, 상기 제2견인부재(130)의 상하운동거리를 더욱 확장시키거나 좁힐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무릎관절이격수단(100)을 구성함으로써, 도 3a 및 도 3b의 사용상태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50)의 일측과 축결합된 상기 제1 견인부재(110)의 회전운동에 의해서 상기 제2견인부재(130)가 상기 연결부재(150)의 내부에 안내/유도되어 상하운동을 하게 되고, 그 결과 상기 무릎관절의 대퇴골과 연골 사이의 간격이 이격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견인부재(130)의 상단부를 내부로 유도하는 상기 연결부재(150)의 타측 내주에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153)과, 상기 스프링(153)의 일단을 길이방향으로 고정하는 고정편(155)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견인부재(130)의 상단부의 외주에는 상기 스프링(153)의 타단을 걸림지지하는 걸림편(131)이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스프링(153)과, 상기 스프링(153)의 일단을 고정하는 고정편(155)을 상기 연결부재(150)의 타측 내주에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153)의 타단을 걸림지지하는 걸림편(131)을 상기 제2견인부재(130)의 상단부에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2견인부재(130)의 일단, 즉 상단부 끝단이 상기 제1견인부재(110)의 굴곡부(111)에 항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착용자가 편안한 보행을 할 수 있게 되며, 동시에 상기 제2견인부재(130)의 상단부가 상기 연결부재(150)의 타측 내부로부터 불시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게 된다.
즉, 도 3a 및 도 3b의 사용상태도 및 도 4a 내지 도 4d의 작동상태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착용자의 무릎이 구부려진 상태에서는 무릎관절의 대퇴골과 연골 사이의 간격을 정상적인 상태로 유지하나, 착용자가 직립하거나 의자에서 일어서는 경우, 상기 제1견인부재(110)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제2견인부재(130)가 점차 하강하게 되어 상기 무릎관절의 대퇴골과 연골 사이의 간격이 서서히 이격되게 된다. 그와 함께, 상기 하퇴부고정부재(30)는 하부로 하강하게 되고, 상기 대퇴부고정부재(10)는 반대급부로 상승하게 된다. 그 결과 착용자의 신체는 무릎관절을 기준으로 대퇴부와 하퇴부가 상하로 서서히 늘림된다.
따라서, 무릎관절에 집중적으로 가해지던 착용자의 체중 및 그로 인해 유발되는 통증, 그리고 보행이나 구보시 가해지는 충격 등으로부터 무릎관절을 보호하게 되는 동시에 성장기에 있는 어린이나 청소년 등에게 있어 키 높이효과를 창출하여 성장촉진의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단, 역으로 무릎관절이 굽혀졌을 때는 반대로 무릎관절을 기준으로 대퇴부와 하퇴부가 상하로 좁힘되어 착용자의 이물감이 제거된다.
그리고, 도 5a 내지 도 5d는 도 4a 내지 도 4d의 무릎관절이격수단(100)의 굴곡부(111)와 상기 굴곡부(111)에 접하는 제2견인부재(130)의 상단이 각각 치차(330)로 이루어진 경우의 작동상태를 단계별로 나타낸 작동상태도로서, 상기 무릎관절의 움직임에 따른 세밀하고 정확한 굴신운동을 가능케 하는 동시에 상기 치차 (330)에 의해 상기 굴곡부(111)와 상기 제2견인부재(130)의 상단의 결속이 더욱 강화되게 된다.
한편, 도 6 및 도 7은 본 무릎관절견인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로서, 여기에서 채택된 무릎관절이격수단(100)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견인부재(210), 제2견인부재(230), 제1가이드부재(250), 제2가이드부재(270), 그리고 이격부재(300)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견인부재(210)는 상기 대퇴부고정부재((10)의 양측부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되며, 상기 제1가이드부재(250)는 상기 제1견인부재(210)의 하단부를 내부로 유도하며, 상기 제2견인부재(230)는 상기 하퇴부고정부재(30)의 양측부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되며, 상기 제2가이드부재(270)는 상기 제2견인부재(230)의 상단부를 내부로 유도하며, 상기 이격부재(300)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250)의 내부로 유도된 상기 제1견인부재(210)의 하단 및 상기 제2가이드부재(270)의 내부로 유도된 상기 제2견인부재(230)의 상단과 그 외주연이 접하는 동시에 무릎관절보호패드(310)에 측부가 고정되는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단, 상기 대퇴부고정부재(10)와 상기 하퇴부고정부재(30)는 앞서 상술한 구조와 동일하다.
여기서, 상기 제1가이드부재(250) 및 상기 제2가이드부재(270)는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무릎관절 상하부위에 각각 조임고정되는 가이드부재고정패 드(290)의 양측부에 고정장착되며, 상기 이격부재(300)는 상기 무릎관절보호패드(310)에 고정장착되어 무릎관절의 굴신운동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가이드부재(250)의 내주 및 상기 제2가이드부재(270)의 내주에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153)과, 상기 스프링(153)의 일단을 길이방향으로 고정하는 고정편(155)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견인부재(210)의 하단부의 외주 및 상기 제2견인부재(230)의 상단부의 외주에는 상기 스프링(153)의 타단을 걸림지지하는 걸림편(131)이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스프링(153)과, 상기 스프링(153)의 일단을 고정하는 고정편(155)을 상기 제1,2가이드부재(250,270)의 내주에 형성하고, 상기 걸림편(131)을 상기 제1,2견인부재(210,230)의 상하단부의 외주에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1,2견인부재(210,230)의 하단 및 상단이 상기 이격부재(300)에 항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동시에, 상기 제1,2견인부재(210,230)의 하단 및 상단이 상기 제1,2가이드부재(250,270)로부터 불시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무릎관절견인장치의 단계별 작동상태는 도 8a 내지 도 8d에서 보는 바와 같으며, 특히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이격부재(300)가 상기 무릎관절보호패드(310)에 의해 착용자의 무릎관절 양측부위에 고정되어 위치하므로, 무릎관절의 굴신운동에 따라 상기 제1견인부재(210)의 하단과 상기 제2견인부재(230)의 상단과 그 접촉위치가 조금씩 변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대퇴부고정부재(10)와 상기 하퇴부고정부재(30)에 고정장착된 상기 제1견인부재(210)와 상기 제2견인부재(230)는 상하로 이동하게 되어 무릎관절의 대퇴골과 연골 사이의 간격을 늘리거나 좁히게 되는 것이다.
즉, 도 8a와 같이 무릎관절을 굽히고 있을 때에는 상기 제1,2견인부재(210,230)의 상하단의 접촉위치가 상기 이격부재(300)의 측부에 위치하게 되고, 도 8b 및 도 8c와 같이 서서히 무릎관절이 펴질 때에는 상기 제1,2견인부재(210,230)의 상하단의 접촉위치가 상기 이격부재(300)의 상부로 점차 이동하게 되고, 도 8d와 같이 무릎관절이 완전히 펴진 때에는 상기 제1,2견인부재(210,230)의 상하단의 접촉위치가 상기 이격부재(300)의 상부에 정확하게 위치하게 되어 상기 제1,2견인부재(210,230)가 상기 이격부재(300)를 기준으로 상하로 최대로 늘려지게 되는 것이다. 역의 경우 역시 동일한 원리로 상기 제1,2견인부재(210,230)가 상하이동을 하게 된다.
즉,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는 달리 대퇴부는 물론 하퇴부쪽으로도 무릎관절을 동시에 이격시킬 수 있어 무릎관절의 대퇴골과 연골 사이의 간격을 더욱 확실하게 이격시킬 수 있게 되어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 및 통증을 보다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9a 내지 도 9d는 도 8a 내지 도 8d의 무릎관절이격수단(100)의 상기 이격부재(300)와 상기 이격부재(300)에 접하는 제1,2견인부재(210,230)의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각각 치차(330)로 이루어진 경우의 작동상태를 단계별로 나타낸 작동상태도로서, 상기 무릎관절의 움직임에 따른 세밀하고 정확한 굴신운동을 가능케 하는 동시에 상기 치차(330)에 의해 상기 이격부재(300)와 상기 제1,2견인부재(210,230)의 일단의 결속이 더욱 강화되게 된다.
한편, 도 10 및 도 11은 본 무릎관절견인장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로서, 여기에서 채택된 무릎관절이격수단(100)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견인부재(410), 제2견인부재(430), 제1회전판(450), 제2회전판(470), 그리고 베이스부재(500)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견인부재(410)는 상기 대퇴부고정부재(10)의 양측부에 길이방향, 즉 수직으로 고정장착되며, 상기 제2견인부재(430)는 상기 하퇴부고정부재(30)의 양측부에 길이방향, 즉 수직으로 고정장착되며, 상기 대퇴부고정부재(10)와 상기 하퇴부고정부재(30)는 앞서 상술한 구조와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판(450)은 상기 제1견인부재(410)의 하단부 전면에 축(151)에 의해 축결합되며, 상기 제2회전판(470)은 상기 제1회전판(450)의 외주와 접하도록 상기 제2견인부재(430)의 상단부 전면에 축(151)에 의해 축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재(500)은 상기 제1견인부재(410)와 상기 제2견인부재(430)의 배면, 즉 후면에 위치하여 일측은 상기 제1견인부재(410)의 하단부를 내부로 유도하는 가이드편(490)이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제2견인부재(430)의 상단부의 배면, 즉 후면과 편심축(510)에 의해 축결합되되, 상기 편심축결합은 상기 제2견인부재(430)의 제2회전판(470)의 편심운동을 가능케 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편(490)은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재(500)의 일측에 일체로 고정되며, 그 내주에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153)과, 상기 스프링(153)의 일단을 길이방향으로 고정하는 고정편(15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견인부재(410)의 하단부 외주에는 상기 스프링(153)의 타단을 걸림지지하는 걸림편(13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스프링(153)과, 상기 스프링(153)의 일단을 고정하는 고정편(155)을 상기 가이드편(490)의 내주에 형성하고, 상기 걸림편(131)을 상기 제1견 인부재(410)의 하단부의 외주에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1견인부재(410)와 상기 제2견인부재(430)가 상호 항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동시에, 상기 제1견인부재(410)의 하단부가 상기 가이드편(490)으로부터 불시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게 된다.
그리고, 선택적으로 상기 제1회전판(450)의 중심축(151)과 상기 제2회전판(470)의 중심축(151)을 일체로 연결시켜 상기 제1회전판(450)과 상기 제2회전판(470)이 항상 접촉된 상태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이탈방지쇠(530)를 부가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이탈방지쇠(530)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양단부가 각각 상기 제1회전판(450)의 축(151)과 상기 제2회전판(470)의 축(151)에 끼워져 고정되거나 처음부터 상기 축(151)과 일체로 제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이탈방지쇠(530)의 구체적인 형상은 문제되지 않으며, 무릎관절의 굴신운동에 따른 상기 제1회전판(450)과 상기 제2회전판(470)의 상호이탈을 방지하는 구성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무릎관절견인장치의 단계별 작동상태는 도 12a 내지 도 12e에서 보는 바와 같으며, 특히 상기 제2견인부재(430)의 상단부의 배면이 상기 베이스부재(500)와 편심축(510)에 의해 편심축결합되므로, 무릎관절의 굴신운동에 따라 상기 제2견인부재(430)의 제2회전판(470)은 편심운동을 수행하게 되고, 그 결과 상기 제2회전판(470)은 상기 제1회전판(450)을 상하이동시키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제1견인부재 역시 상하로 이동하게 되어 무릎관절의 대퇴골과 연골 사이의 간격을 늘리거나 좁히게 되는 것이다.
즉, 도 12a와 같이 무릎관절을 굽히고 있을 때에는 상기 편심축결합에 의해 상기 제2견인부재(430)의 제2회전판(470)의 위치가 아래에 위치하게 되고, 도 12b, 도 12c 및 도 12d와 같이 서서히 무릎관절이 펴질 때에는 상기 제2견인부재(430)의 제2회전판(470)의 위치가 편심회전에 의해 점차 위로 올라가며 상기 제1회전판(450)을 밀어올려 상기 제1견인부재(410)를 상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도 12e와 같이 무릎관절이 완전히 펴진 때에는 상기 제2견인부재(430)의 제2회전판(470)이 최상단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제1회전판(470)을 최대로 밀어올려 상기 제1견인부재(410)을 상부로 최대로 이동시킨다. 역의 경우 역시 동일한 원리로 상기 제1,2견인부재(410,430)가 상하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판(450)및 상기 제2회전판(470)의 직경을 증감시키거나, 상기 편심축(510)에 의한 편심축결합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상하이동거리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는 같이 대퇴부는 물론 하퇴부쪽으로도 무릎관절을 동시에 이격시킬 수 있어 무릎관절의 대퇴골과 연골 사이의 간격을 더욱 확실하게 이격시킬 수 있게 되어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 및 통증을 보다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3a 내지 도 13e는 도 12a 내지 도 12e의 무릎관절이격수단(100)의 상기 제1회전판(450)과 상기 제2회전판(470)가 각각 치차(330)로 이루어진 경우의 작동상태를 단계별로 나타낸 작동상태도로서, 상기 무릎관절의 움직임에 따른 세밀하고 정확한 굴신운동을 가능케 하는 동시에 상기 치차(330)에 의해 상기 제1회전판(450)과 상기 제2회전판(470)의 결속력 역시 더욱 강화되게 된다.
한편, 도 14 및 도 15는 본 무릎관절견인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16a 및 도 16b는 상기 실시예가 착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로서, 구체적으로 상기 대퇴부고정부재(10), 상기 하퇴부고정부재(30), 상기 무릎관절이격수단(100)에 더하여 요부고정부재(50)와 제3견인부재(170)가 더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 여기서 채택한 상기 무릎관절이격수단(100)은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의 무릎관절이격수단(100)임을 밝힌다.
여기서, 상기 요부고정부재(50)는 도 14 및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대퇴부고정부재(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요부(허리부위)에 조임고정되며, 상기 제3견인부재(170)는 상기 요부고정부재(50)의 외측부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대퇴부고정부재(10)의 외측부에 장착된 상기 제1견인부재(110)의 상단과 축(151)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견인부재(170)의 하단은 도 14 및 도 15와 같이 상기 대퇴부고정부재(10)의 양측부에 고정장착되는 상기 제1견인부재(110) 중 외측부에 고정장착된 상기 제1견인부재(110)의 상단과 축(151)결합을 이루며, 상기 제3견인부재(170)의 몸체는 상기 요부고정부재(50)에 고정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제3견인부재(170)를 상기 제1견인부재(110) 중 외측부에 고정된 상기 제1견인부재(110)으로만 한정하는 이유는 착용시 편안한 착용감은 물론 착용자의 활동성에 제한을 두지 않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요부고정부재(50)와 상기 요부고정부재(50)에 고정장착되는 상기 제3견인부재(170)의 부가함으로써, 본 무릎관절견인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 16a 및 도 1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더욱 확고하고 안정적인 견인력을 얻을 수 있게 되어 착용자는 더욱 편안하고 안락한 상태에서 본 무릎관절견인장치를 착용·사용할 수 있게 되며, 더욱 효과적으로 무릎관절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단, 도시한 도면에 의하면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 상기 요부고정부재(50)와 상기 제3견인부재(170)를 부가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6 및 도 7의 실시예는 물론 도 10 및 도 11의 실시예에도 동일한 원리로 부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17 및 도 18은 본 무릎관절견인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로서, 구체적으로 상기 대퇴부고정부재(10), 상기 하퇴부고정부재(30), 상기 무릎관절이격수단(100), 상기 요부고정부재(50), 상기 제3견인부재(170)에 더하여 신발(7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신발(70)은 신발(70)의 양측부가 상기 하퇴부고정부재(30)의 양측부에 장착되는 상기 제2견인부재(130)의 하단과 축(151)결합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상기 신발(70)은 도 17 및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은 구조와 형상으로 별도제작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종래의 일반적인 신발을 채택한 후, 상기 종래 신발에 상기 제2견인부재(130)의 타단과 축(151)결합을 이룰 수 있는 보조부재(미도시)만을 부가하여 구성할 수도 있음을 밝힌다.
한편, 도 19는 본 무릎관절견인장치가 통상의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견인부재(110,210,410), 상기 제2견인부재(130,230,430) 또는 상기 제3견인부재(17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부가되어 착용자의 신체적 특징, 즉 신장이나 몸무게 등에 따라 적절하게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견인부재(110,210,410), 상기 제2견인부재(130,230,430) 또는 상기 제3견인부재(170)를 2 이상으로 분리한 후, 결합홀(159)에 체결되는 볼트(157)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홀(159)은 신체적 조건을 고려하여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체결수단 및 연결수단 등 통상적인 길이조절수단을 채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무릎관절견인장치를 상기 대퇴부고정부재(10), 상기 하퇴부고정부재(30), 상기 무릎관절이격수단(100), 상기 요부고정부재(50), 제3견인부재(170), 그리고 신발(70)에 이르기까지 일체화하여 형성하면 더욱 안정적인 견인력과 관절보호효과를 제공하여 퇴행성 관절염 환자, 골다공증 환자, 허리 디스크질환 환자는 물론 각종 운동선수, 성장기 어린이 및 청소년 등에게 더욱 향상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무릎관절견인장치는, 무릎관절의 관절운동을 원활하게 조절하여 정상적이며 안정적인 보행을 가능하게 함은 물론 상기 관절운동과 더불어 상기 무릎관절의 대퇴골과 연골 사이의 간격이 자동으로 조절되어 무릎관절의 연골이 마모되거나 손상을 입은 착용자가 보행시 느끼는 극심한 통증 및 충격을 현저하게 완화시키는 동시에 노약자, 비만인, 성장기에 있는 청소년 또는 운동선수의 무릎관절에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함으로써 관절연골의 손상으로 인한 퇴행성 관절염의 진행 또는 오형 다리와 같은 하지의 변형 등의 문제를 예방함은 물론 키 높이효과로 성장기에 있는 어린이, 청소년 등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무릎관절견인장치는 착용자의 신체적 조건, 즉 신장이나 몸무게 등에 따라 그 길이를 적당하게 조절할 수 있는 동시에 착용자가 보행시 느끼는 통증 및 충격의 정도에 따라 무릎관절의 이격 정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어 착용자의 부담을 최소화화며, 최적의 무릎관절보호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되고 도면에서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10)

  1. 대퇴부에 조임고정되는 대퇴부고정부재(10)와; 하퇴부에 조임고정되는 하퇴부고정부재(30)와; 상기 대퇴부고정부재(10)와 상기 하퇴부고정부재(30) 사이에 게재되어 무릎관절이 펴질 때 상기 무릎관절의 대퇴골과 연골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키는 무릎관절이격수단(1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무릎관절이격수단(100)은,
    상기 대퇴부고정부재(10)의 양측부 또는 상기 하퇴부고정부재(30)의 양측부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되며, 일단이 반 타원형상의 굴곡부(111)로 이루어진 제1견인부재(110)와;
    상기 하퇴부고정부재(30)의 양측부 또는 상기 대퇴부고정부재(10)의 양측부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되며, 일단이 상기 제1견인부재(110)의 굴곡부(111)에 접하는 제2견인부재(130)와;
    일측은 상기 제1견인부재(110)의 굴곡부(111)와 축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제2견인부재(130)의 일단부를 내부로 유도하는 연결부재(1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견인장치.
  2. 대퇴부에 조임고정되는 대퇴부고정부재(10)와; 하퇴부에 조임고정되는 하퇴부고정부재(30)와; 상기 대퇴부고정부재(10)와 상기 하퇴부고정부재(30) 사이에 게재되어 무릎관절이 펴질 때 상기 무릎관절의 대퇴골과 연골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키는 무릎관절이격수단(1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무릎관절이격수단(100)은,
    상기 대퇴부고정부재(10)의 양측부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되는 제1견인부재(210)와;
    상기 제1견인부재(210)의 하단부를 내부로 유도하는 제1가이드부재(250)와;
    상기 하퇴부고정부재(30)의 양측부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되는 제2견인부재(230)와;
    상기 제2견인부재(230)의 상단부를 내부로 유도하는 제2가이드부재(270)와;
    상기 제1가이드부재(250)의 내부로 유도된 상기 제1견인부재(210)의 하단 및 상기 제2가이드부재(270)의 내부로 유도된 상기 제2견인부재(230)의 상단과 그 외주연이 각각 접하는 동시에 무릎관절보호패드(310)에 그 측부가 고정되는 타원형상의 이격부재(3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견인장치.
  3. 대퇴부에 조임고정되는 대퇴부고정부재(10)와; 하퇴부에 조임고정되는 하퇴부고정부재(30)와; 상기 대퇴부고정부재(10)와 상기 하퇴부고정부재(30) 사이에 게재되어 무릎관절이 펴질 때 상기 무릎관절의 대퇴골과 연골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키는 무릎관절이격수단(1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무릎관절이격수단(100)은,
    상기 대퇴부고정부재(10)의 양측부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되는 제1견인부재(410)와;
    상기 하퇴부고정부재(30)의 양측부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되는 제2견인부재(430)와;
    상기 제1견인부재(410)의 하단부 전면에 축결합된 제1회전판(450)과;
    상기 제2견인부재(430)의 상단부 전면에 축결합되며, 상기 제1회전판(450)의 외주와 접하는 제2회전판(470)과;
    상기 제1견인부재(410)와 상기 제2견인부재(430)의 배면에 위치하여 일측은 상기 제1견인부재(410)의 하단부를 내부로 유도하는 가이드편(490)이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제2견인부재(430)의 상단부의 배면과 편심축(510)결합되되, 상기 편심축(510)결합은 상기 제2견인부재(430)의 제2회전판(470)의 편심운동을 가능케 하는 베이스부재(5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견인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111)는 중앙부에 하나 이상의 축공(111a)이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축공(111a)을 기준으로 전면 길이가 측면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길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견인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판(450)의 중심축과 상기 제2회전판(470)의 중심축을 일체로 연결시켜 상기 무릎관절의 굴신운동에 따른 상기 제1회전판(450)과 상기 제2회전판(470)의 상호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쇠(53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견인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퇴부고정부재(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요부에 조임고정되는 요부고정부재(50)와;
    상기 요부고정부재(50)의 외측부에 하측으로 길이방향으로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대퇴부고정부재(10)의 외측부에 장착된 상기 제1,2견인부재의 타단 또는 상기 제1견인부재의 상단에 축결합되는 제3견인부재(17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견인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퇴부고정부재(30)의 양측부에 장착되는 상기 제1,2견인부재의 타단 또는 상기 제2견인부재의 하단은 신발(70)의 양측부에 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견인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50128677A 2005-12-23 2005-12-23 무릎관절견인장치 KR100648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677A KR100648639B1 (ko) 2005-12-23 2005-12-23 무릎관절견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677A KR100648639B1 (ko) 2005-12-23 2005-12-23 무릎관절견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8639B1 true KR100648639B1 (ko) 2006-11-23

Family

ID=37713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8677A KR100648639B1 (ko) 2005-12-23 2005-12-23 무릎관절견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86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145B1 (ko) 2007-04-03 2008-05-20 장기용 무릎관절 견인장치
KR101340560B1 (ko) 2012-03-02 2013-12-12 이지휘 키 성장 촉진기구
KR102337390B1 (ko) * 2021-03-24 2021-12-08 이춘식 하지용 보행 보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7144A (ja) * 1991-12-09 1993-09-17 Biedermann Motech Gmbh 膝矯正器
WO1993020782A1 (en) 1989-09-14 1993-10-28 Anodyne, Inc. Anatomically correct knee brace hinge
US20030093018A1 (en) 2000-02-10 2003-05-15 Erich Albrecht Orthesis comprising a flexion and an extension stop that can be adjusted by means of rail pivoting movements
KR200382803Y1 (ko) 2004-12-17 2005-04-25 이영호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으로 인한 통증 완화 및 오형으로 변형된 다리 교정과 관절염 예방을 위한 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20782A1 (en) 1989-09-14 1993-10-28 Anodyne, Inc. Anatomically correct knee brace hinge
JPH05237144A (ja) * 1991-12-09 1993-09-17 Biedermann Motech Gmbh 膝矯正器
US20030093018A1 (en) 2000-02-10 2003-05-15 Erich Albrecht Orthesis comprising a flexion and an extension stop that can be adjusted by means of rail pivoting movements
KR200382803Y1 (ko) 2004-12-17 2005-04-25 이영호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으로 인한 통증 완화 및 오형으로 변형된 다리 교정과 관절염 예방을 위한 보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145B1 (ko) 2007-04-03 2008-05-20 장기용 무릎관절 견인장치
KR101340560B1 (ko) 2012-03-02 2013-12-12 이지휘 키 성장 촉진기구
KR102337390B1 (ko) * 2021-03-24 2021-12-08 이춘식 하지용 보행 보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8671B2 (en) Knee orthosis
US8048014B2 (en) Neuromusculoskeletal knee support device
US8672865B2 (en) Weight-bearing lower extremity brace
EP2381902B1 (en) Weight-bearing lower extremity brace
US20090114257A1 (en) Handle and a Walking Aid Incorporating the Same
US8540655B2 (en) Weight-bearing lower extremity brace
PT625341E (pt) Dispositivo para o tratamento de pacientes com problemas de postura bem como de actividades motoras
EP2874580A1 (en) Support device
US8388564B2 (en) Hyperextension knee brace
KR101056621B1 (ko) 발목보호대와 탈, 부착 가능한 무릎보호대
KR101979809B1 (ko) 근육의 수축이완에 적응하도록 구성된 무릎 보조기
KR20100090619A (ko) 발목보호대와 탈,부착 가능한 무릎보호대
US8585626B2 (en) Brace for dynamically correcting the bending of the joints of the lower limb
US20170252197A1 (en) Ankle-Foot Orthosis
KR100648639B1 (ko) 무릎관절견인장치
US20150080777A1 (en) Weight-bearing lower extremity brace
Konz et al. Effect of restricted spinal motion on gait
Perry et al. Biomechanical abnormalities of post-polio patients and the implications for orthotic management
US7288118B1 (en) Quadriceps control device for prosthetics/orthotics
WO2002065942A2 (en) Ankle-foot orthosis with plantarflexor torque assistance
US20060124162A1 (en) Orthopedic device
KR200378573Y1 (ko) 무릎보호대에 설치되는 무릎보호 및 충격완화장치
CA2543217C (en) Pressure off knee brace
JP3119871U (ja) 歩行安全補助具
KR102327183B1 (ko) 내외측 서로 다른 탄성력을 갖는 단하지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