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7945B1 - Beam splitter holder of optical pick-up - Google Patents

Beam splitter holder of optical pick-u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7945B1
KR100647945B1 KR1020040101691A KR20040101691A KR100647945B1 KR 100647945 B1 KR100647945 B1 KR 100647945B1 KR 1020040101691 A KR1020040101691 A KR 1020040101691A KR 20040101691 A KR20040101691 A KR 20040101691A KR 100647945 B1 KR100647945 B1 KR 100647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m splitter
holder
base
seate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16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62745A (en
Inventor
조형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1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7945B1/en
Publication of KR20060062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27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7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79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95Beam splitters or combin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9Numerical aperture control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픽업의 빔 스플리터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am splitter fixture of an optical pickup.

본 발명의 빔 스플리터 고정장치는, 빔 스플리터(BS); 상기 빔 스플리터(BS)가 장착되기 위한 안착부가 형성된 베이스(base); 상기 빔 스플리터(BS)가 안착되는 홀더 베이스 및 상기 홀더 베이스에서 대략 직립하여 일체로 이루어지는 홀더 프레임, 상기 홀더 베이스에 안착된 빔 스플리터(BS)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홀더 프레임에 형성된 3점 지지부 및, 안착된 빔 스플리터(BS)를 레이저 광이 통과되기 위하여 홀더 프레임에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홀더; 상기 홀더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의 안착부에 장착되는 빔 스플리터를 고정하기 위한 절곡된 판상의 스프링;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빔 스플리터 고정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3점 지지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충격에 강하고 안정된 신뢰성을 확보하며, 홀더를 프레스물로 제작함으로써 금형으로 다루기 어려운 구조물 사용을 배제시킬 수 있다.Beam splitter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m splitter (BS); A base having a seating portion for mounting the beam splitter BS; A holder frame on which the beam splitter BS is seated, a holder frame formed by being substantially upright from the holder base, a three-point support portion formed on the holder frame to support the beam splitter BS seated on the holder base; A holder including an opening formed in the holder frame to allow the laser beam to pass through the seated beam splitter BS; A bent plate spring for fixing the beam splitter mounted to the seating portion of the base while seated in the hold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constructing the beam splitter fixing devi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 of a structure that is difficult to handle with a mold by making a holder resistant to shock and stable reliability based on a three-point support structure.

광픽업,빔 스플리터(BS)Optical pickup, beam splitter (BS)

Description

광 픽업의 빔 스플리터 고정장치{BEAM SPLITTER HOLDER OF OPTICAL PICK-UP}BEAM SPLITTER HOLDER OF OPTICAL PICK-UP}

도1은 광픽업 장치에서 일반적인 광학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general optical system in an optical pickup device

도2a는 종래의 양단 지지구조 기반 빔 스플리터 고정장치의 사시도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both ends support structure based beam splitter fixing device

도2b는 종래의 양단 지지구조 기반 빔 스플리터 고정장치의 평면도Figure 2b is a plan view of a conventional bi-support structure based beam splitter fixture

도3은 종래의 3점 지지구조 기반 빔 스플리터 고정장치의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three-point support structure based beam splitter fixing device

도4는 종래의 단단 지지구조 기반 빔 스플리터 고정장치의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single stage support structure based beam splitter fixing device

도5a는 본 발명에 따른 빔 스플리터 홀더의 사시도5A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am splitter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b는 본 발명에 따른 빔 스플리터 홀더의 탄성력 인가 영역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Figure 5b is a diagram showing the elastic force application region of the beam splitter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빔 스플리터 고정장치의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eam splitter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50: 홀더 51: 홀더 베이스50: holder 51: holder base

521: 탄성 연결부 522: 탄성부521: elastic connection portion 522: elastic portion

53: 홀더 프레임 541,542,543: 지지부53: holder frame 541,542,543: support part

55: 개구부 60: 베이스(base)55: opening 60: base

본 발명은 광 기록/재생 장치에 사용되는 광 픽업(Optical Pick-up)의 빔 스플리터(Beam Splitter: BS)를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fixing a beam splitter (BS) of an optical pick-up used in an optical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광 디스크는 광학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정보를 기록하거나 재생하는 데이터 저장 매체로서, 일반적으로 작은 원판 형상의 모양을 가진다. 광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또는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광 디스크 드라이버가 필요하다. 광 디스크 드라이버 내부에는 광 픽업이 장착되어 있고 이 광 픽업에 의해서 광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광 디스크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게 된다.An optical disc is a data storage medium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information by using optical characteristics, and generally has a small disc shape. In order to record data on the optical disk or to reproduce the recorded data, an optical disk driver is required. An optical pickup is mounted inside the optical disk driver, and the optical pickup records information on the optical disk or reproduces the information recorded on the optical disk.

이러한 광 디스크에는 CD와 DVD 등이 있고, 서로 다른 종류의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재생하기 위해서는 각 디스크에 고유한 파장의 레이저 광을 이용해야 한다. 즉, CD의 경우는 780nm의 파장, 그리고 DVD의 경우는 650nm의 파장을 각각 이용하여 정보의 기록 및 재생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최근들어 여러가지 광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 및 재생시킬 수 있는 복합 광 픽업 장치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으며, 최근에는 초 고밀도 데이터 기록 및 재생이 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 및 그 드라이버에 대한 연구 개발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Such optical discs include CDs and DVDs, and in order to record or reproduce information on different types of discs, laser light having a wavelength unique to each disc must be used. That is, information is recorded and reproduced using a wavelength of 780 nm for CD and a wavelength of 650 nm for DVD. Accordingly, the development of a compound optical pickup device capable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information on various optical discs has been actively conducted in recent years, and recently, a research on a Blu-ray disc and its driver capable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ultra high density data has been carried out. Development is also active.

도1은 일반적인 광 픽업장치에서의 광학계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광 픽업은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LD) 등의 회로 부품과 레이저 빔을 반사,투과,수렴,발산시키는 광부품, 그리고 이 부품들을 안착 및 조정 가능한 구조를 구현하는 기구부품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광 디스크 상에 빔이 정확하게 맺히기 위해서 액츄에이터(actuator)라는 기구가 사용되며, 액츄에이터는 레이저 다이오드(LD)에서 출력된 레이저 광을 광 디스크 상의 정보가 기록된 위치에 정확하게 모아주는 대물렌즈(Object Lens: OL)의 위치를 조절하여 레이저에 의한 정보의 재생 및 기록 성능을 향상시키는 장치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optical system structure in a general optical pickup device. Optical pickup may be divided into circuit components such as laser diodes (LDs), optical components that reflect, transmit, converge, and divert a laser beam, and mechanical components that implement a structure in which the components are mounted and adjustable. In addition, a mechanism called an actuator is used to accurately form a beam on the optical disk, and the actuator accurately collects the laser light output from the laser diode LD at a location where information on the optical disk is recorded. : Adjusts the position of OL to improve the reproduction and recording performance of information by laser.

도1에 표현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광 픽업장치에서 광학계 구성을 살펴보면, 광 디스크(11), 대물렌즈(object lens)(12), 빔 스플리터(Beam Spiltter: BS)(13), 시준렌즈(collimator lens)(14), 발광부(Laser Diode: LD)(15), 광검출부(PDIC)(16)를 포함하고 있다.Looking at the optical system configuration in a general optical pickup device as shown in Figure 1, an optical disk 11, an object lens (12), a beam splitter (BS) 13, a collimator lens (collimator lens) ) 14, a light emitting unit (LD) 15, and a photodetector (PDIC) 16.

도1 에서, 발광부(LD)(15)에서 출력된 레이저 광은 시준렌즈(14)를 통과하면서 평행광으로 변환되고, 이 평행광은 빔 스플리터(BS)(13)를 통해서 대물렌즈(12)에 전달되고, 대물렌즈(12)는 평행광을 집속하여 광 디스크(11) 상의 한 점에 모아주게 된다. 광 디스크(11)에서 반사된 반사광은 빔 스플리터(BS)(13)에 의해서 반사되어 광 검출부(PDIC)(16)에 입사되어 반사광이 수광된다.In Fig. 1, the laser light output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 LD 15 is converted into parallel light while passing through the collimating lens 14, and the parallel light is converted into the objective lens 12 through the beam splitter BS 13. ), The objective lens 12 collects parallel light and collects the light at one point on the optical disk 11. The reflected light reflected by the optical disk 11 is reflected by the beam splitter (BS) 13 and is incident on the photodetector (PDIC) 16 to receive the reflected light.

상기 광 픽업장치의 광학계에서 빔 스플리터(BS)(13)는 광의 투과 및 반사를 수행하는 부품으로서, 이 빔 스플리터(BS)는 입사광 및 반사광의 광 경로상에 동시에 위치하기 때문에 정확하고 견고하며 안정된 상태로 정위치되어 있어야만 광학계의 성능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In the optical system of the optical pickup device, the beam splitter (BS) 13 is a component that transmits and reflects light, and the beam splitter BS is located at the same time on the optical path of the incident light and the reflected light. Only when it is placed in the state can guarantee the performance of the optical system.

따라서, 빔 스플리터(BS)를 안착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구적 구성이 제안되고 있다. 도2 내지 도4는 종래의 빔 스플리터(BS) 고정장치의 몇 가지 예를 보여준다.Therefore, various mechanical configurations for mounting the beam splitter BS have been proposed. 2 to 4 show some examples of a conventional beam splitter (BS) fixing device.

먼저, 도2a 및 도2b는 종래의 빔 스플리터(BS) 고정장치 중에서 양단 지지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빔 스플리터(BS) 고정구조를 보여주고 있다.First, FIGS. 2A and 2B show a beam splitter BS fixing structure based on both ends of a conventional beam splitter BS fixing device.

도2a를 참조하면 종래의 양단 지지구조 기반 빔 스플리터(BS) 고정장치는 대략 블록 형상의 베이스(base)(21)에 빔 스플리터(BS)(22)가 안착된다. 이를 위하여 베이스(21)에는 홈 형상의 안착부(23)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23)에는 도면에서 볼 때 후방에 위치하는 벽면 2개소에 지지부(241,24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23)에 빔 스플리터(BS)(22)를 안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와 대응하는 전방으로 절곡된 판상의 스프링(25)이 장착된다. 그리고 빔 스플리터(BS)(22)의 저면을 받쳐주기 위한 제1 받침부(261) 및 제2 받침부(262)가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안착부(23)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2A, a beam splitter (BS) 22 is mounted on a base 21 having a substantially block shape. To this end, the base 21 has a recess 23 having a groove shape. In the seating part 23, the supporting parts 241 and 242 are formed in two wall surfaces located rearward as seen from the figure. Then, in order to seat the beam splitter (BS) 22 on the seating part 23, a plate-shaped spring 25 bent forward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art is mounted. 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part 261 and the second support part 262 for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beam splitter (BS) 22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part 23 in a stat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도2b는 빔 스플리터(BS)(22)가 베이스(21)에 안착된 상태의 평면 구성을 보여준다. 도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빔 스플리터(BS)(22)는 제1 지지부(241) 및 제2 지지부(242) 2개소에 접촉됨과 동시에 스프링(25)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지지부(241,242)에 밀착된 상태로 안착된다.2B shows a planar configuration with the beam splitter (BS) 22 seated on the base 21. As shown in FIG. 2B, the beam splitter (BS) 22 is in contact with two places of the first support part 241 and the second support part 242 and closely adhered to the support parts 241 and 242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25. It is seated in a state.

이러한 양단 지지구조 기반의 빔 스플리터(BS) 고정구조는 충격에 강하지만, 반면에 빔 스플리터(BS)의 변형에 따른 수차 발생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정밀도와 광 투과 및 반사 경로 확보의 신뢰성에서는 문제점이 있다.The beam splitter (BS) fixing structure based on both ends of the support structure is strong in impact, but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problem in accuracy, light transmission, and reliability of securing the reflection path because there is a possibility of aberration caused by the deformation of the beam splitter (BS). .

도3은 종래의 빔 스플리터(BS) 고정장치 중에서 3점 지지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빔 스플리터(BS) 고정구조를 보여주고 있다.Figure 3 shows a beam splitter (BS) fixing structure based on a three-point support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beam splitter (BS) fixing device.

도3을 참조하면 종래의 3점 지지구조 기반 빔 스플리터(BS) 고정장치는 대략 블록 형상의 베이스(base)(31)에 빔 스플리터(BS)(32)가 안착된다. 이를 위하여 베이스(31)에는 홈 형상의 안착부(33)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33)에는 도면에서 볼 때 후방에 위치하는 벽면 2개소에 돌기 형상으로 3개의 지지부(341,342,34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33)에 빔 스플리터(BS)(32)를 안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와 대응하는 전방으로 절곡된 판상의 스프링(35)이 장착된다. 그리고 빔 스플리터(BS)(32)의 저면을 받쳐주기 위한 제1 받침부(361) 및 제2 받침부(362)가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안착부(33)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beam splitter BS 32 of the conventional three-point support structure-based beam splitter BS is mounted on an approximately block-shaped base 31. To this end, a groove-shaped seating portion 33 is formed in the base 31. In the seating part 33, three support parts 341, 342, and 343 are formed in a projection shape at two wall surfaces located rearward as seen in the drawing. Then, in order to seat the beam splitter (BS) 32 on the seating portion 33, a plate-shaped spring 35 bent forward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ortion is mounted. The first support part 361 and the second support part 362 for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beam splitter BS 32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part 33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빔 스플리터(BS)(32)는 제1 지지부(341) 및 제2 지지부(342), 제3 지지부(343) 3개소에 접촉됨과 동시에 스프링(35)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지지부(341,342,343)에 밀착된 상태로 안착된다.As shown in FIG. 3, the beam splitter (BS) 32 is in contact with three places of the first support part 341, the second support part 342, and the third support part 343, and at the same tim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35. It is sea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s 341, 342, and 343.

이러한 양단 지지구조 기반의 빔 스플리터(BS) 고정구조는 신뢰성에 있어서 안정적인 이점이 있지만, 반면에 3점 지지부로 인하여 금형으로 구현하기가 매우 까다로운 제약이 따른다.The beam splitter (BS) fixing structure based on both ends of the support structure has a stable advantage in reliability, while the three-point support part is very difficult to implement in a mold.

도4는 종래의 빔 스플리터(BS) 고정장치 중에서 단단 지지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빔 스플리터(BS) 고정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도4를 참조하면 종래의 단단 지지구조 기반 빔 스플리터(BS) 고정장치는 대략 블록 형상의 베이스(base)(41)에 빔 스플리터(BS)(42)가 안착된다. 이를 위하여 베이스(41)에는 홈 형상의 안착부(43)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43)에는 도면에서 볼 때 후방에 위치하는 벽면 1개소에 지지부(44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43)에 빔 스플리터(BS)(42)를 안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와 대응하는 전방으로 절곡된 판상의 스프링(45)이 장착된다. 그리고 빔 스플리터(BS)(42)의 저면을 받쳐주기 위한 제1 받침부(461) 및 제2 받침부(462)가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안착부(43)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다.Figure 4 shows a beam splitter (BS) fixing structure based on a single end support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beam splitter (BS) fixing device. Referring to FIG. 4, in the conventional single-support structure-based beam splitter (BS) fixing device, a beam splitter (BS) 42 is mounted on a base 41 having a substantially block shape. To this end, the base 41 has a groove-shaped mounting portion 43 is formed. In the seating portion 43, a supporting portion 441 is formed at one wall surface located rearward in the drawing. Then, in order to seat the beam splitter (BS) 42 on the seating portion 43, a plate-like spring 45 which is bent forward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ortion is mounted. The first support part 461 and the second support part 462 for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beam splitter BS 42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part 43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단 지지구조 기반에서 빔 스플리터(BS)(42)는 지지부(441) 1개소에 접촉됨과 동시에 스프링(45)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지지부(441)에 밀착된 상태로 안착된다.As shown in FIG. 4, the beam splitter (BS) 42 contacts the support part 441 at the base of the single-stage support structure and is sea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part 441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45. .

이러한 단단 지지구조 기반의 빔 스플리터(BS) 고정구조는 안착 구조의 구현이 용이한 이점이 있지만, 반면에 충격에 약하고 불안정하며 신뢰성이 다른 구조에 비해서 크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Although the beam splitter (BS) fixing structure based on such a single support structure has an advantage of easy implementation of the seating structure, on the other hand, it is weak in shock, unstable, and has a disadvantage in that reliability is significantly lower than other structures.

본 발명은 광 픽업의 빔 스플리터(BS)를 고정하는 장치로서, 3점 지지 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안정되고 견고하며 금형으로 구현하기 용이한 빔 스플리터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am splitter fixing apparatus for fixing a beam splitter (BS) of an optical pickup, which is stable, robust, and easy to implement in a mold based on a three-point support structur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빔 스플리터 베이스에 안착되는 홀더에 빔 스플리터 지지구조를 일체로 형성하고 이 홀더를 이용해서 빔 스플리터(BS)를 베이스 안착부에 안착시켜 줌으로써, 보다 견고하고 안정되게 빔 스플리터(BS)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한 빔 스플리터(BS)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orm a beam splitter support structure integrally with a holder seated on a beam splitter base and to use the holder to mount the beam splitter BS on the base seating portion, thereby more stably and stably beam splitter It is to provide a beam splitter (BS) fixing device for mounting (B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빔 스플리터 베이스에 안착되는 홀더에 빔 스플리터(BS) 지지를 위한 3개소의 지지부 및 이 지지부들에 빔 스플리터를 탄성력으로 밀착시켜 주기 위한 탄성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홀더 내에 빔 스플리터를 장착한 상태로 베이스 안착부에 빔 스플리터를 견고하고 안정되게 장착시켜 줄 수 있도록 한 빔 스플리터(BS)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tegrally form three support parts for supporting the beam splitter (BS) to the holder seated on the beam splitter base and an elastic part for tightly attaching the beam splitter to the support parts with elastic force, and the hold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eam splitter (BS) fixing device capable of firmly and stably mounting a beam splitter to a base seating part with a beam splitter mounted therei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 픽업의 빔 스플리터 고정장치는, 빔 스플리터(BS); 상기 빔 스플리터(BS)가 장착되기 위한 안착부가 형성된 베이스(base); 상기 빔 스플리터(BS)가 안착되는 홀더 베이스 및 상기 홀더 베이스에서 대략 직립하여 일체로 이루어지는 홀더 프레임, 상기 홀더 베이스에 안착된 빔 스플리터(BS)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홀더 프레임에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부 및, 안착된 빔 스플리터(BS)를 레이저 광이 통과되기 위하여 홀더 프레임에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홀더; 상기 홀더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의 안착부에 장착되는 빔 스플리터를 고정하기 위한 절곡된 판상의 스프링;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Beam splitter fixing device of the optical pickup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eam splitter (BS); A base having a seating portion for mounting the beam splitter BS; A holder frame on which the beam splitter BS is seated and a holder frame formed by being substantially upright from the holder base, a plurality of supports formed on the holder frame to support the beam splitter BS seated on the holder base; A holder including an opening formed in the holder frame to allow the laser beam to pass through the seated beam splitter BS; A bent plate spring for fixing the beam splitter mounted to the seating portion of the base while seated in the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또한 본 발명의 광 픽업의 빔 스플리터 고정장치에서, 상기 스프링은 홀더 베이스에 일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beam splitter fixing device of the optical pickup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ring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tegrally configured on the holder base.

또한 본 발명의 광 픽업의 빔 스플리터 고정장치에서,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다각형 영역내로 탄성력이 가해지는 스프링이 상기 홀더 베이스에 일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beam splitter fixing device of the optical pickup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ring to which elastic force is applied into the virtual polygonal region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upports is integrally formed on the holder base.

또한 본 발명의 광 픽업의 빔 스플리터 고정장치에서, 상기 홀더는 프레스 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beam splitter fixing device of the optical pickup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press water.

또한 본 발명의 광 픽업의 빔 스플리터 고정장치에서,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는 구형의 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beam splitter fixing apparatus of the optical pickup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are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spherical protrusions.

또한 본 발명의 광 픽업의 빔 스플리터 고정장치에서, 상기 개구부는 홀더 프레임에 천공된 장방형의 홀(hole)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beam splitter fixing device of the optical pickup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tangular hole (hole) formed in the holder frame.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광 픽업의 빔 스플리터 고정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embodiment of the beam splitter fixing apparatus of the optical pick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5a는 본 발명에 따른 빔 스플리터 홀더(BS Holder)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First, Figure 5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eam splitter holder (BS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BS 홀더(50)는 프레스(press) 물로 제작된다. 이 것은 기존에 3점 지지 기반의 빔 스플리터(BS) 고정장치를 제작할 때 금형으로 구현하기가 까다로웠던 3개소의 돌기 형상의 지지부(541,542,543)를 홀더(50)에 일체로 제작하므로써 금형 설계와 제작상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BS holder 50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made of press water. This is achieved by integrating the three projection-shaped supports (541, 542, 543) into the holder (50), which was difficult to implement with a mold when manufacturing a three-point support-based beam splitter (BS) fixture. This is to reduce the production burden.

홀더(50)는 홀더 베이스(51)와 이 홀더 베이스(51)에 대략 직립하여 절곡된 형상의 홀더 프레임(53)으로 이루어진다. 빔 스플리터(BS)를 고정하기 위한 스프링이 기존의 빔 스플리터 고정장치처럼 별개의 구조물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홀더(50)에 스프링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 베이스(51)에서 상기 홀더 프레임(53)과 마주보는 위치의 일단으로 탄성 연결부(521)를 직립하는 형태로 형성하고 그 선단부를 절곡하여 탄성부(522)를 형성한다.The holder 50 consists of a holder base 51 and a holder frame 53 of a shape that is bent substantially upright with the holder base 51. Although the spring for fixing the beam splitter BS may be provided as a separate structure like the conventional beam splitter fixing device, it is preferable that the spring is integrally formed in the holder 50 in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as shown in the figure, the elastic connecting portion 521 is formed upright to one end of the position facing the holder frame 53 in the holder base 51, and the front end portion is bent to form the elastic portion 522. do.

상기 탄성 연결부(521) 및 탄성부(522)는 기존의 빔 스플리터 고정장치에서 사용되었던 스프링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는 홀더(50)를 추가한 구성이기 때문에 스프링을 별개의 부품으로 사용하는 것 보다 홀더(50)에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실질적인 부품의 개수 추가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elastic connecting portion 521 and the elastic portion 522 correspond to the spring used in the conventional beam splitter fixing devic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older 50 is add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ddition of a substantial number of parts by integrally configuring the holder 50 rather than using the spring as a separate part.

그리고 홀더 베이스(51)에 안착되는 빔 스플리터(BS)를 경유하는 광 경로를 보장하기 위하여 상기 홀더 프레임(53)에는 개구부(55)를 형성한다. 이 개구부(55)는 홀더 프레임(53)에 대략 장방형의 홀(hole) 형상으로 천공하여 구성하였다. 그렇지만 반드시 홀(hole) 형상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개구부(55)를 홀더 프레임(53) 중간 일부를 절취하여 개방된 형태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In addition, an opening 55 is formed in the holder frame 53 to ensure an optical path through the beam splitter BS mounted on the holder base 51. This opening part 55 was formed by perforating the holder frame 53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hole shape. However,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a hole shape. For example, the opening portion 55 may be formed in an open form by cutting off a part of the holder frame 53.

한편, 상기 홀더 프레임(53)에는 3개소의 서로 이격된 위치에 놓이는 제1 지지부(541), 제2 지지부(542), 제3 지지부(543)가 구비된다. 상기 3개소의 서로 이격된 위치에 놓이는 지지부(541,542,543)들은 그 지지부들을 연결하는 가상의 3각형을 이룬다. 이 가상의 3각형 내부의 영역에 상기 탄성부(522)의 탄성력이 미치도록 각 지지부(541,542,543)들과 탄성부(522)의 위치를 설정한다.On the other hand, the holder frame 53 is provided with a first support portion 541, a second support portion 542, and a third support portion 543 which are positioned at three spaced apart positions. The supports 541, 542, 543 placed in the three spaced apart positions form an imaginary triangle connecting the supports. The positions of the support portions 541, 542, 543 and the elastic portion 522 are set so that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portion 522 is exerted on the region inside the virtual triangle.

이 것을 도5b에 나타내었다. 도5b에 표현된 바와 같이 3개의 지지부(541,542,543)들을 연결하는 가상의 3각형 안쪽 영역에 스프링 탄성력(Spring Force)이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빔 스플리터(BS)가 충격에 강하고 안정되게 장착될 수 있다.This is shown in Fig. 5B. As shown in FIG. 5B, the spring split force is applied to the virtual triangular inner region connecting the three supports 541, 542, 543 to the impact splitter.

만약 일체형 스프링 구조인 탄성부(522)에 의해서 가해지는 스프링 탄성력이 상기 가상의 3각형 바깥 영역에 가해진다면 지지부(541,542,543)로 이루어지는 가상의 3각형 외곽으로 빔 스플리터(BS)를 밀어 붙이는 힘이 작용하게 되어 그 위치로 빔 스플리터(BS)가 비틀리는 힘을 받게 될 것이고, 이러한 경우 빔 스플리터(BS)의 정위치 이탈과 이에 따른 광 경로의 변형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탄성력이 미치는 영역을 상기 가상의 3각형으로 이루어지는 영역의 안쪽 영역으로 설계 및 제작해야 하는 것이다.If the spring elastic force exerted by the elastic portion 522, which is an integral spring structure, is applied to the virtual triangular outer region, a force for pushing the beam splitter BS to the virtual triangular outline made of the supporting portions 541, 542, 543 acts. In this case, the beam splitter BS is subjected to a twisting force to the position, and in this case, the beam splitter BS may be displaced correctly and the optical path may be deformed accordingly. It should be designed and manufactured as the inner area of the triangular area.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홀더(50)를 이용해서 베이스(60)에 빔 스플리터(BS)(61)를 장착한 구조를 보여준다.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60)에 이루어진 안착부(62)에 빔 스플리터(BS)(61)가 홀더(50)에 안착된 상태로 견고하게 장착된다. 즉, 빔 스플리터(BS)(61)가 홀더 베이스(51)에 안착된 상태로 홀더 프레임(53)의 3개소 지지부(541,542,543)에 의해서 안정적으로 지지됨과 함께, 일체형의 탄성부(522)에 의해서 고정되고, 이와 같이 빔 스플리터(BS)(61)가 안착된 홀더(50)가 상기 베이스(60)에 이루어진 안착부(62)에 장착된다.6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beam splitter (BS) 61 is mounted on the base 60 by using the holder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the beam splitter (BS) 61 is firmly mounted to the seating portion 62 formed in the base 60 in a state of being seated on the holder 50. That is, the beam splitter (BS) 61 is stably supported by the three support portions 541, 542, 543 of the holder frame 53 in a state where the beam splitter (BS) 61 is seated on the holder base 51, and by the integral elastic portion 522. The holder 50, which is fixed and mounted on the beam splitter BS 61, is mounted to the seating part 62 formed on the base 60.

따라서, 3점 지지 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안정되고 견고한 빔 스플리터 장착 구조가 완성되고, 변형에 따른 수차 발생의 가능성을 배제하였으며, 금형으로 구현하기 어려웠던 지지부 구조물을 홀더에 프레스물로 일체화하여 제작함으로써 금형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안착 구조의 구현을 보다 편리하게 실현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 것이다.Therefore, the stable and robust beam splitter mounting structure is completed based on the three-point support structure, and the possibility of aberration caused by deformation is eliminated. It provided the basis for facilitating manufacture and realiz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mounting structure more conveniently.

본 발명의 광 픽업의 빔 스플리터 고정장치는 프레스 물로 제작된 홀더에 빔 스플리터의 3점 지지부와 빔 스플리터 고정용 스프링을 일체로 제작함으로써 빔 스플리터의 장착을 견고하고 안정되게 할 수 있다. 또한 금형으로 구현하기 어려웠던 지지부 구조물을 프레스 물인 홀더에 일체화함으로써 금형 설계와 제작상의 편의를 도모하였으며, 스프링을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실질적인 부품의 개수 추가를 배제하여 생산성이나 가격 면에서의 불리함을 극복하였다.The beam splitter fixing device of the optical pickup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the mounting of the beam splitter firm and stable by integrally manufacturing the three-point support of the beam splitter and the beam splitter fixing spring in a holder made of press water. In addition, by integrating the support structure, which was difficult to realize with a mold, into the holder, which is a press material, the mold was designed and manufactured for convenience. The spring was integrated to eliminate the actual number of parts, thereby overcoming the disadvantages in productivity and price. .

Claims (8)

빔 스플리터(BS); 상기 빔 스플리터(BS)가 안착되는 홀더 베이스 및 상기 홀더 베이스의 일측에서 대략 직립하여 일체로 이루어지는 홀더 프레임, 상기 홀더 베이스에 안착된 빔 스플리터(BS)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홀더 프레임에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부와 상기 홀더 베이스의 타측에서 대략 직립하여 연장 형성되어 상기 빔 스플리터(BS)가 상기 지지부에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 및, 안착된 빔 스플리터(BS)를 레이저 광이 통과되기 위하여 홀더 프레임에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홀더; 상기 홀더를 장착하기 위한 안착부가 형성된 베이스;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의 빔 스플리터 고정장치.Beam splitter (BS); A holder base on which the beam splitter BS is seated, a holder frame formed by being substantially upright from one side of the holder base, and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formed on the holder frame to support the beam splitter BS seated on the holder base. And an elastic part extending substantially upright from the other side of the holder base to impart an elastic force such that the beam splitter BS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part, and the seated beam splitter BS to the holder frame to allow laser light to pass therethrough. A holder comprising an opening formed; A base having a seating portion for mounting the holder; Beam splitter fixing device for an optical pickup,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가 상기 빔 스플리터를 지지하는 위치는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다각형 영역내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의 빔 스플리터 고정장치.2. The beam splitter fixing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position where the elastic part supports the beam splitter is in a virtual polygonal area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upport par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프레스 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의 빔 스플리터 고정장치.The beam splitter fixing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holder is made of press wa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는 구형의 돌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의 빔 스플리터 고정장치.The beam splitter fixing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supporting portions have a spherical protrusion sha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홀더 프레임에 천공된 장방형의 홀(hole)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의 빔 스플리터 고정장치.The beam splitter fixing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opening is formed of a rectangular hole drilled in the holder fr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는 돌기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3개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의 빔 스플리터 고정장치.The beam splitter fixing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supporting portions are formed in a protrusion shape and are three. 빔 스플리터(BS)와, 상기 빔 스플리터가 안착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그 일측에 상기 빔 스플리터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돌기부와, 상기 빔 스플리터의 타측면에서 상기 빔 스플리터를 상기 돌기부에 밀착시키는 탄성부재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A beam splitter BS, a support portion on which the beam splitter is seated, a plurality of protrusions supporting one side of the beam splitter on one side thereof, and the beam splitter close to the protrusion on the other side of the beam splitter. In the elastic member is installed,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빔 스플리터를 지지하는 위치는 상기 복수개의 돌기부에 힘이 균등하게 배분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돌기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다각형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의 빔 스플리터 고정장치.And a position at which the elastic member supports the beam splitter is located in a virtual polygonal region connecting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so that forces are evenly distributed to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KR1020040101691A 2004-12-06 2004-12-06 Beam splitter holder of optical pick-up KR1006479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1691A KR100647945B1 (en) 2004-12-06 2004-12-06 Beam splitter holder of optical pick-u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1691A KR100647945B1 (en) 2004-12-06 2004-12-06 Beam splitter holder of optical pick-u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2745A KR20060062745A (en) 2006-06-12
KR100647945B1 true KR100647945B1 (en) 2006-11-23

Family

ID=37158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1691A KR100647945B1 (en) 2004-12-06 2004-12-06 Beam splitter holder of optical pick-u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794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0359A (en) 2021-02-23 2022-08-30 주식회사 크럭셀 Optical signal converter alignment control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70383B2 (en) * 2011-01-28 2013-12-18 船井電機株式会社 Optical element holder and optical pickup hav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2229A (en) * 2003-05-15 2004-12-02 Mitsumi Electric Co Ltd Optical pickup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2229A (en) * 2003-05-15 2004-12-02 Mitsumi Electric Co Ltd Optical pickup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6342229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0359A (en) 2021-02-23 2022-08-30 주식회사 크럭셀 Optical signal converter alignment contro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2745A (en) 2006-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09274A1 (en) Optical pickup
KR20060045826A (en) Optical pickup
KR100647945B1 (en) Beam splitter holder of optical pick-up
CN101136221A (en) Optical pickup
US20060120226A1 (en) Optical pick-up device and optical disk device
EP1909273B1 (en) Optical pickup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optical pickup
KR2007002853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scanning beam in an optical pickup head, miniature optical pickup head and optical storage system incorporating a miniature pickup head
JP2008090920A (en) Optical pickup actuator
US20040008607A1 (en) Optical pickup having optical base made of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JP4609517B2 (en) Light source holder and optical pickup including the same
JP3808031B2 (en) Optical pickup device and assembly method thereof
JP2006018887A (en) Optical pickup
KR100569375B1 (en) Rotaion-preventing structure of optical pickup actuator
JP3779608B2 (en) Optical head device
JP3084904U (en) Pickup head
KR100649844B1 (en) Laser diode holder structures of optical pick-up apparatus
JP2013016226A (en) Optical disk device
KR100349511B1 (en) Separable optical system and framing method thereof
JP2006031903A (en) Optical pickup actuator
JP2000020982A (en) Two-lens optical head device, and disk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US20060056080A1 (en) Optical pickup unit comprising an optical pickup actuator wobblably held in an optical base
JP2000215483A (en) Optical pickup and its assembling method
JP2002197705A (en) Optical head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20060077783A1 (en) Light-emission and reception module for optical pickup and optical pickup
JPH11273130A (en) Optical pickup device and optical disk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