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7363B1 - 전력 소모를 줄인 디지털 비디오 디코더 - Google Patents

전력 소모를 줄인 디지털 비디오 디코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7363B1
KR100647363B1 KR1020000003592A KR20000003592A KR100647363B1 KR 100647363 B1 KR100647363 B1 KR 100647363B1 KR 1020000003592 A KR1020000003592 A KR 1020000003592A KR 20000003592 A KR20000003592 A KR 20000003592A KR 100647363 B1 KR100647363 B1 KR 100647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rter
sync
level
digita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3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6446A (ko
Inventor
도원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03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7363B1/ko
Publication of KR20010076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6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7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7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4Decod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video decoders which are a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enco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nalogue/Digital Conver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디오 D/A 컨버터를 내장하고 있는 디지털 기기에서 비디오 D/A컨버터의 자동 절전 모드를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D/A 컨버터가 동작중인지 아닌지를 판별 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항상 전원이 공급되므로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유발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디지털 비디오 엔코더의 각 디바이스로 부터의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먹스와, 상기 먹스로 부터 입력되는 시스템의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동기 검출부와, 상기 동기 검출부로 부터 검출된 동기신호의 동기 구간에서 싱크레벨과 블랭크 레벨을 샘플링 하는 ADC와, 상기 샘플링 결과를 입력 받아 싱크레벨과 블랭크 레벨의 상태를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각 D/A컨버터의 출력에 케이블이 접속되어 있는지를 판별하는 마이콤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는 손쉽게 절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고, 개발자에게는 현재 시스템에 많은 변화를 가하지 않고서도 절전 방법을 구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셋톱 박스, DVD 플레이어등 컴포지트(composite) 출력을 갖는 디지털 기기 모두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A컨버터

Description

전력 소모를 줄인 디지털 비디오 디코더{A Video Decoder To Reduce Power}
도1은 일반적인 디지털 비디오 엔코더의 내부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 있는 라인 동기부의 타이밍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엔코더 20 : 인터페이스 장치
30 : D/A 컨버터 40 : RGB 프로세서
100 : 디지털 비디오 엔코더 110 : 먹스
120 : 동기 검출부 130 : A/D 컨버터
140 : 마이콤
본 발명은 비디오 D/A 컨버터를 내장하고 있는 디지털 기기에서 비디오 D/A컨버터의 자동 절전 모드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최근에는 디지털 방송과 이에 따른 디지털 기기가 많이 등장하고 있다. 위와같은 디지털 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CRT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CRT로 영상신호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기기에서 디지털 출력 RGB 또는 YUV 신호를 아날로그 RGB, Y/C 또는 CVBS로 만들어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한 디바이스가 D/A 컨버터이다.
도1은 대략적인 디지털 비디오 엔코더의 내부 블록을 보여주고 있는 도면이다.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TV입력을 위한 아날로그 RGB, CVBS를 만들기 위해서는 디지털 비디오 엔코더가 필요하다. 이때 상기 디지털 비디오 엔코더의 내부 구성은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약 6개 정도의 D/A컨버터의 구성이 있어야 한다.
하나의 DAC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약 100mW 정도의 전력이 소모된다.
종래의 시스템에 적용된 D/A 컨버터는 동작중인지 아닌지를 판별 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항상 전원이 공급되므로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비디오 D/A 컨버터를 내장하고 있는 디지털 기기의 자동 절전을 구현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력소모를 줄인 비디오 D/A 컨버터는 디지털 비디오 엔코더의 각 디바이스로 부터의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먹스와, 상기 먹스로 부터 입력되는 시스템의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동기 검출부와, 상기 동기 검출부로 부터 검출된 동기신호의 동기 구간에서 싱크 레벨과 블랭크 레벨을 샘플링 하는 ADC와, 상기 샘플링 결과를 입력 받아 싱크 레벨과 블랭크 레벨의 상태를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각 D/A컨버터의 출력에 케이블이 접속되어 있는지를 판별하는 마이콤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력소모를 줄인 비디오 D/A 컨버터에 대하여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CVBS 신호의 동기 구간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CVBS의 싱크 구간의 특성을 보면, 신호의 싱크 레벨(Sync level)과 블랭크 레벨(Blank level)은 일정한 차이를 갖게 된다.
NTSC 시스템의 경우 상기 싱크 레벨과 블랭크 레벨의 차이는 40IRE 이다. PAL 시스템에서는 43 IRE를 갖는다. 출력단의 특징으로는 75Ω의 출력 임피던스를 갖고 있으며, 또한, 전송 케이블도 75Ω의 라인 임피던스를 갖는다. 따라서, 케이블을 출력단자에 접속시키게 되면 출력 전압이 정확히 반으로 감소하게 된다. 싱크 구간에서의 싱크 레벨과 블랭크 레벨의 신호 차이를 측정하면, 그 출력 단자에 케이블이 접속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PAL 시스템에서 두 샘플의 차이가 0.75*43 IRE 보다 크다면,(NTSC 시스템에서는 0.75*40 IRE) 출력에 케이블이 접속 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3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처음에 파워를 ON하면 디지털 기기의 마이콤은 먼저 모든 RGB, CVBS, C/Y의 모든 DAC를 동작시킨다. 상기 마이콤은 4개의 CVBS와 Y신호를 MUX를 통하여 선택하고, 동기 구간에서의 싱크 레벨과 블랭크 레벨의 신호를 A/D 컨버터를 사용하여 샘플링 한다. 이후, 마이콤은 I/O를 통하여 샘플 값을 받아 싱크 레벨과 블랭크 레벨을 비교하여 각 출력에 케이블이 접속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만일, 컨넥터에 케이블이 접속되어 있지 않다면, RGB 세개의 D/A컨버터의 파워를 OFF할 수 있다. 또한, RCA, Half Scart, Full Scart에도 케이블이 접속되어 있지 않다면, CVBS의 D/A컨버터도 OFF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S-Video 컨넥터에 케이블이 접속되어 있지 않다면, Y/C 두 개의 DA컨버터 파워를 OFF 할 수 있다. 마이콤은 I²C 버스 등을 이용하여 디지털 비디오 엔코더의 레지스터를 제어하므로서 D/A컨버터의 절전 모드를 동작 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지털 기기의 절전 모드를 쉽게 구현하므로서 사용자에게는 손쉽게 절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고, 개발자에게는 현재 시스템에 많은 변화를 가하지 않고서도 절전 방법을 구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셋톱 박스, DVD 플레이어 등 컴포지 트(composite)출력을 갖는 디지털 기기 모두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디지털 비디오 엔코더의 각 디바이스로 부터의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먹스와, 상기 먹스로 부터 입력되는 시스템의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동기 검출부와, 상기 동기 검출부로 부터 검출된 동기신호의 동기 구간에서 싱크레벨과 블랭크 레벨을 샘플링 하는 ADC와, 상기 샘플링 결과를 입력 받아 싱크레벨과 블랭크 레벨의 상태를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각 D/A컨버터의 출력에 케이블이 접속되어 있는지를 판별하는 마이콤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소모를 줄인 디지털 비디오 디코더.
KR1020000003592A 2000-01-26 2000-01-26 전력 소모를 줄인 디지털 비디오 디코더 KR100647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3592A KR100647363B1 (ko) 2000-01-26 2000-01-26 전력 소모를 줄인 디지털 비디오 디코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3592A KR100647363B1 (ko) 2000-01-26 2000-01-26 전력 소모를 줄인 디지털 비디오 디코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6446A KR20010076446A (ko) 2001-08-16
KR100647363B1 true KR100647363B1 (ko) 2006-11-17

Family

ID=19641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3592A KR100647363B1 (ko) 2000-01-26 2000-01-26 전력 소모를 줄인 디지털 비디오 디코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73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1455A (ko) * 2005-06-16 2006-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셋톱 박스의 전원 모드 제어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0357A (en) * 1991-08-28 1995-02-14 Nec Corporation Power saving diversity receiver
KR960018840A (ko) * 1994-11-30 1996-06-17 이헌조 절전기능 자동 감지 장치
KR970055750U (ko) * 1996-03-28 1997-10-13 모니터의 소비전력 극소화를 위한 회로
KR19980084514A (ko) * 1997-05-23 1998-12-05 배순훈 브이시알의 절전 제어방법
KR19990057630A (ko) * 1997-12-30 1999-07-15 이구택 제어시스템에서의 디씨 전원 전압 감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0357A (en) * 1991-08-28 1995-02-14 Nec Corporation Power saving diversity receiver
KR960018840A (ko) * 1994-11-30 1996-06-17 이헌조 절전기능 자동 감지 장치
KR970055750U (ko) * 1996-03-28 1997-10-13 모니터의 소비전력 극소화를 위한 회로
KR19980084514A (ko) * 1997-05-23 1998-12-05 배순훈 브이시알의 절전 제어방법
KR19990057630A (ko) * 1997-12-30 1999-07-15 이구택 제어시스템에서의 디씨 전원 전압 감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6446A (ko) 2001-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55464A1 (en) Method of automatically selecting resolution and video receiving apparatus to use the same
US7362383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a single video input of an electronic audio/visual signal receiver as an input for multiple video signal formats
EP0782331B1 (en) Multiple video input clamping arrangement
JP3033462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647363B1 (ko) 전력 소모를 줄인 디지털 비디오 디코더
JPH1198422A (ja) 映像信号判別回路
JP2502873B2 (ja) 色信号輪郭補正装置
KR100769246B1 (ko) 수 개의 비디오 신호 소스를 사용하는 비디오 장치 및그런 비디오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0166697B1 (ko) 다단 연결된 영상기기의 제어방법
US6441871B1 (en) Method for correcting amplitude of synchronizing signal of composite video signal and device therefor
KR100408069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입력신호 선택 방법 및 장치
JP2006019809A (ja) 映像信号受信装置及び映像信号受信方法
EP1271945A2 (en) Video signal generating apparatus
KR100325803B1 (ko) 스카트잭알지비출력선택시자동튜너선택장치및방법
KR950006236Y1 (ko) Vcr을 구비한 tv모니터와 pc간의 인터페이스 장치
KR0159372B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자동 절환 방법
KR100385993B1 (ko) 디브이디, 디티브이 입력신호 판별 장치
KR0137429Y1 (ko) 입력영상 자동판별회로
KR100627898B1 (ko) 콤보 시스템의 영상출력신호 자동절환구조 및 방법
KR100362156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영상 모드 검출 장치 및 방법
KR930003450Y1 (ko) 채널 표시 회로
KR20000051591A (ko) 영상기록/재생기의 영상신호 선택출력장치
KR920008836Y1 (ko) 티브이 방송신호와 텔레텍스트신호 절환시 발생되는 동기신호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회로
KR20010076434A (ko) 디지털티브이의 오에스디 표시방법
KR930003699A (ko) Tv/vcr 자동 전환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