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6837B1 - 컨텐츠 재생 기능을 구비한 단말 장치 및 상기 단말 장치의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 재생 기능을 구비한 단말 장치 및 상기 단말 장치의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6837B1
KR100646837B1 KR1020050107953A KR20050107953A KR100646837B1 KR 100646837 B1 KR100646837 B1 KR 100646837B1 KR 1020050107953 A KR1020050107953 A KR 1020050107953A KR 20050107953 A KR20050107953 A KR 20050107953A KR 100646837 B1 KR100646837 B1 KR 100646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terminal device
predetermined
contents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7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우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50107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68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6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6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 재생 기능을 구비한 단말 장치 및 상기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 장치에서 재생하는 컨텐츠를 타 단말 장치로 전송하여 동시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기능을 구비한 단말 장치 및 상기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단말 장치에서 소정의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되는 컨텐츠를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동시 재생 요청을 입력 받아 상기 제2 단말 장치로 상기 컨텐츠를 전송하고, 상기 제2 단말 장치는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여 소정의 제2 출력 수단을 통하여 출력하여 단말 장치 간 동시 재생을 할 수 있다.
단말 장치, 컨텐츠, 동시, 재생

Description

컨텐츠 재생 기능을 구비한 단말 장치 및 상기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TERMINAL HAVING CONTENTS PLAYING FUNC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단말 장치의 네트워크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컨텐츠의 동시 재생을 요청하는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단말 장치
201: 컨텐츠 저장 수단 202: 컨텐츠 관리부
203: 컨텐츠 출력부 204: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05: 컨텐츠 전송부 206: 제어부
본 발명은 컨텐츠 재생 기능을 구비한 단말 장치 및 상기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 장치에서 재생하는 컨텐츠를 타 단말 장치로 전송하여 동시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기능을 구비한 단말 장치 및 상기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통신 기술의 눈부신 발달은 단말 장치(휴대기기)의 대중화를 급속히 촉진시켰고, 이제 대부분의 일반인들이 MP3, 핸드폰, PDA 등의 단말 장치를 항상 소지하고 있다. 단말 장치는 점차 통신 기술의 발달 및 사용자들의 사용이 증가됨에 따라 보다 다양한 서비스 예를 들어, 게임, 무선 인터넷, 카메라 촬영, 동영상 재생, MP3 음악 제공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컨텐츠 재생 기능을 구비한 단말 장치에서 동영상 파일 또는 MP3 파일 등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경우,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컨텐츠에 대한 재생 요청을 입력 받고, 상기 컨텐츠를 상기 통신 단말기에 포함된 소정의 출력 수단을 통하여 출력하였다.
컨텐츠 재생 기능을 구비한 단말 장치에서 출력되는 컨텐츠를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타 사용자와 함께 시청하는 경우, 사용자들은 단말 장치의 작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화면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를 시청하여야 했으므로 사용자 간에 불 편함이 존재하였다. 또한, 단말 장치에서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단말 장치의 오디오 입출력(I/O) 단자와 연결된 이어폰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경우, 사용자들은 이어폰 수단에 포함된 두 개의 드라이버 유닛을 한 개씩 나누어 들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명확하게 전달 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로부터 단말 장치에서 소정의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되는 컨텐츠를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동시 재생 요청을 입력 받아 상기 제2 단말 장치로 상기 컨텐츠를 전송하고, 상기 제2 단말 장치는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여 소정의 제2 출력 수단을 통하여 출력하여 단말 장치 간 동시 재생을 하는 컨텐츠 재생 기능을 구비한 단말 장치 및 상기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들의 단말 장치를 통해 사용자 간에 동일한 컨텐츠를 출력함으로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기능을 구비한 단말 장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 수단; 사용자로부터 상기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 입력 받고, 상기 컨텐츠 저장 수단을 참조하여,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독출하는 컨텐츠 관리부; 독출된 컨텐츠를 소정의 제1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컨텐츠 출력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출력되는 컨텐츠를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하여 동시 재생하는 동시 재생 요청을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소정의 제1 통신 포트를 통하여 상기 출력되는 컨텐츠를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 장치는 소정의 제2 통신 포트를 통하여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컨텐츠를 소정의 제2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기능을 구비한 단말 장치는,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 모드 또는 오디오 신호 입출력을 위한 오디오 모드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컨텐츠를 소정의 제1 통신 포트를 통하여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컨텐츠를 소정의 제1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컨텐츠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 장치는 상기 컨텐츠를 기록하는 컨텐츠 저장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 장치에서 소정의 제2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되는 상기 컨텐츠를 소정의 제2 통신 포트를 통해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 수단 유지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저장 수단을 참조하여,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독출하고 독출된 컨텐츠를 소정의 제1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출력되는 컨텐츠를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하여 동시 재생하는 동 시 재생 요청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소정의 제1 통신 포트를 통하여 상기 출력되는 컨텐츠를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 모드 또는 오디오 신호 입출력을 위한 오디오 모드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을 제2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고,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컨텐츠를 소정의 제2 통신 포트를 통하여 수신하여 소정의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 또는 제2 단말 장치는 컨텐츠의 재생이 가능한 단말 장치로 컴퓨터 단말기, 통신 단말기,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단말기, VoIP,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Megaco,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 헬드 PC(Hand-Held PC), CDMA-2000(1X, 3X)폰, WCDMA(Wideband CDMA)폰, 듀얼 밴드/듀얼 모드(Dual Band/Dual Mode)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또는 위성/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재생 기능을 구비한 단말 장치 및 상기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단말 장치의 네트워크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치(110)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컨텐츠 저장 수단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여 소정의 제1 출력 수단에 출력하고, 상기 출력되는 컨텐츠를 소정의 제1 통신 포트를 통하여 제2 단말 장치(120)로 전송하며, 제2 단말 장치(120)는 소정의 제2 통신 포트를 통하여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를 소정의 제2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한다. 상기 도 1에서 도시된 단말 장치(110), 및 제2 단말 장치(120)에 관하여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상기 통신 단말기는 예시일 뿐, 컨텐츠의 재생이 가능한 단말 장치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치(200)는 컨텐츠 저장 수단(201), 컨텐츠 관리부(202), 컨텐츠 출력부(203),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4), 컨텐츠 전송부(205), 제어부(206)를 포함한다.
컨텐츠 저장 수단(201)은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저장한다. 일예로, 상기 컨텐츠는 문자 정보, 정지 영상 정보, 동영상 정보, 또는 오디오 정보 등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4)는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저장 수단(201)에 저장된 상기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한다. 일예로, 상기 컨텐츠 관리부(202)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동영상 정보인 "타이타닉.avi"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컨텐츠 관리부(202)는 컨텐츠 저장 수단(201)을 참조하여, 상기 선택된 컨텐 츠를 독출한다.
컨텐츠 출력부(203)는 상기 독출된 컨텐츠를 소정의 제1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한다. 상기 제1 출력 수단은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소정의 음성 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 수단 또는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소정의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 일 수 있다. 일예로, 컨텐츠 출력부(203)는 상기 독출된 컨텐츠 "타이타닉.avi"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상기 스피커 수단을 통해 출력할 수 있고, 상기 독출된 컨텐츠 "타이타닉.avi"에 대응하는 영상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4)는 상기 출력되는 컨텐츠를 상기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하여 동시 재생하는 동시 재생 요청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컨텐츠의 동시 재생을 요청하는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치(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4)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출력되는 컨텐츠 "타이타닉.avi"를 상기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하여 동시 재생하는 동시 재생 요청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컨텐츠 전송부(205)는 소정의 제1 통신 포트를 통하여 상기 출력되는 컨텐츠를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통신 포트는 24핀 직렬 포트(serial port)일 수 있다. 상기 24핀 직렬 포트는, 상기 컨텐츠에 포함되는 비디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1 핀 및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2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통신 포트는 TV-Out 단자일 수도 있다.
상기 제2 단말 장치는 소정의 제2 통신 포트를 통하여 단말 장치(200)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컨텐츠를 소정의 제2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통신 포트는 24핀 직렬 포트(serial port)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통신 포트는 오디오 입출력(I/O) 단자이며, 상기 제2 단말 장치는 상기 제2 통신 포트와 연결된 소정의 비디오/오디오 IN 회로 및 오디오 I/O 회로 간의 스위칭을 수행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2 단말 장치에 포함된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206)는 통상적으로 모뎀 DSP와 연관된 단말 장치상의 모든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세서 기능을 포함한다. 베이스밴드 신호 등 내부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DSP를 많이 구비할수록 빠른 처리 속도로 인하여 각각의 모드에 따른 동작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206)는 MSM(Mobile Station Modem), DSP(Digital Signal Processor), OMAP(Open Multimedia Application Platfor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치(4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1), 컨텐츠 수신부(402), 컨텐츠 출력부(403), 제어부(40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400)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단말 장치이다.
먼저, 상기 제2 단말 장치는 상기 컨텐츠를 기록하는 컨텐츠 저장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 장치에서 소정의 제2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되는 상기 컨텐츠를 소정의 제2 통신 포트를 통해 단말 장치(400)로 전송한다.
단말 장치(4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1)는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 모드 또는 오디오 신호 입출력을 위한 오디오 모드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오디오 모드는 종래에 오디오 입출력(I/O) 단자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입출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1)는 상기 모드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외장형 토글 수단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1)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출력 수단을 통해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수단일 수도 있다.
컨텐츠 수신부(402)는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컨텐츠를 소정의 제1 통신 포트를 통하여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통신 포트는 24핀 직렬 포트(serial port)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통신 포트는 상기 오디오 입출력(I/O) 단자일 수 있다. 일예로, 컨텐츠 수신부(402)는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컨텐츠 "타이타 닉.avi"를 상기 오디오 입출력(I/O) 단자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컨텐츠 출력부(403)는 상기 수신된 컨텐츠를 소정의 제1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한다. 일예로, 컨텐츠 출력부(403)는 상기 수신된 컨텐츠 "타이타닉.avi"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소정의 스피커 수단을 통해 출력할 수 있고, 상기 수신된 컨텐츠 "타이타닉.avi"에 대응하는 영상 정보를 소정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404)는 통상적으로 모뎀 DSP와 연관된 단말 장치상의 모든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세서 기능을 포함한다. 베이스밴드 신호 등 내부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DSP를 많이 구비할수록 빠른 처리 속도로 인하여 각각의 모드에 따른 동작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404)는 MSM(Mobile Station Modem), DSP(Digital Signal Processor), OMAP(Open Multimedia Application Platfor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제2 단말 장치로 소정의 컨텐츠를 전송하여 동시 재생을 요청하는 단말 장치이다.
먼저, 단계(501)에서 상기 단말 장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 수단 유지한다. 일예로, 상기 컨텐츠는 문자 정보, 정지 영상 정보, 동영상 정보, 또는 오디오 정보 등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일 수 있다.
단계(502)에서 상기 단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한다.
단계(503)에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컨텐츠 저장 수단을 참조하여,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독출한다.
단계(504)에서 상기 단말 장치는 독출된 컨텐츠를 소정의 제1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한다. 상기 제1 출력 수단은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소정의 음성 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 수단 또는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소정의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 일 수 있다
단계(505)에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출력되는 컨텐츠를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하여 동시 재생하는 동시 재생 요청의 입력을 수신한다.
단계(506)에서 상기 단말 장치는 소정의 제1 통신 포트를 통하여 상기 출력되는 컨텐츠를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통신 포트는 24핀 직렬 포트(serial port)일 수 있다. 상기 24핀 직렬 포트는, 상기 컨텐츠에 포함되는 비디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1 핀 및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2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통신 포트는 TV-Out 단자일 수도 있다.
단계(507)에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제2 단말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 모드 또는 오디오 신호 입출력을 위한 오디오 모드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을 제2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다.
단계(508)에서 상기 제2 단말 장치는 소정의 제2 통신 포트를 통하여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통신 포트는 24핀 직렬 포트(serial port)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 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통신 포트는 오디오 입출력(I/O) 단자이며, 상기 제2 단말 장치는 상기 제2 통신 포트와 연결된 소정의 비디오/오디오 IN 회로 및 오디오 I/O 회로 간의 스위칭을 수행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509)에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컨텐츠를 소정의 제2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재생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단말 장치에서 소정의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되는 컨텐츠를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동시 재생 요청을 입력 받아 상기 제2 단말 장치로 상기 컨텐츠를 전송하고, 상기 제2 단말 장치는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여 소정의 제2 출력 수단을 통하여 출력하여 단말 장치 간 동시 재생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들의 단말 장치를 통해 사용자 간에 동일한 컨텐츠를 출력함으로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컨텐츠 재생 기능을 구비한 단말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 수단;
    사용자로부터 상기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 입력 받고, 상기 컨텐츠 저장 수단을 참조하여,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독출하는 컨텐츠 관리부;
    독출된 컨텐츠를 소정의 제1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컨텐츠 출력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출력되는 컨텐츠를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하여 동시 재생하는 동시 재생 요청을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소정의 제1 통신 포트를 통하여 상기 출력되는 컨텐츠를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 장치는 소정의 제2 통신 포트를 통하여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컨텐츠를 소정의 제2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통신 포트는 24핀 직렬 포트(serial por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단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4핀 직렬 포트는, 상기 컨텐츠에 포함되는 비디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1 핀 및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2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단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포트는 TV-Out 단자이고, 상기 제2 통신 포트는 오디오 입출력(I/O) 단자이며,
    상기 제2 단말 장치는 상기 제2 통신 포트와 연결된 소정의 비디오/오디오 IN 회로 및 오디오 I/O 회로 간의 스위칭을 수행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단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2 단말 장치에 포함된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단말 장치.
  6. 컨텐츠 재생 기능을 구비한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 모드 또는 오디오 신호 입출력을 위한 오디오 모드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컨텐츠를 소정의 제1 통신 포트를 통하여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컨텐츠를 소정의 제1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컨텐츠 출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 장치는 상기 컨텐츠를 기록하는 컨텐츠 저장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 장치에서 소정의 제2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되는 상기 컨텐츠를 소정의 제2 통신 포트를 통해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단말 장치.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 또는 제2 단말 장치는 컴퓨터 단말기, 통신 단말기,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단말기, VoIP,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Megaco,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 헬드 PC(Hand-Held PC), CDMA-2000(1X, 3X)폰, WCDMA(Wideband CDMA)폰, 듀얼 밴드/듀얼 모드(Dual Band/Dual Mode)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또는 위성/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단말 장치.
  8. 컨텐츠 재생 기능을 구비한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 수단 유지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저장 수단을 참조하여,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독출하고 독출된 컨텐츠를 소정의 제1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출력되는 컨텐츠를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하여 동시 재생하는 동시 재생 요청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소정의 제1 통신 포트를 통하여 상기 출력되는 컨텐츠를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 모드 또는 오디오 신호 입출력을 위한 오디오 모드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을 제2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고,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컨텐츠를 소정의 제2 통신 포트를 통하여 수신하여 소정의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
  9. 제8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50107953A 2005-11-11 2005-11-11 컨텐츠 재생 기능을 구비한 단말 장치 및 상기 단말 장치의동작 방법 KR100646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7953A KR100646837B1 (ko) 2005-11-11 2005-11-11 컨텐츠 재생 기능을 구비한 단말 장치 및 상기 단말 장치의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7953A KR100646837B1 (ko) 2005-11-11 2005-11-11 컨텐츠 재생 기능을 구비한 단말 장치 및 상기 단말 장치의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6837B1 true KR100646837B1 (ko) 2006-11-23

Family

ID=37712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7953A KR100646837B1 (ko) 2005-11-11 2005-11-11 컨텐츠 재생 기능을 구비한 단말 장치 및 상기 단말 장치의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68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700B1 (ko) * 2006-11-08 2008-03-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음성통화중 영상블로그 서비스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시스템 및 그 실행방법
KR100860144B1 (ko) 2007-02-27 2008-09-2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모바일 패킷망을 이용한 영상 블로그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700B1 (ko) * 2006-11-08 2008-03-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음성통화중 영상블로그 서비스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시스템 및 그 실행방법
KR100860144B1 (ko) 2007-02-27 2008-09-2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모바일 패킷망을 이용한 영상 블로그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2659B2 (en) Duplex audio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accessory
RU2423006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организации мультимедийной сети с мобильным телефоном и головным телефоном
US7697947B2 (en) Method of combining audio signa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080084981A1 (en) Audio processing for improved user experience
US20120078400A1 (en) Memory Expansion Pack For Providing Content To Portable Terminal
KR100658206B1 (ko) Svd 서비스를 이용하여 통화 중 컨텐츠를 전송 및재생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100653195B1 (ko) 단말 장치 간 동시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시 재생 제공서버의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동시 재생 제공서버
JP4935385B2 (ja) コンテンツ再生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
CN110767203A (zh) 音频处理方法、装置及移动终端及存储介质
KR100646837B1 (ko) 컨텐츠 재생 기능을 구비한 단말 장치 및 상기 단말 장치의동작 방법
KR100726464B1 (ko) 통신 단말기 간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및 상기 통신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간의 연동 방법 및 상기방법을 수행하는 통신 단말기
KR20070067284A (ko)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정보 검색을 수행하는 방법 및상기 방법을 채용한 통신 단말기 및 검색 엔진 서버
US20100174825A1 (en) Internet radio systems and methods thereof
US20090074208A1 (en) Method for outputting background soun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KR20110092713A (ko)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814438B1 (ko)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추천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채용한 통신 단말기
KR200299830Y1 (ko) 핸드폰 결합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KR100605853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음악 파일의 재생 방법
KR100766815B1 (ko) Dmb 컨텐츠에 대한 프로그램의 채널 전환시 오류를관리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통신 단말기
KR20050015165A (ko) 주문형 오디오 재생장치
KR101071689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통화중 대기음을 송출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KR200392161Y1 (ko) 인터넷 폰 기능이 부가된 디지털 오디오 장치
US20010055981A1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30076041A (ko) 휴대용 오디오 기기를 위한 핸즈프리 겸용 리모콘
KR100778283B1 (ko) 소정의 스피커 수단을 통하여 출력되는 사운드의 크기를제어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