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6428B1 - 디지털 스트림의 방송등급정보를 아날로그 신호에 삽입하는디지털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스트림의 방송등급정보를 아날로그 신호에 삽입하는디지털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6428B1
KR100646428B1 KR1020050056874A KR20050056874A KR100646428B1 KR 100646428 B1 KR100646428 B1 KR 100646428B1 KR 1020050056874 A KR1020050056874 A KR 1020050056874A KR 20050056874 A KR20050056874 A KR 20050056874A KR 100646428 B1 KR100646428 B1 KR 100646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grade information
analog signal
digital
digital 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6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경철
이동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6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64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6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6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04N7/083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and the horizontal blanking interval, e.g. MAC data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04N7/0806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the signals being two or more video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아날로그 출력단자를 구비한 디지털 방송수신장치가 개시된다. 본 디지털 방송수신장치는, 디지털 스트림을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디지털 스트림 상의 소정 영역에서 방송등급정보를 검출하는 정보검출부, 디지털 스트림 상의 복수개의 영역에서 각각 소정의 방송등급정보가 검출되면, 복수개의 영역 중 하나를 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선택하는 제어부, 디지털 스트림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며, 제어부에 의해 선택된 영역에서 검출된 방송등급정보를 아날로그 신호에 삽입하는 신호처리부, 및, 방송등급정보가 삽입된 아날로그 신호를 아날로그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하는 아날로그 신호출력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디지털 스트림과 동일한 방송등급정보를 아날로그 신호에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디지털 방송수신장치, 방송등급정보, 아날로그 신호, EIT, PMT

Description

디지털 스트림의 방송등급정보를 아날로그 신호에 삽입하는 디지털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 Digital broadcast receiving device for inserting rating data of digital stream to analog signal and method thereof }
도 1은 디지털 스트림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수신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4는 디지털 스트림 상에서 방송등급정보 검출 영역을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신호수신부 120 : 정보검출부
130 : 신호처리부 140 : 아날로그 신호출력부
150 : 제어부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스트림을 수신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후 출력하는 디지털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방송 스트림 중의 소정 영역에서 방송등급정보를 검출하여 아날로그 신호에 삽입한 후, 외부장치로 출력하는 디지털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아날로그 방식으로 이루어지던 방송 시스템이 점진적으로 디지털(Digital) 방식으로 대체되고 있다. 디지털 방식의 방송 시스템은 제작, 편집, 전송, 수신 등 방송의 모든 단계를 0과 1의 디지털 신호로 처리하는 TV 방송 시스템이라 정의할 수 있다.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는 디지털 신호 처리 방식으로 데이터를 처리한다. 즉, 방송국 측에서는 전송시에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각각 압축하고 숫자로 표현(Encoding)한 후 이를 멀티플렉싱(Multiplexing)하여 하나의 디지털 스트림을 생성한 후 전송한다. 한편, 수신측, 즉, 방송수신장치에서는 디지털 스트림을 수신하여 영상, 음성을 분리하고 디코딩한 후, 방송화상을 출력하게 된다.
도 1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전송되는 디지털 스트림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의 스트림은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10), 디지털 오디오 스트림(20) 및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30)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10) 및 디지털 오디오 스트림(20)은 방송화상정보 및 음향정보를 전송하는 부분이다.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은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에 부가적인 프로그램 정보를 전송하는 부분이다.
프로그램 정보에는 해당 스트림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데이터, 프로그램 가이 드 정보, 텍스트 정보, 방송등급정보(rating data) 등이 포함된다.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에서 정한 표준에 따르면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은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섹션을 포함한다. PSIP 섹션은 STT(System Time Table), MGT(Master Guide Table), CIT(Channel Information Table), EIT(Event Information Table) 및 ETT(Extended Text Table) 등의 테이블을 포함한다.
이 중, STT는 현재 날짜와 시간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고, MGT는 전송될 테이블들의 버전과 이후 전송될 테이블들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패킷식별자를 기록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CIT는 MPEG-2 시스템의 프로그램 연결 테이블을 확장한 규격으로 채널의 이름, 캐리어 주파수등의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EIT는 방송되고 있거나 앞으로 방송될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시간대별로 안내하기 위해 사용된다. ETT는 EIT에 수록된 프로그램에 대한 자세한 부가 설명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한편,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에는 PSI(Program specification information) 섹션도 포함된다. PSI 섹션은 프로그램 사양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PSI 섹션은 PID가 PMT(Program Map Table), PAT(Program Association Table), CAT(Conditional Access Table), NIT(Network Information Table)등과 같은 테이블을 포함한다. PMT는 각 프로그램 리스트 및 부속정보를 제공하는 부분이며, PAT는 PMT의 패킷 ID(PID)를 제공하는 부분이다. CAT는 디지털 데이터 재생에 제한을 두기 위한 비트 열을 제공하는 부분이며, NIT는 방송수신지역의 물리적 네트워크 정 보를 제공하는 부분이다.
한편, 디지털 스트림을 수신하는 방송수신장치는 아날로그 방식의 외부장치나 디지털 방식의 외부장치와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아날로그 외부장치와 연결되어 사용되기 위해서는, 디지털 방송수신장치에 아날로그 출력단자가 구비되어야 한다. 디지털 방송수신장치는 디지털 스트림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변환된 신호를 아날로그 출력단자를 통해 외부 장치로 출력한다. 이 경우, EIA-608 규격에 따르면 디지털 스트림 내의 부가정보는 아날로그 신호의 XDS 영역에 기록된다.
하지만, 방송등급정보와 같은 부가정보는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10) 중에서 픽처 유저 데이터(Picture User Data : 11) 영역,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30) 중에서 EIT(31), PMT(32) 영역 등의 여러 영역에서 서로 상이하게 기록될 수 있다. 즉, 디지털 방송 제작 및 보급이 각각 다른 사업자에 의해 시행되기 때문에, 각 사업자 별로 방송등급정보를 상이하게 설정할 여지가 있다.
디지털 스트림을 그대로 이용하는 디지털 방식의 외부장치에서는 규격에 따라 설정된 영역에서 검출된 방송등급정보를 그대로 이용하기 때문에 별 문제가 없다. 하지만, 아날로그 신호에는 한번에 하나의 방송등급정보만을 삽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지털 방송수신장치와 연결된 아날로그 방식의 외부 장치의 경우에는 어느 영역에서 검출된 방송등급정보를 사용할 것인지 혼선이 생긴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경우, 아날로그 신호의 매 프레임 마다 서로 다른 방송등급정보를 보내게 되면 사용자의 혼란을 야기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디지털 방식의 외부장치에서 사용되는 방송등급정보와 동일한 방송등급정보를 아날로그 방식의 외부장치에도 제공하여야 한다는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스트림 상의 복수개의 영역에서 서로 상이한 방송등급정보가 검출되는 경우, 소정 영역을 선택하여 선택된 영역에서 검출된 방송등급정보를 아날로그 신호에 삽입함으로써, 복수개의 방송등급정보로 인한 사용자의 혼란을 방지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아날로그 출력단자를 구비한 디지털 방송수신장치는, 디지털 스트림을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상기 디지털 스트림 상의 소정 영역에서 방송등급정보를 검출하는 정보검출부, 상기 디지털 스트림 상의 복수개의 영역에서 각각 소정의 방송등급정보가 검출되면, 상기 복수개의 영역 중 하나를 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선택하는 제어부, 상기 디지털 스트림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선택된 영역에서 검출된 방송등급정보를 상기 아날로그 신호에 삽입하는 신호처리부, 및, 상기 방송등급정보가 삽입된 아날로그 신호를 상기 아날로그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하는 아날로그 신호출력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아날로그 신호의 XDS 영역에 상기 방송등급정보를 소정 주기로 반복삽입하며, 상기 아날로그 신호중에서 상기 방송등급정보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의 널데이터(NULL data)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선택된 영역에서 복수개의 방송등급정보가 검출되면, 상기 아날로그 신호의 XDS 영역에 상기 복수개의 방송등급정보를 소정 주기로 교번적으로 반복삽입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아날로그 출력단자를 구비한 디지털 방송수신장치의 디지털 방송수신방법은, 디지털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스트림 상의 소정 영역에서 방송등급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스트림 상의 복수개의 영역에서 각각 소정의 방송등급정보가 검출되면, 상기 복수개의 영역 중 하나를 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선택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스트림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영역으로부터 검출되는 방송등급정보를 상기 아날로그 신호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등급정보가 삽입된 아날로그 신호를 상기 아날로그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선택된 영역으로부터 검출되는 방송등급정보를 상기 아날로그 신호에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아날로그 신호중에서 상기 방송등급정보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의 널데이터(NULL data)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아날로그 신호의 XDS 영역에 상기 방송등급정보를 소정 주기로 반복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영역에서 복수개의 방송등급정보가 검출되는 경우라면, 상기 아날로그 신호의 XDS 영역에 상기 복수개의 방송등급정보를 소정 주기로 교번적으로 반복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수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내 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따르면, 본 디지털 방송수신장치는, 신호수신부(110), 정보검출부(120), 신호처리부(130), 아날로그 신호 출력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신호수신부(110)는 소정 채널을 선국하여, 선국된 채널을 통해 디지털 스트림을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신호수신부(110)는 튜너(미도시)를 포함한다.
정보검출부(120)는 신호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디지털 스트림을 파싱(parsing)하여 방송등급정보를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정보검출부(120)는 디지털 스트림을 다중화하여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데이터 신호로 분류한 후, 각 신호를 복호하여 방송등급정보를 검출한다. 방송등급정보는, 픽처 유저 데이터 영역, EIT, PMT 등의 영역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에서 검출될 수 있다. 각 영역에는 동일한 방송등급정보가 기록될 수도 있지만, 서로 상이한 방송등급정보가 기록될 수도 있다.
신호처리부(130)는 디지털 스트림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신호처리부(130)는 정보검출부(120)에서 검출한 방송등급정보를 아날로그 신호의 XDS(Extended Data Services) 영역에 삽입한다. 신호처리부(130)는 소정 주기마다 반복하여 방송등급정보를 삽입한다. 이에 따라,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는 외부장치가 방송등급정보에 따라 시청제한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아날로그 신호의 XDS 영역에는 캡션 데이터(caption data) 등이 기록된다. 캡션 데이터는 필드 당 2바이트(byte) 정도의 크기이다. 이 경우, 비디오 신 호 및 캡션 데이터 간의 동기를 맞추기 위해서 0x80등과 같은 널 데이터(NULL data)가 수시로 삽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XDS 영역에 방송등급정보가 삽입되면, 캡션데이터 및 비디오 신호간의 동기가 틀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송등급정보 삽입 시에는 방송등급정보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 만큼의 널 데이터를 제거함으로써, 캡션 데이터 및 비디오 신호 간의 동기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EIA-608 스펙에 따르면, 실제 방송등급정보의 크기는 총 2byte이다. 하지만, 0x01, 0x05 등과 같은 식별자(identifier), 0x0f와 같은 엔드포인트마크(end point mark), 체크섬바이트(checksumbyte)등이 첨부되면, 방송등급정보의 크기는 총 6byte가 된다. 이에 따라, 신호처리부(130)는 디지털 스트림에 실린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3개 정도의 널 데이터를 방송등급정보로 대체하는 방식으로 방송등급정보를 삽입하게 된다.
아날로그 신호출력부(140)는 신호처리부(130)에서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아날로그 출력단자를 통해 외부장치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외부장치는 모니터, TV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디지털 스트림 상의 복수개의 영역으로부터 방송등급정보를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영역에서 각각 방송등급정보가 검출되었다면, 기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소정 영역을 선택한다. 우선 순위는 방송 신호 종류나 지역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지상파 방송의 경우 EIT > PMT > 픽처 유저 데이터 영역 순으로 우선순위가 설정된다. 디지털 위성 방송의 경우 PMT > EIT > 픽처 유저 데이터 영역 순으로 우선순위 가 설정된다.
구체적으로, 디지털 지상파 방송의 경우에 EIT, PMT, 픽처 유저 데이터 영역에 모두 방송등급정보가 기록되어 있다면, 제어부(150)는 우선순위에 따라 EIT 영역을 선택한다. 이에 따라, 신호처리부(130)는 EIT 영역에 기록된 방송등급정보를 아날로그 신호에 삽입한다.
한편, 동일한 영역에도 서로 상이한 종류의 방송등급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 방송등급정보, 캐나다 방송등급정보 등이 하나의 영역에 함께 기록될 수 있다. 이 경우, 신호처리부(130)는 아날로그 신호의 XDS 영역에 각 방송등급정보를 소정 주기마다 교번적으로 반복 삽입한다. 만약, 사용자에 의해 소정 방송등급정보가 선택된 경우라면, 선택된 방송등급정보만을 소정 주기마다 반복적으로 삽입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수신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따르면, 본 디지털 방송수신방법은 디지털 스트림이 수신되면(S310), 디지털 스트림을 파싱하여 방송등급정보를 검출한다(S320).
이 경우, 복수개의 영역으로부터 방송등급정보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30). 복수개의 영역에서 검출되었다면, 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소정 영역을 선택한다(S340). 이에 따라, 선택된 영역에서 검출된 방송등급정보를 아날로그 신호에 삽입한 후(S350), 아날로그 출력 단자를 통해 외부장치로 출력한다(S360).
한편, 단일 영역으로부터 방송등급정보가 검출되었다면 검출된 방송등급정보 를 아날로그 신호에 삽입한 후(S370), 아날로그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한다(S370).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영역에서 복수개의 방송등급정보가 검출된 경우라면, 각 방송등급정보를 소정 주기로 교번적으로 반복 삽입한다.
도 4는 방송등급정보가 검출된 영역 중에서 우선순위에 따라 소정 영역을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따르면, 픽처 유저 데이터 영역에서만 방송등급정보가 검출된 경우(S410), 픽처 유저 데이터 영역을 선택한다(S420). 반면에, PMT 또는 EIT 영역에서만 방송등급정보가 검출된 경우라면(S430), PMT 또는 EIT 영역을 선택한다(S440). 이 경우, 디지털 지상파 방송의 경우에는 EIT를 선택하고, 디지털 위성 방송의 경우에는 PMT를 선택한다. 한편, 픽처 유저 데이터 영역, PMT, EIT 영역 모두에서 방송등급정보가 검출되었거나, PMT 및 EIT 중 하나와 픽처 유저 데이터 영역에서 방송등급정보가 검출된 경우라면, 우선순위에 따라 영역을 선택한다(S450). 우선순위는 방송수신장치가 사용되는 지역이나, 방송 종류에 따라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스트림 중 복수개의 영역으로부터 방송등급정보가 검출된 경우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즉, 기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된 영역에서 검출되는 방송등급정보를 아날로그 신호에 삽입한다. 이에 따라, 아날로그 방식의 외부장치가 디지털 스트림에서 사용되는 방송등급정보와 동일한 방송등급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혼란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5)

  1. 아날로그 출력단자를 구비한 디지털 방송수신장치에 있어서,
    디지털 스트림을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상기 디지털 스트림 상의 소정 영역에서 방송등급정보를 검출하는 정보검출부;
    상기 디지털 스트림 상의 복수개의 영역에서 각각 소정의 방송등급정보가 검출되면, 상기 복수개의 영역 중 하나를 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선택하는 제어부;
    상기 디지털 스트림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선택된 영역에서 검출된 방송등급정보를 상기 아날로그 신호에 삽입하는 신호처리부; 및,
    상기 방송등급정보가 삽입된 아날로그 신호를 상기 아날로그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하는 아날로그 신호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수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아날로그 신호의 XDS 영역에 상기 방송등급정보를 소정 주기로 반복삽입하며, 상기 아날로그 신호중에서 상기 방송등급정보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의 널데이터(NULL data)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수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선택된 영역에서 복수개의 방송등급정보가 검출되면, 상기 아날로그 신호의 XDS 영역에 상기 복수개의 방송등급정보를 소정 주기로 교번적으로 반복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수신장치.
  4. 아날로그 출력단자를 구비한 디지털 방송수신장치의 디지털 방송수신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스트림 상의 소정 영역에서 방송등급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스트림 상의 복수개의 영역에서 각각 소정의 방송등급정보가 검출되면, 상기 복수개의 영역 중 하나를 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선택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스트림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영역으로부터 검출되는 방송등급정보를 상기 아날로그 신호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등급정보가 삽입된 아날로그 신호를 상기 아날로그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수신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영역으로부터 검출되는 방송등급정보를 상기 아날로그 신호에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아날로그 신호중에서 상기 방송등급정보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의 널데이터(NULL data)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아날로그 신호의 XDS 영역에 상기 방송등급정보를 소정 주기로 반복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영역에서 복수개의 방송등급정보가 검출되는 경우라면, 상기 아날로그 신호의 XDS 영역에 상기 복수개의 방송등급정보를 소정 주기로 교번적으로 반복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수신방법.
KR1020050056874A 2005-06-29 2005-06-29 디지털 스트림의 방송등급정보를 아날로그 신호에 삽입하는디지털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KR100646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6874A KR100646428B1 (ko) 2005-06-29 2005-06-29 디지털 스트림의 방송등급정보를 아날로그 신호에 삽입하는디지털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6874A KR100646428B1 (ko) 2005-06-29 2005-06-29 디지털 스트림의 방송등급정보를 아날로그 신호에 삽입하는디지털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6428B1 true KR100646428B1 (ko) 2006-11-23

Family

ID=37712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6874A KR100646428B1 (ko) 2005-06-29 2005-06-29 디지털 스트림의 방송등급정보를 아날로그 신호에 삽입하는디지털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64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1606A (ja) 1998-06-22 2000-01-14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提供媒体
KR20000003787A (ko) * 1998-06-29 2000-01-25 전주범 애로틱 프로그램 시청 록 방법
KR20000014069A (ko) * 1998-08-17 2000-03-06 윤종용 비디오 신호의 시청 제한 방법 및 그에 적합한 장치
KR20000028171A (ko) * 1998-10-30 2000-05-25 전주범 텔레비젼에서의 성인 방송 시청 제한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1606A (ja) 1998-06-22 2000-01-14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提供媒体
KR20000003787A (ko) * 1998-06-29 2000-01-25 전주범 애로틱 프로그램 시청 록 방법
KR20000014069A (ko) * 1998-08-17 2000-03-06 윤종용 비디오 신호의 시청 제한 방법 및 그에 적합한 장치
KR20000028171A (ko) * 1998-10-30 2000-05-25 전주범 텔레비젼에서의 성인 방송 시청 제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8249B1 (ko) 가상 채널 테이블 데이터 구조 및 부가 정보 송수신 방법
KR20140102083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채널 정보 갱신 방법
CA2591028A1 (en) Digital television receiver and method for processing broadcast signal
KR100646428B1 (ko) 디지털 스트림의 방송등급정보를 아날로그 신호에 삽입하는디지털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KR101341454B1 (ko) 디지털 티브이 수신기의 자동 채널 검색 방법 및 장치
KR20080054181A (ko)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방법
EP3026902A1 (en) Broadcasting recep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60241906A1 (en) Broadcasting recep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KR100962943B1 (ko) 방송 신호 수신기 및 그 처리 방법
KR100978505B1 (ko) 방송 신호 수신기 및 그 처리 방법
KR100978504B1 (ko) 방송 신호 수신기 및 그 처리 방법
KR100900424B1 (ko)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기 및 그 방법
KR100900427B1 (ko)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기 및 그 방법
KR100962942B1 (ko) 방송 신호 수신기 및 그 처리 방법
KR100962937B1 (ko) 방송 신호 수신기 및 그 처리 방법
KR100962941B1 (ko) 방송 신호 수신기 및 그 처리 방법
KR100962940B1 (ko) 방송 신호 수신기 및 그 처리 방법
KR100900426B1 (ko)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기 및 그 방법
KR100962939B1 (ko) 방송 신호 수신기 및 그 처리 방법
KR100900421B1 (ko)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기 및 그 방법
KR100900425B1 (ko)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기 및 그 방법
KR100962938B1 (ko) 방송 신호 수신기 및 그 처리 방법
KR100900428B1 (ko)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기 및 그 방법
KR100900422B1 (ko)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기 및 그 방법
US20070252740A1 (en) Digital television receiver and method for processing a digital television sig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