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5383B1 - 직물 웨브 재료를 연화시키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직물 웨브 재료를 연화시키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5383B1
KR100645383B1 KR1020027000284A KR20027000284A KR100645383B1 KR 100645383 B1 KR100645383 B1 KR 100645383B1 KR 1020027000284 A KR1020027000284 A KR 1020027000284A KR 20027000284 A KR20027000284 A KR 20027000284A KR 100645383 B1 KR100645383 B1 KR 100645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physical contact
fabric web
fabric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0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2165A (ko
Inventor
프랭크 카탈로
Original Assignee
프랭크 카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랭크 카탈로 filed Critical 프랭크 카탈로
Priority claimed from PCT/US1999/024091 external-priority patent/WO2001029303A1/en
Publication of KR20020052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2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5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5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9/00Breaking or softening of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웨브가 미리 선택된 위치에 국소 텐션을 기계적으로 도입하여, 부직직물, 종이, 합성섬유 및/또는 첨가제를 가진 종이, 편물 직물, 및 기타 웨브의 형태에 부드러운 촉감을 부여하기 위한 장치. 웨브는 쌍의 닙 롤러 및/또는 브레이커 바일 수 있는 하나이상의 접촉 부재와 연속적 마찰 맞물림하며 바람직하게 전진된다. 닙 롤러 쌍은 그 사이로 통과되는 웨브를 연한 롤러내에서 변형 결합하도록 하나의 불규칙 표면 롤러를 포함한다. 브레이커 바들은 평행이고, 톱니 모양 또는 곡선 에지를 구비하며 그리고 웨브는 브레이커 바들의 위 또는 아래고 통과 될 수 있다. 닙 롤러 쌍과 브레이커 바들의 다양한 조합이 제공되며 그리고 바람직하게 다양한 구동이 채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직물 웨브 재료를 연화시키기 위한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SOFTENING A FABRIC WEB MATERIAL}
본 출원은 지금은 포기된 1997년 12월 19일자 미국특허출원 08/994469의 일부계속출원인 미국특허출원 09/075741호(1998년 5월 1일자로 출원 계류 중)의 일부계속출원이다.
본 발명은 웨브상의 미리 지정된 위치에서 국소 텐션(tension)을 만들어 웨브 재료를 연화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부직(non-wovens), 종이, 합성 섬유 및/또는 첨가제를 가진 종이, 편물(printed knit) 등과 같은 직물 웨브 재료의 특정 타입은 일반적으로 거친 촉감 또는 감촉을 갖는다. 이런 직물의 제조자 와 마감자는 직물을 연화시키기 위하여 노력하며 그리고 화학적 처리, 컴팩팅(compacting) 그리고 때로 웨브의 약한 건조(relaxed dry)후의 세척을 함으로써 드레이프(drape)를 개선하도록 노력한다. 화학적 처리는 비용이 많이 들고 그리고 실제 장치에 추가로 건조 장치를 필요로 한다. 컴팩팅은 직물 웨브 재료의 중량 및 비용을 증가시킨다. 직물 웨브를 세척 및 건조하는 것은 또한 비용이 많이든다.
인쇄된 직포(printed woven fabric)는 재료가 버튼 헤드 노브된(knobbed) 표 면을 가진 몇개의 롤러와 접촉하여 통과되는 동시에 세로 방향 텐션이 가하여짐으로써 연화되어져 왔다. 이 공정은 재료에 국소적 텐션을 가하여 노브들이 직물로 돌출하고 직물을 연신시켜 인쇄된 안료 면을 파손시키며 더 연화된 직물을 만들도록 하는 것이다. 이런 형태의 기계는 본 기술분야에서 "버튼 브레이커(Button Breaker)"라 불린다. 버튼 브레이커가 직포에 잘 작용하는 반면에, 그것은 부직포, 종이, 합성 섬유 및/또는 첨가제를 가진 종이, 및 편물등과 같은 다른 재료를, 그것들을 실질적으로 손상시킬 정도로, 찌그러뜨린다. 통상적으로 편직물에 세로방향 텐션을 가하는 것은 직물을 사용하는데 바람직하지 않게 직물을 늘이고 그리고 그 에지(edge)를 말거나 감는 것이다.
본 발명의 요약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감촉 또는 촉감이 매우 바람직한 직물 웨브 재료에 부드러운 감촉 또는 촉감을 부여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가이며 효율적인 방법으로 부드럽고 바람직한 촉감을 성취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직물 웨브 재료, 특히 부직, 종이, 합성 섬유 및/또는 첨가제를 가진 종이, 및 편물을, 연화시키는데 과도한 세로방향(longitudinal) 텐션을 가하지 않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직물 웨브 재료, 특히 부직, 종이, 합성 섬유 및/또는 첨가제를 가진 종이, 및 편물을, 직물 웨브의 중량, 형태 또는 크기의 변화없이 연화시키고 그리고 동시에 직물 웨브에 부드러운 감촉이나 촉감을 주 는 저가의 기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화되는 직물 웨브의 다양한 특별 요구에 적용하기 위한 장치의 배치 및 기술에 대하여 다양한 선택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본 장치를 통해서 직물 웨브 재료의 이동을 허용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그리고 직물 웨브가 그렇게 이동하는 동안 본 장치는 직물 웨브에 분포된 다양한 미리 지정된 위치에서 직물 웨브에 국소 텐션을 부여한다.
본 발명의 저술된 그리고 다른 목적 및 장점은 이하에서 좀 더 명확하게 나타난다.
본 발명의 다른 중요한 목적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주어진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며, 같은 번호는 같은 부품들을 나타낸다.
도1은 연화되는 직물 재료에 작용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이다.
도3은 연한 고무 커버 롤러와 협력 작용하는 노브된 롤러의 단순화된 절단 부분도 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를 허용하는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5는 평행(straight) 에지(edge)를 가진 도1로부터 브레이커 바(breaker bar)의 고립되고 확대되고 절단된 등측도이다.
도6은 버튼(23A), 곡선 에지(23B), 및 톱니모양 형(23C)을 구비한 브레이커 바를 도시한다.
도7은 웨브에 습기, 증기 및/또는 냉각 물질을 가하기 위한 분무박스를 구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8은 노브된 롤러를 대신하거나 추가로 사용될 수 있는 불규칙 형상 롤러의 홈이 있는 형태(grooved version)의 상세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부드럽고 바람직한 촉감을 달성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가 나타나있다. 도2에서, 고무 또는 유사한 롤러(12)를 가압하는 상대적으로 경한 노브된 롤러(10)를 구비한 다수의 롤러를 포함하는 하나의 장치가 도시된다. 버튼 롤러(10)의 노브들(10a)은 연한 롤러(12)를 가압하며, 처리되는 직물 웨브(15)에 실질적으로 세로방향 텐션을 가함이 없이 다양하게 미리 선택된 위치에서 국부적으로 웨브를 펴고 그리고 직물의 부드러운 촉감을 만든다. 도8에서와 유사하게, 마루(10b)는 연한 롤러(12)를 가압한다.
본 장치의 또 다른 형태는 도 1, 5 및 6에 도시되었고 여기서 직물 웨브(15)는 상부 및 하부 롤(20,21)을 통해 그리고 도 5에 더 상세하게 도시된 브레이커 바(23) 위로 통과하다. 이 장치는 웨브에 국소 텐션을 또한 부여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 웨브(15)는 그것의 상부측으로서 제1 측부(15A) 및 그것의 하부측으로서 제2 측부(15B)를 가진다. 도 1에 유사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웨브(15)가 한 쌍의 롤러(20,21)를 통과한 후 하나의 바(23)의 상부를 지나고 다른 바(23)의 하부 아래로 주행하도록, 직물은 브레이커 바(23)를 조정하여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커 바(23)의 에지는 평행형(straight)(23), 버튼형(buttoned)(23A), 톱니형(serrated)(23C), 곡선형(curvilinear)(23B) 또는 이들의 결합형일 수 있다. 가변 속력 구동기(30)가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선택된 롤러를 회전시키도록 배치되어, 한 쌍 이상의 롤러들(20,21)을 통해서 그리고 바람직한 수의 브레이커 바들(23)의 위 또는 아래로 웨브를 이동시킨다.
브레이커 바들(23) 사이에 웨브를 위치시키는 다양한 배치는, 도 1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되었으며, 연성 효과의 바람직한 웨브를 만들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런 배치는 특히 도 4에 예로서 잘 도시되었는데, 웨브 재료는 한 쌍의 롤러(40)를 통과하고 나서 계속적으로 제1 물리적 접촉부재인 브레이커 바(35)의 위로 지난 다음 제2 물리적 접촉부재인 다음 브레이커 바(35B)의 아래를 지나며, 다른 한 쌍의 롤러(41) 등을 통해서 계속된다. 닙 롤러들 사이로 그리고 또한 브레이커 바 위 및/또는 아래로 모두 웨브를 주행시킬 필요는 없다. 하나 이상의 브레이커 바들(23,35,35B)의 위와 아래로 연속적으로 재료를 단지 통과시킴에 의해 부직 웨브는 때때로 상당히 연화되는데, 이 경우 닙 롤러들은 전체 웨브 텐션을 단순히 조절한다. 상황에 따라, 도 3 및 도 8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딱딱한 노브(10a) 또는 마루들(ridges)(10b)이 제공되는데, 고무 롤러(12)는 노브(10a) 또는 마루들(10b)에 의해 국소적으로 가압되어 옴폭 들어간다. 고무 롤러(12)는 일반적으로 약 15의 경도계 경도를 가진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규칙 면이며 상대적으로 딱딱한 롤러는 보통 금 속일 수 있다. 홈들은 불규칙 표면을 형성하도록 도시된다. 홈들은 전형적으로 1/2 인치의 파장 길이를 가지며 각 마루는 1/4인치 폭을 가지며 인접 파곡(trough)은 각각 1/4 인치이다. 예를 들어 다수의 쌍의 닙 롤러가 사용되면, 직물 웨브를 폭에서 좀더 고르게 처리하도록 제1 닙은 전형적으로 1/4 인치이며, 제2 닙은 3/16 인치이고, 그리고 제3닙은 1/8인치이다. 많은 다른 홈 형태와 형상은 또한 본 발명의 가르침 내에서 적용될 수 있다.
도7에서 투입 박스(injection box)는 웨브의 연화를 돕도록 웨브에 습기, 열 및/또는 냉각제를 가하기 위하여 노즐을 구비하여 도시되었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했으므로, 당업자가 본 발명의 게재한 영역에서 벗어남이 없이 같은 변형과 개량을 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영역은 다음의 청구항들로부터 더 상세하게 나타날 수 있다.

Claims (65)

  1. 직물 재료의 웨브에 부드러운 촉감을 부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웨브가 통과되는 한 쌍의 닙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쌍의 닙 롤러가 그 위에 돌출부를 가지는 하나의 불규칙 표면 롤러, 및 그 내부에 상기 돌출부의 압력하에서 국소적으로 옴폭 들어갈 수 있도록 구성된 짝이 되는 상대적으로 연한 롤러를 포함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웨브에 습기를 도입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웨브를 가열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웨브를 냉각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쌍의 상기 닙 롤러를 더 포함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닙 롤러중 미리선택된 것을 구동하기 위해 배치된 가변 속도 구동기(variable speed drive)를 더 포함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웨브에 반복되는 장식 패턴으로 불규칙 표면 롤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활모양(arcuate)의 표면이 제공된 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불규칙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마루(ridg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마루가 웨브의 일반 주행 경로에 대하여 세로방향으로(longitudinally)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 측부 및 제1 측부에 대향하는 제2 측부를 가진 직물 웨브에 부드러운 촉감을 부여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1 물리적 접촉부재 및 제2 물리적 접촉부재; 및
    제1 측부가 제1물리적 접촉 부재와 연속적 마찰 맞물림하고 제2 측부가 제2 물리적 접촉부재와 연속적 마찰 맞물리게 하여 직물 웨브를 전진시키는 수단;
    을 포함하며, 국소 텐션이 직물에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각각의 물리적 접촉부재들은 직물 웨브가 연속적 마찰 맞물림으로 상부로 통과되는 에지를 가진 브레이커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웨브를 전진시키기 위한 수단은 제2 물리적 접촉부재와 연속적 마찰 맞물림하는 웨브의 제2 측부를 통과시키기 전에 제1 물리적 접촉부재와 연속적 마찰 맞물림하는 웨브의 제1 측부를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물리적 접촉부재들 중 하나 이상이 고정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물리적 접촉부재들 모두가 고정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각각의 물리적 접촉부재들은 연속적 마찰 맞물림을 직물 웨브의 관련 측부에 제공하기 위해서 평행 에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각각의 물리적 접촉부재들은 웨브의 일반 주행경로를 따라서 다른 브레이커 바로부터 이격된 브레이커 바를 포함하며,
    브레이커 바들 중 하나의 평행 에지는 직물 웨브의 일반 주행경로에 수직인 제1 방향으로 배치되고, 브레이커 바들 중 다른 것의 평행 에지는 직물 웨브의 일반 주행경로에 수직이며 상기 제1 방향에 반대인 제2 방향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각각의 물리적 접촉부재들은 직물 웨브의 관련 측부에 연속적 마찰 맞물림을 제공하기 위하여 톱니모양 에지를 가지고,
    각각의 물리적 접촉부재들은 직물 웨브의 일반 주행경로를 따라서 배치된 브레이커 바를 포함하고, 각각의 브레이커 바들은 직물 웨브의 일반 주행경로를 따라서 다른 브레이커 바로부터 이격되며,
    브레이커 바들 중 하나의 톱니모양 에지는 직물 웨브의 일반 주행경로에 수직인 제1 방향에 배치되고, 브레이커 바들 중 다른 것의 톱니모양 에지는 직물 웨브의 일반 주행경로에 수직이며 상기 제1 방향에 반대인 제2 방향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각각의 물리적 접촉부재들은 직물 웨브의 관련 측부에 연속적 마찰 맞물림을 제공하기 위하여 곡선 에지를 가지고,
    각각의 물리적 접촉부재들은 직물 웨브의 일반 주행경로를 따라서 배치된 브레이커 바를 포함하고, 각각의 브레이커 바들은 직물 웨브의 일반 주행경로를 따라서 다른 브레이커 바로부터 이격되며,
    브레이커 바들 중 하나의 곡선 에지는 직물 웨브의 일반 주행경로에 수직인 제1 방향에 배치되고, 브레이커 바들 중 다른 것의 곡선 에지는 직물 웨브의 일반 주행경로에 수직이며 상기 제1 방향에 반대인 제2 방향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12항에 있어서,
    물리적 접촉수단들 중 하나가 한 쌍 이상의 닙 롤러를 포함하고,
    제1 브레이커 바가 제1 평행 에지를 구비하고, 제2 브레이커 바가 제2 평행 에지를 구비하며,
    직물 웨브를 상기 한 쌍 이상의 닙 롤러와 연속적으로 접촉하게 통과시키는 수단이 각각의 브레이커 바들의 평행 에지와 연속적으로 마찰 접촉하게 브레이크 바들 중 하나 위로 그리고 다른 하나 아래로 통과시키도록 브레이커 바들을 지나서 연속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편물, 부직 직물, 종이 및 합성 섬유 및/또는 첨가제를 가진 종이로 이루어 진 그룹에서 선택된 직물 재료의 웨브에 부드러운 촉감을 부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직물 웨브가 통과되는 한 쌍의 닙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쌍의 닙 롤러가 그 위에 돌출부를 가지는 하나의 불규칙 표면 롤러, 및 그 내부에 상기 돌출부의 압력하에서 국소적으로 옴폭 들어갈 수 있도록 구성된 짝이 되는 상대적으로 연한 롤러를 포함하는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다수의 쌍의 닙 롤러를 더 포함하는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습기를 웨브에 도입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웨브를 가열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26. 제22항에 있어서, 웨브를 냉각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27. 제22항에 있어서, 닙 롤러중 미리 선택된 것을 구동하도록 배치된 가변 속도 구동기를 더 포함하는 장치.
  28.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웨브에 반복되는 장식적 패턴으로 불규칙 표면 롤러에 배치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상기 돌출부가 웨브에 반복되는 장식 패턴으로서 불규칙 표면 롤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활모양(arcuate) 표면이 제공된 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가 불규칙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마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2.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마루가 웨브의 일반 주행 경로에 대하여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3. 부직물, 종이, 합성 섬유를 갖는 종이, 및 편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제1 측부 및 제1 측부에 대향하는 제2 측부를 가진 직물 웨브에 부드러운 촉감을 부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제1 물리적 접촉부재 및 제2 물리적 접촉부재; 및
    제1 측부가 제1 물리적 접촉부재와 연속적 마찰 맞물리고 제2 측부가 제2 물리적 접촉부재와 연속적 마찰 맞물리게 하여 직물 웨브를 전진시키는 수단;
    을 포함하고, 국소 텐션이 직물에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습기를 웨브에 도입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35. 제33항에 있어서, 웨브에 열을 도입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36. 제33항에 있어서, 웨브를 냉각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37. 제33항에 있어서, 각각의 물리적 접촉부재들은 직물 웨브가 마찰 맞물림으로 통과하는 에지를 가진 브레이커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8. 제33항에 있어서, 직물 웨브를 전진시키기 위한 수단은 제1 물리적 접촉부재와 연속적 마찰 맞물림하는 웨브의 제1 측부를 통과시킨 후 제2 물리적 접촉부재와 연속적 마찰 맞물림하는 제2 측부를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물리적 접촉부재들 중 하나 이상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0. 제39항에 있어서, 물리적 접촉부재 모두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각각의 물리적 접촉부재들은 직물 웨브의 관련 측부와 연속적 마찰 맞물림하는 평행 에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2. 제41항에 있어서,
    각각의 물리적 접촉부재들은 직물 웨브의 일반 주행경로를 따라서 다른 브레이커 바로부터 이격된 브레이커 바를 포함하고,
    브레이커 바들 중 하나의 평행 에지는 직물 웨브의 일반 주행경로에 수직인 제1 방향으로 배치되고, 브레이커 바들 중 다른 것의 평행 에지는 직물 웨브의 일반 주행경로에 또한 수직이며 상기 제1 방향에 반대인 제2 방향에 배치되는 장치.
  43. 제40항에 있어서,
    각각의 물리적 접촉부재들은 직물 웨브의 관련 측부와 연속적 마찰 맞물림하는 톱니모양 에지를 구비하고,
    브레이커 바들 중 하나의 톱니모양 에지는 직물 웨브의 일반 주행경로에 수직인 제1 방향에 배치되고, 브레이커 바들 중 다른 것의 톱니모양 에지는 직물 웨브의 일반 주행경로에 수직이며 상기 제1 방향에 반대인 제2 방향에 배치되는 장치.
  44. 제37항에 있어서,
    각각의 물리적 접촉부재들은 직물 웨브의 관련 측부와 연속적 마찰 맞물림하는 곡선 에지를 구비하고,
    브레이커 바들 중 하나의 곡선 에지는 직물 웨브의 일반 주행경로에 수직인 제1 방향에 배치되고, 브레이커 바들 중 다른 것의 곡선 에지는 직물 웨브의 일반 주행경로에 수직이며 상기 제1 방향에 반대인 제2 방향에 배치되는 장치.
  45. 제33항에 있어서,
    물리적 접촉부재들 중 하나가 한 쌍 이상의 닙 롤러를 포함하고,
    물리적 접촉수단들 중 다른 하나는 제1 평행 에지를 구비한 제1 브레이커 바와 제2 평행 에지를 구비한 제2 브레이커 바를 포함하며,
    직물 웨브를 상기 한 쌍 이상의 닙 롤러와 연속적으로 접촉하게 통과시키는 수단이 각각의 브레이커 바들의 평행 에지들 모두와 연속적으로 마찰 접촉하게 브레이크 바들 중 제1 평행 에지 위로 그리고 제2 평행 에지 아래로 통과시키도록 브레이커 바들을 지나서 연속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6. 재료의 웨브에 부드러운 촉감을 부여하는 방법에 있어서,
    그 위에 돌출부를 갖는 하나의 불규칙 표면 롤러와 그 내부에 상기 돌출부의 압력하에서 국소적으로 옴폭 들어갈 수 있도록 구성된 짝이 되는 상대적으로 연한 롤러를 포함하는 한 쌍의 닙 롤러를 통하여 웨브를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국소 텐션이 웨브에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7. 제46항에 있어서, 웨브에 습기를 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8. 제46항에 있어서, 웨브에 가열을 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9. 제46항에 있어서, 웨브를 냉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0. 제46항에 있어서, 다수의 닙 롤러 쌍을 통하여 웨브를 통과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1.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중 미리 선택된 롤러를 구동하도록 배치된 가변 속도 구동기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2. 제46항에 있어서, 위에 반복되는 장식 디자인을 웨브에 부여하도록 패턴의 불규칙 표면에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3.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로서 활 모양 표면을 가진 노브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4.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 불규칙 형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5.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로서 마루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6. 제55항에 있어서, 웨브의 일반 주행 경로에 대하여 세로 방향으로 마루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7. 제1 측부 및 제1 측부에 대항하는 제2 측부를 가진 직물 웨브에 부드러운 촉감을 부여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물리적 접촉부재 및 제2 물리적 접촉부재를 제공하는 단계; 및
    제1 측부가 제1 물리적 접촉부재와 연속적 마찰 맞물리고 제2 측부가 제2물리적 접촉부재와 연속적 마찰 맞물리게 하여 직물 웨브를 전진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며, 국소 텐션이 직물 웨브에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8. 제57항에 있어서, 웨브에 습기를 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9. 제57항에 있어서, 웨브에 가열을 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0. 제57항에 있어서, 웨브를 냉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1. 제57항에 있어서, 직물 웨브의 제1 측부가 제1 물리적 접촉부재와 연속적 마찰 맞물림으로 통과하고 직물 웨브의 제2 측부가 제2 물리적 접촉부재와 연속적 마찰 맞물림으로 통과하도록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2. 제57항에 있어서, 물리적 접촉부재들 중 하나 이상이 고정되도록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3. 제57항에 있어서, 물리적 접촉부재들 모두가 고정되도록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4. 제63항에 있어서, 각각의 물리적 접촉부재들에 직물 웨브의 관련 측부와 연속적 마찰 맞물리게 평행 에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5. 제64항에 있어서,
    직물 웨브의 일반 주행경로를 따라서 브레이크 바들이 서로 이격되게 각각의 물리적 접촉부재들에 브레이커 바를 제공하는 단계; 및
    브레이커 바들 중 하나의 에지를 직물 웨브의 일반 주행경로에 수직에 제1 방향으로, 그리고 다른 브레이커 바의 에지를 직물 웨브의 일반 주행경로에 수직이며 상기 제1 방향에 반대인 제2 방향으로 배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027000284A 1999-10-15 1999-10-15 직물 웨브 재료를 연화시키기 위한 장치 KR1006453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1999/024091 WO2001029303A1 (en) 1997-12-19 1999-10-15 Apparatus and method for softening a fabric web materi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2165A KR20020052165A (ko) 2002-07-02
KR100645383B1 true KR100645383B1 (ko) 2006-11-14

Family

ID=69407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0284A KR100645383B1 (ko) 1999-10-15 1999-10-15 직물 웨브 재료를 연화시키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538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00000818B1 (ko) * 1976-05-29 1980-08-21 에드윈 엠 버로오 웨브 처리용 닙 로울
US5167054A (en) 1991-08-20 1992-12-01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Fabric softening apparatus and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00000818B1 (ko) * 1976-05-29 1980-08-21 에드윈 엠 버로오 웨브 처리용 닙 로울
US5167054A (en) 1991-08-20 1992-12-01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Fabric softening apparatu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2165A (ko) 2002-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39527C (zh) 纤维织物材料的软化装置和方法
US3427376A (en) Softening nonwoven fabrics
US301514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web materials, such as fabrics
US4680873A (en) Method for controlling shrinkage and/or stretching of a paper web in the drying section of paper machine, in the form of a cylinder drier and/or fan dryer, transversely to the feed direction of the web and arrangements for carrying out the method
CA2368996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oftening a fabric web material
US3408709A (en) Method for softening fibrous sheet material
US20050015950A1 (en) Method and transparent patterning of a material web and device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US2084367A (en) Apparatus for treating cloth
US4339856A (en) Apparatus for continuous untwisting and crimping of a cloth
US4409709A (en) Apparatus for continuous untwisting and crimping of a cloth
EP014452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compressive treatment of fabric
KR100645383B1 (ko) 직물 웨브 재료를 연화시키기 위한 장치
US5966785A (en) Apparatus for softening a fabric web material
US3641635A (en) Pile-fabric-finishing methods and apparatus
US4084026A (en) Method of embossing textile material
KR860000676B1 (ko) 가죽의 건조프레스
WO1991014817A1 (en) Compressive shrinking apparatus utilizing an improved impact blade
US5412853A (en) Apparatus for finishing a fabric web
US4030320A (en) Decatizing of fabrics
US6061885A (en) Press roll system
AU200420018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oftening a Fabric Web Material
MXPA0101115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oftening a fabric web material
US5704102A (en) Apparatus for finishing a fabric web
US3002251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compressive shrinking of fabrics
GB2116593A (en) Microcreping with surface diversion retar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