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5147B1 - Method for controlling home network system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home network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5147B1
KR100645147B1 KR1020050014623A KR20050014623A KR100645147B1 KR 100645147 B1 KR100645147 B1 KR 100645147B1 KR 1020050014623 A KR1020050014623 A KR 1020050014623A KR 20050014623 A KR20050014623 A KR 20050014623A KR 100645147 B1 KR100645147 B1 KR 100645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t
control
home gateway
home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46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93552A (en
Inventor
김성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50014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5147B1/en
Publication of KR20060093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35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5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51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4Exchanging control software or macros for 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2Interconnection of the control functionalities between home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3Protocol definition or spec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봇과 홈 게이트웨이 간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기술, 보다 상세하게는 로봇과 홈 게이트웨이 간의 접속 프로토콜을 선정 및 구축하기 위한 것으로, TCP/IP 기반의 XML-RPC를 통신 매개체로 이용하여 통신에 필요한 세 가지 프로토콜(protocol)을 정의함에 있다. 세 가지 프로토콜은 디스커버리(discovery) 프로토콜, 메시지(message) 프로토콜, 컨트롤 유닛(control unit)으로 정의한다. 디스커버리 프로토콜은 기기 상호 간의 발견을 목적으로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Zeroconf(zero configuration)를 도입하여 Zeroconf의 적용범위를 정의하였다. 메시지 프로토콜은 기기 상호 간의 제어 및 모니터링을 위한 것으로 이벤트 발생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네 가지 패킷 형태(써머리(summary), 모니터(monitor), 컨트롤(control), 이벤트(event))를 정의하였다. 컨트롤 유닛은 각 기기를 자기 기술적인 메타 정보에 기반하여 표현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액션(action)과 상태변수(state variable)로 구성하였다. 정의된 로봇과 홈 게이트웨이 간의 접속 프로토콜을 구현함으로써, 로봇을 통해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으며 내/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로봇을 제어 및 모니터링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lect and establish a home network system control technology between a robot and a home gateway, and more particularly, a connection protocol between a robot and a home gateway, and is required for communication using XML / RPC based on TCP / IP as a communication medium. It is in defining three protocols. Three protocols are defined: discovery protocol, message protocol, and control unit. The discovery protocol defines the scope of Zeroconf by introducing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IETF) Zeroconf (zero configuration) for the purpose of mutual discovery. The message protocol is for control and monitoring between devices, and defines four packet types (summary, monitor, control, and event) to deliver data when an event occurs. The control unit consists of actions and state variables that allow each device to be represented and used based on self-descriptive meta information. By implementing the connection protocol between the defined robot and the home gateway, the home appliance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robot and the robot can be controlled and monitored through the internal / external network.

Description

로봇과 홈 게이트웨이 간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HOME NETWORK SYSTEM}How to control home network system between robot and home gateway {METHOD FOR CONTROLLING HOME NETWORK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of a hom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현되는 로봇과 홈 게이트웨이 간의 시스템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2 is a view showing a system operation process between a robot and a home gateway implement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현되는 웹 클라이언트, 홈 게이트웨이, 로봇간의 시스템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operation process between a web client, a home gateway, and a robot implement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적용되는 메시지 프로토콜의 패킷 형태의 예시도.4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packet form of a message protocol applied to a hom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홈 게이트웨이 10, 20 : 디스커버리 프로토콜100: home gateway 10, 20: discovery protocol

12 : 원격 제어 서버 14, 24 : 제어 세션12: remote control server 14, 24: control session

16/1∼16/n : 가전기기 제어부 102/1∼102/n : 가전기기16/1 to 16 / n: home appliance control unit 102/1 to 102 / n: home appliance

200 : 로봇 인터페이스 22 : 원격 제어 클라이언트200: robot interface 22: remote control client

26 : 로봇 제어부 202 : 로봇26: robot control unit 202: robot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로봇과 홈 게이트웨이 간의 통신 프로토콜을 구현하기에 적합한 로봇과 홈 게이트웨이 간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home network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controlling a home network system between a robot and a home gateway suitable for implementing a communication protocol between the robot and the home gateway.

최근 들어, '가정'을 시장 중심에 두는 홈 네트워크와 로봇 관련 사업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Recently,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home networks and robot-related businesses that focus on 'homes'.

홈 네트워크란 가정의 모든 통신과 전자기기를 연결해 집안과 외부에서 모두 통제하는 것을 뜻한다. 연결 대상은 TV, PC, 오디오, 전화, 팩스, 프린터 등 영상·음향·정보가전 뿐만 아니라 냉장고 세탁기 도어-록 냉난방장치 등 생활가전까지 다양하다.Home network means connecting all the communication and electronic devices in the home and controlling them both inside and outside the home. The connection targets are not only video, audio and information appliances such as TV, PC, audio, telephone, fax, and printer, but also home appliances such as refrigerators, door-lock air conditioners, and refrigerators.

홈 네트워크 산업은 통신 건설 가전 등 3개 산업이 융합돼야 한다.In the home network industry, three industries, including telecommunication construction and home appliances, should be converged.

네트워크 구축을 담당하는 통신업계의 경우 초고속 인터넷 시장의 포화 상태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비즈니스로 홈 네트워크를 육성하고 있으며 가전업계 역시 기존의 백색 가전에서 디지털 정보가전, 디지털 컨버전스(conversions) 가전으로 패러다임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The telecom industry in charge of building networks is fostering home networks as a new business to overcome the saturation of the high-speed Internet market. Promoting.

건설업체도 차별화와 고급화를 위해 홈 네트워크 도입이 필수다.Construction companies also need to adopt a home network in order to differentiate and enhance their quality.

IT 벤처업계에서는 음성인식 기술, 로봇 개발 기술, 임베디드(embeded) 소프트웨어, 디지털 콘텐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홈 네트워크 사업을 준비 중이다.The IT venture industry is preparing for the home network business in various fields such as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robot development technology, embedded software, and digital contents.

특히 한 가정에 복수의 PC를 두는 추세인데다 네트워크 게임이 활성화되고, 전국의 대부분 가구에서 초고속 통신을 가입하는 등 홈 네트워크 산업의 기반은 이 미 갖춰진 상태다.The home network industry is already well established, with more and more PCs in the same home, network games becoming active, and most households joining high-speed communications.

한편, 지능형 로봇 산업은 IT, BT(바이오기술), NT(나노기술)에 버금가는 거대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되는 새로운 성장산업이다.Meanwhile, the intelligent robot industry is a new growth industry that is expected to form a huge market comparable to that of IT, BT (biotechnology) and NT (nanotechnology).

조사기관에 따르면 로봇산업은 2020년까지 시장규모가 50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21세기에 로봇시장 규모가 자동차산업 규모를 상회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According to the research institute, the robot industry is expected to reach $ 500 billion by 2020, and the robot market may exceed the automotive industry in the 21st century.

지능형 로봇이란 인공지능 등 IT를 바탕으로 인간과 상호작용을 하면서 가사지원, 교육,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봇이다. 이를 위해서는 단순 반복 작업을 하는 산업용 로봇과 달리 인공지능,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등 IT가 집적돼야 한다.An intelligent robot is a robot that provides various types of services such as housework support, education, and entertainment while interacting with humans based on IT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To do this, unlike industrial robots that perform simple repetitive tasks, IT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ubiquitous network, and software must be integrated.

다른 한편, PC(Personal Computer)나 특정 관련 장비들이 인터넷에 접속하던 환경과는 달리 지금의 인터넷 환경은 모든 장치들이 서로 연결되고 접속되는 환경으로 급속하게 변하고 있다. 특히,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이동 중에 원하는 서비스에 접속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것이 현재의 인터넷 환경이다.On the other hand, unlike the environment in which a personal computer (PC) or certain related equipment connected to the Internet, the current Internet environment is rapidly changing to an environment in which all devices are connect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In particular, the current Internet environment is rapidly increasing the number of users who want to access a desired service during the move due to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이러한 변화와 함께 가정 내의 환경도 기존과는 크게 변화하고 있다. 단순히 가전제품들이 고유한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제품들 간에 서로 네트워킹 하고자 하고 상호 원하는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With these changes, the environment in the home is also changing significantly. Not only do household appliances perform unique functions, but there is a growing movement to network between products and share mutually desired information.

또한, 사용자들도 기존의 TV나 에어컨을 제어하던 단순한 기능의 리모컨이 아닌 더 지능적으로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요구하고 있다. TV나 오디오 등을 서로 연결하고 가정 내에서 제품들 간에 연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홈 네트워크 기술들은 계속하여 개발되고 있다.In addition, users are demanding an environment that can perform a desired function anytime and anywhere more intelligently than a simple remote control that used to control an existing TV or air conditioner. Various home network technologies are being developed to connect TVs and audio to each other and to connect products in the home.

이와 같은 홈 네트워크 기술은 정보 가전을 제어하기 위한 가전 제어 프로토콜을 구현하여 홈 게이트웨이에서 가전을 제어 및 모니터링 하고 있는데, 상술한 로봇도 하나의 가전 디바이스로 취급하여 홈 게이트웨이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이동이 가능한 로봇에 감시 카메라 및 통신 기능을 장착하여 원하는 지역을 자유로이 이동하면서 동작하도록 하거나, 인터넷을 기반으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감시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게 한다.Such home network technology implements a home appliance control protocol for controlling information home appliances, and controls and monitors home appliances in a home gateway. The above-mentioned robot can also be controlled through a home gateway by treating it as a home appliance device. For example, the mobile robot is equipped with a surveillance camera and a communication function so as to operate while moving freely in a desired area, or to monitor surveillanc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camera based on the Internet.

그러나 이와 같은 로봇과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홈 네트워크 기술은 홈 게이트웨이를 통한 피동적인 제어만이 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 즉, 홈 게이트웨이를 통해 로봇을 제어하고 로봇을 통해 획득되는 정보만을 이용할 뿐, 로봇이 주체가 되어 하나의 마스터(master) 기기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다는 것이다.However, the home network technology using such a communication protocol with the robot has a limitation that only passive control through a home gateway is possible. In other words, it only controls the robot through the home gateway and uses only th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robot, and the robot cannot act as a master device as a subject.

이에,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통신 프로토콜로 연결되는 로봇이 직접 주체가 되어 가전기기들을 제어하고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기술적 방안이 요구되는 실정이다.Therefore, a technical method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home appliances is required as a robot directly connected to a home network system through a communication protocol.

본 발명은 상술한 요구에 부응하여 구현한 것으로, 로봇과 홈 게이트웨이 간의 통신 프로토콜을 정의 및 구축하여 로봇이 직접 가전기기들을 제어하고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mplemented in response to the above-described need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home network system control method in which a robot directly controls and monitors home appliances by defining and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protocol between a robot and a home gatewa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로봇을 원격 제어하고 모 니터링할 수 있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controlling a home network system that can remotely control and monitor a robot through an internal / external network.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로봇 인터페이스를 통해 로봇과 홈 게이트웨이가 연결되며, 상기 로봇 인터페이스가 주체가 되어 상기 홈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다수의 가전기기들을 제어하는 로봇과 홈 게이트웨이 간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홈 게이트웨이에서 멀티캐스트 DNS를 사용하여 자신을 DNS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로봇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홈 게이트웨이로 멀티캐스트 DNS 질의하는 단계와, 상기 홈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로봇 인터페이스로 멀티캐스트 DNS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로봇 인터페이스가 멀티캐스트 DNS 결과를 통해 얻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홈 게이트웨이의 원격 제어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로봇 인터페이스와 상기 홈 게이트웨이에서 제어 세션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로봇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홈 게이트웨이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홈 게이트웨이에서 임의의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홈 게이트웨이에서 제어 과정에 따른 결과 메시지를 상기 로봇 인터페이스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로봇 인터페이스의 제어 세션을 통해 로봇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봇과 홈 게이트웨이 간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robot and the home gateway is connected via a robot interface, the robot interface is the main body and the robot and home gateway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home appliances connected to the home gateway A method of controlling a home network system between a home network, the method comprising: registering a self in a DNS using a multicast DNS at the home gateway, querying a multicast DNS from the robot interface to the home gateway, and at the home gateway, the robot interface Transmitting the multicast DNS result to the remote control server of the home gateway using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multicast DNS result, and establishing a control session at the robot interface and the home gateway. Producing And transmitting a control message from the robot interface to the home gateway, controlling an arbitrary home appliance at the home gateway receiving the control message, and outputting a result message according to a control process at the home gatewa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controlling a home network system between a robot and a home gateway, the method comprising transmitting to an interface and controlling the robot through a control session of the robot interface.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웹 클라이언트, 홈 게이트웨이, 로봇 인터페이스가 연계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홈 게이트웨이로 제어 페이지를 브라우징하는 단계와, 상기 웹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상기 홈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웹 클라이언트로 제어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 페이지를 기반으로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홈 게이트웨이로 로봇 제어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웹 클라이언트로부터의 로봇 제어가 요청되면 상기 홈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로봇 인터페이스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로봇 인터페이스에서 로봇을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로봇 인터페이스의 로봇 제어 결과를 상기 홈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홈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웹 클라이언트로 제어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봇과 홈 게이트웨이 간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eb client, a home gateway and a robot interface control method for a home network system, comprising: browsing a control page from the web client to the home gateway; Providing a control page from the home gateway to the web client according to a client's request, requesting robot control from the web client to the home gateway based on the control page, and controlling the robot from the web client Transmitting a control message from the home gateway to the robot interface, controlling a robot from the robot interface, transmitting a robot control result of the robot interface to the home gateway, and transmitting the response mesh. In the home gateway receives the home network system provides a control method between the robot and the home gateway comprises the step of providing a control result to the web cli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기술 요지는 로봇과 홈 게이트웨이 간의 통신 프로토콜을 정의 및 구축함으로써 로봇이 가전기기들을 직접 제어할 수 있게 한다는 것으로, 이러한 기술 사상으로부터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바를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Prior to the description,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robot to directly control home appliances by defining and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protocol between the robot and the home gateway, and thus it is easy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is technical idea. Could b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로서, 크게 홈 게이트웨이(100), 가전기기(102/1∼102/n), 로봇 인터페이스(200), 로봇(202)으로 구성된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hom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me gateway 100, the home appliances 102/1 to 102 / n, the robot interface 200, and the robot 202 are shown in FIG. It is composed.

홈 게이트웨이(100) 내에는 디스커버리 프로토콜(10), 원격 제어 서버(12), 제어 세션(14), 가전기기 제어부(16/1∼16/n)가 구비되며, 로봇 인터페이스(200) 내에는 디스커버리 프로토콜(20), 원격 제어 클라이언트(22), 제어 세션(24), 로봇 제어부(26)가 각각 구비된다.In the home gateway 100, a discovery protocol 10, a remote control server 12, a control session 14, and a home appliance control unit 16/1 to 16 / n are provided, and the discovery is located in the robot interface 200. A protocol 20, a remote control client 22, a control session 24, and a robot control unit 26 are provided, respectively.

홈 게이트웨이(100) 내의 디스커버리 프로토콜(10)은 로봇 인터페이스(200) 내의 디스커버리 프로토콜(20)과 연계되며, 홈 게이트웨이(100)와 로봇(202)간의 상호 인식 환경을 제공한다.The discovery protocol 10 in the home gateway 100 is associated with the discovery protocol 20 in the robot interface 200 and provides a mutual recognition environment between the home gateway 100 and the robot 202.

로봇 인터페이스(200) 내의 원격 제어 클라이언트(22)는 로봇(202)이 주체가 되어 홈 게이트웨이(100)를 통해 가전기기들(102/1∼102/n)을 제어 및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The remote control client 22 in the robot interface 200 provides an environment in which the robot 202 may be the main agent to control and monitor home appliances 102/1 to 102 / n through the home gateway 100. do.

홈 게이트웨이(100) 내의 원격 제어 서버(12)는 로봇 인터페이스(200) 내의 원격 제어 클라이언트(22)의 명령을 받고 그 정보를 제어 세션(14)으로 전달한다.The remote control server 12 in the home gateway 100 receives a command from the remote control client 22 in the robot interface 200 and transfers the information to the control session 14.

홈 게이트웨이(100) 내의 제어 세션(14)은 원격 제어 서버(12)와 로봇 인터페이스(200)의 제어 세션(24)의 명령을 받아 가전기기 제어부(16/1∼16/n)를 활성화시킨다.The control session 14 in the home gateway 100 receives commands from the control session 24 of the remote control server 12 and the robot interface 200 to activate the home appliance control units 16/1 to 16 / n.

가전기기 제어부(16/1∼16/n)는 로봇 인터페이스(200)를 통해 제공되는 제어 명령에 근거하여 각 가전기기들(102/1∼102/n)을 제어한다.The home appliance control units 16/1 to 16 / n control the home appliances 102/1 to 102 / n based on a control command provided through the robot interface 200.

본 발명에 적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은 컨트롤 유닛, 디스커버리 프로토콜, 메시지 프로토콜의 세 가지로 정의될 수 있으며, 각각의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Communication protocol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fined as three types of control unit, discovery protocol, message protocol, and the description of each protocol is as follows.

첫째, 컨트롤 유닛은 각 기기를 자기 기술적인 메타 정보에 기반하여 표현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액션과 상태변수로 구성된다. 액션은 컨트롤 유닛에 명령 가능한 액션이고 상태변수는 컨트롤 유닛이 갖는 각종 상태 및 속성이다. 컨트롤 유닛이 자기 기술이 가능하다는 것은 클라이언트 측에서 기기별 특정 인터페이스 및 기반 테크놀로지에 국한되지 않고, 메타 정보 형태로 기술된 컨트롤 유닛의 기술을 분석하여 상태변수를 표현하고 액션을 호출할 수 있다는 것이다.First, the control unit consists of actions and state variables that allow each device to be represented and used based on self-descriptive meta information. An action is an action that can be commanded to a control unit, and state variables are various states and properties of the control unit. The ability of the control unit to be self-descriptive means that it is not limited to device-specific interface and base technology on the client side, but can analyze the technology of the control unit described in the form of meta information to express state variables and call actions.

둘째, 디스커버리 프로토콜은 기기 상호간의 발견을 목적으로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Zeroconf(zero configuration)를 도입하였으며, 본 프로토콜에서는 Zeroconf의 적용 범위를 정의하였다. Zeroconf라 함은, 접속환경이나 운영 시스템에 상관없이 네트워크에 물리적으로 연결하면 곧바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프로토콜로서, IP 주소를 입력하거나 DNS 서버를 구성할 필요가 없이 장비들이 자동으로 상호 관계를 인식할 수 있는 환경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Zeroconf 표준 중 멀티캐스트 DNS(전통적인 DNS 서버가 없는 환경에서 TCP/IP의 멀티캐스트에 기반한 DNS 쿼리 매커니즘을 정의하는 표준)와 DNS-Based Service Discovery(DNS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발견하는 매커니즘에 대해 정의하는 표준)의 두 가지 표준을 사용하여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실시한다.Second, the discovery protocol introduced the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IETF) Zeroconf (zero configuration) for the purpose of mutual discovery of devices, and defined the scope of application of Zeroconf in this protocol. Zeroconf is a protocol that enables users to connect to the Internet as soon as they are physically connected to the network regardless of the connection environment or operating system. The devices can automatically recognize the interrelationship without having to enter an IP address or configure a DNS server. It means the environment that can be. In this embodiment, multicast DNS (standard defining DNS query mechanism based on multicast of TCP / IP) in the zeroconf standard and DNS-Based Service Discovery (DNS based service discovery mechanism) Service discovery is performed using two standards: the standard defined for.

셋째, 메시지 프로토콜은 기기 상호간에 제어 및 모니터링을 구현하며 이벤트를 전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해 XML-RPC 기반으로 정의된 프로토콜이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4에 보다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Third, the message protocol is a protocol defined based on XML-RPC to provide a system that implements control and monitoring between devices and delivers events.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 4.

이하, 상술한 구성과 함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과 홈 게이트웨이 간의 시스템 동작 과정을 첨부한 도 2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ystem operation process between the robot and the home gatewa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1. 먼저, 홈 게이트웨이(100)는 Zeroconf 표준 중 멀티캐스트 DNS를 사용하 여 자신을 DNS에 등록한다.1. First, the home gateway 100 registers itself with DNS using multicast DNS among Zeroconf standards.

2. 로봇 인터페이스(200)는 구동 후 멀티캐스트 DNS를 통해 홈 게이트웨이(100)로 질의한다.2. After the robot interface 200 is driven, the robot interface 200 queries the home gateway 100 through the multicast DNS.

3. 홈 게이트웨이(100)는 자신의 정보를 멀티캐스트 DNS 결과를 통해 로봇 인터페이스(200)로 전달한다.3. The home gateway 100 transmits its information to the robot interface 200 through the multicast DNS result.

4. 로봇 인터페이스(200)는 멀티캐스트 DNS 결과를 통해 얻은 정보를 이용하여 홈 게이트웨이(100)의 원격 제어 서버(12)에 접속한다.4. The robot interface 200 connects to the remote control server 12 of the home gateway 100 using th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multicast DNS result.

5. 원격 제어 서버(12)에 접속이 완료되면 로봇(202)과 홈 게이트웨이(100)는 각각 제어 세션을 개시한다.5. When the connection to the remote control server 12 is completed, the robot 202 and the home gateway 100 respectively start a control session.

6. 로봇 인터페이스(200)는 홈 게이트웨이(100)로 가전기기(102/1∼102/n)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한다.6. The robot interface 200 transmits a control message for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s 102/1 to 102 / n to the home gateway 100.

7.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홈 게이트웨이(100)는 가전기기 제어부(16/1∼16/n)를 통해 가전기기(102/1∼102/n)를 제어한다.7. The home gateway 100 receiving the control message controls the home appliances 102/1 to 102 / n through the home appliance control units 16/1 to 16 / n.

8. 홈 게이트웨이(100)는 제어 과정에 따른 결과 메시지를 로봇 인터페이스(200)로 전송한다.8. The home gateway 100 transmits the result message according to the control process to the robot interface 200.

9. 로봇 인터페이스(200)는 내부의 제어 세션(24)을 통해 로봇(202)을 제어한다.9. The robot interface 200 controls the robot 202 through an internal control session 24.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웹 클라이언트, 홈 게이트웨이, 로봇간의 시스템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내/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로봇(202)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한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operation process between a web client, a home gateway, and a rob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llustrates a process of controlling the robot 202 through an internal / external network.

1. 먼저, 웹 클라이언트(300)에서 홈 게이트웨이(100)로 제어 페이지를 브라우징한다.First, the control page is browsed from the web client 300 to the home gateway 100.

2. 웹 클라이언트(300)의 요청에 따라 홈 게이트웨이(100)는 웹 클라이언트(300)에게 제어 페이지를 제공한다.2. At the request of the web client 300, the home gateway 100 provides a control page to the web client 300.

3. 제어 페이지를 기반으로 웹 클라이언트(300)에서 홈 게이트웨이(100)로 로봇 제어를 요청한다.3. Requests robot control from the web client 300 to the home gateway 100 based on the control page.

4. 웹 클라이언트(300)로부터의 로봇 제어가 요청되면 홈 게이트웨이(100)는 로봇 인터페이스(200)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한다.4. When the robot control from the web client 300 is requested, the home gateway 100 transmits a control message to the robot interface 200.

5. 로봇 인터페이스(200)는 제어 세션(24), 로봇 제어부(26) 등을 통해 로봇(202)을 제어한다.5. The robot interface 200 controls the robot 202 through the control session 24, the robot controller 26, and the like.

6. 로봇 인터페이스(200)의 로봇 제어 결과는 응답 메시지로 홈 게이트웨이(100)로 전송된다.6. The robot control result of the robot interface 200 is transmitted to the home gateway 100 in a response message.

7. 로봇 인터페이스(200)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홈 게이트웨이(100)는 웹 클라이언트로 제어 결과를 제공한다.7. The home gateway 100 receiving the response message from the robot interface 200 provides a control result to the web client.

도 4는 메시지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메시지의 내부 구조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4 illustrates in more detail the internal structure of a message defined in the message protocol.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시지 프로토콜은 제어 메시지, 모니터 메시지, 이벤트 메시지, 써머리 메시지로 구분된다.As shown in FIG. 4, the message protocol is divided into a control message, a monitor message, an event message, and a summary message.

제어 메시지에는 제어 대상의 종류, 제어 대상의 ID, 인자·제어 대상의 종류에 따른 형태 등으로 구성된 요청 메시지와, 호출 methodName, 제어 대상의 종 류, 제어 대상의 ID, 제어 수행성공 여부 등을 나타내는 응답 메시지로 나뉜다.The control message includes a request message composed of the type of the control object, the ID of the control object, the typ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argument and the control object, the call methodName, the type of the control object, the ID of the control object, and whether the control is performed successfully. It is divided into response messages.

모니터 메시지에는 모니터 대상의 종류, 모니터 대상의 ID로 구성된 요청 메시지와, 호출 methodName, 모니터 대상의 종류, 대상 ID, 모니터 성공 여부, 상태 인자값으로 구성된 응답 메시지로 나뉜다.The monitor message is divided into the request message composed of the type of the monitor target and the ID of the monitor target, and the response message consisting of the calling methodName, the type of the target monitor, the target ID, the success of the monitor, and the status factor.

이벤트 메시지는 이벤트 발생한 대상의 종류, 이벤트 발생한 대상, 이벤트 레벨, 이벤트 메시지로 이루어진 응답 메시지로 구성된다.The event message consists of a response message consisting of the type of event occurrence object, event occurrence object, event level, and event message.

써머리 메시지는 요약 대상의 종류를 나타내는 요청 메시지와, "summary" 호출한 methodCall의 method, 요약하려고 하는 대상의 종류, 인자값으로 구성되는 응답 메시지로 나뉜다.The summary message is divided into a request message indicating the type of the summary object, a response message consisting of the method of the methodCall called "summary", the type of the object to be summarized, and the argument value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로봇과 홈 게이트웨이 간의 통신 프로토콜을 구현함으로써 로봇이 직접 가전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예컨대, 센서 네트워크가 구현된 환경이라면 로봇이 센서 신호를 받고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일정 온도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로봇이 이를 감지하여 에어컨을 구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nvironment in which the robot can directly control home appliances by implementing a communication protocol between the robot and the home gateway. For example, in an environment in which a sensor network is implemented, the robot may receive a sensor signal and control the home appliance. For example, when the temperature rises above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robot may detect the driving and drive the air conditioner.

본 발명에 의하면, 로봇에서 정보 가전과 홈오토메이션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프로토콜을 정의하여 로봇으로 하여금 다른 기기들을 제어 및 모니터링 할 수 있게 한다. 센서 네트워크가 가축된 가정이라면 로봇이 집안의 모든 상황을 판단하여 최적의 환경을 유지해 줄 것이며, 나아가서 방범, 방재의 홈 시큐리티를 책임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로봇이 단지 홈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많은 기기 중 에 하나가 아니라 모든 기기를 제어 및 모니터링하는 마스터가 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defining a protocol that can control the information appliances and home automation devices in the robot to enable the robot to control and monitor other devices. If the sensor network is domesticated, the robot will judge the situation in the house and maintain the optimal environment, and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be responsible for home security of crime prevention and disaster prevention. The robot can be the master to control and monitor all the devices, not just one of many devices connected to the home gateway.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concretely based on an Example,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n Example, Of course, various changes are possible within a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summary of a claim mentioned later.

Claims (4)

로봇 인터페이스를 통해 로봇과 홈 게이트웨이가 연결되며, 상기 로봇 인터페이스가 주체가 되어 상기 홈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다수의 가전기기들을 제어하는 로봇과 홈 게이트웨이 간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으로서,A method of controlling a home network system between a robot and a home gateway in which a robot and a home gateway are connected through a robot interface, and the robot interface is mainly used to control a plurality of home appliances connected to the home gateway. 상기 홈 게이트웨이에서 멀티캐스트 DNS를 사용하여 자신을 DNS에 등록하는 단계와,Registering itself with DNS at the home gateway using multicast DNS, 상기 로봇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홈 게이트웨이로 멀티캐스트 DNS 질의하는 단계와,Multicast DNS query from the robot interface to the home gateway; 상기 홈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로봇 인터페이스로 멀티캐스트 DNS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와,Transmitting a multicast DNS result from the home gateway to the robot interface; 상기 로봇 인터페이스가 멀티캐스트 DNS 결과를 통해 얻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홈 게이트웨이의 원격 제어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Connecting the robot interface to the remote control server of the home gateway by using th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multicast DNS result; 상기 로봇 인터페이스와 상기 홈 게이트웨이에서 제어 세션을 생성하는 단계와,Creating a control session at the robot interface and the home gateway; 상기 로봇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홈 게이트웨이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Transmitting a control message from the robot interface to the home gateway; 상기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홈 게이트웨이에서 임의의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단계와,Controlling any home appliance at the home gateway receiving the control message; 상기 홈 게이트웨이에서 제어 과정에 따른 결과 메시지를 상기 로봇 인터페 이스로 전송하는 단계와,Transmitting, at the home gateway, a result message according to a control process to the robot interface; 상기 로봇 인터페이스의 제어 세션을 통해 로봇을 제어하는 단계Controlling the robot through a control session of the robot interface 를 포함하는 로봇과 홈 게이트웨이 간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Home network system control method between the robot and the home gateway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로봇과 홈 게이트웨이 간의 통신 프로토콜은 디스커버리 프로토콜, 컨트롤 유닛, 메시지 프로토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과 홈 게이트웨이 간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The communication protocol between the robot and the home gateway is a discovery protocol, a control unit, and a message protocol.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메시지 프로토콜은 컨트롤 메시지, 모니터 메시지, 이벤트 메시지, 써머리 메시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과 홈 게이트웨이 간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The message protocol comprises a control message, a monitor message, an event message, and a summary message. 웹 클라이언트, 홈 게이트웨이, 로봇 인터페이스가 연계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으로서,A home network system control method for linking a web client, a home gateway, and a robot interface,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홈 게이트웨이로 제어 페이지를 브라우징하는 단계와,Browsing a control page from the web client to the home gateway; 상기 웹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상기 홈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웹 클라이언트로 제어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와,Providing a control page from the home gateway to the web client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web client; 상기 제어 페이지를 기반으로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홈 게이트웨이로 로봇 제어를 요청하는 단계와,Requesting robot control from the web client to the home gateway based on the control page; 상기 웹 클라이언트로부터의 로봇 제어가 요청되면 상기 홈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로봇 인터페이스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Transmitting a control message from the home gateway to the robot interface when the robot control from the web client is requested; 상기 로봇 인터페이스에서 로봇을 제어하는 단계와,Controlling the robot at the robot interface; 상기 로봇 인터페이스의 로봇 제어 결과를 상기 홈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와,Transmitting the robot control result of the robot interface to the home gateway; 상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홈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웹 클라이언트로 제어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Providing a control result from the home gateway receiving the response message to the web client 를 포함하는 로봇과 홈 게이트웨이 간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Home network system control method between the robot and the home gateway comprising a.
KR1020050014623A 2005-02-22 2005-02-22 Method for controlling home network system KR1006451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623A KR100645147B1 (en) 2005-02-22 2005-02-22 Method for controlling home network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623A KR100645147B1 (en) 2005-02-22 2005-02-22 Method for controlling home network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3552A KR20060093552A (en) 2006-08-25
KR100645147B1 true KR100645147B1 (en) 2006-11-10

Family

ID=37601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4623A KR100645147B1 (en) 2005-02-22 2005-02-22 Method for controlling home network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514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522B1 (en) * 2005-12-08 2007-11-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providing XML-based service by server which controls mobile home service robot and apparatus thereof
KR100772175B1 (en) * 2006-10-23 2007-11-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Network robot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in network robot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9470A (en) 2000-12-25 2002-07-12 Yoichi Sakai Home automation through interactive virtual robot system
KR20060027728A (en) * 2004-09-23 2006-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Remote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 in using robot cleaner
KR20060070164A (en) * 2004-12-20 2006-06-23 주식회사 아이오. 테크 Service server system transmitting to home robot pulse pattern for remote control of electric home appliance
KR20060076940A (en) * 2004-12-29 2006-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Remote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 in using robot clea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9470A (en) 2000-12-25 2002-07-12 Yoichi Sakai Home automation through interactive virtual robot system
KR20060027728A (en) * 2004-09-23 2006-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Remote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 in using robot cleaner
KR20060070164A (en) * 2004-12-20 2006-06-23 주식회사 아이오. 테크 Service server system transmitting to home robot pulse pattern for remote control of electric home appliance
KR20060076940A (en) * 2004-12-29 2006-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Remote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 in using robot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3552A (en) 2006-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827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a user interface (UI) event of 3rd party device in home network
JP4041118B2 (en) Gateway device, network system, communication program, and communication method
CN101116337B (en) Method of monitoring and configuring
US7403982B2 (en) Network device and network device control method
US9998543B2 (en) Remote monitoring of user appliances
US20050066024A1 (en) Method of control between devices connected to a heterogeneous network and device implementing the method
EP147812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separate networks
CN103188250A (en) Terminal device state notification and control method based on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KR100645147B1 (en) Method for controlling home network system
JP2006227825A (en) Information appliance management system, information appliance control management system, information appliance control management method and information appliance operation method
KR20050078541A (en) Protocol for monitoring and control of home network devices
KR100371166B1 (en) Home network connection apparar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6681157A (en) Equipment control method, device and gateway
KR100637559B1 (en) Method for notify service of home network monitoring
KR20050078544A (en) Server system for providing home network service
JP5718454B2 (en) How to control the functions of devices in your home network
KR20040055456A (en) Information exchanging method between multiple control point based universal plug and play
KR100674091B1 (en) Distributed control network apparatus notifying occurrence of event by interrupting and its method
US20080320491A1 (en) Method of receiving/transmitting event message, controlled device, and controlled point
KR20050035038A (en) Method for setting internet protocol address for network based universal plug and play
Lukkien et al. An architecture for web-enabled devices
KR100598073B1 (en) Cyber intelligent robot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KR100694221B1 (e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device in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network
Lucenius et al. Implementing mobile access to heterogeneous home environment
KR100794041B1 (en) Network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