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4969B1 - 소음기능을 가지는 연료전지용 가습장치 - Google Patents

소음기능을 가지는 연료전지용 가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4969B1
KR100644969B1 KR1020050102908A KR20050102908A KR100644969B1 KR 100644969 B1 KR100644969 B1 KR 100644969B1 KR 1020050102908 A KR1020050102908 A KR 1020050102908A KR 20050102908 A KR20050102908 A KR 20050102908A KR 100644969 B1 KR100644969 B1 KR 100644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flow
fuel cell
humidifier
flow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2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복
김충현
김창호
이병수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102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49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4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4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411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 H01M8/04126Humidify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 시스템의 부피를 줄임과 동시에 작동소음을 최대한 억제하여 연료전지 시스템의 운전환경을 보다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소음기능을 가지는 연료전지용 가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장치는 공기압축기와, 다습한 공기와 건조한 공기를 혼합하기 위한 공기혼합기와, 공기혼합기의 배출단과 공기압축기의 유입단을 연결하는 제 1공기유동부, 공기압축기의 배출단과 연료전지의 유입단을 연결하고 제 1공기유동부와 다공성 부재에 의해 구획되는 제 2공기유동부를 가지는 가습기를 포함한다. 제 1공기유동부와 제 2공기유동부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제 2공기유동부가 제 1공기유동부의 주위를 감싼다. 제 1 및 제 2공기유동부의 내부 일측에는 공기유동을 차단하기 위한 격벽이 설치되고, 격벽에는 제 1 및 제 2공기유동부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고 공기유동을 허용하기 위한 연통관이 관통설치된다.
연료전지, 가습기, 다공관, 격벽, 연통관

Description

소음기능을 가지는 연료전지용 가습장치{HUMIDIFIER WITH MUFFLERS FOR FUEL CELL}
도 1은 종래의 연료전지용 가습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기능을 가지는 연료전지용 가습장치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공기혼합기
200: 가습기
202: 본체
204: 다공관
210: 제 1공기유동부
212: 격벽
214: 연통관
220: 제 2공기유동부
222: 격벽
224: 연통관
226: 다공성 부직포
300: 공기압축기
본 발명은 연료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음(消音)기능을 가지는 연료전지용 가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전지는 수소 및 산소의 전기화학반응에 의해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장치로, 연소기관에 비해서 에너지효율이 높고 공해물질의 배출이 없기 때문에 차량 또는 휴대형 전자기기 등의 차세대 에너지원으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소형기기에 연료전지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달성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연료전지 시스템에서는 고분자막을 전해질로 이용하여 수소 양이온을 이동시키는데, 이를 위해서는 고분자 전해질막이 적당한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이, 연료전지 시스템을 이루는 여러가지 구성 요소 중 가습기는 연료전지 내부의 고분자막의 안정화를 위한 중요 구성요소로서, 공기에 수분을 포함시키는 역할을 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의 연료전지용 가습기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가습기(10)는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고, 빈 내부공간을 가진다. 가습기(10)의 내부에는 전체 길이에 걸쳐 막(12, membrane)이 설치되고, 막(12)에 의해 상,하측으로 내부공간이 구획된다. 연료전지(미도시)에서 배출된 다습한 공기(20)가 가습기(10)의 하측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면 가습기(10)내의 막(12)을 만나는 과정에서 냉각되 면서 공기 내의 수분 중 일부를 응축수(14)로 남기고 대기 중으로 배출(22)된다. 막(12)에 흡수된 응축수(14)는 막(12)을 통과하여 막(12)의 반대편, 즉 상측 내부공간으로 유입되어 유동하는 건조한 공기(24)내로 증발되고, 이에 의해 다습해진 공기(26)는 연료전지의 음극측으로 공급된다.
그러나, 이러한 막을 이용한 종래의 연료전지용 가습기는 공간적으로 차지하는 부피가 커서 소형기기에 적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연료전지용 가습기에 비해 부피가 감소되고, 동시에 가습 효율이 증대된 가습기가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전지 시스템의 부피를 줄임과 동시에 작동소음을 최대한 억제하여 연료전지 시스템의 운전환경을 보다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소음기능을 가지는 연료전지용 가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소음기능을 가지는 연료전지용 가습장치는 공기압축기와; 다습한 공기와 건조한 공기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기 위한 공기혼합기와; 공기혼합기의 배출단과 공기압축기의 유입단을 연결하는 제 1공기유동부, 공기압축기의 배출단과 연료전지의 유입단을 연결하고 제 1공기유동부와 다공성 부재에 의해 구획되는 제 2공기유동부, 공기압축기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을 가지는 가습기를 포함한다. 공기혼합기로부터 배출되어 제 1공기유동부 내를 흐르는 혼합공기중에 함유된 수분이 다공성 부재를 통과하 여 공기압축기로부터 배출되어 제 2공기유동부 내를 흐르는 압축공기로 전달된다.
가습기의 제 1공기유동부와 제 2공기유동부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제 1공기유동부와 제 2공기유동부 중 어느 하나의 공기유동부가 다른 공기유동부의 주위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다공성 부재는 투수성 재질을 압축성형하여 형성된 중공의 원통형 다공관이다.
제 1공기유동부의 내부 일측에는 공기유동을 차단하기 위한 격벽이 설치되고, 격벽에는 제 1공기유동부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고 공기유동을 허용하기 위한 연통관이 관통설치된다.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은 제 2공기유동부의 내부 일측에 공기유동을 차단하기 위해 설치된 격벽과, 격벽에 관통설치되고 제 2공기유동부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고 공기유동을 허용하기 위한 연통관과, 제 2공기유동부의 내벽면과 연통관의 외면을 덮는 다공성 부직포를 포함한다.
제 1공기유동부의 일측에는 과다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이 설치된다.
공기혼합기는 연료전지 또는 물탱크와 연결되어 다습한 공기를 공급받고, 대기와 연결되어 건조한 공기를 공급받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기능을 가지는 연료전지용 가습장치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음기능을 가지는 연료전지용 가습장치는 공기혼합기(100), 가습기(200), 공기압축기(300)로 크게 이루어진다.
공기혼합기(100)는 연료전지(미도시) 또는 물탱크(미도시)로부터 유입되는 다습한 공기(110)와 대기중의 건조한 공기(112)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기 위한 것으로, 카뷰레터(carburettor) 등의 혼합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부호 102와 104는 각각 다습한 공기(110)와 건조한 공기(112)의 유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이다.
가습기(200)는 중공의 원통형상을 가지고 외벽을 이루는 본체(202)와, 본체(202)의 내부에 동축을 이루며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되는 중공의 원통형 다공관(204)을 포함한다. 여기서, 다공관(204)은 소정 크기 이상의 강성을 가지되 수분이 침투되어 통과될 수 있는 투수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진 파이프 형상의 부재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다공관(204)은 카본 또는 세라믹재질 등을 파이프 형상으로 압축성형하여 제조하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공관(204)의 내부와 본체(202)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이 제 1공기유동부(210)이고, 다공관(204)의 외부와 본체(202)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이 제 2공기유동부(220)이다. 즉, 제 2공기유동부(220)가 제 1공기유동부(210)의 주위를 에워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공기혼합기(100)의 배출단과 제 1공기유동부(210)의 유입단 사이에 제 1도관(205)이 연결되어 공기혼합기(100)와 제 1공기유동부(210)가 서로 연통된다. 제 1공기유동부(210)의 내측 길이방향 중심에는 제 1공기유동부(210)의 내부공간을 좌,우측으로 구획하여 공기유동을 차단하기 위한 격벽(212)이 설치되고, 격벽(212)에 는 제 1공기유동부(210)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고 소정 길이로 연장되어 공기유동을 허용하는 연통관(214)이 관통설치된다. 이 연통관(214)에 의해, 격벽(212)으로 구획된 제 1공기유동부(210)의 우측(도 2기준) 내부공간과 좌측 내부공간은 서로 연통된다. 제 1공기유동부(210)의 일측벽에는 제 1공기유동부(210) 내의 과도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드레인(209)이 설치된다.
공기혼합기(100)와 반대되는 방향의 제 1공기유동부(210)의 배출단 부근에 공기압축기(300)가 구비되고, 제 2도관(206)에 의해 제 1공기유동부(210)의 배출단과 공기압축기(300)의 유입단이 서로 연통된다. 또한, 공기압축기(300)의 배출단과 제 2공기유동부(220)의 유입단 사이에 제 3도관(207)이 구비되어 공기압축기(300)와 제 2공기유동부(220)도 서로 연통된다.
제 2공기유동부(220)의 내측 길이방향 중심에는 제 2공기유동부(220)의 내부공간을 좌,우측으로 구획하기 위한 격벽(222)이 설치되고, 격벽(222)에는 제 2공기유동부(220)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고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연통관(224)이 관통설치된다. 연통관(224)은 하나의 개수로 구비되어 제 2공기유동부(220)와 동축을 이루며 원테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다수개로 구비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원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연통관(224)에 의해, 격벽(222)으로 구획된 제 2공기유동부(220)의 좌측(도 2기준) 내부공간과 우측 내부공간은 서로 연통된다. 제 2공기유동부(220)의 내벽면과 연통관(224)의 외면에는 다공성 부직포(226)가 덮혀 있다. 공기압축기(300)와 반대되는 방향의 제 2공기유동부(220)의 배출단에는 연료전지(미도시)의 음극측을 향해 연장 되는 제 4도관(208)이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공기유동부(220)가 제 1공기유동부(210)의 주위를 감싸는 구조로서 설명하였으나, 반대로 제 1공기유동부(210)가 제 2공기유동부(220)의 주위를 감싸는 구조로서 형성되어도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소음기능을 가지는 연료전지용 가습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연료전지 또는 물탱크로부터 유입되는 다습한 공기(110)와 대기로부터 유입되는 건조한 공기(112)가 공기혼합기(100) 내에서 적정한 습도를 가지도록 소정의 비율로 혼합된 후, 혼합기체가 제 1도관(205)을 통해 제 1공기유동부(210) 내로 공급된다. 이 때 혼합작용은 공기압축기(300)의 유입구측에서 발생하는 음압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다공관(204)과 본체(202)로 둘러싸인 제 1공기유동부(210)의 내부공간에서 혼합기체의 온도가 하강하면서 다공관(204) 벽에 응축된 수분이 맺히게 되고, 이 수분은 다공관(204)을 관통하여 제 2공기유동부(22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다. 제 1공기유동부(210) 내의 격벽(212)과 연통관(214)은 제 1공기유동부(210)의 내부를 유동하는 혼합기체의 급격한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혼합기체와 다공관(204) 사이의 접촉시간을 연장시켜 응축작용이 더 잘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응축된 수분이 과도하게 다공관(204)의 벽에 맺히는 경우에는 그 일부가 드레인(209)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제 1공기유동부(210)의 다공관(204)과 접촉하면서 건조된 공기(114)는 제 2 도관(206)을 통해 공기압축기(300) 내로 유입된 후 압축과정을 거치면서 소정의 유량과 압력을 갖는 압축공기(116)로 변환되고, 제 3도관(207)을 통해 제 2공기유동부(220) 내로 공급된다.
제 2공기유동부(220) 내로 들어온 건조한 압축공기(116)는 제 1공기유동부(210)부터 다공관(204)을 통해 전달된 습기를 증발작용에 의하여 흡수하면서 다습해진 후, 제 4도관(208)을 통해 연료전지의 음극측으로 공급된다. 이 때, 제 2공기유동부(220)의 내부에 구비된 격벽(222)과 연통관(224)에 의해 제 2공기유동부(220)의 내부를 유동하는 압축공기의 급격한 팽창이 방지되어 그에 따른 소음발생을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제 2공기유동부(220)의 내벽면과 연통관(224)의 외면을 덮고 있는 다공성 부직포(226)가 공기압축기(300)로부터 배출되는 소음을 흡수할 뿐만 아니라, 압축공기 내에 포함된 불순물을 걸러내는 필터 역할을 함으로써 연료전지가 안정적으로 운전될 수 있게 해 준다. 제 1공기유동부(210)와 제 2공기유동부(220)를 구획하는 다공관(204)도 공기압축기(300)로부터 배출되는 소음 중 일부를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습장치를 거쳐 연료전지로 공급되는 공기가 공기압축기(300)에서 발생된 열을 흡수하면서 온도가 상승하게 되므로 연료전지가 빠른 시간 내에 적절한 운전온도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또 다른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특징은 특히 저온에서 사용되는 연료전지의 초기가동성능을 우수하게 해 주는 큰 장점이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음기능을 가지는 연료전지용 가습장치는 연료전지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습함과 동시에 공기압축기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최대한 억제시키고 공기압축기에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연료전지의 운전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기혼합기, 가습기 및 공기압축기를 하나의 단위유닛으로 조합시킴으로써, 그 부피를 감소시켜 소형기기 등의 협소한 공간 내에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9)

  1. 연료전지에 공급되는 공기를 가습하기 위한 연료전지용 가습장치에 있어서,
    공기압축기와;
    다습한 공기와 건조한 공기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기 위한 공기혼합기와;
    상기 공기혼합기의 배출단과 상기 공기압축기의 유입단을 연결하는 제 1공기유동부, 상기 공기압축기의 배출단과 상기 연료전지의 유입단을 연결하고 상기 제 1공기유동부와 다공성 부재에 의해 구획되는 제 2공기유동부, 상기 공기압축기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을 가지는 가습기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혼합기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제 1공기유동부 내를 흐르는 혼합공기중에 함유된 수분이 상기 다공성 부재를 통과하여 상기 공기압축기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제 2공기유동부 내를 흐르는 압축공기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능을 가지는 연료전지용 가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기의 제 1공기유동부와 제 2공기유동부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공기유동부와 제 2공기유동부 중 어느 하나의 공기유동부가 다른 공기유동부의 주위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능을 가지는 연료전지용 가습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부재는 중공의 원통형 다공관인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소음기능을 가지는 연료전지용 가습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관은 투수성 재질을 소정의 강성을 가지도록 압축성형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가습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공기유동부의 내부 일측에는 공기유동을 차단하기 위한 격벽이 설치되고, 상기 격벽에는 상기 제 1공기유동부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고 공기유동을 허용하기 위한 연통관이 관통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능을 가지는 연료전지용 가습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제 2공기유동부의 내부 일측에 공기유동을 차단하기 위해 설치된 격벽과, 상기 격벽에 관통설치되고 상기 제 2공기유동부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고 공기유동을 허용하기 위한 연통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능을 가지는 연료전지용 가습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제 2공기유동부의 내벽면과 상기 연통관의 외면을 덮는 다공성 부직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능을 가지는 연료전지용 가습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공기유동부의 일측에 과다한 수분을 외부로 배출 하기 위한 드레인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능을 가지는 연료전지용 가습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혼합기는 상기 연료전지 또는 물탱크와 연결되어 다습한 공기를 공급받고, 대기와 연결되어 건조한 공기를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능을 가지는 연료전지용 가습장치.
KR1020050102908A 2005-10-31 2005-10-31 소음기능을 가지는 연료전지용 가습장치 KR100644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2908A KR100644969B1 (ko) 2005-10-31 2005-10-31 소음기능을 가지는 연료전지용 가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2908A KR100644969B1 (ko) 2005-10-31 2005-10-31 소음기능을 가지는 연료전지용 가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4969B1 true KR100644969B1 (ko) 2006-11-14

Family

ID=37654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2908A KR100644969B1 (ko) 2005-10-31 2005-10-31 소음기능을 가지는 연료전지용 가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496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2640A (ko) * 2001-11-23 2003-06-02 (주)세티 연료전지스택의 캐소드에서의 공기의 가열 및 가습시스템
JP2004225595A (ja) 2003-01-22 2004-08-12 Calsonic Kansei Corp 消音器
JP2005235614A (ja) 2004-02-20 2005-09-02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用エア圧縮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2640A (ko) * 2001-11-23 2003-06-02 (주)세티 연료전지스택의 캐소드에서의 공기의 가열 및 가습시스템
JP2004225595A (ja) 2003-01-22 2004-08-12 Calsonic Kansei Corp 消音器
JP2005235614A (ja) 2004-02-20 2005-09-02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用エア圧縮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68727C (en) Fuel cell system and humidification method
KR101398779B1 (ko) 내한성이 향상된 연료전지용 가습기
EP1258048B1 (en) Wicking strands for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KR102002386B1 (ko) 중공사막 모듈
KR101665718B1 (ko) 연료전지용 가습기
KR101993237B1 (ko) 유체교환막 모듈
KR102304857B1 (ko) 연료전지용 막가습기
KR20080077598A (ko) 연료 전지용 가습 시스템
KR102170523B1 (ko) 연료전지 막가습기
KR101984034B1 (ko) 중공사막 모듈
JP4939786B2 (ja) 燃料電池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
KR102346538B1 (ko) 가습효율이 개선된 연료전지용 막가습기
US20060210862A1 (en) Fuel cell and oxidant distribution plate for fuel cell
KR100952023B1 (ko) 연료전지 스택 가습 장치
JP5171781B2 (ja) 受動型燃料電池アセンブリ
KR100644969B1 (ko) 소음기능을 가지는 연료전지용 가습장치
CN111527634A (zh) 能够控制流体流动方向的燃料电池膜加湿器
KR20190085716A (ko) 유체의 흐름 방향 제어가 가능한 중공사막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막가습기
JP2007059090A (ja) 燃料電池用加湿システム
KR20180043611A (ko) 연료전지용 가습기
KR102328442B1 (ko) 연료전지용 멤브레인형 습도 조절 장치
CN114144913A (zh) 加湿器、带有加湿器的燃料电池装置以及机动车
KR100911519B1 (ko) 자동차용 연료전지 가습시스템
JP2022188469A (ja) 燃料電池
JP2024511782A (ja) 燃料電池用加湿器のカートリッジ及び燃料電池用加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