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2498B1 - 공통선신호방식에 따른 교환기 간 회선의 품질 분석 장치 - Google Patents
공통선신호방식에 따른 교환기 간 회선의 품질 분석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42498B1 KR100642498B1 KR1020040099035A KR20040099035A KR100642498B1 KR 100642498 B1 KR100642498 B1 KR 100642498B1 KR 1020040099035 A KR1020040099035 A KR 1020040099035A KR 20040099035 A KR20040099035 A KR 20040099035A KR 100642498 B1 KR100642498 B1 KR 1006424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unit
- application program
- common line
- receiving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42—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 H04Q3/54—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in which the logic circuitry controlling the exchange is centralised
- H04Q3/545—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in which the logic circuitry controlling the exchange is centralised using a stored programme
- H04Q3/54575—Software application
- H04Q3/54591—Supervision, e.g. fault localisation, traffic measurements, avoiding errors, failure recovery, monitoring, statistical analysi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통선 신호 방식의 신호 링크 분석 대상을 다수개의 포트를 수용할 수 있도록 확장시키고, 분석 장비 연결시점부터 저장 용량이 수용할 만큼의 기간동안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하여, 온라인 및 오프라인 상태에서도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장애 분석을 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통선신호방식에 따른 교환기 간 회선의 품질 분석 장치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통선 신호 방식에 따른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교환기의 SS7 모듈과 교환기의 스위치부 사이에서 No.7 신호를 추출하는 정합부와, 상기 정합부로부터 추출한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로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 및 통계처리하는 응용프로그램과, 상기 수신부와 응용프로그램간의 데이터를 인터페이싱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분석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를 구비하는 품질 분석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공통선신호 방식에 따른 교환기간 회선 품질 분석 장치를 시스템에 연결한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공통선 신호 방식의 교환기간 회선 품질 분석 장치에 관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통선 신호 방식의 교환기간 회선 품질 분석 장치에 관한 개략도,
도 4는 도 3의 회선 품질 분석 장치의 상세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교환시스템 110 : SS7 모듈
120 : 스위치부 130 : 정합부
131 : 타임스위칭 인터페이스부 132 : E1 신호 변환부
200 : No. 7 품질 분석장치 210 : E1 신호 수신부
220 : 어플리케이션 S/W 인터페이스부
230 : 어플리케이션 S/W 250 : 모니터
본 발명은 공통선 신호 방식에 있어서, 교환시스템의 No.7 신호 링크에 대한 모니터 기능을 강화하여 신호 링크의 실시간 상태관리, 장시간 통계처리, 호처리 조회 등 분석 기능을 강화하므로써 통화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공통선신호방식에 따른 교환기간 회선의 품질 분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호방식이란 통신장치간 호설정, 해제, 회선감시 등 제반통신규약으로 전화기와 교환기간 가입자선 신호방식과 전화국간 중계신호방식이 있다.
가입자선 신호방식은 신호처리에 있어 단순성과 표준화가 요구되는 채널결합방식이 사용되고, 국간 신호방식은 채널결합 방식에서 공통선 신호 방식으로 발전되었다.
채널결합방식은(CAS)은 음성과 신호를 동일한 채널을 통하여 전송하는 방식이고, 공통선 신호 방식은(CCS:Common Channel Signaling)은 전용 신호 링크를 이용하여 다수의 통화 회선 접속에 필요한 패킷 정보를 운반하는 방식이다.
공통선신호 방식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통선신호 방식의 표준 종류로는 No.6와 No.7이 있다.
No.6는 회선 교환중심의 전화 서비스용으로 사용되며, 신호규격이 28비트로 고정되어 있다.
No.7은 신호정보길이가 가변되며, OSI 계층구조를 제공하고, 음성전화, ISDN, 이동전화, 데이터통신서비스, 지능망 등에 이용되고, 64KBPS 패킷 단위로 신호가 전송된다.
No.7의 용도 및 장단점은 표 1과 같다.
용도 | ·기본 Call Setup, 관리, Tear Down ·Local Number Portability ·PCS와 같은 무선서비스, 무선서비스 Roaming, 가입자 인증 ·Toll-Free, 유선서비스 ·Call forwarding, 그룹이름 호출, three-wat calling 같은 향상된 콜기능 ·효과적이고 안전한 통신 ·네트워크관리 NMS, TMN, 지능망 등 |
장점 | ·음성에 의한 신호방해 및 오동작 방지 ·신호용량이 풍부하므로 미래수용에 대처가능 ·신속한 호접속으로 Post Dialing Delay 감소 ·축적프로그램제어통신망 실현 ·새로운 서비스 도입에 융통성이 큼 ·신호정보의 다양화 ·경제성이 좋음 ·신호처리시간, 호접속 및 응답지연시간 단축 ·에러검출 및 수정기능에 의한 신뢰성 제고 ·망관리 및 유지보수 신호의 송수신으로 망관리의 효율화 ·특정 신호음 송출에 의한 전송로 시험으로 통화품질 향상 ·소프트웨어에 의한 신호변경 및 추가로 융통성 제고 ·중계선 점유 시간 단축에 의한 중계선 효율제고 |
단점 | ·전용신호 회선의 신뢰도 요구로 데이터 회선의 이중화 ·통화회선에 신호가 통하지 않으므로 통화로 연속성 점검필요 ·충분한 신뢰도를 향상 유지시키기 위한 에러제어 기술 필요 |
상기와 같은 공통선 신호 방식 시스템에서, 각 시스템간 No.7 신호 송수신 중 시스템 운용 터미널 또는 민원을 통해 문제가 통보되었을 때 분석 장치를 물려 현상을 파악하고 그 구체적인 원인을 찾았다.
도 1은 일반적인 공통선신호 방식에 따른 교환기간 회선 품질 분석 장치를 시스템에 연결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각 시스템 A, B(10,20)의 공통선 신호 방식으로 송수신되는 SS7 모듈(11,21)간의 회선 품질 분석을 위해, 문제 발생시 No.7 품질 분석 장 치(30)를 SS7 모듈(11,21) 회선에 직접 연결한다.
그러나, 상기 방식은 동시에 1개 이상의 신호 링크분석이 불가능한 단순한 메시지 트레이스 개념이므로, 계층 2 및 계층 3의 메시지를 사용자가 직접 확인하고, 문제의 원인을 판단하여야 했다. 이에 따라 문제 분석을 위해 투여되는 시간과 노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종래에 분석 장치를 항상 시스템에 물려놓는 방식이 제안되었는데,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공통선 신호 방식의 교환기간 회선 품질 분석 장치에 관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분석 장치가 항상 시스템에 물려있으므로 장비를 연결하기 위한 시간에 낭비되던 종래의 문제점은 다소 해결될 수 있었으나, 이 방식 역시 1개 신호 링크 분석에 국한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고, 메시지를 트레이스 하여야 하므로 문제 분석에 투여되는 시간이 낭비된다는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공통선 신호 방식의 신호 링크 대상을 다수개의 포트를 수용할 수 있도록 확장시키고, 분석 장비 연결시점부터 저장 용량이 수용할 만큼의 기간동안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하여, 온라인 및 오프라인 상태에서도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장애 분석을 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통선신호방식에 따른 교환기 간 회선의 품질 분 석 장치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분석 장비의 메시지의 내용 및 호처리 과정을 능동적으로 분석하여 호 완료율 및 각종 통계 정보를 사용자의 요구 조건에 따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통선 신호 방식에 따른 교환기 간 회선의 품질 분석 장치는 공통선 신호 방식에 따른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교환기의 SS7 모듈과 교환기의 스위치부 사이에서 No.7 신호를 추출하는 정합부와, 상기 정합부에서 추출한 상기 No.7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와, 상기 신호 수신부로 수신된 No.7 신호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분석 및 통계처리하는 응용프로그램과, 상기 신호 수신부와 상기 응용프로그램간의 데이터를 인터페이싱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분석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를 구비하며, 상기 정합부는, 상기 교환기 내의 타임 스위치와 SS7 모듈을 인터페이스싱하는 타임 스위치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타임 스위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No.7 신호를 설정된 채널별로 재정렬하여 상기 신호 수신부에서 수신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수신부는 다수개의 채널 중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선택된 수신 채널을 통해 No.7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정합부로부터 모든 수신 채널을 통해 모든 No.7 신호를 직렬 방식으로 수신하여 병렬 방식으로 변환한 뒤 상기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수신부는 다수개의 채널 중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선택된 수신 채널을 통해 No.7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정합부로부터 모든 수신 채널을 통해 모든 No.7 신호를 직렬 방식으로 수신하여 병렬 방식으로 변환한 뒤 상기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살펴보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통선 신호 방식의 교환기간 회선 품질 분석 장치에 관한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교환기간 회선 품질 분석 장치를 교환 시스템에 연결하기 위해 먼저 교환 시스템(100)의 SS7 모듈(110)과 스위치부(120)간의 신호를 정합하기 위해 정합부(130)를 연결하며, 정합부(130)에 No.7 품질 분석 장치(200)를 연결한다.
이때 정합부(130)와 No.7 품질 분석 장치(200)는 E1으로 연결된다.
이하, 상기의 회선 품질 분석 장치를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3의 회선 품질 분석 장치의 상세 블럭도이다.
상기 정합부(130)는 교환 시스템 내 스위치부(120)와 SS7 모듈(110)간 접속신호에 인해 캐스케이드(cascade) 형태로 인터페이싱하는 타임 스위치 인터페이스부(131)와, 상기 타임 스위치 인터페이스부(131)로부터 전송받은 신호를 16개 채널씩 채널을 재정렬하여 E1 신호로 변환하는 E1 신호 변환부(132)를 포함한다.
상기 타임 스위치 인터페이스부(131)는 RS-422로 인터페이싱하고, 수신 신호종류는 TXD, RXD,CLK, FS가 있다.
상기 E1 신호 변환부(132)는 교환기 기종에 따라 표 2와 같이 채널을 재정렬한다.
기종 | 2.048Mbps 당 입력 신호 링크수 | E1 신호당 신호링크할당 |
TDX-10계열 | 16(CH0~CH15) | CH1~CH16 |
D사 | 32(CH0~CH31) | CH1~CH16 |
C사 | 8(CH0~CH7) | CH1~CH16 |
상기 No.7 품질 분석 장치(200)는 E1 신호 변환부(132)로부터 전송된 E1 신호에서 최대 128개 No.7 신호 링크를 동시에 수신하는 E1 신호 수신부(210)와, 상기 E1 신호 수신부(210)를 초기화하고 버퍼(미도시)를 통해 No.7 데이터를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 S/W 인터페이스부(220)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S/W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를 해당 프로토콜 별로 신호 메시지를 분석하고, 운용자의 요구에 따라 해당 프로토콜별 통계 및 추가 정보를 검출하도록 프로그램된 어플리케이션 S/W(230)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S/W(230)의 제어에 따른 결과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250)를 포함한다.
상기 E1 신호 수신부(210)는 정합부(130)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직렬 방식으로 모두 수신하여, 병렬 방식으로 변환한 뒤 어플리케이션 S/W 인터페이스부(220)로 전송한다.
어플리케이션 S/W 인터페이스부(220)는 윈도우 환경의 DLL 형태로 동작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품질 분석 장치 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정합부(130)에 의해 분석 대상 시스템으로부터 No.7 계층 2 및 계층 3 데이터를 유실없이 수신 가능하다. 이렇게 수신된 데이터는 최종적으로 어플리케이션 S/W(230)로 전달되다.
어플리케이션 S/W(230)는 No.7 데이터가 수신되기 까지 신호 링크 속도변환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운용자가 어플리케이션 S/W(230)를 실행 및 제어하여 분석 대상 No.7 신호 링크의 수를 결정할 수 있으며, 서버 내 DLL 프로그램이 E1 신호 수신부(210)의 특정 채널 수신처리를 제어한다.
최소 1개에서 128개 신호를 동시에 온라인으로 분석 및 통계 처리할 수 있다.
단순한 신호 링크의 상태 표시 및 메시지 출력뿐만 아니라, 신호점, 신호링크, PCM 회선 식별부호(CIC) 별로 각종 통계 및 알람을 발생시키고, 중계선의 평균 보류 시간 을 측정하며, 호 단위의 데이터를 저장 및 조회할 수 있다.
또한 각 신호링크의 FSN(Forward Sequence Number) 및 BSN(Backward Sequence Number)의 연속성을 체크하여 신호 링크의 물리적인 장애 상태를 간접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BSN은 수신된 신호 모듈의 ACK으로 사용될 수 있고, FSN은 바로 전에 보낸 신호 모듈의 FSN의 값을 가지며 증가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분석 장치를 분석 대상 시스템에 장시간 연결하여 일정한 주기로 신호링크의 상태 및 호 완료율을 모니터하여 비정상적으로 완료율이 저하된 구간 또는 신호 링크를 집중 분석할 수 있도록 해주므로, 분석 대상 시스템의 장애 분석을 손쉽게 할 수 있고, 시스템 운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 공통선 신호 방식에 따른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교환기의 SS7 모듈과 교환기의 스위치부 사이에서 No.7 신호를 추출하는 정합부와,상기 정합부에서 추출한 상기 No.7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와,상기 신호 수신부로 수신된 No.7 신호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분석 및 통계처리하는 응용프로그램과,상기 신호 수신부와 상기 응용프로그램간의 데이터를 인터페이싱하는 인터페이스부와,상기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분석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를 구비하며,상기 정합부는,상기 교환기 내의 타임 스위치와 SS7 모듈을 인터페이스싱하는 타임 스위치 인터페이스부와,상기 타임 스위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No.7 신호를 설정된 채널별로 재정렬하여 상기 신호 수신부에서 수신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를 포함하는 공통선신호방식에 따른 교환기 간 회선의 품질 분석 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수신부는,다수개의 채널 중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선택된 수신 채널을 통해 No.7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선신호방식에 따른 교환기 간 회선의 품질 분석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수신부는,상기 정합부로부터 모든 수신 채널을 통해 모든 No.7 신호를 직렬 방식으로 수신하여 병렬 방식으로 변환한 뒤 상기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선신호방식에 따른 교환기 간 회선의 품질 분석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99035A KR100642498B1 (ko) | 2004-11-30 | 2004-11-30 | 공통선신호방식에 따른 교환기 간 회선의 품질 분석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99035A KR100642498B1 (ko) | 2004-11-30 | 2004-11-30 | 공통선신호방식에 따른 교환기 간 회선의 품질 분석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60143A KR20060060143A (ko) | 2006-06-05 |
KR100642498B1 true KR100642498B1 (ko) | 2006-11-10 |
Family
ID=37157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99035A KR100642498B1 (ko) | 2004-11-30 | 2004-11-30 | 공통선신호방식에 따른 교환기 간 회선의 품질 분석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42498B1 (ko) |
-
2004
- 2004-11-30 KR KR1020040099035A patent/KR10064249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60143A (ko) | 2006-06-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085677B2 (en) | Remote testing and monitoring to a cell site in a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 |
US20110019806A1 (en) | Method and system for switching voice service between different networks, and customer premises equipment | |
US10110750B2 (en) | Central station connectivity | |
US20130235867A1 (en) | Hybrid type telephony system | |
KR100355252B1 (ko) | 디지탈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 |
KR100642498B1 (ko) | 공통선신호방식에 따른 교환기 간 회선의 품질 분석 장치 | |
EP0969689A2 (en) | Switching internet traffic through digital switches having a time slot interchange network | |
Cisco | Call control interface configuration | |
US7856009B2 (en) | VoIP gateway apparatus | |
KR101050937B1 (ko) | 차세대 통신망의 호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 |
US6353595B1 (en) | Method and configuration for the network-wide analysis of connections in telecommunications networks | |
KR101002678B1 (ko) | VoIP 게이트웨이 및 그 음성 통화로 시험방법 | |
KR0146547B1 (ko) | 패킷 중계호에서의 리셋 프로토콜 처리 방법 | |
CN108769441B (zh) | 软交换通话方法和系统 | |
CN101192893B (zh) | 支持数字电路倍增技术的下一代网络系统及其通信方法 | |
KR101134723B1 (ko) | 광대역 통신망에서의 교환 시스템 및 그 교환 시스템에서의호 상태 일치 방법 | |
KR100266259B1 (ko) | 프레임 핸들러 모듈에서의 데이터 전송 장치 | |
KR100347320B1 (ko) | 데이지 체인을 이용한 제어국과 기지국 링크 연결 장치 | |
KR100219945B1 (ko) | Tdx-100 교환기의 시스템 구조 | |
WO2003079658A1 (fr) | Procede de transmission de donnees et dispositif de transmission | |
JP3689036B2 (ja) | 構内交換装置 | |
KR101232255B1 (ko) | E1단위 전송로의 고장구간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20130086823A (ko) | Ip기반의 베어러 독립 호 제어 환경에서 장애감지를 위한 방법 및 장치 | |
JPS62178049A (ja) | 呼の通過ル−ト情報収集方式 | |
KR20000015564A (ko) | 이동 통신 교환 시스템의 호 해제 사유 전달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