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1982B1 - Fiber reinforced polymer composite deck of hallow section having defrost system using heated air and bridge with such deck - Google Patents

Fiber reinforced polymer composite deck of hallow section having defrost system using heated air and bridge with such de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1982B1
KR100641982B1 KR1020060008486A KR20060008486A KR100641982B1 KR 100641982 B1 KR100641982 B1 KR 100641982B1 KR 1020060008486 A KR1020060008486 A KR 1020060008486A KR 20060008486 A KR20060008486 A KR 20060008486A KR 100641982 B1 KR100641982 B1 KR 100641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hollow
fiber reinforced
reinforced composite
ho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84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성우
허영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이성우
주식회사 건일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이성우, 주식회사 건일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Priority to KR1020060008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198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1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19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1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by application of heat for melting snow or ice, whether cleared or not, combined or not with clearing or removing mud or water, e.g. burners for melting in situ, heated clearing instruments; Cleaning snow by blowing or suction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4Concrete reinforced with glass fib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A fiber reinforced composite floor plate adopting a snow-removing and defrosting system using hot blast and a bridge structure having the same are provided to easily clean the snow lai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by blowing the hot blast into hollows of the floor plate tube and heating the composite floor plate. A fiber reinforced composite floor plate(1) adopting a snow-removing and defrosting system using hot blast is manufactured by placing floor plate tubes having plural hollows(11) to the throttled rectangular direction and assembling the floor plate tubes in parallel. The side of the fiber reinforced composite floor plate contains a finishing channel member(20) covering the outer part of the opened surface of the hollows of the tubes, and a side ventilation channel(22) formed by a ventilation guide film(21) dividing the inside of the finishing channel member. The hot blast flowing through an inlet port(23) of the side ventilation channel passes through the ventilation path and heats the fiber reinforced composite floor plate.

Description

열풍을 이용한 제설 및 해빙 시스템을 적용한 중공단면의 섬유강화 복합소재 바닥판 및 이를 구비한 교량 구조물{Fiber Reinforced Polymer Composite Deck of Hallow Section Having Defrost System Using Heated Air and Bridge with such Deck}Fiber Reinforced Polymer Composite Deck of Hallow Section Having Defrost System Using Heated Air and Bridge with such Dec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설 및 해빙기능을 가진 섬유강화 복합소재 바닥판을 구비한 교량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bridge having a fiber reinforced composite bottom plate having a snow removal and thaw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내지 도 2c는 각각 중공을 가진 복합소재 튜브를 결합하여 본 발명의 섬유강화 복합소재 바닥판을 이루게 되는 구조의 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Figure 2a to 2c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structure to form a fiber-reinforced composite bottom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mbining the composite tube each having a hollow.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도 1의 선A-A 및 선B-B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c는 도 3a의 원C의 상세도이다. 3A and 3B are 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lines A-A and B-B in Fig. 1, respectively, and Fig. 3C is a detail view of circle C in Fig. 3A.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섬유강화 복합소재 바닥판의 평면도이다. Figure 4a is a plan view of a fiber reinforced composite bottom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 4b 및 도 4c는 각각 도 4a와는 다른 형태의 통풍로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강화 복합소재 바닥판의 평면도이다. 4B and 4C are plan views of the fiber reinforced composite floor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having a ventilation path different from that of FIG. 4A.

도 5a는 도 4a 내지 도 4c의 원E의 부분상세도이다. 5A is a partial detail of circle E of FIGS. 4A-4C.

도 5b는 도 3b의 원D의 상세도이다. FIG. 5B is a detail view of circle D in FIG. 3B.

도 6은 특허출원 제2003-37663호로 출원한 공법에 의하여 시공된 복합소재 바닥판 교량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FIG. 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omposite deck plate bridge constructed by a method filed in Patent Application No. 2003-37663.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0 바닥판 튜브 30 주형10 bottom plate tube 30 mold

본 발명은 열풍을 이용한 제설 및 해빙 시스템을 적용한 중공단면의 섬유강화 복합소재 바닥판 및 이를 구비한 교량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중공단면을 가진 섬유강화 복합소재로 제작된 프리캐스트 바닥판(이하, "복합소재 바닥판"이라고 약칭한다)을 이루는 바닥판 튜브에 형성된 중공에 열풍을 불어 넣음으로써 바닥판 상부에 쌓인 눈이나 빙판을 녹일 수 있는 열풍을 이용한 제설 및 해빙 시스템을 적용한 중공단면의 섬유강화 복합소재 바닥판 및 이를 구비한 교량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ber-reinforced composite bottom plate of a hollow section and a bridge structure provided with the same, and specifically, a precast bottom plate made of a fiber-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having a hollow section. Hereinafter, the hollow section of the hollow section to which the snow and ice sheets which melt the snow or ice accumulated on the bottom plate is melted by blowing hot air into the hollow formed in the bottom plate tube which is abbreviated as "composite bottom plat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ber reinforced composite bottom plate and a bridge structure having the same.

동절기에 교량의 노면에 눈이 쌓이거나 결빙이 되는 경우, 이를 제거하는 방법은 염화칼슘 등을 살포하는 것이다. 그러나 염화칼슘의 사용은 환경오염을 야기하게 된다. 또한 염화칼슘은 차량을 부식시킬 뿐만 아니라, 교량의 포장면 및 콘크리트 바닥판을 열화시키게 된다. 특히 철근 콘크리트로 제작된 바닥판의 경우에 는, 바닥판에 존재하는 균열을 통하여 염화칼슘이 바닥판의 내부로 침투하여 철근을 부식시킬 수 있는데, 이런 경우 바닥판 자체의 구조적인 성능을 저하시켜 교량에 심각한 손상을 야기하게 되며, 그 결과 교량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된다. 또한 눈이 녹으면 녹은 눈이 다시 결빙되어 빙판을 이루게 되고, 결빙된 얼음은 염화칼슘으로 녹일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렇게 바닥판 상부가 결빙되면 교통사고를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제설뿐만 아니라 결빙상태를 없앨 수 있는 해빙이 반드시 필요하지만 염화칼슘으로는 이를 모두 달성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If snow accumulates or freezes on the road surface in winter, the method of removing it is to spray calcium chloride. However, the use of calcium chloride causes environmental pollution. Calcium chloride not only corrodes the vehicle, but also degrades the pavement and concrete deck of the bridge. 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floor plate made of reinforced concrete, calcium chloride can penetrate the inside of the floor plate through corrosion in the floor plate and corrode the reinforcing steel bar. Serious damage to the bridge, resulting in a shorter bridge life. Also, when the snow melts, the melted snow is frozen again to form an ice shee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rozen ice cannot be melted with calcium chloride. When the upper part of the bottom plate is frozen, it causes a traffic accident. Therefore, not only snow removal but sea ice that can eliminate the freezing condition is necessary but there is a limit that cannot achieve all with calcium chloride.

이러한 염화칼슘 사용의 대안으로서 종래에는 교량의 바닥판 내부에 전기적인 열선을 깔아 바닥판 자체를 가열하여 해빙하려는 아이디어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열선을 이용한 해빙구조에서는 차량 통행으로 인하여 전기적인 열선이 단선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되는데, 열선이 단선되는 경우에는 해빙기능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이와 같이 열선이 손상되더라도 손상된 열선을 찾아내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손상된 열선을 보수하기 위해서는 교량 바닥판 자체를 부분 파손시켜야 하기 때문에 손상된 열선의 보수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러한 이유로 열선을 이용하여 교량에 해빙기능을 부여하려는 시도는 거의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As an alternative to the use of calcium chloride, the idea of heating and melting the bottom plate itself has been proposed in the past by laying an electric heating wire inside the bottom plate of the bridge. However, in the sea ice structure using the hot wires, electric heating wires are often disconnected due to vehicle traffic, and when the hot wires are disconnected, the thawing function is sharply degraded. In particular, even if the hot wire is damaged, it is difficult to find the damaged hot wire, and in order to repair the damaged hot wire, the bridge bottom plate itself must be partially broken, so repair of the damaged hot wire is virtually impossible. For this reason, attempts to impart a thawing function to bridges using hot wires are rarely put to practical use.

한편, 최근에는 콘크리트 바닥판이 가지는 여러 가진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복합소재 바닥판을 이용한 교량이 제안되어 실용화되고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자가 개발하여 특허출원 제2003-37663호로 출원한 공법에 의하여 시공된 복합소재 바닥판 교량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복합소재 바닥판 교 량에 있어서도 종래와 마찬가지로 동절기에 교량 노면의 결빙이나 적설에 따른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는데, 앞서 살펴본 것처럼 염화칼슘을 사용하거나 또는 열선을 사용하는 종래의 제설 및 해빙방법의 경우에는 여러 가지 문제가 있는 바, 복합소재 바닥판 교량에 적합하면서도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제설 및 해빙 방법을 적극 모색하게 되었다. 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in order to solve the various disadvantages of the concrete deck, a bridge using a composite deck is proposed and put to practical use. Figure 6 show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omposite deck plate bridge developed by the present inventors and applied by a method filed in Patent Application No. 2003-37663. In the case of the composite deck plate bridge as well as in the winter, there may be a problem due to freezing or snowing of the road surface in the winter,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snow removal and thawing method using calcium chloride or hot wire Since there are several problems, it has been actively seeking new snow removal and thawing methods that are suitable for composite deck bridges and can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은, 교량의 노면에 쌓인 눈을 제설하거나 결빙된 것을 해빙함에 있어서 염화칼슘이나 열선을 이용한 종래의 방법이 가지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전혀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서도 친환경적이고, 제설뿐만 아니라 해빙 기능도 발휘하며, 제설 및 해빙을 위한 시스템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우수한 제설 및 해빙효율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복합소재 바닥판 및 이를 구비한 교량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environmentally friendly, exhibits not only snow removal but also a thawing function, without causing various problems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using calcium chloride or hot wire in removing snow or frozen ice accumulated on the road surface of a bridg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ew composite deck plate and a bridge structure having the same, which are easy to maintain the system for snow removal and thawing, and which can exhibit excellent snow removal and thawing efficiency.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중공을 가진 바닥판 튜브를 교축직각 방향으로 배치하고 교축방향으로 각 바닥판 튜브의 측면끼리 서로 결합되도록 병렬로 일체 연결 조립함으로써 제작된 섬유보강 복합소재 바닥판으로서, 상기 섬유보강 복합소재 바닥판의 측면에는, 상기 바닥판 튜브의 중공 개방면 외측으로 소정의 공간을 이루는 형태로 감싸는 마감채널부재, 및 상기 마감채 널부재의 내부를 구획하는 통풍유도막에 의하여 측면통풍채널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통풍채널과 상기 바닥판 튜브의 중공은 열풍이 흐르는 통풍로를 형성하여, 상기 측면통풍채널의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열풍이 상기 통풍로를 따라 흐르면서 섬유보강 복합소재 바닥판을 가열하여 제설 및 해빙 기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을 이용한 제설 및 해빙 시스템을 적용한 중공단면의 섬유강화 복합소재 바닥판이 제공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iber reinforced composite fabricated by arranging the bottom plate tube having a plurality of hollows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and assembling integrally assembled in parallel so as to be coupled to each other side of the bottom plate tube in the axial direction As the material bottom plate, the side surface of the fiber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bottom plate, the finishing channel member wrapped in the form of a predetermined space outside the hollow opening surface of the bottom plate tube, and the ventilation partitioning the interior of the finishing channel member A side ventilation channel is formed by an induction membrane, and the hollow of the side ventilation channel and the bottom plate tube forms a ventilation path through which hot air flows, and hot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of the side ventilation channel is along the ventilation path. While flowing, the fiber reinforced composite base plate is heated to exhibit snow removal and thawing functions. The bottom plate is a composite material of fiber-reinforced hollow section, and applying the snow melting system using hot air,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측면통풍채널에는 그 외측에 순환채널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바닥판 튜브의 중공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열풍이 상기 순환채널을 통하여 다시 순환하여 가열기를 통하여 유입되는 열풍과 혼합되어 다시 바닥판 튜브의 중공으로 유입되는 재순환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을 이용한 제설 및 해빙 시스템을 적용한 중공단면의 섬유강화 복합소재 바닥판제설 및 해빙기능을 가진 섬유보강 복합소재 바닥판이 제공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side ventilation channel is formed with a circulation channel on the outside thereof, the hot air discharged through the hollow of the bottom plate tube is circulated again through the circulation channel and introduced through the heater. Fiber-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with hollow section of fiber-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with snow removal and thawing system using hot ai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recirculation structure that is mixed with the hot air and flows back into the hollow of the bottom plate tube. A bottom plate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복합소재 바닥판을 소정 개수의 바닥판 튜브를 가지는 유닛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유닛에 유입구 및 유출구를 형성하여, 각각의 유닛에 유입구 및 유출구를 형성하여, 중공을 지나 유출구로 배출되는 열풍이 다시 가열, 순환하여 각각의 유닛의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어 다시 바닥판 튜브의 중공을 통하여 소통되도록 하는 재순환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을 이용한 제설 및 해빙 시스템을 적용한 중공단면의 섬유강화 복합소재 바닥판제설 및 해빙기능을 가진 섬유보강 복합소재 바닥판이 제공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composite bottom plate is divided into units hav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bottom plate tubes, and inlet and outlet are formed in each unit, thereby forming inlet and outlet in each unit. , Snow and snow thawing system using a hot ai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recirculation structure to be heated and circulated again through the hollow through the hollow of the bottom plate tube flows again through the inlet of each unit Provided is a fiber reinforced composite bottom plate having a hollow section and a fiber reinforced composite bottom plate having a thawing function.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구성에서 바닥판 튜브의 일측에는 중공으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을 수집하는 수집채널이 구비되어 있어, 중공을 지나온 열풍을 상기 수집채널로 수집하여 다시 가열기로 보내어 재가열한 후 다시 바닥판 튜브로 보내는 순환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을 이용한 제설 및 해빙 시스템을 적용한 중공단면의 섬유강화 복합소재 바닥판이 제공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of the bottom plate tube in the above configuration is provided with a collecting channel for collecting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hollow, collect the hot air passing through the hollow collecting channel to the collection channel again to the heater to reheat and then back to the bottom Provided is a hollow reinforced fiber-reinforced composite bottom plate applying a snow removing and thawing system using hot air, characterized by having a circulation structure sent to a plate tube.

본 발명에서는 복수 개의 중공을 가진 바닥판 튜브를 교축직각 방향으로 배치하고 교축방향으로 각 바닥판 튜브의 측면끼리 서로 결합되도록 병렬로 일체 연결 조립함으로써 제작된 섬유보강 복합소재 바닥판과, 상기 섬유보강 복합소재 바닥판과 일체로 결합되는 주형을 포함하는 교량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섬유보강 복합소재 바닥판의 측면에는, 상기 바닥판 튜브의 중공 개방면 외측으로 소정의 공간을 이루는 형태로 감싸는 마감채널부재 및 상기 마감채널부재의 내부를 구획하는 통풍유도막에 의하여 측면통풍채널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통풍채널과 상기 바닥판 튜브의 중공은 열풍이 흐르는 통풍로를 형성하여, 상기 측면통풍채널의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열풍이 상기 통풍로를 따라 흐르면서 섬유보강 복합소재 바닥판을 가열하여 제설 및 해빙 기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을 이용한 제설 및 해빙 시스템을 적용한 중공단면의 섬유강화 복합소재 바닥판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이 제공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fiber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bottom plate produced by arranging the bottom plate tube having a plurality of hollows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axis and integrally connected and assembled in parallel so that the sides of each bottom plate tube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fiber reinforcement In the bridge structure comprising a mold integrally coupled with the composite bottom plate, the side of the fiber reinforced composite bottom plate, the finishing channel member wrapped in a form forming a predetermined space outside the hollow open surface of the bottom plate tube And a side ventilation channel formed by a ventilation guide film partitioning the interior of the finishing channel member, wherein the side ventilation channel and the hollow of the bottom plate tube form a ventilation path through which hot air flows, thereby providing an inlet of the side ventilation channel. Hot air flowing through the air flows along the ventilation path to heat the fiber reinforced composite base plate. The bridge structure with the bottom of the hollow section fiber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plate, and applying the snow melting system using hot air, characterized in that to exert the snow and ice function is provided.

상기 본 발명의 교량 구조물에서는, 상기 복합조새 바닥판과 주형은, 전단연결재가 바닥판 튜브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단연결재 삽입 부분의 바닥판 튜브 내측을 충진재로 채우는 연결구조에 의하여 서로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연결구조가 형성된 부분에서도 교축 직각 방향으로 상기 충진재를 지나서 열풍이 소통할 수 있도록 관부재가 상기 충진재 내에 매립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In the bridg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site bird bottom plate and the mold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structure for filling the bottom plate tube inside of the shear connector insert portion with the filler in a state where the shear connector is inserted inside the bottom plate tube. Coupled, even in a portion where the connection structure is formed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tube member is embedded in the filler so that hot air can communicate through the filler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axis.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a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설 및 해빙기능을 가진 섬유강화 복합소재 바닥판(1)(이하, "복합소재 바닥판"이라고 약칭한다)을 구비한 교량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a 내지 도 2c에는 각각 중공을 가진 복합소재 튜브를 결합하여 본 발명의 복합소재 바닥판(1)을 이루게 되는 구조의 예를 보여주는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에는 각각 도 1의 선A-A 및 선B-B에 따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c에는 도 3a의 원C의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다. Figure 1 show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bridge with a fiber reinforced composite bottom plate 1 (hereinafter abbreviated as "composite bottom plate") having a snow removal and thaw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A to 2C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 structure in which the composite bottom plat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combining the composite tubes each having a hollow. 3A and 3B show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s A-A and B-B of FIG. 1, respectively, and FIG. 3C shows a detail of circle C of FIG. 3A.

도 1,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것처럼 복합소재 바닥판(1)은 복수 개의 중공(11)을 가진 바닥판 튜브(10)를 교축직각 방향으로 배치하고 교축방향으로 각 바닥판 튜브(10)의 측면끼리 서로 결합되도록 병렬로 일체 연결 조립함으로써 제작된다. 상기 바닥판 튜브(10)는 폴리에스터, 비닐에스터, 패놀 또는 에폭시로부터 선택되는 수지와, 유리섬유로 제작된다. 이와 같이 바닥판 튜브(10)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상기 복합소재 바닥판(1)은 교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주형(30) 위에 설치되어 주형(30)과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교량을 형성하게 된다. As shown in FIGS. 1 and 2A to 2C, the composite bottom plate 1 includes a bottom plate tube 10 having a plurality of hollows 11 arranged in an orthogonal direction and each bottom plate tube 10 in an axial direction. Side) are manufactured by integrally connecting and assembled in parallel to be coupled to each other. The bottom plate tube 10 is made of a glass fiber and a resin selected from polyester, vinyl ester, panol or epoxy. Thus, the composite bottom plate (1) made of a combination of the bottom plate tube 10 is installed on the mold 30 disposed in the axial direction to be integrally combined with the mold 30 to form a bridge.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이 복합소재 바닥판(1)을 이루는 바닥판 튜브(10)의 중공(11) 내부에 열풍을 유동시켜 상기 바닥판(1)이 더워지도록 함으로써 바닥판(1) 상면에 쌓인 눈이나 결빙된 것을 제설/해빙하게 된다. 즉, 바닥판 튜브(10)의 중공(11)이 열풍통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t air flows inside the hollow 11 of the bottom plate tube 10 forming the composite bottom plate 1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bottom plate 1 is heated to be stacked on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 Snow or thaw snow or ice. That is, the hollow 11 of the bottom plate tube 10 forms a hot air passage.

본 발명에서는 바닥판 튜브(10)의 중공(11)을 따라 흐른 열풍을 순환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복합소재 바닥판(1)의 양측에 도 3a 및 도 3c에 도시된 것처럼 영풍이 소통할 수 있는 측면통풍채널(22)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닥판 튜브(10)의 중공(11) 개방면 외측으로 소정의 공간을 이루는 형태로 감싸는 마감채널부재(20)를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마감채널부재(2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이 바로 측면통풍채널(22)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상기 마감채널부재(20)의 내측에는 통풍채널을 구획하는 통풍유도막(21)이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통풍유도막(21)의 배치 위치는 후술하는 것처럼 통풍로를 어떻게 구성할 것인지에 따라 달라진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irculate the hot air flows along the hollow 11 of the bottom plate tube 10 side to the sides of the composite bottom plate (1) as shown in Figure 3a and 3c side can communicate The ventilation channel 22 is formed. Specifically, the closing channel member 20 is installed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outside the hollow 11 opening surface of the bottom plate tube 10, the space formed by the closing channel member 20 This is to form a side ventilation channel (22). Inside the finishing channel member 20, a ventilation guide film 21 for partitioning the ventilation channel is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ventilation guide film 21 depends on how to configure the ventilation path as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복합소재 바닥판(1)의 일측 모서리에서 상기 마감채널부재(20)에는 외부로부터 송풍되어 오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23)가 형성되어 있다. 교량의 적절한 위치에 가열기(도시되지 않음)를 설치하여 열풍을 형성하게 되면, 열풍은 상기 유입구(23)를 통하여 측면통풍채널(22)로 들어오게 되고, 상기 중공(11)을 따라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소정 온도로 데워진 열풍이 중공(11)을 따라 흐르게 되면, 이러한 열풍의 열기에 의하여 복합소재 바닥판(10)의 상부 즉, 교량의 상면에 쌓인 눈이나 결빙이 자연스럽게 녹게 된다. 도 1에서 화살표로 도시된 것처럼, 유출구(24)를 통하여 배출되는 열풍은 후술하는 형태의 채널이나 별도의 도관, 또는 기타 다른 배관 구성을 통하여 회수되어 재가열된 후 다시 공급되어 재활용될 수 있다. At one side edge of the composite bottom plate 1, the finishing channel member 20 is formed with an inlet 23 through which air is blown from the outside. When a heater (not shown) is install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of the bridge to form hot air, the hot air enters the side vent channel 22 through the inlet 23 and flows along the hollow 11. When the hot air warm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n this way flows along the hollow 11, snow or ice accumul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mposite bottom plate 10,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naturally melts by the hot air. As shown by the arrows in FIG. 1, the hot ai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24 may be recovered, reheated and recycled through a channel, a separate conduit, or other piping configura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다음에서는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열풍이 흐르는 통풍로의 다양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복합소재 바닥판(1)의 평면도이고, 도 4b 및 도 4c는 도 4a와 마찬가지로 복합소재 바닥판(1)의 평면도이나, 도 4a와는 다른 형태의 통풍로를 가지는 일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에서 부재번호 14로 표시된 점선은 바닥판 튜브(1)의 내부에서 중공(11)을 형성하는 내부 복부판(12)(도 2a 및 도 2b 참조)의 위치를 나타내며, 부재번호 15로 표시된 실선은 바닥판 튜브(1) 사이의 결합부(15)를 나타낸다. Next, various structures of a ventilation path through which hot air flow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A to 4C. 4A is a plan view of the composite bottom plate 1 shown in FIG. 1, and FIGS. 4B and 4C are top views of the composite bottom plate 1 similar to FIG. 4A, but have a ventilation path different from that of FIG. 4A.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The dotted lines marked with reference numeral 14 in FIGS. 4A-4C indicate the position of the inner abdominal plate 12 (see FIGS. 2A and 2B) forming the hollow 11 inside the bottom plate tube 1, and reference numeral 15. The solid line marked with denotes the coupling part 15 between the bottom plate tube 1.

우선 도 4a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복합소재 바닥판(1)의 일측면에서 상기 마감채널부재(20)의 유입구(23)를 통하여 유입되는 열풍은 화살표로 표시된 것처럼, 바닥판 튜브(10)의 중공(11)을 좌우로 왕복하여 지나간 후 유출구(24)를 통하여 배출된다. 교축방향으로 복합소재 바닥판(1)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소정 개수의 바닥판 튜브(10)를 하나의 유닛으로 구획하고, 각각의 유닛에 별도로 유입구(23)와 유출구(24)를 형성하여 열풍이 유동하는 거리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First,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4a, the hot air flowing through the inlet port 23 of the closing channel member 20 in one side of the composite bottom plate 1, as indicated by the arrow, the bottom plate tube (10) After passing through the hollow 11 of the right and left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24). When the length of the composite bottom plate 1 is long in the axial direction, a predetermined number of bottom plate tubes 10 are partitioned into one unit, and inlets 23 and outlets 24 are separately formed in each unit. The distance which hot air flows can be adjusted suitably.

한편, 도 4b에 도시된 것처럼, 유출구(24)를 유입구(23) 방면으로 설치하여 몇 개의 바닥판 튜브(10)를 하나의 유닛으로 구획하여 순환시킬 수도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4B, the outlet 24 may be installed toward the inlet 23 so that several bottom plate tubes 10 may be partitioned into one unit and circulated.

도 4c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복합소재 바닥판(1)을 소정 개수의 바닥판 튜브(11)를 가지는 유닛으로 구분하고, 각 유닛의 마지막 바닥판 튜브(10)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을, 하나의 수집채널(26)로 수집하여 다시 가열기로 보내어 다시 가열한 후 각 유닛의 시작부분 바닥판 튜브(10)로 보내어 다시 중공(11)으로 소통되도록 순환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4a 내지 도 4c의 실시예에서, 순환을 마치고 유출구(24)로 배출되는 열풍을 다시 가열한 후 유입구(23)로 재투입하므로써 열풍을 재순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4c, the composite bottom plate 1 is divided into units hav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bottom plate tubes 11, and hot air discharged from the last bottom plate tube 10 of each unit, Collected in one collection channel 26 is sent back to the heater to be heated again and then sent to the bottom plate tube 10 at the beginning of each unit has a structure to circulate back to communicate with the hollow (11). In the embodiment of Figs. 4A to 4C, it is preferable to recirculate the hot air by re-heating the hot air discharged to the outlet 24 after the circulation is finished.

위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마감채널부재(20)의 내측에 다양한 형태로 통풍유도막(21)을 배치하여 측면통풍채널(22)을 변화시킴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열풍 통풍로를 형성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form a hot air ventilation path of the various forms by changing the side ventilation channel 22 by arranging the ventilation induction film 21 in various forms on the inside of the finishing channel member 20.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가열기에 의하여 공기를 소정 온도로 가열한 상태의 열풍을 만들어서 유입구(23)로 보내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이를 변형하여 소형 가열기를 측면통풍채널(22) 내에서 바닥판 튜브(10)의 중공(11) 입구에 배치하고, 유입구(23)를 통해서는 단순히 송풍을 하여 열풍이 상기 중공(11)을 흐르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측면통풍채널(22)과 중공(11)을 흐르면서 열풍의 속도가 저하되는 경우에는 측면통풍채널(22) 내에서 중공(11) 입구 등의 소정 위치에 강제 송풍기(도시되지 않음)를 배치하여 열풍의 속도를 적정하게 유지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hot air is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y a heater and sent to the inlet port 23, which is deformed so that a small heater is provided in the bottom plate tube in the side vent channel 22. It may be disposed at the inlet of the hollow 11 of 10, and simply blows air through the inlet 23 to allow the hot air to flow through the hollow 11. In addition, when the speed of hot air decreases while flowing through the side vent channel 22 and the hollow 11, a forced blower (not shown)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such as the inlet of the hollow 11 in the side vent channel 22. The speed of hot air can also be maintained appropriately.

상기 가열기, 송풍기 등은 무선 또는 유선을 이용하여 원격제어에 의하여 그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수동은 물론이고 소정 설정치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가열기, 송풍기의 제어 방식은 공지의 다양한 기술을 이용할 수 있는 바,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The heater, blower, etc.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by remote control using a wireless or wired, it may be configured to be controlled automatically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etting as well as manual. The control method of the heater and the blower can use a variety of well-known techniques, and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복합소재 바닥판(1)을 주형(30)과 일체로 합성하기 위해서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것처럼, 주형(30)에 설치된 전단연결재(31)가 바닥판 튜브(1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단연결재(31) 삽입 부분의 바닥판 튜브(10) 내측을 충진재(32)로 채우는 연결구조를 가지게 된다. 도 5a에는 도 4a 내지 도 4c의 원E 부분상세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b에는 도 3b의 원D의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a 내지 도 4c,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것처럼, 전단연결재(31)와 연결구조가 형성되는 부분에서는 바닥판 튜브(10)의 중공(11) 일부가 교축 직각 방향으로 막혀있게 되겠지만, 하나의 바닥판 튜브(10)에는 다수개의 중공(11)이 형성되어 있고 그 중 일부 중공(11)에만 이러한 연결구조가 형성되므로 다른 개방되어 있는 중공(11)을 통하여 교축 직각방향으로 열풍이 소통하는 데는 지장이 없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ynthesize the composite bottom plate 1 integrally with the mold 30, as shown in Figure 3a and 3b, the shear connector 31 provided in the mold 30 is the inner side of the bottom plate tube (10) In the inserted state, the bottom plate tube (10) of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shear connector 31 has a connection structure to fill the filler 32. FIG. 5A shows a circle E partial detail of FIGS. 4A-4C, and FIG. 5B shows a detail of circle D of FIG. 3B. As shown in FIGS. 4A to 4C, 5A, and 5B, the hollow 11 of the bottom plate tube 10 may be block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at the portion where the connecting structure 31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are formed. Since a plurality of hollows 11 are formed in one bottom plate tube 10 and only some of the hollows 11 are formed such a connection structure, hot air communicates in a perpendicular direction through the other open hollows 11. There is nothing wrong with it.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이 연결구조에 의하여 중공(11)의 일부가 막혀있는 경우에도 열풍이 더욱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구조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것처럼, 교축 직각 방향으로 상기 충진재(32)를 지나서 열풍이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관부재(33)를 전단연결재(31)가 매립되는 충진재(32) 내에 매립시켜 놓는 구조를 더 구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관부재(33)를 매립해두면, 복합소재 바닥판(1)과 주형(30)의 전단연결을 위하여 중공(11)의 일부를 충진재(32)를 채우더라도 상기 관부재(33)를 통하여 열풍이 중공(11) 내에서 교축 직각방향으로 소통할 수 있게 되므로, 열풍이 더욱 효율적으로 순환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더욱 우수한 바닥판의 제설 및 해빙 기능이 발휘된다. 도 5a에서 부재번호 34는 충진재(32)의 충진 구역을 제한하는 폼댐부재(34)이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2개의 관부재(33)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관부재(33)의 숫자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한개 또는 두 개 이상의 복수개의 관부재(33)가 배치될 수 있다.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a part of the hollow 11 is blocked by the connection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hot air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the following structure to communicate more smoothly. That is, as shown in FIGS. 5A and 5B, the tubular member 33 is embedded in the filler 32 in which the shear connection member 31 is embedded, so that hot air can communicate through the filler 32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axis. It is to further provide a structure to make. When the pipe member 33 is embedded as described above, the pipe member 33 is filled even when a part of the hollow 11 is filled with the filler 32 for shear connection between the composite base plate 1 and the mold 30. Through the hot air is able to communicate in the orthogonal direction in the hollow 11 through, the hot air can be circulated more efficiently, thereby exhibiting a better snow removal and thawing function of the bottom plate. In FIG. 5A, reference numeral 34 denotes a foam dam member 34 that limits the filling area of the filler 32.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figure only two tube members 33 are shown, but the number of the tube member 33 is not limited to this, one or two or more of the plurality of tube members 33 may be disposed.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복합소재 바닥판(1)을 이루는 바닥판 튜브(10)의 중공(11)을 통하여 열풍을 소통시킴으로써, 복합소재 바닥판(1)을 가열하여 교량의 상면에 쌓인 눈을 녹여 제설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녹은 눈이나 기타 다른 원인으로 인하여 교량의 상면에 형성되는 결빙상태도 해빙할 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t air is communicated through the hollow 11 of the bottom plate tube 10 forming the composite bottom plate 1, thereby heating the composite bottom plate 1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Not only can the snow melt by melting snow, but it can also thaw on the top of the bridge due to melted snow or other causes.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염화칼슘을 사용하거나 또는 열선을 사용하는 종래의 제설 및 해빙방법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 불충분한 제설 및 해빙 기능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s of environmental pollution, insufficient snow removal and thawing function which occur in the conventional snow removal and thawing method using calcium chloride or hot wire.

특히, 열선을 이용하는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열선이 단선되면 이를 보수하거나 수리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단선 현상이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된다. In particular, in the prior art using a hot wire,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repair or repair it when the hot wire is disconnected, but the disconnection phenomenon does not occur at all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자유로운 변경이 가능하다.In the above described the configuration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be changed freely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5)

복수 개의 중공(11)을 가진 바닥판 튜브(10)를 교축직각 방향으로 배치하고 교축방향으로 각 바닥판 튜브(10)의 측면끼리 서로 결합되도록 병렬로 일체 연결 조립함으로써 제작된 섬유보강 복합소재 바닥판(1)으로서, Fiber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fabricated by arranging the bottom plate tube (10) having a plurality of hollow 11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and integrally assembled and assembled in parallel so that the sides of each bottom plate tube (10) in the axial direction are coupled to each other As the plate 1, 상기 섬유보강 복합소재 바닥판(1)의 측면에는, 상기 바닥판 튜브(10)의 중공(11) 개방면 외측으로 소정의 공간을 이루는 형태로 감싸는 마감채널부재(20), 및 상기 마감채널부재(20)의 내부를 구획하는 통풍유도막(21)에 의하여 측면통풍채널(22)이 형성되어 있으며, On the side of the fiber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bottom plate 1, the closing channel member 20 wrapped in a form forming a predetermined space outside the hollow 11 opening surface of the bottom plate tube 10, and the closing channel member The side ventilation channel 22 is formed by the ventilation guide film 21 partitioning the inside of the 20. 상기 측면통풍채널(22)과 상기 바닥판 튜브(10)의 중공(11)은 열풍이 흐르는 통풍로를 형성하여, 상기 측면통풍채널(22)의 유입구(23)를 통하여 유입되는 열풍이 상기 통풍로를 따라 흐르면서 섬유보강 복합소재 바닥판(1)을 가열하여 제설 및 해빙 기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을 이용한 제설 및 해빙 시스템을 가진 중공단면의 섬유강화 복합소재 바닥판. The side vent channel 22 and the hollow 11 of the bottom plate tube 10 forms a vent path through which hot wind flows, so that the hot wind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23 of the side vent channel 22 is vented. A fiber-reinforced composite bottom plate of a hollow section having a snow removal and thawing system using hot air, characterized by exhibiting snow removal and thawing functions by heating the fiber reinforced composite bottom plate (1) while flowing along a furnac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복합소재 바닥판(1)을 소정 개수의 바닥판 튜브(10)를 가지는 유닛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유닛에 유입구(23) 및 유출구(24)를 형성하여, 중공(11)을 지나 유출구(24)로 배출되는 열풍이 다시 가열, 순환하여 각각의 유닛의 유입구(23)를 통하여 유입되어 다시 바닥판 튜브(10)의 중공(11)을 통하여 소통되도록 하는 재순환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을 이용한 제설 및 해빙 시스템을 적용한 중공단면의 섬유강화 복합소재 바닥판. The composite bottom plate 1 is divided into units hav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bottom plate tubes 10, and an inlet 23 and an outlet 24 are formed in each unit, and the outlet 11 passes through the hollow 11. The hot air discharged to 24 is heated and circulated again, and i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23 of each unit to have a recirculation structure to communicate again through the hollow 11 of the bottom plate tube 10. Fiber-reinforced composite floor plate of hollow section using snow removal and thaw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복합소재 바닥판(1)을 소정 개수의 바닥판 튜브(11)를 가지는 유닛으로 구분하고, 각 유닛의 마지막 바닥판 튜브(10)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을, 하나의 수집채널(26)로 수집하여 다시 가열한 후 각 유닛의 시작부분 바닥판 튜브(10)로 보내어 다시 바닥판 튜브(10)의 중공(11)을 통하여 소통되도록 하는 재순환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을 이용한 제설 및 해빙 시스템을 적용한 중공단면의 섬유강화 복합소재 바닥판. The composite bottom plate 1 is divided into units hav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bottom plate tubes 11, and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last bottom plate tube 10 of each unit is collected into one collection channel 26. After reheating, the snow removing and thawing system using a hot ai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recirculation structure that is sent to the bottom plate tube 10 at the beginning of each unit to communicate again through the hollow 11 of the bottom plate tube 10 Fiber reinforced composite bottom plate of hollow section applied. 복수 개의 중공(11)을 가진 바닥판 튜브(10)를 교축직각 방향으로 배치하고 교축방향으로 각 바닥판 튜브(10)의 측면끼리 서로 결합되도록 병렬로 일체 연결 조립함으로써 제작된 섬유보강 복합소재 바닥판(1)과, 상기 섬유보강 복합소재 바닥판(1)과 일체로 결합되는 주형(30)을 포함하는 교량 구조물에 있어서, Fiber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fabricated by arranging the bottom plate tube (10) having a plurality of hollow 11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and integrally assembled and assembled in parallel so that the sides of each bottom plate tube (10) in the axial direction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bridge structure comprising a plate (1), and a mold (30) integrally coupled with the fiber reinforced composite base plate (1), 상기 섬유보강 복합소재 바닥판(1)의 측면에는, 상기 바닥판 튜브(10)의 중공(11) 개방면 외측으로 소정의 공간을 이루는 형태로 감싸는 마감채널부재(20), 및 상기 마감채널부재(20)의 내부를 구획하는 통풍유도막(21)에 의하여 측면통풍채널(22)이 형성되어 있으며, On the side of the fiber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bottom plate 1, the closing channel member 20 wrapped in a form forming a predetermined space outside the hollow 11 opening surface of the bottom plate tube 10, and the closing channel member The side ventilation channel 22 is formed by the ventilation guide film 21 partitioning the inside of the 20. 상기 측면통풍채널(22)과 상기 바닥판 튜브(10)의 중공(11)은 열풍이 흐르는 통풍로를 형성하여, 상기 측면통풍채널(22)의 유입구(23)를 통하여 유입되는 열풍이 상기 통풍로를 따라 흐르면서 섬유보강 복합소재 바닥판(1)을 가열하여 제설 및 해빙 기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을 이용한 제설 및 해빙 시스템을 적용한 중공단면의 섬유강화 복합소재 바닥판을 구비한 교량 구조물. The side vent channel 22 and the hollow 11 of the bottom plate tube 10 forms a vent path through which hot wind flows, so that the hot wind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23 of the side vent channel 22 is vented. Bridge with fiber reinforced composite bottom plate of hollow section applying snow removal and thawing system using hot air, characterized by heating the fiber reinforced composite bottom plate 1 while flowing along the furnace. structure. 제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복합소재 바닥판(1)과 주형(30)은, 전단연결재(31)가 바닥판 튜브(1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단연결재(31) 삽입 부분의 바닥판 튜브(10) 내측을 충진재(32)로 채우는 연결구조에 의하여 서로 일체로 결합되며, The composite bottom plate (1) and the mold (30), inside the bottom plate tube 10 of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shear connector 31, the shear connector 31 is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bottom plate tube (10). It is coupl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by the connection structure to fill the filler 32, 상기 연결구조가 형성된 부분에서도 교축 직각 방향으로 상기 충진재(32)를 지나서 열풍이 소통할 수 있도록 관부재(33)가 상기 충진재(32) 내에 매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을 이용한 제설 및 해빙 시스템을 적용한 중공단면의 섬유강화 복합소재 바닥판을 구비한 교량 구조물. Snow removal and thawing system using hot 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pipe member 33 is embedded in the filler 32 so that the hot air can pass through the filler 32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axis of the connection structure is formed. Bridge structure with fiber reinforced composite bottom plate of hollow section applied.
KR1020060008486A 2006-01-26 2006-01-26 Fiber reinforced polymer composite deck of hallow section having defrost system using heated air and bridge with such deck KR1006419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486A KR100641982B1 (en) 2006-01-26 2006-01-26 Fiber reinforced polymer composite deck of hallow section having defrost system using heated air and bridge with such de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486A KR100641982B1 (en) 2006-01-26 2006-01-26 Fiber reinforced polymer composite deck of hallow section having defrost system using heated air and bridge with such de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1982B1 true KR100641982B1 (en) 2006-11-02

Family

ID=37649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8486A KR100641982B1 (en) 2006-01-26 2006-01-26 Fiber reinforced polymer composite deck of hallow section having defrost system using heated air and bridge with such de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1982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5241A (en) 2014-04-03 2015-10-14 형제기계공업 주식회사 Snow removal equipment using the partition
KR102106917B1 (en) * 2019-04-17 2020-05-06 김홍노 The fluid passage system of anti-freezing for tunnel
WO2020213883A1 (en) * 2019-04-17 2020-10-22 김홍노 Freezing prevention fluid channel system for tunnel and installation
KR102266050B1 (en) * 2020-02-25 2021-06-16 김홍노 The fluid passage system of anti-freezing for tunnel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5241A (en) 2014-04-03 2015-10-14 형제기계공업 주식회사 Snow removal equipment using the partition
KR102106917B1 (en) * 2019-04-17 2020-05-06 김홍노 The fluid passage system of anti-freezing for tunnel
WO2020213883A1 (en) * 2019-04-17 2020-10-22 김홍노 Freezing prevention fluid channel system for tunnel and installation
KR102266050B1 (en) * 2020-02-25 2021-06-16 김홍노 The fluid passage system of anti-freezing for tunn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8681B2 (en) Absorber used for pipe structure or passage structure, and pipe structure or passage structure provided with such absorber
KR100641982B1 (en) Fiber reinforced polymer composite deck of hallow section having defrost system using heated air and bridge with such deck
US8047905B2 (en) Method, arrangement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environmental climate control of a building structure
JP4929028B2 (en) Solar geothermal heat storage supply equipment
CN209836711U (en) Pipeline type hollow regulation and control layer for cooling frozen soil roadbed slope
CN108411734B (en) Indoor skating rink
CN105696436A (en) Freezing prevention system for airstrip
EP1243875B1 (en) Geothermal pile having a cavity through which a fluid can flow
CN110359336A (en) The terrace in low temperature place
JP5967878B2 (en) Sleev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leeve
US20130133858A1 (en) Construction modul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said module
JP2000039163A (en) Cooling and heating structure having water permeable concrete surface layer
KR100349262B1 (en) Preventing road-freezing system
CN109579151A (en) Chassis ice structure, air-conditioning and air-conditioning ice control method
KR101727154B1 (en) Snow melting block with enhanced water permeable
KR100969985B1 (en) Device of freezing of the road surface using earth heat
KR0151943B1 (en) Method for building concrete structure in winter
JP2004052385A (en) Hybrid geotheremal snow melter
KR100495094B1 (en) Snow clearing and ice clearing system of bridge using terrestrial heat
CN210657844U (en) Domatic aeration cooling structure of permafrost region embankment
CN111962341A (en) Temperature control method for winter construction of bridge segment CRTS III plate type ballastless track
WO2012165461A1 (en) Air discharge pipe structure for melting snow on road surface, road surface material for melting snow, and system for melting snow on road surface
JP4420733B2 (en) Snow melting processing equipment
CN217949918U (en) Garage entrance structure with heating device
KR100445589B1 (en) Thermostat for snow removal of ro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