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1737B1 - 유기 전계발광표시소자 - Google Patents

유기 전계발광표시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1737B1
KR100641737B1 KR1020040115696A KR20040115696A KR100641737B1 KR 100641737 B1 KR100641737 B1 KR 100641737B1 KR 1020040115696 A KR1020040115696 A KR 1020040115696A KR 20040115696 A KR20040115696 A KR 20040115696A KR 100641737 B1 KR100641737 B1 KR 100641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glass cap
organic electroluminescent
array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5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7053A (ko
Inventor
배효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5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1737B1/ko
Publication of KR20060077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7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1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1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래스 캡의 강성을 보강하고 소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유기 전계발광표시소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발광표시소자는 유기발광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교차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및 제2 전극, 상기 복수의 제2 전극을 각각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격벽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발광어레이와; 상기 유기 전계발광어레이가 형성된 기판과 실런트를 통해 접합되어 상기 유기 전계발광어레이를 패키징하는 글래스 캡을 구비하고, 상기 글래스 캡은 상기 유기 전계발광어레이와 대향하는 면상에서 돌출되어 상기 격벽과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기 전계발광표시소자{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도 1은 종래의 유기 전계발광표시소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유기 전계발광소자의 발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다이어 그램이다.
도 3은 글래스 캡을 가지는 유기 전계발광표시소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캡을 가지는 유기 전계발광표시소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Ⅰ-Ⅰ'선을 절취한 면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2 : 기판 4,104 : 애노드전극
8,108 : 격벽 10,110 : 유기발광층
12,112 : 캐소드 전극 28, : 캡
25,125 : 실런트 35, 135 : 글래스 캡
137 : 리브
본 발명은 유기 전계발광표시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글래스 캡의 강성을 보강하고 소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유기 전계발광표시소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각종 평판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표시장치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및 전계발광표시소자(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 이하 "EL표시소자"라 함) 등이 있다. 특히 EL표시소자는 기본적으로 정공수송층, 발광층, 전자수송층으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층의 양면에 전극을 붙인 형태의 것으로서, 넓은 시야각, 고개구율, 고색도 등의 특징 때문에 차세대 평판표시장치로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EL표시소자는 사용하는 재료에 따라 크게 무기 EL표시소자와 유기 EL표시소자로 나뉘어진다. 이 중 유기 EL표시소자는 정공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 사이에 형성된 유기 EL 층에 전하를 주입하면 전자와 정공이 쌍을 이룬 후 소멸하면서 빛을 내기 때문에 무기 EL표시소자에 비해 낮은 전압으로 구동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기 EL표시소자는 플라스틱같이 휠 수 있는(Flexible) 투명기판 위에도 소자를 형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PDP나 무기 EL표시소자에 비해 10V 이하의 낮은 전압에서 구동이 가능하고, 전력 소모가 비교적 작으며, 색감이 뛰어나다.
도 1은 종래의 유기 EL표시소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기 EL표시소자의 발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유기 EL표시소자는 기판(2) 상에 유기발광층(10)을 사이에 두고 서로 교차되게 형성된 제1 전극(또는 애노드전극)(4)과 제2 전극(또는 캐소드전극)(12) 등을 포함하는 유기EL어레이(15)와, 유기EL어레이(15)를 패키징하기 위한 캡(28)을 구비한다.
유기EL어레이(15)의 애노드전극(4)은 기판(2) 상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된다. 이러한 애노드전극(4)이 형성된 기판(2) 상에는 EL셀(EL) 영역마다 개구부를 갖는 절연막(6)이 형성된다. 절연막(6) 상에는 그 위에 형성되어질 유기발광층(10) 및 캐소드전극(12)의 분리를 위한 격벽(8)이 위치한다. 격벽(8)은 애노드전극(4)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단부가 하단부보다 넓은 폭을 가지게 되는 역 테퍼(taper) 구조를 갖게 된다. 격벽(8)이 형성된 절연막(6) 상에는 유기화합물로 구성되는 유기발광층(10)과 캐소드전극(12)이 순차적으로 전면 증착된다. 유기발광층(10)은 전자 주입층, 전자 수송층, 발광층, 정공 수송층, 정공 주입층을 포함한다.
이러한 유기EL어레이(15)는 수분 및 산소에 쉽게 열화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유기EL어레이(15)가 형성된 기판(2)과 캡이(28)이 에폭시 수지와 같은 실런트(25)를 통해 합착되는 봉지(Encapsulation) 공정 이 실시됨으로써 유기EL어레이(15)가 산소 및 수분 등으로 부터 보호된다.
캡(28)에는 유기EL어레이(15)와의 대향되는 면상에 위치하여 수분 및 산소를 흡수하는 게터(getter)(22)를 구비한다. 여기서, 게터(22)는 무기산화물 즉, 수분과 반응하여 수산기(OH)를 형성하는 산화칼슘(Cao) 및 산화바륨(BaO)등이 이용된다.
이러한, 유기EL표시소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노드 전극(4)과 캐소드 전극(12)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면, 캐소드 전극(12)으로부터 발생된 전자는 전자 주입층(10a) 및 전자 수송층(10b)을 통해 발광층(10c) 쪽으로 이동된다. 또한, 애노드 전극(4)으로 부터 발생된 정공은 정공 주입층(10e) 및 정공 수송층(10d)을 통해 발광층(10c) 쪽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발광층(10c)에서는 전자수송층(10b)과 정공수송층(10b)으로부터 공급되어진 전자와 전공의 재결합으로 엑시톤(EXITON)이 형성되고, 이러한 엑시톤은 다시 기저상태로 여기되면서 일정한 에너지의 빛을 애노드 전극(4)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됨으로써 화상이 표시되게 된다.
도 3는 종래의 글래스 캡을 이용한 유기 EL표시소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글래스 캡(35)은 일반적은 메탈 캡에 비해 제조가 단순하며 대형 소자 형성시 유리한 장점이 있다. 이 글래스 캡(35)을 이용한 유기 EL표시소자는 종래의 메탈 캡(28)이 아닌 글래스 캡(35)을 이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에 도시된 유기 EL표시소자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한편, 이러한 글래스 캡(35)은 주로 대형 소자 형성시 많이 이용되는 장점은 있으나 소자가 대형화되는 만큼 글래스 캡(35)의 강성이 작아지는 단점이 있다. 따 라서, 작은 물리적인 충격 등에 의해 글래스 캡(35)이 손상되거나 글래스 캡(35)과 기판(2)에 의해 패키징된 공간이 충격 등에 의해 적절히 유지되지 않아 유기 EL어레이(15)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글래스 캡의 강성을 보강하고 소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유기 전계발광표시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발광표시소자는 유기발광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교차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및 제2 전극, 상기 복수의 제2 전극을 각각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격벽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발광어레이와; 상기 유기 전계발광어레이가 형성된 기판과 실런트를 통해 접합되어 상기 유기 전계발광어레이를 패키징하는 글래스 캡을 구비하고, 상기 글래스 캡은 상기 유기 전계발광어레이와 대향하는 면상에서 돌출되어 상기 격벽과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브는 상기 격벽과 교차되게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브는 상기 글래스 캡과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4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표시소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Ⅰ-Ⅰ'선을 따라 절취된 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유기 EL표시소자는 기판(102) 상에 매트릭스 형태의 발광셀을 구비하는 유기EL어레이(115)와, 유기EL어레이(115)가 형성된 기판(102)과 실런트(125)를 통해 합착되는 글래스 캡(135)과, 글래스 캡(128)에서 유기EL어레이(115)와 대향하는 면상에서 돌출되어 유기EL어레이(115)의 격벽(108)과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137)을 구비한다.
유기EL어레이(115)의 애노드전극(104)은 기판(102) 상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된다. 이러한 애노드전극(104)이 형성된 기판(102) 상에는 EL셀(EL) 영역마다 개구부를 갖는 절연막(106)이 형성된다. 절연막(106) 상에는 그 위에 형성되어질 유기발광층(110) 및 캐소드전극(112)의 분리를 위한 격벽(108)이 위치한다. 격벽(108)은 애노드전극(104)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단부가 하단부보다 넓은 폭을 가지게 되는 역 테퍼(taper) 구조를 갖게 된다. 격벽(108)이 형성된 절연막(106) 상에는 유기화합물로 구성되는 유기발광층(110)과 캐소드전극(112)이 순차적으로 전면 증착된다. 유기발광층(110)은 전자 주입층, 전자 수송층, 발광층, 정공 수송층 및 정공 주입층을 포함한다.
글래스 캡(135)에는 유기EL어레이(115)와의 대향되는 면상에 위치하여 수분 및 산소를 흡수하는 게터(getter)(122)가 위치함과 아울러 유기EL어레이(115)와의 대향되는 면상에서 돌출되어 격벽(108)과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137)를 구비한다. 이러한, 리브(137)는 격벽(108)과 접촉되게 됨으로써 글래스 캡(135)과 기판(102) 사이의 패키징 공간을 균일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하고 글래스 캡(135)의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글래스 캡(145)은 실런트(125)를 통해 기판(102)과 접합되는 수직부(135a), 상기 수직부(135a)에 절곡되게 접속됨과 아울러 기판(102)과 나란한 수평부(135b)를 구비하며, 리브(137)는 수평부(135b)에서 유기EL어레이(115) 방향으로 돌출되며 격벽(108)과 교차되게 접촉된다.
이러한, 리브(137)는 글래스 캡(135)과 일체화되며 글래스 캡(135)과 유기 EL어레이(115) 사이의 갭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 결과, 글래스 캡(135)에 물리적인 충격 등이 가해지더라고 글래스 캡(135)이 휘어지지 않게 하는 등의 글래스 캡(135)의 저항 능력이 향상되고 유기 EL어레이(115)가 패키징된 공간이 균일하게 유지된다. 이에 따라, 글래스 캡(135)의 강성이 보강되고 유기 EL어레이(115)의 손상이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 EL표시소자는 글래스 캡을 구비하며, 글래스 캡은 유기 EL어레이를 패키징함과 아울러 유기 EL어레이와 대향하는 면상에서 돌출되어 격벽과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구비한다. 이 리브는 글래스 캡과 일체화되며 글래스 캡과 격벽 사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 결과, 글 래스 캡에 물리적인 충격 등이 가해지더라고 글래스 캡이 휘어지지 않게 하는 등의 글래스 캡의 저항 능력이 향상되고 유기 EL어레이가 패키징된 공간이 균일하게 유지된다. 이로써, 글래스 캡의 강성이 보강되고 유기 EL어레이의 손상이 방지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3)

  1. 유기발광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교차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및 제2 전극, 상기 복수의 제2 전극을 각각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격벽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발광어레이와;
    상기 유기 전계발광어레이가 형성된 기판과 실런트를 통해 접합되어 상기 유기 전계발광어레이를 패키징하는 글래스 캡을 구비하고,
    상기 글래스 캡은
    상기 유기 전계발광어레이와 대향하는 면상에서 돌출되어 상기 격벽과 접촉됨으로써 상기 글래스 캡의 강성을 보강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표시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격벽과 교차되게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표시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글래스 캡과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표시소자.
KR1020040115696A 2004-12-29 2004-12-29 유기 전계발광표시소자 KR100641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5696A KR100641737B1 (ko) 2004-12-29 2004-12-29 유기 전계발광표시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5696A KR100641737B1 (ko) 2004-12-29 2004-12-29 유기 전계발광표시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7053A KR20060077053A (ko) 2006-07-05
KR100641737B1 true KR100641737B1 (ko) 2006-11-02

Family

ID=37169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5696A KR100641737B1 (ko) 2004-12-29 2004-12-29 유기 전계발광표시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17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601B1 (ko) * 2006-11-23 2008-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7053A (ko) 200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9864B1 (ko) 유기전기발광소자
JP5181226B2 (ja) 有機電界発光表示素子
KR100623451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80108743A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41737B1 (ko) 유기 전계발광표시소자
KR101227132B1 (ko) 유기 전계발광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23449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29180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
KR100638139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41738B1 (ko) 유기 전계발광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705320B1 (ko) 유기 전계발광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23450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705343B1 (ko) 유기 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41733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29176B1 (ko) 유기 전계발광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37063B1 (ko) 유기 전계발광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50112949A (ko) 유기 전계발광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68687A (ko) 유기 전계발광표시소자
KR101076439B1 (ko) 유기 전계발광표시장치
KR100667359B1 (ko) 모기판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소자의 제조방법
KR101001994B1 (ko) 유기 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940020B1 (ko) 유기 전계발광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25031B1 (ko) 유기 전계발광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900445B1 (ko) 유기 전계발광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92855B1 (ko) 유기 전계발광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