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1425B1 - 환기시스템 - Google Patents

환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1425B1
KR100641425B1 KR1020050074076A KR20050074076A KR100641425B1 KR 100641425 B1 KR100641425 B1 KR 100641425B1 KR 1020050074076 A KR1020050074076 A KR 1020050074076A KR 20050074076 A KR20050074076 A KR 20050074076A KR 100641425 B1 KR100641425 B1 KR 100641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eat exchange
exchange element
outer cas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4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범
박종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4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14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1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1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human errors during the installation, use or maintenance, e.g. goofy pro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입구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전열교환소자로 안내하는 에어가이드가 구비되는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환기시스템은,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케이스(110)와; 실내외의 공기가 서로 열교환되도록 하는 전열교환소자(130)와; 실외의 공기가 실내로 흡입되도록 하는 급기팬(150)과;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팬(170)과; 상기 외부케이스(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공기의 출입을 안내하는 흡입구(120,124) 또는 배출구(122,126)와;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구(120,124)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전열교환소자(130)로 안내하는 에어가이드(194)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에어가이드(194)는, 상기 흡입구(120,124)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의 하반부 또는 상반부로 안내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흡입구의 면적이 넓어지는 효과로 인해 환기시스템의 성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환기시스템, 전열교환소자, 에어가이드, 흡입구

Description

환기시스템 { Ventilation system }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환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환기장치의 전열교환소자와 프리필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환기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환기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열교환소자가 제거된 상태의 환기시스템 내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환기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열교환소자가 설치된 상태의 환기시스템 내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환기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우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환기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환기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에어가이드의 사시도.
도 9은 본 발명에 의한 환기시스템의 내부를 통해 공기가 유동하는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외부케이스 112. 상부캐비넷
114. 좌측판 116. 우측판
120. 외부공기 흡입구 122. 실내공기 배출구
124. 실내공기 흡입구 126. 외부공기 배출구
130. 전열교환소자 140. 하단지지대
142. 상단지지대 144. 좌측지지대
146. 우측지지대 150. 급기팬
152. 급기팬하우징 154. 급기모터
156. 급기모터마운트 158. 급기팬 회전축
160. 급기안내판 162. 급기공
164. 급기브라켓 170. 배기팬
172. 배기팬하우징 174. 배기팬 회전축
176. 배기모터 178. 배기모터마운트
180. 배기브라켓 182. 배기안내판
184. 배기공 190. 베리어
192. 중앙브라켓 194. 에어가이드
196. 차단벽 198. 경사면
200. 점검도어 202. 소자도어
204. 팬도어 206. 경첩
본 발명은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흡입구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전열교환소자로 안내하는 에어가이드가 구비되는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에너지 절약을 위한 방편과 소음 등의 문제로 점차 인간의 주거공간은 기밀화 및 단열화가 요구되는 경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폐쇄공간의 공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이산화탄소로 변함과 동시에 오염되어 생명체의 호흡을 저해하게 한다.
따라서, 사무실이나 차량과 같이, 많은 사람이 협소한 공간에 머물게 된 곳은 수시로 환기를 시켜야 한다. 이 때 통상적으로 전열교환 방식을 이용한 환기장치가 이용된다. 이것은 실내공기 온도를 유지하면서 외부공기를 급기하고, 실내공기를 배기하기 위해서이다.
도 1에는 종래 환기장치의 외관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종래 환기장치를 구성하는 전열교환소자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외관을 형성하고 있는 외부케이스(10) 한 측면에 외부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외부공기 흡입구(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부공기 흡입구(12)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구(12)로부터 흡입되는 외부공기가 아래에서 설명할 전열교환소자(14)로 도달할 수 있도록 전열교환소자(14)와의 사이에 흡입덕트(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어 외부공기의 통로가 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와 실내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열교환을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열교환소자(14)가 상기 외부케이스(10)의 내부 중앙에 구비되는데, 일반적으로 마름모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전열교환소자(14)는 통상 온도 차이가 발생하는 각각의 공기를 서로 다른 유로를 통하게 함으로써, 서로 다른 유로의 층을 형성하는 고효율의 열교환막에 의하여 잠열을 교환하는 습기와 현열을 교환하는 열에 의해서 전열교환을 일으키는 원리를 따른다.
상기 외부공기 흡입구(12)로부터 전열교환소자(14)를 통과한 외부공기는 외부케이스(10)에 형성되어 있는 외부공기 급기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유동이 강제되어, 상기 흡입구(12)와는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는 외부공기 급기구(16)를 통해 실내로 급기된다.
한편, 상기 외부공기 급기구(16)의 측면에는 실내의 공기가 상기 환기장치의 외부케이스(10) 내부로 흡입되는 실내공기 흡입구(1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공기 흡입구(12)의 측면에는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18)로부터 환기장치의 내부로 흡입된 실내공기가 배출되는 실내공기 배기구(20)가 형성된다.
상기 전열교환소자(14)는 네 귀퉁이에는 전후로 길게 전열교환소자 지지프레임(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전열교환소자(14)의 하측 양면에는 프리필터(24)가 설치된다. 상기 프리필터(24)는 외부의 공기중에 섞여있는 이물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러한 프리필터(24)는 상기 전열교환소자(14)와는 별개로 형성되어 착탈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와 같은 전열교환소자(14)의 좌우측에는 실내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하기 위한 팬(fan)과, 실외공기가 실내로 강제 유입되도록 하는 팬(fan)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전면에는 상기 전열교환소자(14) 등이 출입할 수 있는 점검구(30)가 형성되고, 이러한 점검구(30)를 점검도어(32)가 선택적으로 차폐하게 된다. 상기 점검도어(30)는 상기 전열교환소자(14)의 전방에 설치되어 전열교환소자(14)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는 한편, 환기장치 내부의 점검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전면 우측단에는 콘트롤박스(34)가 설치된다. 상기 콘트롤박스(34)의 내부에는 환기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각종 부품이 장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환기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서는 상기 점검구(30)는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전면에 형성되므로, 이러한 점검구(30)를 통해 상기 전열교환소자(14)가 출입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환기장치의 설치에 제한을 받게 된다.
또한, 상기 외부공기 흡입구(12)와 실내공기 흡입구(18)를 상기 전열교환소자(14)로 안내하는 별도의 가이드가 없으므로,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열교환소자의 출입이 하방으로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환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전열교환소자로 안내하는 에어가이드가 구비되는 환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환기시스템은,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실내외의 공기가 서로 열교환되도록 하는 전열교환소자와; 상기 외부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실외의 공기가 실내로 흡입되도록 하는 급기팬과; 상기 외부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팬과; 상기 외부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어, 공기의 출입을 안내하는 흡입구 및 배출구와; 상기 전열교환소자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전열교환소자로 안내하는 에어가이드;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전열교환소자의 하반부 또는 상반부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가이드는, 측방으로의 공기 흐름을 차단하는 차단벽과,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안내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단벽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전열교환소자의 하반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하측차단벽과,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전열교환소자의 상반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상측차단벽을 포 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면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전열교환소자의 상반부로 유입되도록 공기를 상측으로 안내하는 하측경사면과,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전열교환소자의 하반부로 유입되도록 공기를 하측으로 안내하는 상측경사면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환기시스템에 의하면, 흡입구의 면적이 넓어지는 효과로 인해 환기시스템의 성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환기시스템의 외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와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환기시스템의 내부 구성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즉 도 4에는 전열교환소자가 탈거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전열교환소자가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6과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환기시스템의 우측단면도 및 분해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대략 사각박스 형상의 외부케이스(110)가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외부케이스(110)는 제품의 상측과 전후좌우 측면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 구조물의 설치를 지지하여 보호하고, 외부로부터 이물이 제품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상기 외부케이스(110)는 크게 상부캐비넷(112)과, 좌측판(114), 우측판(11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캐비넷(112)은 본 발명에 의한 환기시스템의 상면과 전후면을 차폐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판(112a), 전면판(112b) 그리고 후면판(112c)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상부캐비넷(112)은 측방에서 볼 때 ' ∩'형상을 가진다.
상기 외부케이스(110)의 전면판(112b)에는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외부공기 흡입구(120)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상부캐비넷(112)의 전면판(112b) 우측단 부근에는 흡입구장착홀(120')이 형성되며, 이러한 흡입구장착홀(120')에 상기 외부공기 흡입구(120)가 설치된다.
상기 흡입구장착홀(1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부채꼴 형상으로 성형된다. 즉 원형에서 일부분이 차폐된 부채꼴 형상으로 성형되는데, 이러한 차폐된 부분은 아래에서 설명할 전열교환소자(130)의 우측단 모서리 부분과 대응되는 부분이다.
상기 외부케이스(110)의 전면판(112b)에는 실내공기 배출구(122)가 더 설치된다.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122)는 상기 외부공기 흡입구(120)와 같이 전방으로 일정부분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연결덕트(도시되지 않음)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외부케이스(110) 전면판(112b) 좌측단 부근에는 배출구장착홀(122')이 형성된다. 즉 상기 배출구장착홀(122')은 상부캐비넷(112)의 전면판(112b)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122)를 통해 공기가 유동하도록 하는 통로가 된다.
상기 외부케이스(110)의 후면(배면) 우측단 즉, 상기 외부공기 흡입구(120)가 설치되는 위치의 반대측에는 실내공기 흡입구(124)가 형성된다.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124)는 상기 외부케이스(110)의 후면판(112c) 우측단 부근에 형성되는 실내흡입구장착홀(124')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외부케이스(110)의 후면판(112c)으로부터 후방으로 소정크기로 돌출 설치된다.
상기 실내흡입구장착홀(12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구장착홀(120')과 같이 부채꼴 형상으로 성형된다. 즉 아래에서 설명할 전열교환소자(130)의 후면 우측단 일부가 차폐되도록 부채꼴 형상을 가진다.
상기 외부케이스(110)의 후면판(112c) 좌측단 즉,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122)가 설치되는 위치의 반대측에는 외부공기 배출구(126)가 설치된다. 상기 외부공기 배출구(126)는 상기 외부케이스(110)의 후면판(112c)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외부케이스(110)의 후면판(112c) 좌측단 부근에 형성되는 실내배출구장착홀(도시되지 않음)에 연결 설치된다.
상기 외부케이스(110)의 내부 우측 공간에는 전열교환소자(130)가 구비된다. 상기 전열교환소자(130)는 사각기둥 형상을 가지며, 직교류형 플레이트 타입의 구조를 갖는다. 즉, 특수 가공지의 칸막이 판으로 급,배기 통로를 분리시켜 외기와 실내공기가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전열교환소자(130)는 통상 온도 차이가 발생하는 각각의 공기를 서로 다른 유로를 통하게 함으로써, 서로 다른 유로의 층을 형성하는 고효율의 열교환막에 의하여 잠열을 교환하는 습기와 현열을 교환하는 열에 의해서 전열교환을 일으키게 된다. 즉,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에 사용되는 특수가공지는 공기는 관통하여 통과할 수 없고, 열과 수분만 통과 가능한 특징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열교환소자(130)는 장치내의 급기와 배기 사이의 전열교환을 시행하여, 실외로 나가는 배기로부터 공기의 전열을 흡수하여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에 전달하므로써 실내 공기의 상태가 외부공기로부터 영향을 적게 받도록 한다.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의 하단에는 하단지지대(140)가 형성된다. 상기 하단지지대(140)는 단면이 마름모꼴을 가지는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의 하단 모서리를 고정 지지하는 것으로, 전후로 길게 형성되며 선단과 후단은 상기 상부캐비넷(112)의 전면판(112b)과 후면판(112c)에 각각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의 상측에는 상기 하단지지대(140)와 대칭되는 형상의 상단지지대(142)가 구비된다. 상기 상단지지대(142)는 상기 하단지지대(140)와 마찬가지로 전후로 길게 설치되어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의 상단을 고정 지지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의 일측면에는 전열교환소자(130)를 통과하는 공기중의 이물을 걸러내는 프리필터가 더 구비되기도 한다. 즉 상기 전열교환소자(130)를 통과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이 필터링되도록 하는 프리필터가 일측에 구비된다.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의 좌측과 우측에는 좌측지지대(144)와 우측지지대(146)가 각각 더 구비된다. 상기 좌측지지대(144)와 우측지지대(146)는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의 좌측단과 우측단을 각각 지지하게 된다. 상기 좌측지지대(144)는 아래에서 설명할 베리어(190)에 고정되고, 상기 우측지지대(146)는 아래에서 설명할 에어가이드(194)에 고정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의 좌측에는 급기팬(150)이 설치된다. 즉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의 후반부 좌측에는 급기팬(150)이 구비된다.
상기 급기팬(150)은 상기 외부공기 흡입구(120)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강제 흡입되어, 상기 외부공기 배출구(126)로 강제 송출되도록 한다. 즉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시로코팬(sirocco fan)으로 구성된다.
상기 급기팬(150)의 외측에는 급기팬하우징(152)이 설치된다. 상기 급기팬하우징(152)은 상기 급기팬(150)을 감싸도록 급기팬(150)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급기팬(15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급기팬(150)의 내측에는 급기모터(154)가 구비된다. 상기 급기모터(154)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급기팬(150)에 공급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급기팬(150)은 상기 급기모터(154)의 회전 동력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상기 급기모터(154)는 급기모터마운트(156)에 의해 고정 지지된다. 즉 상기 급기모터(154)의 하단부가 상기 급기모터마운트(156)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급기모터(154)에는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급기팬 회전축(158)이 설치되며, 이러한 급기팬 회전축(158)의 상단은 상기 급기팬(150)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급기모터(154)의 회전 동력이 상기 급기팬 회전축(158)에 의해 상기 급기팬(150)에 전달된다.
상기 급기팬 회전축(158)은 상기 급기팬(150)의 회전 중심이 되는 것으로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기팬 회전축(158)은 상하로 형성되어 하단에는 급기모터(154)와 연결되고, 상단에는 상기 급기팬(150)이 연결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급기팬(150)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급기팬 회전축(158)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공기의 토출이 이루어진다. 즉 상방 또는 하방에서 볼 때, 상기 급기팬 회전축(158)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공기가 토출되고, 이러한 공기는 상기 급기팬하우징(152)에 의해 안내되는 것이다.
상기 급기팬하우징(152)의 하단에는 급기안내판(160)이 더 구비된다. 상기 급기안내판(1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는 상기 급기팬하우징(152)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내측에는 공기의 유동 통로가 되는 급기공(162)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급기팬하우징(152)의 상단에는 급기브라켓(164)이 구비된다. 상기 급기브라켓(164)은 상기 급기팬하우징(152)의 단면과 대응되는 평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급기팬하우징(152)을 고정하는 동시에 급기팬하우징(152)의 상부를 차폐한다.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의 전반부 좌측에는 배기팬(170)이 설치된다. 즉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122) 후방에 상기 급기팬(150)과 같은 형상의 배기팬(170)이 설치되며, 이러한 배기팬(170)은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124)를 통해 실내공간의 공기가 강제 흡입되어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122)로 강제 송출되도록 한다.
상기 배기팬(170)의 외측에는 배기팬하우징(172)이 구비된다. 상기 배기팬하우징(172)은 상기에서 설명한 급기팬하우징(152)과 마찬가지로, 상기 배기팬(170)에 의해 강제 유동되는 공기를 안내하게 된다.
상기 배기팬(170)의 중앙부에는 배기팬(170)의 회전 중심이 되는 배기팬 회 전축(174)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배기팬(170)은 이러한 배기팬 회전축(174)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러한 배기팬 회전축(174)도 상기에서 설명한 급기팬 회전축(158)과 마찬가지로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배기팬(170)의 내측에는 상기 급기모터(154)와 대응되는 배기모터(176)가 구비되어, 상기 배기팬(170)에 회전 동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이러한 배기모터(176)는 배기모터마운트(178)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배기모터마운트(178)도 상기 급기모터마운트(156)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배기팬하우징(172)의 하단부에는 배기브라켓(180)이 구비된다. 상기 배기브라켓(180)은 상기 배기팬하우징(172)의 하부를 차폐하여 상기 배기팬(170)에 의해 강제 송풍되는 공기가 상기 배기팬하우징(172)의 하측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배기팬하우징(172)을 고정하는 역할도 겸한다.
상기 배기팬하우징(172)의 상단부에는 상기 급기팬하우징(152)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급기안내판(160)과 대응되는 배기안내판(182)이 더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배기안내판(182)에는 배기공(184)이 관통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전열교환소자(130)는 상기 외부케이스(110) 내부 공간의 일측(우측)에 설치되고, 상기 급기팬(150)과 배기팬(170)은 상기 외부케이스(110) 내부 공간의 다른 일측(좌측)에 나란히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급기팬(150)과 배기팬(170)은 설치높이가 서로 상이하게 된다.(도 6참조) 즉, 상기 급기팬(150)은 상기 배기팬(170)보다 상대적으로 설치높이가 높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급기모터(154) 등의 부가적인 부품은 상기 급기팬(150)의 하측에 구비되는 반면, 상기 배기모터(도시되지 않음) 등의 부품은 상기 배기팬(170)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이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외부케이스(110)의 어느 일면(예로, 전면판)에는 콘트롤박스가 설치된다. 이러한 콘트롤박스의 내부에는 제어부가 형성되어, 환기시스템의 운전조건을 제어하게 된다. 즉, 전원을 단속하여 환기시스템을 온(on)/오프(off)시키며, 상기 배기팬(170)과 급기팬(150)의 팬 회전수를 제어하여 풍량을 조절하게 된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110)의 어느 일면(예로, 좌측판과 우측판)에는 환기시스템이 건물의 천정에 설치되도록 하는 천정고정구(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
상기 외부케이스(110)의 내부에는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베리어(190)가 형성된다. 상기 베리어(19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기팬하우징(152)과 배기팬하우징(172)의 외측을 차폐하여 상기 외부케이스(110)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여,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의 내부를 통과한 흡입공기와 배기공기가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베리어(190)는 스티로폴과 같은 가볍고 흡음기능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우측단에는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의 좌측단을 지지하는 좌측지지대(144)가 전후로 길게 설치된다.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와 배기팬(170) 및 급기팬(150) 사이에는 상기 급기모터마운트(156)와 전열교환소자(130)를 지지하는 중앙브라켓(192)이 더 설치된다. 즉, 상기 상부캐비넷(112)과 아래에서 설명할 점검도어(200) 사이에는 중앙브라켓 (192)이 상하로 설치되어,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와 급기모터마운트(156) 등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중앙브라켓(192)에는 상기 좌측지지대(144) 및 급기모터마운트(156) 등이 체결된다.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의 우측에는 에어가이드(194)가 설치된다. 즉,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와 상기 우측판(116)의 좌측면에는 에어가이드(194)가 설치되어, 상기 외부공기 흡입구(120)와 실내공기 흡입구(124)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에어가이드(194)는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캐비넷(112)의 전면판(112b) 하단부로부터 후면판(112c) 상단부에 걸쳐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가이드(194)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열교환소자(130)가 있는 좌측으로의 공기 흐름을 차단하는 차단벽(196)과, 상기 외부공기 흡입구(120)와 실내공기 흡입구(124)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안내하는 경사면(198)으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차단벽(196)은 상기 외부공기 흡입구(1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의 하반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하측차단벽(196')과,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124)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의 상반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상측차단벽(196")으로 나누어진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198)은 상기 외부공기 흡입구(120)를 통해 유입되는 공 기가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의 상반부로 유입되도록 공기를 상측으로 안내하는 하측경사면(198')과,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124)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의 하반부로 유입되도록 공기를 하측으로 안내하는 상측경사면(198")으로 나누어진다. 즉, 상기 경사면(198)은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가 단차지게 형성되며, 이러한 중앙부의 단차부를 중심으로 상측에는 상측경사면(198")이 구비되고, 하측에는 하측경사면(198')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에어가이드(194)를 경사지게 형성하는 이유는, 본 발명에 의한 환기시스템 내부로 공기가 보다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외부공기 흡입구(1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의 하반부로 유입되어야 하며,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124)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의 상반부로 유입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경사면(198) 대신 수평면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흡입구장착홀(120')과 실내흡입구장착홀(124')의 일부만이 활용된다. 즉, 상기 경사면(198) 대신 수평면을 형성하게 되면, 상기 흡입구장착홀(120')의 하반부 및 상기 실내흡입구장착홀(124')의 상반부는 차폐되어야 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흡입구장착홀(120')과 상기 실내흡입구장착홀(124')의 크기가 작아지게 되므로, 결국 환기시스템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단위면적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외부케이스(110)의 하부는 점검도어(200)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점검도어(200)는 상기 외부케이스(110)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자도어(202)와 팬도어(204)로 구성된다.
상기 소자도어(202)는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팬도어(204)는 상기 급기팬(150)과 배기팬(170)의 하측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소자도어(202)는 상기 전열교환소자(130)를 점검하거나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 개폐하며, 상기 팬도어(204)는 상기 급기팬(150)이나 배기팬(170) 등의 부품 점검과 교환시 개폐하게 된다.
상기 소자도어(202)와 팬도어(204)는 힌지 결합에 의해 서로 체결되어, 선택적으로 회동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소자도어(202)의 좌측단과 상기 팬도어(204)의 우측단은 서로 경첩(206) 등에 의해 고정되며, 이러한 경첩(206) 등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소자도어(202)의 우측단과 상기 팬도어(204)의 좌측단은 스크류(screw)에 의해 상기 우측판(116)과 좌측판(114)에 각각 고정 설치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환기시스템을 통해 실내외의 공기가 유동하는 상태를 설명한다. 도 9에는 본 발명에 의한 환기시스템의 평단면도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라 환기 상태를 설명하면, 우선 사용자의 동작설정이 콘트롤박스(도시되지 않음) 내부의 제어부에 전달되며, 이러한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환기시스템이 작동한다.
먼저 상기 급기팬(150)의 작동에 따라 실외의 공기가 상기 외부공기 흡입구(120)를 통해 환기시스템 내부로 흡입되고, 이러한 외부의 공기는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의 우측 상면을 통해 전열교환소자(130) 내부로 흡입된다.
이때 외부공기는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의 우측 상부에 장착되어 있는 프리필터(도시되지 않음)를 통과하면서 공기중의 이물이 걸러진 다음, 상기 전열교환소자(130)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공기 흡입구(120)를 통해 환기시스템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에어가이드(194)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의 우측 상면으로 가이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외부공기 흡입구(1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하측경사면(198')에 의해 점차 상측으로 안내되고, 이때 상기 하측차단벽(196')에 의해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의 하반부로는 유입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측경사면(198')에 의해 상측으로 안내된 공기는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의 우측 상반부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 전열교환소자(130)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배출되는 실내공기로부터 열과 수분을 교환한 다음 전열교환소자(130)의 좌측 하면을 통해 토출된다.
상기 전열교환소자(13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급기팬(150)의 하부를 통해 급기팬(150) 중앙 부분으로 유입된 다음, 방사상으로 토출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기팬(150)의 중앙부로부터 외측으로 토출된다.
상기 급기팬(150)에 의해 외측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급기팬하우징(152)에 의해 안내되어 회전하다가 상기 외부케이스(110)의 외부공기 배출구(126)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배출된다.
반면, 실내의 공기는 상기 배기팬(170)의 작동에 의해 외부로 배기되는데, 실내공기는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124)를 통해 상기 외부케이스(110) 내부로 흡입된 다음,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의 우측 하부를 통해 전열교환소자(130)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에도 상기 외부케이스(1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에어가이드(194)에 의해 안내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124)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상측경사면(198")에 의해 점차 하측으로 안내되고, 이때 상기 상측차단벽(196")에 의해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의 상반부로는 유입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측경사면(198")에 의해 하측으로 안내된 공기는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의 우측 하반부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 전열교환소자(130) 내부로 흡입된 실내공기는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외기와 열 및 수분을 교환한 다음,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의 좌측 상면을 통해 빠져나간다.
상기 전열교환소자(130)를 빠져나온 실내공기는 상기 배기팬(170)의 상부를 통해 급기팬(150) 중앙 부분으로 유입된 다음, 방사상으로 토출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기팬(170)의 중앙부로부터 외측으로 강제 토출된다.
상기 배기팬(170)에 의해 외측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배기팬하우징(172)에 의해 안내되어 회전하다가 상기 외부케이스(110)의 실내공기 배출구(122)를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환기시스템은 일반적으로 건물의 천정 등과 같이 높은 위치에 설치되며, 이러한 환기시스템의 내부에 구비되는 전열교환소자(130)나 내부 부품의 교환 또는 고장으로 인한 애프터서비스를 위해서는 상기 외부케이스(110) 하부를 차폐하는 점검도어(200)를 개방하게 된다. 즉, 상기 소자도어(202) 또는 팬도어(204)를 개방하게 된다.
이때에는 먼저 상기 소자도어(202)의 우측단 또는 상기 팬도어(204)의 좌측단에 체결되어 있는 스크류(screw)를 풀어내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소자도어(202)나 팬도어(204)는 소자도어(202)와 팬도어(204) 사이의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하방으로 개방된다.
보다 구제적으로는, 상기 전열교환소자(130)를 점검하거나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소자도어(202)를 개방하는 경우에는, 먼저 상기 소자도어(202)의 우측단에 체결되어 있는 스크류(screw)를 분리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소자도어(202)는 좌측단의 경첩(206)을 축으로 회동하여 개방된다. 따라서 이때 상기 전열교환소자(130)를 하측으로 인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팬도어(204)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소자도어(202)가 상기 외부케이스(1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팬도어(204)의 좌측단에 체결되어 있는 스크류(screw)를 풀어낸다.
이렇게 되면, 상기 팬도어(204)는 우측단의 경첩(206)을 축으로 회동하여 하방으로 개방된다. 따라서 이때 상기 급기팬(150)이나 배기팬(170) 등의 부품을 점검하거나 분해하여 하방으로 인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환기시스템에 의하면,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케이스의 하측에는 점검도어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점검도어는 팬도어와 소자도어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팬도어와 소자도어 중 어느 하나만을 개방하여 내부의 부품을 점검하거나 하방으로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환기시스템의 설치성과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열교환소자의 일측에 에어가이드를 구비하여 흡입구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전열교환소자로 바로 유입되도록 안내한다. 그리고, 에어가이드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안내한다. 따라서 공기의 유입이 원활해지는 한편, 흡입구의 면적이 확대되는 효과를 가져오므로, 결국 환기시스템의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실내외의 공기가 서로 열교환되도록 하는 전열교환소자와;
    상기 외부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실외의 공기가 실내로 흡입되도록 하는 급기팬과;
    상기 외부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팬과;
    상기 외부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어, 공기의 출입을 안내하는 흡입구 및 배출구와;
    상기 전열교환소자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전열교환소자로 안내하는 에어가이드;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전열교환소자의 하반부 또는 상반부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는,
    측방으로의 공기 흐름을 차단하는 차단벽과,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안내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벽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전열교환소자의 하반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하측차단벽과,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전열교환소자의 상반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상측차단벽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전열교환소자의 상반부로 유입되도록 공기를 상측으로 안내하는 하측경사면과,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전열교환소자의 하반부로 유입되도록 공기를 하측으로 안내하는 상측경사면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
KR1020050074076A 2005-08-12 2005-08-12 환기시스템 KR100641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076A KR100641425B1 (ko) 2005-08-12 2005-08-12 환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076A KR100641425B1 (ko) 2005-08-12 2005-08-12 환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1425B1 true KR100641425B1 (ko) 2006-11-01

Family

ID=37621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4076A KR100641425B1 (ko) 2005-08-12 2005-08-12 환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142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19279A (ko) 환기시스템
KR20070019277A (ko) 환기시스템
KR101129751B1 (ko) 환기시스템
KR101555199B1 (ko) 공기조화기
KR100662152B1 (ko) 환기시스템
KR100641425B1 (ko) 환기시스템
KR100671565B1 (ko) 환기시스템
KR20060098281A (ko) 환기시스템
KR101181552B1 (ko) 환기시스템
KR20070019280A (ko) 환기시스템
KR102318416B1 (ko) 공기정화장치 창문설치방법
KR100705057B1 (ko) 환기시스템
KR20070019278A (ko) 환기시스템
KR100895136B1 (ko) 환기시스템
KR20060098284A (ko) 환기시스템
KR100671566B1 (ko) 환기시스템
KR100953269B1 (ko) 환기 장치
KR20060098280A (ko) 환기시스템
KR20060098282A (ko) 환기시스템
KR20060098291A (ko) 환기시스템
JP4616607B2 (ja) 空気調和装置
KR102268748B1 (ko) 바닥상치형 공기순환기
KR20060098286A (ko) 환기시스템
JP2002276992A (ja)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KR101193999B1 (ko) 환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