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1236B1 - 휴대단말기의 착신호 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착신호 전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1236B1
KR100641236B1 KR1020040116952A KR20040116952A KR100641236B1 KR 100641236 B1 KR100641236 B1 KR 100641236B1 KR 1020040116952 A KR1020040116952 A KR 1020040116952A KR 20040116952 A KR20040116952 A KR 20040116952A KR 100641236 B1 KR100641236 B1 KR 100641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oming call
mobile terminal
call switching
message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6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8647A (ko
Inventor
임경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6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1236B1/ko
Priority to CNA2005100035660A priority patent/CN1798366A/zh
Publication of KR20060078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8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1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1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8Arrangements for placing incoming calls on hold
    • H04M3/4281Arrangements for placing incoming calls on hold when the called subscriber is connected to a data network using his telephone line, e.g. dial-up connection, Internet brow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착신호 전환 방법은 메시지 타입 정보, 설정/해제 정보, 인증정보, 그리고 착신측 전화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착신호 전환 명령을 단문 메시지를 통해,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호 전환 명령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착신호 전환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과정과; 상기 착신호 전환기능이 활성화되면, 착신호 전환 기능이 동작하고 있음을 가입자에게 알리는 과정과; 상기 착신호 전환기능에 따라, 휴대단말기에 착신된 호를 전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가입자의 직접 조작에 의해서만 가능하던 종래 휴대단말기의 착신호 전환 설정을 단문메시지를 통해서도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단문메시지를 매개로 하여 휴대단말기의 착신호 전환 기능을 원격 조작하므로서, 가입자는 휴대단말기를 휴대하지 않고도 휴대단말기에 착신된 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되었다.
착신호 전환, SMS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착신호 전환 방법 {METHOD FOR CALL FOWARDING OF MOBILE TERMNAL}
도1은 GSM방식에서, 휴대단말기의 메뉴를 이용한 종래의 착신호 전환 설정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2는 GSM방식에서, 특정 설정명령을 이용한 종래의 착신호 전환 설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착신호 전환 방법에 대한 흐름도.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의 착신호 전환 기능에 관한 것이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방식이 발신자에게 요금의 100% 부과하는 것과는 달리, 유럽형 이동통신 방식인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방식은 발신자 뿐 아니라 수신자에게도 요금 부과가 이루어진다. 이 때문에, GSM방식에서 착신호 전환 기능은 가입자의 요금부과를 적게 하고자, 가입자가 집이나 사무실에 머무를 때처럼 휴대단말기의 사용이 불필요한 경우, 휴대단 말기로 걸려오는 전화를 집이나 사무실 전화의 유선전화로 전환시켜 휴대단말기의 통화요금을 절약하고자 나온 기능이다.
종래의 GSM방식에서는 두 가지 방법으로 휴대단말기의 착신호 전환을 설정한다. 즉, 휴대단말기 대기화면에서 특정 설정 명령를 입력한 후 통화버튼을 눌러서 설정하거나 휴대단말기의 메뉴에서 "Call Divert" 혹은 "Call Forwarding"이라고 하는 착신호 전환 메뉴를 이용하여 설정한다.
CDMA방식의 경우, 착신호 전환 설정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설정을 변경해야 가능하므로, 가입자가 통신서비스 업체에 착신호 전환의 설정을 요구해야 한다. 그러나 WCDMA와 CDMA를 동시에 지원하는 듀얼모드 휴대단말기는 WCDMA 모드로 동작할 때, 상기 GSM방식처럼 Call Forwarding 메뉴를 이용하여 착신호 전환을 설정한다.
도1은 GSM방식에서, 휴대단말기의 메뉴를 이용한 종래의 착신호 전환 설정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 GSM 휴대폰에서 착신호 전환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가입자의 직접 조작이 필요하다. 즉, 가입자의 휴대폰에 포함되어 있는 착신호 전환 메뉴 (Call Divert 혹은 Call Forwarding)를 이용하여 착신호 전환 기능을 활성화(혹은 해제) 시킨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입자는 착신호 전환 메뉴로 진입한 뒤 활성화 메뉴 "1.Activate"를 선택하여 확인버튼을 눌러야만 한다.
도2는 GSM방식에서, 특정 설정명령을 이용한 종래의 착신호 전환 설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 GSM방식이 착신호 전환을 설정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화면에서 특정 설정 명령을 입력하는 것이다. 가입자는 착신호 전환을 설정하기 위해, "*21"이라는 설정 명령과 착신호의 전화번호를 차례로 입력한 후, 통화키("Send")를 눌러야 한다. 상기 "*21"은 GSM Spec(22.030 Man-Machine Interface (MMI) of the User Equipment (UE)))에 따른 착신호 전환을 위한 명령Command이다.
이와 같이, 종래 방식에 따른 착신호 전환은 가입자가 직접 조작해야만 가능하기 때문에, 가입자가 휴대단말기로부터 먼 거리(예: 집 ~ 회사)에 위치해 있는 상황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기능이다. 그러므로 종래 착신호 전환방식은 반드시 가입자가 단말기를 휴대한 상황에서, 가입자의 직접 조작에 의해서만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가입자가 단문메시지를 통해, 자기 단말기의 착신호 전환 기능을 원격으로 조정하도록 하는 휴대단말기의 착신호 전환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착신호 전환 방법은 착신호 전환 명령을 단문 메시지를 통해, 메시지 타입 정보, 설정/해제 정보, 인증정보, 그리고 착신측 전화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착신호 전환 명령을 단문 메시지를 통해,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호 전환 명령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착신호 전환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과정과; 상기 착신호 전환기능이 활성화되면, 착신호 전환 기능이 동작하고 있음을 가입자에게 알리는 과정과; 상기 착신호 전환기능에 따라, 휴대단말기에 착신된 호를 전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착신호 전환 명령은 메시지 타입 정보, 설정/해제 정보, 인증정보, 그리고 착신측 전화번호 정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휴대단말기는 착신호 전환기능이 활성화되면, 착신호 전환 기능이 동작하고 있음을 가입자에게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휴대단말기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 메시지가 착신호 전환을 위한 것인지 일반 단문메시지인지 판별하고, 수신 메시지가 일반 단문메시지로 판정된 경우, 일반 SMS처리루틴에 따라 수신된 메시지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착신호 전환 방법은,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 메시지가 착신호 전환을 위한 것인지 일반 메시지인지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 메시지가 착신호 전환을 위한 것인 경우, 메시지에 포함된 착신호 전환 명령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착신호 전환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과정과; 상기 착신호 전환기능에 따라, 휴대단말기에 착신된 호를 가입자측으로 전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착안점은 휴대단말기가 가입자로부터 먼 거리(예: 집 ~ 회사)에 위치해 있는 상황에서, 단문 메시지(예: Short Message Service(SMS))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의 호착신 전환 기능을 설정시키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 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착신호 전환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착신호 전환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입자는 우선 착신호 전환을 위한 단문메시지를 작성한다. 착신호 전환을 위한 단문메시지의 일 예는 다음과 같다.
"#01 #01 #0000# 028184956#"
상기 착신호 전환을 위한 단문메시지는 4개의 정보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정보를 구분하기 위해 각 정보 사이에 구분자 "#"를 삽입한다. 상기 구분자 "#"는 단문메시지의 시작부분과 끝 부분에도 삽입된다.(S10)
단문메시지를 구성하는 4개의 정보는 메시지 타입 정보, 설정/해제 정보, 인증정보, 그리고 착신측 전화번호 정보의 순서로 구성된다.
상기 메시지 타입정보는 단문메시지가 착신호 전환을 위한 것임을 나타내는 착신호 전환 명령(예: 01)을 포함한다.
상기 설정/해제 정보는 상기 착신호 전환 명령이 착신호 전환기능을 활성화(Activate)시키기 위한 것(예: 01)인지 해제시키기 위한 것(예:00)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인증정보는 타인의 접근을 막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에 기본으로 설정된 비밀번호(예: 0000)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착신호 전환 설정에 관한 별도의 값을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착신측 전화번호 정보는 휴대단말기에 착신된 호를 수신하기 위한 가입 자의 현재 단말기 전화번호(예: 028184956)를 포함한다.
이상, 단문메시지 작성이 완료되면 가입자는 작성된 단문메시지를 자신의 휴대단말기로 전송한다.(S20)
그리고 상기 가입자의 단문메시지를 수신하면(S30), 상기 휴대단말기는 수신 메시지에 포함된 메시지 타입정보를 체크하여(S40), 수신 메시지가 착신호 전환을 위한 단문메시지인지 일반 단문메시지인지 판별한다. 수신된 메시지가 일반 단문메시지로 판정된 경우, 휴대단말기는 일반 SMS처리루틴에 따라 수신된 메시지를 처리한다.(S50)
반면, 수신 메시지가 착신호 전환을 위한 단문메시지로 판정되면, 휴대단말기는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참조하여 착신호 전환 기능을 활성화(혹은 해제)시킨다.(S60) 즉, 휴대단말기는 두번째 정보를 읽고, 수신된 메시지가 착신호 전환 기능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것임을 알게 된다. 그리고 세번째 정보(0000)를 읽어 자신의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지 비교한다. 만일 세번째 정보와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자신의 착신호 전환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네번째 정보를 착신호를 전환하기 위한 착신측 전화번호로 설정한다.
이상의 착신호 전환 설정이 완료되면, 휴대단말기는 착신호 전환 기능이 설정되었음을 알리는 단문메시지를 가입자에게 전송한다.(S70)
이후, 휴대단말기는 호가 착신될 때마다, 착신호 전환 기능에 따라, 상기 착신호를 가입자측으로 전환시킨다.(S80 & S90) 그리고 가입자와 호 발신자 간의 통화는 원격으로 착신호 전환을 설정한 전화번호로 통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가입자의 직접 조작에 의해서만 가능하던 종래 휴대단말기의 착신호 전환 설정을 단문메시지를 통해서도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단문메시지를 매개로 하여 휴대단말기의 착신호 전환 기능을 원격 조작하므로서, 가입자는 휴대단말기를 휴대하지 않고도 휴대단말기에 착신된 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되었다.
이렇게,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를 집에 출근했다거나 분실했을 경우처럼 휴대단말기가 가입자로부터 먼 거리에 위치해 있는 상황에서, 매우 필요할 것으로 기대하며, 대부분의 사적인 연락과 공적인 업무를 휴대단말기를 통해 처리해야 하는 휴대단말기 의존도가 높은 가입자에게 매우 유용할 것이다.
본 발명은 GSM방식의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메시지 타입 정보, 설정/해제 정보, 인증정보, 그리고 착신측 전화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착신호 전환 명령을 단문 메시지를 통해,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호 전환 명령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착신호 전환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과정과;
    상기 착신호 전환기능이 활성화되면, 착신호 전환 기능이 동작하고 있음을 가입자에게 알리는 과정과;
    상기 착신호 전환기능에 따라, 휴대단말기에 착신된 호를 전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착신호 전환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타입 정보는,
    단문메시지가 착신호 전환을 위한 것임을 나타내는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착신호 전환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해제 정보는
    상기 착신호 전환 명령이 착신호 전환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것인지 해제하기 위한 것인지를 나타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착신호 전환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정보는
    보안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에 기본으로 설정된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착신호 전환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측 전화번호 정보는
    휴대단말기의 착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가입자의 현재 단말기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착신호 전환 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 메시지가 착신호 전환을 위한 것인지 일반 단문메시지인지 판별하고, 수신 메시지가 일반 단문메시지로 판정된 경우, 일반 SMS처리루틴에 따라 수신된 메시지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착신호 전환 방법.
  9.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 메시지가 착신호 전환을 위한 것인지 일반 메시지인지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 메시지가 착신호 전환을 위한 것인 경우, 메시지에 포함된 착신호 전환 명령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착신호 전환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과정과;
    상기 착신호 전환기능에 따라, 휴대단말기에 착신된 호를 가입자측으로 전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호 전환 방법.
KR1020040116952A 2004-12-30 2004-12-30 휴대단말기의 착신호 전환 방법 KR100641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6952A KR100641236B1 (ko) 2004-12-30 2004-12-30 휴대단말기의 착신호 전환 방법
CNA2005100035660A CN1798366A (zh) 2004-12-30 2005-12-30 移动终端的呼叫转移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6952A KR100641236B1 (ko) 2004-12-30 2004-12-30 휴대단말기의 착신호 전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8647A KR20060078647A (ko) 2006-07-05
KR100641236B1 true KR100641236B1 (ko) 2006-11-02

Family

ID=36819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6952A KR100641236B1 (ko) 2004-12-30 2004-12-30 휴대단말기의 착신호 전환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41236B1 (ko)
CN (1) CN179836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3743A (ko) * 2006-03-15 2007-09-19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원격지에 위치한 단말기의 포워딩 서비스 제어 방법
KR100941466B1 (ko) * 2006-03-15 2010-02-11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원격지에 위치한 단말기의 포워딩 서비스 제어 방법
KR100830823B1 (ko) * 2006-07-25 2008-05-20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망에서의 sms를 이용한 실시간 착신전환방법
CN102404705B (zh) * 2011-10-24 2015-05-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其远程激活呼叫转移的方法
CN102630080A (zh) * 2012-03-30 2012-08-08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通过短信远程控制手机呼叫转移的系统及方法
CN104954590B (zh) * 2014-03-28 2018-04-10 南宁富桂精密工业有限公司 远端设置呼叫转移的方法及网络电话
CN105872272A (zh) * 2015-12-08 2016-08-17 乐视移动智能信息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实现远程控制呼叫转移的方法和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98366A (zh) 2006-07-05
KR20060078647A (ko) 200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85981A (ko) 가정용 기지국에서 발신자 식별코드 전송방법
JP2003333168A (ja) マスク電話番号を用いたマスク電話サービスシステム
WO2007022677A1 (fr) Dispositif, système et procédé d'appel
KR20010073077A (ko) 이동 전화 장치 및 호출 전환 서비스 방법
KR100641236B1 (ko) 휴대단말기의 착신호 전환 방법
EP11535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nswering incoming emergency calls to a wireless phone
JP2006129491A (ja) 移動通信端末機の電話番号設定方法
KR10139090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전환 장치 및 방법
WO201416967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KR100561276B1 (ko) 교환기 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호제어 방법
KR100820793B1 (ko) 원격지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KR20050108793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발신번호표시 방지 및 전화수신 설정방법
KR101065560B1 (ko) 착신 전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0790073B1 (ko) 휴대용 무선 전화기와 연결된 헤드셋을 이용한 통화 제어 방법
CN101175274A (zh) 在移动终端中处理连接请求的方法及移动终端
KR100613979B1 (ko) 통신망 내 일시 저장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메시징 서비스방법과 그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JP2007274644A (ja) 通信端末及び携帯通信端末
JP2002044230A (ja) 置き忘れ機能付き携帯電話機
KR100838960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동 착신방법 및 장치
KR100574660B1 (ko) 사용자 등록 전화번호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발신호 제한 방법 및 상기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US20070201672A1 (en) Selective telephony functions
KR20010081834A (ko) 전화기를 이용한 발신 번호 자동 전환 방법
JP2003289371A (ja) 携帯無線端末装置
KR970004449A (ko) 셀룰라폰의 디테치 방법
KR10066341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 상태정보 확인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