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0720B1 - Ic 카드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Ic 카드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0720B1
KR100640720B1 KR1020040055311A KR20040055311A KR100640720B1 KR 100640720 B1 KR100640720 B1 KR 100640720B1 KR 1020040055311 A KR1020040055311 A KR 1020040055311A KR 20040055311 A KR20040055311 A KR 20040055311A KR 100640720 B1 KR100640720 B1 KR 100640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function
signal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5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병규
권범준
박주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스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스마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스마텍
Priority to KR1020040055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07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0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0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3Special arrangements for circuits, e.g. for protecting identification code in memory
    • G06K19/0730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reading or writing from or onto record carriers
    • G06K19/07345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reading or writing from or onto record carriers by activating or deactivating at least a part of the circuit on the record carrier, e.g. ON/OFF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주파수 통신이 가능한 IC 카드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다수개의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 이하 'RF'라 약함)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IC 카드가 인터페이스 장치의 통신가능 영역에 위치 할 때, 사용자가 원하는 IC 카드에 한정하여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IC 카드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RF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IC 카드를 다수개 보유한 사용자가 다수개의 IC 카드들 중에서 RF 통신에 의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원하지 않는 특정 카드에 대하여 인위적으로 RF 통신을 비활성화함으로써 여타 IC 카드와의 충돌(Collision)을 방지할 수 있으며, IC 카드 사용자가 RF 통신이 가능한 인터페이스 장치에 접근하거나 RF 통신가능 영역에 위치하더라도 IC 카드의 RF 통신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만약, IC 카드의 제어가 불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IC 카드와 동일한 통신 프로토콜을 보유하고 있는 IC 카드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통신영역에 접근하게 되면 IC 카드 사용자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IC 카드의 데이터가 인터페이스 장치에 전송될 수 있으며, 또한 다수개의 IC 카드를 동시에 소지한 사용자라면 다수개의 IC 카드들 중에서 어느 카드가 데이터를 송/수신하였는지 육안으로 구분해 내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에, 본 발명에 따라 데이터 저장부, 제어부, 신호 정의부를 구비한 IC 카 드의 사용자가 IC 카드의 RF 통신 기능을 제어하고자 할 경우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해당 IC 카드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적 뒷받침을 제공할 수 있다.
RF(Radio Frequency), IC 카드, 인증, 인터페이스 장치(IFD), 충돌, 제어

Description

IC 카드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Control method and system of IC card}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IC 카드의 시스템 구조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IC 카드의 제어 방법에 대한 순서도로서, IC 카드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단말기에 의한 IC 카드 제어 방법의 순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라 RF 기능이 비활성화된 IC 카드가 RF 기능 활성화 신호를 처리하는 환경의 일 실시예
도5는 본 발명에 따라 RF 기능이 활성화된 IC 카드가 RF 기능 비활성화 신호를 처리하는 환경의 일 실시예
본 발명은 RF 통신이 가능한 IC 카드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RF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RF 통신이 가능한 다수개의 IC 카드가 동시에 RF 통신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통신가능 영역에 위치 할 경우, 또는 보안유지 등의 사유로 사용자가 특정 IC 카드에 대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IC 카드의 제어 방 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IC 카드(선불식 충전카드, 직불카드, 신용카드, 교통카드 등)는 지불결제가 가능한 전자지갑 또는 전자통장, 출입통제(사원증, 학생증) 등에 적극 활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 IC 카드는 인터페이스 장치(IFD : Interface Device)에 삽입되었을 때 카드의 접점이 IFD의 접점에 접촉됨으로써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접촉식(Contact) IC 카드와, RF 통신이 가능한 인터페이스 장치(Interface Device, 이하 'IFD'라 약함)의 통신가능 영역에 접근함으로써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비접촉식(Contactless) IC 카드 등으로 구분되며, 최근에는 상기 접촉식과 비접촉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콤비형 IC 카드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부연하면, 상기 IC 카드는 카드 일 측면에 구비된 RF 통신용 코일을 이용하여 IFD와 기 설정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때문에 종래의 접촉식 IC 카드에 비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으며, 또한 접촉식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의 IC 카드 착탈에 소요되는 별도의 시간이 없기 때문에 작업 처리속도의 증대 또한 가능하다.
상기 IC 카드는 보안성이 확보된 고유의 암호화 알고리즘과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다단계의 비밀번호 입력 등의 복잡한 사용자 인증절차가 필요 없고 신속한 작업 처리속도 또한 제공함으로써, 접촉식 IC 카드에 비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증대를 꾀할 수 있어서 그 사용범위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따른 문제점들 또한 발생되고 있다.
일 예로 RF 통신 기반의 교통카드 기능을 탑재한 IC 카드 사용자들은 IC 카 드의 사용 및 관리에 있어서 편의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특정 주거래 IC 카드를 사용하게 되고, 따라서 교통카드 기능을 사용하지 아니하는 여타의 IC 카드에 대하여는 교통카드 기능을 비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다수개의 IC 카드를 소지한 사용자가 교통카드 시스템의 IFD 통신 영역에 접근하였을 경우 다수개의 IC 카드가 중복되어 인식됨으로써 중복(이중) 결제되는 문제점이 있다.
현재 금융기관으로부터 발급되고 있는 IC 카드들은 대부분 RF 방식의 교통카드 기능이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대다수의 사용자들이 필요 이상의 IC 카드를 보유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사용 제한이 필요한 IC 카드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가 카드 일 측면에 구비된 코일을 절단하는 등의 물리적인 방법으로 사용을 제한할 경우, 추후 RF 기능의 원상복구가 불가능하게 됨으로써 또다른 불편을 야기하게 된다.
부연하면, 다수개의 IC 카드를 소지하고 있는 IC 카드 사용자가 교통카드 시스템에 구비된 교통카드용 IFD의 통신영역에 접근하면, 해당 IFD에 RF 통신이 가능한 다수개의 IC 카드가 부합하게 되어 IFD와 IC 카드들 간에 충돌(Collision)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인하여 중복결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IC 카드 사용자가 직전에 사용했던 IC 카드를 인식해서 IFD에 다수개의 IC 카드가 부합되더라도 단일의 IC 카드만을 인식하도록 하는 충돌방지방법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다수개의 IC 카드가 겹쳐진 상태에서는 IC 카드 식별기능이 저하되어 정상적인 인식이 불가능 하다.
따라서 RF 통신이 가능한 IC 카드는 지갑이나 가방에서 별도로 카드를 꺼내 지 아니하고도 지갑이나 단말기에 접속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IC 카드를 이용하는데 근본 취지가 있는데 다수개의 카드가 겹쳐질 경우 단말기가 인식하지 못하도록 하는 종래 기술은 비접촉식 카드의 장점을 사장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다른 종래의 기술에서는 충돌방지(Anticollision) 방법으로 해당 IFD의 통신영역에 근접한 IC 카드들에 대하여 응답강도, 응답순서 등을 바탕으로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방법을 적용하고 있는데, 다수개의 IC 카드에 순위 값을 부여해서 가장 높은 우선순위 값을 가진 하나의 IC 카드에 대해서 만이 데이터 송/수신 작업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충돌방지(Anticollision) 방법은 IC 카드가 최소의 식별 데이터로 응답하는 Time slot 개념에 기초하여 Slot의 번호는 변동이 가능하고, 1부터 기 지정된 정수 값까지 다양하다. 또한 각 Time slot의 카드 응답확률 및 강도 또한 조정할 수 있으며, 카드는 충돌방지 절차 중에서 1회에 한하여 응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다수개의 IC 카드가 RF 통신이 가능한 IFD 통신영역에 접근하여도 오직 한 카드만이 응답함으로써, IFD에는 해당 카드의 식별데이터를 인지한 1개의 Slot이 존재하게 되며, IFD는 카드 식별데이터를 기반으로 인식된 해당 IC 카드와 통신 채널을 구축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의 경우, 다수개의 IC 카드 중에서 사용자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IFD에 의해 신호 응답강도, 응답순서 등에 의하여 선택된 1개의 IC 카드만이 인식되기 때문에 다수개의 IC 카드를 동시에 소지한 사용자의 경우에는 다수 개의 IC 카드들 중에서 어느 카드가 IFD와 데이터를 송/수신하였는지 육안으로 구분해 내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예를 들어, RF 통신 기반의 교통카드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IC 카드를 버스에서 이용할 경우, 사용자가 최초 탑승시 운임을 1회 결제한 후 추가적인 결제가 불필요한 종래의 운임체계에서는 상기와 같이 다수개의 IC 카드 중에서 단일의 카드만이 선택되어 결제가 수행되므로 운임 결제와 관련하여 특별한 문제를 야기하지 아니한다.
그러나 신교통 시스템 또는 지하철 교통카드 시스템과 같이 사용자가 승차 시와 하차 시 각각 1회씩 IFD와 데이터를 송/수신 해야하는 경우, 다수개(A, B, C ...)의 IC 카드들 중에서 최초 승차 시 인식된 'B' 카드가 하차 시에도 반드시 인식되어야 이동거리에 따른 정당한 운임 결제가 가능하며, 추후 버스 또는 지하철 등에 대한 환승 시에도 최종 이용기록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IC 카드를 다수개 보유한 사용자가 다수개의 IC 카드들 중에서 RF 통신에 의한 카드 사용을 원하지 않는 특정 카드에 대하여 사전에 물리적인 방법이 아닌 여타의 방법으로 사용제한 함으로써 IC 카드들의 충돌(Collision) 및 중복결제 등을 방지하는 한편, 사용자의 의지와 관계없이 임의의 IC 카드가 RF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즉 IC 카드에 물리적인 손상을 가하지 아니한 상태에서 RF 통신 기능을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비활성화하는 한편, 추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RF 통신 기능의 비활성화를 해제할 수 있는 IC 카드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IC 카드의 충돌방지(Anticollision) 방법에 대한 보완이 시급히 요구되며, 이에 고려 가능한 여러 가지 방법들 가운데 기존의 IC 카드 운용 시스템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으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은 IC 카드 사용자가 IC 카드에 대하여 RF 기능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가 필요할 경우, 종래와 같이 IC 카드에 대한 물리적인 방법을 통하여 RF 기능을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IC 카드 일 측면에 데이터 저장부와 제어부, 신호 정의부를 구비하여 RF 통신 제어기능을 활성화(ON)하거나 비활성화(OFF)함으로써 신속하고 편리하게 IC 카드를 제어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IC 카드의 일 측면에 RF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부와 제어부 및 신호 정의부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초기화 신호인지 여부를 우선 판단하도록 함으로써, RF 통신이 가능한 IC 카드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IC 카드의 RF 통신 기능을 제어하더라도 종래와 같이 IC 카드를 IFD 삽입하는 접촉식 데이터 송/수신은 정상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이 필요하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 IC 카드 사용자가 유/무 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RF 통신이 가능한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IC 카드용 프로그램을 구비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해당 카드의 RF 통신 기능에 대한 활성화(ON) 또는 비활성화(OFF)를 요청하는 단계;와 (b) RF 통신이 가능한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IC 카드용 프로그램을 구비한 단말기가 사용자 정당성 판단을 위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PIN 또는 패킷값의 입력을 요청하고, 입력된 PIN 또는 패킷값을 포함하는 신호를 고유의 보안 알고리즘으로 생성하여 IC 카드에 전송하는 단계;와 (c) IC 카드가 수신한 신호를 고유의 보안 알고리즘으로 복호화하여 PIN 또는 패킷값을 획득한 후, IC 카드의 일 측면에 기 설정된 PIN 또는 패킷값과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RF 통신이 가능한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IC 카드용 프로그램을 구비한 단말기에 대하여 응답전문을 송신하는 단계;와 (d) RF 통신이 가능한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IC 카드용 프로그램을 구비한 단말기가 응답전문 내용을 판단하여 응답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고,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기 위하여 생략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IC 카드의 시스템 구조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IC 카드는 Data 저장부(100), 제어부(110), 신호 정의부(120), 인터페이스부(130)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먼저, 상기 Data 저장부(100)는 RF 기능의 활성화(ON) 및 비활성화(OFF)와 관련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며, 카드정보, 승/하차 및 환승 내역, 전자화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RF 기능의 활성화(ON) 및 비활성화(OFF)와 관련하여 기 설정된 PIN 또는 패킷값과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PIN 또는 패킷값을 비교하여 사용자 정당성을 검증하며, 활성화(ON) 및 제한(OFF)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정상 처리여부 판단 등의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은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제공되는 신용카드, 직불카드 등의 IC 카드의 발급시 사용자의 조합에 의하여 부여되며, 패킷값은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필요없는 선불카드 등의 발급시 카드 발급자에 의해 부여되는 특정한 값이다.
신호 정의부(120)는 기 설정된 신호 정의에 의하여 IC 카드용 IFD 또는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RF 통신 기능 활성화(ON) 및 비활성화(OFF) 등의 초기화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초기화 신호가 아닌 경우에는 해당 신호를 운임결제 또는 데이터 송/수신 등의 일반작업 수행용 신호로 간주하며, 판단 결과를 제어부(110)에 제공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한편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IFD, 접촉식 및 비접촉식 모두 가능한 IFD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담당하는데, 접촉식 IFD의 경우에는 IC 카드용 접촉 단자를 이용하고, 비접촉식 IFD의 경우에는, RF 통신용 안테나 코일을 이용하는데, IC 카드와 IFD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면 어떠한 형태를 가지고 있어도 무방하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먼저, 제1실시예를 참조하면 다수개의 IC 카드를 보유한 사용자가 특정 IC 카드(200)에 대한 RF 기능을 활성화(ON) 또는 비활성화(OFF)하기 위하여, 상기 IC 카드(200)의 금액 충전 및 RF 기능 제어가 가능한 인터페이스 장치(IFD : Interface Device, 이하 'IFD'라 약함)(210)를 보유하고 있는 카드 충전소를 방문한다.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IC 카드(200)를 제시하면 충전소의 IFD(210) 관리자는 상기 IC 카드(200)를 IFD(210)에 삽입하거나 RF 방식으로 접속한 후, 사용자에게 IC 카드 일 측면에 기 설정된 PIN 또는 패킷값의 입력을 요구하고, IFD(210)를 통하여 정당 사용자로 검증된 사용자에 한하여 RF 기능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만약 PIN 또는 패킷값 검증을 통과하지 못하였을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에게 접근 불가 메시지를 출력한다.
한편 상기 비밀번호 검증 작업 시 IC 카드의 일 측면에 기 설정된 PIN 또는 패킷값은 충전소의 IFD 관리자에게 일체 제공되지 아니하며, 사용자의 PIN 또는 패킷값 입력 시 IFD(210) 내부의 특정 보안 알고리즘에 의하여 암호화되어 해당 IC 카드(200)에 제공되고 이를 수신한 IC 카드(200) 역시 특정 보안 알고리즘에 의하여 복호화하여 정당 사용자 여부만을 검증한 후, 충전소 IFD 관리자에게는 그 검증 결과만이 제공됨으로써 IC 카드의 하드웨어적 특성인 뛰어난 보안성을 적극 활용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상기 IFD(210)는 IC 카드(200)의 착탈이 가능하며 RF 통신으로 IC 카드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면 어떠한 형태를 가지고 있어도 무방하며, 상기 IC 카 드(200)와의 데이터 송/수신간 보안을 유지할 수 있는 고유의 보안 알고리즘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2실시예를 참조하면, 다수개의 IC 카드를 보유한 사용자가 특정 카드에 대한 RF 기능을 활성화(ON) 또는 비활성화(OFF)하기 위하여, 상기 IC 카드의 금액 충전 및 RF 기능 제어가 가능한 IFD를 보유한 카드 충전소를 직접 방문하지 아니하고 가정이나 회사 등의 컴퓨터(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IC 카드 사용자가 상기 활성화(ON) 또는 비활성화(OFF) 대상 IC 카드를 컴퓨터(230)와 연결된 IFD(220)에 삽입 또는 접속하면, 상기 컴퓨터(230)는 RF 기능 제어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IC 카드 발급 시 등록한 PIN 또는 패킷값을 요구하고, PIN 또는 패킷값 검증을 통과한 사용자에 한해서만 RF 기능의 활성화 및 제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만약 PIN 또는 패킷값 검증을 통과하지 못하였을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에 대하여 접근 불가 메시지를 출력한 후, 일련의 작업을 즉시 종료하게 된다.
한편, 상기 PIN 또는 패킷값 검증 작업 시 IC 카드의 일 측면에 기 설정된 PIN 또는 패킷값은 컴퓨터 사용자에게 일체 제공되지 아니하며, 사용자의 PIN 또는 패킷값 입력시 전용 프로그램의 특정 보안 알고리즘에 의하여 암호화되어 해당 IC 카드에 제공되고 이를 수신한 IC 카드 역시 특정 보안 알고리즘에 의하여 복호화하여 정당 사용자 여부만을 검증한 후, 컴퓨터 사용자에게는 그 결과만이 제공되며, 일련의 작업 시 생성된 PIN 또는 패킷값 등의 검증 데이터는 작업 종료와 함께 즉시 소멸됨으로써, IC 카드의 하드웨어적 특성인 뛰어난 보안성을 적극 활용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상기 컴퓨터(230)는 RF 기능 제어용 프로그램을 구비고 있다면 RF 기능 제어용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있는 특정 서버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IC 카드에 대한 RF 기능의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컴퓨터(230)가 RF 기능 제어용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고 하더라도 RF 기능 제어용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있는 특정 서버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라면 역시 IC 카드에 대한 RF 기능의 제어가 가능하다.
즉, 상기 컴퓨터(230)는 IC 카드를 제어하기 위한 전용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있다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며, 또한 상기 IC 카드와의 데이터 송/수신간 보안을 유지할 수 있는 특정 보안 알고리즘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컴퓨터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IFD(220)를 포함하고 있는데, IFD(220)는 IC 카드의 착탈이 가능하고 RF 통신으로 IC 카드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면 어떠한 형태를 가지고 있어도 무방하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IC 카드의 제어 방법에 대한 순서도로서, IC 카드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단말기에 의한 IC 카드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IC 카드 제어 방법을 이용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IC 카드 충전소를 방문하거나 IC 카드 제어용 프로그램이 구비되어 있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IC 카드용 IFD에 IC 카드를 삽입 또는 접속(S300)한 후, 해당 카드의 RF 기능에 대한 활성화(ON) 또는 비활성화(OFF)작업을 선택(S301)하여 요청(Request)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활성화(ON) 또는 비활성화(OFF) 요청을 수신한 IC 카 드 충전소의 IFD 또는 단말기는 해당 사용자에게 정당성 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PIN 또는 패킷값의 입력(S302)을 요청(Request)하고, 입력된 PIN 또는 패킷값을 포함하는 신호를 고유의 보안 알고리즘으로 생성하여 IC 카드에 전송(S303)한다.
해당 IC 카드는 수신한 신호를 고유의 보안 알고리즘으로 복호화하여 PIN 또는 패킷값을 획득한 후, IC 카드의 일 측면에 기 설정된 PIN 또는 패킷값과 정확하게 일치하는지 여부를 검증하여 IFD 또는 단말기에 대하여 응답전문을 송신한다. 상기 PIN 또는 패킷값을 포함하는 신호의 전송(S303)에서부터 응답전문 수신(S304)까지의 세부 절차는 하기의 도4와 도5에서 상세히 설명하겠다.
이어서, 해당 IC 카드로부터 작업완료 또는 작업불가 응답전문을 수신(S304)한 IFD 또는 단말기가 전문 내용을 검증(S305)하여 정상적인 작업완료 응답전문일 경우에는 일련의 작업경로 및 경과 등의 데이터를 저장(S307)한 후 사용자에게 작업완료 메시지를 출력(S308)한 후, 일련의 작업을 종료하게 되며, 비정상적인 작업불가 응답전문일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작업불가 메시지를 출력(S306)한 후, 일련의 작업을 종료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IC 카드의 RF 통신 기능에 한정하여 제어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IC 카드를 IFD 삽입하는 접촉식 데이터 송/수신은 정상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라 RF 기능이 비활성화된 IC 카드가 RF 기능 활성화 신호를 수행하는 순서도이다.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PIN 또는 패킷값이 포함된 신호를 수신(S400)한 IC 카드는 현재 RF 기능이 비활성화된 상태이기 때문에 신호 정의부에 의하여 수신된 신호가 RF 기능의 활성화를 위한 초기화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S401)한다. 신호 정의부로부터 판단결과를 수신한 제어부는 초기화 신호가 아닌 경우에는 운임결제, 데이터 송/수신 등의 일반작업을 수행(S402)하고, 초기화 신호인 경우에는 RF 기능을 우선 활성화(S403)하여 신호대기 상태로 전환한다.
이어서, 제어부는 IFD 또는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고유의 암호 알고리즘으로 복호화한 후, PIN 또는 패킷값을 우선 획득(S404)하여 IC 카드 일 측면에 기 설정된 PIN 또는 패킷값과 정확하게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S405)한다. 판단결과 일치할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를 정당 사용자로 간주하여 IC 카드의 RF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IC 카드의 데이터 저장부에 현 상태를 저장(S408)한 후, IFD 또는 단말기에 대하여 작업완료 응답 전문을 송신(S409)한다.
검증결과 불일치할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를 부정 사용자로 간주하여 IC카드의 RF 기능을 즉시 비활성화(S406)하고, IFD 또는 단말기에 대하여 작업불가 응답 전문을 송신(S407)한다.
한편, 상기 신호 수신(S400)단계에서 수신된 신호가 RF 방식의 무선에 의하여 수신되고, 신호 정의부가 해당 신호를 검증한 결과 초기화 신호가 아니면, 일체의 일반작업 수행(S402)단계 없이 즉시 일련의 작업을 종료하게 된다. 이는 해당 카드가 본 발명에 따라 RF 기능이 비활성화된 IC 카드이기 때문에 초기화 신호에 대한 응답 이외의 작업은 불가하며, 유선에 의하여 수신된 여타의 IC 카드와는 상이한 작업절차를 수행하기 때문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라 RF 기능이 활성화된 IC 카드가 RF 기능 비활성화 신호 를 수행하는 순서도이다.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PIN 또는 패킷값이 포함된 신호를 수신(S500)한 IC 카드는 현재 RF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이기 때문에 즉시 신호 정의부에 의하여 수신된 신호가 RF 기능의 비활성화를 위한 초기화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S501)한다. 신호 정의부로부터 판단결과를 수신한 제어부는 초기화 신호가 아닌 경우에는 운임결제, 데이터 송/수신 등의 일반작업(S502)을 수행한다.
한편, 초기화 신호인 경우에는 IFD 또는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고유의 암호 알고리즘으로 복호화한 후, PIN 또는 패킷값을 우선 획득(S503)하여 IC 카드 일 측면에 기 설정된 PIN 또는 패킷값과 정확하게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S504)한다. 판단결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를 부정 사용자로 간주하여 해당 IFD 또는 단말기에 대하여 작업불가 응답 전문을 송신(S505)한다.
일치할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를 정당 사용자로 간주하여 IC 카드의 데이터 저장부에 RF 기능 비활성화 명령을 저장(S506)하고, IFD 또는 단말기에 대하여 작업완료 응답 전문을 송신(S507)한 후, 최종적으로 사용자가 요청한 바와 같이 RF 기능을 비활성화(S508)한다.
이상,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변경실시 가능하며, 소프트웨어적 방법의 구현뿐만 아니라, 하드웨어적 방법의 구현 또한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너무나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IC 카드의 제어 방법은, 종래 IC 카드 충돌방지(Anticollision) 방법에 대한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신규의 IC 카드 운용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 없이 기존의 IC 카드 운용 시스템에 즉시 적용 가능하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IC 카드 사용자가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IC 카드용 IFD 또는 단말기에 삽입하거나 RF 방식으로 접속된 해당 IC 카드에 대하여 RF 기능을 활성화(ON)하거나 비활성화(OFF)하고자 할 경우 종래와 같이 IC 카드에 대한 물리적인 제어 방법이 아니라, IC 카드 일 측면에 기 설정된 RF 기능 제어명령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함으로써 IC 카드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IC 카드의 일 측면에 RF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부와 제어부 및 신호 정의부를 구비하여,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가 본 발명에 따른 초기화 신호인지 여부를 우선 판단함으로써, RF 통신이 가능한 IC 카드의 제어가 가능하다.
따라서 다수개의 IC 카드를 지갑에 보유한 사용자라 하더라도 원하는 IC 카드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RF 기능을 활성화(ON) 또는 비활성화(OFF)할 수 있기 때문에 다수개의 IC 카드를 소지함으로써 발생되는 IC 카드와 IFD간의 충돌을 방지(Anticollision)할 수 있으며, 중복인식의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IC 카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RF 통신 기능 제어시 해당 사용자에게 PIN 또는 패킷값의 입력을 요구하기 때문에 분실 또는 도난 등에 의한 부정사용의 문제를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라 RF 통신 기능이 비활성화되었다 하더라도 접촉식에 의한 데이터의 송/수신은 정상적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Claims (18)

  1. RF 통신이 가능한 IC 카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IC 카드 사용자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단말기에 IC 카드를 접속하여 해당 카드의 RF 통신 기능에 대한 활성화(ON) 또는 비활성화(OFF)를 요청하는 제1단계;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단말기가 사용자의 RF 통신 기능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요청 전문을 IC 카드에 대하여 전송하는 제2단계;와
    IC 카드가 수신한 요청전문에 대한 응답전문을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단말기에 대하여 송신하는 제3단계;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단말기가 IC 카드로부터 수신한 응답전문 내용을 판단하여 응답메시지를 출력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의 제어 방법
  2. 삭제
  3. RF 통신이 비활성화된 IC 카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IC 카드의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신한 신호를 신호 정의부가 RF 기능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위한 초기화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결과를 제어부에 전송하는 제1단계;와
    판단결과 초기화 신호가 아닌 경우에는 데이터 송/수신의 일반작업을 수행하고, 초기화 신호인 경우에는 우선 RF 기능을 활성화하여 IC 카드의 RF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IC 카드의 데이터 저장부에 현 상태를 저장한 후,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단말기에 대하여 작업완료 응답 전문을 송신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의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초기화 신호는 RF 기능의 활성화 전문과 IC 카드의 신호 정의부와 상호 식별을 위한 정의값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의 제어 방법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IC 카드의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신한 신호가 접촉식이 아닌 비접촉식의 무선에 의하여 수신되고, 또한 신호 정의부 판단결과 초기화 신호가 아닌 경우에는 일체의 일반작업 수행 없이 즉시 작업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의 제어 방법
  7. 삭제
  8. RF 통신이 활성화된 IC 카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IC 카드의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신한 신호를 신호 정의부가 RF 기능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기 위한 초기화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결과를 제어부에 전송하는 제1단계;와
    판단결과 초기화 신호가 아닌 경우에는 데이터 송/수신의 일반작업을 수행하고, 초기화 신호인 경우에는 IC 카드의 RF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IC 카드의 데이터 저장부에 현 상태를 저장한 후,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단말기에 대하여 작업 완료 응답 전문을 송신하고, RF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초기화 신호는 RF 기능을 비활성화하기 위한 전문과 IC 카드의 신호 정의부와 상호 식별을 위한 정의값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의 제어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RF 통신이 가능한 IC 카드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RF 기능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와 관련하여 작업경로와 작업경과 데이터를 저장하며, 카드정보, 승/하차 및 환승 내역, 전자화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부;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RF 기능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위한 초기화 신호인지, 데이터 송/수신의 일반작업 수행용 신호인지를 구분할 수 있는 정의값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정의값을 이용하여 신호에 대한 정의를 산출한 후, 그 결과를 제어부에 제공하는 신호 정의부;와
    상기 데이터 저장부 및 신호 정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IC 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의 제어 시스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12항에 있어서,
    인터페이스 장치는 RF 기능 제어용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있으며, IC 카드의 착탈이 가능하고 RF 통신으로 IC 카드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의 제어 시스템
  17. 제12항에 있어서,
    단말기는 자체적으로 RF 기능 제어용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있어서, RF 기능 제어용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있는 특정 서버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IC 카드에 대한 RF 기능의 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의 제어 시스템
  18. 제12항에 있어서,
    단말기는 자체적으로 RF 기능 제어용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있지 않고 RF 기능 제어용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있는 특정 서버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IC 카드에 대한 RF 기능의 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의 제어 시스템
KR1020040055311A 2004-07-15 2004-07-15 Ic 카드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0640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311A KR100640720B1 (ko) 2004-07-15 2004-07-15 Ic 카드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311A KR100640720B1 (ko) 2004-07-15 2004-07-15 Ic 카드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0720B1 true KR100640720B1 (ko) 2006-11-10

Family

ID=37653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5311A KR100640720B1 (ko) 2004-07-15 2004-07-15 Ic 카드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07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156B1 (ko) 2006-11-27 2013-12-05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카드 인식 장치 및 방법
KR101755592B1 (ko) * 2016-03-02 2017-07-10 주식회사 마늘랩 스마트 카드 및 그 제어 방법 및 휴대용 단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156B1 (ko) 2006-11-27 2013-12-05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카드 인식 장치 및 방법
KR101755592B1 (ko) * 2016-03-02 2017-07-10 주식회사 마늘랩 스마트 카드 및 그 제어 방법 및 휴대용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5547B2 (en) Data communic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memory of data communicating apparatus
KR101330867B1 (ko) 결제 디바이스에 대한 상호인증 방법
US9542630B2 (en) Method of securely reading data from a transponder
AU2010230088B2 (en)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in a contactless environment
US11039293B2 (en) Method and devices for transmitting a secured data package to a communication device
JPWO2002086808A1 (ja) 情報保護システム及び情報保護方法
US7516479B2 (en) Data communic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memory of data communicating apparatus
JP5351953B2 (ja) 携帯端末、端末機能管理システム、端末機能管理方法、端末機能管理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する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US7416114B2 (en) Electronic value transfer device equipped with non-contact IC interface
KR100973553B1 (ko) 가맹점 결제단말의 결제전문 처리 방법 및 가맹점 결제단말
KR101648502B1 (ko) 카드형 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 및 방법
WO2013001133A1 (en) Bank-card fraud detection and prevention for bank automats
KR100640720B1 (ko) Ic 카드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JP4207404B2 (ja) 携帯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icカード
EP3291503B1 (en) Method and devices for transmitting a secured data package to a communication device
JP2006301731A (ja) 認証登録処理装置及び認証登録処理方法
KR101662388B1 (ko) 바이오정보의 분산관리 기반의 매체저장형 금융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766670B1 (ko) 선불카드 충전 방법 및 선불카드 충전 시스템
CN116264681A (zh) Nfc业务
CN116264696A (zh) Nfc事务
JPH05225405A (ja) 非接触データ記憶システム
KR20070017072A (ko) 가치 정보 이동 시스템 및 가치 정보 이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527

Effective date: 2006072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