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0287B1 -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0287B1
KR100640287B1 KR1020030055070A KR20030055070A KR100640287B1 KR 100640287 B1 KR100640287 B1 KR 100640287B1 KR 1020030055070 A KR1020030055070 A KR 1020030055070A KR 20030055070 A KR20030055070 A KR 20030055070A KR 100640287 B1 KR100640287 B1 KR 100640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ortable terminal
personal portable
user
lo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5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0879A (ko
Inventor
박성우
Original Assignee
바이어스아이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어스아이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이어스아이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5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0287B1/ko
Publication of KR20030070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0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0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0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91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information related to real-time traffic, weather, or environmental cond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1Traffic information broadcast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이 내장 또는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는 개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GPS 위성에서 전송된 GPS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GPS 신호를 분석하여 도출되는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과속 단속 카메라 위치 경고 등의 각종 이벤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정보를 제공 받기 위한 방법은, 소정의 위치 좌표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이벤트 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메모리 수단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는 GPS 수신 모듈이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GPS 수신 모듈을 통하여 수신된 GPS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 수단을 참조하여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이벤트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이벤트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인 휴대 단말기, GPS, 과속 단속 카메라, 사고 정보, 위치 정보

Description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A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BY USING POSITIONING INFORMATION OF PERSONAL PORTABLE TERMINAL AND A SYSTEM THEREOF}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 포탈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네트워크 연결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소정의 이벤트 정보를 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에서 소정의 정보 데이터를 개인 휴대 단말기로 업데이트하는 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에 포함되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는 정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에서 과속 단속 카메라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 상의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에서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이 내장 또는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는 개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GPS 위성에서 전송된 GPS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GPS 신호를 분석하여 도출되는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과속 단속 카메라 위치 경고 등의 각종 이벤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망을 이용한 서비스의 제공으로 인하여 휴대형 컴퓨터 및 이동 전화 등의 무선 통신 환경 속에서 정보 검색 기회가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유로이 이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든 필요한 정보 서비스를 검색하고 제공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 중, 네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 system)은 인공 위성을 이용하여 차량 등 운송 장치(vehicle)의 주행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자동 항법 시스템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지구상 에 떠있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신의 위치를 계산한다. 지구상에는 다수의 GPS 위성이 떠 있는데, 운송 장치는 지구상의 어느 지역에 있던지 3개의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3개의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GPS 신호에 기초하여 자신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게 된다.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계산된 자신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다양한 주행 정보를 상기 차량 등의 운송 장치에 제공한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기존에는 항공기나 선박 등 대형 이동체의 위치 계산과 항법에 주로 이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자동차 등에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운송 장치의 현재의 위치 정보, 운송 장치의 현재의 위치에서부터 상기 운송 장치의 목적지까지의 경로 정보, 상기 위치 정보 및 경로 정보와 관련된 지도 정보, 교통 상황 정보 등 매우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이 다수 안출되고 있다. 특히, 현재 차량 내에 GPS 수신기를 장착하고, 상기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과속 단속 카메라의 위치를 알려주는 시스템은 다수의 운전자들 사이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사고 예방을 목적으로 설치된 과속 단속 카메라의 위치는 수시로 변경, 추가되고 있는데, 이러한 과속 단속 카메라는 과속 차량 적발을 목적으로 설치되었지만, 부가적으로는 제한된 속도로 안전 운전을 유도하여 사고를 미연에 예방하는 목적이 있 다. 그러나 초행길을 운행하는 운전자의 경우 과속 단속 카메라의 갑작스런 발견으로 급제동함으로써 후행 차량과의 사고를 유발시키는 등 역기능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따라, 과속 단속 카메라가 설치된 지역에는 전방에 안내표지판을 미리 설치하여 운전자가 규정 속도를 준수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방법에 의하면, 각종 위치 정보를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포함된 데이터 저장 장치에 기록하기 위하여 소정의 시리얼 케이블을 통해 자신의 PC(Personal Computer)에 저장된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동기화함으로써 상기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데이터의 정확성을 담보하는 데에 있어 난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 미숙과 소프트웨어상의 오류로 인해 데이터 저장 장치에 내장된 데이터가 손실되는 경우 즉각적인 조치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동통신 사업자들은 사용자의 개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소정의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 포탈 서비스 방법에서의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 부호(101)은 핸드폰, PDA를 포함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고, 도면 부호(102)는 무선 통신망(103)을 이용하여 개인 휴대 단말기(101)로 소정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101)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망(103)을 통해 서버(102)에 접속하여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 받아 열람,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콘텐츠는 경로 정보 등과 같이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관련된 콘텐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2)로부터 제공 받은 콘텐츠가 소정의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정보에 관한 것인 경우, 상기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에 대한 경로 정보는 개인 휴대 단말기(101)의 디스플레이 상에 문자(예를 들면, '**동 사거리에서 좌측으로 300m')나 기호(예를 들면, '->')를 이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경로 정보는 GPS를 이용하여 식별한 개인 휴대 단말기(101)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경로 정보 제공 서비스는 부가적으로 경로 상에 존재하는 다수의 지형 지물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지만, 이러한 서비스 자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무선 통신망(103)을 통하여 상기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서버(102)에 접속하고 있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다수의 사용자들로 하여금 통신 비용에 대한 부담을 초래하게 되고, 이러한 위치 기반 정보 제공 서비스의 활성화를 심각하게 저해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개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소정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 법 및 그 시스템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소정의 정보를 제공 받기 위하여 소정의 정보 제공 서버와의 접속을 계속 유지할 필요 없이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필요한 데이터만을 전송 받고, 전송 받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소정의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소정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 뿐 아니라, 상기 사용자로부터 전송된 소정의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토대로 정보량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가장 최신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은 차량 운행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과속 방지 카메라의 위치 정보 또는 사고/정체 위치 정보를 상기 차량 운행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운행자의 안전 및 운행 편의를 제고하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은 차량 운행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소정의 인근 상가 위치 정보를 상기 차량 운행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거래 촉진 및 정보 제공 시스템 측면에서 새로운 수익 모델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정보를 제공 받기 위한 방법은, 소정의 위치 좌표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이벤트 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메모리 수단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는 GPS 수신 모듈이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GPS 수신 모듈을 통하여 수신된 GPS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 수단을 참조하여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이벤트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이벤트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 수단을 제어하는 상기 단계는, 소정의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위치 좌표에 대응하는 상기 이벤트 정보를 전송 받는 단계; 상기 전송된 이벤트 정보를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정보 업데이트 요청에 대한 갱신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소정의 위치 좌표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이벤트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개인 휴대 단말기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전송하여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에 설치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이벤트 정보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전송 요청에 대응하는 상기 이벤트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로 상기 이벤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정보 데이터에 상기 이벤트 정보로서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전송된 상기 이벤트 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메모리 수단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는 GPS 수신 모듈이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GPS 수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GPS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 수단을 참조하여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이벤트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이벤트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널리 사용되는 개인 휴대 단말기라 함은 소정의 메모리를 구비하고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핸드헬드 PC 등의 이동통신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대하여 상술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개인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정보를 제공 받기 위한 일련의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소정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단계 210).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함께, GPS 모듈이 구동된다(단계 220). 단계 220에서 상기 GPS 모듈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동시에 구동되도록 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차량 등에 탑승하여 상기 GPS 모듈의 전원을 인가하고 소정의 웜 리셋 수행까지 대기한 다음, 상기 GPS 모듈이 구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GPS 모듈을 통해 수신된 GPS 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연산한다(단계 230). 단계 230에서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연산하기 위해서는, 상기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GPS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연산하는 통상의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단계 210 내지 단계 230에서 수행되는 일련의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프로세스는 다음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최근에 몇몇 이동 통신 사업자들이 제공하고 있는 CPS(Cell Positioning System)을 이용하여, 해당 개인 휴대 단말기가 위치하고 있는 특정 셀을 검색하여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당업자라면 주지하는 바와 같이, 셀룰러 또는 PCS 등의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영역을 소정의 셀(cell)로 구분하고, 각 셀에 하나 이상의 기지국(base station)을 구비한다. 하나의 셀에 위치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는 기지국과 소정의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기지국과의 동기화(synchronization) 및 페이징(paging) 등의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기지국과의 페이징으로 얻어진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는 홈 로케이션 레지스트리(HLR)에 기록되고, HLR에 기록 된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후술하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계 230에서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가 연산이 되면, 상기 위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에 내장 또는 외장되는 소정의 메모리 수단을 참조하여 소정의 위치 좌표에 대응하는 소정의 이벤트 정보를 검색한다(단계 240). 상기 메모리 수단은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에 포함되는 내장형 메모리 또는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도록 설계된 외장형 메모리일 수 있고, 상기 외장형 메모리는 멀티미디어 카드(MMC), SD 카드, 메모리 스틱, 콤팩트 플래시 메모리, 또는 마그네틱 저장 장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단계 230에서 연산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 좌표일 수 있고, 상기 메모리 수단을 참조하여 이러한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상기 위치 좌표에 해당하는 위치 좌표를 검색한다. 상기 위치 좌표의 검색 결과에 따라, 상기 메모리 수단에 상기 위치 좌표에 대응하는 소정의 이벤트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250), 판단 결과 대응되는 이벤트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이벤트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다(단계 260). 단계 260에서 단계 250에서 대응되는 이벤트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다시 단계 230으로 회귀하여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연산하도록 동작한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소정의 이벤트 정보를 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운행 중 사용자의 메모리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이벤트 정보 중에서 해당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이벤트 정보가 존재하지 아니하여 과속 단속 카메라 위치 정보를 제공 받지 못한 경우, 또는 교통 사고나 정체 등의 구간을 운행하고 있는 등의 새로운 이벤트 정보를 입수한 경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선정된(predetermined) 키 입력을 통하여 이러한 새로운 이벤트 정보를 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먼저, 사용자는 새로운 이벤트 정보를 입수한 경우,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소정의 키를 누르게 된다(단계 271). 단계 271에서 상기 소정의 키는 일예로, 새로운 과속 단속 카메라의 위치에 대한 이벤트 정보인 경우에는 "#" 버튼을, 사고 또는 정체에 대한 이벤트 정보인 경우에는 "*" 버튼을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키 입력은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 상에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고 있을 때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키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일예로, GPS 좌표)와 해당 이벤트 정보를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하게 된다(단계 272).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키 입력으로 특정되는 소정의 이벤트 정보를 분석한다(단계 273). 단계 273에서는 SMS-MO 방식을 이용한 SMS 전달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SMS는 단순 SMS(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개인 휴대 단말기로의 전송)와 기업형 SMS가 있고, 기업형 SMS는 다시 MT(Mobile Termination)와 MO(Mobile Origination)로 구분될 수 있다. MT는 중앙 시스템 단에서 개인 휴대 단말기로 SMS를 전송하는 경우를 의미하고, MO는 개인 휴대 단말기 에서 중앙 시스템으로 SMS를 전송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즉, MO는 기업형 SMS 시행 기업이 이동통신사업자로부터 소정의 회사식별번호를 부여 받은 후, 사용자가 회사식별번호를 착신번호로 하여 SMS를 전송하는 경우, 이동통신사업자는 상기 회사식별번호를 인식하여 상기 기업의 서버로 상기 SMS를 포워딩(forwarding)하는 서비스 방식을 의미한다. 단계 273에서 사용자의 개인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소정의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는 SMS는 착신번호로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의 식별번호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동통신사업자는 상기 식별번호를 인식하여 상기 SMS를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 포워딩하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에서는 상술한 SMS 이외에도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와 이벤트 정보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단계 274),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가 새로이 갱신된 사실을 SMS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개인 휴대 단말기로 전송한다(단계 275). 사용자는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서, 또는 상기 정보 제공 서버의 제어를 받는 소정의 SMS 서버로부터 상기 SMS를 수신하고(단계 276), 수신된 SMS에 대한 확인 응답을 수행한다(단계 277). 단계 277에서 확인 응답을 수행하는 구성의 일예로는,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구동되고 있는 소정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메뉴를 이용하거나, 사용자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고 있는 개인 휴대 단말기 상에서 선정된 키 입력(일예로 "통화" 버튼 등)을 하는 경우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가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 접 속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확인 응답을 수신하고, 갱신된 업데이트 데이터를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로 전송한다(단계 278). 전송된 업데이트 데이터의 버전 정보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의 사용자 별로 분류된 소정의 버전 정보 필드에 기록하고(단계 279),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는 단계 278에서 전송된 업데이트 데이터를 메모리 수단에 기록한다(단계 280). 단계 279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관한 설명은 도 3a 내지 도 3b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다. 도 2b에 도시된 방법에 의하여, 사용자로부터 전송된 새로운 이벤트 정보를 이용하여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에서 소정의 정보 데이터를 개인 휴대 단말기로 업데이트하는 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에서 사용자 측에서 이벤트 정보의 업데이트를 요청하는 구성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개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소정의 메모리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위치 좌표에 대응하는 이벤트 정보의 갱신을 정보 제공 서버측에 요청한다(단계 301). 단계 301에서 이벤트 정보의 갱신은, 일예로 새로 추가된 과속 단속 카메라의 위치 정보 또는 현재 시각에 발생한 사고/정체 위치 정보에 대한 새로운 업데이트 데이터를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전송 받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단계 301에서 사용자가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 접속하기 위 하여,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메뉴를 통하여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 접속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구동되고 있는 소정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메뉴를 이용하거나, 사용자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고 있는 개인 휴대 단말기 상에서 선정된 키 입력(일예로 "통화" 버튼 등)을 하는 경우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가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 접속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서는 사용자로부터의 갱신 요청을 수신하고(단계 302),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메모리 수단에 전송된 이벤트 정보의 갱신 버전을 확인한다(단계 303). 단계 303에서 상기 이벤트 정보의 갱신 버전을 확인하는 것은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로 전송할 데이터를 특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버전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데이터 트래픽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로 인해 사용자의 통신 요금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단계 303에서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로 전송된 이벤트 정보의 갱신 버전이 확인되면,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로 전송할 업데이트 데이터를 검색한다(단계 304). 단계 304에서 검색되는 업데이트 데이터는 단계 303에서 확인된 갱신 버전의 이후 버전에 해당하는 업데이트 데이터일 수 있다. 정보 제공 서버에서는 검색된 업데이트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의 개인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고(단계 305), 전송된 업데이트 데이터의 버전 정보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의 사용자 별로 분류된 소정의 버전 정보 필드에 기록한다(단계 306). 사 용자는 상기 업데이트 데이터를 전송 받아 이를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메모리 수단에 기록한다(단계 307). 도 3a에 도시된 방법을 통하여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시각에 언제라도 정보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소정의 이벤트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에서 정보 제공 서버 측에서 사용자가 전송 받은 이벤트 정보의 버전 정보에 따라 상기 이벤트 정보의 업데이트를 통지하는 구성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이벤트 정보의 업데이트를 통지하기 위하여 정보 제공 서버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기제공된 이벤트 정보의 버전을 확인한다(단계 351). 현재의 버전보다 이전 버전의 정보를 제공받은 사용자의 현황을 검색하고(단계 352), 상기 검색된 사용자의 개인 휴대 단말기로 이벤트 정보의 업데이트를 통지하는 취지의 SMS를 발송한다(단계 354).
사용자는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서, 또는 상기 정보 제공 서버의 제어를 받는 소정의 SMS 서버로부터 상기 SMS를 수신하고(단계 354), 수신된 SMS에 대한 확인 응답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355). 단계 355에서 사용자가 확인 응답을 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도 3b에 도시된 단계는 종료되고, 단계 355에서 사용자가 확인 응답을 하는 경우에는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확인 응답을 수신하고, 갱신된 업데이트 데이터를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로 전송한다(단계 356). 단계 355에서의 확인 응답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구동되고 있는 소정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메뉴를 이용하거나, 사용자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고 있는 개인 휴대 단말기 상에서 선정된 키 입력을 하는 경우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가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 접속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전송된 업데이트 데이터의 버전 정보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의 사용자 별로 분류된 소정의 버전 정보 필드에 기록하고(단계 357),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는 단계 356에서 전송된 업데이트 데이터를 메모리 수단에 기록한다(단계 358).
도 3b에서 상기 사용자의 개인 휴대 단말기로 소정의 업데이트를 통지하는 단문자 메시지는 SMS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SMS가 아닌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로도 구현될 수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를 통한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은 크게 개인 휴대 단말기(423)에 설치되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400), 사용자 측에 마련되는 GPS 모듈(421), GPS 인터페이스 모듈(422), 개인 휴대 단말기(423), 및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제공 서버(410)로 구성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400)은 일예로 가상 머신(Virtual Machine) 기반에서 동작하는 특별히 설계된 프로그램일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400)은 다수의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먼저 GPS 모듈(421) 및 GPS 인터페이스 모듈(422)을 통하여 수신된 GPS 신호를 전송 받기 위한 위치 정보 수신 모듈(401), 상기 수신된 GPS 신호를 이용하여 개인 휴대 단말기(423)의 현재 위치 좌표를 계산하고, 계산된 현재 위치 좌표를 보정하기 위한 위치 정보 연산 모듈(402), 개인 휴대 단말기(423)에 포함되는 내장형 메모리 또는 개인 휴대 단말기(423)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도록 설계된 외장형 메모리를 관리하기 위한 메모리 관리 모듈(403), 위치 정보 연산 모듈(402)에서 연산된 개인 휴대 단말기(423)의 위치 정보와 상기 내장형/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된 소정의 이벤트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 휴대 단말기(423)의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이벤트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위치 정보 판단 모듈(404), 위치 정보 판단 모듈(404)에서 선택된 상기 이벤트 정보를 음성 또는 텍스트의 형태로 가공하여 개인 휴대 단말기(423)의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 수단(도시되지 아니함)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위치 정보 제공 모듈(405), 사용자의 키 입력에 대응하여 개인 휴대 단말기(423)의 현재 위치 좌표와 상기 키 입력에 대응하는 소정의 이벤트 정보를 정보 제공 서버(410) 측으로 전송하기 위한 위치 정보 송신 모듈(406), 및 상기 모듈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듈(407)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외장형 메모리는 멀티미디어 카드(MMC), SD 카드, 메모리 스틱, 콤팩트 플래시 메모리, 또는 마그네틱 저장 장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상기 내장형 또는 외장형 메모리에는 소정의 위치 좌표와, 위치 좌표에 대응하는 소정의 이벤트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GPS 신호 수신부(420)는 크게 GPS 모듈(421), GPS 인터페이스 모듈(422), 및 개인 휴대 단말기(423)를 포함할 수 있다. GPS 모듈(421)은 GPS 위성으로부터 전 파되는 소정의 대역의 GPS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이다. GPS 인터페이스 모듈(422)은 GPS 모듈(421)과 개인 휴대 단말기(423) 사이의 인터페이싱을 담당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GPS 모듈(421)은 개인 휴대 단말기(423)에 내장된 GPS 칩 또는 개인 휴대 단말기(423)의 인터페이스 수단에 접속되는 외장형 GPS 수신기일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서버(410)은 다음의 구성 모듈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관리 모듈(411)은 개인 휴대 단말기(423)의 접속을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등록 관리부(412)와 인증 관리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등록 관리부(412)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 받아 사용자 데이터베이스(414)에 저장 관리한다. 인증 관리부(413)는 개인 휴대 단말기(123)의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접속하여 소정의 이벤트 정보를 전송 받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소정의 보안 모듈(도시되지 아니함)과 함께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도록 요구하고, 인증 요청 데이터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414)에 저장된 것과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여 동일한 경우에만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동작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증 관리부(413)는 개인 휴대 단말기(423)에 설치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400)과 연동하여 해당 사용자를 인증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이디와 패스워드는 최초 접속시에만 입력 받 고, 추후의 정보 제공 서비스 이용시에는 개인 휴대 단말기의 이동 통신 번호를 수신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 확인을 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할 수도 있다.
정보 데이터베이스(415)는 개인 휴대 단말기(423)에 제공할 이벤트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정보 데이터베이스(423)는 소정의 위치 좌표와 해당 위치 좌표에 대응하는 소정의 이벤트 정보를 함께 기록하고 있다. 일예로, 2차원 위치 좌표(경도 23.5도, 위도 45.7도)와 함께, 이에 대응하는 이벤트 정보인 "제한 속도 80km인 과속 단속 카메라"를 함께 저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정보 데이터베이스(415)에 저장되는 이벤트 정보는 이러한 과속 단속 카메라의 위치 정보 이외에, 사고/정체 위치 정보 또는 해당 위치 좌표에 위치하는 인근 상가 위치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벤트 정보는 인근 상가 위치 정보일 수 있고, 이러한 인근 상가 위치 정보와 함께, 해당 인근 상가에서 사용 가능한 형태의 쿠폰 데이터를 함께 저장하도록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해당 위치 좌표에 위치하는 사용자에게 소정의 인근 상가 위치 정보를 이벤트 정보로서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의 확인 응답에 대응하여 상기 쿠폰 데이터를 사용자의 개인 휴대 단말기(423)으로 전송하고, 사용자는 메모리 수단(도시되지 아니함)에 상기 쿠폰 데이터를 저장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소정의 할인 혜택 등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과금 제어 모듈(417)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에 포함될 수도 있고, 외부에 위치할 수 있는 과금 모듈(도 시되지 아니함)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이벤트 정보 이용에 대한 소정의 과금이 수행되도록 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SMS 서버 제어 모듈(418)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에 포함될 수도 있고, 외부에 위치할 수 있는 SMS 서버(도시되지 아니함)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개인 휴대 단말기(423)로 소정의 SMS를 전송하도록 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에 포함되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는 정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의 기록 필드는 사용자 식별자, 이동 통신 번호, 사용자가 전송 받은 이벤트 데이터의 버전 정보,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이벤트 데이터를 전송 받은 시각 정보 등의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식별자 필드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하여 임의로 부여할 수 있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이동 통신 번호 필드와 통합하여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전송 받은 이벤트 데이터의 버전 정보 필드에 기록된 버전 정보 데이터는 사용자에게 제공된 이벤트 정보의 버전을 관리하여 구 버전의 이벤트 데이터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새로운 버전의 이벤트 데이터를 전송 받도록 하기 위한 판단 자료로 사용될 수도 있고, 사용자로부터 이벤트 데이터의 갱신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이벤트 데이터의 버전을 식별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최소한의 갱신 데이터만을 전송하기 위한 하나의 식별자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에서 과속 단속 카메라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 상의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좌측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개인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현재 사용자가 운행 중인 차량 등의 속도 및 이동 방향 정보(620)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속도 및 이동 방향 정보(620)는 사용자의 개인 휴대 단말기 또는 외부의 GPS 수신 모듈에 지자기 센서 또는 DR(Dead Reckoning) 수단이 포함되는 경우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자기 센서는 지구의 지자기를 센싱하여 현재 상기 사용자의 이동 방향 정보를 검출할 수 있도록 동작하는 것으로서, 최근에는 휴대폰 등과 같은 개인 휴대 단말기에 내장(일명 "나침반칩")되어 활용되고 있다. 또한 DR(Dead Reckoning) 수단은 자이로스코프(또는 지자기 센서)와 속도 센서(또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네비게이션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의 초기 위치로부터 현재의 위치 또는 이동 방향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좌측 도면의 우측 하단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위치저장 #"(610)이라는 표시가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키 입력(본 실시예의 경우는 "#" 버튼)에 응답하여 현재 산출된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정보 제공 시스템 측으로 전송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는 사용자가 운행 중 사용자의 메모리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이벤트 정보 중에서 해당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이벤트 정보가 존재하지 아니하여 과속 단속 카메라 위치 정보를 제공 받지 못한 경우, 사용자가 간단한 키 입력만으로 과속 단속 카메라의 위치를 상기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운행 중 사고 또는 정체되는 구간을 지나는 경우, 사용자의 키 입력을 통하여 사고 또는 정체가 발생하는 위치 정보를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고,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위치 정보에 과속 단속 카메라의 존재 또는 사고/정체에 대한 최신 정보를 이용하여 이벤트 정보를 업데이트 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의 우측 도면을 참조하면, 차량 등의 운행 중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과속 단속 카메라 존재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운행 중인 차량의 현재 속도와, 해당 위치에서의 제한 속도 정보(630)을 함께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에 소정의 이벤트 정보를 단순히 디스플레이 하는 것 뿐 아니라, 소정의 음성 신호로 가공(일예로, "현재 운행 중인 지역은 사고다발지역입니다. 주의 운전하시기 바랍니다" 등)하여 상기 이벤트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에서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 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에서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블록도이다.
컴퓨터 시스템은 램(RAM: Random Access Memory)(760)과 롬(ROM: Read Only Memory)(770)을 포함하는 주기억장치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74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740)는 중앙처리장치(CPU)로 불리기도 한다. 당업계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롬(770)은 데이터(data)와 명령(instruction)을 단방향성으로 CPU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램(760)은 통상적으로 데이터와 명령을 양방향성으로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램(760) 및 롬(670)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어 떠한 적절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Mass Storage)(710)는 양방향성으로 프로세서(740)와 연결되어 추가적인 데이터 저장 능력을 제공하며, 상기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중 어떠한 것일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710)는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주기억장치보다 속도가 느린 하드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이다. CD 롬(720)과 같은 특정 대용량 기억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740)는 비디오 모니터, 트랙볼, 마우스, 키보드, 마이크로폰, 터치스크린 형 디스플레이, 카드 판독기, 자기 또는 종이 테이프 판독기, 음성 또는 필기 인식기, 조이스틱, 또는 기타 공지된 컴퓨터 입출력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730)와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프로세서(74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50)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상기된 방법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된 장치 및 도구는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이벤트 정보를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하여, 통상의 CDMA 망을 이용할 수도 있고, 013 전용 무선 패킷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로 소정의 이벤트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무선 패킷 통신망은 무선 데이터 송수신 전용망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 정보를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소정의 이벤트 정보를 정보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무선 패킷 통신망에서의 데이터 통신 기능이 지원되는 개인 휴대 단말기에 상술한 정보 제공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소정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정보 제공 서버와의 통신이 수행되도록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의 개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소정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소정의 정보를 제공 받기 위하여 소정의 정보 제공 서버와의 접속을 계속 유지할 필요 없이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필요한 데이터만을 전송 받고, 전송 받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소정의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소정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 뿐 아니라, 상기 사용자로부터 전송된 소정의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토대로 정보량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에게 가장 최신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의하면, 차량 운행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과속 방지 카메라의 위치 정보 또는 사고/정체 위치 정보를 상기 차량 운행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운행자의 안전 및 운행 편의를 제고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의하면, 차량 운행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소정의 인근 상가 위치 정보를 상기 차량 운행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제 거래를 촉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정보 제공 시스템 측면에서도 새로운 수익 모델을 창출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은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정보를 제공 받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가 소정의 위치 좌표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이벤트 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메모리 수단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가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는 GPS 수신 모듈이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가 상기 GPS 수신 모듈을 통하여 수신된 GPS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가 상기 메모리 수단을 참조하여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이벤트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가 상기 검색된 이벤트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키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데이터를 소정의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 수단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가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위치 좌표에 대응하는 상기 이벤트 정보를 전송 받는 단계;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가 상기 전송된 이벤트 정보를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정보 업데이트 요청에 대한 갱신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정보는 과속 단속 카메라의 위치 정보 또는 교통 사고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데이터를 상기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입력 데이터 또는 상기 시스템에 대응하는 식별 번호를 포함하는 단문자 메시지를 소정의 이동통신사업자의 중앙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문자 메시지는 상기 이동통신사업자의 상기 중앙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식별 번호로 특정되는 상기 시스템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4. 소정의 정보 제공 서버가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에 소정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가 소정의 위치 좌표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이벤트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정보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개인 휴대 단말기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전송하여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에 설치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정보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이벤트 정보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정보 제공 서버가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전송 요청에 대응하는 상기 이벤트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정보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로 상기 이벤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정보 데이터에 상기 이벤트 정보로서 기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전송된 상기 이벤트 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메모리 수단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는 GPS 수신 모듈이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GPS 수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GPS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 수단을 참조하여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이벤트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이벤트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정보는 인근 상가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검색된 이벤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인근 상가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상기 인근 상가 위치 정보에 대한 확인 응답에 대응하여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소정의 쿠폰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쿠폰 정보를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정보는 과속 단속 카메라의 위치 정보 또는 사고/정체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GPS 수신 모듈은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에 내장된 GPS 칩 또는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수단에 접속되는 외장형 GPS 수신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8.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수단은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에 포함되는 내장형 메모리 또는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도록 설계된 외장형 메모리이고,
    상기 외장형 메모리는 멀티미디어 카드(MMC), SD 카드, 메모리 스틱, 콤팩트 플래시 메모리, 또는 마그네틱 저장 장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0. 삭제
KR1020030055070A 2003-08-08 2003-08-08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및 그 시스템 KR100640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5070A KR100640287B1 (ko) 2003-08-08 2003-08-08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5070A KR100640287B1 (ko) 2003-08-08 2003-08-08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0879A KR20030070879A (ko) 2003-09-02
KR100640287B1 true KR100640287B1 (ko) 2006-10-31

Family

ID=32227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5070A KR100640287B1 (ko) 2003-08-08 2003-08-08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02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228B1 (ko) * 2005-07-18 2007-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기반 예약 메시지 제공 방법
KR100756554B1 (ko) * 2006-07-25 2007-09-0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34651B1 (ko) * 2020-07-16 2022-08-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독립형 고용량 신호 계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0879A (ko) 2003-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8434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edly managing vehicle operation state
US9584993B2 (en) System and method for vector processing on behalf of image aperture aim
US7783421B2 (en) Navigation device, navigation method, navigation program, server device, and navigation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KR100516970B1 (ko) MS-Based GPS 방식을 이용하여 길 안내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및 장치
EP1205733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activity of user
US20080114543A1 (en) Mobile phone based navigation system
ES2276240T3 (es) Metodo para introducir datos de destino a traves de un terminal movil.
CN101467062B (zh) 地理参照物识别方法、系统和装置
US88681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location-based business services via electronic mail
US20090075675A1 (en) Method of location based service and location based service system
US20060247848A1 (en) Driving route planning system and method
CN101206803A (zh) 汽车超速告警提示的导航装置和方法
CN102460075A (zh) 导航装置、导航系统及其操作方法
KR100727903B1 (ko)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주변 위치 정보 처리장치 및 그 방법
CN101419075A (zh) 导航系统及其天气预报信息获取方法
KR20070080699A (ko) Rfid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측정을 보완한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방법
JP4568314B2 (ja) 情報収集・配信システム、情報収集・配信サーバ、ユーザ端末装置、及び情報収集・配信方法
KR100640287B1 (ko) 개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및 그 시스템
JP3871311B2 (ja) 位置特定システム、サーバ装置、位置特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135255B1 (ko) 개인 교통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JP3042415B2 (ja) キャッシュメモリ装置およびキャッシュ制御方法
KR100775354B1 (ko) 네비게이션 배경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네비게이션 시스템
JP3767671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
KR100695077B1 (ko) Poi 안내가 가능한 무선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100582513B1 (ko) 경로 안내 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